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송 설비

申请号 KR1019950047308 申请日 1995-12-07 公开(公告)号 KR100177540B1 公开(公告)日 1999-04-15
申请人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发明人 교타니히사시; 오카무라다카시; 하마노기요시;
摘要 본 발명은 예컨대 무단상의 반송경로상에서, 각각이 주행용 구동수단을 갖지 않는 다수의 반송용 주행체를 서로 전후밀접상태에 주행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조립라인 등에 있어서 활용할 수 있는 반송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가이드레일(3)에 각각 주행가능하게 지지된 반송용 주행체(10)와, 그 이송수단(70)를 구비하고, 각 반송용 주행체(10)는 상기 가이드레일(3)에 피안내수단(30,31,40)을 통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본체(11)와, 피반송물 지지부(25)를 가지며, 상기 본체(11)는 주행방향 복수의 가동체(12~14)와, 이들 각 가동체를 연결하고 또한 반송경로중의 커브경로부에서의 각 가동체 사이의 상대굴절운동을 허용하는 연결수단(20)과, 각 가동체에 형성된 주행방향과 평행한 수동부(수동면(15))를 가지며, 상기 피반송물 지지부(25)는 상기 가동� �중의 적어도 1개의 가동체(13)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수단(70)은 상기 가동체의 수동부(수동면(15))에 작용하는 이송용 회전체(마찰이송로울러)와, 이것을 가동하는 모우터를 구비하고 있다.
权利要求
  • 커브경로부를 가진 반송경로를 따라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그 가이드레일에 각각 주행가능하게 지지된 반송용 주행체와, 그 이송수단을 갖추고 있으며, 각 반송용 주행체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피안내수단을 통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본체와, 피반송물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본체는 주행방향 복수의 가동체와, 이들 각 가동체를 연결하고 또한 반송경로중의 커브경로부에서의 각 가동체 사이의 상대굴절 운동을 허용하는 연결수단과, 각 가동체에 형성된 주행방향과 평행한 수동부를 가지며, 상기 피반송물 지지부는 상기 가동체내의 적어도 하나의 가동체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반송경로중의 적당개소에 배설된 것으로, 상기 각 가동체의 수동부에 작용하는 이송용 회전체와, 이것을 구동하는 모우터를 갖추고 있으며, 반송경로중에� �� 상기 이송수단에 의하여 반송용 주행체가 뒤에서 밀어 구동되는 존 외에, 계탈식 이송수단에 의하여 반송용 주행체가 강제구동되는 존이 설치되고, 상기 계탈식 이송수단은 반송용 주행체의 본체의 전단부에 설치된 피동체와, 본체의 후단부에 설치된 구동해제용 조작체와, 반송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또한 상기 피동체와 걸어맞추어지는 푸셔를 갖추고, 상기 피동체와 푸셔는 서로 걸고떼기가 자유롭고, 선행정지반송용 주행체에 후속반송용 주행체가 접근하였을 때, 선행정지반송용 주행체의 상기 구동해제용 조작체가 후속반송용 주행체의 피동체와 푸셔와의 걸어맞춤을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 제1항에 있어서, 각 반송용 주행체의 본체의 전단과 후단에, 후속반송용 주행체가 선행반송용 주행체를 뒤에서 밀때에 서로 맞닿는 맞닿음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체는 전단가동체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는 피안내수단에 부착되고, 상기 구동해제용 조작체는 후단가동체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는 피안내수단에 부착되고, 피동체 부착 피안내수단과 구동해제용 조작체 부착 피안내수단중, 적어도 한쪽의 피안내수단은 그 피안내수단을 지지하는 가동체에 대하여 주행방향으로 일정범위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스프링에 의하여 정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 제1항에 있어서, 전후에 인접하는 반송용 주행체 끼리를 연결하는 서로 걸고떼기가 자유로운 걸어맞춤편과 피걸어맞춤부가 각 반송용 주행체의 본체의 전후 양단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 제1항에 있어서, 반송용 주행체의 본체의 각 가동체는 좌우 수평방향으로 상대요동이 자유롭게 연결수단으로 연결되고, 각 반송용 주행체는 좌우수평방향으로 상대요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수단에 의하여 무단열차상으로 접속되고, 반송경로는 무단열차상으로 접속된 반송용 주행체군이 회동하는 무단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 제5항에 있어서, 각 반송용 주행체의 본체는 피반송물 지지부를 가진 가동체와 작업덱을 가진 가동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무단열차상으로 접속된 반송용 주행체군의 전길이의 신축을 허용하는 신축허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 제5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반송용 주행체의 본체를 구성하는 가동체중, 적어도 1개의 가동체가 주행방향의 길이를 조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각 반송용 주행체의 피반송물 지지부가 각 반송용 주행체의 본체에 대하여 잘라내기가 자유롭고, 그 본체의 주행경로의 윗쪽에 설치된 주행로 위를 주행가능한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에 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는 그 전단쪽에 승강이 자유로운 연결핀을, 그 후단쪽에는 승강이 자유로운 가이드로울러를 구비하고, 그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가 주행하는 주행로에는 상기 연결핀이 이동가능하게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로울러를 안내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각 반송용 주행체의 본체에는 상기 연결핀이 상하로 끼워맞춤과 이탈이 자유로운 핀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 说明书全文

    반송 설비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뒤에서 미는 구동상태에서의 1개의 반송용 주행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2도는 상기 반송용 주행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도는 상기 반송용 주행체의 본체에 있어서 연결수단의 하나를 도시하는 일부 종단 측면도.

    제4도는 상기 반송용 주행체 사이의 맞닿음 개소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5도는 상기 맞닿음 개소의 주요부 확대 횡단 평면도.

    제6도는 상기 반송용 주행체로 피반송물이 반송되는 건조로를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

    제7도는 그의 주요부 확대 정면도.

    제8도는 상기 반송용 주행체를 구동하는 이송수단의 평면도.

    제9도는 동 이송수단의 일부 종단 측면도.

    제10도는 이 실시예에서 병용되는 계탈식 이송수단을 설명하는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주요부 확대 측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일부 절결된 정면도.

    제13도는 이 실시예의 반송경로 전체의 레이아웃을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

    제14도는 상기 반송경로중의 수평 커브경로부에서의 반송용 주행체의 주행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

    제15도는 상기 반송경로중의 승강경로부에서의 반송용 주행체의 주행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

    제16도는 동 승강경로부에서의 반송용 주행체 사이의 맞닿음 개소를 도시하는 확대 측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각 반송용 주행체의 연결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제18도는 상기 각 반송용 주행체의 연결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평면도.

    제19도는 상기 반송용 주행체와 이를 구동하는 이송수단을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

    제20도는 상기 반송용 주행체와 이를 구동하는 이송수단을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

    제21도는 상기 반송용 주행체 사이의 연결부와, 본체가 길이조정 가능한 반송용 주행체의 상세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제22도는 본체가 길이조정 가능한 반송용 주행체의 횡단 평면도.

    제23도는 이 제2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리프트장치를 설명하는 측면도.

    제24도는 상기 리프트장치와 반송용 주행체를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

    제25도는 이 실시예의 반송경로 전체의 레이아웃을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1개의 반송용 주행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27도는 상기 반송용 주행체의 본체를 설명하는 일부 종단 측면도.

    제28도는 동 실시예의 종단 정면도.

    제29도는 동 실시예의 반송경로 전체의 레이아웃을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

    제30도는 U턴에서의 반송용 주행체의 가이드수단을 설명하는 종단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a : 상승경로부분 5b : 하강경로부분

