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정 컨베이어

申请号 KR1020067001470 申请日 2004-07-02 公开(公告)号 KR101183253B1 公开(公告)日 2012-09-14
申请人 오씨에스 홀딩 에이비; 发明人 크리스티안손,카르스텐;
摘要 거더 시스템 내에 구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여기에 적하물 유지 수단(18)이 매달리는 하나 이상의 구동 운반대(13)를 포함하는 천정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거더 시스템이 구동 운반대(13)를 위한 레일(12)을 구비하는 제1 내부 공간 및 구동 운반대(13)를 구동하도록 조정된 구동식 무단 구동 부재(5,6)을 구비하는 길다란 제2 내부 공간을 갖는 길다란 직선형 박스 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천정 컨베이어, 곡선형 거더, 레일
权利要求
  • 레일들(12)을 갖는 제1 내부 공간 그리고 무단 구동식 구동 부재(5,6)를 갖는 길다란 제2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직선형 거더(9), 그리고
    거더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상기 레일들(12) 상에서 이동(run)하도록 구성된, 전방 운송부(14;53a;53b) 및 후방 운송부(15;52a;52b)를 구비하는 구동 운반대(13)를 포함하고,
    구동력(drive)을 구동 운반대(13)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 부재의 구동 경로부(driving run)(5)와 맞물리게 압착되도록 초기하중(preload)을 갖는 하나 이상의 마찰 드라이버(31;40)가 각각의 운송부에 제공되는,
    천정 컨베이어에 있어서,
    각각의 마찰 드라이버(31,40)의 하부에는, 상기 마찰 드라이버를 구동 부재의 구동 경로부(5)와 분리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 돌출부들(20;32,36)이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가 고정 배치된 안내 레일(37;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 레일은 후방 운송부가 상기 안내 레일을 지나갈 때 후방 운송부(15)의 돌출부(20;32,36)와 협동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안내 레일(37;50)을 따라 거더 시스템에 있는 다수의 구동 운반대들을 모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후방 운송부(15;52a,52b)에 전방 운송부(14;53a,53b)의 돌출부와 협동하도록 구성된 압착 수단(22;3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컨베이어.
  •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운반대(13)의 전방 운송부(14)에 있는 상기 마찰 드라이버(31;40)의 돌출부들은 램프 형태의 경사진 드라이버 플레이트(20)로서 형성되고,
    후방 운송부(15)의 상기 압착 수단(22)은 후방으로 돌출하는 압착 롤러로서 형성되며,
    상기 압착 롤러는, 후속하는 구동 운반대(13)의 램프 형태의 드라이버 플레이트(20)와 접촉하여, 그 드라이버가 구동 부재로부터 분리되게 강제하도록 구성되는
    천정 컨베이어.
  •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운반대(13)의 전방 운송부(14)에 있는 상기 마찰 드라이버(31;40)의 더 짧은 돌출부들(32)에 마찰 감소 수단(33)이 제공되고,
    후방 운송부(15)의 상기 압착 수단(34)이 램프 형태로서 기울어져 있으며,
    상기 압착 수단은, 후속하는 전방 운송부(14)의 더 짧은 돌출부들(32)과 접촉하여, 그 드라이버가 구동 부재로부터 분리되게 강제하도록 구성되는
    천정 컨베이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5,6)가 평평한 표면을 가지며,
    상기 구동 부재의 평평한 표면과 마찰 접속을 하도록 구성된 평평한 상부 표면이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31)에 제공되는
    천정 컨베이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 시스템이 직선형 거더(9)와 곡선형 거더(9",9a,9b)로 구성되고,
    각각의 곡선형 거더는 구동 부재를 구비하지 않는 길다란 제2 내부 공간을 가지고,
    선행 직선형 거더(9)의 구동 경로부(5)와 후방 운송부(15)와의 맞물림에 의하여, 곡선형 거더(9",9a,9b)로 이동하는 구동 운반대(13)의 전방 운송부(14)가 곡선형 거더(9",9a,9b)를 통과하여 후속 직선형 거더(9)로 이동하고, 여기서 상기 후속 직선형 거더(9)에 있는 구동 경로부(5)와 맞물리게 되도록, 상기 곡선형 거더의 길이가 구동 운반대(13)의 두 개의 운송부들(14,15)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천정 컨베이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 시스템은 전환 지점들을 구비하고,
    상기 전환 지점들은 제1 직선형 거더(9)에 연결가능한 제2 직선형 거더(9')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직선형 거더(9) 및 상기 제2 직선형 거더(9')는 전환 지점 전후로 직선으로 이어지고,
    상기 제2 직선형 거더(9')에는 운송부들에 대한 레일들(12)을 갖는 이동가능한 공간으로서, 구동 부재를 구비하는 거더 공간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가능한, 이동가능한 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전환 지점에는 제2 곡선형 거더(9b)가 제공되고, 상기 제2 곡선형 거더(9b)는, 상기 이동가능한 공간이 상기 거더 공간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동안, 이와 동시에 상기 거더 공간에서 상기 제1 직선형 거더(9) 및 제1 곡선형 거더(9a)에 접촉하도록 위치되는
    천정 컨베이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동 또는 원격 제어에 의하여, 운송부(14,15)에 대한 구동을 중단시키도록 드라이버(31;40)를 작동시킬 수 있기 위하여, 상기 안내 레일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천정 컨베이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37;50)이 더 긴 돌출부들(36)과 협동하도록 배치되고,
    압착 수단(22;34)이 더 짧은 돌출부들(32)과 협동하도록 구성된
    천정 컨베이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5,6)에 다수의 관통 구멍들(23)이 제공되고,
    상기 구동 부재의 구동 경로부(5)의 관통 구멍들(23)과 맞물리거나 상기 관통 구멍들(23)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 이동가능한 핀(19) 그리고 마찰 드라이버(40)를 포함하는 드라이버(39)가 각각의 운송부(14,15)에 제공된
    천정 컨베이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가 벨트 또는 포지티브 구동 벨트인
    천정 컨베이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5,6)가 직선형 거더(9)의 단부들에 근접하여 배치된 구동 및 터미널 롤러들(4) 위로 지나가고, 상기 구동 및 터미널 롤러들(4) 중 하나 이상이 기어 구동장치(2,3)를 매개로 구동 모터(1)에 의해 구동되는
    천정 컨베이어.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1)가 가요성 축(30)에 의하여, 상기 구동 모터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제2 구동 부재에 대한 구동 및 터미널 롤러들 중 하나 이상에 연결가능한
    천정 컨베이어.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说明书全文

