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国际专利分类库 / 作业;运输 / 飞行器;航空;宇宙航行 / 飞机;直升飞机 / 旋翼机;其特有的旋翼(起落架入B64C25/00) /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를 미리 구비한 항공 전자 기기 랙과 제어 패널을 함께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물을 구비한 회전익기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를 미리 구비한 항공 전자 기기 랙과 제어 패널을 함께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물을 구비한 회전익기

申请号 KR1020130128125 申请日 2013-10-25 公开(公告)号 KR1020140052906A 公开(公告)日 2014-05-07
申请人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发明人 올리브리샤르;
摘要 Provided is a rotorcraft fitted with a means for mounting at least one front avionics rack (3, 3′) and man-machine interface instruments (2) on board of a fuselage structure (4). A mounting structure (1) comprises a slotted body forming compartments for receiving interface instruments (2), the avionics rack (3, 3′), and a unitary cabling assembly (12) suitable for uniting as a block with the mounting structure (1). The mounting structure (1) is installed as one block on the fuselage structure (4) after the functions thereof has been verified. The unitary cabling assembly (12) may also include separation connectors (14) segregating communications of the front avionics rack (3, 3′) respectively with remote computers (5) by means of a primary communication bus of multiplexed, unidirectional, or bidirectional type, and with ancillary equipment (6), and/or with on-board instruments (7) by means of a secondary fieldbus.
权利要求
  • 장착 수단을 구비한 회전익기로서,
    상기 장착 수단은 동체 구조물(4) 선내에 첫 번째는 적어도 하나의 계산 유닛(25)과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버스(31, 32)를 통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 3')과, 두 번째는 적어도 하나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계기(2)를 포함하는 조종실을 탑재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동체 구조물(4) 상에 상기 인터페이스 계기(2)와 상기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 3')을 조립하기 위한 기계적 조립 수단; 및
    ·상기 인터페이스 계기(2)와 상기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 3')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계기(2)와 상기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 3')이 상기 회전익기 둘레에 탑재된 원격 부재들(5, 6, 7)과 통신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계기(2)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 3')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 부재들(5, 6, 7)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5), 상기 회전익기의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구(6), 및 적어도 하나의 선내 계기(7)를 포함하며, 상기 선내 계기(7)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28), 적어도 하나의 정보 센서(27)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계산 및/또는 측정 수단(29) 중 적어도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계기들(7)의 그룹으로부터 취해지고,
    상기 기계적 조립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계기(2)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 3')을 상기 동체 구조물(4)에 함께 탑재하기 위한 탑재 구조물(1)을 포함하며,
    상기 탑재 구조물(1)은 상기 동체 구조물(4)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기 수단을 가지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를 포함하고,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상기 몸체(8)의 슬롯들은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상기 몸체(8)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계기(2)를 수용하고,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상기 몸체(8)의 뒤 구역에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 3')을 수용하는 칸들(9, 10, 18)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칸은 상기 탑재 구조물(1)에 하나의 블록으로서 통합되기에 적합한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를 통과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제공하고,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상기 몸체(8)에 장착된 분리 커넥터들을 구비하며, 상기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는 상기 분리 커넥터들(14)을 통해 상기 원격 부재들(5, 6, 7)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계기(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산 유닛(25)의 연결을 제공하는, 장착 수단을 구비한 회전익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커넥터들(14)은 상기 원격 부재들(5, 6, 7)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 3') 사이의 통신을 위한 항공 전자 기기 커넥터들(22, 23, 24)을 포함하고, 상기 항공 전자 기기 커넥터들(22, 23, 24)은 분리되어 적어도 하나의 메인 커넥터 세트(22)와, 상기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 3')의 부분을 형성하는 1차 통신 모듈(30)의 적어도 하나의 2차 커넥터 세트(23)를 제공하며,
    상기 메인 커넥터 세트(22)는 상기 계산 유닛(25)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컴퓨터(5) 사이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세트이고, 상기 2차 커넥터 세트(23)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선내 계기(7) 및/또는 상기 보조 기구(6)의 적어도 하나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수집된 집중 데이터(26, 38)에 관한 2차 데이터 집중기(37)를 통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2차 통신 모듈(36)과 상기 1차 통신 모듈(30) 사이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세트인, 장착 수단을 구비한 회전익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커넥터 세트(23)는 상기 1차 통신 모듈(30)의 게이트웨이 성분(33)을 통해 상기 계산 유닛(25)과 통신을 행하는, 장착 수단을 구비한 회전익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모듈(30)은 상기 계산 유닛(25)과 상기 컴퓨터(5) 사이에서 동등하게 단방향 타입, 양방향 타입, 또는 다중화된 타입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1차 디지털 통신 버스(31)와, 상기 계산 유닛(25)과 상기 2차 모듈(36) 사이에서 다중화된 타입인 적어도 하나의 2차 필드버스(32)를 포함하는, 장착 수단을 구비한 회전익기.
  • 제 2 항에 있어서,
    데이터(26, 38) 집중을 위한 상기 2차 데이터 집중기(37)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획득하며, 데이터를 디지털에서 아날로그 포맷으로, 그리고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2차 데이터 집중기(37)에 의해 수집된 정보(26, 38)를 라우팅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장착 수단을 구비한 회전익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성분(33)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계기(35)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집중시키기 위해 1차 데이터 집중기(34)와 통신을 행하는, 장착 수단을 구비한 회전익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는 전기 장비 또는 광학 장비에 의해 동등하게 잘 구성될 수 있는 통신 장비들을 적어도 통합하는, 장착 수단을 구비한 회전익기.
  • 제 1 항에 있어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상기 몸체(8)의 슬롯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전익기의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구(19)를 수용하는 칸(18)을 제공하고, 상기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는 상기 보조 기구(19)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장비를 통합하는, 장착 수단을 구비한 회전익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칸(18)에 수용된 상기 보조 기구(19)는 환기, 난방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을 위한 설비인, 장착 수단을 구비한 회전익기.
  • 제 1 항에 있어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상기 몸체(8)는 그 내부를 통과하여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상기 몸체(8)의 전면에 제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칸(9)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 3')과 상기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까지의 액세스를 주는 통로를 제공하는, 장착 수단을 구비한 회전익기.
  • 제 1 항에 있어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상기 몸체(8)는 상기 슬롯들은 적어도
    ·제어 패널의 전면 소자를 형성하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상기 몸체(8)의 앞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계기(2)를 수용하는 상기 전면 소자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칸(9);
    ·기술적 기구 공간을 형성하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상기 몸체(8)의 뒤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 3')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칸;
    ·상기 앞 구역과 상기 뒤 구역 사이의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상기 몸체(8)의 중간 구역에서, 상기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를 통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로(11)와, 가능하게는 또한 상기 전면 소자로부터 상기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와 상기 기술적 기구 공간까지의 액세스를 주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 및
    ·상기 분리 커넥터들(14)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3)을 제공하는, 장착 수단을 구비한 회전익기.
  • 제 1 항에 있어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상기 몸체(8)에는 상기 탑재 구조물(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21)를 탑재하기 위한 탑재 수단(20)이 제공되고, 상기 지지체(21)는 복수의 지지체(21)로부터, 선택 가능한 개수들 및 설비들로 제거 가능하고 상호 교환 가능하며, 상기 지지체(21)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계기(2)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칸을 포함하는, 장착 수단을 구비한 회전익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는 상기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 3')과 적어도 하나의 선내 계기(7)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비를 통합하는, 장착 수단을 구비한 회전익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계기(2)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 3')을 각각 상기 분리 커넥터들(14)에 연결하기 위해, 보조 커넥터들(14')을 구비한 보조 장치를 통합하는, 장착 수단을 구비한 회전익기.
  • 제 1 항에 따른 회전익기의 탑재 구조물을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상기 몸체(8)를 제작하는 단계;
    ·적어도 분리 커넥터들(14)과 또한 가능하게는 워크숍에서의 보조 커넥터들(14')이 구비된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를 제조한 다음, 상기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의 기능을 테스트하고 필요하다면 수리를 행하는 단계;
    ·상기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와 상기 분리 커넥터들(14)을 워크숍에 있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상기 몸체(8)에 탑재하는 단계;
    ·워크숍에 있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상기 몸체(8)에, 계산 유닛(25)을 수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 3')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계기(2)를 탑재하는 단계;
    ·워크숍에서 결과로 생긴 상기 탑재 구조물(1)의 기능을 테스트하고, 필요하다면 수리를 하는 단계; 및
    ·회전익기 조립 라인에 제시된 바와 같은 상기 동체 구조물(4) 상에서 테스트된 것과 같은 결과로 생긴 탑재 구조물(1)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전익기의 탑재 구조물을 제작하는 방법.
  • 说明书全文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를 미리 구비한 항공 전자 기기 랙과 제어 패널을 함께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물을 구비한 회전익기{A rotorcraft fitted with a mounting structure for jointly mounting a control panel and an avionics rack previously fitted with a unitary cabling assembly}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2년 10월 25일 출원된 FR1202839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FR1202839호의 전문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항공기, 특히 회전익기의 동체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한 회전익기의 장비를 맞추는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좀더 구체적으로는 회전익기 선내에 그러한 장비를 장착하는 방식들에 관한 것이고, 그러한 장비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계기들과 전방 항공 전자 기기 랙을 포함한다.

