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품 반송 설비

申请号 KR1020110096183 申请日 2011-09-23 公开(公告)号 KR1020120031897A 公开(公告)日 2012-04-04
申请人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发明人 가스야토루;
摘要 PURPOSE: A product transfer device is provided to transfer products between first and second spaces without dust or vibration caused by the traveling of a moving body. CONSTITUTION: A product transfer device includes a moving body(2) for transfer of products. The moving body travels along a travel rail(1) installed in a transfer space defined by a wall into first and second spaces(Z1,Z2). An opening is formed in the wall in order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spaces and closed with a shutter. A relay part is installed in a point of the first space, which is adjacent to the opening, and supports products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shutter. The moving body includes first and second moving elements(2a,2b) which travel along first and second travel rails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spaces, respectively.
权利要求
  • 반송(搬送) 공간에 설치된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하고 또한 반송 대상의 물품을 이송탑재 대상 개소와의 사이에서 받아건넬 수 있는 물품 반송용 이동체가 구비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반송 공간은, 벽에 의해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칸막이되고,
    상기 벽에는,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시키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셔터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공간에 있어서 상기 개구에 인접하는 개소에, 상기 셔터와 간섭하지 않는 상태로 물품을 지지할 수 있는 중계부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로서,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된 상기 주행 레일로서의 제1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한 제1 이동체와, 상기 제2 공간에 설치된 상기 주행 레일로서의 제2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한 제2 이동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주행 레일은, 상기 제1 이동체와 상기 중계부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받아건네기 위한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를 경유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2 주행 레일은, 상기 제2 이동체와 상기 중계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개구를 통과시키는 형태로 물품을 받아건네기 위한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를 경유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물품을 유지 가능한 물품 유지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이동체는, 상기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이동체의 상기 물품 유지부를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중계부와 중첩되는 받아건네는 위치까지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또한 상기 물품 유지부를 상기 받아건네는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반송 대상의 물품을 상기 중계부와의 사이에서 받아건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이동체는, 상기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이동체의 상기 물품 유지부를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중계부와 중첩되는 받아건네는 위치까지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또한 상기 물품 유지부를 상기 받아건네는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반송 대상의 물품을 상기 중계부와의 사이에서 받아건네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상기 개구의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복수 개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는,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되고,
    상기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는,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되고,
    상기 제1 주행 레일 및 상기 제2 주행 레일은, 상기 제1 이동체가 상기 복수 개의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를 이동할 때의 이동 방향과 상기 제2 이동체가 상기 복수 개의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를 이동할 때의 이동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 중 상기 제1 이동체의 이동 방향에서 상류측의 것은, 상기 제1 이동체로부터 물품이 건네지고, 또한 상기 제2 이동체에 의해 물품이 수취되는 순방향 중계용 지지부로서 설정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 중 상기 제1 이동체의 이동 방향에서 하류측의 것은, 상기 제2 이동체에 의해 물품이 건네지고, 또한 상기 제1 이동체에 의해 물품이 수취되는 역방향 중계용 지지부로서 설정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천정측에 설치된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천정측에 설치된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개구는, 천정측에 배치되고,
    상기 중계부는, 천정측으로부터 현수(懸垂)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물품을 탑재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개구와 상하로 배열된 상태로 바닥면 측에 배치되어 작업자를 통과시키는 작업자 통과용 개구가 상기 벽에 형성되고,
    상기 셔터는, 상기 개구 및 상기 작업자 통과용 개구를 개폐 가능한 단일의 개폐체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중계부는, 그 일부가, 상기 벽의 상기 제1 공간에 면하는 측면보다, 상기 개구 내로 진입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개폐체를 가지고, 상기 개폐체는, 상기 벽의 상기 제2 공간에 면하는 측면보다 상기 제2 공간측에 배치되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중계부의 한쪽의 에지부가 상기 개폐체의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계부가 배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로부터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의 한쪽까지의 거리와, 상기 중계부로부터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의 다른 쪽까지의 거리의 차가, 상기 중계부로부터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의 상기 한쪽까지의 거리의 20%를 넘지 않는, 물품 반송 설비.
  • 说明书全文

    물품 반송 설비{ARTICLE TRANSPORT FACILITY}

    본 발명은, 반송(搬送) 공간에 설치된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하고, 또한 반송 대상의 물품을 이송탑재 대상 개소와의 사이에서 받아건넬 수 있는 물품 반송용 이동체가 구비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반송 공간이, 벽에 의해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칸막이되고, 벽에는, 제1 공간과 제2 공간을 연통시키는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를 개폐 가능한 셔터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제1 공간 또는 제2 공간 중 어느 하나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다른 쪽의 공간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거나 제1 공간과 제2 공간이 상이한 분위기 환경인(즉 공간을 만족시키는 공기 상태가 상이한) 경우, 양 공간의 사이에서의 공기의 통류(通流)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하거나 한다.

