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결합장치의 결합위치 조절장치

申请号 KR1019920023198 申请日 1992-12-03 公开(公告)号 KR100249996B1 公开(公告)日 2000-05-01
申请人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코야나기토시로오; 하시모토야요이; 타카키하루유키;
摘要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의 폭과 차량 시이트의 폭이 크게 다른 경우에도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를 안정된 상태로 확실하게 차량 시이트에 고정시킨다.
시이트 본체(7)에는 벨트가이드(120)와 지지스프링(119)이 설치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벨트가이드(120)를 지지스프링(119)으로 지지하는 비사용위치로 설정하고 있다. 사용시에는 벨트가이드(120)를 지지스프링(119)과의 결합상태를 해제시켜서 좌측으로 돌출시키고, 회전시켜서, 돌기(120c),(120d)를 각각 홈(23),(24)에 삽입시킨다. 이렇게 하면 벨트가이드(120)의 가이드부(120a)가 좌우방향으로 돌출한 상태로 된다. 가이드부(120a)로 차량의 시이트벨트(131)를 안내하면, 텅(123)과 버클(124)의 결합부가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1)의 모서리로부터 벗어나서, 시이트벨트(131)의 텅(123)과 버클(124)의 결합이 안정되고 확실한 상태로 된다.
权利要求
  • 적어도 시이트벨트(131), 텅(123) 및 버클(124)로 구성되며, 차량의 시이트(122)에 설치되어서, 상기 시이트(122)에 앉은 탑승자를 구속보호하는 시이트벨트장치로서, 동시에 유아를 구속보호하는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1)를 상기 시이트(122)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결합장치(123, 124)를 결합시켰을 때, 상기 결합장치(123, 124)의 결합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결합장치의 결합위치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결합위치 조절장치가 상기 시이트벨트(122)를 적어도 좌우방향으로 안내하는 벨트가이드(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결합장치의 결합위치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이드(120)가 상기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1)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결합장치의 결합위치 조절장치.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이드(120)가 비사용위치와 사용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결합장치의 결합위치 조절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이드(120)가 상기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1)에 대해서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결합장치의 결합위치 조절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이드(120)가 상기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1)에 대해서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결합장치의 결합위치 조절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이드(120)가 2개의 직육면체형상의 블록(120i),(120j)으로 구성되며, 이들 블록(120i),(120j)이 절곡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결합장치의 결합위치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벨트(131)의 길이를 단축시키는 벨트길이 단축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결합장치의 결합위치 조절장치.
  • 说明书全文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결합장치의 결합위치 조절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결합장치의 결합위치 조절장치의 한 실시예가 설치되는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의 한 실시예의 좌측절반을 절단하여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표시된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에 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이트본체의 평면도이다.

    제4도는, 제1도에 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이트본체의 측면도이다.

    제5도는, 제1도에서 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이트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제6도는, 제1도에 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이트백의 정면도이다.

    제7도는, 제1도에 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부브라킷을 표시하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고정핀 지지공의 확대도이다.

    제8도는, 제1도에 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부브라킷을 표시하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이다.

    제9도는, 제1도에 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이트백 각도조절장치의 조작레버를 표시하는 것으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이다.

    제10도는, 제1도에 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정핀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11도는, 제1도에 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이트백 각도조절장치의 캠플레이트를 표시하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XIB-XI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제12도는, 본 실시예의 시이트백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의 고정핀과 캠플레이트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3도는, 본 실시예의 커버시이트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4도는, 본 실시예의 벨트가이드의 설치위치 및 벨트가이드의 지지스프링의 부착위치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15도는, 본 실시예의 벨트가이드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6도는, 본 실시예의 지지스프링을 표시하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이다.

    제17도는, 본 실시예의 벨트가이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18도는, 본 실시예의 벨트가이드의 부착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19도는, 본 실시예의 벨트가이드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a)는 벨트가이드가 없는 경우의 설명도, (b)는 벨트가이드가 있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이다.

    제2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단면도이다.

    제22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a)는 비사용상태의 사시도, (b)는 사용상태의 사시도이다.

