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专利库 / 人工智能 / 多模态界面 / 멀티-모드 이동 단말을 위한 일관성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

멀티-모드 이동 단말을 위한 일관성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

阅读:756发布:2020-08-25

专利汇可以提供멀티-모드 이동 단말을 위한 일관성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专利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的服务。并且A multi-mode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offering a consistent user interface thereon are provided to offer a consistent, for example, a single mode, user interface in each operation mode available on the multi-mode mobile terminal. While a multi-mode mobile terminal is operated in a first mode, the multi-mode mobile terminal receives an indication of predetermined user interface interaction(40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ulti-mode terminal is in a first call stat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indication(404). A candidate message is selected based on the user interface interaction, wherein the candidate message corresponds to operation of the multi-mode mobile terminal in a second mode(406). The candidate message is converted into one or more first-mode messages(412). The first mod messages are transmitted to a switching center(410).,下面是멀티-모드 이동 단말을 위한 일관성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专利的具体信息内容。

  • 멀티 모드 이동 단말에서 일관성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1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상호작용 표시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멀티 모드 단말이 제1 콜 상태에 있음을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에 기초해서 후보 메시지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후보 메시지는 제2 모드에서 상기 멀티 모드 이동 단말의 동작에 대응하는 것인 상기 후보 메시지 선택 단계와,
    상기 후보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제1 모드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모드 메시지를 스위칭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 모드 이동 단말에서 일관성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모드 메시지는 상기 멀티 모드 이동 단말에서 상기 제1 콜 상태에서 제2 콜 상태로의 전이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스위칭 센터를 트리거하는 것인 멀티 모드 이동 단말에서 일관성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GSM 모드인 것인 멀티 모드 이동 단말에서 일관성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는 CDMA 모드인 것인 멀티 모드 이동 단말에서 일관성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은 키 누름인 것인 멀티 모드 이동 단말에서 일관성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SEND' 키인 것인 멀티 모드 이동 단말에서 일관성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상기 멀티 모드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가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소프트 키인 것인 멀티 모드 이동 단말에서 일관성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은 상기 멀티 모드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가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메뉴 항목 의 선택인 것인 멀티 모드 이동 단말에서 일관성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메지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모드와 연관된 복수의 메시지 중에서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멀티 모드 이동 단말에서 일관성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콜 상태는 아이들(유휴) 상태, 단일 사용자 콜 활성 상태, 단일 사용자 콜 상태 및 단일 사용자 콜 대기 상태, 단일 사용자 콜 대기 상태, 단일 가입자 콜 대기 및 단일 가입자 콜 활성 상태, 멀티 가입자 콜 활성 상태, 또는 다자간 콜 활성 및 단일 사용자 콜 대기 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멀티 모드 이동 단말에서 일관성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 멀티 모드 이동 단말로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멀티 모드 이동 단말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멀티 모드 이동 단말.
  • 컴퓨팅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说明书全文

    멀티-모드 이동 단말을 위한 일관성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CONSISTENT USER INTERFACE FOR MULTI-MODE MOBILE TERMINALS}

    본 발명은 대체로 멀티모드 이동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이와 같은 멀티모드 이동 단말의 일관성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인 이동 전화 표준 방식의 개발에서, 세계 각 지역마다 상이한 표준이 채택되어 왔다. 이와 같이, 홈 및 직장에서 (예를 들어, 미국에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라 불리는 디지털 이동 전화 표준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 이동 전화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로컬 네트워크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이라 불리는 디지털 이동 전화 표준 방식만을 이용하는 지역에서 이동하고 있을 동안에는, CDMA 이동 단말 상에서 전화 서비스를 받을 수 없을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몇몇 이동 단말 제조사들은 듀얼-모드 CDMA/GSM 이동 단말을 개발했다. 유익하게도, 이와 같은 듀얼-모드 이동 단말들은, 예를 들어 홈 및 직장에서는 CDMA 모드로 동작하고, 예를 들어 GSM 네트워크에 의해 서비스받는 지역을 이동 중일 때에는 GSM 모드로 동작하 도록 재구성될 수 있다.

    CDMA 모드와 GSM 모드 사이에는 차이점들이 있기 때문에, 콜(통화) 대기(Call Waiting) 기능을 이용하여 제2 콜을 수락하는 것과 같은 행위를 위해, 이와 같은 듀얼-모드 이동 단말의 사용자는 그 모드들 각각에서 이동 단말의 사용법을 익힐 것이 요구된다. CDMA-서비스 지역 내의 듀얼 모드 전화기의 사용자가 네트워크 시간의 95%를 CDMA 홈 영역에서 보내고, 시간의 5%만 GSM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그 사용자는 GSM 네트워크의 다양한 특징들을 이용하기 위해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을 익히는데 시간을 할애하기를 꺼릴 것이다. 따라서, 그 사용자는 GSM 지역에 있을 때 이동 단말이 상이하게 동작하게 되면 좌절감을 느낄 것이다.

