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리퍼 보트

申请号 KR2020090009179 申请日 2009-07-15 公开(公告)号 KR2020110000694U 公开(公告)日 2011-01-21
申请人 최용희; 发明人 최용희;
摘要 본 고안은 조립식 쌍 동선 구조의 선체를 이용한 자동차의 수상 운행 장치로 수상 운행 필요 시 선체를 조립하거나, 미리 조립한 선체 위로 자동차가 올라간 다음, 그 자동차의 타이어 회전 동력으로 선체와 함께 수상을 자유자재로 운행하게 된다.
기존의 수륙양용차는 군사용 외, 특수한 목적으로만 사용되어 와서 일반인들이 활용하기에는 차량 구조와 외관, 특수 기능 등으로 인한 높은 가격 때문에 통상적인 육상 운행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현재 수상 스포츠의 저변 확대 등으로, 수륙양용차에 대한 수요가 일고 있고, 각국에서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으나 수요층을 만족할 적정 가격, 통상 운행의 편이성, 선체 안정성, 차량 디자인 등을 고루 갖춘 차량들이 나오지 않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선체에 해당되는 부분은 조립이 가능한 쌍 동선 구조를 채택하고 그 선체 위로 육상을 운행하는 일상의 각종 자동차가 탑재되어 탑재된 자동차의 타이어가 회전하면서 선체 하부와 조립되는 공기부양과 밸러스트 기능과 육상운행을 동시에 갖춘 수중의 추진 동체인 부양 탱크로 전달되고 그 부양 탱크에 장착된 밸트 롤러가 회전하면서 물속으로 들 어가고 이어서 밸트 롤러와 동 연결된 추진 동체의 스크류에 타이어 회전동력이 전달되면서 선체는 수상을 운항하게 된다.
선체 후진의 경우에도 자동차의 후진 기어로 타이어가 역회전이 되어 역시 선체의 추진체도 역회전이 되고, 선체의 좌,우 조향에 있어사도 타이어와 접촉이 되어 있는 동력 전달 롤러와 추진 동체 전체가 타이어의 좌우 조향에 따라 같이 회전이 되어 기존 선박의 방향 조정 키가 필요없이 선체가 좌우 회전이 가능하다.
선체에 올라간 일상의 자동차의 동력을 이용하고 조종 또한 일상 자동차의 운전 방법과 똑같기 때문에 아무나 수상에서 기존의 자동차를 이용한 여러 가지의 수상 스포츠를 즐길 수 있고, 내 트럭을 이용한 어로작업이 가능하고, 기존의 바지선에 상기와 같은 동력 전달장치를 신규, 내지 개조 장착하여 바지선을 예인하는 예인선이 없이도 대형화물 트럭이 컨테이너를 한번에 수십 대를 수상 운반할 수 있고, 굴삭기와 카고 크레인을 탑재하여 모래 채취, 운반, 수중 굴착작업이 가능하다.
특히 군사용에 있어서 기존의 수륙양용차량을 이용하지 않고도 각종의 일반 육상 군 수송용 차량으로 단독 도강, 해안 상륙작전이 가능하다.
쌍 동선, 수륙양용자동차, 바지선
权利要求
  • 선체와 자동차와 추진장치와 공기부양 탱크가 분리되어 운반, 조립이 가능 한 선박.
  • 선체에 탑재된 자동차 바퀴의 회전 동력을 선체 수중 추진체로 전달하는 장치.
  • 선체에 탑재된 자동차 바퀴의 조향을 이용한 선박 조향장치.
  • 입수를 위한 롤러와 벨트를 이용한 동력 전달장치가 장착된 선체.
  • 说明书全文

    스리퍼 보트{sleeper boat}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은 기존의 수륙양용차는 특수한 분야나 군사 목적을 위한 전용차량으로 만들어져 복잡한 구조와 높은 가격으로 인하여 일반인들이 수상 스포츠나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불가능한 실정이다.

    현재 육상을 운행하는 차량을 이용하여 육상과 수상을 마음대로 운행하고 그 선체 가격 또한 저렴할 경우에는 그 용도는 무한하다.

    특히 기존의 군사용은 물론 수상 레저 스포츠, 어로작업, 각종 대형 운반 수단, 연안 토목공사 등, 각 방면에 응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서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육상을 운행하는 차량과 그 차량을 탑재할 수 있는 조립식 선체와 탑재한 차량의 동력을 이용하여 추진하는 추진체로 구성되어 진다. 물속의 추진체는 선체의 육상 추진은 물론, 선체의 부양탱크 겸 밸러스트 기능까지 포함한다.

