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161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조향 보상방법 KR1020080115415 2008-11-19 KR1020100056312A 2010-05-27 양승훈
PURPOSE: A method for compensating steering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is provided to prevent oversteer by controlling a gain using moment input from a position control system. CONSTITUTION: A method for compensating steering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is as follows. A first torque value is calculated using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S10). A self-alignment torque occurred when steering is calculated(S20). A steering compensation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elf-alignment torque and a steering angle(S30). A second torque value is calculated by applying the steering compensation value to the first torque value(S40). A final torque value is calculated by controlling a gain of the second steering torque value(S60).
162 차량용 주행제어장치 KR1020077018630 2006-05-15 KR100933325B1 2009-12-22 사쿠가와준; 몬자키시로
A target yaw moment Mt of a vehicle is calculated to make the vehicle run stably (S20). The change rate &phgr;d of an accelerator pedal operation amount &phgr; is calculated (S30). Based on the change rate &phgr;d, a proportion ωs1 for a steering angle control is calculated (S50). When the change rate &phgr;d is a positive value, the proportion ωs1 gradually increases as the change rate &phgr;d increases. A proportion ωb for a braking force control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proportion ωs1 from 1 (1−ωs1) (S60). Based on the proportions ωs1 and ωb, a target yaw moment Mts for the steering angle control and a target yaw moment Mtb for the braking force control are calculated (S70). A steering-angle changing device (24) and a braking device (36) are controlled based on the target yaw moments Mts and Mtb, respectively (S400 to S430).
163 고장을 판정하여 제어량을 점감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 KR1020067023379 2005-10-18 KR100881873B1 2009-02-06 고조다카히로; 스즈무라마사토; 츠치야요시아키; 아사노겐지
제어 장치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 제어를 서서히 끝내는 데 있어서, 그 작동부에 생긴 이상은 제어 장치의 제어 결과적으로 조기에 나타나지만, 작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량의 생성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 그것이 판정될 때까지 시간이 걸리는 것에 감안하여, 특히 제어 장치의 이상에 대한 대처의 타이밍이 중요한 차량의 거동 제어에 있어서, 제어량의 이상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작동 장치의 이상이 판정되었을 때에 작동 장치의 작동을 점감하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제어량을 점감시킨다. 제어 장치
164 조타륜에 작용하는 차륜 미끄러짐 제어 장치를 구비한차량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 장치 KR1020077008209 2005-10-11 KR100816308B1 2008-03-24 츠치야요시아키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와 트랙션 제어 장치 혹은 안티 록 브레이크 장치와 같은 차륜 미끄러짐 제어 장치의 작동이 서로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륜 미끄러짐 제어 장치가 작동 중인지의 여부에 따라 핸들의 조타 토크의 증대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조타 보조력 목표값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억제한다. 그 경우에, 나아가서는, 핸들의 조타 토크의 시간적 미분값의 증대에 따라 핸들의 조타 토크의 증대에 따른 조타 보조력 목표값의 증대의 정도를 보다 크게 하고, 또 핸들의 조타각의 시간적 미분값의 증대에 따라 핸들의 조타 토크의 증대에 따른 조타 보조력 목표값의 증대의 정도를 저감시킨다. 파워 스티어링 장치, TRC, ABS
165 차량용 주행제어장치 KR1020077018630 2006-05-15 KR1020070095413A 2007-09-28 사쿠가와준; 몬자키시로
A target yaw moment Mt of a vehicle is calculated to make the vehicle run stably (S20). The change rate fd of an accelerator pedal operation amount f is calculated (S3O). Based on the change rate fd, a proportion isl for a steering angle control is calculated (S5O). When the change rate fd is a positive value, the proportion isl gradually increases as the change rate fd increases. A proportion ib for a braking force control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proportion isl from 1 (1-isl) (S60). Based on the proportions isl and ib, a target yaw moment Mts for the steering angle control and a target yaw moment Mtb for the braking force control are calculated (S 70). A steering-angle changing device (24) and a braking device (36) are controlled based on the target yaw moments Mts and Mtb, respectively (S400 to S430).
