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专利分类库 / 道路、铁路或桥梁的建筑 / 桥梁 / 活动式或轻便式桥(船上的舱外坡道或舷梯的布置入B63B 27/14;承载坡道入B65G 69/28);浮桥
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201 유연한 개방경로를 구비한 이동식 교량 KR1020210041631 2021-03-31 KR102349111B1 2022-01-07
202 항공기용 탑승교의 도킹램프 KR1020210009416 2021-01-22 KR102339666B1 2021-12-14
203 높이 가변형 교량 KR1020120156430 2012-12-28 KR1020140087223A 2014-07-09 성택룡; 박찬희; 이필구; 조광일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idge with a variable height comprising a road surface part having a road surface at the upper part; a bridge support part of which one side is fixed to the ground and which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road surface part to support the road surface part; and a floating part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bridge support part and the road surface part and varies height of the road surface part while moving vertically by buoyancy when water flows inside. The bridge with a variable h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that the road surface part moves up by buoyancy according to a water level to prevent a bridge fromb being flooded althrough the water level of a stream rises.
204 외피튜브로 보호되는 잠수식 부유교량 및 상기 잠수식부유교량의 시공방법 KR1020070108891 2007-10-29 KR100971300B1 2010-07-20 박정일; 노석준; 정광섭
본 발명은 잠수식 부유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중부유물과의 충돌 또는 수중테러 등으로부터 교량본체를 보호하기 위한 외피튜브를 구비하며, 외피튜브와 교량본체 사이에는 물이 채워지도록 구성한 잠수식 부유교량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피튜브로 보호되는 잠수식 부유교량은 길이방향의 양단이 육상에 위치하고 중간은 수중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외피튜브와, 상기 외피튜브의 내부에 위치하고 양단이 육상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을 통해 통행이 가능한 교량본체와, 상기 외피튜브의 길이 중간이 수면 위로 부유하지 않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피튜브와 상기 교량본체의 사이에는 물이 채워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더불어, 본 발명의 잠수식 부유교량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주인장케이블의 양단을 해저면에 고정하는 단계와, 중공이 형성된 외피튜브의 양단이 육상에 위치하고 중간은 수중에 위치하며, 상기 외피튜브가 상기 주인장케이블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시공하는 단계와, 중공이 형성된 교량본체를 연속압출방식으로 상기 외피튜브의 내부에 진입시켜 상기 교량본체의 양단이 육상에 위치하도록 시공하는 단계와, 내부에 위치한 상기 교량본체의 부력에 의해 상기 외피튜브가 부유하면서 상기 주인장케이블을 긴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잠수식 부유교량, 외피튜브, 교량본체, 연속압출방식, 주인장케이블, 보조케이블
205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를이용한 부잔교 KR1020070126617 2007-12-07 KR100956519B1 2010-05-06 이성우
본 발명은 스냅핏(snap-fit) 방식의 간단한 조립구조를 가지며 다각형의 중공 단면을 이루는 프리캐스트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를 이용하여, 가볍고 내구성이 크며 간단한 시공으로 수상 자전거 도로나 요트 계류장 등의 부잔교(浮棧橋)를 구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로 이루어지는 바닥판; 하나 이상의 부력체; 및 상기 바닥판이 상, 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위 변동에 따른 상기 바닥판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축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은, 상부판, 하부판 및 복부판으로 구성되어 복수개의 다각형 중공단면을 가지면서 그의 양측면에 제1,2 상향돌기결합부와 제1,2 하향돌기결합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들을 상기 제1,2 상향돌기결합부와 제1,2 하향돌기결합부를 통해 인접한 데크끼리 서로 연결하여 단위 바닥판 요소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 바닥판 요소들을 부잔교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를 이용한 부잔교가 제공된다. 복합소재, 데크, 부잔교, 중공단면, 바닥판, 교량, 스냅핏
206 이동식 조립가교용 하부 구조체 KR1020010001657 2001-01-11 KR1020020060526A 2002-07-18 김정현
PURPOSE: A basal structure for portable built-up bridge is provided to solve problem of safety accident such as drop from bracing installation or assembly and necessity of massive pile driving equipment, obtain good product, and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CONSTITUTION: The basal structure for portable built-up bridge comprises short foundation piles(12) piling in two rows at constant interval transversely with head plate(11) on the upper part, upper temporary bents(30) that have upper piles(32) on each upper part of the foundation piles(12), fix connecting plates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adhere X type bracings(34) crossed between horizontal bracing(33), length member, and adjacent upper piles, and adhere open square type channels(35) on behind and front of each upper part, and an H type beam(55) that is the upper part of a couple of open square type channel of the bents fixed with fastener, and pedestal(50) comprised of bridge seats(56) setting at the constant interval on the upper beam.