    천정 컨베이어 {OVERHEAD CONVEYOR}

    본원발명은 상부 거더 시스템(superjacent girder system)에 구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적하물 유지 수단(load-holding means)이 여기에 매달리게 되는 운반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형태의 천정 컨베이어(overhead conveyor)에 관한 것이다.

    이에 대한 일 구성예에서는, 구동 가능한 운반대가 운송방향으로 연장되어 운반대의 피동부(driven part)와 함께 작동하도록 구성된, 나사형 축(threaded spindle)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컨베이어는 많은 이점을 제공하게 되며, 이들 중 가장 중요한 이점은 컨베이어에 대하여 매우 작은 정도의 가용 작업 공간만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컨베이어 트랙은 본선(main) 방향으로만 배치될 수 있으며 분기부, 곡선부 등에 있어서는 대부분 수동 조작이 필요하여 자동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스웨덴 특허공보 SE 501,744 C2 호에 개시된 천정 컨베이어(overhead conveyor)에 따르면, 용이하게, 예리한 굴곡부을 통해 구동하고 심지어 각각의 이동가능한 운반대를 일시적으로 구동시키지 않으면서 분기부로 자동적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나사형 구동부와 평탄한 비구동부가 교번식으로 제공된 축 에 의하여, 또한 각각이 축의 나사 부분의 길이에 상응하여 서로에 대해 거리를 두고 하나의 유닛으로 결합된 두 개의 운송부로 구성되고, 이로써 두 개의 운송부로 구성된 유닛이, 구동되는 동안에, 유닛에 포함된 두 개의 운송부 중 하나에 인접한 축의 구동부와 구동 접속(driving engagement)을 하게 되는 상기 이동 가능한 운반대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은 만족스러운 방식으로 작동한다는 것이 알려졌으나, 나선형 구동축의 존재로 인하여 상당히 비싼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반면, 동시에 특별히 적용에 있어 유연성이 있지도 않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워엄 나사 구동 컨베이어(worm screw drive conveyor)의 긍정적인 특성을 만족시키면서도 이러한 장치보다 훨씬 더 비용이 절약되며 적용에 있어 더욱 유연성이 있는 천정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본원발명의 청구범위 제1항에 제시된 기술적 특징을 갖는 천정 컨베이어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원발명은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원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구동장치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컨베이어에 포함된 주(main) 거더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컨베이어에 포함된 이동가능한 구동 운반대(drive carriage)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구동벨트와 구동 운반대를 구비하는 거더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컨베이어에 포함된 구동벨트의 일부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구동부로부터 분리된 두 개의 구동 운반대 부분을 구비하는 거더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7c는 컨베이어 트랙의 길이를 따라 서로 다른 부분에 있는, 본원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에 포함된 주 거더(9)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주 트랙으로부터 분기 트랙으로 전환을 실시하기 위한 컨베이어의 거더 시스템 부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원발명에 다른 컨베이어를 위한 곡선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드라이버의 다른 실시예를 구비하는 운송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도 10에 있는 운송부의 분리를 도시한다.

    도 12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운송부를 도시한다.

