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

申请号 KR1020160072564 申请日 2016-06-10 公开(公告)号 KR101810776B1 公开(公告)日 2017-12-20
申请人 주동혁; 发明人 주동혁;
摘要 본발명은다목적농기계견인장치가개시되는것으로, 내부가중공된전방프레임(11)과내부가중공된후방프레임(12)과상기전방프레임(11)과후방프레임(12)의상면에안착되는적재부(13)와상기전방프레임(11)에구비되어퇴비살포기나로터베이터와같은농기계(101)를연결하여견인하는견인부(14)를갖는적재몸체(10)와; 상기적재몸체(10)의하부측에연결되고복수개의바퀴롤러(21)와상기복수개의바퀴롤러(21)를지지하는롤러지지부(22)와상기복수개의바퀴롤러(21)를포설하는궤도바퀴(23)를갖는이동체(20)와; 상기이동체(20)의궤도바퀴(23)에동력을전달하는동력체(30)와; 상기이동체(20)와연결되는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 및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이구비되고상기적재몸체(10)를상기이동체(20)에대해상부및 하부방향으로승강이동시키는승하강조절체(40)와; 상기승하강조절체(40)의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 및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에각각연결되고상기이동체(20)를상기적재몸체(10)에대해좌우측방향으로벌어지고모아지도록하여상기이동체(20)의궤도바퀴(23) 위치를가변시키는위치가변조절체(50)로구비되어이루어진다.
权利要求
  • 내부가 중공된 전방프레임(11)과 내부가 중공된 후방프레임(12)과 상기 전방프레임(11)과 후방프레임(12)의 상면에 안착되는 적재부(13)와 상기 전방프레임(11)에 구비되어 퇴비살포기나 로터베이터와 같은 농기계(101)를 연결하여 견인하는 견인부(14)를 갖는 적재몸체(10)와; 상기 적재몸체(10)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바퀴롤러(21)와 상기 복수개의 바퀴롤러(21)를 지지하는 롤러지지부(22)와 상기 복수개의 바퀴롤러(21)를 포설하는 궤도바퀴(23)를 갖는 이동체(20)와; 상기 이동체(20)의 궤도바퀴(23)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체(30)와; 상기 이동체(20)와 연결되는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 및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이 구비되고 상기 적재몸체(10)를 상기 이동체(20)에 대해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승강이동시키는 승하강조절체(40)와; 상기 승하강조절체(40)의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 및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이동체(20)를 상기 적재몸체(10)에 대해 좌우측방향으로 벌어지고 모아지도록 하여 상기 이동체(20)의 궤도바퀴(23) 위치를 가변시키는 위치가변조절체(50)를 포함하는 농기계 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조절체(40)는,
    상기 이동체(20)의 롤러지지부(22)에 하단이 연결되고 승하강실린더연결구(43)를 갖는 힌지회전구(44)와;
    상기 힌지회전구(44)의 승하강실린더연결구(43)에 하단이 연결되는 승하강실린더(45)와;
    상기 이동체(20)의 롤러지지부(22)에 하단이 연결되는 보조힌지회전구(46)와;
    상기 힌지회전구(44)의 상단과 승하강실린더(45)의 상단 및 보조힌지회전구(46)의 상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 및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의 내부에 각각 위치되는 이동고정구(47)와;
    상기 이동고정구(47)의 양측단에 각각 축설되고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 및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을 따라 각각 전진 및 후진 이동되는 이동롤러(48)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조절체(50)는,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과 연결되고 상기 전방프레임(11)과 후방프레임(12)의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전방프레임(11)과 후방프레임(12)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인입되는 좌측이동구(51)와;
    상기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과 연결되고 상기 전방프레임(11)과 후방프레임(12)의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전방프레임(11)과 후방프레임(12)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인입되는 우측이동구(52)와;
    상기 전방프레임(11)과 후방프레임(12)을 연결하되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과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구(53)와;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에 연결되는 좌측부싱(54) 및 상기 좌측부싱(54)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좌측부싱(54) 내측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좌측부싱(54)과 상기 연결구(53)를 연결하는 좌측이동가이드(55)와;
    상기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에 연결되는 우측부싱(56) 및 상기 우측부싱(56)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우측부싱(56) 내측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우측부싱(56)과 상기 연결구(53)를 연결하는 우측이동가이드(57)와;
    상기 전방프레임(11) 또는 후방프레임(12)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과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과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을 연결하여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 및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을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가변이동체(6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이동체(60)는,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에 구비되는 좌측고정구(61)와;
    상기 좌측고정구(61)와 마주보도록 상기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에 구비되는 우측고정구(62)와;
    상기 좌측고정구(61)에 연결되는 좌측실린더봉(63)과 상기 우측고정구(62)에 연결되는 우측실린더봉(64) 및 상기 좌측실린더봉(63)과 우측실린더봉(64)을 인출입시키는 가변이동실린더(65)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이동체(60)는,
    상기 전방프레임(11) 또는 후방프레임(12)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내측 중앙에 구비되고 모터(66)와 연결되는 피니언기어부(67)와;
    상기 좌측이동구(51)에 구비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부(67)에 치합되는 제1랙기어부(68)와;
    상기 우측이동구(52)에 구비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부(67)에 치합되는 제2랙기어부(69)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
  • 说明书全文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traction equipment for farming machine}

