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国际专利分类库 / 固定结构 / 道路、铁路或桥梁的建筑 / 附属工程,例如,道路设备和月台、直升机降落台、标志、防雪栅等的修建 / 道路基层{即地基或路基,例如,路堤}或铁路道碴层{或排水道路铺面或道碴层排水}的沟槽、涵洞、管道排水 {或其他特别专用措施}({铁路道碴层排水入E01B 11/00; 道路路面排水入E01C11/224; 土壤排水入E02B11/00;}地下排水入E02D;污水管道入E03F)
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201 비탈면 조립식 수로관 KR1020080050855 2008-05-30 KR1020090124567A 2009-12-03 조항웅
PURPOSE: A prefabricated waterway duct for a slope is provided to accomplish a slope construction and a waterway duct construction efficiently by preventing the waterway duct collapse and the slope sink. CONSTITUTION: A prefabricated waterway duct for a slope(10) is formed in a C shape with open top by integrating a bottom(12), a left incline(13), and a right incline(14). A space(16) formed like a half-cylinder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A fastener(17) of a bar shape with a screw thread is installed in the space. One end of the fastener is fixed by being connected with a reinforcement rod inserted in the bottom. The other end of the fastener is coupled by nuts(21,22) with a grid(20) of a long plate form, in which a fastening hole(19) is formed.
202 A straight line coupling device of oveflow for bright or high-level road KR20090007951 2009-06-19 KR20090008923U 2009-09-07
본 고안은 고가 또는 교량에 시공 사용되어지는 배수관이 노화되어 누수되거나, 배수관에 이물질이 쌓여 유지보수가 필요로할 때 직관을 손쉽게 분리해 낸 상태에서 배수관을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하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교량 또는 고가도로의 상판 양쪽으로 시공되어서 상판의 교면에 발생한 빗물을 수집 배수시키는 집수구(10)에 연결되어 빗물을 배수하는 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을 형성하는 곡관 또는 티관(110)의 연결플랜지(111)에 대하여 면접촉이 가능하도록 대응하는 곡율을 이룸과 동시시에 볼트삽입구멍으로 끼워지는 고정수단(볼트,너트)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플랜지(12)를 일측으로 포함하고 있고, 직관(110)의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끼워지는 연결단관(10)으로 이루어진 길이조절관과; 상기의 길이조절관(10)이 직관(110)에 대하여 연결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유지시키는 고정관(20)으로 구성된 교량 또는 고가도로 배수구의 직관연결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배수관, 곡관, 티관, 직관, 연결부재, 길이조절관, 기밀용부시, 고정관
203 교량용 배수시설 KR1020080106148 2008-10-28 KR100912590B1 2009-08-18 이정옥; 김영조
A drain system for bridge is provided to induce the initial rain drops to the outside of the bridge so that the polluted rainwater is naturally purified and to disperse less polluted rainwater through the overflow pipe. A drain system for bridge includes a drain passage(110) which is installed to be inclined on the lower side of the bridge and connected to a water collection part. The drain passage extends to the beginning or end part of the bridge to be connected to soil or vegetation zone. The drain passage comprises a plurality of overflow pipes(120). The overflow pipe is composed of an extension part(121) protruded to the inside of the drain passage, a backflow inlet hole(123) behind the extension part, a barrier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extension part, a cover with a plurality of induction grooves(122) which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extension part, an opening/closing device(130) on the bottom which is opened elastically by a compression spring(132).