    홈(CDMA) 네트워크의 서비스 공급자 관점에서, 그 서비스 공급자가 로밍 계약을 맺은 GSM 네트워크에 의해 서비스받는 지역에서 고객이 로밍중에 있을 때, 그 고객이 GSM 네트워크에 이용가능한 기능 세트가 CDMA 네트워크에서 이용가능한 기능 세트보다 더 풍부하다고 알게끔 하는 것은 단점인 것으로서 고려될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만일 그 고객의 홈 영역이 GSM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경쟁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서비스받는 지역이라면, 특히 중요하다.

    일관성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멀티모드 이동 단말이 제1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 멀티모드 이동 단말로 하여금 마치 제2 모드에서 기능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1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호작용 표시의 수신에 응답하여, 멀티-모드 이동 단말은 콜 상태를 판정할 것이다.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 및 콜 상태에 기초하여, 멀티-모드 이동 단말은 제2 모드의 멀티-모드 이동 단말의 동작에 대응하는 후보 메시지를 선택한다. 그 다음, 멀티-모드 이동 단말은 그 후보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제1 모드 메시지로 변환하고, 그 하나 이상의 제1 모드 메시지를 제2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의 MSC에게 전송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멀티-모드 단말에서의 일관성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제1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 표시를 수신하고, 그 수신에 응답하여 멀티-모드 단말이 제1 콜 상태에 있다고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 및 제1 콜 상태에 기초하여 후보 메시지를 선택하는 단계로서, 상기 후보 메시지는 제2 모드에서의 멀티-모드 단말의 동작에 대응하는 것인, 상기 후보 메시지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후보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제1 모드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모드 메시지를 스위칭 센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멀티-모드 단말이 제공되며, 멀티-모드 단말 내의 프로세서가 이러한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특징들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검토하면 당업자에게는 명백해 질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로서 도시하고 있는 도면들을 참조할 것이다.

    멀티 모드 이동 단말에서 가용한 각각의 동작 모드에서 일관성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과거 한때에는 전화 통화를 하고 있는 동안 제2의 통화를 받을 수 없었다. 제2 통화를 시도한 발신자는, 그 제2 통화의 의도한 목적지의 전화가 이미 통화중에 있어서, 그 제2 통화를 받을 여력이 없다는 것을 표시하는 "통화중(비지) 신호"를 받을 것이다.

    1970년대 및 1980년대에 전자 전화 교환기의 출현과 컴퓨터화로 인해, 새로운 네트워크 서비스들이 이용가능하게 되었다. 그 새로운 네트워크 서비스들은 "통화 중 대기" 및 "3자간 통화"라 알려진 서비스들이었다. 그 당시의 전화 서비스로 구현되는 것으로서, "통화 중 대기" 및 "3자간 통화"는 전화 사용자에 의한 간단한 조치에 의존하였다. 그 간단한 조치는 전화 상에서 후크 스위치를 신속하게 누르는 것이다. 전화의 후크 스위치는 기계적 스위치이며, 그 스위치의 상태는 전화 회선이 콜을 수신하는데 이용 가능한지("온 후크") 또는 콜을 수신하는데 이용불가능한지("오프 후크")를 전화 네트워크에 표시하는데 이용된다. 후크 스위치를 신속하게 누르거나 해제하는 행위는 전화 회선을 "플래시(flashing)"하는 것이다.

    제1 전화 콜 동안에, 착신 가입자(called party)는 입중계 제2 콜의 오디오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콜 대기 네트워크 기능(Call Waiting network feature)을 이용하여 제2 콜에 응답하기 위해, 착신 가입자는 단지 회선을 플래시하며, 네트워 크는 효과적으로 제1 콜을 대기(온 홀드) 상태로 두며, 제2 콜을 착신 가입자의 전화 회선에 접속시킨다. 제1 콜을 재접속시켜 제2 콜을 대기 상태에 두기 위하여, 착신 가입자는 다시 한번 회선을 플래시할 수 있다.

    CDMA라 불리는 디지털 이동 전화 표준 방식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플래시 개념은 콜 대기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한 많은 네트워크 기능들에 대하여 유지되어 왔다. 그러나, 이동 전화는 통상적으로 후크 스위치 보다는 "SEND" 또는 "TALK" 키 및 "END" 키를 가짐으로써 각각 이동 전화 네트워크 기지국과의 통신 채널을 설정 및 해제시킨다. 따라서, CDMA 표준 방식은 플래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SEND 키의 누름을 처리하도록 설계되었다. 이와 같이, 착신 가입자는 CDMA 전화 콜에 참여하고 있는 동안, 네트워크가 착신 가입자의 이동 단말에 제2 콜을 접속할 준비가 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착신 가입자가 SEND 키를 눌렀다는 표시의 수신에 응답하여, 네트워크는 제1 콜을 대기 상태에 두고 제2 콜을 이동 단말에 접속시킨다. 그 후, 착신 가입자는 SEND 키를 누름으로써 제1 콜과 제2 콜 사이를 토글링할 수 있다.