    본 발명은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와 같은 비교적 좁은 구역에서의 퇴비살포기나 로터베이터와 같은 농기계를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수확된 농산물이나 화물을 실어 운반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기계라 함은, 농촌에서의 밭농사나 논농사를 할 때 사용되는 농기계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퇴비를 자동으로 살포해주는 퇴비살포기나 흙을 경운시키는 로터베이터가 있다.

    퇴비살포기의 경우 많은 양의 퇴비를 버킷과 같은 수용체의 내부에 넣은 상태에서 퇴비살포기를 전진시키는 동작에 의해 수용체에 넣어진 퇴비가 고르게 살포되도록 하는 것이고, 로터베이터는 농작물의 성장조건에 적합하도록 흙덩어리를 잘게 분쇄한 후 써레의 써레판을 활용하여 분쇄된 흙을 평탄하게 고르는 작업을 선행하는 농기계이다.

    이러한 농기계는,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하여 사용되고 있는 바, 이는 무거운 하중을 갖는 퇴비살포기나 로터베이터를 인력의 힘으로 끌면서 작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트랙터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트랙터가 차지하는 공간이 많아 예컨대, 비닐하우스와 같은 공간에서는 트랙터에 농기계를 연결하여 작업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비닐하우스의 경우 천장이 낮고 폭이 좁은 협소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근자들어서는 난방시 절감을 위해 비닐하우스가 점차적으로 소형화로 가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비닐하우스의 천장이 더욱 낮아지고 공간이 협소해지기 때문에 트랙터와 같은 장비가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유동함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재배된 농작물을 수확할 때, 작업자가 농작물을 수확하여 박스에 담은 상태에서 농작물이 담겨진 박스를 일일이 들어 비닐하우스의 밖으로 하나하나 꺼내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감이 늘어나게 되고 무거운 박스를 하나하나 비닐하우스 밖으로 꺼냄에 따라 근육통증이나 허리구부러짐과 같은 질환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공고실용 20-1993-0005447호인 퇴비 살포용 트레일러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경운기등의 후미에 장착되는 트레일러에 있어서, 호퍼 형태의 트레일러 본체와 그 내부에 스크류가 형성된 제1스크류축이 설치되고, 본체의 외부 일측에는 스크류 구동축이 설치되며, 트레일러 본체의 일측에 돌출된 분사구내에 스크류가 형성된 제2스크류축이 횡설되고, 이 제2스크류축의 양단에는 베벨기어를 장착하여 일단의 베벨기어는 분사팬의 베벨기어와 맞물리고, 타단의 베벨기어는 상기 스크류구동축의 베벨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제1스크류축과 스크류구동축의 일단에는 각각 스프라인축이 연설되고 키이홈이 형성되어 이에 끼워진 보수의 키이홈과 맞물리게 하며, 이 보스의 외부에는 키이홈이 형성된 스플라인축 및 기어가 구비되고, 그 하 부에 축기어와 맞물리고, 이 축기어는 경운기의 후륜구동축과 연결되어 그 일측에 축기어가 구비되어 스크류구동축의 보스외부 일측의 기어와 체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보스의 외주연에는 작동레버와 연결된 작동간이 보스의 홈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경운기에 트레일러를 연결하여 퇴비살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는 있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운기에 별도로 트레일러를 연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을 갖는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 10-1134877호인 농산물 운반기의 조향기구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농산물 운반기의 차체프레임에 탑재되는 조향기구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면에 설치되는 조향프레임, 상기 조향프레임의 양단에 후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싱을 구비하고 조향프레임의 중앙에 조향축을 구비하는 조향대, 상기 조향축과 후륜의 회전축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라켓과 각각의 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치형벨트를 구비하여 양측의 후륜을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대 및 상기 양측의 후륜을 각각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완충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좌우측 조향바퀴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여 조향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나, 농산물을 운반하는 용도 이외에는 다른 기능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고실용 20-1993-0005447호(1992.11.16. 공고)