    6 : 밀상 이동존 7 : 전개상 이동존

    10 : 반송용 주행체 11 : 본체

    12,13,14 : 가동체 15 : 가동면

    18 : 단부재 25 : 피반송물 지지부

    26 : 이음핀 28 : 지지프레임

    30 : 피안내수단 40 : 피안내수단

    42 : 핀 43 : 전후동체

    46 : 트롤리본체 49 : 구동해제용 조작체

    50 : 스프링 53 : 볼트

    56,57 : 맞닿음부 60 : 건조로

    62 : 건조수단 70 : 마찰식 이동수단

    79 : 마찰이송로울러 80 : 아암

    84 : 받이로울러 91 : 마찰제동로울러

    101 : 채널상가이드 102 : 구동라인

    117 : 이재수단 200,200A : 반송용 주행체

    210 : 본체 219,247 : 수동면

    270 : 실린더유니트 284 : 승강부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예컨대 무단상의 반송경로상에서, 각각이 주행용 구동수단을 갖지 않는 다수의 반송용 주행체를 서로 전후 밀접상태로 주행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조립라인 등에 있어서 활용할 수 있는 반송설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각각이 주행용 구동수단을 갖지 않는 다수의 반송용 주행체를 일정 반송경로 상에서 주행시키도록 한 반송설비로서,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 2-209309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반송설비는, 다수의 반송용 주행체가 주행가능으로 지지된 반송경로의 위쪽 위치에, 반송용 주행체의 측면으로 압압하는 마찰이송로울러와 이 로울러를 회전구동하는 모우터 등으로 구성된 마찰식 이송수단을 배설하고, 아래쪽 위치에는, 반송용 주행체의 측면으로 압압하는 마찰제동로울러와 이 로울러를 역이송하는 방향으로 회전구동하는 모우터 등으로 구성된 마찰식 제동수단을 배설하고, 상기 마찰식 이송수단에 의하여 그 마찰이송로울러가 맞닿는 반송용 주행체를 추진시킴으로서 그 전방에 위치하는 모든 반송용 주행체를 뒤에서 밀어 이동시켜 뒤에서 밀어지는 반송용 주행체가 관성으로 후속의 반송용 주행체보다도 고속이동하여 선행하는 것을 상기 마찰식 제동수단으로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종래의 이 종류의 반송설비에서는, 반송용 주행체가 하나의 대차로 이루어지는 강체구조의 것이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즉, 직선경로에서는 각 반송용 주행체를 원활하게 뒤에서 밀어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컨대 수평 커브경로부에 있어서는, 전후의 반송용 주행체간의 굴절각도, 즉 1직선으로 직열하고 있는 상태에서 굴절각도가 커지기 때문에, 뒤쪽의 반송용 주행체로부터 앞쪽의 반송용 주행체에 작용하는 뒤에서 미는 힘중, 앞쪽의 반송용 주행체의 전진방향의 분력이 작아지고, 앞쪽의 반송용 주행체의 주행저항이 증가하여 원활한 뒤에서 미는 작용이 행해지지 않게 된다. 이 현상은, 반송용 주행체의 전장이 길어질수록 현저하게 되고, 장척물의 반송설비에는 활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전장이 긴 반송용 주행체일지라도, 수평방향의 커브경로나 수직방향의 커브경로에 있어서 원활하게 뒤에서 밀어 추진구동시킬 수 있는 반송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설명]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에 의한 반송설비는, 커브경로부를 갖는 반송경로에 따라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이 가이드레일에 각각 주행가능하게 지지된 반송용 주행체와, 그 이송수단을 구비하고, 각 반송용 주행체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피안내수단을 통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본체와, 피반송물 지지부를 갖고, 상기 본체는, 주행방향 복수의 가동체와, 이들 각 가동체를 연결하고 동시에 반송경로중의 커브경로부에서의 각 가동체 사이의 상대굴절운동을 허락하는 연결수단과, 각 가동체에 형성된 주행방향과 평행한 수동부와를 갖고, 상기 피반송물 지지부는, 상기 가동체중 적어도 하나의 가동체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반송경로중의 적당한 개소에 배설된 것으로, 상기 각 가동체의 수동부에 작용하는 이송용 회전체와, 이 를 구동하는 모우터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본 발명의 반송설비에 의하면 피반송물 지지부에 지지되는 피반송물의 전장이 길기 때문에 반송용 주행체 전체의 전장이 길어지더라도, 가이드레일에 피안내수단을 통하여 지지안내되는 본체는 주행방향에 복수로 분할되어 연결수단에 의하여 굴곡 자유로이 연결된 가동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수평 커브경로부를 주행할 때의 각 가동체 사이의 굴절각도, 즉 일직선으로 직렬하고 있는 상태로부터의 굴곡각도는 작다. 다시 말하면, 뒤쪽의 반송용 주행체가 앞쪽의 반송용 주행체를 뒤에서 미는 상태에서 상기 수평 커브경로부를 통과할 때의 뒤쪽 반송용 주행체의 전단가동체와 전단반송용 주행체의 후단가동체와의 사이의 굴절각도도 작아진다.

    따라서, 각 반송용 주행체의 전단가동체의 전단과 후단가동체의 후단에 후속반송용 주행체가 선행 반송용 주행체를 뒤에서 밀때에 서로 맞닿음하는 맞닿음부를 설치하여 두고, 상기 이송수단에 의하여 그 이송용 회전체가 수동부에 작용하는 반송용 주행체를 전진주행시키므로서 그 앞쪽의 반송용 주행체를 뒤에서 밀어 구동시키도록 하여 사용하는 경우, 수평 커브경로부에 있어서 뒤쪽 반송용 주행체의 뒤에서 미는 힘이 앞쪽 반송용 주행체의 전진추력으로서 효율좋게 작용하고 원활하게 뒤에서 밀어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반송용 주행체의 본체를 구성하는 각 가동체는, 피반송물을 지지하는 피반송물 지지부의 폭보다도 충분히 미세한 봉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앞쪽의 반송용 주행체를 뒤에서 밀어 구동시키도록 하여 사용하는 경우, 수평 커브경로부에 있어서도 뒤에서 미는 작용위치가 수평커브하는 가이드레일로부터 가로축쪽으로 어긋나는 양을 최소로 억제하여 효율좋게 원활하게 뒤에서 밀어서 구동할 수가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반송설비를 실시함에 있어서, 반송경로중에는 상기 이송수단에 의하여 반송용 주행체가 뒤에서 밀어 구동되는 존(zone) 외에 계탈식 이송수단에 의하여 반송용 주행체가 강제구동되는 존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계탈식 이송수단은 반송용 주행체의 본체의 전단부에 설치된 피동체와, 상기 본체의 수단에 설치된 구동해제용 조작체와, 반송경로에 따라 이동하고 동시에 상기 피동체와 걸어맞춤하는 푸셔를 구비하고, 상기 피동체와 푸셔는 서로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고, 선행 정지반송용 주행체에 후속반송용 주행체가 접근하였을 때, 선행 정지반송용 주행체의 상기 구동해제용 조작체가 후속반송용 주행체의 피동체와 푸셔와의 걸어맞춤을 이탈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뒤에서 밀어 구동하는 존에서는 각 반송용 주행체를 전후에 밀접시켜 열차상으로 연속하는 상태로 정속으로 주행시키고, 계탈식 이송수단에 의한 강제구동존에서는 상기 푸셔의 간격에 대응시켜 각 반송용 주행체를 적당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정속으로 주행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동일의 반송용 주행체를 사용하여 피반송물을 이송하면서 해당 피반송물에 대한 작업 등에 응하여 주행상태를 변경할 수가 있어 계탈식 이송수단에 의한 강제구동존에서는 각 반송용 주행체를 자동적으로 스토리지(storage) 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피동체는 전단가동체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는 피안내수단에 부착하고, 상기 구동해제용 조작체는 후단가동체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는 피안내수단에 부착하고, 피동체가 부착된 피안내수단과 구동해제용 조작체가 부착된 피안내수단중, 적어도 한쪽의 피안내수단은 해당 피안내수단을 지지하는 가동체에 대하여 주행방향으로 일정범위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시킴과 동시에 스프링에 의하여 정위치로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이송수단으로 각 반송용 주행체를 뒤에서 밀어 구동하고 있을때, 뒤쪽 반송용 주행체의 전단에 위치하는 피동체가 부착된 피안내수단과 앞쪽 반송용 주행체의 후단에 위치하는 구동해제용 조작체가 부착피안내수단이 전후에 서로 인접하여 앞쪽 반송용 주행체의 구동해제용 조작체가 뒤쪽 반송용 주행체의 피동체를 비작용위치(푸셔에는 걸어맞춤하지 않는 위치)로 전환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레일에 대하여 본체(각 가동체)가 위쪽에 있는 경우로, 반송경로중에 상승경로부나 하강경로부 등의 양단을 형성하는 수직커브 경로부가 있는 경우 상승경로부의 종단부나 하강경로부의 시단부를 반송용 주행체가 통과할 때, 전후의 반송용 주행체를 뒤에서 밀기 위한 맞닿음부가 이간하여 뒤쪽 반송용 주행체의 전단에 위치하는 피동체가 부착된 피안내수단과 앞쪽 반송용 주행체의 후단에 위치하는 구동해제용 조작체가 부착한 피안내수단에 의하여 뒤에서 미는 작용이 행해지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스프링에 의한 가압력을 이송수단에 의한 뒤에서 미는 힘보다도 약하게 설정하여 둠으로서, 상기와 같이 뒤쪽 반송용 주행체의 전단에 위치하는 피동체가 부착된 피안내수단과 앞쪽 반송용 주행체의 후단에 위치하는 구동해제용 조작체가 부착된 피안내수단이 서로 미는 상황으로 되었을때, 적어도 한쪽의 피안내수단을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에 맞서서 후퇴이동시켜 뒤에서 미는 힘 전달을 위한 가동체 끝부의 맞닿음부 끼리를 서로 맞닿음시켜, 전후의 반송용 주행체간의 거리가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양호한 뒤에서 미는 작용을 수행시킬 수가 있다.

    더욱, 전후에 인접하는 반송용 주행체 끼리를 서로 걸거나 벗김이 자유로운 걸어맞춤편과 피걸어맞춤부를 각 반송용 주행체의 전후 양단에 배설할 수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걸어맞춤편과 걸어맞춤부로 전후로 인접하는 반송용 주행체끼리를 연결함으로서 열차상으로 연속시켜 이를 상기 이송수단으로 구동함으로서 해당 이송수단보다도 윗쪽에 있는 후속의 반송용 주행체군도 견인구동시킬 수 있다.

    반송경로가 무단상으로 이 무단상의 반송경로의 전역에 반송용 주행체를 전후로 밀접하는 상태로 배치하고 각 반송용 주행체를 일체로 회동시키는 것과 같은 반송설비로서 실시하는 경우에는, 반송용 주행체의 본체의 각 가동체는 좌우 수평방향으로 상대요동 자유로이 연결수단으로 연결하고 각 반송용 주행체는 좌우 수평방향으로 상대요동 자유로이 연결하는 연결수단에 의하여 무단열차상으로 접속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각 반송용 주행체의 본체는 피반송물 지지부를 갖는 가동체와 작업덱을 갖는 가동체로 구성하여 반송중일지라도 작업덱상에 탑승한 작업자가 피반송물 지지부상의 피반송물에 대하여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또 무단열차상으로 접속된 반송용 주행체군의 전장의 신축을 허용하는 신축허용부를 설치함으로서, 무단상 반송경로중의 원호상의 수평 커브경로부를 회동하는 각 가동체의 위치의 변화에 의하여, 무단열차상으로 접속된 반송용 주행체군에 과대한 장력이 작용하거나 부당한 헐거움이 생기는 것과 같은 것을 방지하여 원활히 반송용 주행체군을 회전시킬 수가 있다.

    더욱더, 적어도 하나의 반송용 주행체의 본체를 구성하는 가동체중, 적어도 하나의 가동체를 주행방향의 길이를 조정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무단상 반송경로의 전장과 해당 반송경로상에 설치한 무단열차상의 반송용 주행체군의 전장과의 오차를, 상기 가동체의 길이조정에 의하여 흡수시킬 수가 있다.

    각 반송용 주행체의 피반송물 지지부는 반송용 주행체에 일체화하는 것이 기본적인 구성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각 반송용 주행체의 본체에 대하여 떼기가 자유롭개 각 반송용 주행체에 있어서 본체의 주행경로의 상측에 설치된 주행로상을 주행가능한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 예컨대 차륜을 갖는 대차형식의 것이나, 차륜이 없고 주행경로측의 가이드 로울러 등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펠릿형식의 것 등에 의하여 상기 피반송물 지지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중량물을 반송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해당 중량물을 지지하는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의 하중은 해당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를 주행가능으로 지지하는 주행경로측에서 받게 하여 반송용 주행체의 본체에는 걸리지 않게 하여 끝나므로, 반송용 주행체의 본체의 주행용 가이드수단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또, 반송용 주행체에 있어서 본체로부터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를 뗄 수 있으므로 취급하는 피반송물에 따라 피반송물 지지부만을 구조가 다른 것으로 교환하는 것도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를 펠릿과 같이 사용하여 반송경로에 대한 피반송물의 싣고부림을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와 함께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더욱, 피반송물 지지부의 보수점검수리에 있어서,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를 반송경로로부터 떼어내어 해당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해당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의 떼어낸 자리에 별도의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를 세트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피반송물 지지부의 보수점검수리를 위하여 반송작업을 중단시키는 것도 없다.