    또 다른 응용에서는, 발신 가입자가 CDMA 이동 단말 키패드를 이용하여, 의도된 3자간 전화 회의에서의 제1 가입자에 대한 수신지 번호를 표시하고 SEND 키를 누를 수 있다. 일단 제1 가입자 당사자에 접속되면, 발신 가입자는 3자간 전화 회의에서의 제2 가입자에 대한 수신지 번호를 표시하고 SEND 키를 누를 수 있다(숫자를 이용하여 플래시함). SEND 키의 이러한 누름은 제1 가입자 대기 상태에 두고 제2 가입자에 대한 콜을 개시한다. 제2 가입자에 대한 접속이 일단 성립되었다면, 발 신 가입자는 SEND 키를 눌러(플래시하여) 세 가입자 모두 간의 3자간 통화를 성립시킬 수 있다.

    CDMA 콜 동안에 이용가능한 옵션들과는 대조적으로, 보다 많은 옵션 세트가, GSM이라 불리는 디지털 이동 전화 표준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사용자에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GSM 이동 단말에서 제1 가입자와 콜에 참여하는 동안, 제2 입중계 콜을 통지받을 수 있다. GSM 이동 단말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제2 콜을 "수락"한다는 옵션, 제2 콜을 "거절" 또는 제2 콜을 "무시"한다는 옵션들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소프트 키"의 누름 선택들 중에서 한 선택을 표시할 수 있는데, 여기서, 소프트 키는 다른 액션들에 매핑될 수 있는 디바이스 상의 키이다. 매핑은 통상적으로 애플리케이션과, 이 애플리케이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에 의존한다. 또한, 전화 통화는 세 가입자보다 많은 가입자들 간에 성립될 수 있고, GSM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전화 통화 배치기(arranger)가 참여자들 중 한 참여자와의 개인 통화를 위하여 전화 회의를 대기 상태에 둘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제2 콜에 응답하거나 전화 회의를 성립시키기 위해 네트워크에 시그널링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취해지는 액션들은 GSM 이동 단말과 CDMA 이동 단말이 서로 다르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이한 표준 방식에 대해서 서로 상이하다.

    도 1a는 제1 모드에서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의 동작에 대한 예증의 네트워크 환경의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제2 모드에서의 멀티 모드 이동 단말(101)의 동작에 대한 예시적인 네트워크 환경(100)의 동일한 구성요소들이 도 1b에 도시 되어 있다. 예시적인 네트워크 환경(100)의 구성요소들은 다중 무선 반송파 네트워크 및 전화 및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108)를 포함하며, 이 네트워크(108)는 현재의 인터넷 또는 차세대(successor) 네트워크와 같은 하나 이상의 광역 네트워크(WAN) 뿐만 아니라, 복수의 근거리 네트워크(LAN) 및 공중 전화 교환망(PSTN)도 고려될 수 있다. 멀티 모드 이동 단말(101)이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제1 기지국 안테나(102A)가 제1 기지국 서브시스템(104A)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1 기지국 서브시스템(104A)은 제1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A)에 접속한다. 부분적으로, MSC(Mobile-services Switching Center;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를 포함할 수 있는 제1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A)은 전화 및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108)에 접속된다.

