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의 건 보어사이팅 조정장치

申请号 KR1020010013698 申请日 2001-03-16 公开(公告)号 KR1020020073830A 公开(公告)日 2002-09-28
申请人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发明人 박서신; 김병구;
摘要 PURPOSE: A gun bore sighting adjusting apparatus of an aircraft is provided to install many fuel tanks in a bay of a bulkhead, and to prevent mixture of remaining or fuel gas and pressure oil in firing by mounting a manual gun bore sighting adjuster in the limit space close to the fuel tanks. CONSTITUTION: A gun bore sighting adjusting device of an aircraft is composed of an outer eccentric cam inserted in the inner periphery of a through hole in the front of a bulkhead(10); an inner eccentric cam inserted to the outer eccentric cam with fitting the end of a gun system; an index plate(60) assembled with the front of the outer eccentric cam, and rotated in adjusting the gun bore sighting with forming an index groove; and a fixing member(70) fastened in the bulkhead, and inserted to the index groove to fix the index plate. Many fuel tanks are mounted in the bay by installing the manual gun bore sighting adjuster in the limit space of the bulkhead.
权利要求
  • 동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벌크 헤드의 전방에 형성된 통공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아웃터 편심캠과,
    상기 아웃터 편심캠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며 건 시스템의 단부가 압입되는 인너 편심캠과,
    상기 아웃터 편심캠의 전면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인덱스홈이 형성되어 건 보어사이팅 조정시 회전하는 인덱스 플레이트와,
    상기 인덱스 플레이트 상단 중앙의 벌크 헤드에 고정되며 인덱스홈에 삽입되어 인덱스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건 보어사이팅 조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편심캠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과 아웃터 편심캠의 내주면 사이에는 인너 편심캠과 아웃터 편심캠을 결합시키기 위한 클래비스핀으로 된 체결 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건 보어사이팅 조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외주면에는 고정 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이 삽입되며, 고정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코터핀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건 보어사이팅 조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크 헤드의 전방에 형성된 통공의 내주면과 아웃터 편심캠의 외주면 사이에는 충격이 발생시 완충 역할을 하는 고무 재질로 된 보호링이 압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건 보어사이팅 조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 후방의 벌크 헤드에는 건의 발사시 역류되는 잔류 가스가 연료 가스나 유압유들과 혼합되지 않도록 차단시키기 위한 보호 커버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건 보어사이팅 조정장치.
  • 说明书全文

    항공기의 건 보어사이팅 조정장치{GUN BORESIGHTING CONTROL APPARATUS OF AIRCRAFT}

    본 발명은 항공기의 건 보어사이팅(Gun Boresighting)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투용 항공기의 동체 내부에 장착된 벌크 헤드의 연료 탱크와 인접한 제한된 공간에 수동형 건 보어사이팅 조정장치를 장착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의 동체 내부에는 다양한 요구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계통들이 복잡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항공기의 동체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구조물이 리벳 결합되어 제작되거나, 최근에 개발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화이버 등으로 이루어진 복합재에 의해 복수개의 부재로 제작되어 결합된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종래 전투용 항공기의 동체 내부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거대한 격막인 벌크 헤드(Bulk Head)(1)가 장착되고, 이 벌크 헤드(1)에는 종방향으로 격벽인 복수개의 웹(Web)(2)이 설치되며, 상기 벌크 헤드(1)와 웹(2)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공간인 베이(Bay)(3)가 형성되고, 상기 벌크 헤드(1)와 웹(2) 사이의 전방에 형성된 복수개의 베이(3)에는 탄알의 공급을 안내하기 위한 탄통(4) 및 건이 구비되는 건 시스템(5)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건 시스템(5)의 후방에는 건 시스템(5)의 뒷쪽에서 수동으로 건 보어사이팅 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작업 공간으로 드라이 베이(Dry Bay)(3D)가 형성되고, 그 나머지 공간인 베이(3)에는 연료 탱크(6)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건 보어사이팅 조정장치는 항공기의 조립시 공차 누적에 따라 장착되는 건의 위치가 바뀌는 것을 항공기의 기축에 맞춰서 조종석 내부의 허드(Hud)와 일치시키기 위한 수동형 장치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건 보어사이팅 조정장치를 사용하여 건의 위치를 조정하고자 할 때는 벌크 헤드(1)에 장착된 건 시스템(5) 후방의 별도의 작업 공간인 빈 드라이 베이(3D)를 형성시켜야 하므로 인해 작업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특히 베이(3) 한개를 드라이 베이(3D)로 만들어 비워 두어야 하므로 인해 그 공간 만큼의 연료 탱크(6)를 장착시킬 수가 없어서 설계시의 중요한 요소인 가용 연료량을 최대화할 수가 없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투용 항공기의 동체 내부에 장착된 벌크 헤드의 연료 탱크와 인접한 제한된 공간에 수동형 건 보어사이팅 조정장치를 장착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건 보어사이팅을 위한 별도의 작업 공간이 필요없어서 벌크 헤드의 내부 공간인 베이에 보다 많은 연료 탱크를 장착시킬 수 있어서 설계시의 중요한 요소인 가용 연료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항공기의 건 보어사이팅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항공기의 동체에 장착되는 벌크 헤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나타낸 전체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벌크 헤드 11; 통공

