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

申请号 KR1020120078457 申请日 2012-07-18 公开(公告)号 KR1020120088640A 公开(公告)日 2012-08-08
申请人 한국철도기술연구원; 发明人 문형석; 민재홍; 이인규; 박정준; 권태수;
摘要 PURPOSE: A method for conveying distributions with ground lifters is provided to easily transport containers without an additional crane by supporting the containers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ground with a ground lifter capable of installing regardless of places. CONSTITUTION: A method for conveying distributions with ground lifters is as follows. Containers(20) are aligned by an automatic transporting vehicle. The aligned containers are loaded on transporting devices by ground lifters(100). The transporting devices transport the containers to destinations.
权利要求
  • 물류운송 방법에 있어서,
    자동운반차량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정렬시키는 컨테이너 준비단계와;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하여 정렬된 컨테이너를 운송수단에 상차시키는 컨테이너 상차단계와;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물류운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상차단계는,
    그라운드 리프터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컨테이너가 상차된 자동운반차량의 진입을 확인하는 제1센서확인단계와;
    지하에 매설되어 있던 그라운드 리프터가 상승하여 자동운반차량에 상차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제1컨테이너 지지단계와;
    자동운반차량이 빠져나가고 컨테이너를 목적지까지 운송하기 위한 운송수단이 컨테이너의 하부로 진입하는 운송수단 진입단계 및
    그라운드 리프터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컨테이너를 하강시켜 운송수단의 상부에 고정시킨 후, 그라운드 리프터를 해제시켜 지하로 원위치시키는 제1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운송단계는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운송수단의 종류를 교체하는 운송수단 교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 교체단계는,
    그라운드 리프터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컨테이너가 상차된 운송수단의 진입을 확인하는 제2센서확인단계와;
    지하에 매설되어 있던 그라운드 리프터가 상승하여 운송수단에 상차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제2컨테이너 지지단계와;
    운송수단이 빠져나가고 컨테이너를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하기 위한 다른 운송수단이 컨테이너의 하부로 진입하는 제2운송수단 진입단계 및
    그라운드 리프터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컨테이너를 하강시켜 운송수단의 상부에 고정시킨 후, 그라운드 리프터를 해제시켜 지하로 원위치시키는 제2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운송단계는,
    그라운드 리프터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목적지에 도착하는 운송수단의 진입을 확인하는 제3센서확인단계와;
    지하에 매설되어 있던 그라운드 리프터가 상승하여 운송수단에 상차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제3컨테이너 지지단계와;
    운송수단이 빠져나가고 컨테이너를 최종 하역지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자동운반차량이 컨테이너의 하부로 진입하는 자동운반차량 진입단계 및
    그라운드 리프터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컨테이너를 하강시켜 자동운반차량의 상부에 고정시킨 후, 그라운드 리프터를 해제시켜 지하로 원위치시키는 제3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
  • 说明书全文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Distribution methods using ground lifters}

    본 발명은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지하에 매설되어 있다가, 운송수단이 해당 위치에 도착한 경우 지상으로 상승하여 컨테이너를 운송하기 위한 운송수단을 교체하는 등의 이유로 컨테이너를 공중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는 물적유통(Physical Distribution)을 줄인 말로 생산자로부터 소비자까지의 물(物)의 흐름을 가리킨다.