    제23도는,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 (c)는 사용방법의 설명도, (d)는 차량의 시이트벨트에 부착된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 2 : 시이트부

    3 : 시이트백 4 : 시이트백 각도조절장치

    5 : 유아용 시이트벨트장치 6 : 어깨벨트 위치조절장치

    7 : 시이트본체 8 : 시이트 지지부

    9 : 중앙부 10 : 좌측보호벽

    11 : 우측보호벽 12 : 제1오목부

    13 : 안내공 14 : 제2오목부

    18, 19 : 작동지지부 20 : 지지축

    21 : 지지축 관통공 22 : 고정핀 관통공

    23, 24, 25, 26 : 홈 29, 30 : 벨트가이드 관통공

    31 : 시이트백 본체 32 : 좌측보호벽

    33 : 우측보호벽 34, 35 : 안내공

    46, 47 : 작동지지부 48, 49 : 관통공

    50 : 상부브라킷 51 : 하부브라킷

    52 : 상부지지핀 53 : 하부지지핀

    54 : 스파이럴스프링 55 : 조작레버

    56 : 고정핀 57 : 캠플레이트

    59 : 조작력 전달링크

    65, 66, 67 : 고정핀 지지공(등받이 각도조절용)

    68 : 고정핀 지지공(절첩용) 69 : 안내공

    75 : 관통공 80, 81 : 캠홀

    84 : 핀커버 97 : 압축스프링

    98 : 커버시이트 101 : 벨트가이드

    102 : 지지장치 103 : 나사축

    104 : 조작노브 105 : 토크링크

    109 : 통형상부재 119 : 지지스프링

    120 : 벨트가이드 123 : 텅

    124 : 버클 127, 128, 129, 130 : 지지공

    131 : 차량 시이트벨트

    본 발명은 차량의 시이트에 설치되며, 적어도, 시이트벨트, 텅(tongue), 버클 등으로 구성된 결합장치가 있는 상기한 시이트에 앉은 탑승자를 구속보호하는 시이트 벨트장치로써, 유아를 구속보호하는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 시이트벨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합장치의 결합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시이트 벨트장치에 있어서의 결합장치의 결합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자동차나 비행기 등에 있어서, 주행중에 시이트에 앉은 유아를 구속보호함은, 물론, 가감속시의 충격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하기 위하여 종래로부터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로 베이스부재에 부착되어 있으며,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시이트본체 및 유아를 구속하기 위한 유아용 시이트벨트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아용 시이트벨트장치는, 유아용 시이트벨트, 유아용 시이트벨트의 선단에 부착된 가슴받이용 패드, 가슴받이용 패드의 선단에 부착된 텅, 시이트본체에 부착되며 텅과의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한 버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텅이 버클과 결합된 상태에서는, 시이트에 앉아 있는 유아가 유아용 시이트벨트 및 가슴받이용 패드에 의해 구속보호된다.

    그런데,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가 고정되는 시이트는, 자동차나 비행기 등의 종류에 따라서 좌우의 폭이 여러 가지로 다르다. 또, 동일한 종류의 차량이라 하더라도, 형식이나 크기에 따라서 차량 시이트의 좌우의 폭이 여러가지로 다르다.

    이와 같이, 차량시이트의 좌우의 폭이 다르면,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를 차량 시이트에 고정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제19도(a)에 표시되어 있듯이, 예컨대, 차량시이트(122)의 폭이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1)의 폭과 비교하여, 상당히 큰 경우에,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1)를 차량시이트(122)에 고정함에 있어서, 차량의 시이트벨트장치의 텅(123)과 버클 (124)을 결합시켰을 때, 텅(123)과 버클(124)의 결합부가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1)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태로 텅(123)과 버클(124)이 결합되면, 결합상태는 불안정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와 차량 시이트의 폭이 크게 다른 경우에도, 유아용 구속보호 시이트를 안정된 상태로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결합장치의 결합위치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적어도 시이트벨트, 텅, 버클 등으로 구성되고, 차량 시이트에 부착되어서, 상기한 시이트에 앉은 탑승자를 구속보호하는 시이트벨트장치이며, 유아를 구속보호하는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를 상기한 차량시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결합장치를 결합시켰을 때, 상기한 결합장치의 결합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의 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결합위치 조절장치가 상기한 시이트벨트를 적어도 좌우방향으로 안내하는 벨트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의 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벨트가이드가 상기한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의 범위 제4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벨트가이드가 비사용위치와 사용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의 범위 제5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벨트가이드가 상기한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에 대해서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의 범위 제6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벨트가이드가 상기한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에 대해서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의 범위 제7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벨트가이드가 2개의 직육면체형상의 블록으로 구성되며, 이들 블록이 절곡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 범위 제8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시이트벨트의 길이를 단축시키는 벨트길이 단축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결합장치의 결합위치 조절장치에 있어서는, 시이트벨트가 적어도 좌우방향으로 안내되거나, 또는 시이트벨트의 길이가 단축되거나 한다.

