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181 자동차용 고정글래스의 지지구조 KR1020000043078 2000-07-26 KR1020020009713A 2002-02-02 조경호
PURPOSE: Support structure of a fixed glass for a vehicle is provided to support a lower end of a fixed glass without using an additional reinforcing panel and to improve productivity by reducing an assembling process. CONSTITUTION: Support structure of a fixed glass for a vehicle comprises a rear door outer panel(21) installed on a lower portion of an outer side(3a) of a fixed glass(3) to form appearance of a rear door; a rear door outer rail panel(22) formed between the rear door outer panel(21) and a rear door inner panel(24); a sealing member(23) combining the door outer rail panel and the rear door outer panel; and a cutting unit(25) integrally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door outer rail panel. The cutting unit is composed of a floor unit and a side attaching unit. The floor unit of the cutting unit supports a lower end of the fixed glass by being bent toward the rear door inner panel. The side attaching unit is attached to the rear door inner panel. Thereby, the fixed glass supporting structure in the vehicle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fixed glass without any additional reinforcing panel.
182 자동차용 윈도우 글라스 장착구조 KR2019990012426 1999-06-30 KR2020010001915U 2001-01-26 안정욱
자동차용윈도우글라스(window glass) 장착구조가개시된다. 개시된차량용윈도우글라스장착구조는, 윈도우글라스가루프패널위에고정될수 있도록구비된자동차용윈도우글라스장착구조에있어서, 상기윈도우글라스의상단부가장착될수 있도록상기루프패널로부터연장되어형성되고, 그일측단부로부터인입된장착부가형성된루프패널플랜지와; 상기장착부에위치변경가능하게장착되어그 상부에상기윈도우글라스를소정의접착부재에의해부착되는글라스지지부재;를포함하는것을그 특징으로한다. 본고안에따르면, 윈도우글라스장착부위에누수가발생되지않는다.
183 글래스 홀더 어셈블리 KR2019960065019 1996-12-31 KR2019980051840U 1998-10-07 장명기
본고안은차량의글래스홀더어셈블리에관한것이다. 이같은본 고안에의하면, 윈드실드글래스를장착시키기위한글래스홀더어셈블리를단순화시키므로서, 구성부품을줄임과동시에제작시의작업성을크게향상시킴은물론제작시의생산단가를절감하여차량이용자에게다양한편의성을제공한다.
184 자동차의 전방 글래스 장착구조 KR2019960061546 1996-12-30 KR2019980048388U 1998-09-25 양영운
본고안은윈드실드부재로서차량의전방부에장착되는전방글래스장착구조에관한것으로, 루프패널의플랜지부상에글래스안착용브라케트를부착시켜이러한브라케트에전방글래스를안착시키고그 상부에는가니쉬를장착시키게되는것을특징으로하는자동차의전방글래스장착구조를제공한다.
185 자동차용 사이드 글래스(Side Glass)의 구조 KR2019960061427 1996-12-30 KR2019980048269U 1998-09-25 김한영
본고안은자동차용사이드글래스(Side Glass)의구조에관한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자동차의후방판넬에볼트의피치를 2.5㎜로형성하여피치가없는플라스틱너트로사이드글래스를고정함으로서, 생산라인선상에서의조립공수를감소하여생산원가를절감함과동시에생산성을향상시켜제품의품질을향상하고소비자의신뢰성을향상시키는매우유용한고안이다.
186 자동차 윈드시일드 글라스의 체결구조 KR2019960057572 1996-12-26 KR2019980044437U 1998-09-25 홍동희
본고안은자동차윈드시일드글라스의상단부와자동차바디의루프프론트레일과의연결구조를개선함으로써자동차의프론트임팩트시 에어백작동에따라윈드시일드글라스의상부가전면으로돌출변형되어충격에너지의흡수공간을확대하여운전자를보호토록하는자동차윈드시일드글라스의체결구조에관한것으로, 이는상기윈드시일드글라스(10)의양측면과하부면은종래와같은방법으로자동차의바디부에체결고정토록하면서도상단부는웨더스트립(14)으로기밀만을유지하는형태로고정하고, 상기윈드시일드글라스(10)의상부내측면에횡방향으로브라켓트(15)를구비함과동시에이의브라켓트(15)에는루프패널(13) 내측면에체결보울트(16)에의해횡방향으로절곡되는형태로구비되는연결부재(17)를연결하여서된 것이다.
