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181 브래킷 일체형 너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160170802 2016-12-14 KR101865733B1 2018-06-08 이희범; 이동진; 정준철; 윤정록; 이문용; 류신호; 이상래
브래킷일체형너트와그 제조방법이개시된다. 본발명의일 실시예에따른브래킷일체형너트의제조방법은펀치와다이사이로공급되는판재를이용하여브래킷이일체로형성된너트를성형하는브래킷일체형너트의제조방법에있어서, 상기펀치와다이사이에공급된판재에기준홀과가공단면을형성하여상기가공단면을다단성형으로비딩부를성형한후, 상기비딩부의중심을관통성형하는프리드로잉단계(S1); 상기프리드로잉단계에이어, 상기비딩부상의관통홀을점차넓히면서상기가공단면으로부터비딩부의선단측으로직경이좁아지도록하여관재의형상으로관재부를성형한후, 다시상기관재부의선단으로부터상기가공단면측으로두께가두꺼워지도록상기관재부의외주면을다단으로축관성형하는포징단계(S2); 상기포징단계에이어, 축관성형된관재부의내경및 외경의치수를정밀하게교정한후, 상기관재부의선단에돌출된형상을성형함과동시에표면의잔여버어를제거하도록압착성형하는프리시전포징단계(S3); 상기프리시전포징단계에이어, 최종제품의형상으로가공단면을절단한후, 절단된가공단면의양 단부에절곡단과상기관재부의내주면에나사탭을형성하는후가공단계(S4)를포함한다.
182 브래킷 일체형 너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160170800 2016-12-14 KR101865732B1 2018-06-08 이희범; 이동진; 정준철; 윤정록; 이문용; 이상희; 이상래
브래킷일체형너트와그 제조방법이개시된다. 본발명의일 실시예에따른브래킷일체형너트의제조방법은펀치와다이사이로공급되는판재를이용하여브래킷이일체로형성된너트를성형하는브래킷일체형너트의제조방법에있어서, 상기펀치와다이사이에공급된판재에기준홀과가공단면을형성하여상기가공단면을다단성형으로비딩부를성형한후, 상기비딩부의중심을관통성형하는프리드로잉단계(S1); 상기프리드로잉단계에이어, 상기비딩부상의관통홀을점차넓히면서상기가공단면으로부터비딩부의선단측으로직경이좁아지도록하여관재의형상으로관재부를성형한후, 다시상기관재부의선단으로부터상기가공단면측으로두께가두꺼워지도록상기관재부의외주면을다단으로축관성형하는포징단계(S2); 상기포징단계에이어, 축관성형된관재부의내경및 외경의치수를정밀하게교정한후, 상기관재부의선단면에돌출된돌출단을성형함과동시에표면의잔여버어를제거하도록압착성형하는프리시전포징단계(S3); 상기프리시전포징단계에이어, 최종제품의형상으로가공단면을절단한후, 절단된가공단면의양 단부에상기돌출단에지지되는절곡단을형성하고, 상기관재부의내주면에나사탭을형성하는후가공단계(S4)를포함한다.
183 자동차용 잭의 스크류 너트 제조방법 KR1020160122256 2016-09-23 KR101839577B1 2018-04-26 신태수
본발명은자동차의타이어교환시또는차체하부점검및 수리시에차체의일부를지면으로부터들어올리고내리는데사용되는잭의승강이이루어지도록하는잭구동용스크류에나사결합되어좌우이동되게하는스크류너트의경량화, 재료절감, 생산성을높일수 있도록한 자동차용잭의스크류너트제조방법에관한것이다.즉, 지지대, 받침대, 마름모꼴로연결된복수개의링크, 잭구동용스크류와, 상기잭구동용스크류에나사결합되는자동차용잭의스크류너트에있어서, 지지관체로된 소재의길이방향일측에헤드부를형성하기위한헤드부경계지점은 1단절곡부가형성되게확관하고, 헤드부의중간부는호형면으로형성되게확관하는제1공정과; 상기제1공정을거친소재의헤드부경계지점은 2단절곡부가형성되게확관하고, 헤드부는원형단면으로확관하는제2공정과; 상기제2공정을거친소재의헤드부경계지점은테이퍼면으로확관하고, 헤드부는사각단면으로 1차확관하며, 지지관체의길이방향타측의선단부를형성하는부분은지지관체에비해작은외경을갖도록축관하는제3공정과; 상기제3공정을거친소재의헤드부는사각단면으로 2차확관하는제4공정;으로만들어진스크류너트몸체를이용하여제조하는자동차용잭의스크류너트제조방법을특징으로한다.
