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적화된 외부 가시성을 구비한 조종실을 가지는 항공기와 방법

申请号 KR1020140029871 申请日 2014-03-13 公开(公告)号 KR1020140117276A 公开(公告)日 2014-10-07
申请人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发明人 보드리장-피에르; 서튼니콜라스;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craft having a control compartment including a canopy provided with transparent surfaces fixed at bars; a central console; and two seats provided horizontally at one side of the central console. The aircraft includes at least one support (31, 33) connected to the central console; and at least one display unit to display multiple signs to help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Each of the display units is supported by at least one support (31, 32, 33, 34) positioned between a theoretical position of eyes of a person sitting at one of the two seats and the bar. Each of the supports (31, 32, 33, 34) visually covers at least partially the bar to optimize visibility outside the control compartment to be used by people, and the theoretical position is determined by a manufacturer.
权利要求
  • 조종실(2)을 가지는 항공기(1)로서,
    상기 조종실(2)은 뒤 부분(6)으로부터 앞 부분(5) 쪽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좌측(3)으로부터 우측(4)으로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며, 베이스(7)로부터 상부(8) 쪽으로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조종실(2)은 바들(bars)(13, 14)에 고정된 투명한 표면(11)을 가지는 캐노피(10), 중앙 콘솔(15), 및 상기 중앙 콘솔(15)의 어느 한쪽에 횡단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시트(16, 17)를 포함하고,
    상기 항공기(1)는 상기 중앙 콘솔(1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31, 32, 33, 34)와, 비행기의 조종을 돕기 위한 다수의 표시를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21, 22)을 포함하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21, 22)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31, 32, 33, 34)에 의해 지지되며,
    각각의 지지체(31, 32, 33, 34)는 상기 2개의 시트(16, 17) 중 하나에 앉아 있는 사람의 눈에 관한 이론상 위치와 바(13, 14)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사람에게 이용 가능하게 된 외부 가시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13, 14)를 시각적으로 가리며,
    상기 이론상 위치는 제작자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바(13, 14)는 우측(3)으로부터 좌측(4)까지의 방향으로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단 방향 바(14)를 포함하며,
    상기 항공기(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횡단 방향 바(14)를 가리는 적어도 하나의 횡단 방향 지지체(31, 32)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평면 횡단 방향 지지체(31, 32)는 함께 V자 모양의 트레이(35)를 형성하는, 항공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1)는 시트(16, 17)마다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21, 22)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지지체(31, 32, 33, 34)를 가지는, 항공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35)는 V자 모양의 수평 트레이인, 항공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1)는 상기 중앙 콘솔(15)에 고정된 레그(36)를 포함하고, 각각의 횡단 방향 지지체(31, 32)는 상기 레그(36)에 의해 지지되는, 항공기.
  •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횡단 방향 지지체(31, 32)는 상기 레그(36)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항공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13, 14)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상부 쪽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높이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바(13)를 포함하고, 상기 항공기(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높이 방향의 바(13)를 가리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 방향의 지지체(33, 34)를 포함하는, 항공기.
  •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21, 22)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높이 방향의 축(45)을 중심으로 도는 것을 허용하는 힌지(4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31, 32, 33, 34)에 힌지되어 있는, 항공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1)는 디스플레이 유닛(21, 22)을 지지체(31, 32, 33, 34)에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21, 22)마다 하나의 가역적인 체결 수단(50)을 포함하는, 항공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들 중 하나에 앉아 있는 사람의 전방 비전 축(AX1)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1, 22)을 옆으로 오프셋하는 제 1 위치(POS1), 또는 상기 비전 축(AX1) 상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1, 22)의 위치를 정하는 제 2 위치(POS2)에 디스플레이 유닛(21, 22)을 배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31, 32, 33, 34)가 연장 가능한, 항공기.
  •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는 속이 비어 있는, 항공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 내부를 지나가는 유선 접속부들(60)을 포함하는, 항공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 내부를 지나가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조절 덕트(70)를 포함하는, 항공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가 공기 조절 덕트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통풍 노즐(75)을 포함하는, 항공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21, 22)이 공기 조절 덕트(7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통풍 노즐(75)을 포함하는, 항공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1)는 상기 중앙 콘솔(15)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내장 장치(100)를 포함하는, 항공기.
  •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21, 22)은 적어도 2개의 독립 스크린(23, 24)을 포함하는, 항공기.
  • 항공기(1)에서 사람에게 이용 가능하게 된 외부 가시성을 최적화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항공기(1)는 뒤 부분(6)으로부터 앞 부분(5) 쪽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좌측(3)으로부터 우측(4)으로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며, 베이스(7)로부터 상부(8) 쪽으로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조종실(2)을 가지고,
    상기 조종실(2)은 바들(13, 14)에 의해 함께 연결된 투명한 표면(11)을 가지는 캐노피(10)를 가지며,
    상기 조종실(2)은 중앙 콘솔(15)과, 상기 중앙 콘솔(15)의 어느 한쪽에 횡단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시트(16, 17)를 포함하고,
    상기 바들(13, 14)은 좌측(3)으로부터 우측(4)까지 방향으로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단 방향 바(14)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조종실(2)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31, 32, 33, 34)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중앙 콘솔(15)에 연결되고, 각각의 지지체(31, 32, 33, 34)는 상기 시트(16, 17) 중 하나에 앉아 있는 사람의 눈에 관한 이론상 위치와 바(13, 14) 사이에 놓여 있어 상기 사람에 제공된 외부 가시성을 최적화하고, 상기 이론상 위치는 제작자에 의해 규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횡단 방향 지지체(31, 3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횡단 방향 바(14)를 가리고, 적어도 2개의 평면 횡단 방향 지지체(31, 32)가 V자 모양 트레이(35)를 약하게 형성하는, 배치 단계; 및
    ·비행 조종을 돕도록 다수의 표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31, 32, 33, 34)로부터 디스플레이 유닛(21, 22)을 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 방법.
  • 说明书全文