    대한민국등록특허 10-1134877호(2012.04.02. 등록)

    본 발명은 공간이 협소한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퇴비살포기나 로터베이터와 같은 농기계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농작물의 적재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여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는, 내부가 중공된 전방프레임과 내부가 중공된 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는 적재부와 상기 전방프레임에 구비되어 퇴비살포기나 로터베이터와 같은 농기계를 연결하여 견인하는 견인부를 갖는 적재몸체와; 상기 적재몸체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바퀴롤러와 상기 복수개의 바퀴롤러를 지지하는 롤러지지부와 상기 복수개의 바퀴롤러를 포설하는 궤도바퀴를 갖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궤도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체와; 상기 이동체와 연결되는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 및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적재몸체를 상기 이동체에 대해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승강이동시키는 승하강조절체와; 상기 승하강조절체의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 및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적재몸체에 대해 좌우측방향으로 벌어지고 모아지도록 하여 상기 궤도 바퀴 위치를 가변시키는 위치가변조절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승하강조절체는, 상기 이동체의 롤러지지부에 하단이 연결되고 승하강실린더연결구를 갖는 힌지회전구와; 상기 힌지회전구의 승하강실린더연결구에 하단이 연결되는 승하강실린더와; 상기 이동체의 롤러지지부에 하단이 연결되는 보조힌지회전구와; 상기 힌지회전구의 상단과 승하강실린더의 상단 및 보조힌지회전구의 상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 및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의 내부에 각각 위치되는 이동고정구와; 상기 이동고정구의 양측단에 각각 축설되고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 및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을 따라 각각 전진 및 후진 이동되는 이동롤러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위치가변조절체는,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의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인입되는 좌측이동구와; 상기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인입되는 우측이동구와;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을 연결하되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과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구와;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에 연결되는 좌측부싱 및 상기 좌측부싱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좌측부싱 내측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좌측부싱과 상기 연결구를 연결하는 좌측이동가이드와; 상기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에 연결되는 우측부싱 및 상기 우측부싱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우측부싱 내측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우측부싱과 상기 연결구를 연결하는 우측이동가이드와; 상기 전방프레임 또는 후방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과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과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 및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을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가변이동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가변이동체는,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에 구비되는 좌측고정구와; 상기 좌측고정구와 마주보도록 상기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에 구비되는 우측고정구와; 상기 좌측고정구에 연결되는 좌측실린더봉과 상기 우측고정구에 연결되는 우측실린더봉 및 상기 좌측실린더봉과 우측실린더봉을 인출입시키는 가변이동실린더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가변이동체는, 상기 전방프레임 또는 후방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내측 중앙에 구비되고 모터와 연결되는 피니언기어부와; 상기 좌측이동구에 구비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부에 치합되는 제1랙기어부와; 상기 우측이동구에 구비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부에 치합되는 제2랙기어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간이 협소한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퇴비살포기나 로터베이터와 같은 농기계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농작물의 적재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여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낮고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이 용이하며, 작물이 농지에 심어진 상태에서 사비방제 제초 및 북돋우기와 같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다양한 농기계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농산물의 운반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인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인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에 연결되는 농기계의 일 예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에 물품이 적재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인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의 승하강조절체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생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의 승하강조절체에 의해 적재몸체가 하강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의 승하강조절체에 의해 적재몸체가 승강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의 위치가변조절체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인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의 위치가변조절체의 다른 예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인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의 위치가변조절체에 의해 이동체의 위치가 가변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는, 내부가 중공된 전방프레임(11)과 내부가 중공된 후방프레임(12)과 상기 전방프레임(11)과 후방프레임(12)의 상면에 안착되는 적재부(13)와 상기 전방프레임(11)에 구비되어 퇴비살포기나 로터베이터와 같은 농기계(101)를 연결하여 견인하는 견인부(14)를 갖는 적재몸체(10)와, 상기 적재몸체(10)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바퀴롤러(21)와 상기 복수개의 바퀴롤러(21)를 지지하는 롤러지지부(22)와 상기 복수개의 바퀴롤러(21)를 포설하는 궤도바퀴(23)를 갖는 이동체(20)와, 상기 이동체(20)의 궤도바퀴(23)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체(30)와, 상기 이동체(20)와 연결되는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 및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이 구비되고 상기 적재몸체(10)를 상기 이동체(20)에 대해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승강이 동시키는 승하강조절체(40)와, 상기 승하강조절체(40)의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 및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이동체(20)를 상기 적재몸체(10)에 대해 좌우측방향으로 벌어지고 모아지도록 하여 상기 이동체(20)의 궤도바퀴(23) 위치를 가변시키는 위치가변조절체(5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적재몸체(10)의 적재부(13)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농산물이나 비료와 같은 물품을 적재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적재부(13)에 물품을 적재한 후 상기 이동체(30)를 이용하여 상기 적재몸체(10)를 이동시킴에 따라 본 발명인 다목적 농기계 견인장치는 물품을 적재 이송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몸체(10)에 견인부(14)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견인부(14)를 이용하여 퇴비살포기나 로터베이터와 같은 농기계(l0l)를 연결하여 퇴비를 살포하거나 또는 밭을 경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견인부(14)는 연결되는 농기계(101)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승하강조절체(40)는, 상기 적재몸체(10)를 상기 이동체(20)에 대해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승강이동시키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물품을 상기 적재부(13)에 실어 적재하거나 또는 적재된 물품을 내리는 과정에서 적재몸체(10)의 높이를 하강시킬 수 있어 물품의 적재 및 하적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밭고랑의 깊이가 깊거나 할 경우 적재몸체(10)의 높이를 승강시킬 수 있어 밭고랑의 깊이에 관계없이 이동이 용이하다.