184 R-θ 테이블장치 및 암나사의 가공장치 KR1020167012881 2014-07-30 KR101843668B1 2018-03-29 아오야마스스무; 아오야마츠요시
하나의테이블을일평면상에서전후좌우방향및 회전방향으로자유롭게이동시키는 R-θ테이블장치를제공한다. 베어링을구비하는관통구멍이마련된테이블과, 테이블을수평으로이동가능하게유지하는가이드부재와, 베어링에경사지게삽입통과되는작용축을구비하고, 작용축을회전, 정지가능하게구동하는구동장치와, 구동장치를승강시키는승강대와, 승강대를승강시키고, 작용축과베어링이맞물리는작용점의위치를변경하는승강장치와, 승강대를안내하는포스트및 가이드부재를마련하고, 승강장치가장착되는베이스를구비하고, 승강대를승강시켜서구동장치의주축의중심선과작용점의수평거리를변화시키고, 테이블을가이드부재를따라서자전하는일 없이임의의위치로이동시킨다.
185 프레스 SUS 너트전구체 및 프레스 SUS 너트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프레스 금형장치 KR1020160039009 2016-03-31 KR1020170112236A 2017-10-12 김동진
프레스 SUS 너트전구체및 프레스 SUS 너트와이를제조하기위한프레스금형장치가개시된다. 본발명의기존주물또는단조공정을이용하여제조되어온 너트를프레스공정중 드로잉공정을적용하여제조가능하도록함으로써제조비용을절감하고단위시간당제조수량을증대시켜생산성을향상시킬수 있는프레스 SUS 너트전구체및 프레스 SUS 너트와이를제조하기위한프레스금형장치를제공한다.
186 배관의 축관 및 분기티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축관 및 분기티 성형방법 KR1020170015006 2017-02-02 KR101772966B1 2017-08-30 신상현
배관의축관및 분기티성형장치가개시된다. 상기배관의축관및 분기티성형장치는블록의서로대향하는제1 면및 제2 면에관통된중공부및 상기중공부에수직하게배치되도록상기중공부에소통된분기티성형공간을포함하는성형부; 상기제1 면및 제2 면에대향되게배치되고, 상기중공부의내측및 외측으로삽입및 인출가능하게구비되고, 상기중공부를밀폐하고상기중공부의길이방향을따라상기중공부로삽입된성형파이프의양단을가압하기위한제1 펀치부및 제2 펀치부; 및상기제1 펀치부및 제2 펀치부중 적어도하나에관통되고, 상기중공부에수용된성형파이프의일부분이상기분기티성형공간방향으로팽창가능한압력으로상기중공부내에유체를공급하기위한유체공급부를포함하고, 상기제1 펀치부및 제2 펀치부의중공부로삽입되는부분은뿔 형상으로좁아지는형상을갖는것을특징으로한다.
187 열전달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090107387 2009-11-09 KR101635803B1 2016-07-04 안드레아스보이틀러; 장엘하잘; 로날드루츠
본발명은관 축을가지며관 외면및 관내면을가진관벽을포함하는열전달관으로서, 상기관벽으로부터관 내면에는내부리브가축에평행하거나나선형으로배열되어있고각각의인접한내부리브사이에는홈이형성되되, 상기관축에대해측정된내부리브의나선각은 45°이하이고, 상기관벽으로부터이격된내부리브의영역은규칙적인간격으로한쪽방향을향해비대칭적이게실질적으로관 둘레방향으로변형되되변형된상기내부리브의재료는홈 위에돌출부를형성하고, 상기돌출부는각각한정된변형구역에서내부리브를따라연장되고, 상기변형구역의내부에서변형압착과정이연속적으로변하되상기변형은변형구역의가장자리보다중앙에서더 강하게압착되고, 상기홈의바닥부, 내부리브의측부및 형성된돌출부사이에기포의형성에유리한중공이형성되어있는열전달관에관한것이다. 본발명의또 다른양상은관 외면에나사선형태로배열된일체의외부리브를가진본 발명에따른열전달관의제조방법을포함한다.
