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형 트랙터

申请号 KR1020040059554 申请日 2004-07-29 公开(公告)号 KR1020040076839A 公开(公告)日 2004-09-03
申请人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发明人 오스가마사시; 시마다히로시; 시바타다카시; 오시마히로시; 하라다에리야; 가와바타히로시; 도미야마요시오;
摘要 PURPOSE: A frame-type tractor is provided to effectively reinforce a frame and to additionally mount an operation machine as a front loader, a back hoe, or a mower unit. CONSTITUTION: A frame-type tractor has an engine(10) mounted in a front region of a main frame(40)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a vehicle body and a transmission case(11) attached in a rear region. A back hoe attaching frame(42) is stuck to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The main frame is composed of a pair of left and right longitudinal members(40A) and at least one cross member(44A,44B,44C) for connecting the longitudinal members.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cross units(100,200) are mounted i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transmission case to connect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members and coupled with the transmission case.
权利要求
  • 차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40)의 전방영역에 엔진(10)이, 후방영역에 미션 케이스(11)가 부착된 프레임형 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후단에 백 호 부착 프레임(42)이 부착되고, 또한
    메인 프레임(40)은 좌우 한 쌍의 장척부재(40A)와 이 장척부재(40A)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부재(44A,44B,44C)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미션 케이스의 전후에서 좌우 장척부재(40A)를 연결하는 제1 보강 크로스 유닛(100)과 제2 보강 크로스 유닛(20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형 트랙터.
  •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보강 크로스 유닛(100)과 제2 보강 크로스 유닛(200)은 미션 케이스와도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형 트랙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엔진의 측방위치에 프론트 로더 설치부(41)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중간영역에 모워 유닛(6)을 매달기 유지하기 위한 모워 매달기 기구(5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형 트랙터.
  • 제 1 항에 있어서, 백 호 부착 프레임(42)은, 좌우 한 쌍의 측벽체(42a)와, 상기 측벽체(42a)의 상단 끼리를 연결하는 천장벽체(42b)와, 상기 측벽체(42a)의하단 끼리를 연결하는 바닥벽체(42c)로 이루어지는 틀구조체로서 그 안쪽에 내부공간을 만들어 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형 트랙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백 호 부착 프레임(42)에, 3점 링크 기구의 톱 링크가 부착되는 톱 링크 부착부와, 로워 링크가 부착되는 로워 링크 부착부가 설치되고, 백 호 부착 프레임(42)의 내부공간에 상기 미션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형 트랙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40)은 상기 장척부재의 좌우 방향 바깥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그 양단에서 상기 장척부재(40A)와 연결되어 있는 서브 장척부재(43A,43B)로 이루어지는 서브 프레임(43)에 의해 보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좌우 각각의 장척부재(40A)와 서브 장척부재(43A,43B) 사이에, 모워 유닛(7)을 매달기 유지하기 위한 모워 매달기 기구(55)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형 트랙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 호 부착 프레임(42)의 상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백 호 부착 프레임(42)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을 연결하는 프레임 보강 유닛(5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형 트랙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크로스 유닛(100) 및 제2 보강 크로스 유닛(200)의 각각은 종부분과 횡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L자 형상의 2개의 분할체로 이루어지고, 각 횡부분은 서로 연결해제 자유롭고, 각 종부분은 상기 미션 케이스(11)에 연결해제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형 트랙터.
  •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보강 크로스 유닛(100)과 제2 보강 크로스 유닛(200)은, 주강 또는 주물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형 트랙터.
  • 说明书全文

    프레임형 트랙터{FRAME TYPE TRACTOR}

    본 발명은, 차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의 전방영역에 엔진이, 후방영역에 트랜스미션 케이스(이하 "미션 케이스"로도 약칭한다)가 부착된 프레임형 트랙터에 프론트 로더(front loader)나 백 호(back hoe)나 모워 유닛(mower unit) 등의 작업기를 탑재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0-273901호 공보나 USP6056502호로부터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트랙터의 전방부에 프론트 로더를 장착하고, 트랙터의 후방부에 백 호를 장착한 복합 작업차로서 TLB(트랙터·로더·백 호)라고 불리는 것이 있다. 이 TLB에 있어서는, 엔진의 후면에 클러치 하우징을 연결설치하고, 이 클러치 하우징을 통해 미션 케이스를 연결설치한 것으로 모노콕구조(일체구조)의 트랙터 차체를 구성함과 동시에, 이 트랙터 차체를 보강하는 보강틀이 전후방향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이 보강틀의 전방부측에 프론트 로더가 장착되고, 보강틀의 후방부측에 백 호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타입의 TLB에서는, 백 호 작업 때의 굴착력, 로더 작업 때의 적재력 등의 부하는, 트랙터 차체 및 보강틀로 분담하여 받고 있었다.

    또한, 일본 특개평 11-332346호 공보에서는, 좌우 한 쌍의 판재를 크로스 부재로 상호 연결하여 구성된 차체 프레임의 전방부에 엔진을 탑재하고, 후방부에 미션 케이스를 탑재한 프레임형 트랙터가 알려져 있고, 이 차체 프레임의 중간부에 모워 유닛를 매달 수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프레임형 트랙터의 차체 프레임은 그다지 강성이 높지 않고, 그 후방부에 백 호를 탑재하는 것은 단념되어 있다. 이것은, 이와 같은 차체 프레임의 후방부에 백 호를 부착한 경우 백 호 작업시에 있어 백 호로부터의 비틀림 하중이 차체 프레임에 작용하고, 이 비틀림 하중에 의해, 차체 프레임과 미션 케이스의 연결부분이나 미션 케이스에 무시할 수 없는 부하가 걸리기 때문이다. 또한, 차체 프레임의 후방부에는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rollover protection system)도 부착될 필요가 있고, 차체 프레임의 효율적인, 즉 차체 프레임의 구조의 복잡화, 중량 상승, 비용 상승 등을 불필요하게 초래하는 것이 없는 보강기술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의 전방영역에 엔진이, 후방영역에 트랜스미션 케이스가 부착된 프레임형 트랙터에 있어서, 효율적인 프레임 보강을 행하고, 프론트 로더나 백 호나 모워 유닛등의 작업기를탑재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TLB의 측면도이다.