    상기 위치가변조절체(50)는, 상기 이동체(20)의 폭을 조절하는 것으로, 즉, 상기 이동체(20)의 궤도바퀴(23)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이동체(20)를 상기 적재몸체(10)에 대해 좌우측방향으로 벌어지고 모아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밭고랑의 넓이에 따라 상기 이동체(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이동체(20)의 궤도바퀴(23)가 밭고랑에 위치되지 않아 상기 적재몸체(1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체(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몸체(10)의 하부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2개의 이동체(20)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2개의 이동체(20) 중 어느 하나의 이동체(20)가 밭고랑에 위치되지 않음에 따라 적재몸체(10)가 기울어짐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승하강조절체(40)는, 상기 이동체(20)의 롤러지지부(22)에 하단이 연결되고 승하강실린더연결구(43)를 갖는 힌지회전구(44)와, 상기 힌지회전구(44)의 승하강실린더연결구(43)에 하단이 연결되는 승하강실린더(45)와, 상기 이동체(20)의 롤러지지부(22)에 하단이 연결되는 보조힌지회전구(46)와, 상기 힌지회전구(44)의 상단과 승하강실린더(45)의 상단 및 보조힌지회전구(46)의 상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 및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의 내부에 각각 위치되는 이동고정구(47)와, 상기 이동고정구(47)의 양측단에 각각 축설되고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 및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을 따라 각각 전진 및 후진 이동되는 이동롤러(48)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실린더연결구(4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회전구(44)로부터 떨어지도록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힌지회전구(44)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회전구(44)와 보조힌지회전구(46)의 상단은 상기 롤러지지부(22)에 각각 구비되는 힌지회전구(44)의 하단과 보조힌지회전구(46)의 하단을 축으로 하여 각각 힌지회전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상기 힌지회전구(44)와 보조힌지회전구(46)의 상단이 힌지회전됨에 따라 상기 적재몸체(10)가 상기 이동체(20)에 대해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승강이동된다.

    즉, 상기 승하강실린더(45)를 작동시켜 승하강실린더(45)의 상단을 인출시키면 상기 승하강실린더(45)의 상단과 힌지회전구(44)의 상단 및 보조힌지회전구(46)의 상단이 각각의 승하강실린더(45)의 하단과 힌지회전구(44)의 하단 및 보조힌지회전구(46)의 하단을 축으로 하여 힌지회전되는 바, 이와 같이 상기 승하강실린더(45)의 상단과 힌지회전구(44)의 상단 및 보조힌지회전구(46)의 상단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몸체(10)가 상기 이동체(20)에 대해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승강이동된다.