    회전익기 조종실은 조종사와, 회전익기의 다양한 기능상 부재들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계기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계기들은 제어 놉(knob)들 및/또는 슬라이드들과 같은, 조종사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제어 계기들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계기들은 또한 특히 스크린들 및/또는 유사한 디스플레이 부재들과 같이, 디스플레이에 의해 회전익기의 작용을 감시하기 위한 계기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인터페이스 계기들은 회전익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조종사에 의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그러한 기능성 부재들은 회전익기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 컴퓨터들, 회전익기의 보조 장비, 또는 실제로는 회전익기 동작시 유용한 정보 센서들과 측정 및/또는 계산 수단과 같은 탑재 계기들일 수 있다. 보조 설비는 예를 들면, 조명(lighting) 시스템과 같은, 환기, 난방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air conditioning)을 제공하기 위한 설비와 같은 쾌적 설비 또는 회전익기의 임의의 다른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익기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해, 컴퓨터, 인터페이스 계기, 보조 기구, 및 회전익기에 제공된 다양한 선내 계기들이 회전익기에 대해 탑재되어 있고, 이들은 케이블링과 통신 버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터페이스 계기들은 조종실의 계기판에 통합된 계기 패널에서 함께 그룹을 이루고 있다. 인터페이스 계기들은 특히, 예를 들면 데스크 및/또는 콘솔 및/또는 상기 인터페이스 계기들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유사한 지지체로서 배치된 전면 지지체 상에 설치된다.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계기들을 운반하는 이러한 전면 지지체나 유사한 구조물은 인터페이스 계기들을 선택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배치된 다양한 칸들을 가진다.

    그러한 회전익기 조종실 설비는, 예를 들면 다음 특허 문헌들, 즉 US4780838(RLAdelson), US2012/075120(A.Barbieri), EP0283926(Messerschmitt Boelkow), 및 US2007/198141(TGMoore)에 개시되어 있다.