204 조립식 교량 배수구 KR2020070016418 2007-10-08 KR2020090003403U 2009-04-13 이영대; 장병훈; 김창수
본 고안은 강우시 흙이나 기타 이물질 등으로 인해 배수관이 막혀서 유입구 주변의 빗물 고임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착탈식 배수관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일체로 설치되던 배수관을 분리하여 슬리브로 연결하여 청소가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교량 및 지붕 등에 설치되는 배수관뿐만 상기와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배수관에 사용함으로써 빗물고임현상으로 발생하는 각종 사고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교량, 배수구
205 비탈면 수로관조립체 KR1020080044136 2008-05-13 KR100874344B1 2008-12-16 조항웅
A channel pipe assembly for a slope at public works is provided to perform the construction works for an incline and a channel pipe effectively by preventing the collapse of a channel pipe caused by slope depression while banking at street improvement work. In a channel pipe assembly for a slope, a channel pipe(10) is formed in the C-shape opened upward by forming a base plane(12), a left incline plane(13) and a right incline plane(14) integrally, a guide unit for flowing out rainwater is formed by forming the bottom with the base plane and each side with the left and right incline planes, a support rod(15) having fitting holes at two ends is laid and installed to the base plane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body of the channel pipe, a stiffening plate(17) fixed to a grid(16) buried in the ground is mounted to an upper incline of the channel pipe, and a fastening fixing rod(18) is provided to fix and install the channel pipe strongly to an incline by fastening the fixing plate and the support rod.
206 집수구 KR1020070050277 2007-05-23 KR100843175B1 2008-07-02 김순애
A water collecting unit of a bridge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control of its installation height by using a height-adjusting unit including bolts and flanges. A water collecting unit of a bridge comprises a lower tank(4), an upper tank(2), and a height-adjusting unit. The lower tank is fixed to the predetermined height of a form. The upper tank shapes to a funnel, including an inlet(10) on which a grating(8) is mounted, and an outlet(12) which is fit the top part of the lower tank. The height-adjusting unit assembles the upper tank to the lower tank, including a first flange(16), a lower flange(20), and bolts(22). The first flange is integrated with the lower tank is provided with bolt holes(14) circumferentially. The second flange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tank perpendicularly, and provided with bolt holes(18) circumferentially. The bolts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anges by driving into the bolt holes of the lower and upper flanges.
207 침식방지용 산마루 측구 KR1020080005230 2008-01-17 KR100840188B1 2008-06-23 박태영; 서인식; 박원영
A slope ditch for preventing erosion is provided to prevent a slope from sliding down by integrating a vegetation panel with the slope ditch. A slope ditch for preventing erosion comprises a draining path(3), shoulders(5,6), planting areas, vegetation panels(10), and fixing pins(20). The draining path is located between both shoulders. The planting areas are located next to the shoulders. The vegetation panel includes upper and lower panels having holes. The pin includes an anchor and a head. The anchor is piled into the ground via the holed lower panel. The head is stopped by the hole of the lower panel. The vegetation panel has a coupling protrusion which is inserted into a coupling hole of the slope ditch, thereby integrating the vegetation panel with the slope ditch.
