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专利库 / 机场和地面运营 / 起降平台 / 특히 컨테이너들의 운송을 위한, 바닥에 바인딩되는 운송수단

특히 컨테이너들의 운송을 위한, 바닥에 바인딩되는 운송수단

阅读:59发布:2021-02-13

专利汇可以提供특히 컨테이너들의 운송을 위한, 바닥에 바인딩되는 운송수단专利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的服务。并且The invention relates to a floor-bound transportation vehicle (1) for the transportation of containers (5), with at least one lifting platform (7) which is arranged on a vehicle frame (8) of the transportation vehicle (1) and can be lifted from a lowered transportation position into a raised transfer position via a lifting drive (10) and, conversely, can be lowered. An improved platform with the picking up and putting down of the containers is achieved in that the lifting platform (7) is fastened on the vehicle frame (8) via at least one toggle lever (19a, 19b), the lifting platform (7) can be raised or can be lowered via the at least one toggle lever (19a, 19b), the lifting drive (10) acts on the at least one toggle lever (19a, 19b), and the lifting platform (7) is guided on the transportation vehicle (1) for the lifting and lowering movement.,下面是특히 컨테이너들의 운송을 위한, 바닥에 바인딩되는 운송수단专利的具体信息内容。

  • 컨테이너들(5)의 운송을 위한, 바닥에 바인딩되는 운송수단(1)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1)의 프레임(8)에 마련되어, 리프팅 구동장치(10)를 통해 낮아진 운송위치에서 상승된 이송위치로 상승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 하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승강대(7)를 구비하며,
    상기 리프팅 승강대(7)는 적어도 하나의 토글레버(19a,19b)를 매개로 상기 프레임(8)에 단단히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글레버(19a,19b)를 통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으며,
    상기 리프팅 구동장치(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글레버(19a,19b)를 구동하며, 상기 리프팅 승강대(7)는 상기 운송수단(1) 위에서 그 상승 및 하강 운동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1)의 이동방향(F)을 따라, 두 개의 토글레버들(19a,19b)이 상기 각 리프팅 승강대(7)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1)의 이동방향(F)을 따라, 제 1 토글레버(19a)가 상기 리프팅 승강대(7)의 앞 부분에 마련되고, 제 2 토글레버(19b)가 상기 리프팅 승강대(7)의 뒷 부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1)의 이동방향(F)으로 볼 때, 각 토글레버(19a,19b)는 상기 리프팅 승강대(7)의 폭의 절반 이상, 바람직하게 50% 이상, 특히 75% 이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토글레버(19,19a,19b)는 토글조인트(19e,19f)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 제 1 토글레버 암(19c,19d) 및 제 2 토글레버 암(19g,19h)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토글레버 암(19c,19d)은 상기 토글조인트(19e,19f)로부터 멀리 떨어진 자신의 말단에서 하부 축(21a,21b)을 매개로 상기 프레임(8)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토글레버 암(19g,19h)는 상기 토글조인트(19e,19f)로부터 멀리 떨어진 자신의 말단에서 상부 축(20a,20b)을 매개로 상기 리프팅 테이블(7)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축들(21a,21b), 힌지와 같은 상기 토글조인트들(19e,19f)의 축들 및 상기 상부 축들(20a,20b)은 서로 평행하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토글레버들(19,19a,19b)은 상기 리프팅 승강대(7)와 프레임(8)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리프팅 승강대(7)가 이송위치로부터 휴면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토글조인트들(19e,19f)이 서로를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승강대(7)는 상기 프레임(8)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제어암(22a,22b)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길이방향 제어암(22a,22b)은 자신의 제 1 말단(23a,23b)에서 제 1 축(24a)을 매개로 상기 리프팅 승강대(7)에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자신의 반대편 제 2 말단(24a,24b)에서 제 2 축(24b)을 매개로 상기 프레임(8)에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24a) 및 제 2 축(24b)은 서로 평행하게 회전하며, 상기 하부 축들(21a,21b), 힌지와 같은 상기 토글조인트들(19e,19f)의 축들 및 상기 상부 축들(20a,20b)과 평행하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제어암(22a,22b)은, 상기 운송수단(1)의 이동방향(F)으로 볼 때, 상기 리프팅 승강대(7)의 왼쪽 및 오른쪽 옆에 마련되며, 서로 평행하게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1)의 이동방향(F)으로 볼 때, 두 개의 리프팅 승강대(7a,7b)가 서로 간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하나 바로 뒤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승강대들(7a,7b)은, 상기 운송수단(1)의 이동방향(F)으로 볼 때, 각각이 20피트(feet)의 컨테이너를 수용할 수 있는 치수를 갖거나, 또는 두 개의 리프팅 승강대(7a,7b)가 함께 40피트 또는 45피트의 컨테이너를 수용할 수 있는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구동장치(10)는 작동스크류 드라이브(16a,16b)를 매개로 상기 토글레버(19a,19b)를 구동하도록 상기 운송수단(1)에 마련되는 구동모터(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 제 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구동장치(10)는 트랜스미션(12) 및 두 개의 작동스크류 드라이브(16a,16b)를 매개로 상기 두 개의 토글레버(19a,19b)를 구동하도록 상기 운송수단(1)에 마련되는 구동모터(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
  • 说明书全文