    회전익기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 컴퓨터들은 흔히 회전익기 선내에 설치되기 위해 다양한 항공 전자 기기 랙들에 탑재되어 있다. 이들 다양한 항공 전자 기기 랙은 회전익기의 앞에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을 포함한다. 이러한 항공 전자 기기 랙들은 회전익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컴퓨터들 및/또는 다른 전자 수단을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계산 유닛들을 선택적으로 호스팅하기 위한 스테이션들을 형성한다.

    항공 전자 기기 랙들에 수용된 인터페이스 계기들과 컴퓨터들은 그것들이 케이블링에 의해 회전익기의 다양한 부재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커넥터들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익기 선내에 탑재된 다양한 컴퓨터들은 통신 버스 신호들을 운반하기에 적합한 항공 전자 기기 케이블링, 데이터 집중기, 및 다양한 항공 전자 기기 랙에 맞추어지는 게이트웨이 성분들을 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서로 통신하게끔 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케이블링이 회전익기의 선내 전기망으로부터 인터페이스 계기들과 컴퓨터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케이블링은 또한 인터페이스 계기들과 컴퓨터들이 서로 및/또는 회전익기 둘레에 탑재된 다양한 컴퓨터와 통신하도록 하기 위한 신호들을 운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케이블링은 또한 제어될 필요가 있는 동작을 나타내는 회전익기의 다양한 기구 및/또는 부재와 통신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경우 그러한 기구 및/또는 부재들은 잠재적으로는 컴퓨터들과 인터페이스 계기들에 유용한 정보의 소스들이다.

    회전익기의 동체 구조물을 그것의 기구를 내부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조립 라인 상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상황에서는, 상기 동체 구조물이 설치될 회전익기의 전면부에 대응하도록 고려되어야 하는데, 이는 특히 인터페이스 계기들과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을 설치하고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그것들과 연관된 케이블링, 및 회전익기 둘레에 탑재된 다양한 원격 부재들과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다.

    임의의 손상 위험을 제한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계기들, 또는 실제로는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이 가능한 늦게 동체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이 조종실에서의 동체 구조물에 전면 지지체를 처음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이유이다. 그 다음 특히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에 수용된 컴퓨터들과 인터페이스 계기들에 관한 다양한 장치(harness)들로 이루어진 케이블링이 동체 구조물 상에 설치된다. 그 다음 이러한 케이블링의 기능이 검증되고, 필요하다면 케이블링 수리가 행해진다.

    이후 인터페이스 계기들이 전면 지지체 상에 설치된다.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은 전용 위치, 특히 회전익기의 코 부분에 있는 위치에서 동체 구조물 상에 설치된다. 케이블링이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에 수용된 컴퓨터들과 인터페이스 계기들에 그것들에 맞추어지는 커넥터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에 수용된 다양한 인터페이스 계기들과 컴퓨터들의 기능이 검증되고 필요하다면 수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터페이스 계기들과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을 동체 구조물에 설치하는 방식들을 개선시킬 여지가 존재한다는 점이 발견된다.

    예를 들면, 상기 동체 구조물에 기구를 맞추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점이 발견된다. 또한 조종실에 구비시키고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을 설치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조작자가 행동해야 하는 제한된 공간과 회전익기의 전면 동체 구조물의 모양을 고려해볼 때,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을 설치하기 위해, 그리고 조종실에 구비하도록 하기 위해, 조작자들에 의해 행해진 다양한 순서들로 인해 어렵게 된다.

    예를 들면, 특히 상기 동체 구조물에 기구를 구비시키기 위한 조립 라인의 조직이 단순화되는 것으로부터 이익이 된다는 점이 또한 관찰되었다. 특히, 조직을 개선하여, 조립 라인에 조립 라인 외의 상이한 종류의 성분의 개수를 제한하고, 그러한 성분들을 회전익기 선내에 설치하기 위해 행해질 필요가 있는 동작들을 단순화하도록, 성분들이 공급되는 것이 유용하다.

    예를 들면, 또한 회전익기의 앞 구역이 배치되는 방식이 역시 다양한 회전익기의 동작 필요에 따라 특정 요구 사항을 만족시켜야 한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한 다수의 욕구들은, 특히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과, 다양한 컴퓨터들, 보조 기구들 및/또는 회전익기 둘레에 탑재된 선내 기구들 사이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수단에 관한 구체적인 조직화를 수반한다. 그 결과, 동체 구조물과, 조립 라인의 조직화를 표준화하는 것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회전익기의 앞 구역 조직의 표준화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조립 라인에서 그러한 특정 요구 사항의 필요를 만족시키기 위한 앞 구역의 구체적인 특징들이 가능한 늦게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기구를 상기 동체 구조물에 구비시키기 위해 사용된 기술들은 계속해서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을 재조직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는 사실이 관찰되었다. 그러한 가능한 계속되는 재조직은 잠재적으로는 특허 문헌 FR2962617호(유로콥터 프랑스)에 의해 개시된 것과 같은, 업그레이드 가능한 통신망의 상황에서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에 수용된 컴퓨터들을 통합하는 것을 수반한다.

    상기 개선점을 조사하는 상황에서는, 인터페이스 계기들과 항공 전자 기기 랙에 특정된 케이블링과 조직을 너무 복잡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그러한 조사의 상황에서 사용된 수단의 전반적인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개선점들에 관한 상기 조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익기 유지 관리와 연관된 제약이 고려되어야 하는데, 그러한 유지 관리는 행하기가 쉬워야 하고, 조정 비용을 제한하면서 행해질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종실을 배치하고 회전익기의 동체 구조에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을 설치하는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더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관찰 및 제약을 감안하여 개선점을 얻기 위한 양호한 절충안을 제공하는 해결책들을 제공하려고 한다.