    상기와 같은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에는 그 전단측에 승강자유로운 연결핀을, 그 후단쪽에는 승강자유로운 가이드 로울러를 설치하여 해당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가 주행하는 주행로에는 상기 연결핀이 이동가능하게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로울러를 안내하는 가이드 슬릿을 형성하여 각 반송용 주행체의 본체에는 상기 연결핀이 상하로 끼워맞춤이탈이 자유로운 핀구멍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실시하면,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를 바닥면상에서 주행시켜, 해당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를 추진시키기 위한 수단은 모두 바닥면 아래에 배설할 수가 있어 게다가 바닥면 위에는 상기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를 안내하는 레일 등이 불필요함으로 바닥면상을 평탄하게 하여 다른 운반기기나 작업자의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제2도, 제7도,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1) 위에 개방부가 수평방향으로 상대향하는 좌우 1쌍의 가이드레일(3)이 기틀(2)을 통하여 가설되어 있고, 그리고 가이드레일(3)의 개방부쪽의 상측 가장자리부에는 그 상면에 4각봉의 가이드부재(4)가 부설되어 있다. 이 가이드레일(3)에 의하여 반송경로(5)가 형성되는 것이고, 여기서 반송경로(5)는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평행의 한쌍의 직선상 경로부(5A)와, 이들 직선상 경로부(5A)의 시종단간을 접속한 수평커브경로부(5B)에 의하여 장원 무단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원 무단상의 반송경로(5)는 그 서로 평행인 1쌍의 직선상 경로부(5A)의 부분으로 2분할되고, 한쪽이 밀상 이동존(6)으로 사용되고, 다른쪽이 전개상 이동존(7)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더욱 밀상 이동존(6)에 있어서 한쪽의 직선상 경로부(5A)에는 상승경로부분(5a)이 조립되고, 또 다른쪽의 직선경로부(5A)에는 하강경로부분(5b)이 조립되어 있다.

    양 가이드레일(3)에 지지안내되어 반송경로(5)를 이동하는 다수의 반송용 주행체(10)가 설치되어 있다. 각 반송용 주행체(10)에는 그 본체(11)가 3개의 가동체(12,13,14)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단가동체(12)와 중앙가동체(13)의 사이, 및 중앙가동체(13)와 후단가동체(14)의 사이가, 각각 연결수단(20)을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 및 좌우수평방향으로 상대요동 자유로이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수단(20)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가동체(13)의 전후단에 일체화된 단부재(16)와, 전후의 가동체(12,14)의 상대향단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단부재(16)에 좌우수평방향의 가로핀(21)을 사이에 두고 연결체(22)가 상하 요동자유로이 장치됨과 동시에, 그 연결체(22)가 전후의 가동체(12,14)의 상대향단에 상하수직방향의 세로핀(23)을 사이에 좌우유동 자유로이 연결되어 이루는 트라이언 형식의 것이다.

    상기 가동체(12,13,14)중 적어도 1개의 가동체, 이 실시예에서는 중앙가동체(13)에 피반송물 지지부(25)와, 상기 가이드레일(3)에 지지안내되는 주행방향 전후 한쌍의 피안내수단(30)이 설치되고 나머지의 가동체, 이 실시예에서는 전후의 가동체(12,14)에는 상기 피반송물 지지부(25)를 구비한 중앙가동체(13)에서 먼 측의 유단부에 상기 가이드레일(3)에 지지안내되는 피안내수단(31,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반송물 지지부(25)는 중앙가동체(13)에 있어서 상기 단부재(16)의 상부에 전후수평방향의 이음핀(26)을 통하여 고정된 브래킷(27)과, 이브래킷(27)상에 설치된 좌우수평방향의 지지프레임(28)등으로 구성되어 이들 지지프레임(28)의 좌우 양단부에는 예를 들면 자동차보디 등의 피반송물(29)의 지지부(28A)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중앙가동체(13)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피안내수단(30)은 상기 단부재(16)에 회동 자유로이 부착된 상하방향의 핀(32)과, 이 상하방향의 핀(32)의 하단에 좌우 수평방향의 핀(33)을 통하여 회동자유로이 연결된 트라니언 본체(34)와, 이 트라니언 본체(34)의 양측에 각각 전후 한쌍 축받이되어 동시에 상기 가이드레일(3)에 끼워맞춤하여 지지안내되는 지지용 수평축 로울러(35)와, 상기 트라니언 본체(34)의 상부에 전후 한쌍 축받이되어 동시에 상기 가이드레일(3)의 가이드부재(4) 사이에서 안내되는 진동방지용 수직축 로울러(36) 등에 의하여 구성된 트롤리가 이용되고 있다.

    전단가동체(12)의 유단측에 설치된 피안내수단(31)도 상기 피안내수단(30)과 꼭같은 구성으로 제1도, 제2도,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가동체(12)의 단부재(17)에 회동자유로이 부착된 상하방향의 핀(32), 좌우수평방향의 핀(33), 트롤리 본체(34), 지지용 수평축 로울러(35), 진동방지용 수직축 로울러(36) 등에 의하여 구성된 트롤리가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트롤리 본체(34)의 하부에는 피동체(38)의 전단 가까운 위치가 좌우수평방향의 지지핀(37)에 의하여 상하요동이 자유로이 축받이되어 있다. 이 피동체(38)의 지지핀(37)에서 후방으로 연출하는 부분에는 후방을 향하는 걸림면(38A)이 형성되고 또 지지핀(37)에서 전방으로 연출하는 부분의 상측에는 피조작면(38B)이 형성되어 있다.

    후단가동체(14)의 유단측에 설치된 피안내수단(40)은 이 후단가동체(14)에 대하여 상대 변위 자유로이 연결되어 있다. 즉 제1도, 제2도, 제4도,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가동체(14)의 유단측에 설치된 단부재(18)의 하측에 문형의 브래킷(41)이 부착되고, 이 브래킷(41)에 좌우수평방향의 핀(42)이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좌우수평방향의 핀(42)에 전후 동체(43)가 장공(44)을 사이에 전후방향 이동가능하게 밖에서 끼워져 있다.

    전후 동체(43)로부터는 하향으로 세로핀(45)이 일체로 연설되고, 이 세로핀(45)에 상기와 꼭같이 피안내수단(40)의 트롤리 본체(46)가 회동이 자유로이 부착되고 이 트롤리본체(46)에 지지용 수평축 로울러(47)와 진동방지용 로울러(48)가 축받이되어 있다. 이로서 피안내수단(40)은 후단가동체(14)에 대하여 좌우수평방향의 핀(42)의 축심(42A)의 둘레로 상대회동 자유로이 연결되고, 더욱 상기 핀(42)과 전후방향의 장공(44)을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일정범위내 상대이동 자유로이 연결된다. 그리고 트롤리 본체(46)의 하부에는 상기 피동체(38)의 피조작면(38B)에 작용하여 이 피동체(38)를 걸림면(38A)이 상동하도록 요동시키는 후속반송용 주행체의 구동해제용 조작체(49)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피안내수단(40)에는, 이를 후방으로 가압이동시키는 스프링(50)이 부설되어 있다. 즉, 문형상의 브래킷(52)의 좌우 한쌍의 측판(51)이 상기 좌우수평방향의 핀(42)의 양단에 지지되고, 해당 브래킷(52)에 전후방향 위치조정용의 볼트(53)를 사이에 두고 후방방향으로 부착된 받이좌(54)와 전후동체(43)에 일체형성된 전방방향에의 받이좌(55)와의 사이에 상기 스프링(50)이 개장되어 있다.

    더욱, 반송용 주행체(10)의 본체(11)의 전단과 후단, 즉 전단가동체(12)의 단부재(17)의 전단과, 후단가동체(14)의 단부재(18)의 후단이 맞닿음부(56,57)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전단가동체(14)의 전단상측에는 전방으로 연출하는 훅상의 걸어맞춤편(59a)이 좌우 수평방향의 가로핀(58)에 의하여 상하요동이 자유로이 축받이되고, 후단가동체(14)의 후단 상측에는 돌기상의 피걸어맞춤부(59b)가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편(59a)을 직전의 반송용 주행체(10)의 상기 피걸어맞춤부(59b)에 걸어맞춤으로서 각 반송용 주행체(10)를 열차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걸어맞춤편(59b)은 자중이나 스프링 등에 의하여 쓰러져 걸어맞춤자세로 유지된다.

    제6도, 제7도,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밀상 이동존(6)에 있어서, 상승경로부분(5a)의 약간 윗쪽에서 하강경로부분(5b)의 약간 아래쪽에 걸쳐서는 건조로(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건조로(60)는 직사각형 통상의 위벽체(61)나 이 위벽체(61)의 내면측에 배설된 건조수단(62) 등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위벽체(61)내에 상기 직선상경로부(5A)나 수평커브경로부(5B)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밀상 이동존(6)에 있어서, 건조로(60)의 입구부분보다도 약간 윗쪽에는 반송용 주행체(10)에 있어서 본체(11)의 좌우 양측면인 상기 수동면(15)에 작용하여 반송용 주행체(10)에 추력을 부여하는 마찰식 이송수단(7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마찰식 이송수단(70)은 상기 각 가동체(12~14)의 수동면(15)에 맞닿음가능한 마찰이송로울러(79)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제8도,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3)의 가로측쪽에 있어서 상기 기틀(2) 등에서 연설된 베이스체(71)에 세로축(72)이 입설되고, 이 세로축(72)에 축받이(73)를 사이에 지지부재(74)가 세로축심(75) 둘레로 요동자유로이 부착되고, 이 지지부재(74)에 모우터(76)와 감속기(77)의 출력축(78)에 예를 들면 우레탄계의 마찰이송로울러(79)가 부착되고, 해당 마찰이송로울러(79)를 감속기(77)를 통하여 모우터(76)에 의하여 회전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74)에는 아암(80)이 연설되고, 이 아암(80)과 베이스체(71)와의 사이에 실린더 유니트(81)가 개장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 유니트(81)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지지부재(74)를 세로축심(75) 둘레로 요동시켜 마찰이송로울러(79)를 반송용 주행체(10)의 본체(11)의 한쪽측의 수동면(15)에 대하여 원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때의 수동면(15)에 대한 마찰이송로울러(79)의 접근한 위치를 정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74)에 맏닿음부재(82)가 부설됨과 동시에 이 맞닿음부재(82)와 맞닿음가능한 스토퍼(83)가 베이스체(71)에 위치조정이 자유로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마찰이송로울러(79)에 대향하여 다른편의 수동면(15)이 맞닿음 자유로운 받이로울러(84)가 세로축을 사이에 두고 유전만 자유로이 설치되어 있다.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밀상 이동존(6)에서 건조로(60)로부터의 출구부분 보다도 약간 아래쪽에는 반송용 주행체(10)에 있어서 본체(11)의 수동면(15)에 작용하여 반송용 주행체(10)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마찰식 제동수단(90)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 상기 마찰식 이송수단(70)의 약간 윗쪽에는 송입수단(95)이 설치됨과 동시에, 마찰식 제동수단(90)의 약간 아래쪽에는 송출수단(96)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 각 수단(70,90,95,96)의 배치패턴은 여러가지로 변경되는 것이고, 또 마찰식 제동수단(90)과 송입수단(95)과 송출수단(96)과는 그 일부 혹은 전부를 생략하여도 좋다.