    이와 같이, 반송 공간을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칸막이하는 벽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가 설치된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제1 공간으로부터 제2 공간으로, 또는 제2 공간으로부터 제1 공간으로 물품을 반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종래에는, 제1 공간으로부터 제2 공간에 걸쳐 개구를 관통하는 주행 레일을 설치하여, 물품을 유지한 이동체를 이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시켜 개구를 통과시킴으로써, 물품을 제1 공간과 제2 공간과의 사이에서 반송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공개특허 1994-100163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공간으로부터 제2 공간에 걸쳐 주행 레일을 설치하는 경우,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가 적절히 개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주행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셔터의 개폐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은, 셔터 통과용의 간극을 형성할 필요가 있어, 셔터의 두께를 이 간극의 길이보다 얇게 함으로써, 셔터가 폐쇄된 경우에, 개구가 적절히 폐쇄되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주행 레일은, 셔터 통과용의 간극을 형성하기 위해 절단되어 있으므로, 이동체가, 개구를 통과할 때는 이동체의 차륜이 상기 절단 개소를 주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주행 레일의 절단 개소와 차륜이 마찰되어 먼지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반송 공간이 반도체 제조 공장 등에서의 클린 환경인 경우, 먼지의 발생은 큰 문제로 된다.

    또한, 이동체가, 개구를 통과할 때는 이동체의 차륜이 상기 절단 개소를 주행하면 이동체에 진동이 발생하고, 이로써, 반송 중인 물품이 진동함으로써 물품의 자세가 흐트러지거나 물품이 손상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물품의 진동을 억제하는 대책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이동체에 진동이 발생하면, 이동체의 기계 부분이나 전체의 수명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 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반송 공간을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칸막이하는 벽에 형성된 개구를 셔터에 의해 개폐 가능하면서, 이동체의 주행에 의한 먼지나 진동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 제1 공간과 제2 공간과의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할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는, 반송 공간에 설치된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하고, 또한 반송 대상의 물품을 이송탑재 대상 개소와의 사이에서 받아건넬 수 있는 물품 반송용 이동체가 구비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반송 공간이, 벽에 의해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칸막이되고, 상기 벽에는,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시키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셔터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공간에 있어서 상기 개구에 인접하는 개소에는, 상기 셔터가 간섭하지 않는 상태로 물품을 지지할 수 있는 중계부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로서,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된 상기 주행 레일로서의 제1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한 제1 이동체와, 상기 제2 공간에 설치된 상기 주행 레일로서의 제2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한 제2 이동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주행 레일은, 상기 제1 이동체와 상기 중계부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받아건네기 위한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를 경유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2 주행 레일은, 상기 제2 이동체와 상기 중계부 와의 사이에서 상기 개구를 통과시키는 형태로 물품을 받아건네기 위한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를 경유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공간으로부터 제2 공간으로 물품을 반송할 때는, 반송 대상의 물품을 유지한 제1 이동체가 제1 공간에 설치된 주행 레일을 따라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까지 주행하여, 개구에 인접하는 개소에 설치된 중계부에 물품을 건넨다. 그리고, 셔터를 열어 개구를 개방하여 둠으로써, 제2 이동체가 제2 공간에 설치된 제2 주행 레일을 따라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까지 주행하여, 제1 공간에 설치된 중계부에 지지되어 있는 반송 대상의 물품을 개구를 통과시키는 형태로 수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이동체로부터 중계부를 통하여 제2 이동체에 물품을 중계하여 반송 대상의 물품을 제1 공간으로부터 제2 공간으로 반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이동체로부터 중계부를 통하여 제1 이동체에 물품을 중계하여 반송 대상의 물품을 제2 공간으로부터 제1 공간으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주행 레일은, 제1 공간 내에 위치하는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를 경유하여 제1 공간에 설치되므로, 제1 주행 레일을 제1 공간 내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주행 레일을 제2 공간 내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동체 및 제2 이동체는 모두 연속된 주행 레일을 주행 가능하므로, 이동체가 주행 레일의 절단 개소를 주행하는 것에 의한 먼지의 발생이나 진동의 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체와 제2 이동체와의 사이에서 물품의 반송을 중계하는 중계부는, 제1 공간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개구와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와의 사이에 셔터를 설치하는 등하여, 개구를 개폐 가능한 셔터와 간섭하지 않는 상태로 개구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중계부를 설치해도 셔터에 의해 개구를 적절히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송 공간을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칸막이하는 벽에 형성된 개구를 셔터에 의해 개폐 가능하면서, 이동체의 주행에 의한 먼지나 진동을 매우 발생시키지 않고 제1 공간과 제2 공간과의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할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를 얻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체가, 물품을 유지 가능한 물품 유지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이동체가, 상기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이동체의 상기 물품 유지부를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중계부와 중첩되는 받아건네는 위치까지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또한 상기 물품 유지부를 상기 받아건네는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반송 대상의 물품을 상기 중계부와의 사이에서 받아건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이동체가, 상기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이동체의 상기 물품 유지부를 상기 받아건네는 위치까지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또한 상기 물품 유지부를 상기 받아건네는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반송 대상의 물품을 상기 중계부와의 사이에서 � �아건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이동체 및 제2 이동체는, 물품 유지부를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중계부와 중첩되는 받아건네는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반송 대상의 물품을 중계부와의 사이에서 받아건넬 수 있으므로, 제1 이동체가 유지하고 있는 물품을 중계부가 수취하기 위해, 예를 들면, 중계부에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출퇴(出退) 가능하게 구비하여, 이 지지부를 돌출 이동시키는 수단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중계부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물품 반송용 이동체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물품 보관고의 입출고구(入出庫口) 등의 이송탑재 대상 개소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탑재 가능하게 하기 위해, 물품 유지부를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 이동체에 이미 설치된 구성을 이용하여, 중계부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받아건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계부는,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상기 개구의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복수 개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가,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되고, 상기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가,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되고, 상기 제1 주행 레일 및 상기 제2 주행 레일은, 상기 제1 이동체가 상기 복수 개의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를 이동할 때의 이동 방향과 상기 제2 이동체가 상기 복수 개의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를 이동할 때의 이동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 중 상기 제1 이동체의 이동 방향에서 상류측의 것이, 상기 제1 이동체로부터 물품이 건네지고, 또한 상기 제2 이동체에 의해 물품이 수취되는 순방향 중계용 지지부로서 설정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 중 상기 제1 이동체의 이동 방향에서 하류측의 것이, 상기 제2 이동체에 의해 물품이 건네지고, 또한 상기 제1 이동체에 의해 물품이 수취되는 역방향 중계용 지지부로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중계부가 구비하는 복수 개의 지지부는, 제1 이동체의 이동 방향에서 상류측의 것이 순방향 중계용 지지부로서 설정되고, 제1 이동체의 이동 방향에서 하류측의 것이 역방향 중계용 지지부로서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 이동체가 반송 대상의 물품을 유지하고 있을 때는, 제1 이동체의 주행 방향에서 상류측의 지지부인 순방향 중계용 지지부에 상기 물품을 건넨 후, 하류측으로 이동하여, 역방향 중계용 지지부에 다른 반송 대상의 물품이 지지되어, 상기 물품을 받아, 물품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한다.

