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专利库 / 病理 / 宿醉 /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阅读:1022发布:2020-08-11

专利汇可以提供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专利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的服务。并且PURPOSE: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relieving an alcoholic hangover is provided to have excellent alcohol decomposition ability and acetaldehyde decomposition ability. CONSTITUTION: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relieving an alcoholic hangover comprises a water caltrop extract, a fermented extract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green leaves, mulberry leaves, balsam pear, kuzu vine, and lotus root, in which the Artemisia capillaris Thunb, green leaves, mulberry leaves, balsam pear, kuzu vine, and lotus root are fermented with a mixed spawn of Streptomyces the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Bacillus subtilis in a weight ratio of 1:1:1:1; and a rice embryo complex fermented extract, at a weight ratio of 1:75-175:1-8. The water caltrop extract is extracted with water, alcohol with 1-4 carbons, ethylacetate, chloroform, hexane, dichloromethane, or their mixture. The rice embryo complex fermented extract is obtained by fermenting rice embryo, rice bran, and soybean-originated peptide by at least one microorganis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accharomyces microorganisms, and Issatchenkia microorganisms. The Saccharomyces microorganism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accharomyces cerevisiae,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Saccaromyces bayanus. The issatchenkia microorganism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satchenkia orientalis and issatchenkia occidentalis. [Reference numerals] (AA) Alcohol; (BB) Rice embryo complex fermented extract; (CC) Caltrop + plant fermentation; (DD) Caltrop + plant fermentation + rice embryo complex fermented extract; (EE) Plant fermentation + rice embryo complex fermented extract; (FF) Caltrop + rice embryo complex fermented extract; (GG) Yeo-myoung 808(existing commercial product); (HH) Caltrop 400; (II) Plant fermentation,下面是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专利的具体信息内容。

  • (a) 마름 추출물, (b) 인진쑥,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을 스트렙토마이세스 써모필러스( Streptomycesthermophilus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 Lactobacillusacidophilus ),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cerevisiae ), 바실러스 섭틸리스( Bacillussubtilis )를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종균에 의해 발효한 인진쑥,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의 식물발효추출물 및 (c)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마름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헥산, 디클로로메탄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인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은 미배아, 쌀겨 및 콩류 유래 펩타이드를 사카로마이세스( Saccharomyces )속 및 이사첸키아( Issatchenkia )속 미생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에 의해 발효한 것인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Saccharomyces )속 미생물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사첸키아( Issatchenkia )속 미생물은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 및 이사첸키아 옥시덴탈리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 (a) 마름 추출물, (b) 인진쑥,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의 식물발효추출물 및 (c)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을 포함하되, 상기 (a) 마름 추출물, (b) 인진쑥,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의 식물발효추출물 및 (c)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의 중량비가 1:75 ~ 175:1 ~ 8인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 (a) 마름 추출물, (b) 인진쑥,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을 스트렙토마이세스 써모필러스(Streptomycesthermophilus),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acidophilus),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cerevisiae), 바실러스 섭틸리스(Bacillussubtilis)를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종균에 의해 발효한 인진쑥,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의 식물발효추출물 및 (c)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건강기능식품.
  • (a) 마름 추출물, (b) 인진쑥,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의 식물발효추출물 및 (c)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을 포함하되, 상기 (a) 마름 추출물, (b) 인진쑥,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의 식물발효추출물 및 (c)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의 중량비가 1:75 ~ 175:1 ~ 8인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건강기능식품.
  • 说明书全文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relief of alcoholic hangover}

    본 발명은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코올은 현대인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다량의 알코올을 섭취하면서 알코올성 숙취로 인한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갈증, 무기력, 두통, 근육통 등의 증상이 야기되고 이는 업무 능률 저하로 인한 사회 경제적 손해를 초래하고 있다(Swift R, Davidson D, Alcohol hangover: mechanisms and mediators. Alcohol Health Res World, 22(1):54-60, 1998).

