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国际专利分类库 / 固定结构 / 道路、铁路或桥梁的建筑 / 附属工程,例如,道路设备和月台、直升机降落台、标志、防雪栅等的修建 / 道路基层{即地基或路基,例如,路堤}或铁路道碴层{或排水道路铺面或道碴层排水}的沟槽、涵洞、管道排水 {或其他特别专用措施}({铁路道碴层排水入E01B 11/00; 道路路面排水入E01C11/224; 土壤排水入E02B11/00;}地下排水入E02D;污水管道入E03F)
序号 专利名 申请号 申请日 公开(公告)号 公开(公告)日 发明人
261 블록포장구조물 KR1020090008806 2009-02-04 KR1020100089517A 2010-08-12 조윤호
PURPOSE: A block pavement structure is provided to prevent the subsidence of a base layer or sub-base layer due to the penetration of surface water. CONSTITUTION: A block pavement structure comprises a sub-base layer(110), a base layer(120), a bearing sand layer(130), a plurality of pavement blocks(140), non-woven fabric(150), and a drain part(160). The sub-base layer is installed on a roadbed(100). The base layer is placed on the sub-base layer. The bearing sand layer is placed on the base layer. The pavement blocks are consecutively positioned on the bearing sand layer. The non-woven fabric is installed between the bearing sand layer and the base layer. The drain part is installed lower than at least the bearing sand layer and guides surface water to a collection pipe.
262 타입식 배수용 측구 KR1020100038095 2010-04-23 KR1020100061781A 2010-06-09 조우철
PURPOSE: A punching type side ditch is provided to remarkably improve work efficiency and profitability, and to remarkably improve durability of the side ditch by preventing sliding when construction. CONSTITUTION: A punching type side ditch(10) comprises an anchoring part(11), wing parts(14), perforated holes(13), filter members, and driving protrusions(15). The anchoring part is formed in side walls(12) to be pointed downward. The wing parts are horizontally extended from the top of the side walls. The perforated holes are formed in the top part of the side walls. The filter members are attached on the perforated holes. The driving protrusions are downward formed in the end of the wing part.
263 노면 강화와 투수 및 배수기능을 갖는 도로 KR1020090086629 2009-09-14 KR100960655B1 2010-06-07 최의용
PURPOSE: A permeable road for improving the strength of a road and draining water is provided to prevent damage to level difference of a joint part by not requiring the installation of the joint due to joining force with a protrusion plate. CONSTITUTION: A permeable road for improving the strength of a road and draining water comprises a substratum(20), a protrusion layer(60), a surface layer(50'), and a water channel. The substratum is placed on a basis(10). The protrusion layer comprises a protrusion plate with a drain and multiple protrusions with a drain. The surface layer is placed on the protrusion layer and forms the road. Both sides of the water channel are buried under the road and composed of porous concrete material for draining the flowing water. The water channel comprises an incline which guides the flowing water to an inlet port communicated with the inner side.
264 운동장용 배수관 KR2020080015727 2008-11-26 KR2020100005702U 2010-06-04 김광제; 최종철
본 고안은 우수의 처리성을 높이고 트랙과 인조잔디의 손상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운동장용 배수관에 관한 것으로서, 철근 콘크리트 재질로 구비되는 배수관바디와, 상기 배수관바디의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는 배수홀과, 상기 배수홀과 배수관바디의 상면까지 운동장 표면의 우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유입홀을 포함하는 운동장용 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바디의 상면에 밀착시공되는 트랙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방지수단과, 상기 배수관바디의 일측에 시공되는 인조잔디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신속하게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분리방지수단은 트랙이 시공되는 위치에 트랙을 수용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홈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배수수단은 인조잔디와 연접되는 위치의 배수관바디에 배수홀 및 유입홀로 우수가 직접 배수되도록 투수콘크리트를 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운동장, 배수관, 트랙, 인조잔디, 투수콘크리트
265 교량용 매립형 집수구/배수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0080108216 2008-11-03 KR1020100049163A 2010-05-12 이지용
PURPOSE: An imbedded type collection hole/drain hole assembly for a bridg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is provided to maintain the stable assembly state and to make assemble processes simple. CONSTITUTION: An imbedded type collection hole(20) is buried under the bottom concrete of the bridge. The imbedded type collection hole guides water from rain or snow to the drainpipe. The drainpipe is assembled on the lower part of the imbedded type collection hole. The drainpipe discharges the water coll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through the imbedded type collection hole.