    본 발명의 회전익기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을 동체 구조물 선내에 탑재하기 위한 탑재 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계기를 포함하는 조종실을 구비한다.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계산 유닛과, 이러한 계산 유닛을 회전익기의 다양한 부재들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버스를 통합한다.

    더 구체적으로, 탑재 수단은

    ·상기 동체 구조물에 인터페이스 계기와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을 조립하기 위한 기계적 조립 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계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케이블은 인터페이스 계기와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에 전력을 공급하고, 그것들이 회전익기 둘레에 탑재된 원격 부재들과 통신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한 원격 부재들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회전익기의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구, 및 적어도 하나의 선내 계기를 포함한다. 그러한 선내 계기는 특히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센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계산 및/또는 측정 수단 중 적어도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계기들의 그룹으로부터의 계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조립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계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을 동체 구조물에 함께 탑재하기 위한 탑재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탑재 구조물은 동체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기 수단을 가지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slotted) 몸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의 슬롯들은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계기를 수용하고,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의 뒤 구역에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을 수용하는 칸들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칸은 탑재 구조물에 블록으로서 통합되기에 적합한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에 장착된 분리 커넥터들을 구비하여, 상기 분리 커넥터들을 거쳐 상기 원격 부재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계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산 유닛의 연결을 제공한다.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를 구조적으로 단순화하는 상황에서는, 탑재 구조물과 특히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에 구비된 통신 수단 조직의 계속되는 업그레이딩에 관한 가능성을 증대시키면서, 분리 커넥터들의 조직을 단순화시키는 것이 제안된다. 그러한 통신 수단은 다양한 계산 수단, 다양한 기구들, 특히 보조 기구들 및/또는 다양한 선내 계기들과 같이, 회전익기 선내에 탑재된 원격 부재들과 탑재 구조물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 커넥터들은 상기 원격 부재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 사이의 통신을 위한 항공 전자 기기 커넥터들을 유리하게 포함한다. 상기 항공 전자 기기 커넥터들은 분리되어 적어도 하나의 메인 커넥터 세트와,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의 부분을 형성하는 1차 통신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2차 커넥터 세트를 제공한다. 메인 커넥터 세트는 계산 유닛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세트이다. 2차 커넥터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선내 계기 및/또는 상기 보조 기구의 적어도 하나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수집된 집중 데이터에 관한 2차 데이터 집중기를 통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2차 통신 모듈과 1차 통신 모듈 사이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세트이다.

    상기 항공 전자 기기 커넥터들을 분리하는 것은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의 구조를 단순화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잠재적으로 다수이고 변경될 수 있는 상기 원격 부재들과 탑재 구조물 사이의 통신에 관한 최적화된 능력을 제공한다.

    유리하게, 2차 커넥터 세트는 1차 통신 모듈의 게이트웨이 성분을 거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공 전자 기기 랙에 특정된 계산 유닛과의 통신을 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1차 모듈은

    ·계산 유닛과 컴퓨터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1차 통신 버스를 포함한다. 이 1차 통신 버스는 잠재적으로는 단방향 타입, 양방향 타입 및/또는 다중화된(multiplexed) 타입의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러한 1차 통신 버스는 항공 전자 기기 풀-듀플렉스(full-duplex) 스위치드(switched) 이더넷 버스(AFDX)와 같은 여분의 이더넷 네트워크, 군용 표준 MIL-STD-1553 버스와 같은 다중화된 직렬 데이터 버스, 또는 Arinc 429 버스와 같은 표준 단방향 버스 또는 Arinc 429 버스(여기서 "Arinc"은 Aeronautical Radio Inc.로부터 유래함)로부터 유래된 임의의 다른 통신 버스일 수 있다.

    1차 모듈은 계산 유닛과 2차 모듈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2차 필드버스를 포함한다. 이 2차 필드버스는 유리하게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또는 몇몇 유사한 필드버스와 같은 다중화된 타입의 결정적 디지털 버스이다.

    특히, 데이터 집중을 위한 상기 2차 데이터 집중기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획득하며, 디지털에서 아날로그 포맷으로, 그리고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포맷으로 변환하고, 2차 데이터 집중기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라우팅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수집된 정보는 특히, 첫 번째는 계산 유닛에 의해, 특히 게이트웨이 유닛을 거쳐, 그리고 두 번째는 상기 선내 계기들 및/또는 상기 보고 기구에 의해 전달된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게이트웨이 성분이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계기,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회전익기의 조종사에 의해 조작 가능한 수동 제어 부재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집중시키기 위한 1차 데이터 집중기와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면, 그러한 수동 제어 부재는 제어 놉 및/또는 슬라이더로서 배치되고, 특히 제어 스틱, 더 구체적으로는 비행 제어 스틱에 설치된다.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는 적어도 전기 장비나 광학 장비에 의해 동등하게 잘 구성될 수 있는 통신 장비를 통합한다.

    더 구체적으로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는 탑재 구조물에 포함된 다양한 전기 소모 부재들에 관한 전력 공급 장비를 통합한다. 이러한 통신 장비들은 특히 인터페이스 계기(들)와 항공 전자 기기 랙(들)을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에 통합된 보조 장비들에 맞추어진 보조 커넥터들을 통해 상호 연결하고/연결하거나 탑재 구조물과 그 외부 환경 사이의 통신 장비들에 맞추어진 상기 분리 커넥터들을 통해 상기 원격 부재들을 구비한 항공 전자 기기 랙(들)과 인터페이스 계기(들)를 연결하기 위한 장비들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의 슬롯들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익기의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구를 수용하는 칸을 제공한다.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는 상기 보조 기구에 배분된 적어도 하나의 장비를 통합하여, 그것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과,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계기 및/또는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의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와 본질적으로 상기 2차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제공되는 상기 칸에 수용된 상기 보조 기구는, 예를 들면 환기, 난방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을 위한 설비이고/설비이거나 회전익기의 조명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일 수 있다.