    최적화된 외부 가시성을 구비한 조종실을 가지는 항공기와 방법{An aircraft having a cockpit with optimized outside visibility, and a method}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그 내용이 통합되고, 2013년 3월 26일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FR13/00699호로부터 유래된다.

    본 발명은 최적화된 외부 가시성(outside visibility)을 구비한 조종실을 가지는 항공기와, 조종사의 상기 외부 가시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적용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공기 조종실들, 더 구체적으로는 회전익 항공기의 조종실들의 기술 분야에 속한다.

    항공기는 보통 조종사에게 표시를 제공하는 복수의 장치를 가진다. 예를 들면, 내비게이션 장치들이나 실제로 파워 플랜트를 모니터하기 위한 장치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시계 비행 규칙(VFR: visual flight rules) 비행을 위해 구세대 회전익 항공기가 사용된다. 그러한 회전익 항공기는 장치 패널에 배치된 비교적 소수의 내장(on-board) 장치들을 가진다. 나란히 2개의 시트를 가지고 시트 사이 공간에 의해 분리되는 조종실에서는, 장치 패널이 시트 사이 공간을 연장하는 조종실의 중앙 구역에 위치한다. 그럴 경우 조종사에 관한 전방 가시성은 비교적 양호하다.

    신세대 회전익 항공기는 장치 비행 규칙(IFR: instrument flight rules) 비행 수행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한 상황 하에서는, 이들 회전익 항공기는 더 많은 수의 장치를 가진다. 따라서 장치 패널들이 횡으로 확장되었다.

    그러한 회전익 항공기들은 조종사 앞에의 장치들을 지지하도록 중앙 구역의 어느 일측에서 연장하는 장치 패널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회전익 항공기의 전방 축에서의 조종사의 조종실 외부 쪽으로의 가시성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장치 패널에 의해 가려진다.

    IFR 비행을 인가하기 위해, 그리고 특히 그것을 외부 조건(안 좋은 날씨, 시야 불량,...)과는 관계없이 행하기 위해, 회전익 항공기는 조종사의 외부 가시성을 제한하는 경향이 있는 특별히 새로운 장치들을 훨씬 더 많은 갯수로 구비하였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시간 동안 항공기는 VFR 상태 하에서 비행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양호한 외부 가시성을 제공하지만 좁은 임무(mission) 스펙트럼을 제공하는 항공기와, 적당한 외부 가시성을 제공하지만 더 넓은 임무 스펙트럼을 지닌 항공기를 설명한다.