266 교량용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2020080014372 2008-10-28 KR2020100004694U 2010-05-07 최승도
본 고안의 목적은 우수(雨)를 배수할 수 있게 교량에 구비되는 배수구의 내부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초기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게 한 교량용 초기 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하방으로 점점 좁아지는 경사주면벽을 갖는 양단이 개구된 관체로서 교량용 배수구의 유입구 내부로 설치되며, 외주벽 상부에는 유출공들이 그리고 외주벽 하부에는 미세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미세공들에 인접하는 상부의 내주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지지관체; 상기 지지관체와 같은 양단이 개구된 관체를 이루어 그 지지관체의 내부에 유도로를 두고 설치되며, 상단에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하방으로 향하여 좁아지는 유도경사주면을 형성하면서 하단에서는 넓어지는 유도공이 형성되어 유입되는 초기 우수가 상기 유도공을 통과할 때 관 차이로 인하여 빠른 속도로 낙하되게 유도하기 위한 유도관체; 및 상기 지지관체의 외부를 감싸게 설치되어 상기 유도관체를 통해 하부로 낙하되는 초기 우수로부터 이물질을 포집하며, 이물질이 걸러진 우수는 상기 지지관체를 경유 후 상기 유도로를 통해 상기 미세공으로 유출되게 하는 이물질 포집망체를 포함한다. 초기 우수, 교량, 도로, 배수구, 포집망체, 이물질, 협잡물
267 다리 난간의 접이 장치 KR2020090010900 2009-08-20 KR200448350Y1 2010-04-02 배대환
본 고안은 목교로 이루어진 데크로드와 같은 다리 난간 접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난간기둥(101) 하단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구된 관체로 이루어진 삽착부(11)와 삽착부(11) 밑면에 대향으로 힌지공(15)(15')을 천공한 회동판(12)(12')으로 이루어진 난간받침(10)과, 상기 난간받침(10)의 힌지공(15)(15')과 일치되는 힌지공(23)(23')을 천공하고 난간받침(10)의 절첩방향으로 개방되며 플레이트(21)의 상면에 형성된 난간받침삽입부(22)와 플레이트(21) 밑면에는 상판(102)에 결합되는 연결 형성되는 설치관(25)으로 이루어진 브래킷(20)과, 상기 난간받침(10)을 난간받침삽입부(22)에 넣어 일치되는 힌지공(15)(15')과 힌지공(23)(23')을 관통하여 끼워 결합되어 난간받침(10)이 난간받침삽입부(22)에 절첩 회동 되도록 하는 힌지핀(3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난간받침, 플로우트
268 맨발 지압용 황토볼 지압로 배수시설 설치 방법 KR2020100000613 2010-01-20 KR2020100001887U 2010-02-22 김한기
본 건은 맨발 지압용 황토볼 지압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첫째, 황토볼->부직포 또는 한냉사->모래층->중간층(왕사층)->배수층(자갈층)->유공관->부직포 순서로 설치되는 배수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둘째로는 황토볼 지압로 이용시 배수력 뿐만 아니라 쿠션감도 동시에 높이기 위해 황토볼밑에 모래층을 사용하고 있으며,
세째로는 배수시설 공사 중 시공시간과 경비를 절감하기 위해 자갈의 입경을 전제로 중간층을 생략하는 방법도 제시하고 있다.