187 사이드 글라스 홀더 KR2019960056872 1996-12-26 KR2019980043750U 1998-09-25 오승철
사이드글라스가심하게유동되거나승강되더라도사이드글라스가이탈되지않도록해주며, 대략수평되게측면으로돌출되어사이드글라스에형성된결합공삽입가능하고내부에는암나사가형성되어있으며끝단에는걸림턱이형성되어있는돌출부, 걸림턱반대편끝단에는위쪽으로연장되고상단에는소정형태로절곡되어캐리어플레이트상단에걸리는걸림홈이형성되어있는걸림부및 걸림부아래쪽으로소정길이만큼연장된상태에서위쪽으로절곡되어사이드글라스의하단부를수용하는수용부를형성하고끝단에는걸림턱안쪽돌출부에결합되는결합홈이형성되어있어사이드글라스가이탈되는것을방지하는이탈방지부를포함하는구성으로이루어진사이드글라스홀더에관한고안.
188 밴용 차량의 윈도우 패널 고정구조 KR2019960053235 1996-12-21 KR2019980040159U 1998-09-15 여성모
본고안은밴용차량의윈도우패널고정구조를개시한다. 개시된본 고안은, 도어(1)에형성된장공(13)을밀폐시키도록불투명재질의윈도우패널(20)을고정시키는구조로서, 상기윈도우패널(20)은도어의아우터패널(12) 외측면에용접되고, 상기용접부에시밍웰트(21)가설치되며, 도어의인너패널(11)과윈도우패널(20) 사이에는웨더스트립(22)이끼워진것을특징으로한다.
189 윈드 실드 글래스 장착 구조 KR2019960049020 1996-12-13 KR2019980036031U 1998-09-15 최규선
본고안은차내의누수방지및 주행중의풍절음이발생하는것을방지하도록한 윈드실드글래스장착구조에관한것으로서, 루프패널(21)상에접착되며레일형상인윈드실드몰드(25)와, 상기윈드실드몰드(25)의수용홈(35)에삽입되어장착된윈드실드글래스(37)와, 상기윈드실드글래스(37)와상기루프패널(21)의플랜지(22)사이에장착된댐(39)과, 상기댐(39)과상기윈드실드몰드(25)의하부헤드부(29)사이에장착된실링부재(43)로구성되는것을특징으로한다. 이것에의해, 주행중에풍절음발생및 누수가방지되고, 차량의외관미가개선되어상품성이향상된다.
190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홀더와 캐리어 플레이트 결합구조 KR2019960039356 1996-11-11 KR2019980026485U 1998-08-05 조경호
본고안은자동차용도어글래스홀더와캐리어플레이트결합구조에관한것으로서, 도어글래스승강장치의홀더와캐리어플레이트결합작업능률을향상시킬수 있는자동차용도어글래스홀더와캐리어플레이트결합구조를제공한다. 본고안은캐리어플레이트(52)와홀더(51)를볼트(57)로결합시키는자동차용도어글래스홀더(51)와캐리어플레이트(52) 결합구조에서캐리어플레이트(52)와홀더(51) 결합시 홀더(51)의볼트공(55)과캐리어플레이트(52)의관통공(56)이일치되도록홀더(51)를고정시키게캐리어플레이트(52)와홀더(51) 사이에구성된한정수단을포함한다.
191 차량 도어글라스와 홀더의 장착구조 KR2019960038731 1996-11-06 KR2019980025891U 1998-08-05 은승기
본고안의목적은도어글라스를홀더에협지고정시이탈을방지하고정확한위치에별도지그를사용하지않고장작할수 있는수단을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목적을달성하기위하여본 고안은도어글라스(1)의하단을수용하여협지고정하는홀더(2)에의한장착구조에있어서, 상기도어글라스(1)에접촉하는홀더(2)의접촉면에돌출하는돌기부(4)와; 상기돌기부(4)를수용토록도어글라스(1)에형성되는노치형요홈(5)과; 를포함하여구성되는것을특징으로한다.