    도 2는 TLB를 구성하는 트랙터의 차체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차체 프레임 및 백 호 기대 등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차체 프레임 및 백 호 기대 등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차체 프레임 후방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트랜스미션 영역에서의 차체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제1 보강 크로스 유닛의 일방측의 반분체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8은 제1 보강 크로스 유닛의 타방측의 반분체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9는 트랜스미션 영역에서의 차체 프레임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제2 보강 크로스 유닛의 일방측의 반분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제2 보강 크로스 유닛의 일방측의 반분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모워의 매달기 기구 및 승강기구를 도시하는 우측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모워의 매달기 기구 및 승강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모워 및 매달기 기구 등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부착 프레임 및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부착 프레임 및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하부의 배면도이다.

    도 17은 부착 프레임 및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하부의 배면도이다.

    도 18은 차체 프레임 후방부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백 호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백 호의 연결부분의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백 호의 연결부분의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운전석의 전향자세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운전석의 후향자세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메인 프레임의 후단에 백 호 부착 프레임이 부착되고, 또한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을 지지고정하기 위해 상기 백 호 부착 프레임의 상부에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백 호 유닛과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이 동일한 부착 프레임에 부착되기 때문에, 백 호 반력에 대한 강도 확보와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로서의 강도 확보가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효율적인 보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도 백 호 반력에 대한 강도 멤버로서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백 호 부착 프레임은, 좌우 한 쌍의 측벽체와, 상기 측벽체의 상단 끼리를 연결하는 천장벽체와, 상기 측벽체의 하단 끼리를 연결하는 바닥벽체로 이루어지는 틀구조체로서 그 안쪽에 내부공간을 만들어내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좌우의 측벽체에 백 호 유닛과 걸어맞춤 연결하는 백 호 유닛 부착부와 상기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가 설치되어 있다면, 횡방향(측방)으로부터의 백 호 반력에 대한 강도 및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강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상기 백 호 부착 프레임에, 3점 링크 기구의 톱 링크가 부착되는 톱 링크 부착부와, 로워 링크가 부착되는 로워 링크 부착부가 설치되고, 백 호 부착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상기 미션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도록 구성한다면,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로서의 강도 확보에 더하여, 3점 링크 기구의 강도 확보도 동시에 가능하게 되는 효율적인 보강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배면에서 보았을 때 백 호 부착 프레임의 틀내에 미션 케이스가 수납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미션 케이스에 걸리는 힘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좌우 한 쌍의 장척(長尺)부재로부터 구성되고, 이 메인 프레임은 상기 장척부재의 좌우방향 바깥쪽측에 배치됨과 함께 그 양단에서 상기 장척부재(40A)와 연결되어 있는 서브 장척부재로 되는 서브 프레임에 의해 보강되어 있고, 상기 좌우 각각의 측의 장척부재와 서브 장척부재의 사이에 모워 유닛을 매달기 유지하기 위한 모워 매달기 기구가 배치된다면, 서브 프레임에 의해, 백 호로부터의 하중을 분산할 수 있음과 동시에, 뒤틀림에 대한 강도가 향상된다.

    또, 메인 프레임의 장척부재에 모워를 매달기 유지하기 위한 모워 매달기 기구를 설치하면, 서브 프레임이, 방해로 되지만, 좌우 동일측에 있는 장척부재와 서브 프레임의 사이에, 모워 매달기 기구를 배치하는 배치 공간을 설치한 것에 의해, 충분한 들어올리기 높이를 가지는 모워 매달기 기구를, 메인 프레임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의 좌우 지주를 위해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가 준비되고, 그러한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에 의해, 횡방향(측방)으로부터의 백 호 반력에 대한 강도 및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강도가 또한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미션 케이스의 측방에 후륜이 배치되고, 상기 후륜과 상기 백 호 부착 프레임과 상기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이 실질적으로 동일 연직면내에 위치하고 있게 되면, 백 호 부착 프레임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미션 케이스와 메인 프레임 후단과의 거리가 짧고, 백 호 유닛을 부착한 경우에도, 중량 밸런스가 그다지 악화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백 호 부착 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백 호 부착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을 연결하는 프레임 보강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이들 메인 프레임, 백 호 부착 프레임,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 프레임 보강 유닛에 의해, 메인 프레임의 후방부에 큰 트러스 구조가 형성되고, 후방으로부터의 힘에 대한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강도가 확보될 수 있음과 동시에, 메인 프레임의 후방부에 백 호를 부착해도, 백 호 반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확보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단에 백 호 부착 프레임이 부착되고, 또한 메인 프레임은 좌우 한 쌍의 장척부재와 이러한 장척부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부재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미션 케이스의 전후에서 좌우 장척부재를 연결하는 제1 보강 크로스 유닛과 제2 보강 크로스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의 프레임형 트랙터에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부착된 백 호 유닛에 의한 굴착작업을 실시하는 때의 굴착 반력은, 좌우 한 쌍의 장척부재와 제1 보강 크로스 유닛과 제2 보강 크로스 유닛으로 구성되는 구조에 의해 받아 낼 수 있다. 따라서, 트랜스미션 케이스에는 큰 부하가 걸리지 않기 때문에, 트랜스미션 케이스를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경합금제로 할 수 있어, 차체의 경량화에 공헌한다.