    알코올은 체내에 흡수될 경우 3가지 경로로 통해 대사되는데, 알코올 농도가 낮을 때는 위장관 또는 간에 존재하는 ADH(alcohol dehydrogenase)와 ALDH(acetaldehyde dehydrogenase)의 작용에 의해, 알코올 농도가 높을 때는 소포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좀 에탄올 산화체계(MEOS: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와 아세트산으로 대사되며, 이후 퍼옥시좀(peroxisome)에 존재하는 카탈라제(catalase)의 작용 등을 거쳐 이산화탄소와 물로 최종 분해된다(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6688호, 2012년 2월 27일, [0005] 단락).

    적당량의 알코올이 유입되면 상기 대사체계가 원활하게 작용하여 알코올 때문에 일어나는 제반 증상이 일어나지 않지만, 다량의 알코올 유입 시 대사체계의 균형이 파괴되어 생체 항상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알코올이 산화되어 만들어진 일차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숙취의 주요한 인자이며, 알코올 섭취 시 체내의 독성작용을 통해 알코올 그 자체보다 아세트알데하이드에 의한 숙취의 영향이 더 크다. 체내에서 생성된 아세트알데하이드는 뇌로 전해져 많은 유해화합물로 바뀌어 맥박 증가나 발한, 홍조,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6688호, 2012년 2월 27일, [0006] 단락).

    따라서 알코올성 숙취를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는 체내 알코올 농도의 감소와 함께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의 감소를 효과적으로 시킬 수 있는 알코올 분해능력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능력이 우수한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알코올 분해능력이 우수하나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능력이 우수하지 않은 조성물의 경우 체내에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축적되어 숙취해소에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고, 알코올 분해능력이 우수하지 않으나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능력이 우수한 조성물의 경우 체내 알코올이 모두 분해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체내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가 낮은 수치라도 오랜 시간 노출될 수 있어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6688호, 2012년 2월 27일, [0005]-[0006] 단락

    Swift R, Davidson D, Alcohol hangover: mechanisms and mediators. Alcohol Health Res World, 22(1):54-60, 1998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알코올 분해능력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능력이 우수하여 숙취 예방 또는 해소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찾고자 노력한 결과 (a) 마름 추출물, (b) 인진쑥,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의 식물발효추출물 및 (c)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알코올 분해능력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능력이 우수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알코올 분해능력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능력이 우수하여 숙취 예방 또는 해소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마름 추출물, (b) 인진쑥,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의 식물발효추출물 및 (c)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마름은 마름과( Hydrocaryaceae )에 속하는 Trapa japonica Flerov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이다. 마름은 1년생 초본으로 물속에서 자란다. 마름열매인 능실은 약 15%가 전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포도당, 단백질, 비타민 C, 비타민 B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약간 단맛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마름은 자연상태, 반건조, 건조 등의 가공된 마름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마름은 마름 전체 또는 일부, 예컨대 마름의 잎, 줄기, 뿌리, 열매, 종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마름의 잎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a) 마름 추출물은 마름 자체를 그대로 또는 세절 또는 분말 형태로 하여, 통상적인 추출 방법, 예를 들면 열수 추출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름 추출물은 상기 추출물을 건조시켜 얻어진 건조분말 또는 시판되는 (a) 마름 추출물 분말일 수도 있다. 추출물 제조 시에 마름은 건조한 것, 건조하지 않은 것 또는 이들을 서로 혼합한 상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a) 마름 추출물은, 예를 들어, 건조시킨 생약을 세절한 후, 약 3배 내지 1000배 중량의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실온 내지 60~130℃의 추출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10일 동안 열수추출, 냉침추출, 초고압 추출 또는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에 의하여 1회 내지 5회 반복하여 추출한 후, 추출물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헥산, 디클로로메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a) 마름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헥산, 디클로로메탄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b) 인진쑥,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의 식물발효추출물(이하 식물발효추출물)은 인진쑥,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을 스트렙토마이세스 써모필러스( Streptomycesthermophilu s),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 Lactobacillusacidophilus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cerevisiae ),바실러스 섭틸리스( Bacillussubtilis )를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종균에 의해 발효시켜서 얻어진 발효추출물이다.