    그 결과, 시이트벨트장치의 결합장치의 결합위치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를 차량의 시이트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한 결합장치를 결합시졌을 때, 결합장치는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의 모서리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의 폭과 차량시이트의 폭이 크게 다른 경우에도,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를 안정된 상태로 확실하게 차량시이트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시이트벨트장치에 있어서의 결합장치의 결합위치 조절장치의 한 실시예를, 좌측절반을 절단하여 표시한 정면도이며, 제2도는, 제1도에서의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표시한 좌측면도이다.

    제1도와 제2도에 표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1)는, 유아가 앉는 시이트부(2), 회전가능한 상태로 시이트부(2)에 부착되어 있으며 유아의 등을 받쳐주는 시이트백(3), 시이트백(3)의 각도를 조절하는 시이트백 각도조절장치(4), 시이트부(2)에 앉은 유아를 구속보호하는 유아용 시이트벨트장치(5), 유아용 시이트벨트장치(5)의 어깨벨트(5a)의 상하위치를 조절하는 어깨벨트 위치조절장치(6)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이트부(2)는 시이트본체(7)와 시이트본체(7)를 지지하는 시이트 지지부(8)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와 제4도에 표시하듯이, 시이트본체(7)는 유아가 직접 앉는 중앙부(9)와, 중앙부(9)의 좌우양쪽에 형성된 좌우보호벽(10)(11)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플라스틱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부(9)의 앞부분에는, 후술하는 유아용 시이트벨트장치(5)의 버클(5d)과 시이트백 각도조절장치(4)의 조작레버(55)가 각각 수용되는 제1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부(9)의 전후방향에서의 중앙에는 단면이 V자형인 제2오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제2오목부(14)내에는 자동차나 항공기 등의 차량 시이트(122)에 부착되며,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1)를 이 차량 시이트에 고정시키는 경우에도 사용되는 시이트(122)의 탑승자 구속보호용 시이트벨트장치의 텅(123)과 버클(124)이 위치하게 된다.

    좌우보호벽(10)(11)의 뒤에는, 시이트백 각도조절장치(4)의 작동부를 지지하며, 형상이 대략 원형인 작동지지부(18)(19)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작동지지부(18)(19)의 중심부에는 시이트백(3)을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축(20)이 관통하는 지지축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뒤쪽 하부에는 시이트백(3)을 설정된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시이트백 각도조절장치(4)의 고정핀(56)(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이 관통하는 고정핀 관통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보호벽(10),(11)의 외측에는, 제2오목부(14)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윗쪽으로 개방된, 단면이 거의 V자형인 한 쌍의 홈(23)(24)(25)(2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겠지만, 이들 홈(23)(24)(25)(26)에는,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1)의 좌우폭이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1)가 고정되는 시이트의 폭보다 상당히 작은 경우에 사용하며, 시이트(122)에 부착되어 있는 시이트벨트(131)를 안내하는 벨트가이드(120)(제17도에 표시)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120c),(120d)가 지지된다.

    제5도에 표시하듯이, 시이트 지지부(8)도 플라스틱셀에 의해 형성되며, 이 시이트 지지부(8)에는 시이트본체 부착용 나사가 체결되는 다수의 나사체결부(2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에 표시하듯이, 시이트지지부(8)의 위에 시이트본체(7)를 올려놓고, 나사체결부(27)에 나사(28)를 체결하므로써, 시이트본체(7)가 시이트 지지부(8)에 부착 된다. 또, 시이트 지지부(8)의 좌우 양쪽에는 상기한 벨트가이드(120)의 회전축(120b)이 회전가능한 상태로 관통하는 한 쌍의 벨트가이드 관통공(29)(30)이 형성되어 있다.

