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저장 장치 및 영상 저장 방법

申请号 KR1020090043960 申请日 2009-05-20 公开(公告)号 KR1020100124980A 公开(公告)日 2010-11-30
申请人 엠텍비젼 주식회사; 发明人 조성엽;
摘要 PURPOSE: A video record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prevent the damage on stored and recorded even when main power inputted to an image recording device is abnormally blocked. CONSTITUTION: A temporary storage unit(250) temporarily store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n inputted image, and a permanent storage unit(255) stores image data by moving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If the driving power of an image recording device is supplied by a supplementary power unit, a controller processes the image data to move to the permanent storage unit.
权利要求
  • 보조 전원부를 구비한 영상 녹화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는 임시 저장부;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이동 저장되는 영구 저장부; 및
    상기 영상 녹화 장치의 구동 전원이 상기 보조 전원부에 의해 공급됨이 인식되면, 미리 지정된 데이터 크기 조건 및 미리 지정된 이동 저장 시간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지 않더라도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상기 영구 저장부로 이동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녹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부의 전압 및 온도를 측정한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값에 따른 상기 보조 전원부의 잔량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녹화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추정된 상기 잔량을 참조하여 상기 임시 저장부에 추가 저장되는 추가 저장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구 저장부로 이동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녹화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로부터 순차적 입력되는 측정값들에 의해 상기 보조 전원부의 전압 감소가 인식되면 상기 보조 전원부에 의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녹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외부 전원인 차량 전원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류용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영상 녹화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원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상기 영상 녹화 장치의 구동 전압으로 감압하는 변압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녹화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부는 상기 외부 전원의 공급에 의해 충전되는 전기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녹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인코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코딩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녹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센싱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이벤트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녹화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가속도 센서, 진동 센서, 각속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녹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저장부는 상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 이벤트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 비상상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각각 할당되는 복수의 구분 저장영역들을 포함하되,
    상기 영상 녹화 장치의 구동 전원이 상기 보조 전원부에 의해 공급됨이 인식된 경우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비상상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이동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녹화 장치.
  • 영상 녹화 장치에서 수행되는 영상 저장 방법에 있어서,
    (a) 입력된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b) 보조 전원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보조 전원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경우, 미리 지정된 데이터 크기 조건 및 미리 지정된 이동 저장 시간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지 않더라도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영구 저장부로 이동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저장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보조 전원부의 전압 및 온도가 측정된 측정값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측정값을 참조하여 상기 보조 전원부의 전압이 이전보다 감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전압이 감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 전원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녹화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미리 저장된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값에 따른 상기 보조 전원부의 잔량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는 영상 녹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은 잔여 시간으로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녹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추정된 상기 잔량을 참조하여 상기 임시 저장부에 추가 저장되는 추가 저장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구 저장부로 이동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녹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입력된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는 인코딩 처리되어 상기 영상 데이터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녹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이벤트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신호를 해석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가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녹화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가속도 센서, 진동 센서, 각속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녹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저장부는 상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 이벤트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 비상상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각각 할당되는 복수의 구분 저장영역들을 포함하되,
    상기 영상 녹화 장치의 구동 전원이 상기 보조 전원부에 의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비상상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이동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녹화 방법.
  •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영상 녹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说明书全文

    영상 저장 장치 및 영상 저장 방법{Video record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영상 저장 장치 및 그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생활 필수품화되어 감에 따라 주정차 문제, 교통 문제 및 교통 사고 등의 부작용도 증대되고 있다.