208 교량배수관용 연결구 KR2020070006379 2007-04-18 KR200438914Y1 2008-03-11 안병원
본 고안은 교량의 노면 가장자리에 있는 집수구로 유입되는 물을 교량 밖으로 배수시켜주는 교량 배수관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연결될 한 배수관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내주면을 가지며, 외주면에 외부나선(10)이 형성되어 있고 한 배수관의 단부 쪽에 스크류(12)로 고정되는 고정링(14)과; 연결될 다른 배수관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내주면을 가진 슬리브(16)와, 이 슬리브(16)의 한쪽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18)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플랜지(18)의 앞쪽에 있는 환상요홈(20)에 오-링(22)이 끼워져 있고, 상기 슬리브(16)쪽이 상기 다른 배수관의 단부 쪽에 스크류(24)로 고정되는 부싱(25)과; 상기 고정링(14)의 외부나선(10)과 나선결합되는 내부나선(26)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른 배수관과 상기 부싱(25)의 슬리브(16)가 관통되는 구멍(28)과, 상기 부싱(25)의 플랜지(18)가 걸려지는 환상벽부분(30)을 가진 가동링(32)으로 되어 있는 교량배수관용 연결구임. 교량, 배수관, 연결구, 고정링, 부싱, 가동링
209 교량용 집수구 KR2020060027949 2006-10-17 KR200436505Y1 2007-08-31 최두영
본 고안은 눈비에 의하여 생긴 교량 도로면의 물을 집수하여 하천 등으로 배수하는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①도로면에 생긴 물의 양이 적은 때(ex : 강우 초기 시)는 필터를 이용, 물을 여과한 후 배수하기 때문에 가는 모래(세사)ㆍ사토ㆍ오물 등이 배수라인에 적체됨을 방지할 수 있고,(이는 배수라인의 청소 빈도를 줄여주므로 교통의 소통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비점오염원(교통오염물질ㆍ도로면에 낙하된 대기오염물질ㆍ분진ㆍ자연동물과 식물의 잔여물 등)이 하천 등으로 흘러들어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②도로면에 생긴 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때(ex : 강우 지속 시)는 물을 여과과정 없이 곧바로 배수하기 때문에 여과과정에 따른 배수속도의 지연으로 물이 미처 배수되지 못하고 도로면에 넘치는 현상(오버플로우)을 방지할 수 있고 ③필터 교체(예상주기 : 3~6개월) 등 그 유지 및 보수를 교량 상부(도로 부분)에서 실시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관리의 편리성, 경제성 등을 확보할 수 있는 교량용 집수구에 관한 것이다. 교량, 물, 배수, 이물질, 집수구, 필터
210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20060061874 2006-07-03 KR100734578B1 2007-07-03 오재일; 최영화
A rainfall purification device for a bridge is provided to remove pollutants contained in a rainfall gathered on the top of a bridge and to prevent the overload of a rainfall caused by a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without marr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a bridge. The rainfall purification device for a bridge installed to a through hole formed on the top of a bridge to purify and discharge a rainfall to a sewer conduit through a water collecting pipe(3) extended downward from a lower outlet of the through hole, contains a main body(10) provided with a housing space, an opening(11) and a water collecting pipe connecting hole(12) connected with the water collecting pipe, a purifying module(20) installed on the side wall and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t a certain interval and provided with a housing space, a rainfall inlet(21), a seal(22) sealing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and the outside of the rainfall inlet, a continuous rainfall outlet(23) and a filtered water outlet(24), a filter cartridge(30)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continuous rainfall outlet to seal up the filtered water outlet, and a continuous rainfall pollutants collecting box(100) provided with a water collecting pipe through hole connected with the water collecting pipe connecting hole and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the purifying module to collect pollutants of continuous rainfalls facing the water collecting pipe connecting hole, and consequently initial rainfalls containing a large quantity of pollutants are discharged to the water collecting pipe after purifying through the filter cartridge and continuous rainfalls are discharged to the water collecting pipe after removing remaining pollutants through the continuous rainfall pollutants collecting box.