    특히 컨테이너들의 운송을 위한, 바닥에 바인딩되는 운송수단{FLOOR-BOUND TRANSPORTATION VEHICLE, IN PARTICULAR FOR THE TRANSPORTATION OF CONTAINERS}

    본 발명은 바닥에 바인딩되는(floor-bound) 운송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컨테이너들의 운송을 위한 것이며, 리프팅 구동장치(lifting drive)를 통해 낮은 운송위치로부터 상승된 이송위치로 들어 올려지거나 반대로, 아래로 내려질 수 있도록 상기 운송수단의 프레임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승강대(lifting platform)를 구비한다.

    배에 컨테이너들을 싣거나 내리기 위한 시스템은 이미 유럽등록특허 EP 0302569 B1을 통해 알려져 있다. 상기 시스템은 부두(dock)에 단단히 정박된 컨테이너 선박에 짐을 싣거나 내리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crane)을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들은 상기 크레인들을 통해 운송수단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거나 상기 운송수단에 내려놓아 진다. 상기 운송수단은 레일들(rails)을 이용하지 않고 부두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제어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된다. 상기 컨테이너는 이송 스테이션에서 상기 운송수단으로부터 내려지거나 들어 올려진다. 기본적으로 상기 이송 스테이션은 고정된 지지 테이블들로 구성되며, 상기 컨테이너들은 상기 지지 테이블들 위에 내려놓아 지거나 상기 지지 테이블들로부터 들어 올려진다. 상기 지지 테이블들은 지지암(support arm)의 형태를 가지며, 그 세로측 영역의 아래에서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한다. 따라서 마주보도록 놓여진 지지 테이블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컨테이너의 폭보다 더 좁게 된다.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지지 테이블에 내려놓거나 그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운송수단은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을 위한 승강대(platform)를 구비하며, 상기 컨테이너의 이송을 위해 상기 운송수단이 전체로서 또는 그 승강대만이 올려지게 된다. 이후, 상기 운송수단은 그 승강대에 컨테이너를 올려놓은 상태로 상기 지지 테이블들의 구역에서 이탈된다. 승강 가능한 승강대를 이용하는 경우, 이어지는 상기 운송수단의 구동을 위해 상기 승강대는 다시 아래로 내려질 필요가 있다. 컨테이너를 상기 지지 테이블에 내려놓는 것은 정반대의 순서에서 일어난다. 상기 리프팅 테이블은, 상기 이송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컨테이너를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마주보도록 놓여진 지지 테이블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다. 이후, 상기 컨테이너들은 자동으로 작동되는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에 의해 상기 이송 스테이션으로부터 들어올려진 후, 컨테이너 저장 창고에 내려지거나 또는 상기 컨테이너 저장 창고에 있는 갠트리 크레인에 의해 내려진다. 상기 컨테이너 저장 창고의 끝에 있는 해안쪽 갠트리 크레인의 맞은편에 또 다른 육지쪽 갠트리 크레인이 마련되며, 상기 육지쪽 갠트리 크레인은 상기 컨테이너 저장 창고의 영역에서는 자동모드로, 그 밖에서는 수동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육지쪽 갠트리 크레인은 또한, 상기 컨테이너를 90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테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창고로의 운송 및 창고로부터의 운송을 위해 상기 컨테이너를 육상 운송수단들에 넘겨주거나 상기 컨테이너 를 들어올린다.