    인진쑥은 국화과( Asteraceae )에 속하는 Artemisia capillaris 또는기타동속근연식물이다. 사철쑥 또는 더위지기라고도 불리며 생약명은 인진호(茵蔯蒿)이다. 인진쑥은 사절봉, 조선인진호, 사인호, 인진, 백호, 가인진, 석인진, 인진고, 댕강쑥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인진쑥은 고대 중국 후한시대에 화타(華陀)라는 명의에 의해 발견된 이후 한방에서 생약재로 이용하게 되었다. 다년생 초본으로 초장은 30∼100 ㎝ 정도이며, 우상(羽狀)으로 완전히 갈라지며, 8∼9월 사이에 황색꽃이 피고 10월경에 성숙한다. 어린 순과 잎은 예로부터 쑥떡, 쑥차로 이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 인진쑥은 자연상태, 반건조, 건조 등의 가공된 인진쑥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인진쑥은 동결건조된 분말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진쑥은 인진쑥 전체 또는 일부, 바람직하게는 인진쑥의 전초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녹엽은 차나무과( Theaceae )에 속하는 Thea sinensis L. 또는기타동속근연식물의잎이다. 녹엽은 통상 녹차잎이라고도 불린다. 녹엽은 국내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소재로서 주로 차의 형태로 섭취되어 왔다.

    녹차의 물 또는 주정 추출물은 현재 식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산화방지제의 용도, 독소제거효능, 혈관질환 예방 효능, 암 예방 효능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녹엽은 자연상태, 반건조, 건조 등의 가공된 녹엽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녹엽은 동결건조된 분말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뽕잎은 뽕나무과( Moraceae )에 속하는 Morus alba Linne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잎이다.

    본 발명에서 뽕잎은 자연상태, 반건조, 건조 등의 가공된 뽕잎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뽕잎은 동결건조된 분말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여주는 박과( Cucurbitaceae )에 속하는 Momordica charantia Linn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이다. 여주는 원산지가 아시아 열대지방이며 덩굴성 한해살이 풀이며, 통상적으로는 bitter melon, balsam pear로 불린다. 줄기는 가늘고 길이 3∼7m로 자라며 더 크게 자랄 수도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열매는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혹 같은 돌기가 있고 처음엔 녹색이나 익어감에 따라 연두색, 연녹색, 황적색으로 익으면 불규칙하게 갈라져서 선홍색 육질로 싸인 종자가 나온다. 여주는 우리나라의 전역에서 자연적으로 자라며, 또는 재배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여주는 자연상태, 반건조, 건조 등의 가공된 여주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여주는 동결건조된 분말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여주는 여주 전체 또는 일부, 예컨대 여주의 잎, 줄기, 뿌리, 열매, 종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여주의 열매가 이용될 수 있다.

    칡은 콩과( Fabaceae / Leguminosae )에 속하는 Pueraria lobata Ohwi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이다. 칡은 우리나라 각처의 산기슭 양지에 나는 낙엽 덩굴나무이다. 잎은 3장의 작은 잎으로 된 겹잎으로 이루어져 있고 작은 잎은 넓은 난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얕게 2-3갈래이며, 꽃은 총상화서이고 잎겨드랑이에 붙으며 자홍색이고, 열매는 협과, 선형, 갈색의 강모가 밀생으로 길이 4-9cm이다. 개화기는 8월이고 결실기 9-10월이다.

    본 발명에서 칡은 자연상태, 반건조, 건조 등의 가공된 칡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칡은 동결건조된 분말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칡은 칡 전체 또는 일부, 예컨대 칡의 잎, 줄기, 뿌리, 열매, 종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칡의 뿌리가 이용될 수 있다.

    연근은 연꽃과( Nelumboaceae )에 속하는 Nelumbo nucifera Gaertn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줄기이다.

