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专利库 / 化妆品和香水 / 化妆品 /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해면 Phorbas 종에서 분리된 가구닌 D를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해면 Phorbas 종에서 분리된 가구닌 D를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阅读:575发布:2024-02-14

专利汇可以提供미백활성을 나타내는 해면 Phorbas 종에서 분리된 가구닌 D를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专利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的服务。并且본원은해양천연소재인해면종에서분리한가구닌 D를함유하는피부미백용화장료조성물및 기능성식품을개시한다. 본원에따른조성물은멜라닌생합성을억제하여우수한미백효능을나타내면서도자극성및 부작용이적어, 미백기능성을지닌화장품또는미백또는색소침착억제와같은기능성식품으로서활용가치가높다.,下面是미백활성을 나타내는 해면 Phorbas 종에서 분리된 가구닌 D를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专利的具体信息内容。

  • 가구닌 D 또는 그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닌 D 는 해면( Phorbas sp.)에서 분리된 것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생성 억제는 타이로시나제 발현 억제, 타이로시나제의 활성 억제 또는 타이로시나제의 분해 중 하나 이상에 의한 것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가구닌 D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과색소 침착증을 포함하는 색소성 피부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성 피부 질환은 주근깨, 노인성 반점, 잡티, 간반, 기미, 갈색 또는 흑점, 일광 색소반, 푸른흑피증, 약물 사용 후 과다색소침착, 임신성 갈색반, 또는 찰상 및 화상을 포함하는 상처 또는 피부염으로 인한 염증 후 과다 색소 침착인, 색소성 피부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 가구닌 D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의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 가구닌 D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 가구닌 D를 멜라닌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비트로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 방법.
  • 说明书全文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해면 Phorbas 종에서 분리된 가구닌 D를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Cosmetic and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omprising gagunin D isolated from Phorbas sp. having whitening activities}

    본 발명은 해면 Phorbas 종으로부터 분리된 가구닌 D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미용식품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분야에서 동아시아 여성들 특히 한국, 일본, 중국의 여성들에게 가장 관심이 큰 분야중에 하나는 피부 미백이다. 피부 미백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요소는 피부 멜라닌 색소이다. 원래 멜라닌은 동물, 식물, 미생물 등에서 발견되는 검은 색소로 생육이나 발달에 필수적이진 않지만 특정 환경에 대한 생존력과 경쟁력을 높여주는 물질이며, 특히 동물에서의 멜라닌은 피부병과 악성 멜라노마(melanoma)와 관계가 있으며, 타이로시나제(tyrosinase)에 의해 타이로신(tyrosine)으로부터 생산되는 도파 멜라닌(DOPA melanin) 외에 DHN melanin, GDHB melanin, 카테콜 멜라닌(catechol melanin) 등이 보고되어 있다 (Bell, AA and Weeler MH, Ann. Rev. Phytophathol. 24, 411, 1986).

    멜라닌 색소는 생물체에 있는 색소로는 특이하게 안정된 색소로서 거의 모든 용매에 불용이고 멜라닌(melanin)의 추출이나 화학적인 취급이 쉽지 않다. 이 때문에 멜라닌은 화학적 측면에서 규명이 부진하고, 연구의 진보도 부진한 편이다. 포유동물에 있어서도 거의 동일한 멜라노제네시스(melanogenesis)가 일어나고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라고 하는 특별히 분화된 세포의 멜라노좀(melanosome)이라는 소기관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명확하게 밝혀지고 있다.

    피부색은 멜라닌의 함량, 분포 등에 따라 색이 결정되며 세포내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에서 생성된 후 세포 외부로 방출되는 멜라노좀(melanosome)의 수와 분포에 연관되어 있다. 피부의 과색소 침착은 피부의 염증 반응 이후의 체내 호르몬 이상, 유전질환 및 자외선 조사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데, 주된 요인은 멜라닌 색소 합성 이상 및 분포 이상에 의한 것이다. 멜라닌의 주요한 기능은 산소 라디칼을 제거하여 이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으로 멜라닌이 많다는 것은 물리적, 화학적 독성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과도한 멜라닌의 침착은 피부 등의 병리적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기미, 주근깨, 점, 검버섯과 같은 미용적인 측면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따라서 멜라닌 형성을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미백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피부의 색소 침착 방지는 멜라닌 합성의 주효소로 작용하는 타이로시나제의 활성 조절, 멜라닌을 합성하는 멜라노사이트 기능 조절 등의 관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중 현재까지 알려진 타이로시나제 억제제로는 히드로퀴논(hydroquinone), 레조르시놀(resorcinol), 4-히드록시아니솔(4-hydroxyanisole),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과 그 유도체, 코직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글루코사민(glucosamin), 상백피(oxyreseveratrol), 알파-비니페린(α-viniferin), 페룰린산(ferulic acid) 등이 있으나 피부안전성, 제형안정성 등의 문제로 인해 알부틴(arbutin) 및 코직산(kojic acid)이 미백제의 첨가제로 제한된 양만 사용되고 있다.

