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재 운반 장치

申请号 KR2020140004532 申请日 2014-06-17 公开(公告)号 KR2020150004590U 公开(公告)日 2015-12-28
申请人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发明人 장철호;
摘要 자재운반장치는선박내 공간에서조립및 분해될수 있고전면프레임, 후면프레임및 복수의측면프레임들을포함하며, 상기복수의측면프레임들각각의하단은서로를향해절곡된레일프레임; 상호이격되고상기복수의측면프레임들각각의하단에배치된복수의지지대들; 및상기복수의측면프레임들각각의하단을통해주행하여자재를운반하는운반차를포함한다. 따라서, 자재운반장치는좁은공간에서각종장애물을피하여레일프레임을설치할수 있고핸들링이금지된중량의자재를설치된레일프레임을통해용이하게운반할수 있다. 또한, 중량의자재를용이하게운반하여투입공수를감소시키고작업조건을향상시킬수 있다.
权利要求
  • 선박 내 공간에서 조립 및 분해될 수 있고 전면 프레임, 후면 프레임 및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 각각의 하단은 서로를 향해 절곡된 레일 프레임;
    상호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 각각의 하단에 배치된 복수의 지지대들; 및
    상기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 각각의 하단을 통해 주행하여 자재를 운반하는 운반차를 포함하는 자재 운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은
    상호 이격되고 직선으로 형성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운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프레임은
    상기 전면 프레임, 상기 후면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운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은
    각각의 상단에서 서로를 향해 절곡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운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차는
    그 외측 상단의 일부에서 돌출되는 운반 보조 부재; 및
    내측 상단의 시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자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자재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운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대들은
    데크 상에 배치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운반 장치.
  • 说明书全文

    자재 운반 장치{APPARATUS FOR MATERIAL TRANSPORT}

    본 고안은 자재 운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내에서 핸들링이 금지된 중량 자재를 용이하게 운반하기 위한 자재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서 중량물을 이송하는 등의 각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트롤리(Trolley)를 필요로 하였다. 트롤리는 최초에 모노 레일에 설치하기 위하여 슬링(Sling)과 연결된 트롤리를 흔들어서 모노 레일에 맞춰 넣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대용량의 트롤리는 이에 비례하여 자체 중량 및 크기 또한 커지게 되고 슬링이 트롤리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치명적인 사고로 직결되었다.