    특히, 교통 사고는 당사자간에 합의에 따라 원만하게 해결되는 경우도 있지만, 과실 정도의 판단이 모호한 경우 당사자간의 합의가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며, 뺑소니 사고의 경우에는 도의적인 측면에서 매우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한 교통사고 처리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항공기의 블랙박스와 같은 장치를 차량에도 실제 탑재하여 사고 처리시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기록 저장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외에, 사고 상황에서의 음성이나 다양한 차량의 주행 정보를 추가로 기록 저장하는 방식도 개발되고 있다. 기록되는 차량의 주행 정보에는 차량의 속도, 핸들각도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영상 녹화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차량 배 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처리한 후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 저장 매체에는 차량이 운행되는 동안 촬영된 영상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그러나, 저장매체의 제한된 저장 용량의 한계 때문에,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한 이벤트 입력시 촬영된 영상이 비휘발성 메모리 등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도록 하는 방식 또는/및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충격 센서로 감지하여 차량 사고의 발생으로 인식된 경우 발생되는 이벤트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저장 매체에 저장되도록 하는 방식 등이 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녹화 영상 데이터 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동이 온(on) 된 경우 전원 공급부(50)의 제1스위치(1)는 온 되고, 차량 배터리(20)의 차량 전원은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지하는 충격센서(70) 및 녹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 표시부(80)에 공급되며, 또한 정류 다이오드(55)를 통해 정류된 후 영상 녹화 장치(60)에 공급된다.

    한편, 시동 온 감지신호를 입력 받은 낸드 게이트(51)는 제2스위치(53)를 온 시킨다. 이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충전 배터리(54)에 충전된 보조 전원은 제2스위치(53)와 정류 다이오드(56)를 통해 공급할 수 있는데, 차량 전원의 전압보다 보조 전원의 전압이 낮게 설정되어 실제로 영상 녹화 장치(60)에 공급되지 않는다. 그 이후 시동 오프 되어 제1스위치(52)가 오프 되면 차량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충전 배터리의 보조 전원은 영상 녹화 장치(60)에 공급된다.

    전원 모니터링부(40)는 제1스위치(52)와 정류 다이오드(55) 사이에 일단이 접지측에 타단이 연결되어 차량 전원을 분압하기 위한 분압 저항(Ra)과 제너 다이오드(Da)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분압된 전압을 영상 녹화 장치(60)에 인가된다.

    영상 녹화장치(60)는 촬영부(90)를 통해 촬영한 영상을 녹화하고 녹화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 영상 데이터 프로세서, 비디오 인코더, 키패드, 클럭 발생부를 포함하며, 녹화 영상을 임시 저장하기 위한 제1 메모리와 제1메모리에 임시 저장한 녹화 영상의 일부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를 포함한다.

    제1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로서 SDRAM이며, 상기 제2 메모리는 차량 전원 및 보조 전원 없이도 저장한 녹화 영상을 보존할 수 있는 비 휘발성 메모리로서 낸드 플래쉬(NAND Flash) 메모리를 사용한다. 제2 메모리는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부를 매개로 통신하여 저장한 녹화 영상을 컴퓨터에 전송한다.

    영상 녹화 장치(60)는 차량 전원 또는 보조 전원을 공급 받는데, 차량 전원을 공급 받는 동안 촬영된 영상을 녹화하기 위해 제1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고, 시동 오프 되어 보조 전원을 공급 받는 경우 증거 영상을 자동으로 확보하기 위해 제1 메모리에 임시 저장된 영상의 일부를 제2 메모리에 다운로드하여 옮기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1메모리는 선입선출(FIFO) 방식에 따라 최근 촬영된 영상을 임시 저장하며, 저장 용량을 넘는 경우 먼저 저장된 영상을 지우고 새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계속하여 촬영 영상을 임시 저장한다. 그러다가 시동 오프가 발생하면 임시 저장된 촬영 영상 중 시동 오프부터 일정 용량의 촬영 영상을 제2메모리에 다운로드한다.

    제2 메모리에는 충격 센서(70)에 의한 경우 또는 키패드에 마련된 이벤트 키의 조작에 의한 경우에 한하여 일정 용량의 촬영 영상을 저장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제1 메모리에서 다운로드 받는 일정 용량의 촬영 영상을 저장한다.