    상기 마찰식 제동수단(90)은 상기 마찰식 이송수단(70)과 꼭같은 구조로서 상기 반송용 주행체(10)에 있어서 본체(11)의 한쪽측의 수동면(15)에 대하여 맞닿음이간이 자유로운 예를 들면 우레탄제의 마찰제동로울러(91)와, 이 마찰제동로울러(91)의 역이송회전력(B)을 부여하는 토오크 모우터(92)와, 다른편의 수동면(15)이 맞닿음 가능한 받이로울러(9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 토오크 모우터(92)에 의한 역이송회전력(B)은 상기 마찰식 이송수단(70)의 모우터(76)의 이송회전력(A)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 송출수단(96)도 상기 마찰식 이송수단(70)과 같은 구조의 것이 채용된다.

    제10도~제13도에 있어서, 상기 전개상 이동존(7)의 시단근방위치로부터 수평커브 경로부(5B)를 나온 위치까지의 경로에는 반송용 주행체(10)의 피동체(38)와 상대적으로 걸거나 벗김이 자유로운 푸셔(107)를 갖는 계탈식 이송수단(10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3)의 아래쪽에는 좌우 한쌍의 채널상 가이드레일(101)이 그 개방부가 상대향하도록 상기 기틀(2)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푸셔(107)는 구동체인(102)을 구성하는 사이드링크(103)의 하나에서 상향으로 일체로 연설되고, 해당 푸셔가 부착된 사이드링크(103)의 전후의 센터링크(103)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01)에 끼워맞춤하는 좌우 한쌍의 지지용 수평축 로울러(106)가 축받이된 트롤리(105)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동체인 (102)은 복수의 가이드치륜(108)과 모우터유니트(109)에 연동연결된 구동치륜(110)에 무단상으로 걸쳐 당겨져 있다.

    상기 전개상 이동존(7)의 커브경로부(5B)를 나온 위치로부터 종단 근방위치까지의 경로에는 반송용 주행체(10)를 고속으로 주행시키는 고속이송수단(115)이 배설된다. 이 고속이송수단(115)으로서는, 예를 들면 왕복 자주 자유로운 전차형식 등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밀상 이동존(6)에 있어서 송입수단(95)의 윗쪽위치에는 앞공정에서의 반입수단(116)이 설치되고, 이 반입수단(116)과 반송용 주행체(10)와의 사이에서 피반송물(29)의 이재를 행하는 이재수단(117)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전개상 이동존(7)에 있어서 커브경로부(5B)의 입구부에는 다음공정에의 반출수단(118)이 설치되고, 이 반출수단(118)과 반송용 주행체(10)와의 사이에서 피반송물(29)의 이재를 행하는 이재수단(119)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반송용 주행체(10)에 의한 반송작업방법의 1예를 설명한다.

    제13도에 있어서, 송입수단(95)의 위치에 전단부가 대응하는 상태에서 반송용 주행체(10)가 정지되고 이 반송용 주행체(10)의 피반송물 지지부(25)에 대하여 앞공정에 있어서 예컨대 도장처리되어 반입수단(116)에 의하여 반입된 피반송물(29)이 이재수단(117)에 의하여 이재된다.

    이 상태에서 송입수단(95)을 마찰식 이송수단(70)과 꼭같이 작동시키므로서 피반송물(29)이 탑재된 반송용 주행체(10)가 마찰식 이동수단(70)의 편에 송출된다. 이때 반송경로(5) 상에서 열차상으로 몇주 연결로 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0)군의 최후미의 반송용 주행체(10)의 후단맞닿음부(57)에 송입수단(95)에 의해 송입된 송입반송용 주행체(10)의 전단맞닿음부(56)가 맞닿음하고, 이로서 송입수단(95)의 송입력에 의해 반송용 주행체(10)군이 전진이동된다. 이 송입수단(95)에 의한 송입은, 대응하는 반송용 주행체(10)의 전단부가 마찰식 이송수단(70)으로 들어가므로 정지된다. 이때 마찰식 이송수단(70)에 있어서 실린더유니트(81)는 신장되고 지지부재(74)를 세로축심(75) 둘레에서 외방으로 요동시켜 마찰이송로울러(79)를 제8도의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용 주행체(10)의 수동면(15)의 이동궤적에서 이간시키고 있다. 따라서 반송용 주행체(10)의 송입은 하등지장없이 행해진다.

    그후, 실린더유니트(81)를 수축시켜 마찰이송로울러(79)를 접근동시켜 제8도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것처럼 반송용 주행체(10)의 한쪽의 수동면(15)에 압접시킴과 동시에, 다른편의 수동면(15)을 받이로울러(84)에 맞닿음시켜 이로서 양 로울러(79,84)에 의하여 전단가동체(12)를 끼워두게 하는 것이지만, 이때 마찰이송로울러(79)는 모우터(76)에 의하여 이송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따라서 이 마찰이송로울러(79)의 이송회전력(A)에 의하여 반송용 주행체(10)가 전진구동되어 밀상 이동존(6)의 반송경로(5)에 있어서 열차상으로 수주연결로 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0)군을 뒤에서 밀어 이동시키는 것으로 된다.

    이때 가이드레일(3)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각 반송용 주행체(10)에 있어서 각 피안내수단(30,31,40)은 각 지지용 수평축 로울러(35,47)와 각 진동방지용 수직축 로울러(36,48)에 의하여 이동레벨과 이동방향이 규제되고 각 반송용 주행체(10)는 소정의 자세를 유지하여 원활하게 주행하는 것으로 된다.

    상기 마찰식 이송수단(70)에 의한 반송용 주행체(10)의 이송량은 인코더 등에 의하여 검출되고, 미리 설정된 이송량에 도달하였을 때 마찰이송로울러(79)가 실린더유니트(81)에 의하여 반송용 주행체(10)의 수동면(15)에서 이간케되어 자동정지하게 된다. 한편, 반송경로(5)를 이동하고 있는 반송용 주행체(10)에 대하여 마찰식 제동수단(90)에 의하여 제동이 걸리게 된다. 즉 마찰식 이송수단(70)에 의한 반송용 주행체(10)의 추진작용이 정지하고 있을때에는 마찰식 제동수단(90)에 있어서 실린더유니트는 수축되고 마찰제동로울러(91)는 반송용 주행체(10)의 수동면(15)에서 이간하고 있지만, 마찰식 이송수단(70)이 추진작용을 개시하면, 실린더유니트에 의하여 마찰제동로울러(91)를 상기 수동면(15)측으로 접근이동시켜, 뒤에서 밀어 구동되고 있는 반송용 주행체(10)의 수동면(15)에 압접시킨다.

    이때 마찰제동로울러(91)는 토오크모우터(92)에 의하여 역이송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있으므로, 그 역이송회전력(B)에 의하여 반송용 주행체(10)로 후진방향의 추진력이 작용하지만, 여기서 이송회전력(A)이 역이송회전력(B) 보다도 큰 것으로 인하여, 그 차에 상응하여 마찰제동로울러(91)가 이송방향으로 회전되고 그때의 부하는 토오크모우터(92)에 의하여 흡수된다.

    상기 작용에 의하여 마찰식 제동수단(90)에 대응한 반송용 주행체(10)는 제동작용을 받은 상태에서 뒤에서 밀어구동되는 것으로 되므로 마찰식 이송수단(70)에서 마찰식 제동수단(90) 사이에서는 복수대의 반송용 주행체(10)가 그 전후단간에 틈새를 생기게 하는 일없이 전후에 밀접한 상태로 정열되는 것으로 된다. 이 마찰식 제동수단(90)에 의한 제동작용은 마찰식 이송수단(70)에 의한 추진작용의 정지에 연동하여 자동정지된다. 그리하여 뒤에서 미는 구동에 의한 마찰식 제동수단(90)에서 압출된 반송용 주행체(10)는 송출수단(96)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반송용 주행체(10)는 밀상 이동존(6)에 있어서 소정의 속도로 간헐 이동되고, 그 간헐이동하고 있는 사이에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건조로(60)내를 통과하여 도장된 피반송물(29)에 대한 건조작업이 수행된다. 여기서 건조로(60)내에서의 피반송물(29)의 반송은 마찰식 이송수단(70)에 의한 이송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가이드레일(3)을 바닥면 가까이에 가설하면 좋고, 반송용 주행체(10)를 포함하는 높이를 낮게 하여 건조로(60)내의 공간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상기의 마찰식 이송수단(70)에 의한 반송용 주행체(10)의 추진작용은 그 마찰이송로울러(79)를 전단가동체(12)의 수동면(15)에서 중앙가동체(13)의 수동면(15), 및 후단가동체(14)의 수동면(15)에로 차례로 작용시키는 것으로 행해진다.

    더욱, 직선상 경로부(5A)에서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반송용 주행체(10)의 본체(11), 즉 각 가동체(12,13,14)가 평면시 및 측면시로 1개의 봉상자세로 되는 것으로 부터 후단 맞닿음부(57)에 대하여 전단 맞닿음부(56)가 바로 뒤로부터 맞닿음하는 것으로되고, 그의 뒤에서 미는 구동은 원활히 동시에 확실히 행해진다.