    유리하게,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는 그 내부를 통과하여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의 전면에 제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칸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과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까지의 액세스를 주는 통로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의 상기 슬롯들은 적어도

    ·제어 패널의 전면 소자를 형성하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의 앞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계기를 수용하는 전면 소자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칸;

    ·기술적인 기구 공간을 형성하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의 뒤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칸;

    ·앞 구역과 뒤 구역 사이의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의 중간 구역에서,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를 통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로와, 가능하게는 또한 전면 소자로부터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와 기술적인 기구 공간까지의 액세스를 주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 및

    ·상기 분리 커넥터들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을 제공한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에는 탑재 구조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를 탑재하기 위한 탑재 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지지체는 복수의 지지체 중에서 선택 가능한 개수들 및 설비들로 제거 가능하고 상호 교환 가능하다. 상기 지지체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계기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칸을 포함한다.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는 또한 특히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항공 전자 기기 커넥터를 통해,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과 적어도 하나의 선내 계기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비를 통합한다.

    인터페이스 계기의 그러한 연결은 잠재적으로는 상기 2차 통신 모듈 또는 상기 1차 통신 모듈에 통합된 1차 데이터 집중기를 통해 이루어지고, 그러한 데이터 집중기는 잠재적으로는 복수의 인터페이스 계기들 및/또는 복수의 선내 계기들과 통신하는 상태에 있다.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는 유리하게는 보조 커넥터들이 제공된 보조 장비들을 통함하고, 상기 장비들은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계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의 분리 커넥터들로의 연결을 제공한다.

    메인 케이블링의 다양한 장비를 적어도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 제어 데스크, 및 계기 패널에 배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메인 케이블이 회전익기 동체의 1/4 선체 구역으로부터 상기 동체의 앞 끝 구역 쪽으로 연장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메인 케이블이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설비들을 사용하여, 각각 회전익기의 우측과 좌측 상에 있고 특히 상기 1/4 선체 구역으로부터 나오는 그러한 메인 케이블링은 탑재 구조물의 전면 구역에 있는 조종실에서의 탑재 구조물과 유리하게 통신을 행한다. 그러한 설비는 회전익기의 전면으로의, 그리고 특히 탑재 구조물 뒤의 동체의 앞 끝으로의 그러한 메인 케이블링을 취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익기의 탑재 구조물은 준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방법은 다음 동작들, 즉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를 제조하는 단계;

    ·적어도 분리 커넥터들과 아마도 또한 워크숍에서의 보조 커넥터들이 구비된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를 제조한 다음,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의 기능을 테스트하고 필요하다면 수리를 행하는 단계;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와 분리 커넥터들을 워크숍에 있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에 탑재하는 단계;

    ·워크숍에 있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에, 계산 유닛을 수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계기를 탑재하고, 적절하게 상기 보조 기구를 탑재하는 단계;

    ·워크숍에서 결과로 생긴 탑재 구조물의 기능을 테스트하고, 필요하다면 수리를 하는 단계; 및

    ·회전익기 조립 라인에 제시된 바와 같은 동체 구조물 상에서 테스트된 것과 같은 결과로 생긴 탑재 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시트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회전익기에 맞추어진 탑재 구조물의 예시도로서, 회전익기의 전면 동체 구조물 상에서의 탑재 구조물의 조립 동안의 다양한 단계들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연속 도면들( a , b , c , d , e , 및 f )로 이루어지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탑재 구조물과 회전익기 위에 분포한 원격 부재들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수단의 조직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회전익기의 전면 동체에 설치될 때의 도 1에 도시된 탑재 구조물의 예시도.

    도 1에서, 탑재 구조물(1)은 회전익기의 동체 구조물(4) 상에 하나 이상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 3')과 인터페이스 계기(2)를 함께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인터페이스 계기(2)들은 회전익기의 조종실에 맞게 되어 있고, 함께 그룹화되어 제어 패널을 이루고 있다. 인터페이스 계기(2)들은 특히 스크린들과 같은 표시 부재와, 회전익기의 조종사에 의해 움직여질 수 있는 슬라이더나 놉과 같은 제어 부재들을 포함한다.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들)(3, 3')은 보통은 개별적으로 박스의 형태로 원격 컴퓨터들(5), 보조 기구들(6) 및/또는 회전익기의 비행시 행동을 제어하기 위해 유용한 정보를 입수, 측정 및/또는 계산하기 위한 다양한 선내 계기들(7)과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산 유닛을 수용한다. 컴퓨터(5)들은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들(3, 3')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회전익기에 국부적으로 설치되고, 예를 들면 후면 항공 전자 기기 랙에 통합될 수 있다. 보조 기구(6)는, 예를 들면 편의 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회전익기를 조정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임의의 다른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탑재 구조물(1)은 회전익기의 동체 구조물(4)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를 가진다. 그러한 고정 수단은 예를 들면 실란트(sealant) 및/또는 스크류들, 볼트들, 리벳들과 같은 고정기 부재들이나 다른 유사한 고정기 부재들을 사용하는 평범한 수단이다.