    또한, 상기 운송수단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는 기계식, 유압식 또는 공압식 리프팅 구동장치에 의해 들어 올려지거나 내려질 수 있다는 것이 제시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기술로부터 출발한 본 발명의 근본적 문제는 짐들(loads), 특히 컨테이너들을 들어올리거나 내려놓기 위한 개선된 승강대를 갖는 자동으로 구동되는 운송수단(transportation vehicle)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는 본 발명의 독립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자동으로 구동되는 운송수단으로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종속항들인 제2항 내지 제14항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컨테이너들의 운송을 위한, 바닥에 바인딩되는(floor-bound) 운송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운송수단은 그 프레임에 마련되며 리프팅 구동장치(lifting drive)를 통해 낮은 운송위치로부터 상승된 이송위치로 들어 올려지거나 반대로, 아래로 내려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승강대(lifting platform)를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토글레버(toggle lever)를 통해 상기 리프팅 승강대를 상기 프레임에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들을 들어올리는 것 및 아래로 내려놓는 것이 가능한 개선된 승강대가 완성된다. 상기 리프팅 승강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글레버를 통해 위로 올려지거나 아래로 내려질 수 있다. 상기 리프팅 구동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글레버를 구동하며, 상기 리프팅 승강대는 상기 운송수단 위에서 그 승하강이 안내된다. 상기 토글레버의 사용은, 한편으로는 상기 프레임에 있는 리프팅 승강대의 안정적인 지지를 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본적으로 구동방향으로 작용하는 미는 힘(thrust force)을 들어올리는 힘(lift force)으로 유리하게 변경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전체적인 리프팅 구동장치의 구조적 높이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리프팅 구동장치가 상기 운송수단의 프레임에 마련될 수 있고, 또한 그 바닥이 열리는 박스형 리프팅 승강대의 내부 또는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유리하게, 리프팅 승강대마다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방향으로 두 개의 토글레버들이 마련된다. 그에 따라, 들어올리는 힘(lifting force)이 더욱 균일하게 상기 리프팅 승강대에 분포될 수 있다.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방향으로 볼 때, 제 1 토글레버는 상기 리프팅 승강대의 앞 부분에 마련되고, 제 2 토글레버는 상기 리프팅 승강대의 뒷부분에 마련된다.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방향으로 볼 때, 각 토글레버가 상기 리프팅 승강대의 폭의 절반 이상,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팅 승강대의 폭의 50% 이상, 특별하게는 상기 리프팅 승강대의 폭의 75% 이상으로 연장된다는 점에서, 상기 리프팅 승강대의 특별히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진다. 또한, 그에 따라 충분한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요구되는 토글레버의 수가 두 개로 제한될 수 있다.

    구조적인 디자인의 면에서, 각 토글레버는 토글조인트(toggle joint)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 1 토글레버 암 및 제 2 토글레버 암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토글레버 암은 상기 토글조인트로부터 멀리 있는 말단에서 축을 매개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토글레버 암은 상기 토글조인트로부터 멀리 있는 말단에서 축을 매개로 상기 리프팅 테이블에 장착된다.

    상기 리프팅 승강대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하부 축들, 힌지와 같은 토글조인트들의 축들 및 상부 축들은 서로 평행하게 회전한다. 상기 두 개의 토클레버들은 상기 리프팅 승강대와 프레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리프팅 승강대가 이송위치로부터 휴면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토글조인트들이 상기 리프팅 승강대와 프레임 상에서 회전하게 한다.

    상기 리프팅 승강대의 상승 및 하강 방향으로의 안내를 위해, 상기 리프팅 승강대는 상기 프레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제어암(longitudinal control arm)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길이방향 제어암은 자신의 제 1 말단에서 제 1 축에 의해 상기 리프팅 승강대와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자신의 반대편 제 2 말단에서 제 2 축에 의해 상기 프레임과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길이방향 제어암은,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방향으로 볼 때, 상기 리프팅 승강대의 왼쪽 및 오른쪽 측면에 마련되며, 서로 평행하게 움직인다.

    또한, 상기 리프팅 승강대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축 및 제 2 축은 서로 평행하게 회전하며, 또한 상기 하부 축들, 힌지와 같은 토글조인트들의 축들 및 상부 축들과 평행하게 회전한다.