    또 수평커브경로부(58)에서는, 각 가동체(12,13,14)는 제1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시에 있어서 연결수단(20)의 부분에서 커브에 따라 굴절한 자세로 뒤에서 밀어 구동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평면시에 있어서, 선행반송용 주행체(10)의 후단가동체(14)와 후속반송용 주행체(10)의 전단가동체(12)가 이루는 상대각도 Θ1가 둔각으로 되고, 후단맞닿음부(57)에 대하여 전단맞닿음부(56)가 둔각으로 맞닿음하는 상태에서 뒤에서 미는 구동이 행해진다. 더욱 각 가동체(12,13,14) 사이의 굴곡은 연결수단(20)에 있어서, 세로핀(23) 주위로 상대요동하는 것으로 행해진다. 피안내수단(30,31)은 상하방향핀(32)의 주위에서 수평요동가능하고, 피안내수단(40)은 세로핀(45)의 주위에서 수평요동 가능하므로, 가이드레일(3)의 수평커브에 따라 자동적으로 방향이 제어된다.

    그리고, 상승경로부분(5a)이나 하강경로부분(5b)에서의 주행의 경우도 제1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시에 있어서, 선행반송용 주행체(10)의 후단가동체(14)와 후속반송용 주행체(10)의 전단가동체(12)와의 이루는 상대각도 Θ2가 둔각으로 되고, 후단맞닿음부(57)에 대하여 전단맞닿음부(56)가 둔각으로 맞닿음하는 상태에서 뒤에서 미는 구동이 행해진다. 이때의 각 가동체(12,13,14) 사이의 굴곡은 연결수단(20)에 있어서, 가로핀(21) 주위에서 상대요동하는 것으로 행해진다. 더욱, 피안내수단(30,31)은 좌우수평방향의 핀(33)의 둘레로 상하요동가능하고, 피안내수단(40)은 좌우수평방향의 핀(42)의 축심(42A) 주위에서 상하요동가능하므로, 가이드레일(3)의 수직커브에 따라 자동적으로 방향이 제어된다.

    그리고 상승경로부분(5a)의 종단개소나 하강경로부분(5b)의 시단개소에 있어서는 상술한 상대각도 Θ2에 의하여, 선행반송용 주행체(10)의 후단가동체(14)에 있어서 피안내수단(40)의 트롤리 본체(46)에 대하여 후속반송용 주행체(10)의 전단가동체(12)에 있어서 피안내수단(31)의 트롤리 본체(34)가 맞닿음하고, 후단맞닿음부(57)에 대한 전단맞닿음부(56)의 맞닿음이 행해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때의 트롤리 본체(46,34)사이의 누름힘에 의하여, 제1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래킷(41)에 대하여 전후동체(43)가 좌우수평방향의 핀(42)(좌우수평방향축심(42A))주위로 요동함과 동시에 스프링(50)의 가압력에 맞서서 전진이동하는 결과, 후단가동체(14)의 피안내수단(40)이 전방으로 상대이동하고, 이로서 트롤리 본체(46,34) 끼리는 서로 맞닿음상태에 있지만 실제의 뒤에서 미는 힘은 맞닿음부(57,56)끼리의 맞닿음에 의하여 후속반송용 주행체(10)에서 선행반송용 주행체(10)에로 확실히 전달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수평경로부에 진입하여 선행반송용 주행체(10)의 후단가동체(14)와 후속반송용 주행체(10)의 전단가동체(12)가 수평상으로 되는 것으로 스프링(50)의 가압력에 의하여 전후동체(43)가 후방으로 복귀이동한다. 더욱 전후동체(43)의 전후이동은 전후방향의 장공(44)내에서의 좌우수평방향의 핀(42)의 전후유동범위내에서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송출수단(96)에 도달한 반송용 주행체(10)는 송출수단(96)에 의하여 전개상 이동존(7)에 송출된다. 이 전개상 이동존(7)에 있어서는 제10도 내지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탈식 이송수단(100)의 구동체인(102)이 모우터 유니트(109)에 의하여 구동되어 있고, 그리고 소정 피치로 설치된 푸셔(107)가 이 전개상 이동존(7)에 송입반송용 주행체(10)의 피동체(38)에 걸어맞춤된다. 이로서 반송용 주행체(10)는 푸셔(107)에 의하여 전개상 이동존(7)에 있어서 소정피치로 전개되어 정속이동된다.

    이 전개상 이동존(7)에서 예컨대 임의의 위치에 배설된 스토퍼장치에 의하여 선행 반송용 주행체(10)를 정지시켰을때, 이 선행반송용 주행체(10)의 구동해제용 조작체(49)에 대하여 후속반송용 주행체(10)의 피동체(38)의 피조작면(38B)이 올라타서 후단쪽이 상승하도록 피동체(38)가 요동하여 푸셔(107)로부터 피동체(38)의 걸림면(38A)이 이탈한다. 이에 의하여 스토퍼장치보다 윗쪽에서 후속반송용 주행체(10)를 차례로 정지시켜 스토리지할 수 있다.

    또, 반송용 주행체(10)를 반출수단(118)의 위치에서 정지시킴으로써, 그 반송용 주행체(10) 위의 피반송물(29)을 이재수단(119)에 의하여 반출수단(118)으로 옮겨실을 수 있다. 빈 반송용 주행체(10)는 수평커브경로부(5B)를 나온 위치까지 다시 계탈식 이송수단(100)에 의하여 구동된다. 다음에 반송용 주행체(10)에 대하여 고속이송수단(115)이 작용하여 이 빈 반송용 주행체(10)는 밀상 이동존(6)으로 고속이송되어 상기 송입수단(95)의 위치에 달하여 정지한다.

    그리고, 전개상 이동존(7)에 있어서는 선행반송용 주행체(10)의 후단의 피걸어맞춤부(59b)에 후속반송용 주행체(10)에 있어서의 전단의 걸어맞춤편(59a)을 걸어맞추게 함으로써 반송용 주행체(10)군을 열차상으로 연결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선두의 반송용 주행체(10)에 계탈식 이송수단(100)이나 고속이송수단(115)을 작용시킴으로써 후속반송용 주행체(10)군을 견인에 의하여 주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마찰식 이송수단(70)에 의하여 반송용 주행체(10)를 뒤에서 밀어 구동하는 반송 경로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이 각 반송용 주행체(10)를 걸어맞춤편(59a)과 피걸어맞춤부(59b)로 열차상으로 연결해둠으로써 마찰식 이송수단(70)으로부터 윗쪽의 각 반송용 주행체(10)군을 견인구동하여 마찰식 이송수단(70)으로부터 아래쪽의 각 반송용 주행체(10)군을 뒤에서 밀어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후단가동체(14)의 피안내수단(40)을 이 후단가동체(14)에 대하여 상대변위가 자유롭게 연결하고 있으나, 이것은 전단가동체(12)의 피안내수단(31)을 이 전단가동체(12)에 대하여 상대변위가 자유롭게 연결하여도 좋고, 또한 피안내수단(31,40)의 양쪽을 각 가동체(12,14)에 상대변위가 자유롭게 연결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푸셔(107)에 대하여 피동체(38)를 걸고떼기가 자유롭게 구성하고 있으나, 이것은 피동체(38)에 대하여 푸셔(107)를 걸고떼기가 자유롭게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반송용 주행체(10)의 본체(11)를 3개의 봉상의 가동체(12,13,14)로 구성하고 있으나, 본체(11)를 구성하는 가동체의 수는 2개 이상, 임의의 개수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반송물 지지부(25)를 갖춘 가동체의 위치는 본체(11)의 전단 또는 후단에 있어서도 좋고, 임의의 중간위치라도 좋다.

    연결수단(20)은 상기 실시예와 같이 중앙가동체(13)쪽에서 가로핀(21)을 설치함과 동시에, 전후의 가동체(12,14)쪽에 세로핀(23)을 설치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중앙가동체(13)쪽에 세로핀을 설치함과 동시에, 전후의 가동체(12,14)쪽에 가로핀을 설치한 것이나, 구형의 연결구에 의하여 자유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한 것 등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마찰식 이송수단(70), 송입수단(95), 송출수단(96), 마찰식 제동수단(90)은 한쪽의 마찰이송로울러(79)나 마찰제동로울러(91)를 강제구동로울러로 하고, 다른쪽의 받이로울러(84,93)를 유전(遊轉)로울러로 한 것이나, 받이로울러(84,93)의 쪽도 강제구동로울러로 하여도 좋다. 또한, 받이로울러(84,93)도 반송용 주행체(10)의 수동면(15)에 대하여 맞닿고 떨어짐이 자유롭게 구성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바닥면상에 가이드레일(3,101)을 가설하고 있으나, 바닥면 아래의 피트내에 가이드레일(3,101)을 가설하여 반송용 주행체(10)를 포함한 전체의 바닥면상 높이를 낮게 구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17도 내지 제25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7도 내지 제19도,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201)의 아래쪽에 형성된 피트(208)내의 바닥면상에는 기틀(202)이 배설되고, 이 기틀(202)을 통하여 채널상의 지지용 가이드레일(203)이 그 개방부가 좌우 바깥쪽을 향하도록 좌우 1쌍 가설되어 있고, 그리고 양 지지용 가이드레일(203) 사이에는 똑같은 채널재로 된 진동방지용 가이드레일(204)이 기틀(202)을 통하여 가설되어 있다. 이들 각 가이드레일(203,204)에 의하여 평행한 1쌍의 직선상 경로부(205a)와, 이들 직선상 경로부(205a)의 시종단간을 접속하는 수평커브경로부(205b)로 된 무단상(無端狀)의 반송경로(205)가 형성되어 있다.

    200은 양 지지용 가이드레일(203)에 지지안내되어 반송경로(205) 상을 이동하는 반송용 주행체로서, 제17도 및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10)와 피반송 지지대(253)와 작업덱(25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210)는 연결수단(240A)으로 연결된 2개의 봉상의 가동체(215,24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반송용 주행체(200)는 연결수단(240B)에 의하여 무단열차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피반송물 지지대(253)는 본체(210)의 앞쪽 가동체(215) 위에 지지된 프레임(211) 위에 설치되고, 작업덱(250)은 본체(210)의 뒷쪽 가동체(241)의 위에 지지되고 있다.