    20; 아웃터 편심캠 30; 건 시스템

    40; 인너 편심캠 41; 고정홈

    50,52; 체결 부재 56; 코터핀

    60; 인덱스 플레이트 62; 인덱스홈

    70; 고정 부재 72; 스프링

    80; 보호링 90; 보호 커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동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벌크 헤드의 전방에 형성된 통공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아웃터 편심캠과, 상기 아웃터 편심캠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며 건 시스템의 단부가 압입되는 인너 편심캠과, 상기 아웃터 편심캠의 전면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인덱스홈이 형성되어 건 보어사이팅 조정시 회전하는 인덱스 플레이트와, 상기 인덱스 플레이트 상단 중앙의 벌크 헤드에 고정되며 인덱스홈에 삽입되어 인덱스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의 건 보어사이팅 조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인너 편심캠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과 아웃터 편심캠의 내주면 사이에는 인너 편심캠과 아웃터 편심캠을 결합시키기 위한 클래비스핀으로 된 체결 부재가 결합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의 외주면에는 고정 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이 삽입되며, 고정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코터핀이 고정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벌크 헤드의 전방에 형성된 통공의 내주면과 아웃터 편심캠의 외주면 사이에는 충격이 발생시 완충 역할을 하는 고무 재질로 된 보호링이 압입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공 후방의 벌크 헤드에는 건의 발사시 역류되는 잔류 가스가 연료 가스나 유압유들과 혼합되지 않도록 차단시키기 위한 보호 커버가 결합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을 나타낸 전체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전투용 항공기의 동체 내부에 횡방향으로 장착되는 거대한 격막인 벌크 헤드(Bulk Head)(10)의 전방에 형성된 통공(11)의 내주면에 중공형으로 된 아웃터 편심캠(20)이 삽입되고, 상기 아웃터 편심캠(20)에는 건 시스템(30)의 단부가 압입되는 인너 편심캠(40)이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며, 상기 인너 편심캠(4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홈(4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너 편심캠(40)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41)과 아웃터 편심캠(20)의 내주면 사이에는 인너 편심캠(40)과 아웃터 편심캠(20)을 결합시키기 위한 클래비스핀(Clevis Pin)으로 된 체결 부재(5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아웃터 편심캠(20)의 전면에는 건 보어사이팅 조정시 회전하는 인덱스 플레이트(60)가 복수개의 볼트와 너트, 와셔 및 코터핀(Cotter Pin) 등의 체결 부재(52)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인덱스 플레이트(60)의 외주면에는 톱니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인덱스홈(62)이 형성되고, 상기 인덱스 플레이트(60) 상단 중앙의 벌크 헤드(10)에는 인덱스홈(62)에 삽입되어 인덱스 플레이트(6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코터핀(56)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록킹핀으로 된 고정 부재(70)가 고정되며, 고정 부재(70)의 외주면에는 고정 부재(7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72)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벌크 헤드(10)의 전방에 형성된 통공(11)의 내주면과 아웃터 편심캠(20)의 외주면 사이에는 충격이 발생시 완충 역할을 하는 고무 재질로 된 보호링(80)이 압입되며, 상기 통공(11) 후방의 벌크 헤드(10)에는 건의 발사시 역류되는 잔류 가스가 연료 가스나 유압유들과 혼합되지 않도록 차단시키기 위한 보호 커버(9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투용 항공기의 동체 내부에 횡방향으로 장착된 거대한 격막인 벌크 헤드(10)의 전방에 장착된 건 보어사이팅 조정장치를 사용하여 건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고자 할 때는 먼저, 인덱스 플레이트(60) 상단 중앙의 상기 벌크 헤드(10)에 인덱스홈(62)과 접촉하여 인덱스 플레이트(6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결합된 고정 부재(70)를 고정시키고 있는 코터핀(56)을 제거시킨 후, 스프링(72)이 외주면에 삽입된 상기 고정 부재(70)를 눌러 준다.