    도 13은 드라이버의 또 다른 실시예를 수반하는 드라이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에 따른 운송부의 분리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다른 형태의 구동 부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일부 사시도로서, 제1 기어 구동장치(2)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1 기어 구동장치(2)는 포지티브(positive) 구동 벨트(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동력을 제2 기어 구동장치(3)로 전달하며, 계속해서 제2 기어 구동장치는 구동 및/또는 터미널 롤러(4)에 회동가능하지 않도록 연결되며, 상기 구동 및/또는 터미널 롤러는 구동 경로부(driving run)(5)와 반송 경로부(return run)(6)의 무단 구동 부재(endless drive element)를 구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부재는 인장 롤러(7)에 의하여 팽팽하게 유지되는 구동벨트이다. 대체할 수 있는 구동 부재로는 체인, 포지티브 구동벨트 등등이 있다. 이러한 구동장치는 도면에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프레임 요크(frame yoke)(8)에 부착된다.

    도 2에는 본원발명의 컨베이어에 포함된 길다란(elongate) 거더(1)의 일부분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거더는 단면이 사각형인 중공형 박스 형태의 직선형 거더(9)로서 구성되며, 중심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롯형태의 개구부(10)를 구비한다. 이러한 개구부는, 장착된 위치에서, 아래 방향을 향한 측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지지하는 프레임 요크(8)와 제2 기어 구동장치(3)는 직선형 거더(9)의 상부측에 고정된다. 프레임 요크(8)는 직선형 거더(9)에 걸터 얹힌다(straddle). 또한 도면에는 이와 유사한 제2 프레임 요크(11)가 도시되어 있다. 제2 프레임 요크는 축방향에서 볼 때 제1 프레임 요크 뒤에서 직선형 거더(9)에 부착되며, 제1 프레임 요크와 마찬가지로, 기어 구동장치(3) 및 구동 및/또는 터미널 롤러(도시되지 않음)와 제2 무단 벨트 고리가 제공되어 있다. 포지티브 구동 벨트를 두 개의 기어 구동장치(3)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도 1에 따라) 모터(1)가 제1 및 제2 벨트 고리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여 각각의 벨트 고리의 길이를, 이들의 느즈러진 부분(slack)이 적당하게 되도록, 일정 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거더에 있는 하부 슬롯형 개구부(10)에는 내부측으로 향하는 플랜지부(12)가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부는 도 3에 그 사시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구동 운반대(drive carriage)(13)의 바퀴에 대한 레일로서 작용한다. 구동 운반대는 전방 운송부(14) 및 후방 운송부(15)를 포함하고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들 각각에는 도 2에 도시된 플랜지부(12) 상에서 회전하게 되는 바퀴(16)가 4개씩 제공되어 있다. 전방 운송부(14) 및 후방 운송부(15) 각각에는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된 적하물 운반 핀(17)들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적하물 운반 핀들은 구동 운반대(13)가 직선형 거더(9)에 배치될 때 슬롯형 개구부(10)를 통해 연장하여 프레임(1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프레임(18)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변형(quadrilateral)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의하여 운송부(14,15)가 서로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유지된다. 또한 각각의 운송부에는, 본 실시예에서는 핑거(finger)나 핀(19)의 형태로서, 초기하중(preload)을 갖는 드라이버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제공되는데, 그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전방 운송부(14) 상에서, 드라이버(19)의 하부에는 부분적 램프형태로서 전방으로 돌출한 드라이버 플레이트(20)가 제공되어 있다. 양 운송부(14,15)에는 직선형 거더(9) 내에서 거더의 내벽에 지지되어 구동 운반대(13)가 거더 내에서 측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 롤러(21)가 제공된다. 또한 후방 운송부(15)의 후미에는 후속하는 구동 운반대의 운반 플레이트와 이하에서 자세하게 기술되는 방식으로 함께 작동하도록 구성된 압착 수단(예를 들어 롤러)(22)도 배치된다.