위와 같은 방식은 기존에 시행되고 있는 맨발 지압용 지압로 시공방식(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자갈, 통나무 등의 재료를 고정시키는 방식인데 비해 황토볼을 이용한 지압로는 황토의 효능[자연음이온/원적외선 방사, 면역력증가등]과 재료의 유동성으로 인해 효능이 훨씬 더 뛰어남)에 새로운 변화를 일으킬 수 있고, 친환경적 재료인 황토볼을 이용한 지압로 설치로 인해 웰빙을 추구하는 지압로 이용객들의 요구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배수시설이 설치됨으로 인해 위생적이고 쾌적한 이용이 가능하고, 강우 등으로 인해 줄어들었던 이용시간도 늘어날 것으로 사료된다.
269 Drain jipsugu KR20090002840 2009-03-12 KR200446850Y1 2009-12-04
본 고안은 도로나 교량에 설치되는 배수용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부와 하측연장부로 이루어지되 헤드부에는 내벽 일측부에 힌지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타측부에 지지대를 돌출 형성시킨 집수부와 배수개구를 갖는 그레이팅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힌지돌기에 대응되는 힌지공을 형성시켜 집수부의 헤드부 내에 힌지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대에 하면이 떠받쳐 지지되게 설치되는 그레이팅부와 상기 헤드부와 하측연장부의 경계부분에 위치하여 안착 배치되며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타공판에 의한 필터부로 이루어지는 기술구성이 개시된다. 본 고안은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는 기능의 그레이팅에 대한 도난사고를 방지하면서도 국가적인 자재의 손실의 방지할 수 있고, 집수구 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경우 쌓인 이물질을 간단하게 청소 및 제거할 수 있으며, 커다란 이물질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고, 역류됨 없이 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집수구, 배수, 그레이팅, 힌지 결합, 개폐, 도난방지, 타공판, 필터
270 EMBEDDED EXPANS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KR20090013985 2009-02-19 KR20090100240A 2009-09-23 PARK JONG SU; PARK MIN CHUL
PURPOSE: A buried expansion joint device is provided to reduce the cost for repairing and maintaining by preventing the deformation and the superannuation after the installation. CONSTITUTION: A buried expansion joint device comprises an interval(180) between slabs(170). A fixing unit(112) is equipped in the direction of the interval. The fixing unit is the hook type and upward curved. The expansion joint device is the rail structure. The both side of the rail structure is opened. An opening(114) is formed at the rail structure. The opening is formed at the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expansion joint device includes a pair of rigid frame(110), a draining board(120), and a drainage guide board(130).
271 에너지브릿지 KR1020070124075 2007-12-03 KR1020090057483A 2009-06-08 정용훈
An energy bridge is provided to use geothermal energy existing around a bridge, a bridge post, a bridge support and a ground by fitting a geothermal exchange pipe into a bridge, a bridge post, and a bridge support. An energy bridge comprises an energy pier foundation(11) in which a geothermal pipe is equipped inside a pier foundation(10); an energy pier pile foundation(13) in which a geothermal pipe is equipped inside a pier pile foundation(12); an energy abutment foundation(21) in which a geothermal pipe is equipped inside an abutment foundation(20); an energy abutment pile foundation(23) in which a geothermal pipe is equipped inside an abutment pile foundation(22); and an energy abutment boring hole(31) in which a geothermal pipe is equipped inside a ground.