    최근들어 물류정책에 따른 물류가 국가 경제의 중요한 원동력임을 알고, 신속?정확하면서도 편리하고 안전한 물류활동을 촉진하며, 정부의 물류 관련 정책이 서로 조화롭게 연계되도록 하여 물류산업이 체계적으로 발전하게 하여야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2007년도에 물류체계의 효율화, 물류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물류의 선진화?국제화를 이루어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물류정책기본법을 제정하여 시행하는 등 물류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물류의 운송방법에는 육상운송, 해상운송, 항공운송, 복합운송 등이 있는데, 국내에서의 물류 운송은 주로 육상운송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육상운송은 육로 또는 호수, 강, 항만 등에서 행하여지는 화물 및 여객의 운송을 뜻하는 것으로, 주로 화물차량을 이용하여 도로를 통해 물류를 운송하는 공로운송과, 철도차량을 이용한 철도운송으로 구분되는데, 먼저 공로운송은 기동성과 신속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화물 특성에 대응이 용이하며, 배차가 유연하여 근거리 소량운송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고의 위험성이 높고 교통체증과 매연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유발하며 장거리 운송시의 높은 운임으로 인해 장거리 대량 운송에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철도운송은 공로운송과는 반대로 사고의 위험이 적고, 전천후 수송이 가능하며, 낮은 운임으로 인해 중,장거리 대량 운송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도어 투 도어(Door to door)의 일관수송이 불가능하고, 환적작업이 필요하며, 배차의 탄력성이 낮으므로 긴급 수송 및 단거리 수송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공로운송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는 국내의 물류 운송시스템의 문제점 즉, 교통체증의 유발과 차량에 의한 환경오염의 유발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되는 전환수송(Modal shift) 정책(트럭을 이용하여 도로를 통해 운송하던 화물을 철도나 선박으로 전환하여 운송하는 정책)에 부합하면서도, 철도운송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물류 운송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도어 투 도어(Door to door) 수송을 위해 환적작업을 하는 경우 종래에는 반드시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일일이 들어올려 하나씩 이동시켜야 하므로 환적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환적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하여 공로운송과 철도운송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만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물류운송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운반차량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정렬시키는 컨테이너 준비단계와;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하여 정렬된 컨테이너를 운송수단에 상차시키는 컨테이너 상차단계와;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물류운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 상차단계는, 그라운드 리프터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컨테이너가 상차된 자동운반차량의 진입을 확인하는 제1센서확인단계와; 지하에 매설되어 있던 그라운드 리프터가 상승하여 자동운반차량에 상차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제1컨테이너 지지단계와; 자동운반차량이 빠져나가고 컨테이너를 목적지까지 운송하기 위한 운송수단이 컨테이너의 하부로 진입하는 운송수단 진입단계 및 그라운드 리프터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컨테이너를 하강시켜 운송수단의 상부에 고정시킨 후, 그라운드 리프터를 해제시켜 지하로 원위치시키는 제1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류운송단계는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운송수단의 종류를 교체하는 운송수단 교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운송수단 교체단계는, 그라운드 리프터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컨테이너가 상차된 운송수단의 진입을 확인하는 제2센서확인단계와; 지하에 매설되어 있던 그라운드 리프터가 상승하여 운송수단에 상차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제2컨테이너 지지단계와; 운송수단이 빠져나가고 컨테이너를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하기 위한 다른 운송수단이 컨테이너의 하부로 진입하는 제2운송수단 진입단계 및 그라운드 리프터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컨테이너를 하강시켜 운송수단의 상부에 고정시킨 후, 그라운드 리프터를 해제시켜 지하로 원위치시키는 제2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물류운송단계는, 그라운드 리프터에 구비된 센서부를 통해 목적지에 도착하는 운송수단의 진입을 확인하는 제3센서확인단계와; 지하에 매설되어 있던 그라운드 리프터가 상승하여 운송수단에 상차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제3컨테이너 지지단계와; 운송수단이 빠져나가고 컨테이너를 최종 하역지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자동운반차량이 컨테이너의 하부로 진입하는 자동운반차량 진입단계 및 그라운드 리프터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컨테이너를 하강시켜 자동운반차량의 상부에 고정시킨 후, 그라운드 리프터를 해제시켜 지하로 원위치시키는 제3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에 의하면, 장소의 구애없이 설치될 수 있는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지지할 수 있어, 별도의 크레인 없이도 컨테이너를 용이하게 옮겨 실을 수 있게 되어 물류운송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지하에 매설되어 있다가, 운송수단(50)이 해당 위치에 도착한 경우 지상으로 상승하여 컨테이너를 운송하기 위한 운송수단(50)을 교체하는 등의 이유로 컨테이너를 공중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라운드 리프터 및 그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110), 피스톤(120), 모터(130), 로드암(140) 및 전원공급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1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만이나 산업단지 및 철도역사 등의 물류거점 내에 운송수단(50)이 출발 또는 도착되는 지점 즉, 주차장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운송수단(50)이 위치하는 지점의 양 측 지면에 다수의 설치홈(10)을 운송수단(50)의 주행방향과 수평방향이 되도록 형성하여 평상시에는 그라운드 리프터(100)가 상기 설치홈(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지하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운송수단(50)의 주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110)는 그라운드 리프터(10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그 내측으로 이물질들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그라운드 리프터(100)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측에 구비되는 피스톤(120)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다음, 상기 피스톤(120)은 케이스(110)의 내측에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전진 또는 후진 구동에 의해 케이스(110)를 포함하는 그라운드 리프터(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과 동시에 컨테이너(20)를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모터(130)는 피스톤(120)의 상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컨테이너(20)를 지지하기 위한 로드암(14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로드암(14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삽입홈(112)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홈(112)은 로드암(140)의 회동 반경을 고려하여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드암(140)은 모터(130)에 축설되어 피스톤(120)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함과 동시에 모터(130)에 의해 회동하여 컨테이너(20)의 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측 단부가 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모터(130)에 축설되는 연결부재(142)와, 상기 연결부재(142)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컨테이너(2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재(144)로 구성된다.