    또한,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방향으로 볼 때, 하나 바로 뒤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며, 서로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유리한 방식으로, 두 개의 리프팅 승강대가 마련된다. 상기 리프팅 승강대들은,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방향으로 볼 때, 각자 20 피트(feet) 길이의 컨테이너를 수용할 수 있는 치수를 갖거나, 두 개의 리프팅 승강대가 함께 40 또는 45 피트(feet) 길이의 컨테이너를 수용할 수 있는 치수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운송수단은 여러 가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유리한 디자인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구동장치는 상기 운송수단에 마련되어 작동스크류 드라이브(actuating screw drive)를 매개로 상기 토글레버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로 구성된다.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리프팅 구동장치는 상기 운송수단에 마련되어 하나의 트랜스미션과 두 개의 작동스크류 드라이브를 매개로 두 개의 토글레버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이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에는 이송 스테이션(2) 내에서 자동으로 구동되는 운송수단(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이송 스테이션(2)은, 짐 수용 수단(load-receiving means)과 같은 스프레더 프레임(spreader frame)을 구비한 갠트리 크레인 또는 보통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라 불리는 하이 레그 드라이버 구동(high-leg driver-operated) 컨테이너 운송수단과 같은 다른 운송수단과 상기 자동으로 구동되는 운송수단(1) 사이의 연결창구(interface)로서 기능한다.

    상기 이송 스테이션(2)은 기본적으로 지지 레일들(3b) 및 이들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수직으로 곧추 선 형태의 다리들(3a)로 구성되는 고정된 지지프레임(3)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리들(3a)의 하단은 보통 항만 구역의 부두의 일부인 바닥(4) 위에 위치한다. 상기 다리들(3a)은,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방향(F)으로 볼 때, 상기 바닥(4)의 반대편 말단에서 안쪽으로 약간 구부러져, L-타입과 같이 보여진다. 상기 지지 레일(3b)은 상기 다리들(3a)의 수직으로 연장된 상부 말단면(3c)에 단단히 고정된다. 모두 합쳐 6개의 다리들(3a)이 마련되며,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방향(F)으로 볼 때, 그 좌측 및 우측에 각각 3개의 다리들(3a)이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운송수단(1)으로부터 상기 이송 스테이션(2)으로 구동된다. 상기 우측 및 좌측의 다리들(3a)은 또한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두 다리들(3a) 사이의 간격(a)은, 상기 운송수단(1)이 상기 이송 스테이션(2) 내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운송수단(1)의 폭(b)보다 더 크게 결정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간격(a)은 상기 폭(b)보다 대략 100mm 더 크다. 상기 다리들(3a)의 말단면들(3c)에 단단히 고정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지지 레일들(3b)은,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방향(F)으로 볼 때, 그 횡단면이 L-타입을 가지며, 상기 다리들(3a)의 말단면들(3c)에 단단히 고정되는 긴 부재 및 상기 컨테이너(5)가 놓여지도록 수평하게 안쪽을 향하는 지지면(3d)을 형성하는 짧은 부재를 갖는다. 상기 컨테이너들(5)이 상기 운송수단(1) 또는 다른 운송수단들에 의해 상기 지지면(3d)에 놓여지게 될 때, 상기 컨테이너들(5)은 그 하부 모서리들에 바람직하게 마련되는 안정적인 코너 캐스팅들(corner castings, 5a) 및 상기 지지레일들(3b)의 지지면(3d) 사이에 놓여지는 하부의 세로측 가장자리들(lengthwise sides, 5b)을 매개로 놓여져 있다.

    상기 운송수단(1)은 리프팅 테이블(7)을 구비하며, 상기 리프팅 테이블(7)은 상기 컨테이너(5)를 상기 지지면들(3d)에 내려놓거나 상기 지지면들(3d)로부터 들어올리도록 상기 운송수단(1)의 프레임(8)에 대하여 수직하게 승하강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테이블(7)이 들어 올려지는 높이는 대략 600mm이다. 도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리프팅 테이블(7a) 및 제 2 리프팅 테이블(7b)은 상기 프레임(8)에 마련되며, 상기 운송수단(1)의 이동방향(F)으로 볼 때, 하나 바로 뒤에 다른 하나가 마련된다. 각 리프팅 테이블(7a,7b)의 길이는 20 피트(feet) 길이의 컨테이너를 운송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결정된다. 상기 제 1 리프팅 테이블(7a) 및 제 2 리프팅 테이블(7b)은 또한, 동시에 승하강하는 경우, 40 피트 길이의 컨테이너의 운송 및 심지어는 45 피트 길이의 컨테이너까지 운송할 수 있도록 상호보완한다.