    본 발명에서 연근은 자연상태, 반건조, 건조 등의 가공된 연근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연근은 동결건조된 분말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b) 식물발효추출물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써모필러스,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바실러스 섭틸리스를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종균을 준비하는 종균준비단계; 상기 혼합종균 1 중량부와 상기 혼합종균 1 중량부 기준 50 내지 200 중량부의 인진쑥, 50 내지 250 중량부의 녹엽을 혼합하여 용기에 투입하고 용기에 기포기를 이용하여 산소를 공급한 채 2-4개월 동안 상온에서 배양하여 1차 배양액을 제조하는 1차 배양 단계; 상기 혼합종균 1 중량부 기준 50 내지 200 중량부의 인진쑥, 50 내지 200 중량부의 녹엽, 50 내지 200 중량부의 뽕잎, 50 내지 250 중량부의 여주, 50 내지 100 중량부의 칡, 25 내지 75 중량부의 연근을 준비하여 1차 배양액에 혼합하여 동일한 환경에서 1 내지 2개월 동안 상온에서 배양하여 2차 배양액을 제조하는 2차 배양단계; 및 상기 2차 배양액을 상온에서 1 내지 2개월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온은 15 내지 25℃를 의미한다.

    상기 공정은 상기 2차 배양액을 여과하고 농축시키는 여과 및 농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는 여과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2차 배양액에 물 및 탄수화물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수화물 분해효소로는 프로모자임(Promozyme),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말토게나제(Maltogenase), 비스코자임(Viscozyme), 테르마밀(Termamyl), 덱스트로자임(Dextrozyme), 울트라플로(Ultraflo) 및 AM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테르마밀(Termamyl)과 비스코자임(Viscozyme)을 동일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며, 이때 발효 배양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수화물 분해효소를 0.0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c)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은 미배아, 쌀겨 및 콩류 유래 펩타이드를 사카로마이세스( Saccharomyces )속 및 이사첸키아( Issatchenkia )속 미생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에 의해 발효시켜서 얻어진 발효추출물이다.

    본 발명에서 (c)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은 미배아 1 내지 10 중량%, 쌀겨 1 내지 10 중량%, 콩류 유래 펩타이드 0.1 내지 5 중량%, 피틴산 0.1 내지 5 중량%, 이인산나트륨 0.5 내지 5 중량%, 이인산칼륨 0.05 내지 2 중량%, 글루코오스 0.5 내지 5 중량%, 소포제 0.001 내지 0.1 중량% 및 잔부의 물을 사카로마이세스( Saccharomyces )속 및 이사첸키아( Issatchenkia )속 미생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에 의해 발효시켜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쌀겨는 탈지쌀겨일 수 있고, 상기 콩류 유래 펩타이드는 대두 펩타이드일 수 있다.

    사카로마이세스속 미생물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cerevisiae ), 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 SaccharomycesBoulardii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 Saccharomycesbayanus ) 등이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일 수 있다.