    또한, 영상 녹화 장치(60)는 녹화 영상을 제2 메모리에 다운로드하는 동작을 완료한 경우, 다운로드 완료 신호를 낸드 게이트(51)에 인가한다. 이때 낸드 게이트(51)는 제2스위치(53)를 오프하여 보조 전원을 차단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녹화 데이터 영상 처리 장치는 주 전원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시동 온 여부를 감지하여야 하며, 그에 따라 스위치를 온/오프하는 복잡한 처리 구조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를 때, 전원이 차단되거나 시동이 꺼짐을 감지하고 보조 전원의 스위치를 온(on)하는 동안 시차가 발생하는 경우 시스템이 순간적으로 꺼져 휘발성 메모리의 정보가 유실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아울러, 종래기술의 보조 전원의 전압 감지 방식은 전원을 감지하는 과정에서 노이즈 감소를 위해 필터의 사용이 요구되고 또한 전압 레벨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때문에 전원의 차단이 늦게 인식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영상 녹화 장치로 입력되는 주 전원이 비정상적으로 차단된 경우 녹화 또는 저장중인 데이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영상 저장 장치 및 영상 저장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 전원의 비정상적 차단 및 보조전원의 활성화를 영상 저장 유닛에 통지함으로써 현재 진행중인 녹화 및 데이터의 저장을 안전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영상 저장 장치 및 영상 저장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 전원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시동 온(on) 여부를 감지할 필요가 없어 간단한 처리구조로 구현될 수 있는 영상 저장 장치 및 영상 저장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전원의 전압 측정을 통해 외부 전원 차단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보조 전원의 잔량 측정이 가능한 영상 저장 장치 및 영상 저장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전원의 잔량 측정을 통해 비상(emergency) 처리를 위한 여유 시간을 미리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비상 이벤트 처리가 가능한 영상 저장 장치 및 영상 저장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영상 녹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원부를 구비한 영상 녹화 장치는, 입 력된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는 임시 저장부;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이동 저장되는 영구 저장부; 및 상기 영상 녹화 장치의 구동 전원이 상기 보조 전원부에 의해 공급됨이 인식되면, 미리 지정된 데이터 크기 조건 및 미리 지정된 이동 저장 시간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지 않더라도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상기 영구 저장부로 이동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녹화 장치는 상기 보조 전원부의 전압 및 온도를 측정한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값에 따른 상기 보조 전원부의 잔량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추정된 상기 잔량을 참조하여 상기 임시 저장부에 추가 저장되는 추가 저장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구 저장부로 이동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로부터 순차적 입력되는 측정값들에 의해 상기 보조 전원부의 전압 감소가 인식되면 상기 보조 전원부에 의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녹화 장치는 상기 보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외부 전원인 차량 전원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류용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녹화 장치는 상기 차량 전원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상기 영상 녹화 장치의 구동 전압으로 감압하는 변압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전원부는 상기 외부 전원의 공급에 의해 충전되는 전기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녹화 장치는 상기 입력된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인코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코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녹화 장치는 센싱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이벤트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가속도 센서, 진동 센서, 각속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구 저장부는 상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 이벤트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 비상상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각각 할당되는 복수의 구분 저장영역들을 포함하되, 상기 영상 녹화 장치의 구동 전원이 상기 보조 전원부에 의해 공급됨이 인식된 경우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비상상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이동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영상 녹화 장치에서 수행되는 영상 녹화 방법 및/또는 상기 영상 녹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녹화 장치에서 수행되는 영상 저장 방법은, (a) 입력된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b) 보조 전원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보조 전원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경우, 미리 지정된 데이터 크기 조건 및 미리 지정된 이동 저장 시간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지 않더라도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영구 저장부로 이동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는, 상기 보조 전원부의 전압 및 온도가 측정된 측정값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측정값을 참조하여 상기 보조 전원부의 전압이 이전보다 감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압이 감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 전원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전원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미리 저장된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값에 따른 상기 보조 전원부의 잔량을 추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량은 예를 들어 잔여 시간으로 추정될 수 있다.

    추정된 상기 잔량을 참조하여 상기 임시 저장부에 추가 저장되는 추가 저장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구 저장부로 이동 저장할 것인지 여부가 더 판단될 수 있다.