    또한, 전화 및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108)는 부분적으로, MSC를 포함할 수 있는 제2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B)에 접속된다. 제2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B)은 제1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A)이 동작하는 디지털 이동 전화 표준과는 별개인 디지털 이동 전화 표준에 따라 동작한다. 제2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B)은 제2 기지국 안테나(102B)를 이용하여 제2 기지국 서브시스템(104B)에 접속한다. 제2 기지국 안테나(102B)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 모드 이동 단말(101)의 동작 모드가 제2 기지국 서브시스템(104B)의 동작 모드와 매칭하도록 스위칭되었을 경우, 제2 기지국 서브시스템(104B)으로 하여금 멀티 모드 이동 단말(101)과 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도 2는 하우징, 입력 디바이스(키보드(224)) 및 바람직하게는 풀그래픽 또는 풀컬러 액정 디스플레이(LCD)인 출력 디바이스(디스플레이(226))를 포함한 멀티 모드 이동 단말(101)을 나타낸다. 다른 유형의 출력 디바이스가 다른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처리 장치(마이크로프로세서(228))가 키보드(224)와 디스플레이(226)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28)는 사용자에 의한 키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226) 뿐만 아니라 멀티 모드 이동 단말(10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하우징은 수직 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태일 수 있으며, (클램쉘(clamshell)형 하우징 구조를 포함한) 다른 형태와 크기를 취할 수 있다. 키보드는 텍스트 입력 및 전화 입력 간의 전환을 위하여, 모드 선택 키, 또는 다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28)에 더하여, 멀티 모드 이동단말(101)의 다른 부분들이 도 2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것은 플래쉬 메모리(216)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218)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와 기타 다양한 장치 서브시스템(220)뿐만이 아니라, 보조 I/O장치(206), 시리얼 포트(208), 스피커(211) 및 마이크로폰(212) 세트를 포함하는 기타 입/출력 장치와 더불어, CDMA 통신 서브시스템(202C); GSM 통신 서브시스템(202G);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204); 키보드(224) 및 디스플레이(226)를 포함한다. 멀티 모드 이동단말(101)는 멀티 모드 이동단말(101)의 능동소자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배터리(222)를 가질 수 있다. 멀티 모드 이동단말(101)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성능을 구비한 양방향 무선 주파수(RF) 통신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멀티 모드 이동단말(101)는 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 시스템 과 통신하는 성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프로세서(228)에 의해 실행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플래쉬 메모리(216)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ROM(read only memory) 또는 유사 저장소자와 같은 다른 유형의 메모리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특정 장치 애플리케이션, 또는 이들의 일부가 RAM(218)과 같은 휘발성 저장 장치내로 임시적으로 로딩될 수도 있다. 이동장치에 의해 수신된 통신 신호는 또한 RAM(218)에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28)는 자체 오퍼레이팅 시스템 기능에 더하여, 멀티 모드 이동단말(101)상에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도록 해준다. 음성 통신 모듈(230A) 및 데이터 통신 모듈(230B)과 같은 기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세트는 제조과정 동안에 멀티 모드 이동단말(101)상에 인스톨될 수 있다. 멀티 모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230C)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모습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조과정 동안에 멀티 모드 이동단말(101)상에 인스톨될 수 있다. 또한, 기타 소프트웨어 모듈(230N)(예컨데, 개인 정보 관리자(PIM)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로서 도시된 추가 소프트웨어 모듈이 제조과정 동안에 인스톨될 수 있다. PIM 애플리케이션은 이메일 메세지, 칼렌더 이벤트, 음성 메일 메세지, 약속, 및 업무 아이템과 같은 데이터 아이템을 조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PIM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무선 반송파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아이템을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PIM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 아이템은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과 연계되어 저장된 장치 사용자의 대응하는 데이터 아이템과 함께 무선 반송파 네트워크를 통해 연속적으로 통합되고, 동기화되고, 업데이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및 음성 통신을 포함하는 통신 기능은 CDMA 통신 서브시스템(202C), GSM 통신 서브시스템(202G), 및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204)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서브시스템들(202C, 202G)의 예시로서의 CDMA 통신 서브시스템(202C)은 수신기(350), 송신기(352) 및 수신 안테나(354)와 송신 안테나(356)으로서 도시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게다가, CDMA 통신 서브시스템(202C)은 또한 디지탈 신호 프로세서(DSP)(358)와 같은 프로세싱 모듈, 및 로컬 오실레이터(LO)(360)를 포함한다. 유사 통신 서브시스템의 특정 설계 및 구현은 멀티 모드 이동단말(101)이 동작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통신 서브시스템은 Mobitex™, DataTAC™, 또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이동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또한 개선된 이동 전화 서비스(AMPS), 시분할 멀티 액세스(TDMA), CDMA, 개인 통신 서비스(PCS), GSM 등과 같은 임의의 다양한 음성 통신 네트워크와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데이터 및 음성 네트워크의 다른 유형이 통합 또는 분리된 형태로, 멀티 모드 이동단말(101)와 함께 이용될 수도 있다.

    요청된 네트워크 등록 또는 작동 절차가 완료되면, 멀티 모드 이동단말(101)는 무선 캐리어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멀티 모드 이동단말(101)가 제1 기지국 안테나(102A)와 관련된 CDMA 모드에서 작동하면, 수신 안테 나(354)에 의해 제1 기지국 안테나(102A)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신호 증폭, 주파수 다운 변환, 필터링, 채널 선택 등을 제공하고 또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을 제공하는 수신기(350)로 전달된다. 수신 신호의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은 DSP(358)로 하여금 복조 및 디코딩과 같은 보다 복잡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준다. 이와 유사하게, 기지국 안테나(102A)로 송신되는 신호는 DSP(358)에 의해 처리되고(예컨대, 변조 및 인코딩처리), 그런 다음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주파수 업 변환, 필터링, 증폭 및 송신 안테나(356)를 통한 제1 기지국 안테나(102A)로의 송신을 위해 송신기(352)에 제공된다.

    통신 신호 처리에 더하여, DSP(358)는 수신기(350) 및 송신기(352)의 제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350) 및 송신기(352)에서 통신 신호에 인가된 이득은 DSP(358)에서 구현되는 자동 이득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적응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SMS 메세지 또는 웹 페이지 다운로드와 같은 수신 신호는 CDMA 통신 서브시스템(202C)에 의해 처리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228)에 입력된다. 그런 다음, 수신 신호는 디스플레이(226)로의 출력, 또는 이와 달리 기타 일부 보조 I/O 장치(206)로의 출력의 준비를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228)에 의해 한번 더 처리된다. 장치 사용자는 또한 이메일 메세지 또는 SMS 메세지와 같은 데이터 아이템을 키보드(224) 및/또는 터치패드, 로커 스위치, 썸 휠, 또는 기타 다른 유형의 입력 장치와 같은 기타 보조 I/O 장치(206)를 이용하여 작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작성된 데이터 아이템은 CDMA 통신 서브시스템(202C)을 통해 기지국 안테 나(102A)에 송신될 수 있다.