    천연 미백제 개발을 위해 최근까지 다양한 식물들이 연구되어 왔는데 그 중 타이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으로 상백피, 오배자, 감초, 녹차, 석이, 치자 열매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일부는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3-0001027 (2013-01-03 공개)는 산초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한 양태에서 본원은 가구닌 D 또는 그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된 가구닌 D는 해면( Phorbas sp.) 유래이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특히 타이로시나제 효소의 합성, 효소 활성 억제, 및/또는 분해 촉진을 포함하는 타이로시나제의 방해를 통해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여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또한 가구닌 D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과색소 침착증을 포함하는 색소성 피부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 따른 가구닌 D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멜라닌 생합성 억제, 멜라닌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타이로시나제를 포함하는 다양한 효소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효능이 필요한 다양한 멜라닌 과색소 침착증을 포함하는 색소성 피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이러한 질환은 예를 들면 주근깨, 노인성 반점, 잡티, 간반, 기미, 갈색 또는 흑점, 일광 색소반, 푸른흑피증, 약물 사용 후 과다색소침착, 임신성 갈색반, 또는 찰상 및 화상을 포함하는 상처 또는 피부염으로 인한 염증 후 과다 색소 침착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또한 가구닌 D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해면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의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또한 가구닌 D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해면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또한 가구닌 D를 멜라닌을 생성할 수 있는 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비트로에서 멜라닌 생성 억멜라닌 과색소 침착증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 따른 해양 천연물인 해면 Phorbas 종에서 분리한 다이터페노이드(diterpenoid) 계열의 화합물인 가구닌 D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시험관 내 ( in vitro ) 실험 및 인공피부 모델에서 우수한 미백효능을 나타내면서도 자극성 및 부작용이 적어, 미백 기능성을 지닌 화장품 또는 미백 또는 색소침착 억제와 같은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멜라노사이트에서 타이로시나아제(tyrosinase)와 그 관련 효소인 타이로시나아제 연관 단백질-1, -2 [Tyrosinase-Related Protein-1, -2 (TRP-1, -2)]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 마이크로프탈미아 연관 전사인자(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멜라노좀 이동의 주요 인자인 랩27a(Rab27a), 멜라노필린(Melanophilin), MyoVa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 단계 및 형성된 멜라닌의 이동을 조절하는 효능도 나타냄으로서 다양한 타겟을 갖는 새로운 미백 후보 물질로서, 본 발명의 가구닌 D (GD)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미백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또는 색소침착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에서 해면으로부터 추출한 가구닌 D의 화학 구조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마우스 멜라노사이트 세포주인 멜란-에이(Melan-a)에 대한 가구닌 D의 농도별 (2.5, 7.5, 10, 20 μM) 처리에 의한 멜라닌 색소 형성 억제율을 나타냈으며 도 2B는 동일 농도에서의 세포 생존율과 현미경상에서 세포형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A 및 도 3B는 멜라노제네시스 관련 가구닌 D의 농도별 (5, 10, 20 μM)로 24시간 처리시의 PAX3, SOX10, 타이로시나제 및 TRP-1, -2 단백질 발현 저해 효과 (도 3A)를 나타냈으며 도 3B는 4시간에서 48시간까지의 MITF 발현에 대한 발현 억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및 도 4E는 가구닌 D의 농도별 (5, 10, 20 μM)로 MITF (도 4A), 타이로시나제 (도 4B), TRP-1 (도 4C), PAX3 (도 4D) 및 SOX10 (도 4E)의 유전자 발현 저해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가구닌 D의 농도별 (5, 10, 20 μM)로 MITF 유전자 (도 5A) 및 타이로시나제 유전자 (도 5B)의 가우시안 리포터 유전자(Gaussian Reporter Gene) 활성에 대한 저해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6A 및 도 6B는 세포유래 타이로시나제와 L-Dopa 반응의 멜라닌 생성에 대한 가구닌 D의 농도별 (5, 10, 20 μM) 저해효과를 나타낸 그림 (도 6A)이고 도 6B는 멜라노사이트에 가구닌 D를 농도별 (5, 10, 20 μM)로 처리후 세포유래 타이로시나제에 대한 억제효능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7A, 7B 및 7C는 타이로시나제 분해유도 효능을 나타낸 것으로 4, 8, 12, 24, 48시간 동안 20μM 가구닌 D를 처리시 단백질 발현 저해효능 (도 7A)을 나타냈고 도 7B는 10μg/ml의 사이클로헥시미드(cycloheximide)와 함께 20μM 가구닌 D를 0.5, 1, 3, 6시간 처리시 타이로시나제 분해가 촉진되었으며 (도 7B), 도 7C는 26s 프로테아좀 저해제인 MG132를 이용하여 20μM 가구닌 D의 타이로시나제 분해는 프로테아좀 관련 분해에 의한 것임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가구닌 D (5, 10, 20 μM)에 의한 멜라노좀 이동에 대한 억제효능을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48시간 처리시 마커인자인 랩27a (Rab27a), 멜라노필린 (Melanophilin)과 MyoVa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된 것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8B는 가구닌 D를 24시간 처리시 면역세포화학 분석법에서의 단백질 발현 억제효능을 확인한 그림이다.
    도 9A 및 도 9B는 3D 인공피부 모델에 10μM 농도의 가구닌 D를 72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멜라닌 합성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으며 (도 9A), 도 9B에서는 10 μM 농도의 가구닌 D 처리시 인공피부 세포에 독성은 나타나지 않은 것을 나타낸 그림이다.