    선체는 탑재되는 자동차의 타이어 회전동력을 선체에 장착된 롤러로 전달받 아서 물속 추진체를 회전시켜 운항하게 된다.

    조종 방법에 있어서는 탑재된 자동차와 똑같은 육상운전 방법으로 전진 할 경우에는, 타이어의 회전대로 선체 롤러와 연결된 추진체도 전진회전을 하게 되고, 반대로 후진할 경우도 후진기어로 인한 타이어의 역회전을 전달받아 추진체가 역회전을 하게 되고, 선체 역시 후진한다.

    조향 방법은 타이어에 접촉되어 있는 수상운항용 추진동체가 타이어의 좌우 회전과 같이 회전되어 선체를 좌, 우로 회전시키므로 기존 선박들의 방향타가 필요없는 것이 기술분야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배경 기술은 선체를 쌍 동선의 안정적인 구조와 추진체의 추진 동력은 선체에 탑재된 자동차에서 전달받아 본 고안의 선박이 운항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기부양 탱크와 적재하중에 대한 부력 상승을 위한 밸러스트 기능을 도입하였고 물속으로 진입하기까지의 육상운행 구조와 진입 후 수상운항을 위한 추진장치로 구성되고 해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그 배경 기술로 하였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의 수륙양용차는 군사용 이나 특수 용도로만 사용되는 별도의 자동차로서 특수분야의 소량 수요로 인한 자동차의 높은 가격과, 구조와 디자인, 육상에서의 일반적 운행이 쉽지 않다.

    또한 파랑과 파도로 인한 선체의 요동을 최소화하여 탑승객들의 멀미를 최대한 감소시켜 이용도를 높여야 하고, 어민들의 어로 작업에도 적용이 가능해야할 뿐더러 레저 스포츠의 활성화에 부응하여 본인 자동차를 이용한 낚시, 스쿠버 다이빙의 활성화 외에 새로운 수상 스포츠를 개발하는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특히 본 고안이 바로 군사적 용도에 있어서 기존의 수륙양용 군차량은 군병력의 도강이나 해안 상륙 후에는 육상용 수송 차량보다 그 기능의 민첩성이 떨어지고 그 차량 가격도 만만치 않다. 고로 육상용 수송 차량이 도강과 해안상륙을 동시 해결해야 하는 것도 주요 해결 과제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가 아예 물과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수질오염관계와는 거리가 멀지만, 기존의 수륙양용자동차는 육상운행을 하다가 물로 들어갈 시에 차체 하부의 여러 가지 오염 물질들이 함께 물에 씻겨져 나가는 것도 걸림돌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해야 할 수단으로 먼저 간편화, 대중화를 위하여 선체와 차량과 추진 장치를 분리하여 운반과 조립이 쉽도록 하여 일반 대중화로 인한 대량의 수요 창출로 저렴한 가격의 선체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기존의 수륙양용차는 차량 하부가 물에 잠겨 차량 하부의 각종 오염물질들에 의한 오염이 우려되지만 본 고안은 차량이 선체 속에 있고 물속 추진체의 자체 부력만으로도 선체를 원하는 높이의 수상으로 띄울 수 있는 밸러스트 기능 때문에 물과 아예접촉도 하지 않아서 오염 걱정은 없다.

    선체 요동감소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선체는 수면에 떠 있어서 선체와 추진체의 연결 부분만이 접촉이 되어 파랑과 파도에는 큰 영향이 없는 관계로 탑승자들의 멀미가 최소화되므로 그 이용도를 높이게 되고, 수면 밑의 추진체에도 큰 요동이 전달되지 않아서 선체는 최대의 안정성을 가지게 된다.

    어민들의 어로작업 또한, 항구에서의 어획물 육상 인양과 운반 과정은 어로 작업용 선체에 탑재되었던 화물차량이 선체를 내려와 어획물과 함께 하선한 다음, 선체까지 해체하여 화물 트럭에 실어 이동이 가능하고, 선체이동이 필요없을 경우에는 지금처럼 그냥 항구에 정박해 둘 수도 있는 편리성이 있다.

    기존 수상 레저활동에 있어서 수상 스포츠 활성화와 새로운 스포츠 개발에 대한 해결 과제는 현재 낚시와 스쿠버 다이빙의 경우 내 차량으로 원하는 시간, 장소, 이동이 자유롭고, 본 고안의 차량과 선체를 이용한 속도경쟁과 곡예운행 등, 자동차와 선체 디자인 대회 등, 여러가지 방법의 새로운 활동을 개발 할 수도 있다.