    이사첸키아( Issatchenkia )속 미생물은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 ( Issatchenkiaorientalis ),이사첸키아 옥시덴탈리스( Issatchenkiaoccidentalis )등이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 MFST1( IssatchenkiaorientalisMFST1 )일 수 있다.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Saccharomyces )속 미생물은 크림 황갈색, 이사첸키아( Issatchenkia )속 미생물은 크림 백색을 띠고 있다. 두 가지 미생물 모두 유포자효모의 일종으로 출아에 의한 번식을 하며 열에 강하여 발효과정 중 특정온도 이상에서 발효 시에 우점하여 다른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특성이 있어서 균주로 사용하는 경우 주위 환경변화에 영향을 적게 받고 잡균에 의한 품질변화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발효는 사카로마이세스( Saccharomyces )속을 사용할 경우,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24 내지 72 시간 동안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사첸키아( Issatchenkia )속을 사용할 경우,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40 내지 52 시간 동안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은 미배아 1 내지 10 중량%, 쌀겨 1 내지 10 중량%, 콩류 유래 펩타이드 0.1 내지 5 중량%, 피틴산 0.1 내지 5 중량%, 이인산나트륨 0.5 내지 5 중량%, 이인산칼륨 0.05 내지 2 중량%, 글루코오스 0.5 내지 5 중량%, 소포제 0.001 내지 0.1 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한 원료에 프로테아제를 첨가하고 교반시키는 원료 혼합 단계; 상기 원료 혼합물에 사카로마이세스( Saccharomyces )속 및 이사첸키아( Issatchenkia )속 미생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발효 단계; 및 상기 발효 배양물을 여과하고 농축시키는 여과 및 농축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여과는 여과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발효 배양물에 물 및 탄수화물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수화물 분해효소로는 프로모자임, 셀루클라스트, 말토게나제, 비스코자임, 테르마밀, 덱스트로자임, 울트라플로 및 AM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테르마밀과 비스코자임을 동일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며, 이때 발효 배양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수화물 분해효소를 0.0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테아제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의 (a) 마름 추출물, (b) 인진쑥,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의 식물발효추출물 및 (c)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의 중량비는 1:75 ~ 175:1 ~ 8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125:2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은 (a) 마름 추출물, (b) 인진쑥,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의 식물발효추출물 및 (c)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이외에도 숙취 예방 또는 해소에 효과가 알려져 있는 공지의 천연물 또는 이의 추출물, 또는 활성 기능 물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숙취 예방 또는 해소에 효과가 알려져 있는 공지의 천연물 또는 이의 추출물은 강황(울금), 헛개나무열매, 검은콩, 황금, 구기자, 효모, 냉이, 질경이, 신선초, 쑥, 미나리, 콩나물, 감잎, 갈근, 죽력, 오리나무, 감귤피, 황기, 자리, 가시오가피 또는 이들의 추출물 등일 수 있다.

    상기 숙취 예방 또는 해소에 효과가 알려져 있는 활성 기능 물질은 타우린, L-아스파라긴산, 글루타티온, 니코틴산아미드, 푸마루산, 프로폴리스, 메타오닌, 베타인 등일 수 있다.

    상기 숙취 예방 또는 해소에 효과가 알려져 있는 공지의 천연물 또는 이의 추출물 및 활성 기능 물질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1 내지 약 9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서 숙취는 알코올의 다량섭취로 인한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갈증, 무기력, 두통, 근육통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알코올성 숙취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숙취를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해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숙취를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a) 마름 추출물, (b) 인진쑥,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의 식물발효추출물 및 (c)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은 2002년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을 통하여 새롭게 정의된 인체에 대한 기능성 및 안전성이 충분하게 확립되어 식품의약품 안전청 식약청 고시 2004-12호에 규정된 건강기능 식품원료 또는 성분 인정에 관한 규정 목록집에 수재된 건강식품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a) 마름 추출물, (b) 인진쑥,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의 식물발효추출물 및 (c)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a) 마름 추출물, (b) 인진쑥,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의 식물발효추출물 및 (c)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식품의 경우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0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의 경우 100㎖를 기준으로 0.1 내지 100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a) 마름 추출물, (b) 인진쑥,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의 식물발효추출물 및 (c)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을 함유하는 것 이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올리고당,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구연산과 같은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 농축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1 내지 약 9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알코올 분해능력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능력이 우수하여 숙취 예방 또는 해소에 효과적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혈장시료 중 에탄올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x축은 유발물질(알코올) 투여 후 경과 시간(분)을 나타내고 y축은 에탄올 농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2에 따른 혈장시료 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x축은 유발물질(알코올) 투여 후 경과 시간(분)을 나타내고 y축은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나타낸다.

    이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제조예 1. 마름 추출물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입수한 마름 180g을 물 3L에 넣고 100℃의 추출온도에서 6시간 동안 열수 추출을 하였다. 추출물을 여과 및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백색의 분말가루를 얻었다.

    제조예 2. 인진쑥 ,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의 식물발효추출물(식물발효추출물)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입수한 인진쑥,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을 세척한 다음 물기를 빼고 60℃에서 2시간 정도 열풍건조기에서 열처리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수득하였다. 동결건조 분말형태의 인진쑥 100g 및 녹엽 100g을 혼합하고 증류수 8L를 첨가하여 교반시켜 원료를 혼합하였다.