    특히, 문헌 US3572615호와 US3643899호는 조종사의 시계를 가리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조종사 눈의 레벨 위에 배치된 장치 상자와 장치 패널을 가지는 항공기를 제시한다.

    장치들은 또한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바에 고정될 수 있다.

    문헌 US2012/0217345호는 시트 사이 공간의 연장선에 배치된 중앙 콘솔을 가지는 조종실을 설명한다. 조종실의 바닥은 조종사에게 항공기 아래쪽 시야를 제공하기 위해 시트 사이 공간에 관찰 수단을 제공한다.

    문헌 GB491358호는 특히 투명한 버블에 의해 정해진 조종실을 제시한다.

    문헌 FR2965248호는 장치 패널을 제시한다.

    문헌 FR2465641호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와는 거리가 있다. 이 문헌은 천장에 고정되는 장치들을 가지는 배에 관한 조타실을 설명한다.

    처음에, 보통 일반적인 장치 패널들 뒤에, 항공기의 노즈(nose)에 위치하도록 사용된 많은 양의 장비(공기 조절 시스템,...)가 선실(cabin) 내로 이동(또는 보유(hold))되었다. 그렇게 함으로써 잠재적인 외부 가시성을 더 좋게 하였다. 그렇지만, 잠재적으로 부피가 크고 무거운 접속들이 항공기 내부를 따라 이어질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VFR 비행 중에 앞쪽으로 최적화된 외부 가시성을 주면서 또한 상기 외부 가시성에 대한 장치들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IFR 비행 중의 정보를 조종사에게 제공하는 조종실이 구비된 항공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공기에는 조종실이 제공되는데, 이 조종실은 뒤 부분으로부터 앞 부분 쪽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며, 베이스로부터 상부 쪽으로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이러한 조종실은 바들(bars)에 고정된 투명한 표면을 가지는 캐노피(canopy), 중앙 콘솔, 및 상기 중앙 콘솔의 어느 한쪽에 횡단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공기는 특히 중앙 콘솔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와, 비행기의 조종을 돕기 위한 다수의 표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며, 각각의 지지체는 상기 2개의 시트 중 하나에 앉아 있는 사람의 눈에 관한 이론상 위치와 바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사람에게 이용 가능하게 된 외부 가시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를 시각적으로 가리며(즉, 중첩되는), 상기 사람 눈의 이론상 위치는 제작자에 의해 규정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항공기의 캐노피는 조종실의 2개의 앞 시트 중 하나에 앉아 있는 사람의 시야를 가리는 마스크들을 가진다. 예를 들면, 조종실의 조종사 또는 실제로 는 앞 시트에 앉아 있는 의사과 같은 조작자의 시야는 이미 캐노피의 구조상 바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진다.

    게다가, 그러한 사람의 시야는 또한 일반적으로 장치 패널에 의해 종래 기술에서 가려진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처럼 장치 패널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배치하는 것을 제안한다. 더 구체적으로, 조종실은 조종사에게 표시들을 제시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이나 실제로 부조종사와 같은 보조 요원과 조종사에 표시들을 각각 제시하는 2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체결 부재에 의해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중앙 콘솔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한 지지체는 바를 거쳐 지나가는 사람 시각의 이론상 라인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지지체는 예를 들면 바에 의해 생성된 마스크 상에 지지체에 의해 생성된 마스크를 중첩시킴으로써, 조종사의 시야에 임의의 추가적인 마스킹(masking)을 추가하는 것을 회피하는 방식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지지체는 사람의 눈들과 바 사이의 시계 라인 상에서 사람의 이론상 위치와 바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항공기는 항공기의 우측에서 첫 번째 사람이 앉는 "오른쪽" 시트라고 하는 시트와, 항공기의 좌측에서 두 번째 사람이 앉는 "왼쪽" 시트라고 하는 시트를 가진다. "오른쪽"과 "왼쪽"이라는 용어는 항공기의 순방향의 기능으로서 고려되어야 하고, 좌측은 항공기의 앞쪽으로 바라보는 조작자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평면의 좌측에 위치한다.