    상기 프레임(211)은 좌우 1쌍의 전후재(212)와 전후 1쌍의 좌우재(213)에 의하여 형성된 장방형 틀모양의 것으로, 전후재(212)의 전후단부에는 상기 지지용 가이드레일(203) 위를 전동하는 자재차륜(214)이 부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프레임(211)의 상부에는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쪽으로부터의 피반송물 지지대(253)를 위치결정하여 지지하는 지지대 지지수단(22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수단(225)은 프레임(211)의 좌우 1쌍의 전후재(212)의 중앙위치내쪽에 고정되고, 또한 상하방향의 위치결정구멍(227)을 갖춘 좌우 1쌍의 블록(226)과, 상기 좌우 1쌍의 전후재(212)의 윗쪽 복수개소에 고정된 받이재(22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11)은 그 윗면이 바닥면(201a)보다 약간 하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11)에 지지되는 피반송물 지지대(253)는 제17도 내지 제19도,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틀모양의 외틀(254)과, 이 외틀(254) 내에 배설된 전후틀(255) 및 좌우틀(256)에 의하여 평틀모양을 형성되고, 그 아래쪽에는 상기 지지대 지지수단(225)의 각 위치결정구멍(227)에 상하에서 끼워맞추기가 자유로운 좌우 1쌍의 위치결정핀(257)이 수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받이재(228)에 지지되는 맞대기재(25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틀(254~256)의 윗쪽에는 필요에 따라 평판(259)이 부설된다.

    상기 앞쪽 가동체(215)는 상기 프레임(211)의 아래쪽에서 그 폭방향 중앙위치에 있어서 주행방향과 평행으로 부설된 것으로, 4각통상체로 된 본체부(217)와, 이 본체부(217)의 전후 양단에 연이어 설치된 연결부(218)로 이루어지고, 그 좌우 양측면이 편평한 수동면(219)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연결부(218)의 아래쪽에는 상기 진동방지용 가이드레일(204)을 각각 전후 2개소에서 좌우 양쪽에서 끼우는 진동방지용 수직축 로울러(223)가 브래킷(222)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작업덱(150)을 지지하는 뒷쪽 가동체(241)는 4각 통상체에 의하여 형성된 본체부(243)와, 이 본체부(243)의 전후 양단에 연이어 설치된 연결부(244)로 형성되고, 그 좌우 양측면이 편평한 수동면(247)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업덱(250)은 뒷쪽 가동체 양단의 연결부(244)의 윗쪽에 부착판(251)(제21도 참조)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작업덱(250)은 피반송물 지지대(253)의 폭과 대략 동일한 폭을 가진 것으로, 제25도에 도시한 수평커브경로부(205b)를 주행할 때에 지지용 가이드레일(203) 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한쪽부분에는,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돌출하는 3각형상의 돌출덱(25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돌출덱부(250a)는 피반송물 지지대(253)의 아래쪽에서, 그리고 프레임(211)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앞쪽 가동체(215)와 뒷쪽 가동체(241)를 연결하는 연결수단(240A)은 양 가동체(215,241)의 서로 인접하는 연결부(218,244)와, 양 연결부(218,244)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상대요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상하방향의 세로핀(242B)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반송용 주행체(200)끼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240B)은 앞쪽 반송용 주행체(200)에 있어서의 뒷쪽 가동체(241)의 후단연결부(244)와, 뒷쪽 반송용 주행체(200)에 있어서의 앞쪽 가동체(215)의 전단연결부(218)와, 양 연결부(218,244)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상대요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상하방향의 세로핀(242A)으로 구성되어 있다.

    많은 반송용 주행체(200)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나, 이들 반송용 주행체(200)의 내, 적어도 1대의 반송용 주행체(200A)의 본체(210)는 주행방향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7도, 제18도, 제21도,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용 주행체(200A)의 본체(210)에 있어서의 프레임(211)을 지지하는 앞쪽 가동체(215)는 전후로 2분할되어 각 가동체부분(215a,215b)의 분할단면쪽에 각각 전후방향의 나사구멍(230)이 동심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양 나사구멍(230)에 양단 역나사부가 각각 나사끼워지는 나사축(231)과 2개의 록너트(234)에 의하여 양 가동체부분(215a,215b)이 주행방향 길이조정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양 가동체부분(215a,215b)의 양측면에는 전후방향의 오목부(232)가 형성되고, 전후의 오목부(232) 사이에 상기 수동면(210)을 연속시키기 위한 이음판(233)이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이음판(233)은 한쪽의 가동체부분(215b)에 대해서는 비스 등으로 고정되고, 다른쪽의 가동체부분(215a)에 대해서는 비스와 전후방향의 긴 구멍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 길이조정 자유로운 가동체(215)에 지지되어 있는 프레임(211)은 길이고정의 것이므로, 그 가동체(215)의 양단연결부(218) 위에 고착된 부착판(216)과, 그 위에 겹치도록 프레임(211)쪽에 고착된 부착판(213a)과는 그 부착판(213a)에 설치된 주행방향의 긴 구멍(213b)과 이것을 관통하여 상기 부착판(216)에 나사결합하는 볼트(213c)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반송용 주행체(200,200A)를 연결하여 무단연속체를 구성하는 연결수단(240B)과 각 반송용 주행체(200,200A)의 전후의 가동체(215,241)를 연결하는 연결수단(240A)내의 적어도 1개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7도, 제21도,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10)가 길이조정을 자유롭게 구성된 반송용 주행체(200A)와 그 뒷쪽의 반송용 주행체(200)와의 연결수단(240B)이 주행방향으로 일정범위내에서 상대이동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즉, 각 반송용 주행체(200,200A)의 피반송물 지지대(253)(프레임(211))를 지지하는 앞쪽 가동체(215)의 양단 연결부(218)는 상기 세로핀(242A,242B)이 삽통되는 상하방향의 핀구멍(221)을 가짐과 동시에, 그 연결부(218) 위에 고착된 부착판(216)과의 사이에 오목부(220)가 형성되어 있고, 각 반송용 주행체(200,200A)의 작업덱(250)을 지지하는 뒷쪽 가동체(241)의 양단 연결부(244)는 상기 오목부(220)에 삽입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핀구멍(221)과 연통하는 상하방향의 핀구멍(245,24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부착판(216)을 하향으로 삽통하여 그 부착판(216)에 머리부가 지지되는 세로핀(242A,242B)이 상기 핀구멍(221,245) 또는 핀구멍(221,248)에 삽입되는 것이므로, 본체(210)가 길이조정이 자유롭게 구성된 반송용 주행체(200A)와 그 앞쪽의 반송용 주행체(200)와의 연결수단(240B)에 있어서는, 연결부(244)에 설치되는 핀구멍(248)이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긴 구멍이 되어 있다.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송경로(205) 중의 소정개소, 즉, 한쪽의 직선상경로부(205a)의 종단부에 가까운 개소에는 각 반송용 주행체(200,200A)에 있어서의 본체(210)(전후 양 가동체(215,241))의 좌우 양측 수동면(219,247)에 작용하여 반송용 주행체(200,200A)군에 추진력을 부여하는 마찰식 이송수단(26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마찰식 이송수단(260)은 제17도, 제19도,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찰이송로울러(268)와 이를 회전구동하는 모우터(265) 및 마찰이송로울러(268)를 상기 수동면(219,247)에 대하여 원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유니트(270)를 가진다.

    또한, 상술하면, 상기 지지용 가이드레일(203)의 옆쪽에 있어서도 바닥(201)쪽에서 연이어 설치한 베이스체(261)에 세로축(262)이 세워설치되고, 이 세로축(262)에 지지부재(263)가 축받이(264)를 통하여 세로축심의 둘레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263)에는 상기 모우터(265)와 이에 연동연결된 감속기(266)가 부착되고, 그 감속기(266)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하는 출력축(267)에, 예컨대 우레탄계의 상기 마찰이송로울러(268)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63)에는 바깥쪽으로 뻗는 아암(269)이 일체로 연이어 설치되고, 이 아암(279)과 베이스체(261)와의 사이에, 지지부재(263)를 요동시키는 상기 실린더 유니트(270)가 개장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체(261)에는 지지부재(263)를 지지하는 로울러(271)나 떠오름방지로울러(272)가 축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 유니트(270)를 동작시킴으로써 지지부재(263)를 세로축심의 둘레에 요동시켜, 마찰이송로울러(268)를 한쪽의 수동면(219,247)에 대하여 원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 마찰이송로울러(268)가 수동면(219,247)에 대하여 최접근한 위치나 최대이간된 위치를 규제하기 위하여 리미트형식의 검출장치(27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마찰이송로울러(268)에 대향하여 반대쪽의 수동면 (219,247)을 받기 위한 받이로울러(274)가 세로축(275)에 의하여 유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찰식 이송수단(260)을 배설한 직선상 경로부(205a)의 복수개소에는 작업부(279)가 배치되고, 이들 작업부에는 반송용 주행체(200,200A)로부터 피반송물 지지대(253)를 들어올리는 리프트장치(28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23도,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201) 쪽에 평틀상의 기틀(281)이 배설되고, 이 기틀(281)의 네구석에서 지지용 가이드레일(203)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재(282)가 세워설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부재(282)에 로울러(283)를 통하여 안내되는 승강부재(284)가 설치되고, 이들 승강부재(284) 중, 주행방향으로 쌍을 이루는 승강부재(284)의 상단단에는 승강간(285)이 설치된다. 이 승강간(285)의 상부에는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253)에 대하여 아래쪽에서 맞닿음이 자유로운 맞닿음부재(286)가 설치된다. 승강간(285)을 승강시키기 위하여 기틀(281)의 하부와의 사이에 팬타그래프기구(287)가 설치되고, 양 팬타그래프기구(287)를 동기하여 작동시키는 실린더 유니트(288)가 설치되어 있다.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송경로(205) 중에 있어서, 상기 마찰식 이송수단(260)을 통과하여 수평커브경로부(205b)를 나온 개소에는 천정쪽의 매달기 반송장치(290)의 반송경로가 2개소에서 교차하는 상태로 배설되고, 수평커브경로부(205b) 가까이의 교차부분이 내림부(291)에 수평커브경로부(205b)로부터 떨어진 쪽의 교차부분이 쌓아넣기부(292)에 형성된다. 그리고, 매달기 반송장치(290)는 자주 대차에 행거를 설치한 것이나, 체인구동되는 트롤리에 행거를 설치한 것 등이 채용되며, 이때, 행거쪽의 걸림부재를 피반송물 지지대(253)에 걸어맞추어 행거를 위치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반송용 주행체(200,200A)를 사용한 반송설비를 설치하였을 때에, 연결된 다수의 반송용 주행체(200,200A)로 된 열차상의 무단연속체의 전길이에 오차가 생겼기 때문에, 제21도에 도시한 반송용 주행체(200A)와 그 뒷쪽의 반송용 주행체(200)와의 연결수단(240B)에 있어서 세로핀(242B)이 긴구멍 모양의 핀구멍(248)의 대략 중앙위치로부터 전후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반송용 주행체(200A)의 본체(210)(앞쪽 가동체(215))의 주행방향 길이가 조정되고, 그 오차가 흡수된다.