    도 1에서, 상기 운송수단(1)은 상기 이송 스테이션(2) 내로 이동돼 있다. 이러한 이동은 보통 자동 조작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상기 지지프레임(3)의 마주보는 다리들(3a) 사이의 폭(a)을 갖는 입구채널(entrance channel, 6)은 상기 운송수단(1)의 폭(b)보다 반드시 조금 더 커야한다. 상기 운송수단(1)은 상기 이송 스테이션(2) 내로 들어가기 전에, 각각의 컨테이너들(5)이 놓여진 상기 제 1 리프팅 테이블(7a) 및 제 2 리프팅 테이블(7b)을 그들의 낮은 운송위치로부터 높은 리프팅위치로 들어올리기 위해 잠시 멈추어 진다. 상기 리프팅위치에서, 상기 컨테이너들(5)이 놓여지는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의 리프팅 면(lifting surface, 7c)은 수평하게 안쪽으로 연장되는 상기 지지레일들(3b)의 지지면들(3d) 이상으로 연장된다.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은,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방향(F)으로 볼 때, 상기 지지프레임(3)의 마주보는 다리들(3a)의 지지면들(3d) 사이의 간격(d)보다 더 작은 폭(c)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이 상기 리프팅위치로 상승된 상태의 상기 운송수단(1)은,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과 상기 지지레일들(3b)의 접촉 없이, 상기 이송 스테이션(2) 내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의 리프팅 면(7c) 역시 상기 지지면들(3d)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운송수단(1)이 상기 이송 스테이션(2) 내로 들어갈 때, 상기 컨테이너(5)의 바닥면(5c, 도 3 참조), 특히 상기 컨테이너(5)의 코너 캐스팅들(5a)은 상기 지지면들(3d) 위에 위치한다. 상기 운송수단(1)이 상기 이송 스테이션(2) 내로 들어가 바람직한 깊이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은 그들의 운송위치로 하강하며, 상기 컨테이너(5)는 그 코너 캐스팅들(5a) 및 세로측 가장자리들(5b)을 매개로 상기 지지레일들(3b)의 지지면들(3d) 위에 내려놓아 진다. 이후,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이 하강한 상태로, 상기 운송수단(1)은 상기 지지프레임(3) 위에 놓여진 상기 컨테이너(5)를 뒤로하고 다시 상기 이송 스테이션(2)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면(guide surface, 9a)은 상기 운송수단(1)의 이동방향(F)과 평행하게 움직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운송수단(1)의 사시도로서,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의 기능을 설명하며, 왼쪽의 제 1 리프팅 테이블(7a)은 낮아진 운송위치에 있고, 오른쪽 제 2 리프팅 테이블(7b)은 상승된 리프팅위치에 있다. 상기 낮아진 운송위치에서, 상기 제 1 리프팅 테이블(7a)은 상기 자동으로 구동되는 운송수단(1)의 프레임(8) 상에서 자신의 전체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상기 제 1 리프팅 테이블(7a) 및 제 2 리프팅 테이블(7b)에 있는 상기 컨테이너(5)를 내려놓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 리프팅 테이블들(7a,7b)은 낮은 운송위치에 있고, 깔때기 모양(funnel-shaped)의 안내요소들(guide elements, 9)은, 상기 운송수단(1)의 이동방향(F)으로 볼 때, 상기 운송수단(1)의 프레임(8) 상의 좌측 및 우측에, 즉 각각의 시작 및 종결 영역들에 있는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의 옆에 마련된다. 이러한 안내요소들(guide elements, 9)은,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을 향해 안쪽으로 유도됨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8)으로부터 시작해서 최상부를 향해 넓어지는 안내면(9a)을 갖기 때문에,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이 낮아지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5)를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 상에서 옆으로 향하게 한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운송수단(1)은 일종의 레일 운송수단이 아닌, 타이어들(1a)을 갖는 운송수단이다.