207 교량 상판이 상하 진동될 수 있게 한 교량 KR2019990008883 1999-05-24 KR200266897Y1 2002-03-06 양원회
본 고안은 비교적 주변 경관이 수려하면서 폭이 짧은 하천이나 호수를 가로지르는 곳에 교량을 건설하고자 할 때 이 수면에 일정한 크기의 부력을 가진 부력탱크(ponToon)을 구비하여 교량의 중간부와 교각으로 연결하고 교량의 중간부 양측단 하측모서리와 힌지로 결합하는 좌우 상판을 연설하고 이 좌우 상판 외측선단에 각각 자유회동 로울러를 측설하여 이 로울러가 하천 양안에 입설되는 각 교대 상면에 재치되도록 하므로서 이렇게 구성된 교량을 사람등이 지날 때 교량이 부력에 의해 적절히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람들에게 즐거움이 느껴질 수 있도록 한 교량에 대한 고안이다.
208 다리놓기 장치 KR1019860007403 1986-09-04 KR1019870003273A 1987-04-16 아미글라스만; 세로모예치리
내용 없음
209 승하선 장치 KR1020190076881 2019-06-27 KR1020210001192A 2021-01-06
210 도개형 해상 보도교의 선회장치 정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200096612 2020-08-03 KR102164015B1 2020-10-12
211 높이 가변형 교량 KR1020120156430 2012-12-28 KR101440558B1 2014-11-04 성택룡; 박찬희; 이필구; 조광일
본 발명은, 상부에 노면를 구비하는 노면부와, 일측은 지면에 고정되고 상기 노면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노면부를 지지하는 교량 지지부 및, 상기 교량 지지부와 상기 노면부 사이에 구비되어, 내부로 물 유입시 부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노면부의 높이가 가변되는 부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부재는, 하부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바닥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에 기체가 주입되어 부력이 조절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물의 저항을 최소화 시키기 위해 일측이 유선형으로 구비되고, 하단이 상기 교량 지지부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는 상기 교량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부력부재가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일측이 개방되도록 구비된 높이 가변형 교량을 제 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 가변형 교량은 하천 등의 수위가 상승하여도, 교량이 침수되지 않도록 수위에 따라 노면부가 부력에 의해 상승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212 선박 탑승용 연결장치 KR1020110099149 2011-09-29 KR1020130034966A 2013-04-08 김영식
PURPOSE: A connecting device for boarding a ship is provided to reduc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by connecting a ship and a wharf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ship and tidal differences. CONSTITUTION: A connecting device(1) for boarding a ship comprises a base part(20), a rotating part(30), a rotating passage part(40), and a pulling driver. The base part is fixed to a wharf(10) and has a guiding groove part along the rotating route of the rotating part. The rotating unit is rotatably arranged in the base unit. The rotating passage part vertically moves by being hinged on the rotating part, and forms a moving passage for people by connecting the rotating part with a ship(11). The pulling driver rotates the rotating passage part by pulling.
213 외피튜브로 보호되는 잠수식 부유교량 및 상기 잠수식부유교량의 시공방법 KR1020070108891 2007-10-29 KR1020090043180A 2009-05-06 박정일; 노석준; 정광섭
본 발명은 잠수식 부유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중부유물과의 충돌 또는 수중테러 등으로부터 교량본체를 보호하기 위한 외피튜브를 구비하며, 외피튜브와 교량본체 사이에는 물이 채워지도록 구성한 잠수식 부유교량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피튜브로 보호되는 잠수식 부유교량은 길이방향의 양단이 육상에 위치하고 중간은 수중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외피튜브와, 상기 외피튜브의 내부에 위치하고 양단이 육상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을 통해 통행이 가능한 교량본체와, 상기 외피튜브의 길이 중간이 수면 위로 부유하지 않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피튜브와 상기 교량본체의 사이에는 물이 채워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더불어, 본 발명의 잠수식 부유교량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주인장케이블의 양단을 해저면에 고정하는 단계와, 중공이 형성된 외피튜브의 양단이 육상에 위치하고 중간은 수중에 위치하며, 상기 외피튜브가 상기 주인장케이블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시공하는 단계와, 중공이 형성된 교량본체를 연속압출방식으로 상기 외피튜브의 내부에 진입시켜 상기 교량본체의 양단이 육상에 위치하도록 시공하는 단계와, 내부에 위치한 상기 교량본체의 부력에 의해 상기 외피튜브가 부유하면서 상기 주인장케이블을 긴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잠수식 부유교량, 외피튜브, 교량본체, 연속압출방식, 주인장케이블, 보조케이블
214 자동 징검다리용 블록 KR2020070000600 2007-01-12 KR200440356Y1 2008-06-11 허재선
하천의 바닥에 고정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는 발판부를 구비함으로써, 하천의 환경에 맞추어 발판부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필요 시 하천을 흐르는 유수(流)를 일정수위까지 가두어둘 수 있는 자동 징검다리용 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징검다리용 블록은 하천의 수중 바닥면 상에 고정 배치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높이조절실린더를 가지는 베이스부; 및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게 제작됨과 아울러 하부면이 높이조절실린더에서 연장되는 실린더로드와 연결되어 하우징의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는 발판뭉치를 가지는 발판부로 이루진다.