    상기 원료 혼합물에 스트렙토마이세스 써모필러스(ATCC19282),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KCTC3142),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KCTC7904), 바실러스 섭틸리스(KCTC1022)를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종균 1g을 접종한 다음 3개월 동안 상온에서 통기 교반(120rpm) 배양하여 1차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1차 배양액에 상기 동결건조 분말형태의 인진쑥 50g, 녹엽 50g, 뽕잎 100g, 여주 100g, 칡 100g 및 연근 50g을 혼합하고 증류수 4L를 투입한 다음 2개월 동안 상온에서 통기교반 배양(120rpm)하여 2차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배양물을 압착하여 활성탄을 처리하고 규조토로 처리하여 여과하였다. 여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배양물에 5배 분량으로 가수하고 테르마밀 및 비스코자임(Novozymes, Denmark)을 1:1로 혼합하여 중량대비 0.001%를 첨가하였다. 여과한 배양액을 45℃의 수욕조 상에서 고형분 함량이 30%가 넘도록 농축하여 짙은 갈색의 액상의 인진쑥, 녹엽, 뽕잎, 여주, 칡 및 연근의 식물발효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3.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의 제조

    한국등록특허 제10-1118683호의 실시예 1에 따라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미배아 40 g, 탈지쌀겨 30 g, 대두 펩타이드 4 g, 피틴산 5 g, 인산수소이나트륨 10 g, 인산수소이칼륨 2.5 g, 글루코오스 15 g, 소포제(GS850, (주)금강실리콘테크) 0.25 g 및 물 500 g을 포함한 배지에 프로테아제(Protamex, Novozymes, Denmark) 0.05% (w/w)를 첨가하고 교반시켜 원료를 혼합하였다. 이때, 대두 펩타이드는 분쇄기 (HM-350, Hyun Dae Household Appliances Co., Korea)로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배지조성을 가진 배지에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또는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 MFST1 (660 nm에서 흡광도 2.5이상)을 1% (w/w) 접종한 다음 30℃ 또는 40℃에서 48시간 통기 교반 (120 rpm)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물을 압착하여 활성탄을 처리하고 규조토로 처리하여 여과하였다. 여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배양물에 5배의 분량으로 가수하고 테르마밀 및 비스코자임 (Novozymes, Denmark)을 1:1로 혼합하여 중량대비 0.001%를 첨가하였다. 여과한 배양액을 45℃의 수욕조 상에서 고형분 함량이 30%가 넘도록 농축하여 갈색의 액상의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을 얻었다.

    제조예 4. 마름 추출물, 식물발효추출물 및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을 포함하는 조성물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마름 추출물 400mg, 제조예 2에 의해 제조된 짙은 갈색의 액상의 식물발효추출물 50g, 및 제조예 3에 의해 제조된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0.8g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잔류 혈중 알코올 평균 농도의 확인

    1. 시험물질, 양성대조물질, 음성대조물질 및 유발물질

    (1) 마름 추출물+식물발효추출물+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제조예 4에 의해 제조된 마름 추출물, 식물발효추출물 및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증류수 50ml에 혼합하여 총 100ml가 되게 준비하였다.

    (2) 마름 추출물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백색의 분말가루 마름 추출물 400mg을 측량하여 증류수 100ml에 녹여 준비하였다.

    (3) 식물발효추출물

    제조예 2에 의해 제조된 식물발효추출물 50g을 측량하여 증류수 50ml에 혼합하여 총 100ml가 되게 준비하였다.

    (4)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제조예 3에 의해 제조된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1.6g을 측량하여 증류수 100ml에 녹여 준비하였다.

    (5) 마름 추출물+식물발효추출물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백색의 분말가루 마름 추출물 400mg, 제조예 2에 의해 제조된 식물발효추출물 50g을 측량하여 증류수 50ml에 혼합하여 총 100ml가 되게 준비하였다.

    (6) 마름 추출물+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백색의 분말가루 마름 추출물 400mg, 제조예 3에 의해 제조된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0.8g을 측량하여 증류수 100ml에 녹여 준비하였다.