192 차량용 윈드실드글라스몰딩의 거터구조 KR2019960036845 1996-10-31 KR2019980023457U 1998-07-25 백중현
본고안은차량의윈드실드글라스측윈드실드글라스몰딩의거터구조에관한것으로, 일반적으로주로우천시차량의주행에따른바람의영향으로빗물이차량의윈드실드글라스(1)를통해차량의도어(5)측도어글라스(6)로흘러들게됨으로인해차량의운전자가차량의측방시야를제대로확보할수 없게되는문제점을해소하기위하여, 차량용윈드실드글라스(1)를고정하는프론트필라(3)측윈드실드글라스몰딩(4)의상측소정부위에상기윈드실드글라스(4)의센터측방향으로개구되는소정깊이의거터(7)가연속적으로형성되되, 상기거터(7)는상기윈드실드글라스(1)를고정하는루프(2)측윈드실드글라스몰딩(4)으로부터깊게시작하여상기프론트필라(3)의하단부측윈드실드글라스(1)에서평평하게끝나도록구비됨으로써우천시차량용윈드실드글라스(1)를타고흘러내리는빗물이차량의도어(5)측도어글라스(6)로유입되지않고차량의전측지면으로자연스럽게흘러내리게할 수있게되는효과가있다.
193 냉간 성형 적층물 KR20187003921 2016-07-07 KR20180030097A 2018-03-21 FISHER WILLIAM KEITH; FRISKE MARK STEPHEN; MOYER STEVEN LUTHER; RICKERL PAUL GEORGE
본개시의원리및 구체예는일반적으로, 복합적으로만곡된기판및 자동차창 글레이징과같은, 평평한기판으로만들어진복합적으로만곡된적층물, 및만곡된기판및 평평한기판으로부터복합적으로-만곡된유리제품을냉간성형하는방법에관한것이다. 하나이상의구체예에서, 적층물은제1표면및 상기제1표면에대립하는제2표면을갖는제1 복합적으로-만곡된유리기판, 제3표면및 상기제3표면에대립하는제4표면과이들사이에두께를갖는제2 복합적으로-만곡된유리기판; 및상기제2표면및 제3표면에부착된고분자중간층을포함하고, 여기서, 상기제3표면및 상기제4표면은, 상기제4표면이상기제3표면의압축응력값을초과하는압축응력값을갖도록다른압축응력값을각각갖는다.
194 추가의 중합체 테이프를 구비한 클립 체결을 위한 프로파일링된 스트립을 포함하는 적층 글레이징 및 프로파일링된 스트립 KR20177036481 2016-05-20 KR20180011174A 2018-01-31
본발명은적층글레이징요소(2)를포함하는글레이징(1), 특히차량글레이징에관한것이고, 상기글레이징(1)은커버부품(7)을클립체결하기위한홈(60)을포함하는프로파일링된스트립(6)을포함하고, 글레이징은또한상기홈(60)과내부기판(5)의에지(51) 사이또는심지어또한내부표면(52)의주연에지와내부플랜지(65) 사이에위치된중합체테이프(64)를추가로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195 두 부분으로 된 자동차 스포일러 KR1020177003802 2015-07-29 KR1020170038833A 2017-04-07 레테리에,프랑크
본발명은자동차의후방스포일러(1)에관한것이다. 본스포일러(1)는: - 제1 고정수단들(12)을이용하여고정위치에서자동차후방에고정되는제1부분(10)과, - 제2 고정수단들(22)로고정위치에서제1부분(10)에탈착가능하게고정되는제2부분(20)을포함하는데, 제2부분(20)이이 고정위치에서제1부분(10)의상부면의일부가드러나도록남겨두는것을특징으로한다.
196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이동장치 KR1020150049781 2015-04-08 KR101724827B1 2017-04-07 권혁종
본발명은차량용윈도우글라스이동장치에관한것으로, 차량의도어를이루는도어패널내부에장착되는모듈패널과, 폭방향일측을향해만곡된곡률을가지도록형성되고, 모듈패널의높이방향을따라장착된커브드레일과, 커브드레일의곡률을따라이동되도록커브드레일에장착된지지플레이트및, 윈도우글라스가고정되며지지플레이트의이동에따라수평을유지한상태로상하이동하는글라스홀더를포함하며, 레일에곡률이형성된커브드레일이적용됨으로써모듈패널하단으로커브드레일이돌출되지않는효과가있는차량용윈도우글라스이동장치를제공한다.