215 이동식 조립가교용 하부 구조체 KR1020010001657 2001-01-11 KR100383905B1 2003-05-16 김정현
PURPOSE: A basal structure for portable built-up bridge is provided to solve problem of safety accident such as drop from bracing installation or assembly and necessity of massive pile driving equipment, obtain good product, and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CONSTITUTION: The basal structure for portable built-up bridge comprises short foundation piles(12) piling in two rows at constant interval transversely with head plate(11) on the upper part, upper temporary bents(30) that have upper piles(32) on each upper part of the foundation piles(12), fix connecting plates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adhere X type bracings(34) crossed between horizontal bracing(33), length member, and adjacent upper piles, and adhere open square type channels(35) on behind and front of each upper part, and an H type beam(55) that is the upper part of a couple of open square type channel of the bents fixed with fastener, and pedestal(50) comprised of bridge seats(56) setting at the constant interval on the upper beam.
216 교량 상판이 상하 진동될 수 있게 한 교량 KR2019990008883 1999-05-24 KR2020000021226U 2000-12-26 양원회
본고안은비교적주변경관이수려하면서폭이짧은하천이나호수를가로지르는곳에교량을건설하고자할 때이 수면에일정한크기의부력을가진부력탱크(ponToon)을구비하여교량의중간부와교각으로연결하고교량의중간부양측단하측모서리와힌지로결합하는좌우상판을연설하고이 좌우상판외측선단에각각자유회동로울러를측설하여이 로울러가하천양안에입설되는각 교대상면에재치되도록하므로서이렇게구성된교량을사람등이지날때 교량이부력에의해적절히상하운동을할 수있도록하므로서사람들에게즐거움이느껴질수 있도록한 교량에대한고안이다.
217 가변 이동식 공중 가교 KR2019950010050 1995-05-12 KR2019960037551U 1996-12-18 이옥신
가교본체(10)와절첩식유도로(20)를구비하며, 본체(10)의하부에는본체를받치는버팀기둥(30)들이조립식으로구비되고, 버팀기둥(30)은기둥(30)식또는작키(33)식으로그의하부에고정판(31)을가지며상부에본체와고정하기위한고정구(32)를가진다. 본체(10)의양단에는좌·우에각각절첩식유도로(20)와그 절첩판(21)을가지며, 본체(10)와유도로(20)와그의절첩판(21)을가지며, 본체(10)와유도로(20) 양측에는버팀난간(22), 경광등(23), 또는솔라이트, 유도등(24), 윙카및 이들을조정설치할수 있는와이어(25)를구비하는절첩식가변이동식공중가교이다.
218 발포 수지로 충진된 부교와 같은 부체 KR1019820003802 1982-08-24 KR1019840001292A 1984-04-30 김복중
내용없음
219 경량 모듀울식 트러스교 KR1019780003787 1978-12-15 KR1019830002114A 1983-05-21 유진월터시바첸코외2인
Components are decontaminated by exposure to a water jet to remove radioactive particles. The jet contains 3 to 7% by weight of grit. Cleaning of components in nuclear power plants to enable personnel to work on the components without excessive exposure to radiation. The particles are washed away without causing damage to the surface of metal components.
220 Over decking systems and methods US16861145 2020-04-28 US11214932B2 2022-01-04 Jonathan M. Polom; Ashley L. Genna; Justin S. Strickler; Gary E. Johnston
A decking system provides a surface upon which traffic may travel. Drivable decking surfaces can support heavy vehicles, such as tanks. Exemplary decking systems include a first module, a second module, a first upper fastening assembly, a first lower fastening assembly, a second upper fastening assembly, and a second lower fastening assembly. These fastening assemblies can secure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together. Decking systems may also include side ramp assemblies and/or end ramp assemblies, and such ramp assemblies can be coupled with a decking platform. Fastening assemblies may include a pin, a first clip, and a second clip.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