211 식생용 수로관 및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KR2020050005871 2005-03-04 KR200384423Y1 2005-05-16 윤수열
본 고안은 식생용 수로관의 제작시 그 수로관의 내측벽면에 식생부를 일체로 구비하여 미생물과 식물이 자생할 수 있도록 하여서 생물들의 에너지원이 제공되게 하여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갖도록 제작함에 의해 수로를 형성하기 위한 식생용 수로관의 설치에 따른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킨 식생용 수로관 및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212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 KR2020050004419 2005-02-18 KR200384354Y1 2005-05-13 김재성
본 고안은 개거를 조립이 가능한 구조물로 구성하여 터파기가 끝난 현장에서 바로 조립하여 구축할 수 있도록 한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50)은 콘크리트로로 기 성형되어 조립되는 측벽(51)과; 상기 측벽(51)을 일정한 간격(폭)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켜 주는 측벽고정구(53)로 구성하고; 상기 측벽(51)은 일정한 두께(T)를 가지고 운반하기에 용이한 크기를 가지도록 높이(H)와 길이(L)를 가지는 판상형태로 구비하는 측벽바디(55)와; 상기 측벽바디(55)의 양측 수직면(56)에 결합을 위하여 형성하는 요입홈(57)과; 상기 요입홈(57)에 개재되어 인접한 측벽바디(55)와 결합시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수판(58)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고정구(53)는 측벽바디(55)를 길이방향에 대하여 단속을 수행하는 길이단속구(60)와; 상기 측벽바디(55)의 폭 방향에 대한 단속을 수행하는 폭단속구(61)로 구성하고; 상기 길이단속구(60)는 측벽바디(55) 성형시 양측 상,하측에 함께 성형하여 이동과 체결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단속고리(62)와; 상기 단속고리(62)를 단속하여 인접한 측벽(51)을 결합시키는 단속수단(65)을 포함하고; 상기 폭단속구(61)는 측벽바디(55)의 수직면(56) 상,하측에 반원형상으로 형성하는 체결홈(66)과; 상기 차수판(58)에 체결홈(66)과 동일한 위치에 차수판(58)의 중간위치까지 형성하는 체결홈(67)과; 상기 체결홈(66,67)에 삽입되어 측벽바디(55)의 폭을 유지하는 버팀바(68)를 포함하고; 상기 버팀바(68)의 양측에 형성하는 단속링(6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13 수로관 유니트 KR2020040027197 2004-09-22 KR200381471Y1 2005-04-14 차창고
본 고안은 단위 길이로 미리 콘크리트로 성형되고, 인접 배치되는 수로관 유니트와의 연결을 위한 소켓부가 형성된 수로관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측벽(11) 외측면에는 강성 보강을 위하여 중앙부에 수직의 리브(13)와 수평의 리브(14)가 십자형으로 교차되게 형성되고, 그 교차부에는 요홈(16)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의 리브(14)에는 교차부와 연통되게 홀(17)이 형성되고, 두 개의 인접 배치되는 수로관 유니트들의 수평 리브(14,14')들의 홀을 통하여 배치되어 각각의 요홈에서 고정되는 강철 와이어로프(20)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부에는 수로관 유니트들의 이음부에서 누수되지 않도록 소켓부에 고무 팩킹요소(32)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서로 인접 배치되는 수로관 유니트들이 일체화되게 연결유지되며, 소켓부에 팩킹링을 설치하고 그 � �측에 인접 수로관 유니트의 단부를 팩킹링 위에 배치하여 다소의 지반 변화에 의한 각도 변화에도 수밀성이 유지되어 누수 방지가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214 배수용 매트 KR1019840001685 1984-03-30 KR1019840007924A 1984-12-11 바리조세프뎀프시; 케이창리유; 조세프만타로
내용없음.
215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 KR1020140048723 2014-04-23 KR1020150122451A 2015-11-02 추용대
본발명은배수구의물을밖으로배수시켜주는배수관들을연결시켜주는교량배수구의배수관연결구에관한것으로, 상기배수관들의결합부를감싸는형태로결합되되밀착결합되도록평판상의고무재질로이루어진내측연결구; 및플랙시블하게금속재질의판체로이루어져서상기내측연결구를감싸고제1 볼트및 너트를통해조여져서상기내측연결구가상기배수관들과밀착결합되게하는외측연결구;를포함하여구성되며, 이는교량에구비된배수구로유입되는물을밖으로배수시켜주는배수관들을연결할때에내측연결구및 외측연결구를이용함으로써기밀하게결합될수 있게하고, 볼트및 너트를이용하여간단하게결합및 해체시킬수 있게함으로써배수관들이용이하게결합및 해체될수 있게한다.
216 식목형 맹암거 및 시공방법 KR1020130150850 2013-12-05 KR1020150065480A 2015-06-15 유병옥; 박용식; 전기성; 김영서
본발명은식목형맹암거및 시공방법에관한것으로, 산마루또는절개지의비탈면에고랑을형성하고고랑을따라식생식물을심어고랑의지반을단단하게하며, 고랑의내부에흙 입자는여과시키고지중침투수는고랑으로유입시키는필터층과고랑으로유입된지중침투수가고랑의지반으로스며들지않도록차단하는불투수층과공극을형성하여고랑내에서의지중침투수흐름을방해하지않는쇄석부및 쇄석부가외부로노출되지않도록고랑의상부주변을덮는차폐부가형성되어시공비용을절감함과동시에비탈면의지반을안정화시켜비탈면의유실및 붕괴를방지할수 있다.