    또한, 제1 이동체의 이동 방향과 반대로 이동하는 제2 이동체가 반송 대상의 물품을 유지하고 있을 때는, 제2 이동체의 주행 방향에서 상류측의 지지부인 역방향 중계용 지지부에 상기 물품을 건넨 후, 하류측으로 이동하여, 순방향 중계용 지지부에 다른 반송 대상의 물품이 지지되면, 상기 물품을 받아, 물품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1 이동체 및 제2 이동체는, 각각의 이동 방향의 상류측에서 반송 대상의 물품을 중계부에 건네고, 하류측에서 다른 반송 대상의 물품이 있으면 그 물품을 받는 것처럼, 제1 공간 이송탑재 위치 및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까지의 물품을 중계부에 건네기 위한 주행을 이용하여, 물품을 중계부로부터 수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중계부에 물품을 건네는 것만을 위해, 또는 중계부로부터 물품을 수취하는 것만을 위해, 제1 이동체 및 제2 이동체를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나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까지 주행시키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이동체를 효율적으로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체는, 천정측에 설치된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행 레일을 천정측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주행 레일을 바닥면에 부설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주행 레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이동체의 주행에 의해 주행 레일에 요동(搖動) 등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물품 반송 설비와 같이, 주행 레일에 셔터 통과용의 간극을 형성하기 위한 절단 개소가 있으면, 주행 레일의 요동이 발생한 경우에, 절단 개소의 간극이 크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절단 개소의 간극을 매우 작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절단 개소의 간극에 셔터를 통과시킬 필요가 있어, 절단 개소의 간극을 어느 정도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큰 간극을 이동체의 주행 차륜이 통과하게 되어, 진동이나 먼지의 발생의 염려도 증대한다.