    도 3은, 상기 운송수단(1)의 이동방향(F)에 따른, 도 1의 정면도를 보여주며, 상기 운송수단(1)은 상기 이송 스테이션(2)에 정차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컨테이너(5) 및 제 2 리프팅 테이블(7b)은, 도 1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된 리프팅위치에 있다. 한 가지 주목할 점은, 상기 컨테이너(5)의 코너 캐스팅들(5a)이 상기 지지레일들(3b)의 지지면들(3d)로부터 거리 e만큼 위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상기 거리 e는, 상기 컨테이너(5)의 로딩상태(loading state) 및 상기 타이어들(1a)의 충전압력(fill pressure)에 따라, 50~150mm로 가변될 수 있다.

    도 4는 컨테이너(5)를 싣지 않은 상태로, 낮아진 운송위치에 있는 제 2 리프팅 테이블(7b)을 보여준다. 상기 컨테이너(5)는 그 코너 캐스팅들(5a) 및 상기 지지레일들(3b)의 지지면(3d) 사이에 있는 세로측 가장자리들(5b)을 매개로 놓여져 있다.

    운송수단(1)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 5에는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의 뒷부분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의 구동을 위한 리프팅 구동장치(10)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상승된 제 2 리프팅 테이블(7b) 및 상기 리프팅 구동장치(10)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상기 리프팅 구동장치(10)는 본질적으로, 구동모터(11)로 구성되며, 전기식 또는 유압식일 수 있고, 트랜스미션과 분포함수(distribution function)를 구비한 연동기(gearing, 12)를 갖는다. 제 1 카르단 조인트(Cardan joint, 14a,14b)는 상기 리프팅 구동장치(10)에 의해, 두 개의 카르단 샤프트들(Cardan shafts, 13a,13b)에 작용한다. 상기 카르단 샤프트들(13a,13b)은 본질적으로, 상기 운송수단(1)의 세로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운송수단(1)의 이동방향(F)에 평행하게 회전한다. 상기 연동기(12)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카르단 샤프트들(13a,13b)의 말단은 2중 카르단 구성을 갖는 제 2 카르단 조인트(15a,15b)를 통해 작동스크류 드라이브(actuating screw drive, 16a,16b)에 작용한다. 상기 각 작동스크류 드라이브(16a,16b)는 보통, 덮개에 의해 커버되고 프레임(8)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8) 상에서 회전하는 베어링 받침대(bearing pedestal, 17)에 장착되는 작동스크류(actuating screw, 16c,16d)를 갖는다. 상기 작동스크류(16c,16d)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덮개에 의해 커버되는 조절너트(adjusting nut, 16e,16f)는 비트는 힘(torsion)으로부터 자유로운 작동레버(actuating lever, 16g,16h)에 연결된다(도 6 참조). 상기 작동레버(16g,16h)는, 상기 작동스크류 드라이브(16a,16b)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자신의 말단에서, 본질적으로 수평한 축(18)에 의해 토글레버(toggle lever, 19)에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각 리프팅 테이블(7a,7b)을 위해 한 쌍의 토글레버들(19a,19b)이 마련되며, 상기 이송수단의 이동방향(F)으로 볼 때, 앞에 있는 토글레버와 뒤에 있는 토글레버는 상기 리프팅 테이블(7a,7b)에 연결된다. 상기 토글레버들(19a,19b)은 토글조인트(toggle joint, 19e,19f)를 매개로 제 2 토글레버 암(toggle lever arm, 19g,19h)에 연결되는 제 1 토글레버 암(19c,19d)을 갖는다. 상기 작동레버(16g,16h)는 하부에 있는 상기 제 1 토글레버 암(19c,19d)에 연결된다. 상기 토글조인트(toggle joint, 19e,19f)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제 2 토글레버 암(19g,19h)의 말단은 또 다른 수평한 축(20a,20b)을 매개로 상기 리프팅 테이블(7a,7b)에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토글레버들(19a,19b)과 관련하여, 도 5로부터 또 하나 주목할 점은, 상기 토글레버들(19a,19b)이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의 폭의 약 3/4에 해당하는 폭을 갖는다는 것이다. 상기 토글레버들(19a,19b)의 폭은 바람직하게 상기 리프팅 승강대(7a,7b)의 50% 이상, 특히 75% 이상으로 규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리프팅 테이블(7a) 및 제 2 리프팅 테이블(7b)은 각각 낮아진 운송위치에 있다. 따라서, 상기 토글레버들(19a,19b)은 조여진 위치(buckled position)에 있고, 그 위치에서 상기 토글레버들(19a,19b)은 약간의 수직 높이를 갖는다. 또한, 상기 조여진 위치에서, 상기 토글레버들(19a,19b)의 토글조인트들(19e,19f)은 서로에게로 이동된다. 게다가, 상기 토글조인트(19e,19f)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제 1 토글레버 암(19c,19d)의 말단은 본질적으로 수평한 축(21a,21b)에 의해 상기 프레임(8)에 장착된다.