166 목표 조향각을 제한한 차량용 조향 제어 장치 KR1020077008906 2005-10-18 KR1020070083727A 2007-08-24 후지타요시타카; 츠치야요시아키; 고조다카히로; 스즈무라마사토; 아사노겐지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power steering system for assisting steering of a steering wheel, a steering controller limits a target steering angle for operating the power steering system to a predetermined level or below or limits a steering reaction acting on the power steering system to a predetermined level or below when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reaches a predetermined maximum steering angle so that a steering state of the steering wheel can be sustained stably while preventing an excessive load from acting on the power steering system. The target steering angle may be calculated as a value based on the rotary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 turning behavior control of the vehicle.
167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 KR1020050079782 2005-08-30 KR100749651B1 2007-08-14 모토야마스미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조종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 수단에 있어서, 후륜(2c, 2d)의 구동력에 차이를 갖게 하는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와, 각 차륜(2a 내지 2d)에 제동력 차이를 갖게 하는 제동력 조정기구(9)와, 전륜(2a, 2b)의 조타각을 조정하는 전륜 보조 조타 기구(3)와, 차량(1)의 거동을 검출하는 차속 센서 (13), 핸들 각 센서(14) 및 요 레이트 센서(15)와, 각 센서(13, 14, 15)에 의해 검출된 차속(V), 조타각(θ) 및 요 레이트(Ψ)에 의거하여 전륜 보조 조타 기구(3),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 및 제동력 조정기구(9)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장치(12)를 가지며, 제어 장치(12)는 좌우륜 구동력 조정기구(6) 또는 제동력 조정기구(9)의 적어도 한쪽을 작동시키기 전에 전륜 보조 조타 기구(3)를 작동시키도록 하였다.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
168 차량 스티어 특성 제어 장치 KR1020050024315 2005-03-24 KR100614991B1 2006-08-25 사까따구니오
차량 스티어 특성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티어 특성 등에 관한 차량의 거동 제어를 선회 종류 및 노면 상태에 따라 적절(과부족 없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 스티어 특성이 기준 이상인 오버 스티어 또는 언더 스티어가 되어 제동 기구의 제어를 통해 중립 스티어측으로 제어하는 경우에 제어 종료 조건을 판정된 노면 μ상태와 이 차량의 선회 종류(정상 회전인지 비정상 회전인지)에 따라 설정한다. 정상 회전시에 저μ 도로 주행이라면 차량 거동의 안정성이 충분히 회복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고, 고μ 도로 주행이라면 신속하게 제어를 종료할 수 있도록 차량 거동의 안정성이 어느 정도 회복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며, 비정상 회전시에는 정상 회전시 고μ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 거동의 안정성 보다 높고 또한 정상 회전시 저μ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 거동의 안정성 보다 높지 않는 조건으로 한다. 차량, 제동 기구, 특성 판정 수단, 오버 스티어, 언더 스티어
169 자동차 전동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000070194 2000-11-24 KR1020020040219A 2002-05-30 김성주
PURPOSE: A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of a vehicle is provided to reduce the yawing moment of a vehicle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teering angle depending on the braking state of the vehicle and to maintain the linearity of the vehicle even when sudden braking is performed. CONSTITUTION: A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of a vehicle comprises the steps of braking a vehicle by driving an ABS(Anti-lock Brake System) and transferring a present ABS operating state signal to an EPS ECU(Electric Power Steering Electronic Control Unit)(S201), determining an ABS operating state signal by deciding the necessity of collaborative control depending on a vehicle speed and the rotational state of respective vehicle wheels(S202), entering a collaborative control mode(S204), setting up a collaborative steering angle based on the ABS operating state signal and the vehicle speed(S205-S206), transferring a steering sensing signal to the EPS ECU(S207), and determining a collaborative steering angle as a target steering angle or determining a target steering angle for automatic steering angle adjustment based on the collaborative steering angle by calculating a steering wheel operating angle(S208,S209).
170 자동차의 전자제어 조향장치 KR1019980027367 1998-07-07 KR1020000007844A 2000-02-07 김학주
PURPOSE: An electronic control steering apparatus of a vehicle is provided to buffer by intercepting noise and shock from a road while driving. CONSTITUTION: The steering apparatus of a vehicle has:a steering angle detecting unit(102) detecting the steering angl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a steering wheel; an electronic steering control unit(103) outputting a vibration prevention control signal; a valve control unit(104) controlling oil supply for driving a driving power cylinder up to the steering angle about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output valve control signal; a control valve(105) controlling the working direction of the driving power cylinder; a link(111) forming the steering by delivering the driving power of a flexible piston rod, to the wheel; and a steering braking unit(101) preventing the vibration delivery from the road.