    입력된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는 인코딩 처리되어 상기 영상 데이터로 생성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신호를 해석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가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가속도 센서, 진동 센서, 각속도 센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구 저장부는 상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 이벤트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 비상상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각각 할당되는 복수의 구분 저장영역들을 포함하되, 상기 영상 녹화 장치의 구동 전원이 상기 보조 전원부에 의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비상상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이동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녹화 장치로 입력되는 주 전원이 비정상적으로 차단된 경우 녹화 또는 저장중인 데이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급 전원의 비정상적 차단 및 보조전원의 활성화를 영상 저장 유닛에 통지함으로써 현재 진행중인 녹화 및 데이터의 저장을 안전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주 전원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시동 온(on) 여부를 감지할 필요가 없어 간단한 처리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외부 전원에 대한 감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시스템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에 영향이 적어 전원 감지(시동감지)를 위한 노이즈 방지 회로가 필요하지 않은 효과도 있다.

    또한, 보조 전원의 전압 측정을 통해 외부 전원 차단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보조 전원의 잔량 측정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보조전원의 잔량 측정을 통해 비상(emergency) 처리를 위한 여유 시간을 미리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비상 이벤트 처리가 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차량 전원 차단 시에도 추가적(보조 전원의 잔량만큼)으로 영상 녹화를 진행 할 수 있어, 사고 발생의 경우 사고 영상을 더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의 저장 영역을 상시 녹화, 이벤트 녹화, 전원차단 녹화 등으로 구분하여 적용함으로써 저장 데이터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 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녹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녹화 장치(210)는 전원 공급 유닛(215) 및 영상 저장 유닛(220)을 포함한다.

    전원 공급 유닛(215)은 영상 저장 유닛(22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이다. 전원 공급 유닛(215)의 동작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영상 저장 유닛(220)은 이벤트 감지부(230), 프로그램 저장부(235), 영상 입력부(240), 인코딩/디코딩부(245), 제1 저장부(250), 제2 저장부(255), 표시부(260), 입력부(270) 및 제어부(275)를 포함한다.

    이벤트 감지부(230)는 미리 지정된 이벤트(예를 들어, 접촉 사고, 충돌 사고, 전복 사고 등)가 발생되었는지 여부가 감지되도록 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75)로 제공한다. 이벤트 감지부(230)는 센싱 신호의 생성을 위해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진동 센서, 각속도 센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5)는 입력되는 센싱 신호를 해석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것이다.

    프로그램 저장부(235)는 영상 녹화 장치(210) 및/또는 영상 저장 유닛(220)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수단이다. 프로그램 저장부(235)에는 예를 들어 제어부(275)의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저장 보관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235)는 제1 저장부(250) 및 제2 저장부(255) 중 하나 이상과 통합된 저장 수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영상 입력부(240)는 입력되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영상 입력부(240)는 예를 들어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Image Signal Processor)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디코딩부(245)는 영상 입력부(24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인코딩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제1 저장부(250) 및 제2 저장부(255) 중 하나 이상에 저장하거나, 제1 저장부(250) 또는 제2 저장부(255)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표시부(26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인코딩/디코딩부(245)는 인코딩 기능을 수행하는 인코딩부와 디코딩을 기능을 수행하는 디코 딩부로 분리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는 제1 저장부(250)에 저장된 후, 제어부(275) 또는/및 인코딩/디코딩부(245)의 제어에 의해 일정 시간 단위 또는 일정 데이터 크기 단위마다 제2 저장부(255)로 이동 저장될 수도 있다.

    제1 저장부(250)는 인코딩/디코딩부(245)에 의해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이다. 제1 저장부(250)는 예를 들어 SRAM, SDRAM, DDR 등의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저장부(255)는 제1 저장부(250)에 임시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이동 저장하여 영구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이다. 여기서, 영구 저장이란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삭제, 제2 저장부(255)에 대한 오류 원인에 따른 임의 삭제 등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해당 영상 데이터가 제2 저장부(255)에 저장된 상태로 유지됨을 의미한다. 제2 저장부(255)는 예를 들어 NAND FLASH, NOR FLASH, SD CARD, MMC CARD, CF CARD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저장부(250) 및 제2 저장부(255)를 구분하기 위한 제1, 제2의 용어는 저장부의 명칭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유사 기능을 수행하는 저장부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따라서, 제1 저장부(250)는 예를 들어 임시 저장부, 제2 저장부(255)는 예를 들어 영구 저장부 등의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표시부(260)는 영상 녹화 장치(210)의 동작 상태, 전원 공급 유닛(215)에 의한 전원 공급 상황, 인코딩/디코딩부(245)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 등 중 하나 이상을 시각적 정보로서 출력한다.