    이 제1 보강 크로스 유닛과 제2 보강 크로스 유닛은, 각자 일체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종부분과 횡부분을 가지는 대략 L자 형상의 2개의 반분체로 구성되고, 2개의 반분체를 연결해제 자유롭게 함으로써, 장척부재 및 미션 케이스의 치수오차를 조립지그 등을 이용하여 확실하게 효율 좋게 흡수할 수 있다. 제1 보강 크로스 유닛과 제2 보강 크로스 유닛은, 프레스 가공재, 절삭 판재 등으로 제작할 수 있지만, 주강제(주물제)로 하는 것에 의해 충분한 강성을 확보한 상태로 생산(제조)에 있어서도 유리하게 된다.

    상술하는 바와 같은 보강기술을 행한, 본 발명의 프레임형 트랙터에 있어서는, 전방부에 프론트 로더, 후방부에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과 백 호 유닛, 중간부에 모워 유닛을 탑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과 이점은, 이하의 도면을 이용한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트랙터(2)의 전방부에 프론트 로더(3)를 장착함과 동시에, 트랙터(2)의 후방부에 백 호 유닛(4)를 장착한 TLB(트랙터·프론트 로더·백 호)라고 칭해지는 다목적 트랙터(1)가 도시되어 있고, 또한 이 트랙터(2)의 전후방향 중간부의 하부에 모워 유닛(6)이 탈착 자유로이 장착 가능하다

    이 트랙터(2)는 소형 경량의 프레임형 트랙터이고, 트랙터(2)는 차체(5)와이 차체(5)를 주행가능하게 지지하는 조향전륜(7) 및 구동후륜(8)을 포함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5)는 차체 프레임(9)과 이 차체 프레임(9)의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10)과 후방부에 탑재된 미션 케이스(11)로 이루어진다. 엔진(10)의 배면 하부에 출력축이 설치되고, 이 출력축으로부터 드라이브 샤프트(17)을 통해 미션 케이스(11) 내의 전동기구에 회전 동력이 전달되게 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11)의 상부에는,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23)가 설치되고, 이 유압장치(23)에는, 유압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운동하는 리프트 암(36)이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전륜(7)은 엔진(1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후륜(8)은 미션 케이스(11)의 좌우 양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미션 케이스(11)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 차체(5)의 전방부에는, 엔진(10) 등을 덮는 보닛(12)이 설치되고, 좌우의 후륜(8)을 덮는 좌우의 후륜펜더(13) 사이에는, 운전석(14)이 설치되고, 이 운전석(14)은 전후 반전 자유로이 장착되어 있고, 전향자세와, 후향자세로 자세변경 자유로이 되어 있고, 운전석(14)의 전방에는, 조종 핸들(15)이 설치되어 있다. 또, 차체(5) 후방부의, 운전석(14) 후방에는,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ROPS: rollover protection system)(1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미션 케이스(11)는, 본 실시 형태로는, 알루미늄다이케스트제이다.

    상기 프론트 로더(3)는, 사이드 프레임(18)과, 이 사이드 프레임(18)의 상부에 좌우 방향의 축심 회전에 회전운동 자유로이 피벗부착된 붐(19)과, 이 붐(19)의 중도부와 사이드 프레임(18)의 사이에 개장되어 있어 붐(19)를 상하운동시키기 위한 붐 실린더(20)가, 보닛(12)의 좌우 양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좌우의 붐(19)의 전단사이에 걸쳐 버킷(21)이 퍼올림·덤프 동작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붐(19)과 버킷(21)과의 사이에는, 버킷(21)을 동작시키는 버킷 실린더(22)가 개장되어 있다.

    상기 백 호 유닛(4)은, 기대(24)와, 그 전방부에 고정된 연결 브래킷(25)과, 기대(24)의 상부에 설치된 조종장치(26)와, 기대(24)의 후방부에 요동종축 주위로 좌우 요동 자유로이 피벗된 붐 브래킷(27)과, 이 붐 브래킷(27)에 횡축을 통해 좌우 방향의 축심 회전으로 회전운동 자유로이 피벗된 붐(28)과, 붐(28)의 선단측에 좌우 방향의 축심 회전으로 회전운동 자유로이 피벗된 암(29)과, 이 암(29)의 선단측에 퍼올림·덤프 동작가능하게 설치된 버킷(30)과, 기대(24)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아우트트리거(31)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기대(24)에는, 요동종축 주위에 붐 브래킷(27)을 좌우 요동시키는 스윙 실린더(35)가 설치되고, 붐 브래킷(27)과 붐(28)의 사이에는, 붐(28)을 상하 요동시키는 붐 실린더(32)가 개장되고, 붐(28)과 암(29)의 사이에는, 암(29)를 요동시키는 암 실린더(33)가 개장되고, 암(29)와 버킷(30)의 사이에는 버킷(30)을 동작시키는 버킷 실린더(34)가 개장되어 있다. 또한, 좌우 각 아우트트리거(31)는, 일단측이 기대(24)에 전후축회전으로 상하 요동 자유로이 피벗됨과 동시에 타단측에 접지판이 설치된 각체(脚體)와, 이 각체와 기대(24)의 사이에 개장되고 각체를 상하 요동시키는 유압 실린더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프레임형 트랙터(2)의 차체 프레임(9)은, 도 3,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40)과 서브 프레임(43)과 메인 프레임(40)의 후단에 장착되어 있는 백 호 부착 프레임(42)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40)은 차체 전후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된 2개의 장척부재(40A)로 이루어지고, 이 실시 형태에서 장척부재(40A)는 평 플레이트로 제작되어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40)의 전방 영역에 있어 양측에서 차체 횡단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고더 지지 프레임(41)이 장착되어 있다. 로더 지지 프레임(41)은, 엔진(10) 및 전륜(7)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장척부재(40A)로부터 좌우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한 브래킷(45)과, 이 브래킷(45) 위로 상방돌출형상으로 고정된 부착부재(46)를 구비하고 있고, 부착부재(46)에 프론트 로더(3)의 사이드 프레임(18)이 착탈 자유로이 부착된다.

