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101 Simulator EP05012089.8 2005-06-04 EP1605421B1 2011-05-25 Heinrich, Harald
102 Simulator EP05012089.8 2005-06-04 EP1605421A3 2006-06-07 Heinrich, Harald

Es wird ein Simulator mit einem Manipulator mit mehreren Drehachsen und einer an einem Handflansch des Manipulators befestigten Sitzeinheit vorgeschlagen, bei dem mindestens ein zwischen einer Wiedergabe-Stellung vor der Sitzeinheit und einer den Einstieg zur Sitzeinheit freigebenden Ein- und Ausstiegsstellung bewegbarer Bildschirm vorgesehen ist.

103 METHOD FOR SIMULATING FLIGHT STATUSES OF A VERTICAL TAKE-OFF AND/OR VERTICAL LANDING-CAPABLE AIRCRAFT PCT/AT2009000012 2009-01-16 WO2009089561A3 2009-10-29 MARGREITER ANDREAS
In a method for simulating flight statuses of a vertical take-off and/or vertical landing-capable aircraft, comprising a simulator (1), the moving device (4) of which is configured as an industrial robot (7) having serial kinematics, particularly a simula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11, wherein movements of a first holder (2) for at least one subject (3) are controlled by means of at least one control member (5), said first holder being disposed on a moving device (4), it is proposed for the realistic simulation of critical flight statuses that the at least one control member (5) is actuated by a subject (3) located in the first holder (2) such that a ground contact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holder (2), such as skids and/or a landing gear, is lifted off a ground or set down on a ground.
104 당구 로봇 KR1020160073931 2016-06-14 KR1020170141023A 2017-12-22 김완수
본발명의당구로봇은당구공이놓여지는당구대의윗면에대면하게설치되고, 제1 방향으로연장되는레일부; 상기제1 방향을따라이동가능하게상기레일부에설치되고, 제2 방향으로연장되는수평이동부; 상기제2 방향을따라이동가능하게상기수평이동부에설치되고, 제3 방향으로이동되는수직이동부; 상기수직이동부에설치되고상기당구공을타격하는타격부;를포함할수 있다.
105 로봇과의 대화를 핸들링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167032134 2015-04-17 KR1020170027705A 2017-03-10 매이종니어,브루노; 호신,다비드; 파타일롯,레미; 바르비에리,가브리엘
로봇과의대화를핸들링하는방법및 시스템로봇과인간사용자간 오디오대화를핸들링하는컴퓨터로구현되는방법이개시되며, 상기방법은다음을포함한다: 상기오디오대화동안, 오디오데이터를수신하고상기오디오데이터를텍스트데이터로변환하는단계; 상기텍스트데이터의하나이상의대화모드실행규칙의검증에응답하여, 변조된대화모드를선택하는단계; 대화모드는하나이상의대화내용(dialog content) 및하나이상의대화음성스킨(dialog voice skin)을포함하며; 대화내용은지정문장의모음을포함하며, 상기모음은질문문장과대답문장을포함하며대화음성스킨은주파수(frequency), 톤(tone), 속도(velocity) 및음높이(pitch)를포함하는음성렌더링파라미터를포함하며. 기재된형태는대화내용및/또는대화음성스킨을수정하는것, (예를들어로봇에의해지각되는환경에따라달라지는) 대화실행규칙을이용하는것, 및대화내용을수정하는것을포함한다.
106 응원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50025798 2015-02-24 KR1020160103582A 2016-09-02 김충범; 최규현
본명세서는응원로봇및 그제어방법에관한것으로, 응원서비스장치로부터응원제어신호를수신하는로봇통신부; 상기수신된응원제어신호로부터응원메시지를추출하는신호분석부; 적어도하나의디스플레이를구비하는로봇표시부; 응원로봇의각 부위를구동시키는로봇구동부; 및상기추출된응원메시지에포함된응원문구또는응원이미지를상기로봇표시부를통해표시하고, 상기수신된응원제어신호를기초로하여응원동작정보를확인하고상기확인된응원동작정보에따라상기로봇구동부를제어하는로봇제어부를포함한다.