    도 4는 직선형 거더(9)의 개략적인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구동 부재의 구동 경로부(5)와 반송 경로부(6)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벨트로 구현되어 있는 구동 부재에는 다수의 관통 구멍(23)이 제공되어 있으며, 각각의 운송부의 드라이버 핀(19)은 아래쪽에 있는 벨트 구동 경로부(5)의 구멍(23)을 관통하여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전체 구동 운반대(13)는 벨트가 터미널 롤러에 도달하여 핀과의 접촉이 분리되거나 스프링(24)에 의하여 초기장력(pretension)을 받는 핀(19)이 그 드라이버 플레이트(20)에 의해 작동되어 아래쪽으로 당겨져서 드라이버 핀이 구멍(23)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벨트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도시된 도면에서의 거더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전환부분(switch portion)에 사용될 부분이며, 따라서 여기서의 거더는 수평선(25)을 따라 분할되어 있다. 이러한 분할선 상부에는 구동 부재(5,6; 즉 벨트 경로부)와 구동 롤러(4) 및 기어 구동장치(3)(도시되지 않음)가 위치하며, 분할선 하부에는 구동 운반대(13) 및 그 구성요소들이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서, 구동 부재(5,6; 즉 벨트 경로부)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벨트 지지부(26,27)가 직선형 거더(9)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도 4의 벨트 부분의 평면도로서, 여기서는 벨트에 있는 구멍(23)이 드라이버 핀(19)이 구멍에 맞물릴 때 더욱 큰 유연성(flexibility)을 제공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원형이 아닌 긴 타원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직선형 거더(9)의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여기서 뒤쪽 구동 운반대(13)의 전방 운송부(14)는 앞쪽에 위치한 구동 운반대(13')의 후방 운송부(15)를 따라가게 된다. 앞쪽에 위치한 구동 운반대(13')는 드라이버 핀(19)이 벨트의 구동 경로부(5)로부터 분리됨으로 인하여 멈추게 된다. 뒤쪽에 있는 구동 운반대(13)의 드라이버 플레이트(20)가 앞쪽에 위치하는 구동 운반대(13')의 압착 수단(예를 들어 롤러)(22)에 도달하면, 드라이버 핀(19)의 스프링 하중에 대항하여 핀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써 구동 벨트(5)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여, 벨트 구동장치가 멈추지 않고도, 다수의 구동 운반대가 분기(shunting)되기 위하여 수집될 수 있다.

    도 7a는 구동 벨트의 양 경로부(5,6)와 함께 거더의 전체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거더의 하부에는 바퀴(16)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횡단면의 거더는 컨베이어 트랙의 직선형 구동부분에 사용된다.

    도 7b는 도 4에 도시된 방식으로 분할된 직선형 거더(9)의 전체 횡단면로서, 이러한 형태의 거더는 전환 지점(switching point)에 사용된다.