    즉, 제21도에 도시한 이음재(233)의 한쪽을 벗김과 동시에, 다른쪽의 이음재(233)와 가동체부분(215a)을 고정시키는 비스를 헐겁게 한 상태에서 나사축(231)을 회전조작하여, 이에 의하여 전후로 분할되어 있는 가동체부분(215a,215b)을 주행방향으로 접근이간이동시켜, 본체(210)(앞쪽 가동체(215))의 전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연결수단(240B)에 있어서의 세로핀(242B)이 긴구멍 모양의 핀구멍(248)의 대략 중앙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한다. 조정후에는 록너트(234)에 의하여 나사축(231)이 고정된다. 그리고, 이 앞쪽 가동체(215)의 길이조정에 앞서, 양 가동체부분(215a,215b) 쪽의 부착판(216)과 프레임(211)쪽의 부착판(213a)을 결합하는 볼트(213c)를 헐겁게 해두고, 조정후에 그 볼트(213c)를 체결한다. 이때, 앞쪽 가동체(215)의 주행방향 중심위치와 피반송물 지지대(253)의 주행방향 중심위치가 대략 일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조립하여, 설치된 다수의 반송용 주행체(200,200A)로 된 무단연속체는 다음과 같이 구동된다. 즉, 각 반송용 주행체(200,200A)가 정지하고 있을 때에는, 마찰식 이송수단(260)에 있어서의 실린더 유니트(270)는 신장되어, 지지부재(263)를 세로축심의 둘레에서 바깥쪽으로 요동시킴으로써 마찰이송로울러(268)는 제20도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수동면(219,247)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그리고, 무단연속체(각 반송용 주행체(200,200A))를 구동할 때에는 실린더 유니트(270)를 수축시켜, 모우터(265)에 의하여 이송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있는 마찰이송로울러(268)를 각 반송용 주행체(200,200A)의 본체(210)(가동체(215,241))의 이동경로쪽으로 이동시켜, 제20도의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수동면(219,247)에 압접시킴과 동시에 다른쪽의 수동면(219,247)을 받이로울러(274)에 맞닿게 함으로써 양 로울러(268,274)에 의하여 가동체(215,241)를 끼워지지시킴으로써, 무단연속체에 소정방향의 회전추진력을 주어, 무단연속체, 즉 무단열차상으로 연결된 각 반송용 주행체(200,200A)를 반송경로(205)상에 있어서 바라는 속도로 순환주행시킬 수 있다.

    이 무단연속체(무단열차상으로 연결된 각 반송용 주행체(200,200A)의 구동상태에 있어서, 마찰식 이송수단(260)으로부터 주행방향쪽에서 긴구멍 모양의 핀구멍(248)을 가진 신축이 자유로운 연결수단(240B)까지의 각 반송용 주행체(200)는 각 연결수단(240A,240B)의 세로핀(242A,242B)을 통하여 뒤에서 밀어 구동되어, 상기 긴구멍 모양의 핀구멍(248)을 가진 신축이 자유로운 연결수단(240B)으로부터 마찰식 이송수단(260)까지의 각 반송용 주행체(200,200A)는 각 연결수단(240A,240B)의 세로핀(242A,242B)을 통하여 견인구동되게 된다.

    그리하여, 반송경로(205)는 두개의 반원형의 수평커브경로부(205b)를 가짐에 대하여, 그 반송경로(205)를 회전하는 무단연속체는 각 반송용 주행체(200,200A)에 있어서의 전후 양 가동체(215,241)가 연결수단(240A,240B)의 세로핀(242A,242B)에 의하여 체인상으로 연결된 것이므로, 반송경로(205)의 양단 수평커브경로부(205b)중을 회전하는 상기 세로핀(242A,242B)의 개수나 위치의 변화에 의하여 그 양단 수평커브경로부(205b)중을 회전하는 무단연속체의 길이(세로핀(242A,242B) 사이의 거리의 총계)가 변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의 무단연속체(무단열차상으로 연결된 각 반송용 주행체(200,200A) 중에는 주행방향의 신축허용부가 긴구멍 모양의 핀구멍(248)을 가진 신축이 자유로운 연결수단(240B)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 연결수단(240B)에 있어서의 긴구멍 모양의 핀구멍(248) 내를 세로핀(242B)이 전후로 상대이동함으로써 양단 수평커브경로부(205b) 중을 회전하는 무단연속체의 길이 (세로핀(242A,242B) 사이의 거리의 총계)의 변동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무단열차상으로 연결된 각 반송용 주행체(200,200A)에 과대한 장력이 작용하거나, 부당한 이완이 생기는 일이 없다.

    또, 반송경로(205)위를 이동하는각 반송용 주행체(200,200A)는 자재차륜(214)을 통하여 지지용 가이드레일(203)에 지지안내되며, 그리고 각 진동방지용 수직축 로울러(223)가 진동방지용 가이드레일(204)에 안내됨으로써 각 반송용 주행체(200,200A)는 반송경로(205)와 평행한 방향을 유지하면서 원활히 주행하게 된다.

    상기의 마찰식 이송수단(260)에 의한 각 반송용 주행체(200,200A)의 이송량은 엔코더 등에 의하여 검출되고, 설정된 이송량에 달하였을때에 상기와 같이 마찰이송로울러(268)가 수동면(219,247)으로부터 이간하여 반송용 주행체의 구동이 정지된다. 여기서 설정이송량은 반송용 주행체(200,200A)가 작업부(279)에 정지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이 반송용 주행체(200,200A)의 정지에 의하여 리프트장치(280)에 있어서의 하강한 위치에 있는 승강간(285)의 맞닿음부재(286)가 피반송물 지지대(253)의 네구석의 아래쪽에 대향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부(279)의 작업자가, 예컨대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리프트장치(280)가 작동한다. 즉, 실린더 유니트(288)가 작동하여, 팬타그래프기구(287)를 통하여 승강부재(284)가 상승하여, 각 맞닿음부재(286)가 피반송물 지지대(253)의 네구석을 아래로부터 지지하여 제23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그 피반송물 지지대(253)를 소정높이까지 들어올린다. 이렇게 하여, 피반송물 지지대(253)와 함께 그 위에 얹어놓여져 있는 피반송물을 들어올린 상태로 작업자에 의하여 피반송물에 대하여 각종의 작업이 실행된다. 그리고, 소정의 작업을 마치면, 작업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리프트장치(280)를 역작동시킴으로써 승강부재(284)를 하강시켜, 피반송물 지지대(253)를 반송용 주행체(200,200A) 위로 복귀시킬 수 있다.

    피반송물 지지대(253) 위의 피반송물에 대한 각종의 작업은 작업덱(250) 상의 작업자에 의하여도 수행된다. 즉, 작업자는 바닥면(201a) 위에서 작업덱(250) 위로 올라타고, 그리고 각 반송용 주행체(200,200A)가 정지하고 있을때, 또는 이동중에 있어서, 피반송물에 대한 각종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반송용 주행체(200,200A)가 수평커브경로부(205b)를 이동할 때에 반송용 주행체(200,200A)의 작업덱(250)에 있어서의 돌출덱부(250a)는 인접하는 피반송물 지지대(253)와 프레임(211)과의 사이로부터 꺼내어지고, 작업덱(250)의 회전중심쪽의 부분은 인접하는 피반송물 지지대(253)와 프레임(211)과의 사이에 진입한다. 이에 의하여 수평커브경로부(205b)에 있어서도 각 피반송물 지지대(253) 사이를 작업덱(250)에 의하여 메워서, 위험한 틈새가 생길 염려는 없다. 물론, 작업덱(250)과 피반송물 지지대(253)가 충돌하는 일도 없다.