    (7) 식물발효추출물+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제조예 2에 의해 제조된 식물발효추출물 50g, 제조예 3에 의해 제조된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0.8g을 측량하여 증류수 50ml에 혼합하여 총 100ml가 되게 준비하였다.

    (8) 양성대조물질 및 음성대조물질

    양성대조물질로는 시판 중인 여명 808((주) 그래미, 한국)을 이용(양성대조군)하였고, 음성대조물질로는 물을 이용(음성대조군)하였다.

    (9) 유발물질

    40% 알코올(JT Baker, USA)을 이용하였다.

    2. 시험기기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Spectra Max M2, Molecular Device, Sunnyvale, CA, USA), 10, 100, 200 및 1,000㎕ 용량 파이페트((Eppendorf, Germany), 원심분리기(Union 5KR, 한일, 한국), 볼텍스 믹서(VM-3000, TALBOYS, USA)를 이용하였다.

    3. 시험동물( 비임상 시험계 )

    (1) 실험동물

    한림실험동물에서 입수한 Sprague Dawley Rat를 이용하였다. 입수 시 주령 및 체중범위는 수컷 7주령 및 200 내지 220g이었다.

    (2) 순환기간

    상기 실험동물은 입수 후 7일간 순화 후 시험에 공여하였다.

    (3) 사육조건

    사육조건은 온도 23±3℃, 상대습도 55±15%, 환기횟수 10∼20회/시간, 조명시간 12시간 (오전 8시 점등∼오후 8시 소등)의 조건인 랫트 동물실에서 사육하였으며 동물은 적량의 깔개를 담은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 (W 235 x L 380 x H 175 mm)에서 검역 및 순화기간에는 3 마리/사육상자 이하로 사육하였다. 실험에 공급된 사료는 방사선 조사로 멸균된 실험동물용 고형사료를 한림실험동물로부터 공급받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4. 시험물질의 투여

    시험물질, 양성대조물질 및 음성대조물질은 유발물질(알코올) 투여 전 전처리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시험물질, 양성대조물질 및 음성대조물질을 투여하고 30분 후 유발물질을 투여하였다.

    시험물질, 양성대조물질, 음성대조물질 및 유발물질(알코올)의 투여경로는 임상경로인 경구로 진행하였다. 경구투여는 한 손으로 시험동물의 경배부를 잡아 고정하고 다른 한손으로 경구용 스테인레스 존데를 이용하여 위 내에 직접 투여하였다. 투여액량은 시험물질 및 음성대조물질은 1.7 mL/kg, 양성대조물질은 2.5 mL/kg으로 유발물질인 40% 알코올은 8.4 mL/kg 투여액량을 산출하여 투여하였다. 투여횟수는 절식 시험군의 경우 투여 전 8시간 이상을 절식하였으며 시험군 모두 오전 9시에 시작하여 11시 이전에 투여를 종료하였다.

    시험물질, 대조물질 투여는 하기 표 1과 같았다.

    [표 1]

    5. 생체시료 분석

    (1) 생체시료(혈장시료)의 채취

    채혈은 시험물질 투여개시일에 실시하였다. 채혈 시간은 시험물질, 양성대조물질, 음성대조물질을 투여하고 30분 후 40% 알코올 투여하고, 40% 알코올 투여 후 30, 150, 270, 390분에 채혈하였다. 채혈은 경정맥에서 약 800 ㎕씩 채혈하고, 4,000 rpm으로 약 10 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 (혈장)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혈장은 분석 전까지 - 70℃로 설정되어 있는 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

    (2) 알코올 농도의 측정 및 결과

    알코올에 대한 혈장시료의 농도분석은 키트(r-biopharm, Roche)를 이용하였고, 상기 키트의 제조사의 지시에 따른 전처리 방법에 따라 처리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Spectra Max M2, Molecular Device, 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반응 혼합물 3ml(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9 + NAD tablet)에 혈장시료 100㎕를 혼합하였다. 3분 동안 20℃에서 배양한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A1). 이 혼합액에 ADH(alcohol dehydrogenase)를 50㎕ 넣고 5분 동안 20℃에서 배양한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A2).