    이와 같이, 주행 레일을 천정측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주행 레일에 형성되는 간극의 문제는 심각한 것으로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주행 레일에 절단 개소를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체는, 천정측에 설치된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개구는, 천정측에 배치되고, 상기 중계부는, 천정측으로부터 현수(懸垂)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물품을 탑재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개구와 상하로 배열된 상태에서 바닥면 측에 배치되어 작업자를 통과시키는 작업자 통과용 개구가 상기 벽에 형성되고, 상기 셔터가, 상기 개구 및 상기 작업자 통과용 개구를 개폐 가능한 단일의 개폐체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물품을 통과시키는 천정측의 개구 및 작업자가 통과하는 바닥면 측의 작업자 통과용 개구의 양쪽을 단일의 개폐체에 의해 개폐 가능하므로, 물품 통과용의 개구와 작업자 통과용의 개구와의 각각에 개폐체를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셔터의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의 실시예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중계부는, 그 일부가, 상기 벽의 상기 제1 공간에 면하는 측면보다, 상기 개구 내로 진입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위치에 중계부를 배치함으로써, 중계부를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이동체로 가능한 한 근접시킬 수 있어, 중계부와의 물품의 받아건넴 작업을 효율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셔터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개폐체를 가지고, 상기 개폐체는, 상기 벽의 상기 제2 공간에 면하는 측면보다 상기 제2 공간측에 배치되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중계부의 한쪽의 에지부가 상기 개폐체의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계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위치에 개폐체나 중계부를 배치함으로써, 중계부를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이동체로 가능한 한 근접시킬 수 있어 중계부와의 물품의 받아건넴 작업을 효율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계부로부터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의 한쪽까지의 거리와, 상기 중계부로부터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의 다른 쪽까지의 거리의 차가, 상기 중계부로부터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의 상기 한쪽까지의 거리의 20%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중계부로부터 제1 레일까지의 거리와, 중계부로부터 제2 레일의 다른 쪽까지의 거리를 같거나, 또는 대략 동등하게 함으로써, 중계부와 제1 이동체 사이의 받아건넴 작업의 효율과, 중계부와 제2 이동체의 사이의 받아건넴 작업의 효율을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어, 반송 설비 전체의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다.

    도 1은 물품 반송 설비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2는 물품 반송 설비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천정 반송차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물품 반송 설비의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5는 물품 반송 설비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물품 반송 설비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에서의 반송 공간은, 벽(W)에 의해, 제1 공간(Z1)과 제2 공간(Z2)으로 칸막이되고, 제1 공간(Z1) 및 제2 공간(Z2)의 각각에, 직선형의 주행 경로로 되어 있는 직선 부위(4)와 원호형의 주행 경로로 되어 있는 곡선 부위(5)를 조합시켜 설정된 설정 주행 경로를 형성하는 주행 레일(1)을 따라 일정 방향(도면 중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방향)으로 주행하는 복수 개의 물품 반송차(2)가 구비되어 있다.

    제1 공간(Z1)에 구비된 복수 개의 제1 물품 반송차(2a)는, 제1 공간(Z1)에 설치된 제1 주행 레일(1a)을 따라 주행 가능한 제1 이동체에 상당하고, 제2 공간(Z2)에 구비된 복수 개의 제2 물품 반송차(2b)는, 제2 공간(Z2)에 설치된 제2 주행 레일(1b)을 따라 주행 가능한 제2 이동체에 상당한다.