188 체결보스 KR2020060000888 2006-01-11 KR200412407Y1 2006-03-27 박상봉; 박순억; 이성영; 황상순; 정상훈
본 고안은 체결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체결보스를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칼라 드로잉(collar drawing) 공정을 통하여 칼라부를 형성시킨 후, 디프 드로잉(deep drawing), 태핑(tapping), 그리고 세척(cleansing), 도금(plating) 공정을 거친 후 아이언 코이닝(iron coining) 공정을 단계적으로 거쳐 체결보스 몸통부를 모재 플레이트에 고정형성토록 하여 체결보스 제작 시 염가 제작이 가능하여 가격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경량화 및 내인장 강도, 내압축 강도, 표면조도는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체결보스의 나사부 성형을 칼라 드로잉(collar drawing) 또는 컬링 공법(curling process)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재료 두께 유지가 가능한 체결보스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금속 판재를 사용하여 체결보스(1)용 나사부(8) 성형을 위해 1단계 칼라 드로잉(collar drawing) 공법에 의해 칼라부(2)를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칼라부(2)가 성형된 금속 판재에 디프 드로잉(deep drawing) 공법에 의해 몸통부(3) 및 플랜지부(4)를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칼라부(2)의 내연부에 나사부(8) 성형을 위해 태핑하는 공정 또는 금속 판재를 사용하여 디프 드로잉(deep drawing) 공법에 의해 몸통부(3) 및 플랜지부(4)를 성형하는 공정과, 컬링(curling) 공법에 의해 칼라부(2)를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칼라부(2)의 내연부에 나사부(8) 성형을 위해 태핑하는 공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공정과, 상기 성형이 완료된 체결보스(1)를 세척(cleansing), 도금(plating)하는 공정과, 상기 체결보스(1)를 모재 플레 이트(5)와 아이언 코이닝(iron coining) 공정으로 결합고정하는 체결보스의 제조방법 및 그러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체결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체결보스(1) 제작 시 염가 제작이 가능하여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제품의 경량화 및 내인장 강도, 내압축 강도, 표면조도의 극대화, 체결보스(1)의 나사부(8) 성형 시 칼라 드로잉 또는 컬링 공법을 선택 적용하여 보다 안정적인 재료 두께 유지가 가능한 나사부 성형이 가능한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체결보스, 칼라부, 플랜지부, 칼라 드로잉, 디프 드로잉, 태핑, 세척, 아이언 코이닝, 컬링 공법
189 볼스크류용 너트 제조방법 KR1020050000350 2005-01-04 KR1020050110572A 2005-11-23 김현구; 최종훈
본 발명은 소재를 절단하고 선삭(旋削)하여 형상을 가공하는 두단계를 원기둥 형상의 금형에 주물을 주입하여 한단계로 처리하는 볼스크류용 너트 제조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볼스크류용 너트 제조공정은, 원기둥 형상의 금형에 주물을 주입하여 너트(100)를 제작하는 제1단계(S100)와; 상기 제1단계(S100)에서 제작되는 너트(10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가공하는 제2단계(S200)와; 상기 제2단계(S200)를 거친 너트(100)를 열처리하는 제3단계(S300)와; 상기 제3단계(S300)를 거친 너트(100)의 외경과 내경을 연마하는 제4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단계(S100)에서의 너트(100)에는 튜브(140)가 체결되는 튜브체결부(120)와, 튜브(140)가 결합되는 튜브조립공(150)과, 튜브홀더(160)가 체결되는 홀더고정홀(17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너트의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190 자동차용 유압연결구 성형방법 KR1020040035217 2004-05-18 KR1020050110266A 2005-11-23 신상호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유압연결구 성형방법에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강선(SWRH18A)을 사용하여 제조하되, 냉간소성가공하여 기초모양을 형성하고, 전조탭을 이용하여 암나사가공을 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강선(SWRH18A)을 포머기를 통하여 외주 육각면과 내부 상하부에 구멍을 형성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을 통하여 형성된 제품의 내부 중앙부에 상하 구멍이 관통되도록 3.2mm의 구멍을 형성하는 제2공정, 그리고 상기 제품의 상하 구멍 내경에 전조텝을 이용하여 암나사구멍을 형성하는 제3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재로 사용하는 강선(SWRH18A)이 종래 사용되던 소재인 쾌삭강(SUM24L)보다 소재 가격이 매우 저렴한 데다가 포머기를 이용한 냉간소성및 전조가공방법으로 제조하여 공정을 크게 단축시킴으로서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더불어 밀도가 매우 높아짐에 따라 물성이 뛰어남은 물론 제조 가공과정에서 칩의 발생이 전혀 없어 후처리가 간편하며, 냉간소성가공임에 따라 표면조도가 뛰어나 품질 및 가격면에서 매우 우수한 유압연결구를 제공한다.