    본원은 해면 Phorbas 종에서 분리된 가구닌 D가 멜라노사이트에서 타이로시나아제(tyrosinase)와 그 관련 효소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색소침착의 억제를 통한 색소 침착에 대한 근본적 해결 및 지속적이며 효과적 피부 미백 작용을 할 수 있다는 발견에 근거한 것이다.

    한 양태에서 본원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가구닌 D (7-acetoxy-8-hydroxy-1-isopropyl-3a,5a,9-trimethyl-1,2,3,3a,4,5,5a,6,7,8,10a,10b-dodecahydrocyclohepta[e]indene-2,4,6-triyl tributyrate) 또는 그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본원에 따른 일 구현예에서 가구닌 D는 해면( Phorbas sp.) 유래로, 본원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또한 가구닌 D의 합성은 Jang KH 등 (J Nat Prod, 2008 Oct; 71(10):1701-7)을 참조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가구닌 D는 멜라닌합성의 율속속도 효소계인 타이로시나제(tyrosinase) 등에 대한 단백질, 유전자발현의 억제활성 및 주요 전사인자인 MITF 관련 기전연구, 멜라노좀 이동 억제 및 타이로시나제 분해유도 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멜라노사이트에서 멜라닌합성에 가장 주요한 효소인 타이로시나제 (tyrosinase) 및 타이로시나제 연관 단백질 1, -2 [tyrosinase-related protein-1 과 -2 (TRP-1, -2)]의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마이크로프탈미아 관련 전사인자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는 멜라닌 생성 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로 가구닌 D (gagunin D)에 의해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다. 또한 MITF의 중요한 전사 인자인 SRY-related HMG-box 10 (SOX10) 및 PAX3 (Paired box 3), SOX10 (SRY-related HMG-box 10)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고 프로테아좀 관련 분해(Proteasomal degradation)를 통해 티로시나아제의 분해를 증가시켰다. 또한 가구닌 D가 타이로시나제의 효소 활성 또한 억제하였으며 멜라노좀 이동의 주요 인자인 랩27a (Rab27a), 멜라노필린 (Melanophilin), MyoVa의 단백질 발현도 억제함으로서 다양한 타겟을 갖는 새로운 미백 후보 물질로서의 가능성은 물론 그리고 3D 인공피부 모델에서도 멜라닌 합성 저해 효능을 보임으로서 유용한 미백 및 색소침착 억제 후보 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피부 미백”이란 자외선,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 이상 및 임신 등과 같은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해 피부 내에 색소의 생성이 과하게 일어나 발생하는 피부색의 변화 또는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것으로, 상술한 각종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거뭇거뭇한 피부, 기미, 주근깨, 다크서클을 개선 또는 방지 또는 예방하는 효과, 피부의 투명감을 증가시키는 효과, 피부의 칙칙함을 개선하여 윤기 및 팽팽함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색소 침착은 자외선에 의한 자극 또는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해 멜라노사이트가 자극되고 여기에서 생합성된 멜라닌 색소의 피부 침착이 주 원인이다. 따라서 멜라닌 생합성 세포인 멜로노사이트에서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는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상술한 미백이외에 색소 침착의 억제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가구닌 D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동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콜(예,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레산(maleic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fumaric acid), 만데르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 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를 청결미화하여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을 의미하며,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 통상적인 의미로서, 로션, 크림, 오일, 세정용 제품 및 기능성 화장품을 모두 포함한다. 기능성 화장품이란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화장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화장품군이나 화장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화장품을 포함한다.

    본원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또는 화장품은, 예를 들면, 크림, 로션, 앰플, 스킨, 에센스, 비누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다른 측면에서 기초 화장품 조성물(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및 클렌징 워터와 같은 세안제, 팩, 보디오일), 색조 화장품 조성물(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또는 마스크 또는 팩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또는 화장품이 적용될 수 있는 부위는 신체의 특정 지방 조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색소 침착 억제 또는 미백이 필요한 다양한 부위의 피부, 특히 얼굴, 팔, 다리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적용되는 부위에 다양한 투여 경로, 예를 들면 전신 또는 국소, 특히 국소 투여, 경피, 또는 주사, 특히 경피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원의 가구닌 D를 포함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화장품, 예를 들면 크림의 경우, 식물성 오일, 유화제, 증점제, 향료, 물, 산화방지제, 및 UV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구닌 D의 함량은 목적하는 제품의 구체적 용도 또는 제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전체 조성물 중에 약 0.001 내지 약 5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 범위를 벋어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가구닌 D외 부가하여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또는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은 공액리놀레산, 리놀레산, 감마-리놀레산, 알파-리놀레산을 포함하는 불포화지방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수용성 기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마스크,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원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용으로/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용으로/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지나친 독성, 불상용성, 불안정성, 자극, 알러지 반응 등이 없이 조직(예를 들어, 피부 또는 모발)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의미한다.