    음성 통신 모드에서, 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은 수신 신호가 스피커(211)로 출력될 수 있고, 송신용 신호가 마이크로폰(212)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것만 제외하고, 사실상 데이터 통신 모드와 유사하다. 음성 메세지 기록 서브시스템과 같은 대체적 음성 또는 오디오 I/O 서브시스템이 또한 멀티 모드 이동단말(101)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송신측의 신원내용, 음성 콜신호 기간, 또는 정보 관련 기타 음성 콜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226)가 음성 통신 모드에서 이용될 수도 있다.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204)은 멀티 모드 이동단말(101)와 기타 근접한 시스템 또는 장치(반드시 유사 장치일 필요는 없다)간의 통신을 가능케 해준다. 예를 들어,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204)은 유사하게 인에이블된 시스템 및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적외선 장치 및 연관된 회로와 컴포넌트들, 또는 Bluetooth TM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개괄적으로, 멀티모드 이동 단말 상에서 이용가능한 동작의 각 모드에 있어서 일관성 있는(즉, 단일 모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동 단말이 제1 모드(예를 들어, GSM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 제2 모드(예를 들어, CDMA 모드)에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양태가 이동 단말에 의해 에뮬레이션(emulate)된다.

    이러한 에뮬레이션(emultation)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 고려하기 전에, 어 느 것이 에뮬레이션되어야 할지 고려하는 것이 유용하다. 간단하게, 어느 것이 에뮬레이션될 예정인지는,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의 표시의, 마이크로프로세서(228)에 의한 수신, 및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이동 서비스 교환 센터로의 메시지 전송의, 마이크로프로세서(228)에 의한 합의(arrangement)와 관련된다. 메시지의 특성 및 이동 서비스 교환 센터로의 메시지 전송의 결과는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의 "콜 상태" 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동작시,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의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멀티모드 이동 단말은 콜 상태를 판정한다. 상기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 및 콜 상태에 기초하여, 멀티모드 이동 단말은 제2 모드에서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의 동작에 대응하는 후보 메시지를 선택한다. 그 다음 멀티모드 이동 단말은 후보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제1 모드 메시지로 변환하고, 하나 이상의 제1 모드 메시지를 제2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B)에서 MSC로 전송한다.

    이제, 사용자 "A", 사용자 "B" 및 사용자 "C"를 수반하는 CDMA 모드 콜 대기(Call Waiting) 시나리오를 고려하자. 시나리오가 시작함에 따라, 사용자 A는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와 제1 기지국 서브시스템(104A) 사이의 무선 통신 채널을 사용하여 활성 콜 상태로 사용자 B에 접속된다. 그 다음 사용자 C가 사용자 A에게 call한다. 사용자 A는 사용자 C로부터의 인입 콜의 표시를 수신한다. 표시는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의 디스플레이(226) 상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표시는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의 스피커(210) 상에 제공되는 콜 대기 신호음(Call Waiting Tone)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사용자 A는 콜 대기 표시를 수동으로 무시할 수 있거나, 또는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와 상호작용하여 사용자 C로부터의 콜에 답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무시하는 경우),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로부터 제1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A)에서 MSC에 아무것도 전송되지 않는다. 후자의 경우(답하는 경우),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의 마이크로프로세서(22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의 표시를 수신하고,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가 "하나의 콜은 활성, 하나의 콜은 대기" 콜 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플래시(Flash) 동작을 호출함으로써, 제1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A)에서 MSC로의 플래시 CDMA 메시지의 전송을 준비한다.

    사용자 C로부터의 콜에 답하기 위한 사용자 A의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와의 상호작용은 사용자 A가 키보드(224) 상의 키, 예를 들어, SEND 키, 또는 "ANSWER" 키를 누르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대안으로,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의 디스플레이(226) 상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단어 "플래시" 및 소프트 키 사이의 연관을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 C로부터의 콜에 답하기 위한 사용자 A의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와의 상호작용은 사용자 A가 소프트 키를 누르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더 대안으로, 사용자 C로부터의 콜에 답하기 위한 사용자 A의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와의 상호작용은 메뉴가 디스플레이(226) 상에 보이도록, 사용자 A가 터치패드, 로커 스위치, 썸휠, 또는 일부 기타 유형의 입력 디바이스와 같은 보조 I/O 디바이스(206)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A는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의 디스플레이(226) 상에 제시된 메뉴로부터 메누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를 채용할 수 있다.

    플래시 CDMA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A)에서 MSC는 사용자 A와 사용자 B 사이의 콜을 대기 상태(On Hold)로 두고, 사용자 A와 사용자 C 사이의 콜을 접속, 즉 "활성(Active)" 상태로 한다.

    사용자 A가 사용자 C와의 콜에 접속되고 사용자 B가 대기 상태이면, 사용자 A는 사용자 B와 재접속하도록 토글링할 수 있고, 사용자 C를 대기 상태에 둘 수 있다. 이러한 토글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 A는 SEND 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단어 "플래시"와 연관된 소프트 키를 누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2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의 표시를 수신하고,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가 "하나의 콜은 활성, 하나의 콜은 대기" 콜 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플래시(Flash) 동작을 호출함으로써, 제1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A)에서 MSC로의 플래시 CDMA 메시지의 전송을 준비한다.