    도 1의 (a), (b), (c) 및 (d)에서, 특히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에서의 슬롯들은 전면 소자를 구성하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2)의 앞 구역에서 인터페이스 계기(2)들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칸(9)들을 제공한다. 그러한 전면 소자는 특히 끌어 올려진 제어 패널의 콘솔(console)로서 배치된다.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에 의해 형성된 칸(10)들은 또한 기술적인 기구 공간을 형성하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의 뒤 구역에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을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도시된 예에서,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 3')은 각각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의 일측과 나머지측 상의 하부 구조에 배치된 2개의 측면 항공 전자 기기 랙(3')과 선택적으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의 뒤 단부에 배치된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을 포함한다.

    또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의 적어도 한 슬롯은 중간 영역에서 탑재 구조물(1)의 케이블링을 통과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로(11)를 제공한다. 그러한 케이블링은 유리하게는 탑재 구조물(1)이 동작할 수 있게 하는데 필요한 모든 전기 및/또는 광학 장비를 하나의 블록으로서 결합시키는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의 형태로 되어 있다.

    "앞", "뒤" 및 "중간"이라는 개념들은 동체 구조물(4) 상에 설치될 때 탑재 구조물(1)의 배향에 관하여 고려되어야 한다. 동체 구조물(4) 상에 설치될 때, 탑재 구조물(1)의 앞 구역은 조종실에서 회전익기의 조종사가 앉는 위치 쪽으로 앞으로 향하는 구역이다.

    탑재 구조물(1)의 뒤 구역은, 앞 구역이 조종사가 앉는 상기 위치와 뒤 구역 사이에 있도록 하는 위치인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한 뒤 구역은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의 측면 구역 또는 실제로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의 하부 구조에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의 뒤 단부에 잠재적으로 위치한다.

    탑재 구조물(1)의 중간 구역은, 앞 구역과 뒤 구역 사이에 개재된 구역으로, 인터페이스 계기(2)들과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들)(3, 3') 사이에서 연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잠재적으로는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8)에 통합된 분리 커넥터(14)들을 위해 준비된 칸(13)들을 통해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로부터 빠져 나온다.

    더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는, 그것의 앞 단부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계기(2)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칸(9)을, 그리고 뒤 단부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들)(3, 3')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칸(10)을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칸(9)은 전면 소자에 의해 연장된 콘솔로서 배치되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의 구역에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의 앞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1 칸(9)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의 단부에서와 같이,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에 대해 옆으로 잠재적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제 2 칸(10)은 각각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의 어느 일측에 있는 하부 구조에서 옆으로 배치된 2개의 상기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과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의 뒤 단부에 배치된 1개의 상기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을 포함하는, 개별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들(3, 3')을 수용한다.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를 통과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로(11)는 제 1 칸(들)(9)과 제 2 칸(들)(10) 사이에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의 앞에 배치된 제 1 칸(9)과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의 뒤 끝에 배치된 제 2 칸(10) 사이에 중간 통로가 배치된다.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는 전면으로부터 단부 쪽으로 연장하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의 중간 내부 부피와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의 하부 구조를 점유한다.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들)(11)는 또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의 앞에 배치된 제 1 칸(9)으로부터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 쪽으로 및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들)(3)을 수용하기 위한 기술적 기구 공간을 형성하는 칸(10) 쪽으로, 또는 실제로는 보조 기구(19)를 수용하기 위한 기술적 기구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 칸(18) 쪽으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통로를 유리하게 형성한다.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는 또한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를 구성하는 장비의 분리 커넥터(14)들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13)을 가진다. 그러한 분리 커넥터(14)들은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에 통합된 다양한 장비들과 탑재 구조물(1) 외부에 있는 케이블링(15, 16) 사이의 연결을 제공한다. 분리 커넥터(14)들은 탑재 구조물(1)과 그것의 외부 환경 사이에 연결을 위한 화재 안전성을 제공하기 위해,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의 하부 구조 상에 옆으로 분포되는 하우징(13)들에 수용된다.

    상기 외부 케이블링(15, 16)은 원격 부재들(5, 6, 7)과, 탑재 구조물(1)이 연결될 필요가 있는 회전익기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공급원(17)에 할당된다. 분리 커넥터(14)들은 탑재 구조물(1)과 상기 원격 부재들(5, 6, 7) 및 상기 전력 공급원(17) 사이의 연결과 분리를 쉽게 한다.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는 외측과의 탑재 구조물(1)의 연결 또는 실제로는 인터페이스 계기들(2)을 서로 연결하는 것 및/또는 인터페이스 계기들(2)을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들)(3, 3')과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장비로 구성된다. 그러한 연결들은 탑재 구조물(1)을 외측과 연결할 목적으로, 그리고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계기(2)들, 하나 이상의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들, 및/또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2)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보조 기구(19)에 할당된 장비 분리 커넥터(14)들에 개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에 구비된 분리 커넥터(14)들을 사용하여 조작자에 의해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에 의해 외측과 탑재 구조물(1)을 연결하는 것은, 예를 들면 회전익기 선내의 전기망과 같은 전력 공급원(17)을 통해 인터페이스 계기(2)들과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들)(3, 3')에 대한 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은 또한 인터페이스 계기(2)들 및/또는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들)(3, 3')이 상기 컴퓨터(5)들 중 다양한 것들, 보조 기구(6) 및/또는 회전익기 선내에 분포된 선내 계기들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한 통신은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에서 블록들로서 통합된 전기 및/또는 광학 장비에 의해 잠재적으로 제공된다.