    본원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움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투여 유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최소한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특히 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제형의 피부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피부용 조성물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에 따른 가구닌 D는 멜라닌 생합성을 근원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멜라닌 생합성 억제가 필요한 다양한 과다 멜라닌 색소 침착과 연관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멜라닌 과색소 침착증을 포함하는 색소성 피부질환(hyperpigmentation)”은 피부 또는 손·발톱의 특정 부위에서 멜라닌의 과도한 증가에 의해 다른 부위에 비해 검게 또는 어둡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멜라닌 색소 과다침착 질환은 주근깨, 잡티, 노인성 반점, 간반, 기미, 갈색 또는 흑점, 일광 색소반, 푸른흑피증(cyanicmelasma), 약물 사용 후의 과다색소침착, 임신성 갈색반(gravidic chloasma), 또는 찰상 및 화상을 비롯한 상처 또는 피부염으로 인한 염증 후 과다 색소 침착 등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시 통상적인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하며, 상기 염으로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산은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탄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본원에 따른 일 구현예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본원에 따른 가구닌 D 화합물이 유리산과 함께 염을 형성하는 산부가염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따른 가구닌 D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란 조성물의 투여 또는 도포로 멜라닌 과색소 침착증 증세를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대한의학협회 등에서 제시된 자료를 참조하여 본원의 조성물이 효과가 있는 질환의 정확한 기준을 알고, 개선, 향상 및 치료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에 따른 가구닌 D 또는 이를 포함하는 해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희석제,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용해제, 감미제, 착색제, 삼투압 조절제, 산화방지제 등의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본원에 따른 가구닌 D 또는 이를 포함하는 해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방법은 제형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인간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제, 정제, 환제, 과립제, 당의정, 경질 또는 연질의 캡슐제, 액, 에멀젼, 현탄액, 시럽제, 엘릭서, 외용제, 좌제, 멸균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되어 전신 또는 국소적으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으며, 특히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형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형은 본원의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슈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형으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원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공지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할 수 있으나, 추출물의 유효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성인(60kg)의 경우, 약 1 내지 100g/일, 특히 약 10 내지 50g/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g/일이다. 투여량은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변동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투여량에 가감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투여횟수는 원하는 범위 내에서 하루에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 기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그대로 경구투여하는 것 이외에, 임의의 음식물에 첨가하여 일상적으로 섭취할 수도 있다.

    본원에 따른 가구닌 D 또는 이를 포함하는 해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멜라닌 생합성 억제를 통해 색소 침착에 대하여 우수한 치료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약물에 의한 독성 및 부작용도 없어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원에 따른 가구닌 D 또는 이를 포함하는 해면 추출물은 식품의 주, 부원료 및 식품 첨가제로서 또는 미백 기능성 식품 등의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기능성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특히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건강보조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가공한 식품으로서,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원료에 들어있는 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상기 기능성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가구닌 D 또는 해면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 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는 기능성 음료로 제조되며, 기능성 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하며, 특히 피부 탄력 향상, 콜라겐 합성 촉진을 위한 음료를 의미한다.

    본원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해면 Phorbas sp . 로부터 비정제 추출물 제조 및 가구닌 D의 분리

    대한민국의 남서쪽 가거도 해안 수심 20~25 미터 지점에서 해면 Phorbas sp.를 채취한 후 동결건조 후 기존 문헌(Kyoung Hwa Jang 등 (2008). Polyoxygenataed diterpenes from the sponge Phorbas sp . J.Nat.Prod., 71 , 1701-1707)에 기재된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요약하면, 메탄올과 디클로로메탄으로 반복 추출한 비정제 추출물에 대하여 용매분배 및 C18 역상 진공 크로마토그라피를 통하여 활성물질을 검색하였다. 이후 역상 silica HPLC를 통하여 활성물질을 분리하여 이를 기존 문헌에 기재된 물성치와 비교하여 구조를 확인하였다 (도 1).

    가구닌 D ( gagunin D) (도 1)

    7-acetoxy-8-hydroxy-1-isopropyl-3a,5a,9-trimethyl-1,2,3,3a,4,5,5a,6,7,8,10a,10b-dodecahydrocyclohepta[e]indene-2,4,6-triyl tributyrate

    : 무정형의 고체;

    [α] D + 51.3 FAB-MS m/z : 607.3 (M+H)+,

    1 H-NMR (400 MHz, CDCl3) δ5.47 (1H, d, J = 5.9 Hz, H-2), 5.42 (1H, d, J = 10.3 Hz, H-6), 5.14 (1H, dt, J = 4.9, 4.4 Hz, H-12), 4.96 (1H, dd, J = 10.3, 1.5 Hz, H-5), 4.92 (1H, dd, J = 12.2, 3.9 Hz, H-9), 4.12 (1H, br s, H-4), 3.50 (1H, dd, J = 9.8, 5.9 Hz, H-1), 2.37 (1H, dt, J = 12.8, 7.3 Hz, H-2a''''), 2.34 (1H, dt, J = 12.8, 7.3 Hz, H-2b''''), 2.22 (1H, t, J = 7.3 Hz, H-2'''), 2.20 (1H, m, H-2''), 2.04 (1H, s, H-2'), 1.96 (1H, m, H-13), 1.94 (1H, m, H-15), 1.88 (1H, br d, J = 4,9 Hz, H-11), 1.84 (1H, br s, H-15), 1.82 (1H, dd, J = 9.8, 4,4 Hz, H-14), 1.73 (1H, hex, J = 7.3 Hz, H-3''''), 1.60 (2H, m, H-3'', H-3'''), 1.56 (1H, dd, J = 12.7, 3.9 Hz, H-8a), 1.36 (1H, dd, J = 12.7, 12.2 Hz, H-8b), 1.06 (3H, s, H-20), 1.01 (3H, s, H-23), 1.06 (3H, t, J = 7.3 Hz, H-4''''), 0.96 (3H, d, J = 5.4 Hz, H-17), 0.93 (3H, t, J = 7.3 Hz, H-4''), 0.92 (3H, t, J = 7.3 Hz, H-4'''), 0.86 (3H, d, J = 5.9 Hz, H-16);