    그리고, 제1 공간(Z1) 및 제2 공간(Z2)에서의 설정 주행 경로는, 복수 개의 물품 처리부(3)를 경유하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고, 물품 반송차(2)가 복수 개의 물품 처리부(3) 사이에서 물품(7)을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품(7)은, 반도체 기판을 복수 개 수용한 수지성(樹脂性)의 용기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나타낸 것에서는, 설정 주행 경로로서, 복수 개의 물품 처리부(3)를 경유하는, 각각이 환형(環形)인, 복수 개의 부주행(副走行) 경로(6a)와, 이들 복수 개의 부주행 경로(6a)의 각각과 접속되고 환형의 주주행(主走行) 경로(6b)를 구비하고 있고, 물품 반송차(2)가, 분기(分岐) 부위(30)에 있어서 주주행 경로(6b)로부터 부주행 경로(6a)로 분기 주행 가능하도록, 및 합류 부위(31)에 있어서 부주행 경로(6a)로부터 주주행 경로(6a)에 합류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주행 레일(1)은,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측에 설정되어 있고, 설정 주행 경로로서의 주주행 경로(6b) 및 복수 개의 부주행 경로(6a)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정 주행 경로를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주행 레일(1)은, 주행 레일용 브래킷(8)에 의해 천정(S)에 고정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제1 공간(Z1) 및 제2 공간(Z2)을 칸막이 벽(W)이 설치된 개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물품 반송차(2)의 주행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정면도이며, 도 4는 제1 공간(Z1) 및 제2 공간(Z2)을 칸막이 벽(W)에 형성된 개구(K1)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W)에는, 제1 공간(Z1)과 제2 공간(Z2)을 연통시키는 개구(K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K1)는, 천정측에 배치되어 있고, 이 천정측의 개구(K1)와 상하로 배열된 상태로, 바닥면(F) 측에 배치되어 작업자 M을 통과시키는 작업자 통과용 개구(K2)가 벽(W)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품 반송용 개구(K1) 및 작업자 통과용 개구(K2)는, 천정(S)으로부터 바닥면(F)까지 연속적으로 개방된 1개의 개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개구(K1)의 상부에서의 천정(S)을 구성하는 천정 패널의 상면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형(sheet type)의 부재를 승강시키는 타입의 셔터가 설치되어 있다. 셔터(9)는, 시트형의 단일의 개폐체(10)와, 이것을 권취 상태로 수용한 셔터 케이스(1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공간(Z1)이나 제2 공간(Z2) 중 어느 하나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셔터 케이스(11)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은 전동 모터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이 단일의 개폐체(10)가 송출 조작되고, 개구(K1) 및 작업자 통과용 개구(K2)의 양쪽이 폐쇄되어, 다른 쪽의 공간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공간(Z1)에 있어서 개구(K1)에 인접하는 개소에는, 개구(K1)를 개폐하는 셔터(9)와 간섭하지 않는 상태로 물품(7)을 지지할 수 있는 중계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중계부(12)에는, 천정(S)에 연결된 중계부용 브래킷(13)에 의해 천정(S) 측으로부터 현수 지지된 사각형의 판형 부재가 고정 상태로 설치되어, 물품(7)을 탑재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주행 레일(1a)은, 제1 물품 반송차(2a)와 중계부(12)와의 사이에서 물품(7)을 교환(즉, 주고받음) 가능한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1을 경유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제2 주행 레일(1b)은, 제2 물품 반송차(2b)와 중계부(12)와의 사이에서 개구(K1)를 통과시키는 형태로 물품(7)을 교환 가능한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2를 경유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주행 레일의 벽(W) 주변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 공간측에 설치되는 제1 주행 레일(1a)은, 개구(K1)의 가로 폭 방향[즉, 도 5에 있어서 벽(W)의 측면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직선 부위(4)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곡선 부위(5)가 연장되고, 각각의 곡선 부위에는 직선 부위(4)가 연장되어, 평면에서 볼 때 U자형의 주행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공간측에 설치되는 제2 주행 레일(1b)은, 개구(K1)의 가로 폭 방향을 따른 직선 부위(4)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곡선 부위(5)가 연장되고, 각각의 곡선 부위에는 직선 부위(4)가 연장되어, 평면에서 볼 때 U자형의 주행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공간(Z1)에 설치된 제1 주행 레일(1a)의 U자형의 부분과, 제2 공간(Z2)에 설치된 제2 주행 레일(1b)의 U자형의 부분이 중계부(12)로부터 같은 거리씩 이격된 위치에서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공간(Z1)과 제2 공간(Z2)이 배열된 방향[도 5에 있어서 벽(W)의 측면이 연장되는 방향과는 수직의 방향]에서, 개구(K1)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주행 레일(1a)의 직선 부위(4)와 제2 주행 레일(1b)의 직선 부위(4)와의 중간 위치에 중계부(12)가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중계부(12)로부터 제1 주행 레일(1a)까지의 거리가, 중계부(12)로부터 제2 주행 레일(1b)까지의 거리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중계부(12)로부터 제1 주행 레일(1a)과 제2 주행 레일(1b)의 한쪽까지의 거리와, 중계부(12)로부터 제1 주행 레일(1a)과 제2 주행 레일(1b)의 다른 쪽까지의 거리의 차가, 중계부(12)로부터 제1 주행 레일(1a)과 제2 주행 레일(1b)의 상기 한쪽까지의 거리의 20%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10%를 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주행 레일(1b)의 U자형의 부분은, 벽(W)에 대하여 제1 주행 레일(1a)의 U자형의 부분보다 근접되어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벽(W)은, 제1 공간(Z1)과 제2 공간(Z2)이 배열된 방향에서의 중계부(12)의 중간 위치로부터 제2 주행 레일(1b)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5로 나타낸 바와 같은 평면에서 볼 때, 중계부(12)의 한쪽 측에지는, 벽(W)의 제1 공간(Z1)에 면하는 측면을 넘어, 개구(K1)에 진입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벽(W)의 제2 공간(Z2)에 면하는 측면을 넘어 제2 공간측에 진입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물품 반송차(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레일(1) 상을 주행하는 주행 차륜(26)을 구비한 주행부(16)와, 주행부(16)에 현수 지지 되고, 또한 물품(7)을 승강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부(1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주행부(16)와 본체부(17)를 연결하는 연결체(18)가 한쌍의 레일 부분(15)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17)는, 물품(7)을 파지 가능한 물품 유지부로서의 파지구(把持具)(21)와, 파지구(21)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조작 수단(22)과, 승강 조작 수단(22) 및 파지구(21)를 주행부(16)의 바로 아래의 퇴피 위치 및 주행부(16)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으로 어긋나게 한 돌출 위치에 주행부(16)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조작 수단(가로 방향 이동 장치)(23)과, 파지구(21)에 의해 지지된 물품(7)의 위쪽과 전후 방향의 양쪽과 좌우 방향의 한쪽을 덮는 커버체(2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7)에는, 한쌍의 레일 부분(15)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전(受電) 코일(25)이 형성되어 있고, 주행 레일(1)을 따라 설치된 급전선(14)에 교류 전류를 통전시킴으로써 자계를 발생시키고, 이 자계에 의해 물품 반송차(2) 측에서 필요한 전력을 수전 코일(25)에 발생시켜, 물품 반송차(2)에 대하여 무접촉 상태로 급전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승강 조작 수단(22)은, 권취 벨트(27)를 권취하여 승강용 