    다른 한편으로, 도 6에는, 상승된 이송위치에 있는 리프팅 테이블(7b)이 도시되어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토글레버들(19a,19b)은 펼쳐진 위치에 있게 되며, 그 위치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여진 위치에서의 높이보다 수직방향으로 더 높은 높이를 갖게 된다. 또한, 도 6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리프팅 테이블(7b)은, 미도시된 제 1 리프팅 테이블(7a)과 마찬가지로, 상기 운송수단(1)의 프레임(8)과 관련되어 있는 두 개의 제어로드들(22a,22b)에 의해 추가적으로 안내된다. 상기 제어로드들(22a,22b)은 본질적으로 상기 운송수단(1)의 이동방향(F)에 있는 세로방향의 치수를 가지며, 상기 운송수단의 정차된 위치에 의존하지만 본질적으로는 수평한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의 상승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8)과 비교하여 약간 상승하고,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의 운송위치에서는 상기 프레임(8) 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된다. 게다가, 상기 두 제어암들 각각은 상기 두 리프팅 테이블들(7a,7b) 옆에서, 상기 두 리프팅 테이블들(7a,7b)의 세로측 치수에 평행하게 구동한다. 또한, 상기 두 제어암들은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보다 약간 더 긴 길이를 가지며, 약간의 간격을 두고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 옆에 마련된다. 상기 길이방향 제어암들(longitudinal control arms, 22a,22b)의 제 1 말단(23a)은, 본질적으로 수평하고 상기 이동방향(F)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축(24a)에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길이방향 제어암들(22a,22b)의 반대편 제 2 말단(23b)은, 상기 컨테이너(5)의 방향수정을 위해, 수평하고 상기 운송수단(1)의 이동방향(F)과 기본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또 다른 축(24b)에 의해, 상기 안내요소(guide element, 9)의 대응하는 안쪽이면서 상기 안내요소(9)의 안내면(9a) 아래에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두 길이방향 제어암들(22a,22b)은 상기 두 토글레버들(19a,19b)을 각 리프팅 테이블들(7a,7b)이 단단히 고정되는 각각의 제 2 토글레버 암(19g,19h)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토글레버들(19a,19b)의 펼침 및 조임 운동은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의 상승 또는 하강 운동으로 전환되며, 옆방향 운동으로 전환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 및 상기 프레임(8)의 대응하는 안내요소(9)에 대한 상기 길이방향 제어암들(22a,22b)의 배치는, 상기 운송수단(1)의 이동방향(F)으로 볼 때, 상기 프레임(8)에 대한 세로 및 가로방향의 방위 관점에서, 낮아진 휴면위치 및 상승된 이송위치에서의 상기 리프팅 테이블(7a,7b)이 동일 위치에 위치되도록 결정된다. 상기 토글레버들(19a,19b)의 기하학적 구조 및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7a,7b)과 상기 안내요소(9) 위에 있는 상기 길이방향 제어암들(22a,22b)의 배열 구조로 인하여, 상기 리프팅 테이블(7a,7b)은, 상기 이송위치와 휴면위치(resting position) 사이에서, 오로지 직선으로 또는 수직하게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약간 구부러진 궤도로 움직인다. 상승 또는 하강 과정에서의 상기 리프팅 테이블들의 이동방향(F) 및 그 반대방향에 있어서의 최대치는 수 밀리미터, 예를 들면, 2~10mm의 범위에서 변화한다. 상기 리프팅 테이블(7a,7b)의 상승 높이는 대략 600mm의 범위 내이다. 이송위치 및 휴면위치에서, 상기 리프팅 테이블(7a,7b)의 위치들은, 상기 운송수단(1)의 이동방향(F) 및 이동방향(F)의 수직방향으로 볼 때, 일치한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제 2 리프팅 테이블(7b)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특히, 주목할 점은, 상기 길이방향 제어암들(22a,22b)이, 상기 운송수단(1)의 이동방향(F)으로 볼 때, 상기 리프팅 테이블(7b)의 옆 오른쪽 및 왼쪽에 마련되고, 상기 리프팅 테이블(7b)의 세로축과 평행하게 구동하며, 상기 리프팅 테이블(7b)과의 사이에 상기 길이방향 제어암(22a,22b)의 폭과 대략 동일한 간격을 갖는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길이방향 제어암들의 배치와 관련하여 중요한 점은, 상기 축들(24a,24b)을 매개로 상기 길이방향 제어암들(22a,22b)과 상기 리프팅 테이블(7b)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지점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는 것이다. 또한, 분명한 점은, 상기 안내요소들(9)이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내측면에 안내면들(9a)을 갖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컨테이너들의 운송을 위한, 바닥에 바인딩되는(floor-bound) 운송수단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다른 무거운 짐들, 예를 들어 주조(鑄造), 제강(製鋼) 및 금속 압연 작업들(metal rolling operations)에 있어서의 두꺼운 널빤지들(slabs)이나 코일들(coils)과 같은 무거운 짐들을 운반하는 것에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이송 스테이션에서의, 자동으로 구동되는 운송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이송 스테이션 밖에서의, 도 1에 따른 운송수단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운송수단의 리프팅 테이블이 위로 올려진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리프팅 테이블이 아래로 내려진 상태의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리프팅 테이블 및 리프팅 구동장치의 일부만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6은 리프팅 테이블이 위로 올려진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운송수단의 리프팅 테이블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자동으로 구동되는 운송수단