272 교량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구조 KR2020090003535 2009-03-27 KR2020090003922U 2009-04-28 최두영
본 고안은 고가도로, 교량 등의 구조물의 교각이나 측벽에 설치하여 고가도로, 교량의 노면의 우수, 오수 등을 집수하여 배수하는 교량 배수설비에 있어서, 집수구 하부의 "T"형 접속수단과 배수관 사이의 접속부위 또는 배수관과 배수관 사이의 "-"형, "T"형 접속부위에 패킹 부재와 각도조정부재를 구비한 각도조정수단을 개입하여 설치작업현장에서 배수관의 경사각을 수평에서 1~15°이상의 범위 내에서 설치조건에 따라 광범위하게 임의로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배수설비의 설치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 교량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273 Expans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with center drainage device KR20080012802 2008-09-23 KR200443254Y1 2009-01-21
본 고안은 "U"자형의 신축부재로부터 교량 아래쪽으로 배수되는 물이 비산 현상 또는 강풍에 의한 물줄기의 큰 유동현상을 발생하지 않으면서 슬래브 하부의 배수용 덕트에 유입되어 슬래브 하부의 콘크리트 빔이나 교좌장치의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중앙 배수장치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중앙 배수장치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서로 다른 슬래브(slab)의 사이 공간인 유간에 "U"자 형태로 띄워져 설치되는 신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부재는 하부에 배수공을 천공한 형태로 형성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의 하부에 상면과 접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배수공과 통하는 배수홀이 천공된 상부 고정부재와, 상기 신축부재의 하부에 하면과 접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배수공과 통하는 상태의 배수관이 상기 유간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용 덕트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하부 고정부재와, 상기 상부 고정부재에 상기 하부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량, 슬래브, 신축이음장치, 배수관, 배수용 덕트
274 교량배수관용 연결구 KR2020070006562 2007-04-20 KR200439028Y1 2008-03-18 안병원
본 고안은 교량의 노면 가장자리에 있는 집수구로 유입되는 물을 교량 밖으로 배수시켜주는 교량배수관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연결될 배수관들의 연결부 주위에 밀착되는 중공(10)을 가지며, 경사진 절개선(12)이 중공(10)과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꺽여진 절개선(14)이 외주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직경크기가 확장되었다가 도로 축소되는 고무로 된 실린더형 패킹(16)과 ; 겹쳐지게 분리된 2개의 단부(18,18')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직경크기가 확장되었다가 도로 축소되면서 상기 실린더형 패팅(16)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성링(20)과 ; 두께가 얇은 금속판의 양쪽단부(22,22')가 원주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원통형으로 말아 접혀져 있어서 직경크기가 확장되었다가 도로 축소되면서 상기 탄성링(20)을 감싸 조여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걸쇠(24)와, 고리(26)가 달린 조작손잡이(28)가 각각 상기 양쪽단부(22,22')의 외주면 쪽에 구비되어 있고, 적어도 2개 이상의 나사체결안내구멍(32)을 측벽부분(30)에 가진 탄성밴드(34)로 되어 있는 교량배수관용 연결구임. 교량, 배수관, 연결구, 실린더형패킹, 탄성링, 탄성밴드
275 배수 기능을 갖는 전기철도용 전기공동구조물 KR2020060018783 2006-07-11 KR200427117Y1 2006-09-20 김태정
본 고안은 배수 기능을 갖는 전기철도용 전기공동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전기공동구로 물이나 토사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일부 물이나 토사가 유입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배출하여 전기공동구의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도록, 본 고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갖는 성토 노반 전기공동구조물은, 내부에 전기 케이블이 수납되는 케이블 수납부를 갖는 철도 성토 노반의 전기공동구에 있어서, 상기 전기공동구의 전단에 형성되고 지표의 물이 유입되는 집수턱; 상기 집수턱의 하부에 형성되어 물을 아래로 배출하는 집수턱측 배수공 및 상기 배수공에서 배출된 물을 성토 노반으로 유도하는 배수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철도, 전기공동구, 배수, 성토 노반, 절토 노반, 배수공, 배수로
276 측구 및 사각 투수성 수로관 KR20160098731 2016-08-03 KR20180015777A 2018-02-14 서경선
본발명은측구및 사각투수성수로관에관한것으로서, 보다상세하게는아래층에주입되는투수재질콘크리트위에주입하는일반콘크리트의상측부에야광투수재질콘크리트를더 주입하여투수기능이뛰어난재질을우수관에사용함으로써, 투수재질을통한투수효과를극대화할수 있어집중호우에따른빗물이고이는일을방지할수 있으면서차량, 보행자가안전하게지나다닐수 있는측구및 사각투수성수로관에관한것이다. 발명은거푸집에의해구획된콘크리트주입공간이형성되도록설치되는측구및 사각투수성수로관에있어서, 상기주입공간에주입되는투수재질콘크리트; 상기투수재질콘크리트위에주입하는일반콘크리트; 상기일반콘크리트위에주입하는규사, 야광혼합물및 바인더를 1 : 0.5~1 : 0.2~0.3의중량비로배합된야광투수재질콘크리트;를포함한다.