    특히, 도 1의 (e)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의 칸(18)은 환기, 난방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을 제공하기 위한 설비와 같이, 회전익기의 보조 기구(19)를 유리하게 수용한다. 예를 들면, 그러한 칸(18)은 중간 구역, 하부 구조 또는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의 단부에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계기(2)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체(21)를 탑재하기 위한 탑재 수단(20)을 가진다. 그러한 탑재 수단(20)은 특히 예를 들면 지지체(21)를 수용하기 위한 레일들이나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들에 의해 형성되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에 통합될 수 있다. 그러한 탑재 수단(20)은 또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에 고정되는 잠재적으로 분리된 항목들이거나, 실제로는 오로지 지지체(21)를 수용하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의 특정 슬롯에 의해 잠재적으로 형성된다. 그러한 특정 슬롯은 인터페이스 계기(2)를 수용하기 위해 스스로 적합한 상기 제 1 칸(9)에 의해 잠재적으로 형성된다. 좀더 일반적으로는, 요구 조건들에 따라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의 슬롯이 상호 교환 가능하고 각각의 설비에 속하는 상기 지지체(21)들의 세트로부터 선택된 상기 이동 가능한 지지체(21)를 수용할 수 있다.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는 조작자에 의해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에 하나의 블록으로서 쉽게 설치된다.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에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를 설치하고, 설치된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의 동작을 검증하는 것은 인터페이스 계기(2)들과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들)(3)을 설치하기 전에 행해져야 한다.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는 또한 그것이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에 설치된 후 검증될 수 있다.

    일단 인터페이스 계기(2)들과 항공 전자 기기 랙들(3, 3')이 설치되었으면, 그것들 각각의 기능들이 동체 구조물(4)에 탑재 구조물(1)을 끼워넣기 전에 점검된다.

    더 구체적으로, 워크숍(도 1의 (a))에서 준비된 바와 같이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는 조립체 스테이션에 설치된다.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는 주조된 상기 탑재 수단(20)과 선택적으로 통합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탑재 수단(20)은 또한 인터페이스 계기들(2)(도 1의 (b))을 계속해서 수용할 목적으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에 추가될 수 있다.

    이후,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는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에 단일 블록으로서 탑재되고, 그것의 기능들이 검증된다(도 1의 (c)). 필요하다면, 다음 단계에서, 지지체(21)가 계속해서 인터페이스 계기들(2)을 수용하기 위해 탑재 수단(20)을 사용하여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도 1의 (d))에 설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계기들(2)과, 적절하게는 보조 기구(19)는 이후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도 1의 (e)) 일부 또는 전부에 설치되고, 그 기능이 검증된다.

    다음 단계에서는,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들)(3, 3')이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도 1의 (e))에 설치되고, 그 기능이 검증된다.

    적절하게, 임의의 나머지 인터페이스 계기들(2)이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들)(3, 3')을 설치한 후 잠재적으로 설치된다.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에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들)(3, 3')을 설치하기 전 또는 설치한 후, 인터페이스 계기들(2), 적절하게는 보고 기구(19)의 기능이 잠재적으로 검증되고, 만약 그렇지 않으면 이미 설치된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들)(3)의 기능을 검증하는 것으로 동시에 검증된다.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 인터페이스 계기들(2),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들)(3, 3'), 및 가능하게는 또한 보조 기구(19)를 구비한 기다란 구멍이 나 있는 몸체(8)를 포함하는 탑재 구조물(1)은 이후 회전익기 조립체 라인의 측면까지 취해진다. 그러한 탑재 구조물(1)은 동체 구조물(4)의 제한된 환경에도 불구하고 조작자들이 다루기 쉽다.

    동체 구조물(4)은 단일 탑재 동작(도 1의 (f))으로 탑재 구조물을 수용하기 위해, 조립체 라인에 이미 설치된다. 동체 구조물(4)에 탑재 구조물(1)을 설치하는 그러한 동작은 동체 구조물에 단일 블록으로서 탑재 구조물(1)을 고착시키고, 각각 원격 부재들(5, 6, 7)과 전력 공급원(17)과 연관된 외부 케이블링(15, 16)과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12) 사이의 분리 커넥터들(14)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쉽게 행해진다.

    도 3에서, 탑재 구조물(1)은 도 1에 도시된 배치들에 따라 조립되고, 동체 구조물(4)에 조립된 후에 설치된다. 탑재 구조물(1)은 조작자에 의해 동체 구조물(4)에 신속하게 용이하게 설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호 맞물림, 접착제 결합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고정기 수단 및/또는 리벳들, 스크류들, 또는 볼트들과 같은 독립된 고정기 부재들에 의해, 탑재 구조물(1)은 동체 구조물(4), 특히 플로어(floor) 구조물에 고정된다.

    하부 구조에서 그리고 탑재 구조물(1)의 앞 구역에서 액세스 가능한 분리 커넥터들(14)을 통해, 하나 이상의 외부 케이블(15, 16)과 탑재 구조물(1)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러한 외부 케이블(15, 16)은 우측 외부 케이블(15)과 좌측 외부 케이블(16)로서 유리하게 옆으로 분포되어 있다. 탑재 구조물(1)의 앞에 배치된 분리 커넥터들(14)을 통해 탑재 구조물(1)을 연결시키는 것은 회전익기의 뒤 구역 또는 중간 구역으로부터 탑재 구조물(1)의 뒤에 위치한 회전익기의 코 구역 쪽으로 외부 케이블(15, 16)을 연장시킬 필요성을 회피한다.

    도 2에서는 도 1에 도시된 탑재 구조물에 통합된 단일 케이블링 조립체가 탑재 구조물 외부의 다양한 원격 부재들(5, 6, 7)과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들)(3, 3')간의 통신 신호들을 운반하기 위한 항공 전자 기기 커넥터들(22, 23, 24)을 포함한다. 이들 원격 부재들은 특히 적어도 하나의 상기 컴퓨터(5), 상기 보조 기구(6), 및 상기 선내 계기(7)를 포함한다.

