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차 연결기의 요크 취거장치

申请号 KR1020120103716 申请日 2012-09-19 公开(公告)号 KR1020140037496A 公开(公告)日 2014-03-27
申请人 한국철도공사; 发明人 안상현; 김영배; 이덕구;
摘要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segregating a yoke of a locomotive coupler, which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during work by easily segregating a yoke using hydraulic pressure when performing a disassembly inspection for a coupler or a buffer of a locomotive, and can perform an accurate disassembly inspection for the buffer by checking the aging and abrasion of a buffering rubber, etc. comprising the buffer. The apparatus for segregating a yoke of a locomotive coupler comprises: a main body including side frames which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respectively, a cylinder attaching rod which is positioned on the back side, a front plate which is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a protruding member which protrudes from the front side of the front plate, and a yoke pin inserting hole which connects a yoke with the front end of the protruding member with a pin; a supporting plate which is positioned on the back side of the front plate and has a through-hole in order to move the side frame back and forth; a hydraulic cylinder whose both ends are positioned in the cylinder attaching rod and the supporting plate respectively; and a hydraulic jack which supplies hydraulic pressure to the hydraulic cylinder.
权利要求
  • 기관차 연결기의 요크를 취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거장치는,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사이드프레임과, 후면에 위치하는 봉 형상의 실린더취부대와,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재 및 돌출부재의 선단에 요크와 핀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요크핀 삽입홀을 구비하여 구성된 본체;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사이드프레임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실린더취부대와 지지플레이트에 양단이 각각 위치하게 되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게 되는 유압잭;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 연결기의 요크 취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선단(先端)이 상하로 분리되어 있고 각각에 요크핀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 연결기의 요크 취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취부대의 양단에는 보빈이 각각 부착 고정되어 사이드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돌출되어 고정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보빈이 가이드레일의 이동을 각각 안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 연결기의 요크 취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가이드레일에 상기 보빈이 삽입되어 안내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 연결기의 요크 취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면으로는 4개의 가이드핀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취거장치를 차체에 착탈할 때 취거장치를 안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 연결기의 요크 취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와 실린더취부대의 상부에는 후크걸이가 각각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 연결기의 요크 취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유압실린더를 지지하는 유압실린더 받침부가 부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취부대에는 유압실린더 취부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 연결기의 요크 취거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는 보조블록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피스톤로드와 유압실린더 취부판 사이에 보조블록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 연결기의 요크 취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후면에는 한 쌍의 손잡이가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차 연결기의 요크 취거장치.
  • 说明书全文