    메인 프레임(40)은, 띠판재(철판, 강철판 등)로 제작된 장척부재(40A)를 전방측으로 상호 연결하는 크로스바(44A), 중앙부에서 상호 연결하는 크로스플레이트(44B), 후방측으로 상호 연결하는 크로스바(44C)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크로스 부재와 백 호 부착 프레임(42)에 의한 연결 구조에 의해, 메인 프레임(40)은 높은 염 강성을 확보하고 있다.

    메인 프레임(40)의 전방측에서는 엔진 부착부로서의 고무 마운트 부재를 통해 엔진(10)이 좌우 전후의 4곳에서 방진적으로 지지되고, 메인 프레임(40)의 후방측에서는 트랜스미션(11)이 트랜스미션(11)의 전후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보강 크로스 유닛(100)과 제2 보강 크로스 유닛(200)의 도움으로 지지되어 있다.

    좌우의 서브 프레임(43)은, 메인 프레임(40)의 장척부재(40A)보다도 폭이 좁은 띠판재(철판,강철판)로부터 제작된 제1 판재(43A)와 제2 판재(43B)를 그 수평 방향의 굴곡부의 전후에 걸쳐 서로 포개어 고착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제1 판재(43A)는 장척부재(40A)의 후방부측에 디스턴스 칼라(43a)를 개재시키고 볼트(43b)로 연결하고 있고, 굴곡부에 의해 횡방향 확대되어 있는 제2 판재(43B)는 플랜지·볼트 접합수단(43C)을 통해 로더 지지 프레임(41)의 브래킷(45)에 연결되어 있다. 이 굴곡부에 의해 이 서브 프레임(43)은, 전후방향 중도부가, 전방을 향함에 따라 좌우 방향 바깥쪽으로 이행한 경사형상으로 되고, 후방부측으로 메인 프레임(40)과의 간격이 좁고, 전방부측으로 메인 프레임(40)과의 간격이 넓어진다.

    즉, 좌우 각 서브 프레임(43)은, 장척부재(40A)의 측방에, 장척부재(40A)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백 호 부착 프레임(42) 및 메인 프레임(40) (장척부재(40A))의 후방부와, 로더 지지 프레임(41)(브래킷(45))을 연결하고 있고,이 구조에 의해 백 호 유닛(4)으로부터 차체 프레임(9)에 작용하는 하중이, 메인 프레임(40)과 서브 프레임(43)에 분산되고, 결과적으로 뒤틀림에 대한 강도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다음에 도 6∼도 11을 이용하여 트랜스미션 케이스(11) 주위의 메인 프레임(40)의 보강을 가져다주는 제1 보강 크로스 유닛(100)과 제2 보강 크로스 유닛(2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 보강 크로스 유닛(100)과 제2 보강 크로스 유닛(200)은 유사하므로 한꺼번에 설명한다. 제 1·제2 보강 크로스 유닛(100,200)은 메인 프레임(40)을 구성한 좌우의 장척부재(40A)를 연결함과 동시에 미션 케이스(11)에 볼트 등으로 연결한 것이고, 각 자 단일의 구조에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좌우 분할 구성으로 하는 편이 조립오차, 치수오차 등을 흡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립이 용이하기 때문에,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것으로부터 좌우 분할 구성, 즉 2개의 반분체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제 1·제2 보강 크로스 유닛(100,200)은, 각각, 종부분(111,1121:211,221)과 횡부분(115,125:215,225)을 가지는 대략 L자 형상의 2개의 반분체(110,120;210,220)로 구성되어 있다. 종부분은 장척부재(40A)로의 착좌면부(112,122:212,222)를 가짐과 동시에, 이 착좌면을 장척부재 측판(40A)의 내면에 포개어 결합시킨 상태에서 볼트 걸음하기 위한 부착구멍(113,123:213,223)을 상하 복수개 구비하고, 이 부착구멍의 상하에 미션 케이스(11)을 볼트 고정하기 위한 부착구멍(114,124:214,224)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횡부분(115,125:215,225)은 서로를 전후하여 서로 포갠(제1 보강 크로스 유닛(100)에 관해서는 하면도 서로 포개어 결합되어 있다)상태에서 볼트 고정하기 위한 부착구멍(116A,126:216,226)을 가진다. 제1 보강 크로스 유닛(100)에 관해서는 상하 방향에서 볼트 고정하기 위한 부착구멍(116B,126)도 가지고 있다.