    그러한 상황 하에서, 항공기는 첫 번째 사람에 관한 표시들을 표시하기 위한 우측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우측 지지체와, 두 번째 사람에 관한 표시들을 표시하기 위한 좌측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좌측 지지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측 지지체는 앞쪽으로 그리고 좌측으로 볼 때 두 번째 사람의 시야에 미치는 좌측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수단의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조종실의 우측에 위치한 바쪽을 바라보는 두 번째 사람의 시야 라인에 위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 지지체는 조종실의 좌측에 위치한 바쪽을 바라보는 첫 번째 사람의 시야 라인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항공기는 일정한 종래 기술의 구성들과 비교시 항공기의 우측에 앉아 있는 사람에 관한 좌측으로의 시야를 증가시키고, 항공기의 좌측에 앉아 있는 사람에 관한 우측으로의 시야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의해 생성될 때의 시야의 가림을 제한하면서, IFR 비행을 위해 필요한 표시들을 사람에게 제공할 수 있어 VFR 비행 상태를 촉진하게 된다.

    예를 들면, 종래 기술에서 조종사는 때때로 조종사가 착륙 영역을 볼 수 있도록, 항공기로 하여금 "스키드(skid)"를 야기하기 위해 한쪽으로 흔들리는 움직임을 항공기가 행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이용 가능하게 된 시야 증가는 종래 기술보다 큰 시야를 제공함으로써 그러한 방향 조종을 수행할 필요성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바들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방향으로 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단 방향 바를 포함하고, 항공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횡단 방향 바를 가리는 디스플레이 유닛마다 적어도 하나의 횡단 방향 지지체를 가진다.

    그러므로, 항공기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횡단 방향" 지지체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횡단 방향 지지체는 캐노피의 횡단 방향 바 상에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마다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기 위해, 항공기는 우측 시트 쪽으로 향한 우측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오른쪽 횡단 방향 지지체와, 좌측 시트 쪽으로 향한 좌측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왼쪽 횡단 방향 지지체를 가진다.

    그러므로, 항공기는 아마도 수평인 V자 모양의 트레이를 함께 형성하는 2개의 평면 횡단 방향 지지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횡단 방향 지지체는 하나의 V자 모양의 트레이의 부분들을 형성하고, 이 경우 2개의 횡단 방향 지지체는 트레이의 2개의 브랜치(branch)를 나타낸다. 이 2개의 브랜치는 전후 방향의 대칭면의 어느 한쪽에서 가로질러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항공기가 비행중에 겪게 되는 진동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안정한 횡단 방향 지지체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의 실용적 양상 외에, 그러한 수평 트레이는 또한 매우 산뜻한 외관을 제공한다.

    게다가, 항공기는 다음에 나오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항공기는 시트마다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지지체를 가질 수 있다. 즉, 항공기는 좌측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좌측 지지체와, 우측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우측 지지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항공기는 임의로 중앙 콘솔에 고정된 레그를 포함하고, 이 경우 각각의 횡단 방향 지지체는 상기 레그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므로, 항공기는 체결 부재와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더한 중앙 콘솔을 가지고, 이 경우 체결 부재는 중앙 콘솔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그런 다음 이 체결 부재는 레그와 이러한 레그에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를 포함한다.

    각각의 횡단 방향 지지체는 레그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항공기, 그리고 특히 회전익 항공기가 많은 양의 진동을 겪기 때문에, 그것의 배치는 디스플레이 유닛들에 미치는 진동의 영향을 최소화하려고 한다.