    각 반송용 주행체(200,200A)는 내림부(291)나 쌓아넣기부(292)에도 자동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작업을 가한 피반송물을 지지하고 있는 반송용 주행체(200,200A)가 내림부(291)에 정지한 상태에서, 피반송물을 피반송물 지지대(253)와 함께 매달기 반송장치(290)에 의하여 들어올려 다음 공정으로 반송시킬 수 있다. 또, 이에 의하여 비대된 반송용 주행체(200,200A)가 쌓아넣기부(292)에 정지하면, 이 반송용 주행체(200,200A)에 대하여 매달기 반송장치(290)에 의하여 앞공정에서 반송되어 온 피반송물을 피반송물 지지대(253)와 함께 반송용 주행체(200,200A)의 프레임(211) 위에 쌓아넣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 반송용 주행체(200,200A)에, 앞뒤에 직렬하는 피반송물 지지대(253)와 작업덱(250)을 가지게 하였으나, 작업덱(250)은 없어도 좋다. 또, 본체(210)를 전후 2개의 가동체(215,241)로부터 구성하였으나, 가동체의 개수는 3개 이상이라도 좋다. 물론, 이 경우, 피반송물 지지대(253)는 전단, 후단, 중간위치에 있는 각 가동체중, 임의의 가동체에 지지시킬 수 있다. 또, 피트(208)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면(201a) 위에 지지용 가이드레일(203)이나 진동방지용 가이드레일(204)을 가설할 수도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제26도 내지 제30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3실시예에서는 각 반송용 주행체(300)는 3개의 각 봉상가동체(301~303)를 연결수단(304,305)으로 연결하고 있는 본체(306)와, 이 본체(306)에 대하여 잘라내기 가능한 대차형식의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307)로 구성되고, 앞뒤에 인접하는 각 반송용 주행체(300)끼리는 연결수단(308)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반송용 주행체(300)도 제2실시예와 똑같이 무단열차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반송용 주행체(300)를 구성하는 연결수단(304,305)과 각 반송용 주행체(300)끼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308)은 동일구조의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의 반송경로 레이아웃(제25도 참조)과 똑같이 각 반송용 주행체(300)는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한 직선경로부(309A,309B)와, 이 양 직선경로부(309A,309B)를 양단에서 접속하는 수평커브의 U 턴부(309C,309D)를 갖춘 장원형의 무단상 반송경로를 주행하므로, 각 연결수단(304,305,306)은 제27도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봉상가동체(301~303)의 후단에 부착된 수컷형부재(310)와 각 봉상가동체(301~303)의 전단에 부착된 암컷형부재(311)를 그 암컷형부재(311)에 부착하여 수컷형부재(310)의 핀구멍(312)을 관통하는 수직의 연결핀(313)에 의하여 그 전후의 각 봉상가동체를 수평방향으로 상대요동이 자유롭게 연결하� �� 있다. 또, 중앙의 각 봉상가동체(302)와 후단의 각 봉상가동체(303)를 연결하는 연결수단(305)은 그 연결핀(313)이 관통하는 핀구멍(312)이 각 봉상가동체(302)의 길이방향으로 장공으로 되어 있어서, 제29도에 도시한 장원형의 무단상 반송경로의 전길이와, 반송용 주행체(300)가 무단열차상으로 연결된 것의 전길이와의 오차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각각 봉상가동체(301~303)의 전단 근방 아래쪽에는 수직축심(314)의 둘레에 상대회전만 가능하게 피안내수단으로서의 트롤리(315~317)가 부착되고, 각 봉상가동체(301~303)의 전단 근방 윗쪽에는 상기 수직축심(314)의 둘레에 상대회전만 가능하게 가이드로울러(318~320)가 축지지되어 있다. 각 트롤리(315~318)는 상기 장원형 무단상 반송경로를 따라 가설된 좌우 1쌍의 가이드레일(321)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것으로, 각각 상기 수직축심(314)의 전후대칭위치에 축지지되고, 또한 상기 좌우 1쌍의 가이드레일(321)의 각각에 끼워맞추는 지지용 수평축 휠(322)과, 상기 수직축심(314)의 전후대칭 위치에 축지지되고, 또한 좌우 1쌍의 가이드레일(322)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방지용 수직축 로울러(232)를 가진다.

    또한, 중앙의 각 봉상가동체(302)의 가이드로울러(319)의 직후위치에는 수직의 핀구멍(324)을 갖춘 통형상부재(325)가 고착되어 있다.

    대차형식의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307)는 전후 양단 근방위치에 각각 좌우 1쌍의 자재차륜(326)을 가진 것으로, 바닥면(327) 위를 자유주행 가능하다. 그리하여, 무단열차상으로 연결된 각 반송용 주행체(300)의 본체(306)가 상기 바닥면(327)의 아래쪽을 주행하도록 가이드레일(321)이 바닥면(327)의 아래쪽의 적당한 높이에 가설되어 있고, 상기 바닥면(327)에는 제29도에 도시한 장원형의 무단상 반송경로를 따라 무단열차상으로 연결된 각 반송용 주행체(300)의 본체(306)가 이동할 때의 상기 핀구멍(324)의 이동궤적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가이드슬릿(328)이 바닥면(327)쪽에 고착된 좌우 1쌍의 레일부재(329)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327a는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307)의 자재차륜(326)이 전동하는 위치에 바닥면(327)과 동일레벨로 가설된 좌우 1쌍의 플랫레일부재이다.

    각 반송용 주행체(300)의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307)에는 그 전단근방의 좌우폭방향 중앙위치에 승강가능한 연결핀(330)이 설치되고, 후단 근방의 좌우 폭방향 중앙 위치에는 하단에 수직축심의 둘레에 회전이 자유로운 가이드로울러(331)를 갖춘 승강가능한 수직지지축(331a)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핀(330)은 하강시킴으로써 바닥면(327)의 가이드슬릿(328)을 경유하여 바닥면 아래에 돌출하고, 각 반송용 주행체(300)에 있어서의 본체(306)의 핀구멍(324)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때, 연결핀(330)은 가이드슬릿(328)의 양쪽 레일부재(329)에는 미끄럼접촉하지 않는다. 또, 가이드로울러(331)는 하강시킴으로써 바닥면(327)의 가이드슬릿(328)에 헐겁게 끼운다. 이때, 가이드로울러(331)는 가이드슬릿(328)의 양쪽 레일부재(329)의 어느것에 미끄럼전동함으로써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307)의 후단부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원형의 무단상 반송경로의 적당개소, 예컨대 한쪽의 직선경로부(309A)의 시단근방위치에 이송수단(332)이 배설되어 있다. 이 이송수단(332)은 각 반송용 주행체(300)에 있어서의 본체(306)의 좌우 양측면, 즉, 그 본체(306)를 구성하는 각 각봉상가동체(301~303)나 연결수단(304,305) 및 상기 본체(306) 끼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308)의 좌우 양측면으로 형성된 주행방향에 연속하는 편평한 수직면으로 된 수동부 (333a,333b)에 좌우 양쪽에서 압접하는 1쌍의 마찰이송로울러(334a,334b)를 갖추고 있다. 이들 1쌍의 마찰이송로울러(334a,334b)는 모두 모우터구동되는 것으로, 실린더 유니트에 의하여 상기 수동부(333a,333b)에 압압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립시에 바닥면(327)의 아래쪽이 되는 부분을 조립한 후, 바닥면(327)상에 얹어놓는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307)의 연결핀(330)을 가이드슬릿(328)으로부터 하강시켜, 각 반송용 주행체(300)의 본체(306)에 있어서의 핀구멍(324)에 끼워맞추고, 그리고 수직지지축(331a)을 하강시켜 가이드로울러(331)를 가이드슬릿(328)에 끼워맞추면 된다. 또, 이 반대의 조작에 의해 각 반송용 주행체(300)의 바닥면(327)에 있는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307)를 그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307)의 수리 등을 위하여 바닥면(327) 아래의 본체(306)로부터 잘라내어 반송경로상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사용시에는 이송수단(332)의 1쌍의 마찰이송로울러(334a,334b)를 각 반송용 주행체(300)에 있어서의 본체(306)의 좌우 양쪽 수동부(333a,333b)에 압접시킨 상태에서 모우터구동함으로써 무단열차상으로 연결된 각 반송용 주행체(300)의 본체(306)를 제29도에 도시한 장원형의 무단상 반송경로를 따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각 반송용 주행체(300)의 본체(306)에 핀구멍(324)과 연결핀(330)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307)가 바닥면(327) 위를 주행하게 된다.

    이 바닥면(327) 위를 주행하는 각 반송용 주행체(300)의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307)는 그 전단쪽의 연결핀(330)의 위치의 이동경로가 바닥면(327) 아래에서 가이드레일(321)에 안내되어 주행하는 본체(306)의 핀구멍(324)에 의하여 결정되고, 후단쪽의 가이드로울러(331)의 위치의 이동경로가 그 가이드로울러(331)가 끼워맞추어지는 바닥면(327)의 가이드슬릿(328)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좌우로 사행(蛇行)하지 않고 안정된 자세로 주행하게 된다.

    그리고, 반송용 주행체(300)가 수평커브의 U 턴부(309C,309D)를 회동할때,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307)에 작용하는 원심력으로 각 각봉상가동체(301~303)가 그 아래쪽에 위치하는 트롤리(315~317)에 대하여 상기 U 턴부(309C,309D)의 바깥쪽으로 넘어지려고 한다. 따라서, 제29도 및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각봉상가동체(301~303)의 전단근방 윗쪽에 축지지된 가이드로울러(318~320)가 상기 U 턴부(309C,309D)를 회동할 때의 회동궤적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원호상의 가이드레일(335)을 배설하여, 상기와 같은 좋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직선경로부(309A,309B)에 있어서도, 상기 각 가이드로울러(318~320)를 좌우 양쪽에서 끼우듯이 가이드레일을 배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U 턴부(309C,309D)에서는 트롤리(316)의 회전중심인 수직축심(314)에 대하여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307)쪽의 연결핀(330)의 위치(핀구멍(324)의 위치)가 뒷쪽으로 떨어져 있으므로, 그 연결핀(330)의 회동궤적이 상기 트롤리(316)의 회동궤적(수직축심(314)의 회동궤적)에 대하여 안쪽으로 어긋나게 된다. 따라서,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U 턴부(309C,309D)에서는 가이드슬릿(328)이 트롤리(316)의 회동궤적(수직축심(314)의 회동궤적)에 대하여 안쪽으로 어긋나도록 형성된다.

    또, 제27도 및 제28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슬릿(328)을 커버하는 슬릿커버(336)를 병용할 수도 있다. 이 슬릿커버(336)는 일정길이의 대상판(帶狀板)(337)을 수직축(338)에서 체인상으로 연결한 것으로서, 그 양측변이 가이드슬릿(328)을 형성하는 좌우 1쌍의 레일부재(329)의 미끄럼움직임이 자유롭게 얹어놓여지고,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307) 쪽의 연결핀(330)이나 가이드로울러(331)를 가진 수직지지축(331a)이 관통하는 개소에 이들 연결핀(330)이나 가이드로울러(331)를 윗쪽으로 빼낼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의 관통구멍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307)가 연결핀(330)을 통하여 본체(306)에 의하여 견인될 때, 슬릿커버(336)도 상기 연결핀(330)에 견인되어 피반송물 지지용 이동체(307)와 일체로 가이드슬릿(328) 위를 이동하면서 그 가이드슬릿(328)을 커버한다.

    상기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반송용 주행체를 지지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천정쪽에 가설하고, 이 가이드레일의 아래쪽을 주행하도록 그 가이드레일에 반송용 주행체를 매달고, 이 반송용 주행체의 아래쪽에 피반송물 지지부(지지대)를 매단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반송용 주행체의 본체(각 가동체)에 설치되는 수동부를 평탄한 수동면으로 하고, 이송수단의 이송용 회전체로서 마찰이송로울러를 사용하였으나, 상기 수동부를 랙기어나 체인을 주행방향과 평행으로 부설하여 구성하고, 이송수단의 이송용 회전체로서 모우터 구동되는 피니언기어나 치륜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의 3개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각 실시예의 특징있는 구성을 서로 조합하여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