    그 다음, 상기 벌크 헤드(10)의 전방에 형성된 통공(11)의 내주면에 삽입된 아웃터 편심캠(20)의 전면에 복수개의 볼트와 너트, 와셔 및 코터핀 등의 체결 부재(52)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인덱스 플레이트(60)을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아웃터 편심캠(20)이 회전함과 동시에, 아웃터 편심캠(20)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어 건 시스템(30)의 단부가 압입되는 인너 편심캠(40)이 회전하게 되므로 건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상기 건의 위치를 조정한 다음에는 상기 인덱스 플레이트(60) 상단 중앙의 고정 부재(7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고정 부재(70)의 외주면에 삽입된 스프링(7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고정 부재(70)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인덱스 플레이트(60) 외주면의 인덱스홈(62)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 부재(70)를 코터핀(56)으로 고정시키므로써 상기 인덱스 플레이트(6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건의 위치를 대폭 조정하고자 할 때는 상기 아웃터 편심캠(20)의 전면에 복수개의 체결 부재(52)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인덱스 플레이트(60)의 결합 상태를 해제시킨 후, 상기 아웃터 편심캠(20)의 내주면과 상기 인너 편심캠(40)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41)의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클래비스핀으로 된 체결 부재(50)를 빼낸 다음, 상기 인너 편심캠(40)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며, 건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는 상기 아웃터 편심캠(20)의 내주면과 인너 편심캠(40)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41)의 사이에 상기 체결 부재(50)를 결합시키고, 상기 아웃터 편심캠(20)의 전면에 인덱스 플레이트(60)를 체결 부재(52)로서 결합시키므로써 건의 위치를 대폭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벌크 헤드(10)의 전방에 형성된 통공(11)의 내주면과 아웃터 편심캠(20)의 외주면 사이에는 고무 재질로 된 보호링(80)이 압입되어 있으므로 건 보어사이팅 조정장치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보호링(80)이 완충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통공(11) 후방의 벌크 헤드(10)에는 보호 커버(9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건의 발사시 역류되는 잔류 가스가 연료 가스나 유압유들과 혼합되지 않도록 차단시킬 수 있어서 항공기 화재 발생의 주요인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투용 항공기의 동체 내부에 장착된 벌크 헤드의 연료 탱크와 인접한 제한된 공간에 수동형 건 보어사이팅 조정장치를 장착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써 건 보어사이팅을 위한 별도의 작업 공간이 필요없어서 벌크 헤드의 내부 공간인 베이에 보다 많은 연료 탱크를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인해 설계시의 중요한 요소인 가용 연료량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건의 발사시 역류되는 잔류 가스가 연료 가스나 유압유들과 혼합되지 않도록 차단시킬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이 구비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