모터(28)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 드럼(29)과, 권취 벨트(27)에 의해 현수 지지되어 파지용 모터(19)의 작동에 의해 물품(7)을 파지하는 파지 자세와 파지를 해제하는 파지 해제 자세로 파지구(21)의 자세를 전환 조작하는 전환 기구(20)와, 이들 회전 드럼(29)이나 전환 기구(20)를 지지하는 승강용 지지체(3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 조작 수단(22)은, 승강용 모터(28)에 의해 회전 드럼(29)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파지구(21) 및 거기에 지지된 물품(7)을, 물품 반송차(2)의 이동 방향에서 볼 때, 물품(7)이 커버체(24) 내에 위치하는 상승 위치와, 상승 위치보다 아래쪽의 강하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 이동시킬 수 있고, 파지용 모터(19)에 의해 전환 기구(20)를 작동시켜 파지구(21)를 파지 자세와 파지 해제 자세로 전환 조작함으로써, 물품(7)에 대한 파지나 파지의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조작 수단(23)은, 무단 벨트(33)를 권취하여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용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 풀리(34)와, 이 회전 풀리(3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용 지지체(3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무단(無端) 벨트(33)의 회동에 따라 슬라이드용 지지체(35)가 커버체(24)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슬라이드용 지지체(35)가 커버체(24)에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무단 벨트(33)의 상부가 커버체(24)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무단 벨트(33)의 회동(回動)에 따라 승강용 지지체(32)가 슬라이드용 지지체(35)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승강용 지지체(32)가 슬라이드용 지지체(35)에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무단 벨트(33)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드 조작 수단(23)은, 슬라이드용 모터에 의해 회전 풀리(34)를 회전 구동 시켜 무단 벨트(33)를 플러스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슬라이드용 지지체(35)가 주행부(16)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또한 승강용 지지체(32)가 슬라이드용 지지체(35)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슬라이드용 지지체(35)와 승강용 지지체(32)가 가로 폭 방향의 같은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조작 수단(23)은, 도 3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조작 수단(22) 및 파지구(21)를 주행부(16) 측에 퇴피시키도록 슬라이드 이동시켜, 승강 조작 수단(22) 및 파지구(21)를 주행부(16)의 바로 아래에 위치시킨 퇴피 위치와, 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조작 수단(22) 및 파지구(21)를 가로 폭 방향의 한쪽으로 돌출하도록 슬라이드 이동시켜, 승강 조작 수단(22) 및 파지구(21)를 주행부(16)의 바로 아래로부터 가로 폭 방향의 한쪽으로 어긋난 돌출 위치에, 승강 조작 수단(22) 및 파지구(21)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돌출 위치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2)가 중계부(12)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주고받는 경우에, 승강 조작 수단(22) 및 파지구(21)가 평면에서 볼 때 중계부(12)와 겹칠 때까지, 가로 폭 방향의 한쪽으로 어긋나게 한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물품 반송차(2a)는,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1에 정지한 상태에서 제1 물품 반송차(2a)의 파지구(21)를 평면에서 볼 때 중계부(12)와 중첩되는 돌출 위치까지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또한 상기 파지구(21)를 돌출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반송 대상의 물품(7)을 중계부(12)와의 사이에서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며, 제2 물품 반송차(2b)가,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2에 정지한 상태에서 제2 물품 반송차(2b)의 파지구(21)를 돌출 위치까지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또한 상기 파지구(21)를 돌출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반송 대상의 물품(7)을 중계부(12)와의 사이에서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계부(12)는, 물품(7)을 지지하는 지지부(36)를 개구(K1)의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2개 구비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지지부(36)에는, 물품(7)의 저부(底部)의 3개소에 요입(凹入) 형성된 위치결정용의 걸어맞춤공에 걸어맞추어져 물품(7)을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핀(37)이 3개씩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지지부(36)와의 사이에서 물품(7)을 주고받기 위한 물품 반송차(2)의 주행 정지 위치로서, 제1 물품 반송차(2a)에 대하여 2개소의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1이, 또한 제2 물품 반송차(2b)에 대하여 2개소의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2가, 2개의 지지부(36)의 각각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서는 셔터(9)의 개폐체(10)를 가상선에 의해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체(10)는, 벽(W)의 제2 공간(Z2)에 면하는 측면보다 제2 공간(Z2)측에 배치되어 있고, 개폐체(10)의 측면 일부가, 벽(W)의 제2 공간(Z2)에 면하는 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2)는 주행 레일(1)을 따라 도 1에 화살표에 의해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중계부(12)의 양측에 있어서, 제1 물품 반송차(2a)는, 그 이동 방향에서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1(도 5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으로부터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1(도 5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1)을 향해 직선형으로 주행하고, 제2 물품 반송차(2b)는, 그 이동 방향에서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2(도 5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2(도 5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2)를 향해 직선형으로 주행한다. 이와 같이, 제1 주행 레일(1a) 및 제2 주행 레일(1b)은, 제1 물품 반송차(2a)가 복수 개의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2를 이동할 때의 이동 방향과 제2 물품 반송차(2b)가 복수 개의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2를 이동할 때의 이동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물품 반송차(2a)는, 그 이동 방향에서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1에 정지한 상태에서, 순방향 중계용 지지부(36f)에 대하여 물품(7)을 건넨다. 즉,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1에 정지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조작 수단(23)을 작동시켜 승강 조작 수단(22) 및 파지구(21)를 퇴피 위치로부터 돌출 위치까지 돌출시키고, 승강 조작 수단(22)을 설정량만큼 하강 작동시킴으로써, 물품(7)이 위치결정핀(37)에 의해 위치결정되면서 순방향 중계용 지지부(36f)에 착상(着床)한다. 그 후, 전환 기구(20)를 작동시켜 파지구(21)를 파지 해제 자세로 하여, 승강 조작 수단(22)을 설정량만큼 상승 작동시킨 후, 슬라이드 조작 수단(23)을 작동시켜 승강 조작 수단(22) 및 파지구(21)를 돌출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까지 퇴피시켜 물품(7)의 건넴 작업을 완료한다. 또한, 제1 물품 반송차(2a)는, 그 이동 방향에서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1에 정지한 상태에서, 역방향 중계용 지지부(36b)로부터 물품(7)을 수취한다. 즉, 물품(7)을 건네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조작 수단(23), 승강 조작 수단(22), 전환 기구(2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물품(7)의 수취를 행한다.