    그리고, 컨테이너(20)가 안치되는 지지부재(144)의 상면에는 컨테이너(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전원공급부(150)는 피스톤과 모터(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하에 매설되어 케이스(1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 상단부에 모터(130)의 사이에는 완충부재(160)가 삽입 설치되는데, 상기 완충부재(160)는 케이스(110)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그라운드 리프터(100)의 구성요소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케이스(110)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피스톤의 구동에 의한 그라운드 리프터(100)의 상승 및 하강 작용시 작용력을 부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에는 센서부(170)가 부가 설치되는데, 상기 센서부(170)는 운송수단(50)의 진출입을 감지하여 피스톤 및 모터(1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후술하겠지만, 상기 센서부(170)에서 운송수단(50)의 진입을 감지한 경우 지하에 매설되어 있던 그라운드 리프터(100)가 피스톤의 구동에 의해 상승한 후, 모터(130)의 구동에 의해 로드암(140)이 회동하여 컨테이너(20) 또는 컨테이너(20)가 내측에 수용된 프레임(3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되고, 그라운드 리프터(100)에 의해 컨테이너(20)가 공중에 지지된 상태에서 운송수단(50)의 교체가 완료되면, 센서부(170)에서 이를 감지하여 피스톤을 하강 구동시켜 컨테이너(20)를 교체된 운송수단(50)의 상부에 내려놓고, 모터(130)가 구동하여 로드암(140)이 지면에 형성된 설치홈(10)에 삽입될 수 있� �록 회동한 후, 다시 피스톤을 하강 구동시켜 그라운드 리프터(100)가 원위치, 즉 지면에 형성된 설치홈(10)의 내측으로 복귀하도록 구동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센서부(170)는 운송수단(50)의 출입을 보다 정확히 감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내측 상단부에 설치된 완충부재(160)의 내측에 삽입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은 항만이나 산업단지 및 철도역사 등의 물류거점의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물류의 운송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물류의 운송시간 및 운송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컨테이너 준비단계(S100)와, 컨테이너 상차단계(S200) 및 물류운송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컨테이너 준비단계(S100)는 자동운반차량(40)(AGV; Automated Guided Vehicle)을 이용하여 운송하고자 하는 컨테이너(20)를 출발 장소에 정렬시키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이때, 상기 자동운반차량(40)은 물류거점 내에서 그 상부에 컨테이너(20)를 적재한 상태로 이동하여 물류가 수용된 컨테이너(20)를 원하는 곳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즉, 항만이나 산업단지 및 철도역사 등의 물류거점 내에는 지하에는 다수의 트랜스듀서(Transducer)(미도시)가 매설된 전용도로와, 상기 트랜드듀서에 신호를 보내기 위한 컨트롤 타워(미도시)가 설치되는데, 상기 컨트롤 타워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트랜스듀서에서 수신 및 변환하여 자동운반차량(4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동운반차량(40)이 전용도로 상을 무인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 준비단계(S100)는 자동운반차량(40)이 컨트롤 타워의 제어에 의해 그 상부에 운송하고자 하는 컨테이너(20)를 적재한 상태로 지하에 매설된 트랜스듀서에 의해 이루어지는 가상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운송하고자 하는 컨테이너(20)를 출발 장소에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컨테이너 상차단계(S200)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운반차량(40)에 의해 출발 장소에 정렬된 컨테이너(20)를 그라운드 리프터(100)를 이용하여 운송수단(50)에 상차시키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제1센서확인단계(S210)와, 제1컨테이너 지지단계(S220), 운송수단 집입단계(S230) 및 제1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S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센서확인단계(S210)는 운송수단(50)의 출발 장소에 설치된 그라운드 리프터(100)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부(170)를 통해 컨테이너(20)가 상차된 자동운반차량(40)의 진입을 확인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1컨테이너 지지단계(S220)는 상기 센서부(170)를 통해 컨테이너(20)가 상차된 자동운반차량(40)의 진입을 확인한 경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의 구동에 의해 지하에 매설되어 있던 그라운드 리프터(100)가 상승 및 회동하여 자동운반차량(40)에 상차되어 있는 컨테이너(20)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다.