    알코올 농도 = 0.7256/6.3*A

    A (혈중내 변화된 측정값) = sample (A2-A1)- blank (A2-A1)

    상기 혈장시료 중 에탄올 농도를 측정한 결과의 평균값을 표 2와 도 1에 나타내었다.

    모든 채혈 시간대에서 마름 추출물+식물발효추출물+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군은 마름 추출물 군, 식물발효추출물 군,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군, 마름 추출물+식물발효추출물 군, 마름 추출물+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군, 식물발효추출물+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군은 물론 양성대조물질 군인 여명 808 보다 혈중 내의 에탄올의 농도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마름 추출물+식물발효추출물+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군은 150분대 이후 에탄올 농도 감소 폭이 현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최종 채혈 시간대인 390분대에 마름 추출물+식물발효추출물+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군은 다른 모든 군 보다 혈중 내의 알코올의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마름 추출물+식물발효추출물+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군의 조성물은 다른 모든 군의 조성물보다 알코올 분해능력이 현저하게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2]

    실시예 2. 잔류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평균 농도의 확인

    실시예 1. 잔류 혈중 알코올 평균 농도의 확인에서 5. 생체시료 분석의 (2) 알코올 농도의 측정 및 결과를 제외한 조건을 동일하게 처리하여 잔류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평균 농도를 측정하였다.

    아세트알데하이드에 대한 혈장시료의 농도분석은 키트(Megazyme, 엠알텍)를 이용하였고, 상기 키트의 제조사의 지시에 따른 전처리 방법에 따라 처리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Spectra Max M2, Molecular Device, 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증류수 2ml을 혈장시료 200㎕에 혼합하였다. 이에 반응 혼합물(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9)를 첨가하였다. 이에 NAD 200㎕를 첨가하고 3분 동안 20℃에서 배양한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A1). 이 혼합액에 ALDH(acetaldehyde dehydrogenase)를 50㎕ 넣고 5분 동안 20℃에서 배양한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A2).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 116.7325/630*A

    A (혈중내 변화된 측정값) = sample (A2-A1)- blank (A2-A1)

    상기 혈장시료 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측정한 결과의 평균값을 표 3과 도 2에 나타내었다.

    채혈 시간대인 150분대, 270분대, 390분대에서 마름 추출물+식물발효추출물+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군은 마름 추출물 군, 식물발효추출물 군, 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군, 마름 추출물+식물발효추출물 군, 마름 추출물+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군, 식물발효추출물+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군은 물론 양성대조물질 군인 여명 808 보다 혈중 내의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마름 추출물+식물발효추출물+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군은 150분대 이후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의 변동폭이 작으면서 낮게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마름 추출물+식물발효추출물+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군은 150분대 이후 알코올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알코올 대사로 인한 아세트알데하이드 생성이 다른 모든 군에 비해 현저히 많았을 것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모든 군에 비해 낮은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나타낸다는 것은 상기 마름 추출물+식물발효추출물+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군의 조성물이 다른 모든 군의 조성물보다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능력이 현저하게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3]

    상기 실시예 1 및 2의 결과는 마름 추출물+식물발효추출물+미배아 복합발효추출액 군의 조성물이 다른 군의 조성물보다 빠르게 알코올 분해능력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능력이 우수하여 단시간에 알코올성 숙취를 해소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高效检索全球专利

    专利汇是专利免费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国家发明专利查询检索分析平台,是提供专利分析,专利查询,专利检索等数据服务功能的知识产权数据服务商。

    我们的产品包含105个国家的1.26亿组数据,免费查、免费专利分析。

    申请试用

    分析报告

    专利汇分析报告产品可以对行业情报数据进行梳理分析,涉及维度包括行业专利基本状况分析、地域分析、技术分析、发明人分析、申请人分析、专利权人分析、失效分析、核心专利分析、法律分析、研发重点分析、企业专利处境分析、技术处境分析、专利寿命分析、企业定位分析、引证分析等超过60个分析角度,系统通过AI智能系统对图表进行解读,只需1分钟,一键生成行业专利分析报告。

    申请试用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