    한편, 제2 물품 반송차(2b)는, 그 이동 방향에서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2에 정지한 상태에서, 역방향 중계용 지지부(36b)에 대하여 물품(7)을 건넨다. 또한, 제2 물품 반송차(2b)는, 그 이동 방향에서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2에 정지한 상태에서, 순방향 중계용 지지부(36f)로부터 물품(7)을 수취한다.

    즉, 복수 개의 지지부(36) 중 제1 반송차(2a)의 이동 방향에서 상류측의 것이, 제1 반송차(2a)로부터 물품(7)이 건네지고, 또한 제2 반송차(2b)에 의해 물품(7)이 수취되는 순방향 중계용 지지부(36f)로서 설정되고, 복수 개의 지지부(36) 중 제1 반송차(2a)의 이동 방향에서 하류측의 것이, 제2 반송차(2b)에 의해 물품(7)이 건네지고, 또한 제1 반송차(2a)에 의해 물품(7)이 수취되는 역방향 중계용 지지부(36b)로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물품 반송차(2a)가 물품(7)을 유지하고 있지 않을 때, 제2 물품 반송차(2b)에 의해 중계부(12)의 역방향 중계용 지지부(36b)에 받아건넨 물품(7)을 수취하기 위해 가는 경우에는, 제1 물품 반송차(2a)를 이동 방향에서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1에는 정지시키지 않고, 이동 방향에서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1에 정지시켜 물품(7)을 수취한다. 또한, 역방향 중계용 지지부(36b)에 물품(7)이 지지되어 있지 않을 때, 제1 물품 반송차(2a)가 유지하고 있는 물품(7)을 중계부(12)의 순방향 중계용 지지부(36f)에 받아건네기 위해 가는 경우에는, 제1 물품 반송차(2a)를 이동 방향에서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1에는 정지시켜 물품(7)을 건넨 후에는, 이동 방향에서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1에는 정지시키지 않고 그대로 주행시킨다. 제2 물품 반송차(2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의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제1 공간(Z1)을 주행하는 제1 물품 반송차(2a)가 중계부(12)에 건넨 물품(7)을, 제2 공간(Z2)을 주행하는 제2 물품 반송차(2b)가 개구(K1)를 통과시키는 형태로 수취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제2 공간(Z2)을 주행하는 제2 물품 반송차(2b)가 개구(K1)를 통과시키는 형태로 중계부(12)에 건넨 물품(7)을, 제1 공간(Z1)을 주행하는 제1 물품 반송차(2a)가 받는 것처럼, 물품 반송차(2)가 개구(K1)를 통과하지 않아도 반송 대상의 물품(7)을 제1 공간(Z1)과 제2 공간(Z2)와의 사이에서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K1)에 셔터(19)를 설치하기 위해 주행 레일(1)에 절단 개소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주행 레일(1)을 주행할 때의 먼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물품 반송차(2)는, 그 이동 방향에서 상류측의 이송탑재 위치에 있어서 물품(7)을 중계부(12)에 건네고, 하류측의 이송탑재 위치에 있어서 물품(7)을 중계부(12)로부터 수취하므로, 반송 대상의 물품(7)을 중계부(12)에 건넴을 행하는 주행을 이용하여 다른 반송 대상의 물품(7)을 수취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물품 반송차(2)를 효율적으로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행해진 발명을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체가 물품 유지부를 수평 이동 가능 및 승강 이동 가능하게 구비한 것을 예시했지만, 이 대신에, 이동체가 물품 유지부를 수평 이동 가능하지 않은 것이라도 된다. 이 경우, 지지부를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이 배열된 방향[즉, 벽(W)이 연장되는 방향과는 수직의 방향]으로 출퇴 가능한 슬라이드 테이블을 중계부에 설치하는 등 해도 된다.