191 태핑 플레이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태핑 플레이트 제조방법 KR1020160106859 2016-08-23 KR101757266B1 2017-07-12 최희경
태핑플레이트제조장치가개시된다. 태핑플레이트제조장치는상부다이및 하부다이사이에위치한금속플레이트에기준이되는구멍을제작하는피어싱과일정부분을잘라내는노칭을수행하는 1차커팅가공부; 상기하부다이에설치된제1 펀치가상기상부다이에설치된역방향드로잉다이를향해상승하여상기제1 펀치및 역방향드로잉다이사이에위치한상기금속플레이트에상부다이방향으로볼록한역방향반구형성형부를형성하는역방향드로잉가공부; 상기상부다이에서상기역방향드로잉다이의위치다음에위치한제2 펀치가상기역방향반구형성형부를가압하면서상기하부다이에서상기제1 펀치의위치다음에위치한제1 정방향드로잉다이를향해하강하여상기하부다이방향으로볼록한정방향반구형성형부를형성하는정방향드로잉가공부; 가공된정방향반구형성형부에구멍을형성하는피어싱가공부; 상기구멍이형성된정방향반구형성형부를최종탭너트의형성을위한치수로가공해가는리스트라이크가공부; 구멍이형성된정방향반구형성형부를최종탭너트형상으로가공해가는탭너트형상가공부; 상기탭너트형상가공부를통해형성된탭너트에탭을내는태핑가공부; 상기탭너트의주변을커팅하여탭너트플레이트를완성하는 2차커팅가공부를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192 볼 스크류 너트 KR1020177009788 2015-10-05 KR1020170069219A 2017-06-20 파버다니엘; 뷥볼트-고르바텐코벤야민; 도어마티아스; 캄머러프릿츠
본발명은, 나사산프로파일(5)을갖고선택적으로플라스틱으로둘러싸이도록인서트성형된관형의판금몸체(2)를포함하는볼 스크류너트(1)에관한것이며, 이경우판금몸체는나사산프로파일(5)을구성하는판금부(4) 및이 판금부내부에삽입되어있고다른판금부로서형성된볼 복귀부재(9)로구성되어있다.
193 R-θ 테이블장치 및 암나사의 가공장치 및 가변 크랭크장치 KR1020167012881 2014-07-30 KR1020160071469A 2016-06-21 아오야마스스무; 아오야마츠요시
하나의테이블을일평면상에서전후좌우방향및 회전방향으로자유롭게이동시키는 R-θ테이블장치를제공한다. 베어링을구비하는관통구멍이마련된테이블과, 테이블을수평으로이동가능하게유지하는가이드부재와, 베어링에경사지게삽입통과되는작용축을구비하고, 작용축을회전, 정지가능하게구동하는구동장치와, 구동장치를승강시키는승강대와, 승강대를승강시키고, 작용축과베어링이맞물리는작용점의위치를변경하는승강장치와, 승강대를안내하는포스트및 가이드부재를마련하고, 승강장치가장착되는베이스를구비하고, 승강대를승강시켜서구동장치의주축의중심선과작용점의수평거리를변화시키고, 테이블을가이드부재를따라서자전하는일 없이임의의위치로이동시킨다.
194 Thread Structure for Unfastening Prevention and Its Forming Tool KR20150048798 2015-04-07 KR101556265B1 2015-09-30 SEO HYEON WOO; CHANG WON BEOM; LEE JUNG JIN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용 나사산 구조는, 일정한 피치를 갖는 나사산이 구비되며 각 나사산의 양측면에는 나사산의 진입방향 빗면을 이루는 무부하측 플랭크면과 나사산의 후퇴방향 빗면을 이루는 부하측 플랭크면이 형성되는 나사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의 무부하측 플랭크면은, 대응되는 상대 체결물의 나사산 정상에 형성된 원호부에 접하는 제1접선부 및 상기 제1접선부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상기 원호부에 접하는 제2접선부를 포함한다.
195 암나사의 가공법 및 그 장치 KR1020157002328 2013-07-30 KR1020150032882A 2015-03-30 아오야마쓰요시
암나사 가공용 구멍을 가지는 금속제 소재의 구멍에 암나사를 가공할 때, 금속제의 소재를 파지 또는 고정한 상태에서 수나사 형상 공구가 자전하지 않고 일정 수평면 상의 공전만의 운동을 가지고 구멍의 내주에 수나사 형상 공구의 가공부를 순차 가압하면서 가공부의 형상을 전사하여 나사 홈을 성형한다. 암나사 가공용 구멍을 가지는 금속제의 소재를 파지 또는 고정하는 가공기 본체와, 가공기 본체에 대하여, 필요한 가압력을 발휘하여 원호 요동을 제어 운동 가능한 X축-Y축 테이블과, X축-Y축 테이블상에 고정되는 수나사 형상 공구를 가지고, X축-Y축 테이블상에 고정된 수나사 형상 공구가 자전하지 않고 일정 수평면 상의 공전만의 운동을 가지고 구멍의 내주에 수나사 형상 공구의 가공부를 순차 가압하면서 가공부의 형상을 전사하여 나사 홈을 성형한다.