277 다용도 빗물 저류조블록 KR1020140158462 2014-11-14 KR1020160057627A 2016-05-24 이호열
본발명은다용도빗물저류조블록에관한것으로, 중앙부분에설치되는중앙기둥, 상기중앙기둥의상, 하, 좌, 우로이격되어배열되는주변기둥, 상기중앙기둥과주변기둥에연결되며내측으로공간이형성되는프레임로이루어진본체와, 상기본체의외측면으로형성되며볼트홈이포함되는하나이상의결합부로이루어진다. 본발명은블록의중앙에형성된중앙기둥의직경의중앙기둥의주변에있는주변기둥의직경보다크게형성되어있어, 중앙으로집중되는하중을용이하게지지하여블록의파손을예방하면서블록의지지력을높일수 있으며, 중앙기둥과주변기둥을연결하는프레임에공간을형성하여그 공간으로물을채울수 있도록함으로써, 블록이일정한하중을가지도록하여블록이쉽게흔들리거나자중에의해움직이지않게되어블록이지면에견고하게위치될수 있는장점이있다.
278 수생식물 조기 정착을 위한 생태수로 KR1020140111636 2014-08-26 KR1020160025138A 2016-03-08 김도균
본발명은생태수로바닥면과지면에대해대각선방향으로다수개의관통구를형성하여생태수로를따라흐르는용수의오염물질들을정화할수 있는기능성식물들이안정적으로뿌리내릴때까지휩쓸려내려가지않고생장할수 있게하고, 지렁이등이관통구의경사면을타고용이하게드나들수 있어생태통로의역할을수행할수 있도록하며, 관통구의경사가생태수로를따라흐르는물의흐름과역방향으로형성되어있어이를통해물이유입되지않아이를통해토사가유실되는것을방지할수 있도록한 경사관통구를갖는생태수로에관한것이다. 본발명의바람직한일 실시예에따른경사관통구를갖는생태수로는바닥면과, 상기바닥면의양측에수직방향으로연장형성된벽면이구비되고상측이개방형성된 "U"자형생태수로에있어서, 상기생태수로의바닥면에는다수의경사관통구가형성되는것을특징으로한다.
279 강판측구막이 KR1020140108077 2014-08-20 KR1020160022483A 2016-03-02 김명환; 구기운; 유승용; 송동근
본발명은임도의측구에횡방향으로설치되며중간부분이상측에서하측으로함몰된형태로이루어진강판; 상기강판의중간부분에결합되고, 하부측은측구의지반에인입되어고정되는중간말뚝; 및상기강판의중간부분을중심으로양측에각각결합되고, 하부측은측구의지반에인입되어고정되는외측말뚝;을포함하여구성되되, 상기강판과중간말뚝및 외측말뚝의결합은 U볼트의볼트결합에의해결합되는것을기술적특징으로한다.
280 생태형 수로관 KR1020140099631 2014-08-04 KR1020160016123A 2016-02-15 이근호
본발명은수로관에관한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생태환경조성이가능한생태형수로관, 이를위한측면확장구조및 이의시공방법에관한것이다. 본발명에의하면, 내부에수로가형성된수로관몸체; 및상기수로와통하고상기수로관몸체의폭방향바깥에위치하는출입공간이내부에형성된출입부와, 상기출입공간과통하고상기출입부의아래에위치하는생물서식공간이내부형성된생물서식부를구비하는측면확장구조를포함하는생태형수로관이제공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