    도 7c는 구동 운반대의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컨베이어 트랙 부분에 사용되는 또 다른 형태의 거더(9")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전환 지점 부분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전환 지점에는 도 7a에 따른 것과 상응하는 직선형 거더(9)가 배치되며, 이러한 거더는 전환 지점을 지나서 계속 직선으로 연장된다. 분기된 곡선형 거더(9a)도 전환 지점에 연결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7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횡단면을 가진다. 그러나 곡선형 거더(9a)는 도 7c에 도시된 힝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전환 지점에는 도 7b에 도시된 횡단면을 갖는 직선형 거더(9')도 배치된다. 거더(9')의 상부에 부착된 플레이트(28)에는 타이로드(tie rod)(29)에 대한 안내부가 위치한다. 이 타이로드에 의하여 직선형 거더(9')의 하부가 도면에서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이와 동시에, 곡선형 거더(9b)가 당겨져서 그 전방 단부가 직선형 거더(9')의 상부와 정렬되고 그 후방 단부가 곡선형 거더(9a)의 전방 단부와 정확하게 정렬되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전환 지점에서, 직선형 거더(9')가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구동 운반대는 곧게 직선방향으로, 즉 직선형 거더(9')로부터 직선형 거더(9)로 나가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직선형 거더(9')의 하부가 측방향으로 이동되어 하부 거더인 곡선형 거더(9b)로 교체되면, 구동 운반대의 전방 운송부는, 수동적으로나 원격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가이드 스트립(guide strip)(도시되지 않음) 따위를 사용하여 이러한 스트립이 스프링 하중을 받는 드라이버 핀(19)을 구동벨트의 구멍(23)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작동시킴으로써, 드라이버 핀이 구동벨트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후, 거더의 하부에 위치하며 구동벨트(구동벨트는 직선형 거더(9' 및 9)의 상부에서 직선방향으로 계속 나아간다)로부터 분리된 운송부는 하부 거더인 곡선형 거더(9b)에 의해 형성된 곡선 트랙을 따라갈 수 있게 된다. 구동 운반대의 후방 운송부(15)가 전방 운송부(14)의 뒤쪽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으므로, 후방 운송부의 드라이버 핀(19)은 여전히 구동벨트의 구멍(23)에 맞물려 있게 되고, 따라서 전방 운송부를 트랙(9b) 안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거더(9b)와 이어지는 거더(9a) 다음에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해당 구동벨트의 새로운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거더(도시되지 않음)가 위치하게 되고, 이때는 가이드 스트립이 제거됨으로써, 드라이버 핀의 스프링(24)은 다른 방향으로의 다른 구동벨트에 있는 구멍(23)과 구동 접속(driving engagement)하도록 드라이버 핀(19)을 다시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구동 운반대의 후방 운송부가 분리부의 가이드 스트립에 도달하면, 후방 운송부도 마찬가지로 제1 구동벨트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방향에 있는 제1 운송부를 "뒤따르게" 된다.

    도 9는 곡선형으로 구부러진 거더(9c)와 관련되는 구동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과 마찬가지로, 기어 구동장치(2,3)에 의해 구동벨트를 구동시키도록 포지티브 구동벨트(도시되지 않음)를 통해서 그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1)가 배치된다.

