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121 트럭의 리어 프로텍터에 취부되는 보조스텝 KR2019960046882 1996-12-10 KR2019980033943U 1998-09-05 문형기
본고안은트럭의리어프로텍터(Rear Protector)에관한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적재함(100)의하측부로볼트(400)에의해고정설치된지지판(210)의끝단으로설치된리어프로텍터(200)에있어서, 상기리어프로텍터(200) 지지판(210)의내측면으로접철가능하도록가이드판(310)을설치하고가이드판(310)의끝단으로보조스텝(300)을설치하여운전자가적재함(100) 승차시는보조스텝(300)을펼쳐서승차하여작업을하고주행중에는리어프로텍터(200)의내측면으로접어서사용함으로서운전자의편리성을증대하도록한 것이다.
122 이동식 휠체어 발판 KR2019960034044 1996-10-16 KR2019980020791U 1998-07-15 김용식
본고안은이동식휠체어발판에관한것으로, 절첩가능하게연결되고손잡이(43)가구비되는한쌍의외부발판(40)과, 상기양쪽외부발판(40)의내부에미끄럼이동식으로삽탈가능하게결합되는한쌍의내부발판(30)과, 상기양쪽내부발판(30)의조절된위치를유지하기위한유지수단(70)을포함하여구성되어있으며, 상기양쪽외부발판(40)이힌지(80)에의해절첩가능하게연결되고, 양쪽외부발판(40)의양측주벽(40a)에는안내레일(50)이고정됨과아울러양쪽내부발판(30)의양측주벽(30a)에는상기안내레일(50)을타고미끄럼이동되는슬라이더(60)가고정되어구성되고, 상기유지수단(70)은상기슬라이더(60)의상면에복수개의길이조절공(33)과고정공(34)을형성하며, 상기양쪽외부발판(40)의양측부에는상기슬라이더(60)의길이조절공(33)과고정공(34)에하단부가삽입되어걸리는로커(71)를탄지요소(72)를개재하고결합한구성으로되어있다. 이러한본 고안은에프알피와알루미늄으로형성되어무게가가볍고, 가방형태로접고펼칠수 있도록되어있어취급, 보관및 이동이용이하며, 양쪽내,외부발판(30),(40)에미끄럼방지용턱(30b),(40b)이형성되어있고, 차량및 탑승장에대한접지력이좋으므로매우안전하게이용할수 있다.
123 车辆的台阶组件 CN201720548641.X 2017-05-17 CN207000310U 2018-02-13 斯图尔特·C·索尔特; 安妮特·林恩·霍伯纳; 科尔内尔·刘易斯·加德纳; 詹姆斯·J·苏尔曼; 保罗·肯尼斯·德洛克
本实用新型提供了一种车辆的台阶组件,包括:台阶垫,台阶垫可枢转地连接到车辆的后围侧板并且可在收起位置和展开位置之间移动;至少一个光源,至少一个光源设置在台阶垫中,其中,台阶垫沿向外方向传输由至少一个光源发射的光;以及多个接触件,在台阶垫处于收起位置时多个接触件彼此配合,并且多个接触件被配置成对设置在台阶垫的内部并可操作地连接至至少一个光源的储能装置进行感应充电。本文提供了台阶组件,其用于帮助用户使用车辆的较高部分并且包括能够照明以提供功能照明以及将格元素赋予车辆的台阶垫。
124 车辆和可展开的踏板组件 CN201520025597.5 2015-01-14 CN204488654U 2015-07-22 爱德华·约瑟夫·雷纳德·梅萨罗什; 大卫·托马斯·帕特里克
本实用新型提供了一种车辆,包括:第一踏板;可旋转地附接至所述第一踏板的第二踏板;以及可伸缩的延伸件,设置在所述第二踏板内并且被配置成从所述第二踏板延伸至相对于后车轮在外侧的延伸位置。还提供了一种可展开的踏板组件。本实用新型允许沿着车辆的整个长度进入车顶
125 차량용 발광 도어스텝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160144158 2016-11-01 KR101842947B1 2018-03-29 고성권; 김승영; 윤치원
본발명은차량용발광도어스텝장치에관한것으로, 상측이개방된장착부가구비된메인프레임; 상기메인프레임의장착부내측에설치되고, 전원을받아빛을생성하는발광부; 상기메인프레임의장착부상측에결합되고, 소정형상의관통홈부가구비되는상부플레이트; 상기상부플레이트의하측에배치되어상기발광부에서입사된빛을전달하는광전달부재; 및상기메인프레임의장착부의내측면에소정의패턴으로형성되는산란패턴부를포함한다.