    제6도에 표시하듯이, 시이트백(3)은, 유아의 등을 직접 지지하는 시이트백 본체(31)와 시이트백 본체(31)의 좌우 양쪽에 형성된 좌우 보호벽(32)(33)으로 구성되며, 이것도 플라스틱 셀에 의해 단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시이트백 본체(31)의 중앙에는, 평행사변형 형상이며,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한 쌍의 안내공(34)(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공(34)(35)으로는, 어깨벨트 위치조절장치(6)에 있는 벨트가이드(101)가 관통하고 있으며, 안내공(34)(35)에 의해 벨트가이드(101)가 안내되면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보호벽(32)(33)에서의 시이트백 본체(31)의 근처에는, 시이트백 각도조절장치(4)의 상부브라킷(50)(제7도에 표시)을 부착하기 위한 나사를 체결하는 나사체결부(38), (39), (40), (41), (42), (4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좌우보호벽(32)(33)의 아래에는, 시이트백 각도조절장치(4)의 작동부를 지지하며, 형상이 대략 원형인 작동지지부(46), (47)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작동지지부(46)(47)의 중심부에는 지지축커버(125)(제1도에 표시) 중앙의 돌출부(125a)가 끼워지는 관통공(48)(49)이 형성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듯이, 시이트백 각도조절장치(4)는, 시이트백(3)의 좌우보호벽(32)(33)에 각각 부착되는 좌우한쌍의 상부브라킷(50), 시이트본체(7)의 좌우보호벽(10)(11)에 각각 부착되는 좌우 한 쌍의 하부브라킷(51), 상부브라킷(50)에 부착된 상부지지핀(52)과 하부브라킷(51)에 부착된 하부지지핀(53)사이에 걸리는 스파이럴스프링(54), 조작레버(55), 고정핀(56)을 고정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제어하는 캠플레이트(57), 고정핀(56)의 고정위치 방향으로 캠플레이트(57)를 항상 밀어주는 압축스프링(97), 조작레버(55)와 캠플레이트(57)사이를 연결하며, 압축스프링(97)의 스프링장력을 극복하면서 조작레버(55)의 조작력을 캠플레이트(57)로 전달하는 조작력 전달링크(59)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7도에 표시하듯이, 상부브라킷(50)은 평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부의 구형부(矩形部)(50a)와 하부의 원형부(50b)로 구성되어 있다. 구형부(50a)에는, 상부브라킷(50)을 시이트백에 부착하기 위해서 체결하는 나사가 관통하는 3개의 나사 관통공(60)(61)(62)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원형부(50b)에는, 그 중심부에서 회전축(20)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는 상태로 관통하는 관통공(64)이 형성되어 있으며, 시이트백(3)의 각도를 3단계로 조정하기 위해서, 고정핀(56)이 관통하는 3개의 고정핀 지지공(65)(66)(67)이 관통공(64)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의 동일원주상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또, 시이트백(3)을 접은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고정핀 지지공(65),(66),(67)과 동일원주상에서 고정핀(56)이 관통하는 고정핀 지지공(68)이 형성되어 있다.

    제7도의 (b)에 표시하듯이, 이들 고정핀 지지공(65),(66),(67),(68)은 단경(f)과 장경(g)으로 구성되는 장원(長圓)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단경(f)은 고정핀(56)이 거의 틈새없이 관통 및 작동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핀 지지공(65)(66)(67)(68)의 단경(f)은 관통공(64)의 동심원의 원주방향으로 장경(g)은 상기한 동심원의 지름방향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구형부(50a)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안내공(69)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공(69)에 의해 벨트가이드(101)를 지지하는 지지장치(102)의 가이드(113)가 상하로 안내된다. 제1도에 표시하듯이, 상부브라킷(50)은 나사를 나사 관통공(60)(61)(62)으로 각각 관통시켜서 시이트백(3)의 나사체결부(38)(39)(40)에 체결하므로써, 시이트백(3)에 고정된다.

    제8도(a)와 (b)에는 표시하듯이, 하부브라킷(51)은 상부의 반원형부(51a)와 시이트본체(7)로부터의 나사가 체결되는 하부의 나사체결부(51b)로 구성되어 있다. 반원형부(51a)의 중심에는 지지축(20)이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공(7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지지핀(52)이 관통하며, 시이트백(3)의 각도를 조절할 때 상부지지핀(52)을 회전가능한 상태로 안내하는 안내공(74)이 관통공(73)의 동심원의 원호상에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브라킷(51)에는, 또, 고정핀(56)이 작동가능한 상태로 관통하는 관통공(7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관통공(75)은 관통공(73)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브라킷(50)의 관통공(64)의 중심과 고정핀 지지공(65)(66)(67)의 중심과의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형성되어 있다. 상부브라킷(50)은 나사(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를 사용하여 시이트본체(7)에 고정시킨다.