    입력부(270)는 사용자 조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입력부(270)는 예를 들어 기계식 키 버튼, 터치 센서, 적외선 리모콘 수신부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표시부(260)가 터치 감응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표시부(260)과 입력부(270)는 일체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275)는 이벤트 감지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이벤트 감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원 공급 유닛(215)의 보조 전원부(350)에 의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지 여부 등을 판단하여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각 구성 요소가 지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차량 전원부(200)로부터 영상 녹화 장치(210)를 위한 구동 전원의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차량 전원부(200)로부터 유입되는 구동 전원의 전압이 보조 전원부(350)의 전압보다 낮아지는 경우 보조 전원부(350)로부터 구동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또한 이를 영상 저장 유닛(22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차량 전원부(200)는 차량 배터리, 차량 발전기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영상 녹화 장치(210)는 예를 들어 차량 내의 시거잭에 전원 단자가 연결되어 차량 전원부(200)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시거잭에 연결 된 전원 단자가 탈착되거나 비정상적으로 유동되는 경우, 영상 녹화 장치(210)는 정상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비상(emergency)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전원부(200)의 방전 등의 이유로 차량 전원부(200)로부터 유입되는 구동 전원의 전압이 보조 전원부(350)의 전압보다 낮아지는 경우에도 영상 녹화 장치(210)는 비상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녹화 장치(210)가 비상 상태가 발생되었음을 인식한 경우, 제1 저장부(250)에 저장되었거나 인코딩/디코딩부(245)에 의해 처리중인 영상 데이터에 대한 신속하고 안전한 처리가 요구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전원 공급 유닛(215)의 구성 및 기능 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 유닛(215)은 정류용 다이오드(310), 변압부(320), 전원 공급부(330), 스위칭부(340), 보조 전원부(350) 및 측정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구성요소들 모두는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닐 수도 있으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예를 들어, 변압부(320) 등)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정류용 다이오드(310) 보조 전원부(350)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경우 외부로 전원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며, 차량 전원부(200)의 전원 극성이 사용자 실수 등의 이유로 역전압으로 공급되는 경우에도 시스템을 보호한다.

    변압부(320)는 차량 전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의 레벨이 영상 녹화 장치(210)의 동작 전원보다 고압인 경우(예를 들어,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전원은 5V이고, 공급 전원이 12V 또는 24V 등인 경우), 영상 녹화 장치(210)의 동작 전원 레벨로 감압하고 감압된 전압 레벨로 일정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전원 공급부(330)는 영상 녹화 장치(210) 및/또는 영상 저장 유닛(220)가 동작을 위해 요구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이다. 전원 공급부(330)는 유형의 구성요소이거나 개념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스위칭부(340)는 쇼트(short) 상태에서 차량 전원부(200)로부터 정상적으로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보조 전원부(350)가 이를 이용하여 충전되도록 하고, 차량 전원부(200)에서 정상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보조 전원부(35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스위칭부(340)는 보조 전원부(350)에 의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도중 사용자에 의한 동작 종료 명령 입력시 제어부(275)의 제어에 의해 오픈(open) 상태로 전환되어 영상 녹화 장치(210)에 구동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전원 차단). 물론, 스위칭부(340)는 생략되어 해당 구간이 항상 쇼트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전원 차단은 제어부(275)의 동작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보조 전원부(350)는 차량 전원부(200)로부터 정상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영상 녹화 장치(210)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이다. 보조 전원부(350)는 예를 들어 콘덴서, 충전용 배터리, 비충전용 배터리 등 중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측정부(360)는 보조 전원부(350)의 상태를 측정하여 측정한 정보를 제어부(275)로 제공한다. 측정부(360)는 예를 들어 보조 전원부(350)의 전압, 온도 등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360)는 전압 측정을 위해 예를 들어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DC), 전압 디텍터, 비교기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 고, 온도 측정을 위해 예를 들어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5)는 측정부(360)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 유닛(215)이 제공하는 구동 전원이 차량 전원부(200)로부터 제공되는 것인지 보조 전원부(350)로부터 공급되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보조 전원부(350)로부터 공급되는 경우 비상 상태로 인식하여 신속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원부의 온도별 용량변화 그래프를 예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 전원부(350)는 배터리, 고용량 콘덴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들은 주변 온도에 따른 용량 변화가 큰 전기소자들로서 도 4의 그래프에 예시된 바와 같은 특성이 나타난다.