    게다가, 캐노피의 바들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조종실의 상부 쪽으로 나아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높이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바를 포함하고, 항공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높이 방향의 바를 가리는 높이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 방향의 바는 실질적으로 수직이거나, 비스듬하거나 심지어 만곡되어 있다. 그러한 상황 하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체는 그러한 높이 방향의 바 상에 중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횡단 방향 지지체에 의해 지지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예를 들면 레그로부터 또는 콘솔로부터 연장하는 높이 방향의 지지체에 의해 지지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높이 방향의 지지체와 횡단 방향 지지체에 의해 지지된다. 예를 들면, 높이 방향의 지지체는 레그 또는 중앙 콘솔로부터 디스플레이 유닛 쪽으로 또는 횡단 방향 지지체 쪽으로 비스듬하게 연장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진동으로 야기된 원치 않는 움직임들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는 양호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높이 방향의 지지체는 횡단 방향 지지체를 일정한 위치에 보유하기 위한 보강물로서의 역할을 한다.

    게다가, 그리고 실시예는 관계없이,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이 높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도는 것을 허용하는 힌지(hinge)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에 힌지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돌 수 있는 각도를, 특히 횡단 방향 바 상에 가능한 가깝게 중첩시키기 위해, 10°내지 15°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좁은 범위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부 코너(corner)가 바 상에서 중첩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의 이러한 각도는 또한 일정하고 체결 수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적절히 선택된 각도는 나머지 조종사를 위해 외측을 가리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과, 조종사가 디스플레이 존(zone)의 중앙에서 바라볼 때 시야 라인에 대략 수직인 평면에서 보여지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 사이의 타협안일 수 있다.

    게다가, 항공기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체에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마다 하나의 가역적인 체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항공기는 정보를 조종사에게 표시하기 위한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만을 가질 수 있다. 두 번째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악에서의 구조 임무 동안, 조종사는 비행 조종 정보에 접근할 필요가 없는 의사와 동행할 수 있다. 그럴 경우 조종사는 조종사 자신의 시야를 증가시키기 위해, 두 번째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거할 수 있다.

    체결 수단은 첫 번째로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체에 고정시키고, 두 번째로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정보를 전송하고/하거나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종래의 도킹(docking) 수단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는 부재들을 지지체 내부로 나르기 위해 속이 비어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항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 내부를 지나가는 유선 접속부(wired connection)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유선 접속부들은, 예를 들면 전력 공급 접속부들 및/또는 데이터 버스들 또는 그 등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또는 그 외에 항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 내부를 지나가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조절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절 시스템이 없을 때에는 항공기가 매우 춥거나 매우 더운 날씨에서 지상에 머무르도록 강요될 수 있는데, 이는 그 온도가 비행시 승무원이 견디기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럴 경우, 공기 조절 시스템은 조종실의 공기 조절을 위해 지지체에 배치된 덕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는 공기 조절 덕트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통풍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또는 그 외에,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공기 조절 덕트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통풍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통풍 노즐은 공기 조절 덕트가 오른쪽 각도를 제공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오른쪽 각도는 공기 조절 시스템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디스플레이 유닛은 일정한 규정을 만족시키기 위해, 항공기의 앞쪽으로 조종사의 시야 라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렇지만, 항공기는 그러한 규정들에 의해 요구된 정보를 특정된 시야축(vision axis) 상의 조종사에게 제시할 수 있는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유닛은 예를 들면 항공기의 고도와 같은 비행 조종 정보에 전용인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부재를 가지고, 지도 또는 차트 정보와 같은 "임무"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종래의 임무 정보 및 비행 조종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문헌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한 디스플레이 부재는 요구된 정보를 제시하는 얼굴 가리개(visor)를 가지는 헬멧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럴 경우, 조종사의 시야를 최적화하기 위해,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조종사의 전방 시야축으로부터 오프셋(offset)될 수 있다.