    제1도에 표시하듯이, 지지축(20)은 시이트본체(7)에 고정된 하부브라킷(51)의 관통공(73)을 관통하여 하부브라킷(51)에 지지되는 동시에, 시이트백(3)에 고정된 상부브라킷(51)이 하부브라킷(51)의 외측에 위치해서, 관통공(64)으로 지지축(20)을 관통시키므로써, 지지축(20)은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이때, 리테이닝링(retaniningring)(77)을 체결하여 상부브라킷(50)이 지지축(2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축(20)의 커버(78)의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78a)를 시이트백(3)의 관통공(48)에 끼운 후, 지지축(20)의 끝에 나사를 체결하므로써, 회전축(20)을 덮는 상태로 커버(78)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부브라킷(50)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지지핀(52)은 하부브라킷(51)의 안내공(74)을 관통하여, 하부브라킷(51)의 내측으로 돌출해서 시이트본체(7)의 작동지지부(18)(19)에서 지지된다.

    또, 상부브라킷(50)에 고정된 상부지지핀(52)과 하부브라킷(51)에 고정된 하부지지핀(53)사이에는 스파이럴스프링(54)이 걸려진다. 이렇게 하므로써, 시이트백(3)은 시이트본체(7)의 지지축(20)을 중심으로 한 각도조정이 가능한 상태로 부착된다. 이때, 시이트백(23)의 각도의 변화에 따라서, 상부브라킷(50)에 형성된 4개의 고정핀 지지공(65),(66),(67),(68)중의 어느 하나가 하부브라킷(51)의 관통공(75)과 일치하게 된다.

    제9도에 표시하듯이, 조작레버(55)는, 시이트본체(7)의 제1오목부(12)에 배치되며, 조작레버(55)를 조작하는 조작부(55a)와 조작력 전달링크(59)가 연결되는 연결부(55d)로 구성되어 있다.

    제10도에 표시하듯이, 고정핀(56)은 환봉으로 만들어지며, 한쪽 끝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태핏(tappet, cam fol1ower)(56a)이 형성되어 있다. 태핏(56a)은 캠플레이트(57)에 형성된 캠홀(cam hou1)(80)(81)(제11도에 표시)에 끼워지며, 캠플레이트(57)의 작동에 따라, 캠홀(80)(81)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핀(56)의 다른쪽 끝은 고정부(56b)로써, 고정핀(56)이 캠홀(80)(81)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되면, 상부브라킷(50)에 형성된 4개의 고정핀 지지공(65)(66)(67)(68)중의 어느 한 고정핀 지지공 및 하부브라킷(51)의 관통공(75)을 관통하여 상부브라킷(50)과 하부브라킷(51)을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고정핀(56)의 고정부(56b)는 면취(A)가공을 하므로써, 고정부(56b)가 고정핀 지지공(65),(66),(67),(68) 및 관통공(75)에 쉽게 관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1도에 표시하듯이, 캠플레이트(57)는 대략 평판형상을 하고 있으며, 캠플레이트(57)의 도면에서의 상단쪽에는, 고정핀(60)의 태핏(56a)이 끼워지는 한쌍의 캠홀(80),(81)이 入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캠플레이트(57)의 하단쪽에는 조작력 전달링크(59)의 한쪽 끝이 연결되는 체결공(82)과, 캠플레이트(57)를, 도면에서의 상방으로 항상 밀어올리는 압축스프링(97)(제2도에 표시)의 한쪽끝이 연결되는 연결공(83)이 형성되어 있다.