196 너트 KR1020130010252 2013-01-30 KR1020130089194A 2013-08-09 닥터페터운셀트; 닥터.구엔터메스머
PURPOSE: A nut is provided to optimize a nut of a general type in order to have ideal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lightest weight so far as possible. CONSTITUTION: A nut includes a nut body (12) with an internal nut (22). The nut body includes a polygonal section (38). The polygonal section includes a polygonal outer contour (40). The polygonal outer contour includes an edge area (42) and a key plane (44) which is arranged on the edge area and extended from a key face plane to be suitable for a standard. The nut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recess units extended inwardly to the nut body in a direction of a bore (20) from the key planes respectively.
197 나사전조탭 KR1020110049189 2011-05-24 KR1020120131022A 2012-12-04 김영좌
PURPOSE: A thread rolling tap is provided to reduce frictional resistance against a material by having a ridge apex with a small curvature radius and to enable smooth inflow of lubricant by having a ridge clearance with a large curvature radius. CONSTITUTION: A thread rolling tap comprises a tapered chamfer portion formed with external threads and a parallel portion extended from the chamfer portion. The chamber portion includes a guide portion(221) on one side thereof which touches the surface of a through hole to guide the thread rolling tap into the through hole. The guide portion touches th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before the threads of the chamber portion so that the chamber portion does not separate from th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when the threads of the chamfer portion touches th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98 나사전조탭 KR1020110049187 2011-05-24 KR1020120131020A 2012-12-04 김영좌
PURPOSE: A thread rolling tap is provided to maintain uniform plastic resistance acting on each apex of a chamber portion by reducing the plastic working amount of apexes toward a parallel portion. CONSTITUTION: A thread rolling tap comprises a tapered chamfer portion(22) formed with external threads and a parallel portion(23) extended from the chamfer portion. The chamber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apexes which protrude outwar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threads and press the surface of a through hole of a material to form female threads on the material. In the chamber portion, an apex located closer to the parallel portion has a smaller plastic working amount.
199 듀얼 방열관의 제조 방법 KR1020100016867 2010-02-24 KR1020110097170A 2011-08-31 맹현호; 홍태의
본 발명은 이중 재질로 되는 방열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확관이 용이한 구리 재질의 내관과 성형이 용이한 알루미늄 재질의 외관으로 이루어져 열교환 효율을 높이게 되는 듀얼 방열관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듀얼 방열관은 구리재질의 내관과 알루미늄재질의 외관을 결합하기 때문에 표면의 가공과 양단의 확관작업이 용이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열전도율이 높은 방열관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듀얼 방열관의 제조방법은 내관의 인발 공정, 외관의 전조 공정 및 내관과 외관의 압착결합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여 듀얼 방열관을 제작하기 때문에 제작공정을 단축하여 생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200 무절삭 금속 인서트형 부시, 무절삭 금속 인서트형 부시의제조장치 및 방법 KR1020070068718 2007-07-09 KR1020090005565A 2009-01-14 조명호; 김정훈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non-cutting type metal insert bush are provided to improve productivity by cutting a metal workpiece, passing the cut metal workpiece through a multistage cold forging process to form the metal workpiece, and performing rolling and form rolling-tapping of the formed metal workpiece, thereby manufacturing the non-cutting type metal insert bush, and the non-cutting type metal insert bush manufactured by the sam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non-cutting type metal insert bush comprises: a cutting process(S100) of cutting a nonmetallic bar workpiece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form a cut workpiece; a cold forging process(S110) including a process(S111) of vertically pressing and forging the cut workpiece to fix a place of a through hole to be formed in the cut workpiece, a process(S112) of drilling and forging an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cut workpiece to form the through hole, and a process(S113) of forming a flange on an outer surface of the cut workpiece to process the cut workpiece into a processed workpiece; a rolling process(S120) of rolling a grooved portion on a central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cessed workpiece; and a form rolling-tapping process(S130) of form rolling a screw thread on the through hole in the processed workpiece.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