    프래시 CDMA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A)에서 MSC는 사용자 A와 사용자 C 사이의 콜을 대기 상태에 두고, 사용자 A와 사용자 B 사이의 콜에 재접속, 즉 활성 상태로 한다.

    동일한 세 명의 사용자를 포함하고, 사용자 A가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과 제2 기지국 서브시스템(104B) 사이의 무선 통신 채널을 사용하여 활성 콜 상태로 사용자 B에 접속된 GSM 모드의 콜 대기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C는 사용자 A에게 콜 한다. 사용자 A는 사용자 C로부터의 입중계 콜의 표시를 수신한다. 표시는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의 디스플레이(226) 상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표시는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의 스피커(210) 상에 제공되는 콜 대기 신호음(Call Waiting Tone)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사용자 A는 콜 대기 표시를 수동으로 무시할 수 있거나, 또는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와 상호작용하여 사용자 C로부터의 콜에 답할 수 있다. www.3gpp.org로부터 입수가능한 제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TM ) 기술 명세 그룹 서비스 및 시스템 양태의 4.5.5.2절; Man-Machine Interface(MMI) of the Mobile Station(MS); Service description, Stage 1(rRelease 1998) standard TS 02.30 V7.1.1에 따르면, 현재 콜을 대기 상태에 두고 대기 콜을 수락하기(답하기) 위해, 사용자 A는 2 키를 누르고 이어서 미리 설정된 만료 시간 내에 SEND 키를 누른다. 마찬가지로, 현재 콜을 끝내고 대기 콜을 수락하기 위해, 사용자 A는 1 키를 누르고 이어서 미리 설정된 만료 시간 내에 SEND 키를 누른다. 대기 콜을 적극적으로 무시하기 위해, 사용자 A는 0키를 누르고 이어서 미리 설정된 만료 시간 내에 SEND 키를 누른다.

    수락의 경우,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의 마이크로프로세서(22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의 표시를 수신하고,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이 "하나의 콜 활성, 하나의 콜 대기" 콜 상태에 있음을 판정하고, 제2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 템(106B)에서 MSC에 대한 "2, SEND" 메시지의 전송을 정렬한다.

    사용자(C)로부터의 콜에 응답하기 위해 멀티 모드 이동 단말(101)와 사용자(A)의 상호작용은, 사용자(A)가 키보드(224)상의 키(예컨대, 전송 키 또는 응답 키)를 누르는 것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멀티 모드 이동 단말(101)의 디스플레이(226) 상에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응답 - 활성 콜 대기로 둠" 구문을 갖는 버튼을 포함하는 다이얼로그를 제공하고, 사용자(C)로부터의 콜에 응답하기 위해 멀티 모드 이동 단말(101)와 사용자(A)의 상호작용은, 사용자(A)가 버튼의 선택을 지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2, 전송"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2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B)에서 MSC는 사용자(A)와 사용자(B) 사이의 콜을 대기 상태로 두고, 사용자(A)와 사용자(C) 사이에 콜을 접속한다(즉, 활성화시킴).

    일단 사용자(A)가 사용자(C)에 접속되면(즉, 콜 상태에 있으면), 사용자(B)는 대기되고, 사용자(A)는 사용자(B)에 재접속하기 위해 토글링되고, 사용자(C)는 대기 상태에 둔다. 이러한 토글링들 달성하기 위해서, 사용자(A)는 전송 키에 이어서 2개의 키를 누른다. 이러한 사용자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2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의 지시를 수신하고, 멀티 모드 이동 단말(101)는 "하나의 콜은 활성, 다른 하나의 콜은 대기" 콜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제2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B)에서, MSC에 "2, 전송" 메시지의 전송을 정렬한다.

    "2, 전송"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2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B) 에서 MSC는 사용자(A)와 사용자(B) 사이의 콜을 대기 상태로 두고, 사용자(A)와 사용자(C) 사이에 콜을 접속한다(즉, 활성화시킴).

    에뮬레이트하기 위해서, 특정한 콜 대기 예에서, CDMA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멀티 모드 이동 단말(101)이 GSM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의 지시(예를 들어, 전송 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용어 "플래시"와 연관된 소프트키를 누름)를 수신한다. 이러한 사용자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28)는 멀티 모드 이동 단말(101)가 "사용자(B)와의 콜 활성, 사용자(C)로부터의 콜 대기" 콜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플래시 동작을 호출한다. 그러나, 플래시 CDMA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정렬하는 대신에, 플래시 동작의 호출은 제2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B)에서, MSC에 "2,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2, 전송"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2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B)에서 MSC는 사용자(A)와 사용자(B) 사이의 콜을 대기 상태로 두고, 사용자(A)와 사용자(C) 사이에 콜을 접속한다(즉, 활성화시킴).