    그렇지만, 시트들 중 하나에 앉아 있는 사람의 전방 시야축에 대해 디스플레이 유닛을 옆으로 오프셋하는 제 1 위치 또는 상기 시야축에 디스플레이 유닛을 위치시키는 제 2 위치에 디스플레이 유닛을 배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가 연장 가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종사는 항공기가 추가 디스플레이 부재를 가질 때에는 제 1 위치에, 그리고 이러한 추가 디스플레이 부재를 가지지 않을 때에는 제 2 위치에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를 정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 1 위치에서는 임무 정보를, 그리고 제 2 위치에서는 비행 조종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게다가, 항공기는 중앙 콘솔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내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단일 매트릭스 또는 복수의 매트릭스로부터 생기는, 적어도 2개의 독립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스크린 하나가 고장나는 것은 나머지 스크린을 사용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항공기 외에, 본 발명은 또한 항공기의 사람에게 이용 가능하게 된 외부 가시성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이 경우 상기 항공기는 뒤 부분으로부터 앞 부분 쪽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며, 베이스로부터 상부까지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조종실을 가지고, 상기 조종실은 바(bar)들에 의해 함께 연결된 투명한 표면을 가지는 캐노피를 가지며, 상기 조종실은 중앙 콘솔과, 상기 중앙 콘솔의 어느 한쪽에 횡단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시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최적화 방법은

    ·상기 조종실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중앙 콘솔에 연결되고, 각각의 지지체는 상기 시트 중 하나에 앉아 있는 사람의 눈에 관한 이론상 위치와 바 사이에 놓여 있어 상기 사람에 제공된 외부 가시성을 최적화하고, 상기 이론상 위치는 제작자에 의해 규정되는, 배치 단계; 및

    ·비행 조종을 돕도록 다수의 표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로부터 디스플레이 유닛을 거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장점들은 예시를 통해 주어지고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는 실시예들의 이어지는 설명의 전후 관계로부터 더 상세히 나타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항공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횡단하고 올라가는 지지체들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유닛들용 체결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조종실에 배치된 체결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을 포함하지 않는 조종실에 관해 구성된 입체도.
    도 9는 도 6의 조종실에 관해 구성된 입체도.
    도 10은 디스플레이 유닛마다 하나의 상승 지지체만을 포함하는 체결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연장 가능한 지지체의 도면.

    2개 이상의 도면에 존재하는 요소들에는 그들 각각에 동일한 참조 번호가 주어진다.

    3개의 서로 직교하는 방향들인 X,Y, 및 Z가 몇몇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방향(X)은 "길이 방향(longitudinal)"이라고 부른다. 제 2 방향은 "횡단 방향(transverse)"이라고 부른다. 마지막으로, 제 3 방향(Z)은 "높이 방향(in elevation)"이라고 부른다. "높이 방향"이라는 용어는 제 3 방향(Z)에 평행한 임의의 방향과 관련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항공기(1)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항공기(1)는 조종실(2)을 가진다. 조종실(2)은 앞 부분(5)으로부터 뒤 부분(6) 쪽으로의 전후 방향의 대칭면(P1)을 따라 종방향(X)으로, 좌측(3)으로부터 우측(4)까지 횡단 방향(Y)을 따라, 그리고 베이스(7)로부터 상부(top)(8) 쪽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조종실(2)은 특히 2개의 시트(16, 17), 즉 각각 좌측(3)과 우측(4)에 배치된 왼쪽 앞 시트(16)와 오른쪽 앞 시트(17)를 포함한다. 이 시트들은 조종사와 부조종사, 또는 조종사와 승객을 앉힐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러한 승객은 레스큐 임무(rescue mission) 중인 의사일 수 있다.

    시트들(16, 17)에 앉아 있는 사람들이 항공기의 외부(EXT)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항공기는 캐노피(10)를 가진다.

    그러므로, 이러한 캐노피는 특히 앞 부분, 좌측 그리고 우측에 배치된 투명한 표면들(11)을 가진다. 단단하고 불투명한 노즈(nose)(12)가 항공기의 앞 끝을 보호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앞 끝에는 캐노피가 제공되지 않는데, 이는 레이다(radar), 배터리 등과 같은 앞 끝 뒤에 위치한 다양한 전자 장비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투명한 표면(11)은 항공기의 구조상 바(bar)들에 고정된다. 이들 바는 그것들이 좌측으로부터 우측까지 연장하는 한, "횡단 방향 바들(14)"이라고 부르는 바들을 포함한다. 이들 바는 또한 그것들이 베이스로부터 상부 쪽으로 연장하는 한, "높이 방향의 바들(13)"이라고 부르는 바들을 포함한다.