    13 C-NMR (100 MHz, CDCl3) δ: 173.5 (s, C-1''''), 173.5 (s, C-1'''), 172.7 (s, C-1''), 170.0 (s, C-4), 138.1 (d, C-2), 131.6 (d, C-3), 78.1 (d, C-6), 76.2 (d, C-12), 74.7 (d, C-9), 74.5 (d, C-4), 72.6 (d, C-5), 55.0 (d, C-13), 52.7 (d, C-14), 44.8 (s, C-7), 44.7 (s, C-10), 40.5 (d, C-11), 36.6 (t, C-8), 36.5 (t, C-2''''), 36.5 (t, C-2'''), 36.5 (t, C-2''), 36.2 (t, C-1), 29.3 (Me, C-20), 24.0 (Me, C-18), 24.0 (Me, C-15), 23.6 (Me, C-17), 21.9 (Me, C-16), 21.2 (Me, C-2'), 18.6 (Me, C-3''''), 18.5 (Me, C-3'''), 18.4 (Me, C-3''), 14.1 (Me, C-19), 13.8 (Me, C-4''''), 13.8 (Me, C-4'''), 13.6 (Me, C-4'').

    실시예 2: 멜라닌 생성 억제효능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시료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2-1. 세포배양

    본 발명에 사용된 동물세포주인 마우스 유래의 멜라노사이트인 멜란-에이(Melan-a) 세포주는 영국의 베넷박사 (Dr. DC Bennett, University of London)로부터 분양받았으며, 2 mM 글루타민 (glutamine), 100 U/㎖ 페니실린 G (penicillin G), 100 ㎍/㎖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 Gibco, USA), 10% 우태아혈청 (FBS, fetal bovine serum, Gibco, USA), 100 nM TPA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Sigma, USA)를 포함하는 RPMI 1640 (Gibco, USA) 배지를 첨가하여 37℃의 10% 이산화탄소 및 90% 공기 조성의 배양기 (CO 2 incubator)내에서 계대배양하면서 실험에 이용하였다.

    2-2. 멜라닌 합성 억제효능 및 세포독성 평가

    세포배양 시 세포 내의 멜라닌 생성량을 공시료액과 비교하는 시험법을 사용하였다. 가구닌 D (Gagunin D, GD)를 생쥐의 멜라노사이트인 melan-a 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미백 개선 효과를 실험하였다.

    보다 자세하게는 생쥐의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인 멜란-에이(Melan-a) 세포를 6-웰 플레이트 (6-well plate)에 3×10 4 세포수/웰의 농도로 분주하고 48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부착시킨 후, 가구닌 D를 최종농도 2,5, 7.5, 10, 20 μM이 되도록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세포를 염화칼슘(CaCl 2 ),염화마그네슘(MgCl 2 )이 들어있지 않은 인산염완충액(DPBS; Dulbecco's Phosphated Buffered Saline)으로 2회 세척하고 트립신(trypsin, Gibco, USA)을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하여 각 군당 동일한 수의 세포를 수집하였다. 세포침전물을 염화칼슘(CaCl 2 ),염화마그네슘(MgCl 2 )이 들어있지 않은 인산염완충액(DPBS; Dulbecco's Phosphated Buffered Saline)으로 세척하고 100㎕의 10% 디메틸술폭시화물(DMSO)이 첨가된 1 노르말농도(N)의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으로 현탁한 후 60℃에서 30분간 처리하고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합성 멜라닌으로 작성된 표준곡선으로부터 멜라닌 양을 환산하여 도 2에 도시하였다.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측정한 결과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구에 비해 가구닌 D (GD)의 농도가 2.5μM에서 11.1%, 7.5μM에서 27.3%, 10μM에서 45.3% 그리고 20μM에서 70.0% 멜라닌 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으로서 미백 개선 효과가 아주 우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IC 50 , 12.7μM) 특히, 20μM 농도의 가구닌 D는 1 mM 알부틴(arbutin)보다 강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능을 나타냈다. 또한 가구닌 D (GD)의 멜라닌 합성억제가 세포독성에 의한 것이 아님을 MTT 세포독성 평가를 통해 입증하였다 (도 2(B)).