    제2도에 표시하듯이, 조작력 전달링크(59)의 한쪽 끝은 조작레버(55)의 연결부(55d)의 관통공(55e)과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쪽 끝은 캠플레이트(57)의 체결공(82)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이트백 각도조절장치(4)에 있어서는, 평상시에 압축스프링(97)에 의해 고정핀(56)의 태핏(56a)이 캠홀(80),(81)의 최하단에 위치하게 되어 고정핀(56)은 최대의 돌출상태로 된다. 고정핀(56)이 제1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는 고정부(56b)가 4개의 고정핀 지지공(65),(66),(67),(68)중의 어느 하나 및 관통공(75)에 끼워지게 되어, 고정핀(56)은 고정위치로 된다. 이에 의해서, 시이트백(3)은 소정의 경사도나 또는 접는 위치로 설정된다. 그리고, 조작레버(5)를 앞으로 끌어당겨서 캠플레이트(57)를 제12도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태핏(56a)은 캠홀(80)에 의해 안내되면서 고정핀(56)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2점쇄선으로 표시하듯이, 태핏(56a)이 캠홀(80)의 최상단에 위치하면, 고정부(56b)는 고정핀 지지공(65),(66),(67),(68)중의 어느 한곳 및 관통공(75)으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어 고정핀(56)은 해제위치로 된다. 따라서, 시이트백(3)은 자유로이 선회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유아용 시이트벨트장치(5)는, 좌우의 어깨벨트(5a), 이들 어깨벨트(5a)에 연결된 가슴받이용 패드(5b)의 하단에 부착된 텅(5c)과 결합되는 버클(5d), 좌우의 어깨벨트(5a)를 하나로 통합한 웨빙을 시이트백(3)의 배후를 통과하여 감고 있는 리트랙터(5e)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아용 시이트벨트장치(5)는 종래의 유아용 시이트벨트장치와 거의 동일하다.

    제1도와 제2도에 표시하듯이, 시이트백(3)을 시이트부(2)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축(20)에는 좌우 한쌍의 하부브라킷(51)사이에서 커버시이트(98)가 지지되어 있으며, 제2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와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사이에서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이 커버시이트(98)가 제2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커버시이트(98)는 시이트본체(7)의 제2 오목부를 폐쇄함과 함께 시이트본체(7)전방의 시이트면(7a) 및 시이트백(3)에 있어서의 시이트백본체(31)의 시이트백면(31a)과 함께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1)의 시이트면과 시이트백면이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된다. 이것에 의해서, 유아를 확실하고, 또한 안정되게 자리에 앉힐 수 있다.

    한편, 커버시이트(98)가 제2도에서 2점쇄선으로 표시되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커버시이트(98)는 시이트본체(7)의 제2오목부(14)를 개방시킨다. 이에 의해서, 제13도에 표시하듯이, 차량의 시이트에 대한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1)의 탈부착작업시, 제2오목부(14)의 내부에 있으며, 차량의 시이트에 부착된 시이트벨트장치의 텅(123)과 버클(124)의 착탈조작을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1)의 전방으로 화살표(B)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듯이, 어깨밸트 위치조절장치(6)는 유아용 시이트벨트의 어깨벨트를 상하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벨트가이드(101), 벨트가이드(101)를 지지하는 지지장치(102),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장치(102)를 상하작동시키는 나사축(103), 시이트백(3)의 좌우보호벽(32),(33)의 한 쪽, 도면에서는 좌측 보호벽(33)에서 회전가능한 상태로 부착된 조작노브(104), 조작노브(104)와 나사축(103)을 직각으로 연결시키며, 조작노브(104)의 회전력을 나사축(103)으로 전달하는 토크링크(105)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벨트가이드(101)는, 벨트가 관통하는 관통공(106)의 상한위치(C)와 하한위치(D)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어깨벨트 위치조절장치(6)에 있어서는, 조작노브(104)를 회전시키면, 그때의 회전력은 노크링크(105)를 거쳐서 나사축(103)으로 전달되어, 나사축(103)이 회전한다. 나사축(103)이 한 쪽방향으로 회전하면, 벨트가이드(101)가 하강하며, 나사축(103)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벨트가이드(101)는 상승한다. 이에 의해서 유아용 시이트벨트의 어깨벨트의 상하위치가 연속적으로 조절된다.