    예시된 특성 그래프를 이용하여 온도와 전압에 따른 용량 테이블을 미리 만들어 임의의 저장부(예를 들어 프로그램 저장부(235))에 저장하여 유지하면, 제어부(275)는 측정부(360)에 의해 측정된 정보(즉, 전압 및 온도)를 참조하여 보조 전원부(350)에 의한 전원 공급이 가능한 잔량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75)는 추정한 잔량에 따라 영상 데이터 인코딩 및/또는 제1 저장부(25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의 처리 등의 시점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다만, 특성 그래프는 소자마다, 제조사마다 상이할 수 있으므로 사용, 적용하는 소자의 특성 자료 또는 범용으로 활용 가능한 특성 자료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테이블이 구비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저장부의 영상 데이터 저장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제1 저장부(250)는 영상 입력부(240)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인코딩/디코딩부(245)에 의해 인코딩 처리된 영상 데이터가 임시로 저장되는 저장 영역이다. 제1 저장부(250)에는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는 차량 전원부(200)로부터의 전원 차단 시점을 기준으로 편의상 상시/이벤트 녹화 영상 데이터, 전원 차단 시점의 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전원 차단 시점에 인코딩/디코딩부(245)에 의해 처리되는 중이거나, 제2 저장부(255)로 이동 저장되지 않고 제1 저장부(250)에 남아있던 영상 데이터), 추가 저장 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전원 차단 시점의 영상 데이터에 대한 이동 저장 후 추가적으로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2 저장부(255)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저장 영역으로 구분되어 제1 저장부(250)의 영상 데이터가 이동 저장될 수 있다. 제1 저장부(250)의 영상 데이터가 제2 저장부(255)로 이동 저장되는 과정은 제어부(275) 또는/및 인코딩/디코딩부(245)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저장부(255)의 영역별 저장 공간이 가득 찬 경우는 예를 들어 가장 오래된 데이터부터 삭제되어 저장 공간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 전원부(200)로부터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제1 저장부(25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제2 저장부(255)의 상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501) 또는 이벤트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502)으로 이동 저장된다. 즉, 제어부(275)의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저장부(25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상시 녹화 영상 데이터인 경우 상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501)으로 이동 저장되고, 제1 저장부(25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이벤트 녹화 영상 데이터인 경우 이벤트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502)로 이동 저장된다.

    그러나, 차량 전원부(200)로부터 정상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보조 전원부(350)로부터 동작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제1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는 비상상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503)으로 이동 저장된다. 또한, 이동 저장 후 추가적으로 제1 저장부(250)에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들도 비상상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503)으로 저장된다.

    이후, 차량 전원부(200)로부터 정상적인 전원 공급이 재개된 이후 제어부(275)는 이벤트 발생 이력을 참조하여 비상상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503)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들을 상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501) 또는 이벤트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502)으로 이동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저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녹화 장치(210)는 차량 전원부(2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단계 610), 단계 620으로 진행하여 영상 저장 유닛(220)의 동작을 개시한다. 차량 전원부(200)는 예를 들어 차량 배터리, 차량 발전기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영상 녹화 장치(210) 및/또는 영상 저장 유닛(220)은 예를 들어 사용자 의 동작 개시 명령에 의해 구동 개시될 수 있다. 또한, 단계 610의 전원 공급에 의해 보조 전원부(350)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계 630에서 영상 저장 유닛(220)의 인코딩/디코딩부(245)는 영상 입력부(24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인코딩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제1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제1 저장부(25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제어부(275) 또는/및 인코딩/디코딩부(245)의 처리에 의해 일정 시간 단위 또는/및 일정 데이터 크기 단위마다 제2 저장부(255)로 이동 저장될 것이다.