    구동벨트가 거더의 굴곡을 뒤따를 수 없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나 하나의 구동벨트가 제1 프레임 요크(8)가 위치하는 지점에서 끝나고, 제2 프레임 요크(8')가 곡선부분 이후에 위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2 프레임 요크(8')는, 물론 새로운 벨트부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지지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프레임 요크(8,8') 사이에서 연장되어여 제1 프레임 요크의 모터(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는 가요성 축(30)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되고 설명된 전환부에 관련하여서와 마찬가지로, 여기에도 구동 운반대의 어느 한 운송부가 구동되지 않는 거리가 존재하게 되는데, 물론 구동벨트에 대한 이러한 두 개의 구동 롤러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구동 운반대의 어느 한 운송부가 언제나 구동벨트와 맞물려 있도록 하는 거리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도 10에 도시된 운송부(14,15)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드라이버는 핀(19)이 아닌 마찰 드라이버(31)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마찰 드라이브는 구동 부재와 마찰 접속을 하도록 조절된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 표면을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 에, 구동부재는 운반대를 향하는 기본적으로 평평한 표면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벨트나 포지티브 구동벨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 드라이버(31)를 구동 부재와의 접촉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필요한 이동거리가 도 4에 도시된 구조에서보다 짧으므로, 도 10의 운반대의 분리 기능은 약간 다른 방식으로 유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마찰 드라이버(31) 하부의 적어도 일 측면 상에는 운반 방향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더 짧은 돌출부(32)가 제공된다. 이러한 돌출부에는 롤러(33)나 기타 마찰-감소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동 운반대의 후방 운송부(15)에는 그 단부가 위를 향해 약간 구부러져 있는 포크 형태의 압착 수단(34)이 제공된다. 두 개의 운송부가 서로에 대해 다가가게 되면, 포크 형태의 압착 수단의 단부는 마찰 드라이버(31) 하부의 일측 또는 양측면을 파지하여 마찰 드라이버(31)의 더 짧은 돌출부(32)를, 따라서 전체 마찰 드라이버(31)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드라이버에 대해 도시된 두 개의 실시예는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핀(19)이 구동 부재에 있는 구멍(23)에 맞물림으로써 전송력이 크게 되며 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나, 동시에 운반대에 작용하는 외부 힘은 구동장치에 직접 전달되게 된다. 반면, 마찰 드라이버(31)에서는 보다 적은 전송력과 덜 정확한 이동이 이루지게 되나, 동시에, 예를 들어 운반대가 무언가에 충돌하게 될 때 미끄러지게 될 가능성이 어느 정도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부재의 구멍(23)에 삽입되도록 조정된 드라이버 핀(19)과 마찰 드라이버(31)가 모두 각각의 운반대에 제공된다.

    도 12에서, 운반대는 스프링 하중이 가해진 두 개의 독립된 드라이버(19,31)를 구비한다. 이들 중 하나, 예를 들어 후방에 있는 드라이버는 운송부 핀(19)를 구성하는 반면, 다른 하나, 예를 들어 전방에 있는 드라이버는 마찰 드라이버(31)로 구성된다. 드라이버(19) 및 드라이버(31) 모두 구동 부재(5)와 맞물리고 분리될 수 있다.

    핀(19)의 하부에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단 적어도 일 측면상에서 핀(19)으로부터 더 연장되도록 더 긴 돌출부(36)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랙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경사 레일과 같이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기 위한 안내 레일(37)이 더 긴 돌출부(36)과 함께 작용하여 핀(19)을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켜 구동 부재와 분리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 긴 돌출부(36)가 마찰 드라이버의 더 짧은 돌출부(32)보다 핀(19)으로부터 더 멀리 연장하므로, 안내 레일(37)은 마찰 드라이버(31)를 작동시키지않도록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핀(19)과 관련하여 운반대에 후크(hook)와 같은 잠금수단(38)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잠금수단은 안내 레일(37)이 지나가고 났을 때 핀(19)을 내리눌린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마찰 드라이버(31)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분리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드라이버(39)가 핀(19)과 마찰 드라이버(31)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 드라이버(31)는 핀(19)이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는 구멍(41)이 제공된 플레이트(40)로 구성된다. 플레이트(40)는 스프링(42)에 의하여 구동 부재(5)를 향해 눌려진다. 스프링(42)에 포함되어 있는 또 다른 작은 스프링(43)은 핀(19)에 하중을 가한다. 플레이트(40)는 구동 부재로부터 분리되도록 플레이트(40)를 내리누르기 위하여 사용되는 더 짧은 돌출부(32)가 제공된 마찰 드라이버의 하부와 접촉하고 있다. 만약 플레이트가 구동 벨트와 같은 평탄한 구동부재와 접촉한다면 핀(19)은 구동벨트와 맞물리는 플레이트(40)와 동일한 높이로 유지되게 된다. 반면, 구동 부재가 벨트에 있는 구멍체인의 고리 사이에 있는 간격과 같은 홈을 갖는다면, 핀은 스프링(43)에 의하여 홈을 통해 위로 눌리게 되어 구동 부재와 맞물리게 된다.