171 用于机动车辆稳定性控制的装置 CN200920150903.2 2009-04-27 CN201472354U 2010-05-19 吉尔伯托·布尔焦; 罗杰·格拉夫; 皮特·W.A·齐格拉尔; 奥利弗·内尔斯; 奥托·霍夫曼
本实用新型涉及一种用于机动车辆稳定性控制的装置。一种具有影响车辆动的多个执行器(160,170,180)的用于机动车辆的稳定性控制的装置具有用于控制机动车辆侧偏率的至少一个侧偏率控制单元(110,120),用于控制机动车辆横向速度的横向速度控制单元(130)和根据上述至少一个侧偏率控制单元(110,120)和上述横向速度控制单元(130)的指令用于对上述执行器(160,170,180)平行控制的分配单元(140)。
172 차량 제어 시스템 KR1020157032162 2014-06-03 KR101812863B1 2017-12-27 다카하시아키라; 구보준
천천히스핀하는경우라도, 안정성을확보할수 있는차량제어시스템을제공하는것을과제로한다. 본발명에서는, 자차량과선행차량사이의거리와, 자차량으로부터진행방향으로뻗는진행방향가상선에서부터선행차량까지의거리에기초하여, 선행차량과자차량과의상대슬립각을연산하고, 이상대슬립각에기초하여스핀판단임계치를설정하고, 상대슬립각이스핀판단임계치를넘었을때는, 상대슬립각이감소하도록요 모멘트를제어하는것으로했다.
173 차량 제어 시스템 KR1020157032075 2014-05-27 KR1020150143618A 2015-12-23 다카하시아키라; 구보준; 사사키미츠오
주행로에따른주행상태를조기에달성할수 있는차량제어시스템을제공하는것을과제로한. 본발명에서는, 자차량으로부터진행방향으로뻗는진행방향가상선과, 이진행방향가상선과주행로규정선이형성하는각도에따라서요 모멘트제어량을부여하는것으로했다.
174 차량 제어 시스템 KR1020157032162 2014-06-03 KR1020150140806A 2015-12-16 다카하시아키라; 구보준
천천히스핀하는경우라도, 안정성을확보할수 있는차량제어시스템을제공하는것을과제로한다. 본발명에서는, 자차량과선행차량사이의거리와, 자차량으로부터진행방향으로뻗는진행방향가상선에서부터선행차량까지의거리에기초하여, 선행차량과자차량과의상대슬립각을연산하고, 이상대슬립각에기초하여스핀판단임계치를설정하고, 상대슬립각이스핀판단임계치를넘었을때는, 상대슬립각이감소하도록요 모멘트를제어하는것으로했다.
175 차량의 주행 역학 조절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077019329 2006-01-23 KR101277374B1 2013-06-20 기르스베른하르트; 슈미트로베르트; 슈티허토마스; 울리히토르슈텐
본 발명은, 차량의 1 이상의 휠 브레이크상서 브레이크 토크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브레이크 토크가 요 토크 필요량에 따라 토크 분배 장치에서 결정되도록 하는 브레이크 액츄에이터와, 위급 주행 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고 또한 주행 역학 제어로 인해 제 1 요 토크 필요량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제 1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을 갖춘 차량의 주행 역학에 영향을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준위급 주행 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는 제 2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관리 장치 (12) 가 제공되며, 주행 역학 제어로 인해 상기 제 2 제어 유닛에 의해 제 2 요 토크 필요량 (R:D_GM) 이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요 토크 필요량 (R:D_GM) 은 토크 분배 장치 (20) 에 보내어질 수 있고, 제 1 제어 유닛 (4) 의 작동 상태에서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 (2) 으로부터의 신호 (I:EBS_Status; R:D_GM; R; [S1, S2 ...]) 가 관리 장치 (12) 에 보내져 제 2 제어 유닛을 비작동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역학에 영향을 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행 역학,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
176 목표 조향각을 제한한 차량용 조향 제어 장치 KR1020097004597 2005-10-18 KR100966056B1 2010-06-28 후지타요시타카; 츠치야요시아키; 고조다카히로; 스즈무라마사토; 아사노겐지
핸들에 의한 조향륜의 조향을 보조해주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조향륜의 조향각이 소정의 최대 조향각에 도달했을 때에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과잉의 부하를 작용시키지 않고 조향륜의 조향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조향 제어 장치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작동시키는 목표 조향각을 소정치 이하 혹은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작용하는 조향 반력이 소정치 이하가 되도록 제한한다. 목표 조향각은 핸들의 회전각과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에 기초하는 값으로서 산출되어도 된다.