217 조립식 데크를 갖는 안전통로 시설물 KR1020140056272 2014-05-12 KR101511290B1 2015-04-13 이판용; 라진수
본발명은바닥판을피스없이설치가가능하고보강판을갖기때문에파손의염려가없고, 바닥판이보강판에조립식으로간편용이하게시공되며, 배수가용이하고난간의강성이보강되고난간의변형설치를용이하게할 수있도록한 조립식데크를갖는안전통로시설물을제공한다. 본발명의적절한실시형태에따르면, 일정폭과길이를갖는금속재의판형으로제작되어일측또는양측의장변에바닥판결합수단을갖는보강판과, 일정두께를갖고보강판과동일한길이로제작되어상기보강판에끼워맞춤으로조립되어지지되는바닥판으로이루어진조립식데크와; 이웃한조립식데크의사이에배치되어배치간격의오차를흡수제거하고동시에배수를수행하는신축이음판넬및; 상기조립식데크에길이방향으로설치되는하부레일조립체와, 상기하부레일조립체로부터일정높이의상방에나란하게위치되는상부레일조립체와, 일정간격마다배치되어하단이상기하부레일조립체에상단이상기상부레일조립체에연결되어있는수직난간대로조립되어진안전난간대를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218 교량형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20140044800 2014-04-15 KR101474372B1 2014-12-24 최원기
본 발명은 교량형 초기 우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에 설치되어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오염수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오염수가 유입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오염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도록 복수의 필터공이 형성된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단부가 상기 처리조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처리조의 중심측으로 경사진 경사면부와, 상기 경사면부의 중심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유도관을 갖는 유도부; 상기 유도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도관을 경유한 상기 오염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제2 필터부; 일단부가 상기 유도관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처리조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유도관과 상기 처리조의 사이 공간에 존재하는 오염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제3 필터부; 상기 제3 필터부의 하측에 마련되는 배수구; 상기 처리조의 외주면을 관통하되, 상기 제1 필터부의 상측에 마련되는 제1 월류공; 상기 처리조의 외주면을 관통하되, 상기 경사면부의 상단부 하측에 마련되는 제2 월류공; 상기 제1 월류공 또는 상기 제2 월류공을 통과한 오염수가 흐르며, 상기 배수구와 연결되는 월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19 신축구조 물받이가 구비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0130049131 2013-05-02 KR1020140130776A 2014-11-12 이순복
신축구조 물받이가 구비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신축구조 물받이가 구비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슬래브와 인접한 슬래브의 각 측벽에 일단이 매설되어 상기 슬래브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을 1차로 유도하는 상부 유도판; 상기 상부 유도판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 유도판를 통해 유도된 빗물을 2차로 집수하는 내부에 상방으로 개구된 집수공간이 마련된 하부 물받이; 및 상기 슬래브와 하부 물받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유도판과 하부 물받이 둘로 나누어지는 이중구조로 물받이가 형성되어 슬래브의 신축에도 불구하고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구성요소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교량의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20 헬리콥터 데크를 위한 장치 KR1020147009496 2012-10-04 KR1020140103252A 2014-08-26 로드,카아알조안
본 발명은 지지 및 유체-차단 기능의 플로어(3)를 포함하는 헬리콥터 데크(1)에 관한 것으로, 상기 헬리콥터 데크(1)는 상부에 가로로 놓인 하나의 드레인 탑 커버(2)를 갖는 나란히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탑-커버 섹션(20)을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탑-커버 섹션(20)은 다수의 배출구(23),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벽(21, 21') 및 상기 플로어(3)의 표면(33) 위에 위치되도록 배열된 다리부(211, 211')가 구비된 하나의 표면부(22); 상기 탑 커버(2), 상기 플로어(3) 및 두 개의 인접한 채널벽(21, 21')에 의해 형성되고, 하나의 수집채널(4)과 연결된 하나의 마우스부(51)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드레인 채널(5); 상기 배출구(23) 및 수집채널(4) 내의 하나의 드레인(42) 사이의 최소한 하나의 드레인 채널(5)을 통하도록 형성된 유체-수송 경로(6); 및 상기 플로어(3) 및 인접한 탑-커버 섹션(2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기 탑-커버 섹션(20)을 포함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