    2-3. 멜라노사이트 세포에서 멜라노 생합성 관여 단백질 발현 억제효능 평가

    멜란-에이(Melan-a) 세포를 100mm 배양접시에 배양하고 염화칼슘(CaCl 2 ),염화마그네슘(MgCl 2 )이 들어있지 않은 인산염완충액(DPBS; Dulbecco's Phosphated Buffered Saline)으로 2회 세척후 가구닌 D를 최종농도 5, 10, 20 μM이 되도록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DPBS로 2회 세척한 후 끓고 있는 2 ⅹ 시료 loading buffer (250 mM Tris-HCl (pH 6.8), 4% SDS, 10% glycerol, 0.006% bromophenol blue, 2% β-mercaptoethanol, 50 mM sodium fluoride와 5 mM sodium orthovanadate)를 넣어 세포를 파쇄시키고 이를 100℃ 중에 5분간 두었다. 식힌 후 -20℃에서 보관하였고 사용 직전에 37℃에서 녹여 단백질 정량 및 전기영동에 이용하였다. 80μg의 단백질을 5 ~ 12% SDS-polyacrylamide gel (#456-1036, Bio-rad, Hercules, CA)을 이용하여 138 V에서 2시간 동안 전기영동 하였으며 분리된 단백질을 PVDF 멤브레인 (membrane, ISEQ15150, Millipore, Bedford, MA)으로 100 V에서 1시간 동안 옮긴 후 TBST로 2회 세척하고 blocking buffer (5% Albumin from Bovine Serum in PBS containing 0.1% Tween-20 (TBST))에 넣어 상온에서 1시간 동안 진탕기에서 배양하였다. 그 다음 TBST로 5분간 3회씩 세척한 후 해당 단일항체를 TBST로 3% Albumin from Bovine Serum (BSA (A9647, Sigma))로 희석하여 멤브레인(membrane)과 함께 4℃에서 18시간 반응시켰다. 멤브레인(Membrane, ISEQ 1S150, Millipore, Bedford, MA)을 TBST로 5분간 3회 세척한 후 HRP (horseradish peroxidase)-결합 이차항체를 TBST로 3% BSA로 1:1,000 ~ 1:2,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멤브레인(membrane)과 함께 상온에서 3 ~ 4시간 반응시켰다. 이후 TBST로 5분간 3회 세척한 후 웨스턴 블랏팅 기질 (WEST-ZOL PLUS(16021, Intron))을 처리하여 LAS-3000 (Fuji Film Corp., Japan)에서 단백질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타이로시나제(tyrosinase), 타이로시나제 연관 단백질 TRP-1, -2 (tyrosinase related protein 1, -2) 및 멜라닌 합성과 관련된 가장 주요한 전사인자인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와 MITF의 전사인자인 PAX3 (Paired box 3), SOX10 (SRY-related HMG-box 10) 단백질 발현이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멜란-에이 세포에 20μM 가구닌 D를 처리한 후 4시간부터 48시간까지 시간별로 MITF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시간 의존적으로 MITF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2-4. 가구닌 D의 멜라노생합성과 연관된 MITF , 타이로시나제 , TRP-1, PAX3 SOX10 유전자 발현 억제효능 평가

    생쥐의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인 멜란-에이(melan-a) 세포에서 MITF, 타이로시나제(tyrosinase), 타이로시나제 연관 단백질 (tyrosinase related protein, TRP)-1, PAX3 및 SOX10에 대한 유전자 발현 억제효능 평가를 위하여 100mm dish에서 멜란-에이 세포에 각각 가구닌 D를 농도별로 1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부착된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한 후 TRI reagent (TRIZol (#15596-026, Invitrogen))를 이용하여 세포를 깨서 모은 후 CHCl 3 를 첨가하여 RNA를 추출하여 isopropyl alcohol을 이용하여 침전시켰다. RNA 침전물을 70% 에탄올로 세척한 후 공기 중에서 건조시킨 후 nuclease-free water (AM9937, Ambion)를 이용하여 녹였다. 55℃에서 10분간 가열하고, 70℃에서 5분간 가열하여 RNA가 single strand 상태로 존재하도록 하였다. Total RNA를 NanoDrop (ND-1000, Dae Myung Sceince Co., Ltd)을 이용하여 정량하여 1μg/μl으로 희석한 후 avian myeloblastosis virus (AMV) reverse transcriptase (M5108, Promega)과 oligo(dT) 15 primer (C110B, Promega)를 이용하여 cDNA를 만들었다. iQ TM SYBR   Green Supermix (#170-8880, Bio-Rad), target gene-specific primers [표 1]를 이용하여 target gene을 MiniOpticon TM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 (CFB-3120, Bio-Rad)에서 증폭시켰다. Real-time PCR 조건은 95℃에서 20초간 변성(denaturation)시킨 뒤 95℃에서 20초 (denaturation), 56℃에서 20초 (annealing), 72℃에서 30초 (elongation)의 PCR cycle을 40회 반복하였고 이후 95℃에서 1분간 그리고 55℃에서 1분간 최종 단계를 거쳤다. MJ Opticon Monitor software (Opticon Monitor 3.1.32, Bio-rad)를 이용하여 리박 등 (Livak KJ et al (1996) Method 25:402-408)의 방법에 의하여 Ct 값을 결정하였고, 시료의 β-액틴의 Ct 값으로 보정하여 가구닌 D에 의한 MITF, tyrosinase, TRP-1, PAX3 및 SOX10의 유전자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다 자세하게 MITF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5μM에서 35%, 10μM에서 40%, 20μM에서 80% 감소하였고 타이로시나제의 경우 10μM에서 21%, 20μM에서 42% 감소하였으며 TRP-1의 경우 10μM에서 17%, 20μM에서 32% 감소하였다 (도 4A. 4B, 4C). 또한 MITF의 발현을 조절하는 인자인 PAX3 (Paired box 3)와 SOX10 (SRY-related HMG-box 10)의 유전자 발현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 (도 4D, 4E). 자세하게는 PAX3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5μM에서 23%, 10μM에서 23%, 20μM에서 46% 감소되었고 SOX10의 경우 10μM에서 4%, 20μM에서 31%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었다.