    에뮬레이트하기 위해서, 콜 토글링 예에서, 멀티 모드 이동 단말(101)이 GSM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의 CDMA 사용자 인터페이스, 마이크로프로세서(228)는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의 지시(예를 들어, 전송 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용어 "플래시"와 연관된 소프트키를 누름)를 수신한다. 이러한 사용자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28)는 멀티 모드 이동 단말(101)가 "사용자(C)와의 콜 활성, 사용자(B)로부터의 콜 대기" 콜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플 래시 동작을 호출한다. 그러나, 플래시 CDMA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정렬하는 대신에, 플래시 동작의 호출은 제2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B)에서, MSC에 "2,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2, 전송"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2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B)에서 MSC는 사용자(A)와 사용자(C) 사이의 콜을 대기 상태로 두고, 사용자(A)와 사용자(B) 사이에 콜을 접속한다(즉, 활성화시킴).

    이제, 사용자(A), 사용자(B), 사용자(C)를 포함하는 CDMA 모드 멀티 가입자 콜 구축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이 시나리오가 시작할 때, 사용자(A)는 활성 콜로 사용자(B)에 접속된다. 사용자(A)가 사용자(C)를 원하여 사용자(B)와 함께 콜을 연결시키면, 그로써 멀티 가입자 콜을 구축한다.

    CDMA 모드에서, 사용자(A)는 우선 전송 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용어 "플래시"와 연관된 소프트키를 누르고, 그리고 나서 사용자(C)의 목적지 번호를 입력하고, 전송 키를 누르며, 구축될 사용자(C)와의 콜을 대기하고, 전송 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용어 "플래시"와 연관된 소프트키를 다시 누름으로써, 사용자(B) 및 사용자(C)와 함께 멀티 가입자 콜을 구축할 수 있다. 전송 키의 첫번째 누름은 플래시 동작을 호출하게 되고, 그 후에 제1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A)에서 MSC에 제1 플래시 CDMA 메시지의 전송을 호출하게 된다. 사용자(C)의 목적지 번호가 전송 키를 두번째 누르기 전에 입력된 경우, 플래시 동작은 제1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A)에서 MSC에 "플래시 플러스 인포" CDMA 메시지의 전송을 정렬한다. 전송 키를 마지막 누르는 것은, 플래시 동작을 호출하게 되고, 그 후에 제1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A)에서 MSC에 제2 플래시 CDMA 메시지의 전송을 호출하게 된다.

    제1 플래시 CDMA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A)에서 MSC는 사용자(A)와 사용자(B) 사이의 콜을 대기 상태로 둔다. 플래시 플러스 인포 CDMA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A)에서 MSC는 사용자(A)와 사용자(C) 사이에 콜을 구축한다. 제2 플래시 CDMA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A)에서 MSC는 사용자(A)와 사용자(B) 사이의 콜을 대기 상태로 연결하고, 사용자(A)와 사용자(C) 사이의 콜을 활성 상태로 연결하여, 사용자(A), 사용자(B), 및 사용자(C) 사이에 멀티 파티 콜을 구축한다.

    GSM 모드에서, 사용자(A)는 사용자(C)의 목적지 번호를 입력하고, 전송 키를 누르며, 구축될 사용자(C)와의 콜을 대기하고, 3 키를 누르고, 전송 키를 다시 누름으로써, 사용자(B) 및 사용자(C)와 함께 멀티 파티 콜을 구축할 수 있다. 전송 키의 첫번째 누름은 제2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B)에서 MSC에 "수신지 번호 플러스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게 한다. 전송 키의 마지막 누름은 제2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B)에서 MSC에 "3,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게 한다.

    "수신지 번호 플러스 전송"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2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B)에서 MSC는 우선 사용자(A)와 사용자(B) 사이의 콜을 대기 상태로 두고, 그리고 나서 사용자(A)와 사용자 C 사이의 콜을 구축한다. "3, SEND"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제2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b)의 MSC는 사용자 A와 사용자 B 사이의 대기 상태의 콜을 사용자 A와 사용자 C 사이의 활성 상태의 콜에 연결함으로써, 사용자 A, 사용자B, 및 사용자 C사이의 다자간 통화를 구축한다.

    에뮬레이션하기 위해, 특정 다자간 통화(Multi Party Call)의 예에서,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이 GSM 모드로 동작할 때, CDMA 사용자 인터페이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228)는, 예컨대, SEND 키를 누름 또는 착신번호 및 SEND 키 추가 누름이 후속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플래시"라는 단어와 연관된 소프트 키를 누름 등의 주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의 표시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28)는,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가 "사용자 B와 통화 활성"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플래시 동작을 호출한다. 그러나, 플래시 CDMA 메시지 및 플래시 플러스 인포 CDMA 메시지의 송신을 준비하기보다는, 플래시 동작 호출이 제2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b)의 MSC로의 "착신번호 플러스 SEND" 메시지의 송신을 일으킨다. 추가 SEND 키 누름 형태인 추가 사용자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플래시 동작은 제2 무선 통신 서브시스템(106b)의 MSC로의 "3, SEND" 메시지의 송신을 준비한다.