    1a 타이어

    2 이송 스테이션

    3 지지프레임

    3a 다리들

    3b 지지레일들

    3c 말단면

    3d 지지면

    4 바닥

    5 컨테이너

    5a 코너 캐스팅(corner casting)

    5b 세로측 가장자리(lengthwise side)

    5c 바닥면

    6 입구채널(entrance channel)

    7 리프팅 테이블(lifting table)

    7a 제 1 리프팅 테이블

    7b 제 2 리프팅 테이블

    8 프레임

    9 안내요소(guide element)

    9a 안내면

    10 리프팅 구동장치(lifting drive)

    11 구동모터

    12 트랜스미션

    13a,13b 카르단 샤프트(Cardan shaft)

    14a,14b 제 1 카르단 조인트(Cardan joint)

    15a,15b 제 2 카르단 조인트

    16a,16b 작동스크류 드라이브(actuating screw drive)

    16c,16d 작동스크류(actuating screw)

    16e,16f 조절너트(adjusting nut)

    16g,16h 작동레버(actuating lever)

    17 베어링 받침대(bearing pedestal)

    18 축(axis)

    19,19a,19b 토글레버(toggle lever)

    19c,19d 제 1 토글레버 암(toggle lever arm)

    19e,19f 토글조인트(toggle joint)

    19g,19h 제 2 토글레버 암

    20a,20b 상부 축

    21a,21b 하부 축

    22a,22b 길이방향 제어암(longitudinal control arm)

    23a 제 1 말단

    23b 제 2 말단

    24a 축

    24b 축

    a 간격(spacing)

    b 폭(width)

    c 폭

    d 간격

    e 간격

    F 이동방향

    f 간격

    高效检索全球专利

    专利汇是专利免费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国家发明专利查询检索分析平台,是提供专利分析,专利查询,专利检索等数据服务功能的知识产权数据服务商。

    我们的产品包含105个国家的1.26亿组数据,免费查、免费专利分析。

    申请试用

    分析报告

    专利汇分析报告产品可以对行业情报数据进行梳理分析,涉及维度包括行业专利基本状况分析、地域分析、技术分析、发明人分析、申请人分析、专利权人分析、失效分析、核心专利分析、法律分析、研发重点分析、企业专利处境分析、技术处境分析、专利寿命分析、企业定位分析、引证分析等超过60个分析角度,系统通过AI智能系统对图表进行解读,只需1分钟,一键生成行业专利分析报告。

    申请试用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