    [표 1] Real-time PCR primer

    2-5. 가구닌 D에 의한 MITF 타이로시나제 유전자가 도입된 가우시안 루시 퍼라제(gaussian luciferase ) 활성 저해효능

    Melan-a 세포에 Gaussia luciferase reporter 플라스미드인 pMITF-Gluc 또는 pTyr-Gluc과 전달이입 효율을 보정해 주기 위하여 firefly luciferase control vector (pFL)를 동시에 전달이입 한 후 가구닌 D를 농도별로 24시간 처리한 결과 MITF 및 타이로시나제 플라스미드 유입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멜라노제네시스에서 가장 주요한 효소계인 타이로시나제 수용체 유전자 활성이 가구닌 D 농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도 5).

    2-6. 가구닌 D의 세포유래 타이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능

    멜라닌 합성 과정에서 율속 단계 효소인 tyrosinase에 대한 활성을 확인하고자 Melan-a 세포로부터 타이로시나제를 포함한 세포 분해물을 이용하여 Cell-free 타이로시나제 활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세포 분해물에 GD를 농도별로 첨가하고 멜라닌의 기질인 L-Dopa를 처리한 결과 도 6(A)와 같이 농도 의존적으로 효소의 활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Melan-a 세포에 가구닌 D를 농도 별로 24 시간 처리한 다음 세포 분해물을 얻어 Cellular 타이로시나제 분석을 수행한 결과도 도 6(A)와 같이 농도 의존적으로 타이로시나제 활성이 억제되었다 (도 6B).

    2-7. 가구닌 D의 타이로시나제 분해 유도 효능

    생쥐의 멜라노사이트에서 48시간 동안 시간별로 타이로시나제의 단백질 발현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가구닌 D 처리시 효과적으로 타이로시나제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였다 (도 7A). 또한 도 7B에서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는 사이클로헥시마이드 (cycloheximide)를 처리하여 6시간 동안 타이로시나제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도 동일하게 가구닌 D 처리 시 대조군에 비해 타이로시나제 분해가 촉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26s 프로테아좀 저해제인 MG132를 처리하여 타이로시나제 단백질 발현을 확인한 결과 가구닌 D가 프로테아좀 관련 분해(Proteasomal degradation)를 통해 타이로시나제의 분해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7C).

    2-8. 가구닌 D의 멜라노좀 이동 ( Melanosome transfer) 억제 효능

    Melan-a 세포에 멜라노좀 이동의 주요 인자인 랩27a(Rab27a), 멜라노필린(Melanophilin) 그리고 MyoVa의 발현 분석에서 가구닌 D를 48시간 처리한 후 멜라노좀 이동과 관련되는 주요 인자에 대하여 단백질 발현을 분석한 결과 3개의 타겟인자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특히 멜라노필린과 MyoVa는 가구닌 D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히 단백질 발현이 감소되었다 (도 8A). 또한 면역세포화학(Immunocytochemistry) 분석법을 통해 20μM 농도의 가구닌 D 처리시 랩27a (Rab27a), 멜라노필린(Melanophilin) 그리고 MyoVa의 단백질 발현 억제를 재확인하였다 (도 8B).

    2-9. 3D 인공피부 모델에서 가구닌 D 처리 후 멜라닌 합성 억제 효능 및 독성 평가

    사람의 표피와 멜라노사이트를 포함한 3D 인공피부 모델 (Neoderm ® -ME)에 10μM 농도의 가구닌 D를 72시간 동안 처리한 결과 멜라닌 합성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으며 (도 9A). 또한 이는 가구닌 D의 멜라닌 합성 억제가 독성에 의한 것이 아님을 MTT 세포독성 평가를 통해 입증하였다 (도 9B).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크림 조성물, 마사지크림 조성물, 로션 조성물, 스킨로션 조성물, 에센스 조성물, 팩 조성물 및 클렌징폼 조성물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활성물질로서 해양 천연물인 해면 Phorbas 종에서 분리한 다이터페노이드(diterpenoid) 계열의 화합물인 가구닌 D도 화장료 조성물 및 미용식품 조성물로 사용시 다음 조성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크림 조성물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중량%)으로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로 가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제형예 2. 크림 조성물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중량%)으로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로 가열 용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제형예 3. 로션 조성물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중량%)으로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로 가열 혼합 유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제형예 4. 스킨로션 조성물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중량%)으로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제형예 5. 에센스 조성물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중량%)으로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제형예 6. 팩 조성물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중량%)으로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제형예 7. 클렌징폼 조성물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중량%)으로 수상과 오일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 검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또한 본 발명의 미용식품으로서의 제형예로서 츄잉껌, 캔디, 비스켓, 아이스크림, 소세지, 초콜렛, 일반 음료 및 미백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음료 제형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미용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츄잉껌(A)의 제조