    종래에는 선박에 탑재된 장비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데크(Deck)하부에 서포트(Support)를 이용하여 리프팅 러그(Lifting Lug)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대형선의 경우 데크의 높이가 높으므로 서포트가 과다하게 설치되고, 높은 곳에 위치한 리프팅 러그로의 접근이 어려워 체인 블록의 설치 작업이 위험하였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3-0000354호는 이동식 리프팅 러그(Portable Lifting Lug)에 관한 것으로 과다한 서포트의 설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장비의 유지보수 작업이 훨씬 용이한 이동식 리프팅 러그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4-0017802호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용 트롤리 호이스트의 설치 모듈 및 그 운용 방법(Installation Module Of Trolley Hoist For Vessel Or Marine Structure And The Operating Method Of It)에 관한 것으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모노 레일에 트롤리 호이스트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용 트롤리 호이스트의 설치 모듈 및 그 운용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3-0000354호 (2013.01.16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14-0017802호(2014.02.12 공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협소한 공간에서 각종 장애물을 피하여 레일 프레임을 설치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핸들링이 금지된 중량의 자재를 설치된 레일 프레임을 통해 용이하게 운반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중량의 자재를 용이하게 운반하여 투입 공수를 감소시키고 작업 조건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자재 운반 장치는 선박 내 공간에서 조립 및 분해될 수 있고 전면 프레임, 후면 프레임 및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 각각의 하단은 서로를 향해 절곡된 레일 프레임; 상호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 각각의 하단에 배치된 복수의 지지대들; 및 상기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 각각의 하단을 통해 주행하여 자재를 운반하는 운반차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은 상호 이격되고 직선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 프레임은 상기 전면 프레임, 상기 후면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측면프레임들은 상기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 각각의 상단에서 서로를 향해 절곡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반차는 그 외측 상단의 일부에서 돌출되는 운반 보조 부재; 및 내측 상단의 시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자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자재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대들은 데크 상에 배치되어 상하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운반 장치는 좁은 공간에서 각종 장애물을 피하여 레일 프레임을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운반 장치는 핸들링이 금지된 중량의 자재를 설치된 레일 프레임을 통해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운반 장치는 중량의 자재를 용이하게 운반하여 투입 공수를 감소시키고 작업 조건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운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자재 운반 장치의 레일 프레임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자재 운반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자재 운반 장치의 운반차를 설명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자재 운반 장치를 통해 자재를 운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운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자재 운반 장치의 레일 프레임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자재 운반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있는 자재 운반 장치의 운반차를 설명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자재 운반 장치(100)는 레일 프레임(110), 운반차(120), 및 복수의 지지대들(130)을 포함한다. 레일 프레임(110)은 선박 내 공간에서 조립 및 분해될 수 있고 운반차(120)는 레일 프레임(110)을 통해 주행하여 자재(150)를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대들(130)은 레일 프레임(11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 프레임(110)은 전면 프레임(111), 후면 프레임(112),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13) 및 연결부(114)를 포함할 수 있고 이탈 방지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11)은 레일 프레임(110)의 전단에 배치되며, 후면 프레임(112)은 레일 프레임(110)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13)은 직선으로 형성되거나(즉, 직선 측면 프레임(113-1)) 또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즉, 곡선 측면 프레임(113-2)).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13)은 상호 이격되어 레일 프레임(11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13) 각각의 하단은 서로를 향해 절곡되며, 운반차(120)는 절곡된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13)의 하단을 통해 주행할 수 있다.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13)은 연결부(114)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그 수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자재(150)는 장거리의 목적지(즉, 해치(160))까지 간편하게 운반될 수 있다. 따라서, 자재 운반 경로는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13)의 개수와 각각의 형태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고, 레일 프레임(110)은 협소한 공간에서 각종 장애물을 피하여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114)는 전면 프레임(111)과 측면 프레임(113), 측면 프레임(113)과 다른 측면 프레임(113), 또는 후면 프레임(112)과 측면 프레임(113)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일 프레임(110)은 각각 하나의 전면 프레임(111), 후면 프레임(112) 및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13)로 구성될 수 있고 선박 내 공간에서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15)는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13) 각각의 상단에서 서로를 향해 절곡되어 운반차(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탈 방지부(115)는 운반차(120)의 바퀴(123) 상단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차(120)가 레일 프레임(110)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운반차(120)는 그 외측 상단의 일부에서 돌출된 운반 보조 부재(121), 내측 상단의 시트 상에 설치된 자재 고정 부재(122), 양 측면 각각에 2개씩 배치된 바퀴들(123)을 포함할 수 있다. 운반차(120)는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13) 각각의 하단을 통해 자재(150)를 운반할 수 있고 운반 보조 부재(121)를 통하여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다. 자재(150)는 운반차(120)의 내측 상단의 시트 상에 적재되기 때문에 자재 고정 부재(122)는 운반되는 자재(1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재 고정 부재(122)는 클램프(Clamp) 또는 고정 시트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프는 직교형, 자재형 및 특수형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는 중량의 자재(150)를 운반차(120)의 내측 상단의 시트에 고정시킬 수 있고, 운반차(120)는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23) 각각의 하단을 통해 주행하여 자재(150)를 운반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들(130)은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13) 각각의 하단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레일 프레임(110)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들(130)은 데크(140) 상에 배치되고 상하로 높이를 조절하여 장애물을 피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자재 운반 장치를 통해 자재를 운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복수의 지지대들(130)은 데크(140) 상에 배치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레일 프레임(110)은 장애물들을 피하여 배치될 수 있다. 레일 프레임(110)은 각각 하나의 전면 프레임(111), 후면 프레임(112) 및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13)로 구성되고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13)은 상호 이격되어 레일 프레임(11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13)은 직선 측면 프레임(113-1) 또는 곡선 측면 프레임(113-2)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자재 운반 경로는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113)의 개수와 각각의 형태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다.

    운반차(120)는 전면 프레임(111) 방향을 향하여 레일 프레임(110)을 따라서 주행할 수 있다. 핸들링이 금지된 중량의 자재(150)는 리프팅 러그(170)를 통해 운반차(120) 상에 적재될 수 있다. 자재 고정 부재(122)는 자재(150)를 운반차(120)의 내측 상단의 시트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운반차(120)가 목적지에 도달하면 다시 리프팅 러그(170)를 통해 자재(150)를 하적할 수 있다. 하적된 자재(150)는 해치(160)를 통해 데크(140) 밖으로 운반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자재 운반 장치
    110: 레일 프레임 111: 전면 프레임
    112: 후면 프레임 113: 복수의 측면 프레임들
    113-1: 직선 측면 프레임 113-2: 곡선 측면 프레임
    114: 연결부 115: 이탈 방지부
    120: 운반차 121: 운반 보조 부재
    122: 자재 고정 부재 123: 바퀴
    130: 복수의 지지대들 140: 데크
    150: 자재 160: 해치
    170: 리프팅 러그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