    기관차 연결기의 요크 취거장치{A segregating apparatus of yoke for locomotive coupler}

    본 발명은 기관차 연결기의 요크 취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관차의 연결기 및 완충기의 분해검수시 요크를 용이하게 취거(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중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완충고무 등의 노화 및 마모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완충기의 정확한 분해검수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관차 연결기의 요크 취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동력을 제공하는 기관차와, 그 후미로 다수의 객차나 화차가 상호 연결되어 운행되며, 앞뒤 차량간의 상호 연결 및 분리를 위하여 차량 사이에 연결기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연결기는 차량간을 견인하는 동시에 차량이 곡선구간을 통과할 때 차량 간에 발생하는 굴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안전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연결기의 설치상태를 도 1a와 1b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기관차와 객차(또는 화차) 사이에 연결기(1)가 위치하면서 헤드(2)가 서로 맞물려 체결되고,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는 완충기(5)가 설치된 요크(6)가 헤드(2)의 대향부인 테일(3) 부분에 완충기키(4)에 의해 결합되어 취부되고, 요크가 차량의 하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저면부에 요크가이드(7)가 취부되어 요크를 받쳐주도록 설치된다. 또한 연결기(1)를 받쳐주기 위한 샹크가이드(8)가 부착되며, 샹크가이드(8)는 연결기의 본체에서 헤드와 테일의 중간부분인 샹크(9)의 저면부에서 샹크슈(9a)를 받쳐주면서 차량이 곡선구간 통과시 연결기 본체의 수직각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철도차량 연결기 구조에서 완충기(드래프트 기어라고도 함)는 주행시 안정성과 충격흡수로 차량부품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고 승객과 차량의 안전운행에 직결되는 중요한 부품이기 때문에 일정 주기로 분해검사를 하도록 규정되어 있는데, 연결기의 요크를 취거(분리)하지 않고는 완충기를 분해검사할 수 없는 구조이다. 하지만 실용신안등록 제424152호 "철도차량 연결기의 마모방지장치"와 같이 연결기를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은 있지만, 연결기의 검수작업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구나 장치는 아직까지도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많은 인원이 좁은 공간(비트)에서 안전사고를 무릅쓰고 원시적인 방법으로 분해작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현장에서는 요크 취거(분리)작업시 요크를 지지하는 단판을 산소절단기로 절단한 다음, 중량물인 요크를 취거하여 폐기 처분하고 신품 요크 조립체를 취부하고 있기 때문에, 완충기 분해시 중량물인 요크의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있어서 작업에 필요한 전용 취거(분리)장치의 출현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관차의 연결기 및 완충기의 분해검수시 유압에 의해 요크를 용이하게 취거(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중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완충기를 구성하고 있는 완충고무 등의 노화 및 마모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완충기의 정확한 분해검수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관차 연결기의 요크 취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연결기의 요크 취거장치는,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사이드프레임과, 후면에 위치하는 봉 형상의 실린더취부대와,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재와, 돌출부재의 선단에 요크와 핀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요크핀 삽입홀을 구비하여 구성된 본체;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사이드프레임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실린더취부대와 지지플레이트에 양단이 각각 위치하게 되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게 되는 유압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린더취부대의 양단에는 보빈이 각각 부착 고정되어 사이드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지지플레이트에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돌출되어 고정 설치되어 있어서, 보빈이 가이드레일의 이동을 각각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유압실린더를 지지하는 유압실린더 받침부가 부착 설치되어 있고, 실린더취부대에는 유압실린더 취부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는 보조블록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피스톤로드와 유압실린더 취부판 사이에 보조블록이 삽입되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플레이트의 전면으로는 4개의 가이드핀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취거장치를 차체에 착탈할 때 취거장치를 안내하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와 실린더취부대의 상부에는 후크걸이가 각각 부착되고, 지지플레이트의 후면에는 한 쌍의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기관차 연결기의 요크 취거장치는, 기관차의 연결기 및 완충기의 분해검수시 산소절단기를 사용하여 절단하지 않고 유압을 이용하여 요크를 용이하게 취거(분리)하도록 한 장치이기 때문에, 완충기를 구성하고 있는 완충고무 등의 노화 및 마모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완충기의 정확한 분해검수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한 요크를 폐기 처분하지 않고 다시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현저하게 절약되며, 검수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동시에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취거장치에서 유압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취거장치의 유지 보수 및 관리가 매우 편리하다.