    또한, 단계 640에서 측정부(360)는 보조 전원부(350)의 전압을 측정한 측정값을 제어부(275)로 제공한다.

    단계 650에서 제어부(275)는 이벤트 감지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이벤트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이벤트 상황이 아니라면 단계 660으로 진행하여 제1 저장부(25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제2 저장부(255)의 상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501)으로 이동 저장되도록 한다.

    그러나 만일 이벤트 상황이라면 단계 670으로 진행하여 제1 저장부(25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제2 저장부(255)의 이벤트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502)으로 이동 저장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 660 및 단계 670은 제어부(275)에 의한 이벤트 발생 판단 직후에 수행되지 않고 미리 지정된 시간 단위마다 또는/및 미리 지정된 저장 데이터 크기마다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680에서 측정부(360)는 보조 전원부(350)의 전압을 측정한 측정값을 제어부(275)로 제공한다.

    단계 690에서 제어부(275)는 보조 전원 전압이 설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설정값은 보조 전원부(350)에 의한 전원 공급이 가능한 정도로 충전이 이루어졌는지(즉, 보조 전원으로 기능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값이다.

    만일 보조 전원부(350)가 보조 전원으로 기능할 수 있을 정도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620으로 다시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보조 전원부(350)에 의해 보조 전원으로 기능할 수 있을 정도의 충전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710으로 진행한다.

    단계 710에서 제어부(275)는 단계 680을 통해 측정된 전압값이 단계 640을 통해 측정된 전압값보다 감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전압값 감소가 없었다면 단계 620으로 다시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전압값이 감소되었다면 보조 전원부(350)에 의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면 비상상태에서의 영상 녹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단계 720에서 제어부(275)는 측정부(360)로부터 추가적으로 제공된 보조 전원부(350)의 주변 온도 및 미리 저장된 용량 테이블을 이용하여 보조 전원부(350)에 의한 전원 공급이 가능한 잔량을 추정한다.

    이어서, 단계 730으로 진행하여 제1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가 제2 저장부(255)의 비상상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503)으로 이동 저장되 도록 한다. 즉, 단계 730에 의해 영상 데이터의 이동 저장을 위해 지정된 시간 단위 및/또는 제1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의 크기가 미리 지정된 크기 단위 이하일지라도 영상 데이터의 보존을 위해 제2 저장부(255)로 이동 저장된다.

    단계 740에서 제어부(275)는 추정된 보조 전원부(350)의 잔량(예를 들어 추가 저장 가능한 시간 등)을 참조하여 영상 데이터의 추가 저장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추가 저장이 가능하다면 단계 730으로 진행하여 인코딩/디코딩부(245)에 의해 처리되어 제1 저장부(250)에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가 제2 저장부(255)의 비상상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503)으로 이동 저장되도록 한다.

    그러나 만일 추가 저장이 가능하지 않다면 제어부(275)는 단계 750으로 진행하여 비상상태 녹화 데이터 저장 영역(503)에 저장하던 파일을 종료(즉, 이동 저장의 종료)한다.

    이어서, 단계 760에서 제어부(275)는 스위칭부(340)가 오픈(open)되도록 제어하여 영상 저장 유닛(220)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지함으로써 영상 녹화 장치(210)의 구동을 종료한다. 물론, 영상 녹화 장치(210)의 구동 종료는 스위칭부(340)의 조작 없이 제어부(275)에 의한 소프트웨어적 처리에 의할 수도 있다.

    상술한 영상 저장 방법은 영상 녹화 장치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 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녹화 영상 데이터 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녹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원부의 온도별 용량변화 그래프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저장부의 영상 데이터 저장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 장치의 영상 저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