    게다가, 조종실(2)은 전후 방향 대칭면(P1)을 따라 연장하고, 특히 2개의 시트(16, 17) 사이를 지나가는 중앙 제어 콘솔(15)을 포함한다. 이 중앙 콘솔은,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내장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내장 장치들은 표시 장치들(스크린들, ...)과, 임무(차트들, 날씨,...)를 관리하는 것에 관한 관련 제어 수단(트랙볼, 실제 또는 가장 제어 유닛들,...), 및 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들(연료의 양, 엔진, 전기 시스템, 유압 장치의 상태들에 관한 장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어 요소들,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요소들, 및 정보를 모니터하거나 표시하기 위한 요소들은, 종래의 타입(제어 유닛, 상태 표시기 또는 각 기능에 전용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것이거나 부분적으로 통합된(메뉴 키들을 구비한 멀티펑션(multifunction) 유닛 타입의) 것일 수 있다. 좀더 획기적인 구성에서는, 모든 기능이 하나 이상의 터치 패널을 통해 관리되는데, 이러한 패널에서는 항공기와 임무 관리 중개자의 다양한 요소들의 상태들의 표시 및 통제 모드들의 거동이 모든 기능을 통합하는 소프트웨어의 결과이다.

    게다가, 항공기는 비행기의 조종을 돕는 것과 주변 상황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가진다. 이 정보는 경계, 경보, 내비게이션 정보, 통신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드는 "비행 내비게이션 디스플레이"라고 알려진 타입의 디스플레이와 임의로 연관된 "주 비행상태 표시(primary flight display)"라고 알려진 종래의 타입의 것일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3차원(3D) 지형 데이터에 기초한 합성 시계 타입 이미지들을 구비한 획기적인 것이다.

    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21, 22)과 아마도 시트마다 하나씩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좌측 시트(16)에 앉아 있는 사람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좌측 디스플레이 유닛(21) 및/또는 우측 시트(17)에 앉아 있는 사람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우측 디스플레이 유닛(22)을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디스플레이 유닛은 안전상 이유들로, 아마도 도 4에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동일한 치수들을 지닌 2개의 독립적인 스크린(23, 24)을 포함한다.

    각 스크린은 다양한 종래의 장치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이한 표시들을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1, 22)을 지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중앙 콘솔(1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31, 33)를 가진다. 그러므로, 각 지지체는 직접적으로 또는 중앙 콘솔(15)에 고정된 레그(leg)를 통해 간접적으로 중앙 콘솔(15)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적용된 방법에서, 각 디스플레이 유닛은 지지체에 걸려 있다. 또한, 각 지지체는 바(13, 14)(그리고, 특히 앞 부분의 바)와, 상기 2개의 시트 중 하나에 앉아 있는 사람의 눈에 관한 이론상 위치 사이에 놓이게끔 배치된다. 그러한 이론상 위치는 제작자에 의해 결정된다.

    도 8은 종래의 제어 패널을 가지는 항공기에서 조종사의 시계를 보여주는 입체도이다.

    첫 번째 그늘진 구역(Z1)은 우측 시트에 앉아 있는 조종사에 관한 시계를 나타낸다. 이 시계는 중앙 콘솔과 장치 패널에 의해 만들어진 두 번째 그늘진 구역(Z2)과, 캐노피의 바들에 의해 만들어진 그늘지지 않은 구역(Z3)에 의해 가려진다.

    반대로, 도 9는 본 발명의 항공기에서 조종사의 시계를 보여주는 입체도이다.

    구역(Z2)은 종래 기술의 경우보다 작은 것을 볼 수 있다. 게다가, 디스플레이 유닛들의 지지체(31, 33)에 의해 가려진 시야는 바들에 의해 가려진 시야와 일치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조종사가 이용할 수 있는 시계를 상당히 개선시킨다.

    도 4의 예에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지지될 디스플레이 유닛마다 적어도 2개의 지지체(31, 33)를 가진다.

    각 디스플레이 유닛은 부분적으로 가로지르는 바(14)를 가리는 횡단 방향 지지체(31)와, 부분적으로 높이 방향으로 바를 가리는 높이 방향의 지지체(33)에 의해 지지된다.