    (2)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36)에 3개의 위치결정핀(37)을 세로 축심 주위로 일체 회전시키는 턴테이블을 설치해도 된다. 이로써, 중계부(12)에 지지되어 있는 물품(7)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체가 천정측에 설치된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한 것을 예시했지만, 이동체로서는, 지상 측에 부설된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한 물품 반송 대차(臺車; carriage) 등이어도 된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체가 주행 레일을 따라 1방향으로만 주행 가능한 것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체가 주행 레일을 따라 양 방향으로 주행 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5) 상기 실시예에서는, 중계부의 양 측부의 주행 레일 부분이 평면에서 볼 때 U자형의 것을 예시했지만, 중계부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되는 주행 레일이, 이동체를 중계부에 대하여 원근 방향으로 주행 안내하는 단일의 직선형의 주행 레일 부분이어도 된다. 중계부가 복수 개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경우, 이들 복수 개의 지지부의 각각에 대하여, 단일의 직선형의 주행 레일 부분을 개구의 가로 폭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하여 설치해도 된다.

    (6) 상기 실시예에서는, 셔터로서, 통상 시 개구를 개방하고 화재 시에만 개구를 폐쇄하는 방화 셔터를 예시했지만, 특허 문헌 1과 같이, 제1 공간과 제2 공간이 상이한 분위기 환경인 경우와 같이, 통상 시는 개구를 폐쇄하고, 물품을 이동시킬 때만 개구를 개방하는 셔터라도 된다. 또한, 셔터로서 개폐체가 승강하는 승강식의 것을 예시했지만, 개폐체가 좌우로 분할되어 좌우 양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좌우 양측 열림의 것 등, 셔터의 개폐체의 구체적 구성은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하다.

    (7) 상기 실시예에서는, 물품 통과용의 개구(K1)와 작업자 통과용 개구(K2)이 1개의 개구에 의해 겸용되어 있는 것을 예시했지만, 그 대신에, 도 6과 같이, 물품 통과용 개구(K1)와 작업자 통과용 개구(K2)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벽 부분(38)에 의해, 바닥면(F)측과 천정(S)측으로 각각 별개의 개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W: 벽
    Z1: 제1공간
    Z2: 제2 공간
    S: 천정
    K1: 폭
    K2: 작업자 통과용 개구
    F: 저면
    P1: 제1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P2: 제2 공간측 이송탑재 위치
    1: 주행 레일
    1a: 제1 주행 레일
    1b: 제2 주행 레일
    2: 이동체
    2a: 제1 이동체
    2b: 제2 이동체
    7: 물품
    9: 셔터
    10: 단일의 개폐체
    12: 중계부
    21: 물품 유지부
    36f: 순방향 중계용 지지부
    36b: 역방향 중계용 지지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