    도 1a와 1b는 일반적인 철도차량 연결기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요크 취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크 취거장치에서 유압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요크 취거장치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연결기 및 완충기의 분해 검수작업시 유압을 이용하여 요크를 용이하게 취거(분리)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중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분리한 요크를 폐기하지 않고 재사용하도록 하여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취거장치는, 본체와, 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플레이트(15) 및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유압실린더(20)를 포함한 유압부로 구성된다. 본체는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2, 12')과, 후면에 위치하는 봉 형상의 실린더취부대(11)와,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플레이트(13)와, 전면플레이트(13)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재(10)와, 돌출부재(10)의 선단에 요크와 핀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요크핀 삽입홀(11a)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돌출부재(10)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선단(先端)에 요크에 형성된 홀과 핀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요크핀 삽입홀(10a)이 형성되어 있는데, 선단부분을 상하로 분리시켜 각각에 요크핀 삽입홀(10a)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한 쌍의 요크핀 삽입홀(10a)을 형성하면 요크와의 결합이 수월하여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지지플레이트(15)는 전면플레이트(13)의 후방에 위치하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2, 12')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본체 전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통공(미도시)을 형성해 두어야 한다. 지지플레이트(15)의 전면으로는 4개의 가이드핀(16)을 돌출 형성하여 본 발명의 취거장치를 차체에 착탈할 때 취거장치를 안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플레이트(15)의 상부에는 한 쌍의 후크걸이(15a)를 부착하고, 실린더취부대(11)의 상부에도 후크걸이(11b)를 부착해 둠으로써 천정기중기의 후크에 걸어서 본 발명의 취거장치를 이동시키기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지플레이트(15)의 후면에도 한 쌍의 손잡이(15b)를 부착하여 취거장치를 이동시킬 때 흔들거리지 않도록 작업자가 잡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취부대(11)의 양단에는 보빈(bobbin; 14, 14')을 각각 부착 고정하여 사이드프레임(12, 1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성하고, 지지플레이트(15)에도 한 쌍의 가이드레일(17, 17')을 후방쪽으로 돌출되게 고정 설치하여, 보빈(14, 14')이 각 가이드레일(17, 17')을 지지하여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보빈(14, 14')에 의해 가이드레일(17, 17')이 본체의 이동을 안내하고 가이드핀(16)이 차체에 삽입되어 안내하면 요크를 완충기에서 무리없이 취거(분리) 및 취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이드레일(17, 17')의 단부에서 본체가 이동하는 행정거리 만큼은 보빈(14, 1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가 이격된 '⊃' 형상으로 형성해 두면, 가이드레일(17, 17')에 보빈(14, 14')이 삽입되어 안내되면서 요크가 적정부분까지만 분리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압실린더(20)는 요크를 분리하도록 하기 위해 유압을 공급해 주는 구성인데, 유압실린더(20)는 실린더취부대(11)와 지지플레이트(15)에 양단이 각각 위치하게 되며, 유압잭(21)은 유압실린더(20)에 작동유를 펌핑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유압실린더(20)는 피스톤로드를 구비하게 되고, 피스톤로드를 실린더취부대(11)에 직접 취부하는 것보다는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일정 높이를 갖는 보조블록(22)을 삽입하여 취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보조블록(22)을 삽입하면 실린더취부대(11)에 취부하기도 편리하고, 피스톤로드의 행정거리 조정도 편리하다.

    유압실린더(20)와 피스톤로드의 단부를 각각 지지플레이트(15)와 실린더취부대(11)에 고정 설치해도 되지만, 지지플레이트(15)의 하부에 유압실린더(20)를 지지하는 유압실린더 받침부(15c)를 부착 설치하고, 실린더취부대(11)에 유압실린더 취부판(11a)을 부착 형성하여 유압실린더(20)와 피스톤로드의 단부를 각각 취부하도록 구성하면, 본 취거장치에서 유압부만 들어내서 분리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취거장치의 유지 관리에 매우 편리하다. 유압실린더 취부판(11a)은 보조블록(22)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 형상을 동일하게 하고, 유압실린더 받침부(15c)는 유압실린더(20)가 얹혀져서 받쳐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요크 취거장치는, 천정기중기에 취거장치를 걸어서 이동시킬 수 있고, 취거장치 본체가 가이드레일(17, 17')에 의해 안내되고 지지플레이트(15)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본 취거장치와 핀으로 연결한 요크의 취거(분리) 및 취부를 유압에 의해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돌출부재 10a : 요크핀 삽입홀
    11 : 실린더취부대 11a : 취부판
    12, 12' : 사이드프레임 13 : 전면플레이트
    14, 14' : 보빈(bobbin) 15 : 지지플레이트
    16 : 가이드핀 17, 17' : 가이드레일
    20 : 유압실린더 21 : 유압잭
    22 : 보조블록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