    핀이 구동 부재와 계속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실시예로서(도시되지 않음), 드라이버의 하부가 대신 핀(19)에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핀(19)이 일정한 거리로 내리눌리게 됨에 따라 플레이트와 맞물리도록 조정된 플랜지가 핀(19)에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이러한 구성이 3가지의 다른 작동 위치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위치에서, 핀(19)과 플레이트(40) 모두는 이들 각각의 스프링(42,43)에 의하여 위로 눌리게 되어, 플레이트는 구동 부재(5)와 접촉하게 되고 핀은 가능한 구멍(23)과 맞물리게 된다. 제2 위치에서, 핀(19)는 더 짧은 돌출부(32)에 의하여 작동됨으로써 내리눌리게 되어 구멍(23)과의 접촉이 분리되게 된다. 그러나, 플레이트(40)는 이러한 이동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스프링(42)에 의하여 구동부재(5)와 접촉이 유지된다. 제3 위치에서, 핀(19)는 또 다른 길이로 내리눌리게 되며, 이로써 플랜지가 플레이트와 맞물리게 되어 이동하는 동안 플레이트와 함께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마찰 드라이버도 역시 구동 부재(5)와 접촉이 분리되어 운반대가 완전히 분리되게 된다.

    더 긴 돌출부(36)는 도 14에 도시된 분리 메커니즘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후방 운송부(52a,52b,52c)는 도 13에 도시된 형태인 반면, 전방 운송부(53a,53b)의 드라이버는 더 긴 돌출부(36)가 제공되지 않는다. 분리가 이루어지는 트랙 부분을 따라서 안내 레일(50)이 더 긴 돌출부(36)과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안내 레일은 경사진 가장자리(51)를 구비한다.

    위에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레일의 가장자리(51)는 후방 운송부(52a,52b,52c)의 드라이버를 내리누르게 되는 반면, 전방 운송부(53a,53b)는 계속 구동된다. 전방 운송부(53b)가 정지된 후방 운송부(52c)로 이동하게 되면, 정지된 후방 운송부의 압착 수단(34)은 전방 운송부(53b)를 분리시키게 되고, 이로써 전체 구동 운반대(43)가 분리되게 된다.

    구동 원리(구멍과 맞물리는 핀 및 마찰)의 서로 다른 특성과 관련하여서, 구동 트랙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을 따라서는 평평한 구동 부재(5a)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며, 경사진 부분을 따라서는 구멍이 제공된 구동 부재(5b)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도 13에 도시된 형태의 운송부(결합된 구동 구성)가 사용되었다.

    핀(19)은 구동 부재(5a)를 따라서는 맞물림이 없이 구동 부재에 대해 인접한다. 구동 부재의 전이부에서 핀은 올라가게 되며, 이후 변형 롤러에 의해 다시 내리눌려지게 된다. 계속해서, 마찰 드라이버가 다시 구동 부재(5b)와의 마찰 접촉에 의해 운송부를 구동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서는 트랙이 기울어져 있으므로, 마찰 드라이버가 운송부를 추진하기에 충분한 힘을 자체적으로 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구동 벨트(5b)는 다음 구멍(23)이 핀(19)을 지나게 될 때까지 미끄러지게 되며, 이렇게 되면 상기 핀이 위로 압착되서 구멍과 맞물리게 되어 추진을 떠맡게 된다.

    본원발명은 도시된 실시예 및 이와 관련된 설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따라서 박스 거더 형태의 직선형 거더(9)가 구동벨트를 유지하는 상부 내부 공간을 갖도록 도시되어 있는 반면, 구동 운반대의 운송부를 위한 내부 공간은 상부 공간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구동벨트 공간은 운송부에 대한 공간 옆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운송부 핀은 수평으로 배치되게 될 것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천정 컨베이어에 의하여, 종래 워엄 나사 구동 컨베이어(worm screw drive conveyor)의 긍정적인 특성을 만족시키면서도 이러한 장치보다 훨씬 더 비용이 절약되며 적용에 있어 더욱 유연성이 있는 천정 컨베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