    제14도 및 제15도에 표시하듯이, 시이트본체(7)의 좌우보호벽에는 제2오목부(14)의 다른쪽 경사면의 근방에서 한쌍의 벨트가이드(120)(상세한 것을 후술한다)를 지지하는 지지스프링(119)이 설치되어 있다. 제16도에 표시하듯이, 지지스프링(119)은 탄성재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중앙에는 부착공(119a)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양끝에는 벨트가이드에 형성된 한쌍의 돌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119b),(119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이트지지부(8)에는 제2오목부(14)의 가장 아래쪽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벨트가이드(120)가 회전가능하며, 또한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제17도에 표시하듯이, 벨트가이드(120)는, 차량의 시이트벨트(131)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20a), 가이드부(120a)의 한쪽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시이트 지지부(8)의 벨트가이드 관통공(29),(30)(제5도에 표시)에서 회전가능하고 축방향으로의 이동도 가능한 상태로 관통되어 있는 회전축(120b), 가이드부(120a)에 형성된 한쌍의 돌기(120c)(120d)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한쌍의 돌기에는 각각 지지스프링(119)의 지지부(119b),(119c)가 걸리는 오목부(120e),(120f)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5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하듯이, 벨트가이드(120)는 통상시에는 시이트 지지부(8)에 최대로 압입되어 지지스프링(119)에 의해 지지되는 비사용위치로 설정된다. 예컨대, 차량시이트의 폭이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1)의 폭과 비교하여 상당히 큰 경우에는, 2점쇄선으로 표시하듯이, 벨트가이드(120)를 좌측으로 소정량 인출하고 회전시켜서, 돌기(120c),(120d)가 각각 홈(23)(24)에 삽입하는 사용위치로 벨트가이드(120)를 설정한다. 이 위치에서의 벨트가이드(120)는, 차량의 시이트벨트(131)는 거리(i)만큼 좌측으로 안내되게 된다. 또, 제18도에 표시하듯이, 벨트가이드(120)의 인출은 회전축(120b)의 끝에 고정된 걸림부재(121)가 벨트가이드 관통공(29)(30)의 끝에 형성된 스토퍼(29a)에서 걸리므로써, 규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벨트가이드(120)에 있어서는, 벨트가이드(120)를 지지스프링(119)과의 결합상태를 해제하여 좌측으로 돌출시키고 회전시켜서, 돌기(120c),(120d)를 각각 홈(23),(24),(25),(26)에 삽입시킨다. 이렇게 하므로써, 제19도(b)에 표시하듯이, 벨트가이드(120)의 가이드부(120a)가 좌우방향으로 돌출한 상태가 되고, 돌출한 가이드부(120a)에 의해 차량의 시이트벨트(131)가 안내되므로, 텅(123)과 버클(124)의 결합부가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1)의 모서리로부터 벗어나게 되며, 따라서 텅(123)과, 버클(124)의 결합이 안정되어, 보다 확실한 결합상태로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가이드(120)를 시이트본체(7)의 좌우 양쪽의 보호벽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지만, 벨트가이드(120)는 시이트본체(7)의 좌우 양쪽 보호벽중의 어느 한 쪽에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이트본체(7)의 좌우양쪽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도면에서는 좌측)에, 벨트가이드(120)의 비사용위치에 벨트가이드(120)의 제1돌기(120c) 및 제2돌기(120d)를 삽입하는 지지공(127),(128)이 형성되어 있으며, 벨트가이드(120)의 사용위치에는 제1돌기(120c) 및 제2돌기(120d)를 삽입하는 지지공(129)(130)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의 경우에서도, 상기 실시예의 제18도에 표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벨트가이드(120)의 인출량은 제한된다.

    그리고, 제20도에서는 2점좨선으로 표시하듯이, 벨트가이드(120)은, 평상시에는 회전축(120a)이 벨트가이드 관통공(29),(30)에 최대로 삽입되어 있으며, 돌기(120c)(120d)가 각각 지지공(127),(128)에 삽입된 비사용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벨트가이드(1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벨트가이드(120)를 좌측으로 소정량 인출하여 회전시켜서, 돌기(120c),(120d)를 각각 지지공(120c),(120d)에 삽입하여 도면에서 실선으로 표시하는 사용위치로 벨트가이드(120)를 설정한다. 이 위치에서의 벨트가이드(120)는 차량의 시이트벨트(131)를 거리i만큼 좌측으로 안내하게 된다.

    제2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21도(a)에 표시하듯이, 본 실시예에서는,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1)의 시이트부(2)에 벨트가이드(120)가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벨트가이드는 제1가이드부(120g)와 이것과 평형하게 설치된 제2가이드부(120h)가 있으며, 벨트가이드(120)의 비사용위치에서는, 제2가이드부(120h)는, 시이트부(2)의 내부에 있게 되며, 벨트가이드(120)의 사용위치에서는 제21도(b)에 표시되듯이, 시이트부(2)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빠져나온 상태로 된다. 이 경우에, 도면에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벨트가이드(120)의 비사용위치 및 사용위치의 어느 경우에도 벨트가이드(120)를 그 위치에서 지지하는 지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벨트가이드(120)의 비사용위치에서는, 시이트벨트(131)는 벨트가이드(120)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면서 버클(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쪽으로 뻗어 있으며, 텅(123)과 버클의 결합위치는 버클쪽으로 접근하게 된다. 또, 벨트가이드(120)의 사용위치에서는, 시이트벨트(131)는 제1가이드부(120g)의 윗쪽과 제2가이드부(120h)의 아래쪽에서 걸려있으므로, S형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시이트벨트(131)를 손으로 끌어당길 수 있으므로, 텅(123)은 버클과는 반대쪽인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텅(123)과 버클의 결합위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가이드(120)에 제1가이드부(120g)와 제2가이드부(120h)의 2개가 있지만, 가이드부를 1개 또는 3개이상 적당한 개수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시 이트벨트(131)가 제1가이드부(120g)의 윗쪽과 제2가이드부(120h)의 아래쪽에 걸려 있는데, 제1가이드부(120g)와 제2가이드부(120h)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당한 회수를 감는 상태로 할 수도 있다.