    제 1·제2 보강 크로스 유닛(100,200)은, 각각, 횡부분(115,125:215,225)을 상호 포개어 결합시킨 상태에서 볼트 등에 의해 연결해제 자유로이 되고, 종 부분(111,121;211,221)을 프레임 구성부재인 좌우의 장척부재(40A), 미션 케이스(11)에 각각 맞닿음(포개어 결합)하여 볼트 등에 의해 연결해제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 제 1·제2 보강 크로스 유닛(100,200)과 좌우의 장척부재(40A)에 의해 만들어지는 방형틀조립구조체내에 미션 케이스(11)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비틀림, 굽힘 등의 굴착 반력이 전파되어져도 경량이면서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제 1·제2 보강 크로스 유닛(100,200)은, 금속판제로서도 좋지만 주강제(주물제)로 하는 것이 강도 확보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제1 보강 크로스 유닛(100)에 관해서는 미션 케이스(11)의 전하방을 가이드 하도록 종부분이 길게 되고, 제2 보강 크로스 유닛(200)에 관해서는 종부분이 단축되어 있지만, 이것은, 제2 보강 크로스 유닛(200)의 직후에 백 호 부착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제 1·제2 보강 크로스 유닛(100,200)에 있어서 각 반분체의 횡부분에 관해서는 이들을 상호 연결할 뿐만 아니라, 이 횡부분과 미션 케이스(11) 볼트 등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한다.

    도 12∼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서브 프레임(43)과 메인 프레임(40) 사이의 전방부의 간격이 넓게 형성되고 있는 부위에, 모워(6)의 후방부를 매달기 유지하는 모워 매달기 기구(55)가 배치되어 있다. 이 모워 매달기 기구(55)는 좌우 한 쌍 설치되고, 전방단부가 주요 틀재(40A)로에 피벗되어 상하 요동 자유로이 된 요동 링크(57)와, 후방단측이 주요 틀재(40A)에 피벗되어 상하 요동 자유로이 된 승강 암(58)과, 요동 링크(57)의 후방단측과 승강 암(58)의 전방단측을 연결하는 연결체(59)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요동 링크(57)의 후방단측은, 모워(6)의 후방부측에 설치한 브래킷(63)에 추착되어 있다. 66은 절삭높이 조정구이고, 이것에 의해 좌우 한 쌍의 게이지 륜(66a)이 변경하는 것으로 절삭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또, 모워(6)의 전방부측은, 좌우 각 주틀재(40A)의 전방단측에 설치된 브래킷(61)과, 모워(6)의 전방단측의 좌우 양측에 설치한 브래킷(60)의 사이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매달기 유지 링크(62)에 의해 매달려 있고, 이 좌우 한 쌍의 매달기 유지 링크(62)와, 상기 좌우 한 쌍의 요동 링크(57)에 의한 4연 링크 기구에 의해, 모워(6)가 평행 승강 자유로이 매달려 유지되어 있다.

    또, 좌우의 승강 암(58)은 지지축(65)로 일체적으로 요동하도록 연결되고, 강암(58)과, 미션 케이스(11) 위의 유압장치(23)의 리프트 암(36)은, 연동 수단(64)에 의해 연동 연결되어 있고, 압장치(23)에 의해, 모워(6)가 승강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모워(6)는, 예인(刈刃) 하우징 안에 블레이드(회전날)을 구비하게 되고, 이 블레이드는, 미션 케이스(11)의 전방하부에서 돌출하는 PTO축으로부터 드라이브 샤프트(56)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도 15∼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호 부착 프레임(42)은,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16)이 부착되는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와, 백 호(4)가 부착되는 백 호 부착부(48)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백 호 부착부(48)과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을 동일 부재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백 호 반력에 대한 강도 확보와,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로서의 강도 확보가 동시에 가능해지는 효율적인 보강이 가능함과 동시에,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16)도 백 호 반력에 대한 강도 멤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백 호 부착 프레임(42)에는, 트랙터(2)의 후방부에 백 호(4) 이외의작업기(예를 들면, 로터리 작업기)를 승강 자유로이 설치할 수 있도록, 3점 링크 기구의 톱 링크를 설치하기 위한 톱 링크 부착부(49)와, 로워 링크를 설치하기 위한 로워 링크 부착부(5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톱 링크 부착부(49)와 로워 링크 부착부(50)를, 백 호 부착 프레임(42)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백 호 반력에 대한 강도 확보와,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로서의 강도 확보에 더하여, 3점 링크 기구의 강도 확보도, 동시에 가능해지는 효율적인 보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백 호 부착 프레임(42)은, 메인 프레임(40)의 좌우의 장척부재(40A)의 후방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 좌우의 장척부재(40A)의 후방부를 연결하고 있다. 백 호 부착 프레임(42)은, 좌우의 메인 프레임(40)에 볼트 고정된 좌우 한 쌍의 측벽체(42a)와, 좌우 측벽체(42a)의 상단측 끼리를 연결하는 천장벽체(42b)와, 좌우 측벽체(42a)의 하단측 끼리를 연결하는 바닥벽체(42c)로부터 배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모양의 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횡방향(측방)으로부터의 백 호 반력에 대한 강도 및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강도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좌우 각 측벽체(42a)의, 상부에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를 설치함과 동시에,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의 하방측에 백 호 부착부(48)를 설치하고 있고(백 호 부착부(48)의 상방에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가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 및 백 호 부착부(48)는 좌우 한쌍 구비되어 있다.

    톱 링크 부착부(49)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호 부착 프레임(42)의 천장벽체(42b)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고정된 지지판(49a)과, 이 지지판(49a)에 고정된 좌우 한 쌍의 브래킷(49b)으로 구성되고, 좌우 브래킷(49b) 사이에 톱 링크의 전방측 연결부가 핀에 의해 추착된다.