    도 4는 오른쪽 앞 시트(17)에 앉아 있는 조종사가 바라본 조종실을 보여준다. 조종사가 조종실의 나머지 측, 즉 좌측 쪽으로 바라볼 때, 좌측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횡단 방향 지지체(31)가 횡단 방향 바(14)의 일부를 가린다. 또한, 역시 좌측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높이 방향의 지지체(33)가 높이 방향의 바(13)의 일부를 가린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체결 부재는 평면(plane)이고, 함께 V자 모양의 트레이(tray)(35)를 형성하는 2개의 횡단 방향 지지체(31, 32)를 포함한다.

    이 트레이(35)는 중앙 콘솔(15)에 고정하기 위한 레그(36)에 의해 지지된다. 레그의 사이드로부터 사이드로 연장하는 평면형의 횡단 방향 지지체와 연관된 큰 섹션의 레그는 체결 시스템에 양호한 안정성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체결 부재는 오직 횡단 방향 지지체들을 지지하는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렇지만,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체결 시스템이 횡단 방향 지지체마다, 그것을 딱딱해지도록 하기 위해, 높이 방향의 하나의 지지체(33, 34)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높이 방향의 각 지지체는 레그로부터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횡단 방향 지지체의 끝쪽으로 비스듬하게 연장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는, 높이 방향의 지지체가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할 수 있고, 횡단 방향 지지체는 레그로부터 높이 방향의 지지체 쪽으로 연장한다.

    대안적으로, 횡단 방향 지지체와 높이 방향의 지지체는 함께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유닛마다 하나의 높이 방향 지지체만을 가지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실시예와는 무관하게,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 그리고 적절한 하나의 레그가 그 내부에서 유선 연결들(6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조절 덕트(70)를 가이드하기 위해 속이 빈 것일 수 있다.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는 공기 조절 덕트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통풍 노즐(7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22)은 또한 공기 조절 덕트(7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통풍 노즐(75)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각 디스플레이 유닛은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힌지(hinge)(4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에 달려있을 수 있다. 힌지(40)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좁은 범위에 걸쳐 높이 방향 축(45)을 중심으로 도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범위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코너(200)가 바 위에 놓인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우측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부 오른쪽 코너와 상부 왼쪽 코너가 바 위에 놓인다.

    또한, 각 디스플레이 유닛은 체결 수단(50)에 의해 지지체에 가역적이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 체결 수단(50)은 지지체에 힌지(40)에 의해 달려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거함으로써, 조종사의 시계가 상당히 증가됨이 주목되어야 한다.

    하나 또는 2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존재와는 별개로, 항공기는 조종사에게 항공기의 앞쪽으로의 제 1 비전 구역(B1), 앞과 아래쪽으로의 제 2 비전 구역(B2), 우측으로의 제 3 비전 구역(B3), 및 좌측으로의 제 4 비전 구역(B4)을 제공한다.

    또한, 항공기는 예를 들면 항공기 아래에 위치한 주위 상황들을 보여주는 뷰잉 매트(viewing mat)(300)에 의해 이용 가능하게 되는 아래쪽으로의 비전 구역을 임의로 가진다.

    게다가, 일정한 규칙(regulations)은 임무 정보가 전방 시야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항공기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가능한 작게 제 1 구역(B1)을 가리도록, 그러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헬멧(helmet)이나 임의의 다른 등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러한 헬멧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그러한 규칙에 의해 요구된 위치에 디스플레이 유닛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사람의 앞쪽 비전 축(AX1)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유닛(21, 22)을 옆으로 오프셋시키는 제 1 위치(POS1)에서나 상기 비전 축(AX1) 상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1, 22)의 위치를 정하는 제 2 위치(POS2)에 디스플레이 유닛(21, 22)을 놓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가 연장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그것의 구현에 있어서 다수의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다. 비록 몇몇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모든 가능한 실시예를 빠짐없이 확인한 것으로 생각할 수는 없다는 사실이 바로 이해가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영역을 넘어가지 않는 등가 수단으로 설명된 수단의 임의의 것을 대체하는 것을 예견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