126 자동차용 사이드스텝 KR20180015058 2018-02-07 KR20180020185A 2018-02-27 CHO SONG NAM
본발명은자동차용사이드스텝에관한것으로, 본발명의목적은발판의구조를개선하여이의변형을방지하며부품을공용화하면서도다양한디자인의사이드스텝을제작할수 있도록하는것이다. 이를위해본 발명에따른『자동차용사이드스텝』에의하면; 상단은차체의하부프레임에결합되고하단부는차체의측면하방에서수평방향으로밴딩되며마운팅홀(111)이천공된패널받침부(110)로이루어진복수개의브래킷(100)과; 상기브래킷(100)들의패널받침부(110) 상부에올려져차체의길이방향으로배치되며, 하부에는압입너트(500)들이소정의간격으로배치되어상기패널받침부(110)의마운팅홀(111)을하부에서상측으로관통하는마운팅볼트(400)가조여지는금속재발판패널(200)과; 상기발판패널(200)의상부를덮도록배치되고하부가복수개의볼트를통해상기발판패널(200)에고정되며상면에는길이방향으로발디딤부(310)가마련된합성수지발판(300)을; 구비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127 차량 적재함용 보조 발판 KR1020160093651 2016-07-22 KR1020180010852A 2018-01-31 최원삼; 함영운
본발명의실시예에따른차량적재함용보조발판은차량적재함의후방가이드와측방가이드사이에배치되되상기후방가이드에연결되는보조발판본체및, 상기보조발판본체를관통하여상기측방가이드에결합되는고정부를포함하며, 차량적재함후방모서리부의빈 공간을채울수 있다.
128 차량용 사이드 스텝의 제조방법 KR1020150170584 2015-12-02 KR101724956B1 2017-04-10 이승목; 최광재; 김남철; 정승룡; 홍성준; 정우진; 박춘호
본발명은차량용사이드스텝의제조방법에관한것으로, 사이드스텝에서차체와결합되는브라켓(112) 및승객의하중을지지하는인서트본체(110)가연속섬유복합소재를사용해서인서트사출로일체로제작되고, 브라켓(112)이결합된인서트본체(110)의전체에사출레진(120)이인서트사출로결합되어서사이드스텝의메인프레임(100)을형성하도록된 것이다.
129 액티브 전동 사이드 스텝을 이용한 차량용 외장 에어백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140192451 2014-12-29 KR1020160080521A 2016-07-08 이석민
본발명은액티브전동사이드스텝을이용한차량용외장에어백제어장치및 방법에관한것으로, 차량의측면에장착되어상기차량의외측에있는장애물과측면의거리를감지하는측방충돌감지부, 상기차량의롤오버를감지하는롤오버감지부, 상기차량의제동정보를감지하는브레이크작동감지부, 상기차량의하부에장착된액티브전동사이드스텝의폴딩각도또는언폴딩각도를조절하는사이드스텝구동부, MGG(Micro Gas Generator)에인플레이팅신호를인가하여외장에어백을전개시키는 MGG 구동부; 및상기차량의급브레이킹시, 측면충돌시, 및롤오버시 중적어도어느하나의상황에서상기사이드스텝구동부및 상기 MGG 구동부를제어하여차량의양측또는어느일 측의측방또는측하방으로외장에어백을전개시키는제어부를포함한다.