    로워 링크 부착부(50)는, 로드에서 구성되고, 백 호 부착 프레임(42)의 좌우의 측벽체(42a) 하부에 좌우 방향 안쪽에 돌출형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배면에서 볼 때 백 호 부착 프레임(42)의 틀내에 미션 케이스(11)가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미션 케이스(11)에 걸리는 힘을 경감할 수 있고, 미션 케이스(11)의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 백 호 부착 프레임(42)은, 좌우의 측벽체(42a)의 상하 방향 중도부가 장척부재(40A)에 고정되어 있고, 메인 프레임(40)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고, 이 백 호 부착 프레임(42)의 상부에 설치된 좌우의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와, 메인 프레임(40)의 좌우의 장척부재(40A)의 백 호 부착 프레임(42) 전방측이 좌우의 프레임 보강 유닛(52)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이들 메인 프레임(40)(장척부재(40A)), 백 호 부착 프레임(42),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 프레임 보강 유닛(52)에 의해, 차체 프레임(9)의 후방부에 큰 트래스 구조가 형성되고, 후방으로부터의 힘에 대한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강도가 확보될 수 있음과 동시에, 백 호 반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확보될 수 있다.

    또, 좌우의 장척부재(40A)는, 미션 케이스(11)의 전방부측에 있어, 타이 로드 등으로 되는 크로스 로드(44C)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이 크로스 로드(44C)의메인 프레임(40)과의 연결부분에 상기 프레임 보강 유닛(52)의 전방부가 연결되어 있고, 이 크로스 로드(44C)의 좌우와, 좌우의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를, 좌우의 프레임 보강 유닛(52)에 의해 연결하는 것에 의해, 차체 프레임(9)의 비틀림 하중에 대한 강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이하, 상기 백 호 부착 프레임(42)의 구성을, 또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백 호 부착 프레임(42)은, 판재로 되는 복수의 부재를 용접 등에 의해 연결 고정하는 것에 의해 틀 조립되어 있다.

    이 백 호 부착 프레임(42)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68)를 가지고, 이 사이드 플레이트(68)의 상부는 좌우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절곡되고, 사이드 플레이트(68)의 하부는, 좌우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절곡되고, 상하 방향 중도부는, 메인 프레임(40)의 좌우 장척부재(40A)의 내측면에 포개어 결합되어 이 장척부재(40A)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좌우 각 사이드 플레이트(68)의 위쪽의 절곡수평편(68a)에는,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지지체)가 고정되고, 좌우 사이드 플레이트(68)의 하방측의 절곡수평편(68b) 끼리는 연결판(7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는, 상하 방향의 수직 웹(47a)과, 이 수직 웹(47a)의 상단으로부터 좌우 방향 바깥쪽으로 뻗어나오는 천장 웹(47b)과, 수직 웹(47a)의 하단에서 좌우 방향 안쪽으로 뻗어나오는 바닥 웹(47c)으로 주구성되고, 바닥 웹(47c)이 사이드 플레이트(68)의 위쪽의 절곡수평편(68a) 위에 포개어 결합되고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고, 천장 웹(47b)에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16)이 설치고정된다.

    또, 좌우의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는 연결체(7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체(71)는, 좌우의 각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의, 수직 웹(47a) 및 바닥 웹(47c)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부착부재(72)와, 좌우의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 사이에 배치되어 부착부재(72)에 볼트 고정된 횡부재(73)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부착부재(72)와 횡부재(73)의 상부는, 만곡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의 바닥 웹(47c) 위에는,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지지부재(74)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8) 및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에서, 백 호 부착 프레임(42)의 측벽체(42a)가 구성되고, 연결체(71)에서 천장벽체(42b)가 구성되고, 사이드 플레이트(68)의 하방측의 절곡수평편(68b) 및 연결판(70)에서 바닥벽체(42c)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16)은, 하방에 개방상태의 ㄷ자형상의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본체(75)와,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본체(75)의 하단부 끼리를 연결하는 기부부재(76)로 주구성되어 있다.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본체(75)는, 좌우의 지주(77)와, 좌우 지주(77)의 상단 끼리를 연결하도록 연장설치된 크로스 부재(78)를 구비하고, 전체로서 역 U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지주(77)의 하단은, 기부부재(76)에 의해 연결되고,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본체(75)와 기부부재(76)로 사각형틀체를 구성하고 있어 강도가 확보되고 있다. 또, 좌우의 지주(77)의 하단부 끼리는, 기부부재(76) 위에 용접등에 의해 고정된 보강부재(7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좌우의 지주(77)는, 그러한 길이방향 중도부에, 각각 굴곡부(75A)를 구비하고 있다.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16)은, 굴곡부(75A)에 있어, 지주(77)를 전방으로 절곡하여 컴팩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굴곡부(75A)는, 좌우의 지주의 길이방향 중도부를 좌우의 축 회전에 요동 자유로이 함과 동시에, 기립 상태에서 유지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75)의 하단이 부착되어 있는 기부부재(76)는, 그 좌우 길이가,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75) 상부에 있어서 좌우폭(좌우 지주(77)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트랙터 소형화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길이가 짧은 기부부재(76)에 부착된 좌우의 지주(77)는, 그러한 하단에 있어서 좌우 간격이, 기부부재(76)의 길이보다 짧은(또는 동일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지주(77)는, 하단에서 상방으로 감에 따라, 간격이 확대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지주(77)의 만곡은, 굴곡부(75A)의 하부에서 행해지고 있고, 또한 구체적으로는, 도 14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후향 운전석(14)의 좌면(14a)과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만곡하고 있다.