    다음, 상기 운송수단 진입단계(S23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라운드 리프터(100)에 의해 컨테이너(20)가 지지된 상태에서 자동운반차량(40)이 빠져나가고, 컨테이너(20)를 목적지까지 운송하기 위한 운송수단(50)이 컨테이너(20)의 하부로 진입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이때 상기 운송수단(50)으로는 배기가스의 배출을 없애기 위해 수소연료전지 또는 압축천연가스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트랙터(52)와 상기 트랙터(52)에 연결 설치되어 그 상부에 컨테이너(2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수의 트레일러(54)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1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S24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부(170)에서 운송수단(50)의 진입을 확인하게 되면 피스톤의 구동에 의해 그라운드 리프터(100)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컨테이너(20)를 하강시켜 운송수단(50) 즉, 트레일러(54)의 상부에 고정시킨 후 그라운드 리프터(100)를 해제시켜 지하로 원위치시키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컨테이너(20) 하강 후 모터(130)의 회전에 의해 로드암(140)을 컨테이너(20)의 하부로부터 이탈시킨 후 피스톤을 하강시켜 그라운드 리프터(100)가 지면에 형성된 설치홈(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물류운송단계(S400)는 트랙터(52)와 트레일러(54)로 구성되는 운송수단(50)을 이용하여 물류가 수용된 컨테이너(20)를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제3센서확인단계(S410)와, 제3컨테이너 지지단계(S420), 자동운반차량 진입단계(S430) 및 제3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S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3센서확인단계(S410)는 목적지에 해당되는 물류거점에 설치된 그라운드 리프터(100)의 센서부(170)가 목적지에 도착하는 운송수단(50)의 진입을 확인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3컨테이너 지지단계(S420)는 운송수단(50)이 목적지의 도착지점에 정차하게 되면, 센서부(170)에서 이를 확인하여 피스톤을 구동시킴으로써 지하에 매설되어 있던 그라운드 리프터(100)를 상승시켜 운송수단(50)에 상차되어 있던 컨테이너(20)를 들어올린 후 지지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자동운반차량 진입단계(S430)는 그라운드 리프터(100)에 의해 컨테이너(20)가 지지된 상태에서 운송수단(50)이 빠져나가고, 컨테이너(20)를 최종 하역지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자동운반차량(40)이 진입하여 컨테이너(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3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S440)는 자동운반차량(40)의 진입을 센서부(170)에서 확인한 경우, 피스톤의 구동에 의해 그라운드 리프터(100)의 로드암(140)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컨테이너(20)를 하강시켜 자동운반차량(40)의 상부에 고정시킨 후, 그라운드 리프터(100)를 해제시켜 지하로 원위치시키고 자동운반차량(40)에 의해 컨테이너(20)를 최종 하역지까지 운반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물류운송단계(S400)에서의 그라운드 리프터(100)의 작동관계 및 자동운반차량(40)의 주행원리는 전술한 컨테이너 상차단계(S200)에서의 그라운드 리프터(100)의 작동관계 및 자동운반차량(40)의 주행원리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물류운송단계(S400)는 운송수단 교체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상기 운송수단 교체단계(S300)는 컨테이너(20)를 운송해야 하는 물류거점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공로운송(도로운송)과 철도운송을 동시에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 철도역사에서 주로 사용된다.