    항공 전자 기기 커넥터들(22, 23, 24)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상기 컴퓨터(5)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보조 기구(6)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선내 계기(7)와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들)(3, 3')의 계산 유닛(25)의 연결을 적어도 분리하도록 분리된다. 항공 전자 기기 커넥터들은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들)(3, 3')과 상기 컴퓨터(5) 사이의 1차 커넥터 세트(22)와, 항공 전자 기기 랙(들)(3, 3')과 상기 보조 기구(6) 및/또는 선내 계기들(7)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2차 커넥터 세트(23)를 포함하는 세트들로 분리된다.

    비한정적인 예들로서, 컴퓨터(들)(5)는 특히 회전익기가 흔히 구비하는 다음 제어 유닛들 중 적어도 임의의 것에 통합된다:

    ·FADEC(full authority digital engine control) 유닛과 같은, 회전익기에 구비된 파워 플랜트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유닛;

    ·HUMS(health and usage monitoring system)과 같이, 회전익기의 동작을 모니터하기 위한 유닛;

    ·일반적은 방식으로, 회전익기 선내에 분포된 하나 이상의 항공 전자 기기 랙들, 그리고 특히 후면 항공 전자 기기 랙. 그러한 전자 기기 랙들은 회전익기의 조종을 제어하는데 필수적인 다양한 계산 수단을 수용한다;

    ·FCC(flight control computer)와 같은, 전기 비행 제어 모듈들; 및

    ·AVAS(antivibration active system)과 같은 방진 시스템.

    탑재 구조물과 통신하는 보조 기구(들)(6)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계기 및/또는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3, 3')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계산 유닛(25)으로부터 제어되는 동작의 회전익기의 적어도 하나의 부속물(accessory)을 포함한다.

    상기 선내 계기(7)는 특히 계산 유닛(25)을 실행시키기에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는 부재(26)로 구성될 수 있다. 비한정적인 예들로서, 그러한 선내 계기(7)는 예를 들면 정보 센서(27), 액추에이터(28) 및/또는 측정 및/또는 계산 계기(29)일 수 있다. 그러한 선내 계기(7)는 보통 회전익기의 동작을 조종사가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회전익기에 구비된다. 조종사는 사람 및/또는 오토파일럿(autopilot)일 수 있다.

    탑재 구조물,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전면 항공 전자 기기 랙(들)(3, 3')은 탑재 구조물 외부의 상기 원격 부재들(5, 6, 7)과 계산 유닛(25) 사이의 통신을 위한 1차 모듈(30)을 통합한다. 그러한 1차 모듈(30)은 어느 원격 부재(5, 6, 7)가 계산 유닛(25)과 통신할지에 따라 다양한 통신 버스(31, 32)를 이용한다.

    1차 모듈(30)은 메인 커넥터(22)를 가지는 항공 전자 기기 커넥터를 통해 탑재 구조물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5)와 통신을 행한다. 계산 유닛(25)과 상기 컴퓨터(5) 사이의 통신은 계산 유닛(25)과 원격 컴퓨터(들)(5) 사이에 교환된 정보의 기능에 관한 요구 사항에 따라 1차 통신 버스(31)에 걸쳐 일어난다.

    이러한 상황에서, 계산 유닛(25)과 원격 컴퓨터(들)(5) 사이의 1차 통신 버스(31)는 적어도 단방향 타입, 양방향 타입 및/또는 다중화된 타입의 통신 버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그러한 통신 버스들에서 사용된 중재 프로토콜은 바람직하게는 마스터-슬레이브 타입 또는 토큰-링 타입일 수 있는 관계를 이용하는 결정성인 것이다.

    1차 모듈(30)은 계산 유닛(25)을 적어도 하나의 2차 통신 모듈(36)에 연결하는 2차 커넥터 세트(23)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항공 전자 기기 커넥터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구(6)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선내 계기(7)와 통신을 행한다. 1차 모듈(30)과 적어도 하나의 보조 기구(6)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선내 계기(7) 사이의 통신은 2차 통신 버스(32)를 이용한다.

    메인 커넥터 세트(22)와 2차 커넥터 세트(23)는 잠재적으로 하나의 항공 전자 기기 커넥터에 통합되거나, 각각의 항공 전자 기기 커넥터에 잠재적으로 통합된다.

    더 구체적으로, 1차 모듈(30)은 계산 유닛(25)과 2차 항공 전자 기기 커넥터(23) 사이에 개재된 게이트웨이 성분(33)을 포함한다. 이 게이트웨이 성분(33)은 또한 수동 제어 부재로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사람-기계 인터페이스 계기(35)와 통신을 행하는 1차 데이터 집중기(34)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그러한 수동 제어 부재는 예를 들면 회전익기의 조종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비행 제어 스틱에 배치된 제어 놉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 성분(33)은 2차 통신 모듈(36)에 포함된 2차 데이터 집중기(37)와 통신을 행한다. 이 2차 집중기(37)는 보조 기구(6) 및/또는 선내 계기(7)에 의해 발생된 정보(26)를 수집하고, 게이트웨이 성분(33)을 통해 계산 유닛(35)으로부터 나오는 정보(38)를 수집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2차 집중기(37)는 특히 수집된 정보(26, 38)를 수신하고 획득하는 기능들과, 수집된 정보(26, 38)를 디지털/아날로그 데이터 포맷들과 아날로그/디지털 데이터 포맷들 사이에서 변환하는 기능들을 포함한다. 2차 집중기(37)는 또한 다양한 종류의 수집된 정보(26, 38)를 라우팅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