107 애완동물용 놀이로봇 KR1020130157064 2013-12-17 KR1020150070624A 2015-06-25 김인수
본발명은상부가개구된하부케이스; 상기하부케이스의바닥면에형성되는고정판; 상기고정판의상면에설치되는동력수단; 상기동력수단에의해구동되되, 하부케이스의하부로일부돌출되는한 쌍의바퀴; 상기고정판에수직방향으로고정되는다수의지지봉; 상기지지봉의중간에고정되되, 동력수단과움직임감지센서를제어하는제어수단; 상기지지봉의상단에고정되는지지판; 상기지지판의상면에고정되는움직임감지센서; 상기하부케이스에결합되도록하부가개구된상부케이스;를포함하도록구성되는애완동물용놀이로봇을제공하기위한것으로, 본발명은애완동물을따라다니면서놀아주고애완동물의이동동선을따라다니면서청소을해주므로애완동물의외로움, 스트레스감소로인한애완동물의육체적·정신적건강증진및 사용자의애완동물에대한걱정해소를기대하고, 사용자의애완동물관리에따른부담을현저히줄일수 있도록하는매우유용한발명인것이다.
108 이동 로봇에서의 퀴즈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로봇 KR1020130021133 2013-02-27 KR101505078B1 2015-03-23 고건; 손연주; 안기환
본 발명은 이동 로봇에서의 퀴즈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로봇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에서 복수의 사용자에게 퀴즈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문제 설명자에게 화면이 노출된 위치에서, 문제를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첫 문제 출력 단계; 상기 출력중인 문제에 대한 정답 음성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답 확인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정답 음성이 인식되면 이 정답 음성을 발화한 사용자를 문제 설명자로 재선정하고, 상기 재선정한 문제 설명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 단계; 상기 재선정한 문제 설명자에게 상기 화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인식한 위치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 단계; 및 상기 이동한 지역에서 다음 문제를 상기 화면에 출력하는 다음 문제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109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KR1020110013313 2011-02-15 KR101097761B1 2011-12-22 전철; 서명천; 신정근; 유지경
PURPOSE: A toy robot control system and a toy robot which is controll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provided to control a toy robot without separate additional device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TITU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110) drives a control application. A toy robot(12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appl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wireless interface device(130) transmits the signal data between the toy robo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applicatio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oy robot. The control application provides a story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로봇 완구 장치 KR1020070111898 2007-11-05 KR1020090046003A 2009-05-11 김경근
본 발명은, 외부 오디오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입력수단과;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출력수단과;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입력받는 버튼입력수단과;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는 표시수단과; 제어수단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상기 오디오출력수단을 통해 출력될 오디오데이터와 상기 표시수단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오디오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입력을 음성인식하고 상기 버튼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버튼입력을 인식하여, 그 오디오입력 및 버튼입력에 따라 상기 오디오출력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표시수단은 머리에 설치되어 로봇의 눈에 해당하는 우측 표시부와 좌측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디오입력수단은 상기 몸통에 설치되어 오디오 입력을 받기 위한 마이크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입력수단은 발의 좌측 및 우측 발등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조작 입력을 받기 위한 우측 버튼과 좌측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봇 완구 장치를 제공한다.
111 2륜 주행 장치 및 주행정지 방법 KR1020060072486 2006-08-01 KR1020070021037A 2007-02-22 이시하라아츠시; 고쿠보와타루
본 발명은, 직진 방향으로의 주행을 용이하게 주행정지하는 것으로서, 타원체형상 몸체(2)에 동일한 수평 회동축(L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pivot) 지지된 우측 차륜(12) 및 좌측 차륜(13)을 회전 구동하여 타원체형상 몸체(2)를 직진 방향으로 주행시키고, 이것을 주행정지시킬 때, 우측 차륜(12) 및 좌측 차륜(13)을 다른 조건으로 구동 제어하여 타원체형상 몸체(2)를 직진 방향에 대한 우측방향 및 좌측방향 중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계속해서 해당 한 방향과 반대인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우측 차륜(12) 및 좌측 차륜(13)의 회전 구동을 정지하므로서, 타원체형상 몸체(2)에 발생하고 있던 직진 방향의 관성력을 거의 소거하여 우측 차륜(12) 및 좌측 차륜(13)의 회전 구동을 정지시키고, 타원체형상 몸체(2)가 직진 방향측으로 구르는 것을 거의 확실하� �� 회피할 수 있고, 직진 방향으로의 주행을 용이하게 주행정지할 수 있다. 음악 재생 로봇 장치, 타원체형상 몸체, 몸체 중앙부, 몸체 우측 회동부
112 당구 로봇 KR1020160171454 2016-12-15 KR1020180069353A 2018-06-25 김완수
본발명의당구로봇은당구대를따라움직이고당구공을타격하는큐가마련된타격부; 초크(chalk) 뭉치가마련된초크부; 상기타격부또는상기초크부를제어하는제어부;를포함하고, 상기제어부는상기타격부또는상기초크부를움직여서상기큐의단부에상기초크뭉치의초크를바를수 있다.