    즉, 장거리 대량운송의 경우 도로운송보다는 철도운송이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사용되는데, 이때, 트랙터(52)와 트레일러(54)로 이루어지는 운송수단(50)을 이용하여 철도역사까지 컨테이너(20)를 이송시킨 후, 철도역사에서 트레일러(54)에 상차되어 있던 컨테이너(20)를 철도차량(60)에 옮겨 실어 운송하거나, 철도차량(60)을 통해 운송되어 온 컨테이너(20)를 다시 트랙터(52)와 트레일러(54)로 이루어지는 운송수단(50)에 옮겨 실어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경우 운송수단 교체단계(S300)가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운송수단 교체단계(S300)는 제2센서확인단계(S310), 제2컨테이너 지지단계(S320), 제2운송수단 진입단계(S330) 및 제2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S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2센서확인단계(S310)는 플랫폼(70)에 설치된 그라운드 리프터(100)의 센서부(170)를 통해 컨테이너(20)가 상차된 운송수단(50)의 진입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운송수단(50)으로는 트랙터(52)와 트레일러(54)로 구성된 운송수단(50) 또는 철도차량(60)을 이루어진 운송수단(5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컨테이너 지지단계(S320)는 센서부(170)를 통해 플랫폼(70)으로 진입하는 운송수단(50)의 진입 완료를 확인한 경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의 구동에 의해 지하에 매설되어 있던 그라운드 리프터(100)를 상승 및 회동시켜 운송수단(50)에 상차되어 있던 컨테이너(20)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2운송수단 진입단계(S33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라운드 리프터(100)에 의해 컨테이너(20)가 공중에서 지지된 상태에서 컨테이너(20)의 하부에 위치한 운송수단(50)이 빠져나가고 컨테이너(20)를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하기 위한 새로운 운송수단이 컨테이너(20)의 하부로 진입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2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S340)는 새로운 운송수단이 진입 완료한 경우 피스톤의 구동에 의해 그라운드 리프터(1 00)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컨테이너(20)를 하강시켜 새로운 운송수단의 상부에 고정시킨 후, 모터(130) 및 피스톤의 구동에 의해 그라운드 리프터(100)를 해제시켜 새로운 운송수단이 최종 목적지를 향해 출발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운송수단 교체단계(S300)에서의 그라운드 리프터(100)의 작동관계 또한 전술한 컨테이너 상차단계(S200) 및 물류운송단계(S400)에서의 그라운드 리프터(100)의 작동관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운송수단 교체단계(S300)에서 운송수단(50)을 교체하여 최종 목적지에 도착한 운송수단(50)은 전술한 물류운송단계(S400)를 거쳐 최종 하역지에 컨테이너(20)를 운송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에 따르면, 장소의 구애없이 설치될 수 있는 그라운드 리프터(100)를 이용하여 컨테이너(20)를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지지할 수 있어, 별도의 크레인 없이도 컨테이너(20)를 용이하게 옮겨 실을 수 있게 되어 물류운송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지하에 매설되어 있다가, 운송수단이 해당 위치에 도착한 경우 지상으로 상승하여 컨테이너를 운송하기 위한 운송수단을 교체하는 등의 이유로 컨테이너를 공중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라운드 리프터를 이용한 물류운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10 : 설치홈 20 : 컨테이너
    30 : 프레임 40 : 자동운반차량
    50 : 운송수단 52 : 트랙터
    54 : 트레일러 60 : 철도차량
    70 : 플랫폼 100 : 그라운드 리프터
    110 : 케이스 112 : 삽입홈
    120 : 피스톤 130 : 모터
    140 : 로드암 142 : 연결부재
    144 : 지지부재 146 : 미끄럼방지부
    150 : 전원공급부 160 : 완충부재
    170 : 센서부
    S100 : 컨테이너 준비단계 S200 : 컨테이너 상차단계
    S210 : 제1센서확인단계 S220 : 제1컨테이너 지지단계
    S230 : 운송수단 진입단계 S240 : 제1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
    S300 : 운송수단 교체단계 S310 : 제2센서확인단계
    S320 : 제2컨테이너 지지단계 S330 : 제2운송수단 진입단계
    S340 : 제2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 S400 : 물류운송단계
    S410 : 제3센서확인단계 S420 : 제3컨테이너 지지단계
    S430 : 자동운반차량 진입단계 S440 : 제3그라운드 리프터 해제단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