177 핸들 조작형 조향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차량 KR1020080078898 2008-08-12 KR1020100020212A 2010-02-22 김규하
PURPOSE: An amphibious vehicle with a handle operation type steering device is provided to decide steering of a vehicle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rotation of left and right underwater motors. CONSTITUTION: An amphibious vehicle with a handle operation type steering device comprises a steering system and an underwater travelling device(60). The steering system has a steering handle rotated left and right. The underwater travelling device comprises left and right underwater motors and screws. The left and right underwater motors are descended from the rear part of a vehicle to below the water surface. The screw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rotating shafts of the underwater motors.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underwater motors is controlled depending on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handle, and steering of the vehicle is implemented.
178 핸들 조작형 스키드 조향 장치 KR1020080078852 2008-08-12 KR1020100020176A 2010-02-22 김규하
PURPOSE: A handle operation type skid steering device is provided to enable a driver to easily turn by skidding. CONSTITUTION: A handle operation type skid steering device comprises left and right braking units(23a), and a skid type steering device. The left and right breaking units restrict rotating of left and right wheels(51a,52a). The skid type steering device brakes rotating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and the direction of a vehicle is changed. A steering handle is formed in the skid type steering device. The left and right braking units are controlled depending on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handle.
179 차량의 주행 역학 조절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077019329 2006-01-23 KR1020070094866A 2007-09-21 기르스베른하르트; 슈미트로베르트; 슈티허토마스; 울리히토르슈텐
The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influencing the dynamics of the movement of a vehicle comprising an electronic brake system that encompasses a brake actuator by means of which a braking moment can be adjusted on at least one wheel brake of the vehicle. Said braking moment can be determined in a moment distributing mechanism in accordance with a yaw moment request. The brake system further encompasses a first control unit which can be activated in the event of a critical driving condition and allows a first yaw moment request to be determined based on a regulation of the dynamics of the movement of the vehicle. The inventiv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a management unit (12) contains a second control unit which can be activated in the event of a subcritical driving condition and allows a second yaw moment request (R:D_GM) to be determined based on a regulation of the dynamics of the movement of the vehicle, said second yaw moment request (R:D_GM) being transmissible to the moment distributing mechanism (20). Furthermore, a signal (I:EBS Status; R:D_GM; R:[S1, S2,...]) that causes the second control unit to be deactivated can be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brake system (2) to the management unit (12) in an activated state of the first control unit (4).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influencing the dynamics of the movement of a vehicle.
180 차량용 구동 역학 제어 시스템 KR1020057021562 2004-05-07 KR1020070066819A 2007-06-27 슈바르츠랄프; 프리츠슈테판; 슈레블러지히하르트; 바우어우르스; 트뢰슈터슈테펜; 바인로이터마르쿠스
The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dynamics control system for vehicles, involving at least one signal distribution, to which vehicle data, environmental data and data regarding the driver's intention are fed in the form of input data, and a number of controllable or regulatable subsystems, which modify the dynamics of the vehicle such as a driver-independent adjustable steering system, a driver-independent adjustable chassis, a driver-independent adjustable brake, and a driver-independent adjustable drive train.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of the signal distribution are fed to a central determining unit (driving condition recognition, driver's intention recognition); the central determining unit determines a central control target from the data of the signal distribution, and these items of data regarding the central control target are fed to a central regulating variable distribution or to a central driving condition controller that, while intera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subsystems, controls these subsystems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trol target is converted by the subsystems on the vehicle.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