130 출장 세차 전용 카트 KR20150001993 2015-01-07 KR101539195B1 2015-07-27 BOO DAE BEOM
본발명은차체와적재부를동시에회전할수 있도록한 출장세차전용카트에관한것으로, 한쌍의앞바퀴가장착되는제1 차체부; 한쌍의뒷바퀴가장착되는제2 차체부; 상기제1 차체부의상부에형성되어, 짐을적재하기위한적재부; 상기적재부에연결형성되어, 상기제1 차체부의방향을전환하기위한손잡이부; 및상기제1 차체부와상기제2 차체부사이가회동되도록설치하며, 상기손잡이부의방향전환에따라제1 차체부를좌우방향으로회동시키기위한좌우회동부를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131 자동차 로커패널용 몰딩 KR2020150000421 2015-01-19 KR2020150000657U 2015-02-12 김장곤
본고안은자동차도어가결합되는로커패널에결합되어승하차시구도또는하이힐과접촉되어코팅이벗겨지고이로인해녹이발생되는문제점을방지하기위한자동차로커패널용몰딩에관한것으로, 수평보호면과, 수직보호면을갖도록직각으로절곡되어로커패널을덮을수 있도록형성된보호몰딩과, 상기절곡된보호몰딩의내측면에로커패널에접합결합되도록접합부를갖는자동차로커패널용몰딩을제공한다.
132 차량용 사이드스텝 장치 KR1020130160760 2013-12-20 KR101470258B1 2014-12-05 차동은; 이승목; 이기창; 송영욱
본 발명은 차량용 사이드스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이드스텝(10)이 차체(2)에 고정된 고정스텝(11)과 상기 고정스텝(11)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이동스텝(12)으로 분리 구성되고, 노약자 및 어린이 승객도 하강 이동된 이동스텝(12)을 이용해서 편리하게 승하차를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133 휠로더용 스탭 KR1020110143142 2011-12-27 KR1020130074985A 2013-07-05 이성균
PURPOSE: A step for a wheel loader is provided to allow a user to observe rules on the step while a urea tank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wheel loader without large structural change. CONSTITUTION: A step for a wheel loader comprises a first step (10) and a second step (20). One or more the first steps are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a fluid tank (11) which is on the side of the wheel loader in order to be protruded. The first step is stored by being folded around a hinge axis when the first step is not used. A protruding length is controlled so that the outermost part does not break an equipment width of the wheel loader. The second step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uid tank.
134 Elevating scaffolds for freight car KR20120006847 2012-07-30 KR20120007018U 2012-10-10
본 고안은 트럭용 승하강식 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럭에 구성되는 발판이 밟으면 자동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하여 탑승자가 승하차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면으로부터 높은 곳에 위치한 트럭의 좌석에 승하차하기 위해 발로 밟고 오르내릴 수 있도록 트럭에 형성된 공간인 발판하우징과 발판하우징 내에 위치하여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승하강구동부와 상기 승하강구동부에 연결되어 발판하우징 내부에서 상하로 유동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힌지에 의해 지지판과 결합되어 힌지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35 자동차의 전동 접이식 도어 스텝 KR1020100031173 2010-04-06 KR1020110111869A 2011-10-12 이건환
본 발명은 차체의 사이드 실 부위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전동 방식으로 선회될 수 있는 접이식 도어 스텝을 설치함으로써 승/하차시 사용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고, 특히 선회의 정지위치에서 구동 회로에 대한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의 사이드 실에 설치되는 마운팅 브라켓(10);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에 대해 힌지핀(H)을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풋 보드(20); 상기 풋 보드(20)의 폴딩 및 언폴딩 절환을 위한 유/무선의 신호 입력부(30); 상기 마운팅 브라켓(10)에 대해 상기 풋 보드(20)를 폴딩 및 언폴딩 방향으로 선회시키기 위해 상기 풋 보드(20)의 힌지지점에 정/역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52)를 갖춘 전동 구동부(50); 및 상기 신호 입력부(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 구동부(50)에 동작전원을 제공하여 상기 풋 보드(20)에 대한 폴딩 및 언폴딩을 제어하고 동작시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과부하 방지 회로를 갖춘 제어부(40)를 포함한다.