    따라서, 좌우 지주(77)의 하단 부착위치에서는, 좌우 간격이 좁지만, 운전석(14)의 좌면(14a)보다 상방위치에서는, 충분히 좌우 간격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운전석(14)으로부터 백 호 유닛(4)의 오퍼레이터용 스텝으로 연장하는오퍼레이터의 다리나, 운전석(14)으로부터 조종부(26)에 연장하는 오퍼레이터의 팔 등을, 충분히 넓은 좌우의 지주(77) 사이에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시에 오페레이터의 압박감이 적다.

    또, 오퍼레이터가 스텝으로부터 승강하는 때에는,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75)의 좌우의 지주(77) 사이를 통과하고 운전석(14)에 앉는 것이 되지만, 지주(77) 사이가 크게 설정되고 있기 때문에, 승강도 용이하다.

    또, 도 1과 같이, 백 호 유닛(4)을 트랙터(2)에 장착하면, 백 호 유닛(4)의 기대(24)의 상방에 위치하는 조종부(26)는, 기대(24)의 전후방향 대략 중앙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75)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격된 장소에 위치한다. 따라서 운전석(14)을 후향으로 하여 백 호 작업을 하는 때, 운전석(14)과 스텝의 사이가 폭넓게 되기 때문에 거주공간이 크고, 작업자의 다리를 여유있게 두는 것이 가능하고, 또 승강도 한층 용이하다.

    상기 기부부재(76)는, 좌우의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의 천장 웹(47b) 및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지지부재(74) 위에 재치되고, 이 천장 웹(47b)에 볼트·너트에 의해 설치 고정됨과 동시에,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지지부재(74)에도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는,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16)의 좌우 지주(77)의 하단부 끼리를 연결하는 기부부재(76)에 의해서도 연결되어 있고, 좌우의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가 서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16)의 횡방향(측방)으로부터의 힘에 대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백호 유닛(4)으로부터 받는 횡방향으로부터의 힘에 대한 강도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고, 게다가, 좌우의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를, 기부부재(76), 및 , 연결체(71)에 의해 연결하도록 한, 2중연결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횡방향으로부터의 힘에 대한 강도를 비약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의 천장 웹(47b)과,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16)의 기부부재(76) 사이에 후륜펜더(13)의 천장 웹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좌우 각 프레임 보강 유닛(52)은, 장척부재(40A)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사이드 플레이트(68)의 외측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후방측의 제1 보강판(80)과, 장척부재(40A)의 외측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전방측의 제2 보강판(81)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보강판(80)의 하부는 사이드 플레이트(68)로부터 전방 돌출상태로 뻗어나와 있고, 제2 보강판(81)의 후방부는 메인 프레임(40)으로부터 상방 돌출상태로 뻗어나와 있고, 이들 제1 보강판(80)의 하부와 제2 보강판(81)의 후방부는 포개어 결합되어 용접 등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또, 제2 보강판(81)의 전방부는, 이 제2 보강판(81) 및 장척부재(40A)를 관통하고 크로스 로드(44C)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된 볼트(82)에 의해 크로스 로드(44C)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보강판(80)은, 사이드 플레이트(68)에 고정되어 있고, 이 사이드 플레이트(68)를 통해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에 연결되고 있지만, 직접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부착대(47)에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또, 제1 보강판(80)과 제2 보강판(81)은 일체형성(1장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7∼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의 각 백 호 부착대(48)는, 사이드 플레이트(68)의 상부에 설치된 상피연결부(84)와, 사이드 플레이트(68)의 하부에 설치된 하피연결부(85)를 구비하고 있다.

    상피연결부(84)는, 프레임 보강 유닛(52)의 제1 보강판(80)의 외측면 및 사이드 플레이트(68)의 위쪽의 절곡수평편(68a)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보강부재(86)와, 프레임 보강 유닛(52)의 제1 보강판(80)의 외측면과 대향 배치되어 있고 보강부재(86) 및 사이드 플레이트(68)의 위쪽의 절곡수평편(68a)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지지벽(87)과, 이 지지벽(87)과 제1 보강판(80) 사이에 설치된 연결 핀(88)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강부재(86)는, 보강부재(89)에 의해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 지지부재(74)에 연결되고, 보강부재(89)는, 보강부재(90)에 의해 프레임 보강 유닛(52)의 제1 보강판(80)에 연결되어 있다.

    하피연결부(85)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방개방형상의 오목부로 되는 받이부(91)를 가지고, 사이드 플레이트(68)의 외측면 하부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핀(88)은, 받이부(91)의 바로 위 위치로부터 거리(L)만큼 전방 근처로 배치되어 있고, 백 호 유닛(4)을 가능한한 트랙터(2) 측에 가깝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구조는, 일반적인 백 호 유닛(4)의 부착순서로는 먼저 하피연결부(85)에서 백 호 유닛(4)의 걸어맞춤 연결부와 연결하기 위해, 하피연결부(85)를 후방접근하므로 트랙터 후방에서 보아 앞측에 하피연결부(85)가 위치하게 되어, 백 호 유닛(4)의 장착 작업이 용이해진다.

    한편, 백 호 유닛(4)의 기대(24)의 전방부에 설치된 연결 브래킷(25)의 상부에는, 백 호 부착대(48)의 상피연결부(84)에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상걸어맞춤연결부(92)가 설치되고, 연결 브래킷(25)의 하부에는, 백 호 부착대(48)의 하피연결부(85)에 걸쳐 연결되는 하걸어맞춤연결부(93)가 설치되어 있다.

    상걸어맞춤연결부(92)는, 연결 브래킷(25)에 피벗되고 개폐 자유로이 되어 있고 상피연결부(84)의 연결 핀(88)을 끼우는 상하 한 쌍의 마운트 홀더(94)와, 이 한 쌍의 마운트 홀더(94)를 확대개방방향으로 가압하는 용수철(95)과, 한 쌍의 마운트 홀더(94)가 폐쇄한 때에 이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록 부재(96) 등을 구비하고 있다.