    본 발명의 위치가변조절체(50)는,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과 연결되고 상기 전방프레임(11)과 후방프레임(12)의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전방프레임(11)과 후방프레임(12)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인입되는 좌측이동구(51)와, 상기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과 연결되고 상기 전방프레임(11)과 후방프레임(12)의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전방프레임(11)과 후방프레임(12)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인입되는 우측이동구(52)와, 상기 전방프레임(11)과 후방프레임(12)을 연결하되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과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구(53)와,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에 연결되는 좌측부싱(54) 및 상기 좌측부싱(54)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좌측부싱(54) 내측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좌측부싱(54)과 상기 연결구(53)를 연결하는 좌측이동가이드(55)와, 상기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에 연결되는 우측부싱(56) 및 상기 우측부싱(56)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우측부싱(56) 내측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우측부싱(56)과 상기 연결구(53)를 연결하는 우측이동가이드(57)와, 상기 전방프레임(11) 또는 후방프레임(12)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과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과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을 연결하여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 및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을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가변이동체(6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위치가변조절체(50)는, 상기 가변이동체(60)에 의해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과 상기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을 상기 전방프레임(11) 및 후방프레임(12)에 대해 좌우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하거나 모아지도록 한다.

    이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밭고랑의 넓이가 서로 다를 경우 상기 이동체(20)의 간격을 밭고랑의 넓이에 따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이동체(20) 중 어느 하나의 이동체(20)가 밭고랑에 위치되지 않음에 따라 적재몸체(10)가 기울어짐을 방지한다.

    상기 가변이동체(60)는, 상기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에 구비되는 좌측고정구(61)와, 상기 좌측고정구(61)와 마주보도록 상기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에 구비되는 우측고정구(62)와, 상기 좌측고정구(61)에 연결되는 좌측실린더봉(63)과 상기 우측고정구(62)에 연결되는 우측실린더봉(64) 및 상기 좌측실린더봉(63)과 우측실린더봉(64)을 인출입시키는 가변이동실린더(65)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변이동실린더(65)의 작동에 의해 좌측실린더봉(63)과 우측실린더봉(64)이 상기 가변이동실린더(65)로부터 각각 인출되면, 상기 좌측고정구(61)가 연결된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 및 상기 우측고정구(62)가 연결된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이 상기 전방프레임(11) 및 후방프레임(12)에 대해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이동체(20)의 간격이 넓어진다.

    또한, 상기 가변이동실린더(65)의 작동에 의해 좌측실린더봉(63)과 우측실린더봉(64)이 상기 가변이동실린더(65)측으로 인입되면, 상기 좌측고정구(61)가 연결된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 및 상기 우측고정구(62)가 연결된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이 상기 전방프레임(11) 및 후방프레임(12)에 대해 모아지기 때문에 이동체(20)의 간격이 좁아진다.

    또한, 상기 가변이동체(60)는, 상기 전방프레임(11) 또는 후방프레임(12)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내측 중앙에 구비되고 모터(66)와 연결되는 피니언기어부(67)와, 상기 좌측이동구(51)에 구비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부(67)에 치합되는 제1랙기어부(68)와, 상기 우측이동구(52)에 구비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부(67)에 치합되는 제2랙기어부(69)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66)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부(67)가 회전되면 상기 피니언기어부(67)에 치합된 상기 제1랙기어부(68)와 제2랙기어부(69)가 각각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 같이 제1랙기어부(68)와 제2랙기어부(69)가 각각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제1랙기어부(68)가 연결되는 좌측이동구(51) 및 상기 제2랙기어부(69)가 연결되는 우측이동구(52)가 상기 전방프레임(11) 및 후방프레임(12)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좌측이동구(51)가 연결되는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41) 및 상기 우측이동구(52)가 연결되는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42)이 이동되어 상기 이동체(20)가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12)에 대해 양측으로 벌어지거나 또는 모아지게 되어 이동체(20)의 간격이 조절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적재몸체 11 : 전방프레임
    12 : 후방프레임 13 : 적재부
    14 : 견인부 20 : 이동체
    21 : 바퀴롤러 22 : 롤러지지부
    23 : 궤도바퀴 30 : 동력체
    40 : 승하강조절체 41 : 좌측가이드레일프레임
    42 : 우측가이드레일프레임 43 : 승하강실린더연결구
    44 : 힌지회전구 45 : 승하강실린더
    46 : 보조힌지회전구 47 : 이동고정구
    48 : 이동롤러 50 : 위치가변조절체
    51 : 좌측이동구 52 : 우측이동구
    53 : 연결구 54 : 좌측부싱
    55 : 좌측이동가이드 56 : 우측부싱
    57 : 우측이동가이드 60 : 가변이동체
    61 : 좌측고정구 62 : 우측고정구
    63 : 좌측실린더봉 64 : 우측실린더봉
    65 : 가변이동실린더 66 : 모터
    67 : 피니언기어부 68 : 제1랙기어부
    69 : 제2랙기어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