136 공연용 차량 KR1020100008357 2010-01-29 KR1020110088724A 2011-08-04 정길
PURPOSE: A vehicle for an outdoor performance is provided to control the height of a roof when necessary and to install a lighting system and an acoustic system on the roof without using a lift device. CONSTITUTION: A vehicle for an outdoor performance comprises a main roof(30) and a main roof moving unit. The main roof is installed on a loading unit of the vehicle. The main roof moving unit is installed between the main roof and the loading unit and vertically moves the main roof. A main support member(20) is installed in the bottom of the loading unit and has a space unit.
137 차량 탑승용 계단형 발판 장치 KR2020080011924 2008-09-02 KR2020100002835U 2010-03-11 조원식
본 고안은 차량 탑승용 계단형 발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하차 시에는 계단형 발판이 외부로 노출되어 장비를 착용한 소방대원 등이 안전하게 승하차 할 수 있으며, 주행시에는 계단형 발판이 캐빈 내부로 수납되어 폭이 좁은 도로를 지나는데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소방차를 포함한 대형차량의 캐빈(1) 측면에 구비된 리어 도어(2)의 하부에 탑승자의 승하차를 위한 계단형 발판(10)이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계단형 발판(10)은 리어 도어(2)의 개방시 연동되어 신장되는 실린더(2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며, 리어 도어(2)의 폐쇄시에는 실린더(20)의 수축동작에 의해 캐빈(1) 내측으로 수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계단형 발판(10)은 직각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전,후 측판(1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계단(14,16)이 부착되며, 전후 측판(12)의 일측 단에는 지면 과 가장 가까운 계단을 이루는 커버판(18)이 부착되어 계단형 발판(10)이 노출된 경우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판(18)이 1단의 계단을 이루고, 계단형 발판(10) 수납된 경우에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판(18)이 캐빈(1)의 측면과 일치되어 계단형 발판(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준다. 차량, 탑승, 계단, 발판, 실린더
138 건설기계용 스텝 KR1020050129484 2005-12-26 KR1020070067938A 2007-06-29 김기만
A step for construction machinery is provided to prevent the damage and deformation caused by external impact. The step(20) for construction machinery comprises a step plate(21) composed of a step portion(22) to support a worker to board and a side wall portion(24) to connect the step portion with a track frame of construction machinery, flanges(25) extended from the end of each side wall portion of the step plate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and a stiffening plate(27) placed between the step plate and the track fram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step plate.
139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 KR1020030088133 2003-12-05 KR1020050035061A 2005-04-15 문형석; 최성규; 유원희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안전발판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 출입문의 개폐동작에 따라 출입문의 수평운동을 수직운동으로 변경시켜 주는 도어연동부와; 이 도어연동부에 연결되어 출입문의 개폐에 따라 일정 스트로크로 승강 및 하강하는 제1가이드부와; 이 제1가이드부 상에 설치되어 도어연동부에 일정 텐션력을 부여하는 제2가이드부와; 상기 출입문 양측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제1가이드부의 승강 및 하강동작에 따라 탄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에 절첩가능하게 조립되어 제1가이드부의 승강 및 하강동작에 의해 수직으로 접히거나 수평으로 펼쳐져서 철도차량과 역사의 플랫홈을 연결시켜 주는 발판부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의 이동경로 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이 닫힐 때 상승하는 발판부를 간섭하여 수직으로 접혀지도록 유도하는 접이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플랫홈과 철도차량간의 간격에 안전발판을 형성하여 승객의 승하차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전발판이 철도차량 출입문의 개폐에 연동하여 작동되므로 별도의 동력과 제어장치가 필요없다.
140 tricycle KR20050001790 2005-01-20 KR200380850Y1 2005-04-08
본 고안은 일명 트라이커라 불리우는 레저용 기구에 관련되는 것으로 뛰어난 추진력을 얻을 수 있고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앞바퀴와 핸들이 구비되는 포크(10)와; 상기 포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발판(20)과; 상기 발판의 후단부 상면에 형성되어 회전되는 추진판(30)과; 상기 발판의 하면에 위치되고 상기 추진판과 연결되는 뒷바퀴(40);로 구성되는 트라이씨클에 관한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