197 고정 구조 및 그를 이용한 차양 KR1020140134261 2014-10-06 KR1020160040841A 2016-04-15 공징-숑
고정구조및 상기고정구조가사용된차양은시트및 결속부재를포함한다. 상기시트는몸체, 상기몸체에연결되는조임부및 상기몸체에연결되고상기조임부로부터이격하는방향으로연장되는연장부를포함한다. 상기몸체는상기연장부와대면하는제 1 연결평면을가진다. 상기연장부는상기몸체와대면하는제 2 연결평면을가진다. 상기결속부재는상기제 1 연결평면과상기제 2 연결평면에결속되고, 상기제 1 연결평면에대응하는제 1 결속면및 상기제 2 연결평면에대응하는제 2 결속면을포함한다. 본발명에따른고정구조및 이를사용한차양은차량창문프레임에상기차양을고정시킬수 있고, 두개의결속면들을통해상기차량창문프레임에상기차양을더욱견고하게고정시킬수 있다.
198 차량용 도어글라스 홀더 조립장치 KR1020090135825 2009-12-31 KR100954757B1 2010-04-28 전치원
PURPOSE: An automotive door glass holder assembly device is provided to ensure high productivity by assembling a number of holders with less manpower by steadily supporting the door glass for left or right side and then connecting a holder to the lower part of the door glass. CONSTITUTION: An automotive door glass holder assembly device comprises a case(10), a door glass supporting device(20), a holder assembly device(70), a sealant applicator(100) and a control device(200). The case has a front panel(11) and a lighting(1), wherei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panel has a slope and the lighting is installed on the top. The door glass supporting device is installed at the front panel of the case and steadily supports a door glass(3). The holder assembly device connects a holder to the supported door glass. The sealant applicator uniformly applies sealant to the inside of the holder of the holder assembly device.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door glass supporting device, the holder assembly device and the sealant applicator.
199 창문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창판 KR1020067000614 2004-06-14 KR1020060111443A 2006-10-27 아마노카츠유키; 스즈키아키히로; 타무라타츠야; 콘도히사오
An adhesive agent is uniformly applied to a back surface of a window plate (12), the application made to an area (S1) where a shielding member (15) is planned to be adhered and to an area (S2) where a positioning fixture (18) and a holding portion (20) are planned to be adhered, the application also made continuously such that adhesive agent layers (31, 32) of both planned adhesion areas (S1, S2) being continuous with an adhesive agent continuous area (S3) in between. After that, the window plate (12) and the positioning fixture (18) are set in an injection mold and a polymer material is injected and placed in the mold. This results that the shielding member (15) and the holding portion (20) are formed into a shape where they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portion (42) for material flow, which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adhesive agent continuous area (S3). The forming results that the shielding member (15) and the holding portion (20) are adhered and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window plate (12) with the adhesive agent layers (31, 32) in between. After the forming process above, the connection portion (42) for material flow is removed.
200 차량의 윈도우글라스 조립구조 KR1020050030154 2005-04-12 KR1020060108056A 2006-10-17 강희원
본 발명은 차량의 윈도우글라스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윈도우글라스와 캐리어플레이트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윈도우글라스의 파손을 방지하는 동시에 조립 및 분해를 손쉽게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윈도우글라스(400)와 조립되며, 상하에 각각 레귤레이터와 와이어를 통하여 연결되어 가이드 상에서 상하로 안내되면서 윈도우글라스(400)를 승강 시키는 캐리어플레이트(100)와; 상기 캐리어플레이트(100)의 윈도우글라스(400) 조립면에 테이퍼지게 돌출 되어 양측에 날개(210)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중앙에 원추형 코일스프링(220)이 안착된 고정부(200)와; 상기 캐리어플레이트(100) 조립면의 배면에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그 내면에 나사산(310)이 음각되고, 상기 나사산(310)에 볼트(320)가 가체결된 조임부(300)로 구성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은 물론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캐리어플레이트, 고정부, 날개, 스프링, 조임부, 윈도우글라스, 레귤레이터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