    또, 시이트부(2)로부터 제1가이드부(120g) 및 제2가이드부(120h)의 바깥쪽으로의 돌출량을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2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22도에 표시하듯이,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가이드(120)를 2개의 직육면체의 블록(120i),(120j)으로 형성하며, 블록(120i),(120j)은, 경첩 등의 회전축(120k)을 사용하여 서로 상대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제22도(a)에 표시하듯이, 벨트가이드(120)의 비사용시에는 시이트부(2)의 측면 윗쪽에 올려 놓아 시이트벨트(131)가 그 하나의 모서리(120m)에서 안내되도록 하며, 제22도(b)에는 표시하듯이, 벨트가이드(120)의 사용시에는 한쪽의 블록(120i)은 시이트부(2)의 측면과 접촉시키고 다른쪽 블록(120j)은 시이트부(2)의 측면 윗쪽에 올려 놓아 회전축(131)이 시이트부(2)의 모서리에서 지지되도록 벨트가이드(120)를 조절하여 시이트벨트(131)가 한쪽 블록(120i)의 한쪽의 모서리(120n)와 다른쪽 블록(120j)의 한쪽 모서리(120p)에 의해 안내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시이트벨트(131)가 블록(120i)의 두께 만큼 시이트부(2)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텅(123)과 버클과와 결합위치가 좌측으로 이동한다.

    벨트가이드(120)가 사용위치로 조절되어서, 시이트벨트(131)에 의해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가 차량 시이트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시이트벨트(131)의 긴장력(緊張)에 의해 벨트가이드(120)는 시이트부(2)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블록의 시이트벨트(131)를 안내하는 모서리를 둥글게 하여, 시이트벨트(131)를 원활하게 안내하므로써, 시이트벨트(13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벨트가이드(120)의 비사용시에는 벨트가이드(120)를 다른 곳에 보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23도에 표시하듯이,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가이드(120)가 평판으로 된 클립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가이드부(120g), 제2가이드부(120r) 및 제3가이드부(120s)가 있다. 제1가이드부(120g)와 제3가이드부(120s)에는 시이트벨트(131)를 삽입하는 개방구(120t), (120u)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벨트가이드(120)에 있어서는, 제23도(b)에 표시하듯이, 시이트벨트(131)를 접어서 개방부(120t)로부터 제1가이드부(120g)와 제2가이드부(120r)사이의 간극으로 넣으며, 제23도(c)에 표시하듯이, 시이트벨트(131)의 절곡부가 개방부(120u)로부터 제2가이드부(120r)와 제3가이드부(120s)사이의 간극에 오도록 한 후, 절곡부를 제3가이드부(120s)에 건다.

    이와 같이 벨트가이드(120)가 시이트벨트(131)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제23도(d)에 표시하듯이, 시 이트벨트(131)가 제1가이드부(120g), 제2가이드부(120r) 및 제3가이드부(120s)에 의해 안내되므로, 시이트벨트(131)는 벨트가이드(120)에 의해 끌어당겨진 상태가 되어서, 텅(123)과 버클과의 결합위치가 좌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시이트백(3)이 지지축(20)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시이트부(2)에 부착되어 있는 아동용 구속보호시이트(1)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이트부(2)와, 시이트백(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확실하게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시이트벨트 장치에 있어서의 결합장치의 결합위치 조절장치에 의하며, 시이트벨트장치의 결합장치의 결합위치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를 차량의 시이트에 고정하기 위하여 결합장치를 결합했을 때, 결합장치가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의 모서리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오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의 폭과 차량시이트의 폭이 크게 다른 경우에도 유아용 구속보호시이트를 안정된 상태로 확실하게 차량 시이트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