    하걸어맞춤연결부(93)는, 하피연결부(85)의 받이부(91)에 끼워맞춤하는 좌우 방향의 바아로 구성되어 있다.

    백 호 유닛(4)을 트랙터(2)로부터 이탈시키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 홀더(94)는, 용수철(95)에 의해 확대개방된 상태이고, 백 호 유닛(4)은 좌우의 아우트트리거(31)와 버킷(30)을 접지시킨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백 호 유닛(4)을 트랙터(2)에 장착하는 것은, 우선, 하걸어맞춤연결부(93)를 받이부(91)에 상방으로부터 끼워맞춤시킨다.

    이 때, 마운트 홀더(94)는 연결 핀(88)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백 호 유닛(4)의 기대(24)를 하걸어맞춤연결부(93) 회전으로 전방측으로 회전운동시키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핀(88)이 마운트 홀더(94) 사이에 삽입됨과 동시에 연결핀(88)에 의해 마운트 홀더(94)가 가압되고, 이 마운트 홀더(94)가 용수철(9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폐쇄동작되고, 연결 핀(88)이 한 쌍의 마운트 홀더(94)로 끼워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마운트 홀더(94)의 배면에 록 부재(96)가 걸어맞춤하여 마운트 홀더(94)의 개방동작이 저지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트랙터(2)에 백 호 유닛(4)이 장착된다.

    이 장착상태에서 백 호 유닛(4)을 이탈시키는 것은, 록 부재(96)를 마운트 홀더(94)의 후방으로에 후퇴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와 반대의 동작을 한다.

    도 1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11)의 측방에 후륜(8)이 배치되어 있고, 후륜(8)과 백 호 부착 프레임(42)과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16)이 실질적으로 동일 연직면내에 위치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백 호 유닛(4)을 연결하는 하피연결부(85)와 상피연결부(84)를 설치하고 있는 백 호 부착 프레임(42)은, 측면에서 볼 때, 후륜(8)의 차축 중심과 후륜(8)의 후단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차축 중심보다 후륜(8)의 후단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백 호 유닛(4) 등의 작업기를 부착하기 위한 백 호 부착 프레임(42)이 후륜(8)의 차축 중심과 후륜후단 사이에 있기 때문에, 백 호 유닛(4)이 트랙터 후방으로 돌출한 길이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TLB1의 전장이 짧아진다.

    또, 백 호 부착 프레임(42)이 후륜 차축 중심보다 후륜후단측에 가까운 위치로 되도록 비교적 후방접근하여 배치된다면, 백 호 유닛(4)을 장착할 때에 트랙터의 뒤에서 보아 가까운 위치에 백 호 부착 프레임(42)이 위치하는 것이 되어, 백 호 유닛(4)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다.

    또, 백 호 부착 프레임(42)을 후륜 펜더(13)의 후단근방에 설치한 경우, 백 호 유닛(4)이 트랙터(2)의 후방으로 돌출하는 길이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다.

    이 때문에, TLB1의 전장이 짧아진다. 또한, 백 호 부착 프레임(42)은 후륜 펜더(13)의 후단보다 전방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14)은 전향자세와 후향자세로 자세변경 자유로이 지지장치(98)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운전석(14)에는, 이 운전석(14)를 후향자세로 한 때에, 운전석(14)을 후향자세로 위치결정하도록,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16)의 기부부재(76)에 설치된 피걸어맞춤부(99A)에 걸기 및 벗기기 자유로이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99B)가 설치되어 있다.

    피걸어맞춤부(99A)는 스테인리스제의 봉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16)의 기부부재(76) 위에 고정한 좌우 한 쌍의 브래킷(99C) 사이에 배치되어, 이 브래킷(99C)에 고정되어 있다.

    걸어맞춤부(99B)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봉형상의 피걸어맞춤부(99A)에 걸기 및 벗기기 자유로이 걸어맞춤된다. 또한, 운전석(14)을 전향자세로 한 때에, 운전석(14)을 전향자세로 위치결정하도록, 걸어맞춤부(99B)가 걸기 및 벗기기 자유로이 걸어맞춤하는 피걸어맞춤부(99D)는 지지장치(98)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운전석(14)이 전향자세와 후향자세로 자세변경 자유로이 설치되고, 운전석(14)을 후향자세로 한 때에, 이 운전석(14)을 후향자세로 위치결정하도록, 운전석 측에 설치된 걸어맞춤부(99B)가 걸기 및 벗기기 자유로이 걸어맞춤하는 피걸어맞춤부(99A)를 차체측에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이 피걸어맞춤부(99A)를 롤오버프로텍션시스템의 기부부재(76) 위에 설치한 것에 의해, 피걸어맞춤부(99A)의 부착부분의 강도가 충분히 확보되고, 부재의 생략화, 비용저감 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운전석(14)을 전향자세와 후향자세로 자세변경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는, 운전석(14)의 위치결정을 하는 피걸어맞춤부(99A)에, 운전석 측에 설치된 걸어맞춤부(99B)가 걸기 및 벗기기 되기 때문에, 녹이 발생하는 염려가 있지만, 피걸어맞춤부(99A)를, 스테인레스 부품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녹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차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의 전방영역에 엔진이, 후방영역에 트랜스미션 케이스가 부착된 프레임형 트랙터로서, 효율적인 프레임 보강을 행하고, 프론트 로더나 백 호나 모워 유닛등의 작업기를 탑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