    특히 본 고안의 군사용 이용에 있어서 많은 육상용 각종 군 수송차량 들이 각각으로 탑재되어 도강이나 해안상륙 후 탑재 차량은 바로 선체를 벗어나 신속하게 이동, 다음 작전을 수행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적은 비용으로 자기 소유의 유선 선박을 보유할 수 있게 되어 우선 기존의 수상 스포츠 이용 층의 저변 확대와 본 고안의 차량을 이용한 속도경쟁, 곡예운항, 선체 디자인 쇼와 각종의 이벤트 등의 새로운 수상 스포츠 아이템이 개발되는 효과와, 일반 어로작업에 본 고안을 접목하면 어민들의 해상 어로 작업 후 어획물의 육상 인양 작업이 생략되고, 운반, 수송이 매우 편해진다.

    육지와 섬, 섬과 섬 사이의 시간 제약 없는 응급 여객운송, 각종 화물의 수송수단은 물론 특히 군사작전의 도강, 해안 상륙 등에 있어서 기존의 장비와 함께 신속한 군병력 이동과 빠른 기동성을 발휘하는 효과도 매우 중요하다.

    강과 연안 해상의 각종 토목공사와 그에 따른 인력 및 자재수송, 모래 채취, 운반 등에도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결국 수중 추진체의 벨러스트 기능으로 전복 위험이 전혀 없는 안정적 구조로 인하여 해난 사고가 거의 없는 것이 그 주 효과라고 할 수 있겠다 .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먼저 기 제작된 쌍 동선 선체(1)을 조립하고 그 선미의 데크 (2)를 이용하여 배 위로 자동차가 올라가서 앞타이어 (3)을 선체의 동력전달 롤러(4)에 올려놓는다.

    구성된 수중 추진 동체 (10)의 축 (15)와 연결되는 크러치 (12)를 롤러(4)의 방향으로 밀면 육상 운행용 체인 기어 (13)과 체인(14)가 회전되면서 입수용 롤러 (11)이 회전하며 네 군데의 평 밸트(14)를 돌리게 되어 선체가 입수하게 된다.

    선체의 입수가 시작됨과 동시에 자동차 타이어(3)의 회전 동력이 롤러(4)를 돌려 선체와 추진 동체를 연결하는 원형 연결관 (9)와 그 속으로 롤러(4)와 연결된 밸트 (5)가 직각으로 엇물린 추진축의 풀리 (6)을 회전시켜 동 축의 스크류 (7)이 회전하면서 선체는 수상으로 뜨면서 앞으로 나가게 된다.

    수상에서의 후진 조작도 마찬가지로 자동차의 후진 기어를 넣어 타이어가 역회전하면 롤러(4)와 추진축 풀리 (6)과 스크류 (7)이 역회전하게 되어 선체(1) 역시 후진을 하게 된다.

    선체의 좌,우 조향 방법은 자동차의 핸들 조작에 따라 양 타이어(3)에 접촉되는 접촉 롤러 (4)와 회전 베어링(16)으로 회전되는 원형 연결관(9)를 통과한 밸트 (5)가 풀리 (6)과 스크류 (7)이 모두 일체가 되어 있어서 타이어 (3)의 좌우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게 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운항하게 된다.

    자동차의 운전 방법과 동일하여 자동차를 운전할 줄 안다면 누구나 물 위를 달릴 수 있다. 선착장이 확보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대로 정박시킬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분해하여 차량에 실어버리면 된다.

    어로 작업의 경우 화물 트럭이 선체에 올라가 운항하고 어로 작업으로 인한 각종 수산물들은 탑재 차량의 적재함에 싣고 항구로 귀항해서 선체는 그냥 항구에 정박시킬 수도 있고 트럭만 내려와서 어획물 처리를 위한 공판장이나 원하는 목적지로 가면 된다.

    군작전의 도강 작전의 경우나 해안 상륙의 경우도 군용 찝 차를 위시한 각종 의 군용 트럭과 군장비에 본 고안을 응용 설치하여 동일 방법으로 활용하면 된다.

    해양 토목공사에도 기존의 바지선들을 탑재 차량의 종류에 맞게 본 고안으로 개조하거나 신규 제작하여 별도 예인선 필요없이 탑재된 장비의 동력으로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작업 내지 운항하면 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선체에 차량이 탑재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입수 및 공기부양 탱크의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동력 전달장치 측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동력 전달장치의 정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동력 전달장치의 평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입수용 동력 전달장치의 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의 도 8 의 크러치 상세도.

    도 10 은 입수용 선체 거치대의 사시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