113 알까기 로봇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160160193 2016-11-29 KR1020180060562A 2018-06-07 서화일; 조현일; 이재호; 최성필
본발명은알까기게임판을촬영하고있는촬영영상으로부터인식되는좌표정보를기초로공격경로의선택및 선택된공격경로에서의타격공격을가능하게하는알고리즘을구축함으로써, 인간과로봇장치간 알까기게임의원활한진행을가능하게하는알까기로봇장치및 그동작방법을제안한다.
114 당구 로봇 KR1020160096787 2016-07-29 KR101815884B1 2018-01-08 김완수
본발명의당구로봇은당구공이놓여지는당구대의윗면에대면하게설치되고상기당구대의윗면을촬영하는촬영부; 상기촬영부의촬영영상을분석해서당구규칙을만족하기위해상기당구공이이동해야할 추천경로, 상기당구공을타격하는각도에따라상기당구공이진행할예상경로중 적어도하나가포함된안내영상을생성하는제어부; 상기당구대의윗면에상기안내영상을표시하는경로안내부;를포함하고, 상기경로안내부에는상기당구대의윗면을상기안내영상이표시되는스크린으로이용하는프로젝터가마련될수 있다.
115 네트워크 연동형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KR1020070122535 2007-11-29 KR1020090055745A 2009-06-03 김신; 한규선; 조성룡; 박성주; 신경철
A system for control of a network linkage type toy robot is provided to control a toy robot regardless of space and time through a network device. At least one toy robot(2) is connected to a user operator through a network connection device(3), and is driven a software program installed at a toy robot according to an operational signal received from an user operator. It is judges whether or not a network connection is connected. A main server(4) receives contents, which is related to the operation for the toy robots, from a contents providing server, and transfers the contents received from the main server to the user operator.
116 계층적 트리구조를 이용한 로봇 축구 전략 수립 기술 KR1020060134670 2006-12-27 KR1020080060494A 2008-07-02 김종근
A method for making strategy for robot soccer using a hierarchical tree structure is provided to promote the robot soccer by enabling a general user to make the strategy easily through the hierarchical tree structure and a relative ball position regardless of technical restriction such as hardware or programming, and enabling an expert user to develop and manage the strategy systematically. A strategy for robot soccer is made in a similar way to real soccer without any technical restriction by using a strategy making technology using the hierarchical tree structure. The strategy is made and managed in the hierarchical tree structure by dividing robot types into a goal keeper, a defender, an attacker, and a midfielder. The strategy is made by fixing activity and moving areas of the robots concretely based on a position used in the real robot soccer. A game situation is divided into defending and attack situations according to a state of a ball and friendly/opponent robots. The next strategy is made by us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ball, and dividing cases into the cases for directly handling the ball, and supporting the defense or the attack for the other team member. Various situations of the robot soccer are actively managed by assigning action priority to a previous stage.
117 상품 인출 오락기용 인출기의 작동장치 KR1020000009144 2000-02-24 KR1020010084262A 2001-09-06 송운용
PURPOSE: Provided is a method for operating a drawing device for a goods drawing amusement machine, the drawing device can unfold tongs for picking up the goods by the up-and-down operation of an operating device due to the operation of a solenoid. CONSTITUTION: The drawing device contains the cylindrical solenoid(8) in the center of which compressing device(10) is mounted, wherein the compressing device(10) is coupled with the operating device(9) coupled with an up-and-down operating stick. And the tongs(2) are mounted under the solenoid(8) and a weight(14)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tongs(2). The ends of the tongs(2) are gathered under the compressing device(10) and the tongs(2) are unfolded by moving down the operating device(9) and the compressing device(10) by the solenoid(8).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