    껌베이스 20 중량%

    설탕 76.5 중량%

    가구닌 D 함유 해면 Phorbas 종 추출물 0.5 중량%

    후르츠향 1 중량%

    물 2 중량%

    상기 조성 및 함량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 츄잉껌(B)의 제조

    껌 베이스 25 중량%

    솔비톨 72 중량%

    가구닌 D 함유 해면 Phorbas 종 추출물 0.5 중량%

    페퍼민트 후레버 2.5 중량%

    상기 조성 및 함량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 캔디(A)의 제조

    설탕 54.5 중량%

    물엿 45 중량%

    가구닌 D 함유 해면 Phorbas 종 추출물 0.4 중량%

    오렌지향 0.1 중량%

    상기 조성 및 함량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 캔디(B)의 제조

    말티톨 53.6 중량%

    환원물엿 45 중량%

    가구닌 D 함유 해면 Phorbas 종 추출물 0.5 중량%

    천연허브향 0.14 중량%

    상기 조성 및 함량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 비스켓의 제조

    박력1급 밀가루 88 kg

    중력1급 밀가루 76.4 kg

    정백당 16.5 kg

    식염 2.5 kg

    포도당 2.7 kg

    팜쇼트닝 40.5 kg

    암모 5.3 kg

    중조 0.6 kg

    중아황산나트륨 0.55 kg

    쌀가루 5.0 kg

    비타민 B 1 0.003 kg

    비타민 B 2 0.003 kg

    밀크향 0.16 kg

    물 71.1 kg

    전지분유 4 kg

    대용분유 1 kg

    제일인산칼슘 0.1 kg

    살포염 1 kg

    분무유 25 kg

    가구닌 D 함유 해면 Phorbas 종 추출물 1.7 kg

    상기 조성 및 함량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비스켓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 아이스크림의 제조

    유지방 10.0 중량%

    무지유고형분 10.8 중량%

    설탕 12.0 중량%

    물엿 3.0 중량%

    유화안정제(스팬,span) 0.5 중량%

    향료(스트로베리) 0.15 중량%

    물 63.05 중량%

    가구닌 D 함유 해면 Phorbas 종 추출물 0.5 중량%

    상기 조성 및 함량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아이스크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 소세지의 제조

    돈육 63.6%

    계육 27.5%

    전분 3.5%

    대두단백 1.7%

    식염 1.62%

    포도당 0.5%

    기타첨가물(글리세린) 1.34-1.46%

    가구닌 D 함유 해면 Phorbas 종 추출물 0.12-0.24%

    상기와 같이 배합하여 미백효과가 있는 소세지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8 : 초콜렛의 제조

    설탕 34.5 중량%

    코코아 버터 34 중량%

    코코아 매스 15 중량%

    코코아 파우다 15 중량%

    레시틴 0.5 중량%

    바닐라향 0.5 중량%

    가구닌 D 함유 해면 Phorbas 종 추출물 0.5 중량%

    상기 조성 및 함량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초콜렛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9. 장건강 미백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음료의 제조

    가구닌 D 함유 해면 Phorbas 종 추출물 5 중량%

    프로바이오틱스 19.885 중량%

    이소말트 12 중량%

    분말결정포도당 12 중량%

    치커리추출분말 3 중량%

    혼합탈지분유 10 중량%

    식물성크림 10 중량%

    자일리톨 9 중량%

    프락토올리고당 9 중량%

    생선콜라겐 5 중량%

    밀크향분말 1 중량%

    요구르트향분말 1 중량%

    이산화규소 1 중량%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 중량%

    비타민 C 0.5 중량%

    건조난황분말 0.5 중량%

    효소처리스테비아 0.09 중량%

    비타민 B2 0.02 중량%

    엽산 0.005 중량%

    제조예 10. 미백 음료의 제조

    가구닌 D 함유 해면 Phorbas 종 추출물 1000 m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高效检索全球专利

    专利汇是专利免费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国家发明专利查询检索分析平台,是提供专利分析,专利查询,专利检索等数据服务功能的知识产权数据服务商。

    我们的产品包含105个国家的1.26亿组数据,免费查、免费专利分析。

    申请试用

    分析报告

    专利汇分析报告产品可以对行业情报数据进行梳理分析,涉及维度包括行业专利基本状况分析、地域分析、技术分析、发明人分析、申请人分析、专利权人分析、失效分析、核心专利分析、法律分析、研发重点分析、企业专利处境分析、技术处境分析、专利寿命分析、企业定位分析、引证分析等超过60个分析角度,系统通过AI智能系统对图表进行解读,只需1分钟,一键生成行业专利分析报告。

    申请试用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