    "착신 번호 플러스 SEND"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제2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b)의 MSC는 우선 홀드 상태인 사용자 A와 사용자 B 사이에 콜을 연결한 다음, 사용자 A와 사용자 C 사이의 콜을 설정한다. "3, SEND"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제2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6b)의 MSC는 사용자 A와 사용자 B사이의 대기 상태의 콜을 사용자 A와 사용자 C 사이의 활성 콜로 연결하여, 사용자 A, 사용자B, 및 사용자 C 사이의 다자간 통화를 설립한다.

    도 4는 제1 모드 동안의 제2 모드 인터페이스를 에뮬레이션하는 예시의 방법의 단계들을 나타낸다.

    후속하는 예들을 위하여,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가 GSM 모드에서 동작하고, CDMA 모드 동작을 에뮬레이션하기 위해 본 발명의 형태들을 구현할 것을 고려한다. 초기에,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의 마이크로프로세서(228)는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의 표시를 수신한다(단계402). 예를 들어, 그 표시는 사용자가 SEND 키를 눌렀다는 정보를 포함한다.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의 표시 수신에 응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28)는 멀티-모드 이동 단말(101)의 콜 상태를 판단한다(단계 404). 예시의 콜 상태로는, 휴면상태, 단일 가입자 콜 활성 상태, 단일 가입자 콜 활성 및 양자간 콜 대기 상태, 단일 가입자 콜 홀드 상태, 단일 콜 홀드 상태 및 단일 가입자 콜 활성 상태, 다자간 콜 활성 상태, 다자간 콜 활성 상태 및 단일 가입자 콜 대기 상태가 있다.

    특정 콜 상태에 있는 멀티-모드 단말(101)에 기초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28)는 MSC에 전송할 대응 메시지를 선택하기(단계 406) 위해 주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의 표시를 번역한다. 이와 같은 선택은, 예를 들어, 표 기반일 수 있다. 즉, 각각의 모드의 각각의 통화 상태에 대하여, 멀티 모드 이동 단말(1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 이벤트와 MSC에 전송될 메시지 간의 대응표를 유지할 수 있다. 멀티-모드 이동 단말에 대한 통상적인 환경 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 이벤트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선택하도록 논의된 표는 멀티-모 드 이동 단말이 동작하는 모드와 연관된다. 그러나, 이동 단말이 제1 모드로 동작할 때 멀티-모드 이동 단말이 제2 모드를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측면들을 에뮬레이션하려는 경우, 전화 상태와 연관된 제2-모드 표는가 우선 참고되어야 한다. 메시지가 제2 -모드 표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경우,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에 대응하여, 선택 단계(단계406)가 완료된다. 그러나, 제2-모드 표에에서 대응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 메시지는 전화 상태와 연관된 제1-모드 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메시지 선택 후(단계406), 마이크로프로세서(228)는 메시지가 CDMA 메시지(즉, CDMA 표로부터의 메시지)인지 또는 GSM 메시지(즉, GSM 표로부터의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228)는 CDMA 메시지 에뮬레이션이 필요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28)가 메시지가 GSM 메시지라고 판단한다면(단계408), 에뮬레이션할 필요없고, 마이크로프로세서(228)는 MSC에 GSM 메시지를 송신할(단계 410) 준비를 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28)가 메시지가 CDMA 메시지라고 판단한다면(단계 408), 마이크로프로세서(228)는 CDMA 메시지를 1 이상의 대응 GSM 메시지로 변환한다(단계 412). 이와 같은 변환은 각각의 가능한 CDMA 메시지를 대응하는 GSM 메시지로 연관시키는 표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228)는 MSC로의 GSM 메시지 송신(단계 410)을 준비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들은 예시로서만 의도된 것이다. 수정, 변경, 및 변화가 당업자들에 의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달성될 수 있다.

    도 1a는, 제1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멀티-모드 이동 단말의 동작에 대한 예시적인 네트워크 환경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도면.

    도 1b는 제2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멀티-모드 이동 단말의 동작에 대한 예시적인 네트워크 환경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멀티-모드 이동 단말로서, CDMA 통신 서브시스템 및 GSM 통신 서브시스템을 갖는 멀티-모드 이동 단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CDMA 통신 서브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 제2 모드에 있는 동안 제1 모드 인터페이스를 에뮬레이팅하는 예시적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

    高效检索全球专利

    专利汇是专利免费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国家发明专利查询检索分析平台,是提供专利分析,专利查询,专利检索等数据服务功能的知识产权数据服务商。

    我们的产品包含105个国家的1.26亿组数据,免费查、免费专利分析。

    申请试用

    分析报告

    专利汇分析报告产品可以对行业情报数据进行梳理分析,涉及维度包括行业专利基本状况分析、地域分析、技术分析、发明人分析、申请人分析、专利权人分析、失效分析、核心专利分析、法律分析、研发重点分析、企业专利处境分析、技术处境分析、专利寿命分析、企业定位分析、引证分析等超过60个分析角度,系统通过AI智能系统对图表进行解读,只需1分钟,一键生成行业专利分析报告。

    申请试用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