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申请号 KR1020070138943 申请日 2007-12-27 公开(公告)号 KR1020090070812A 公开(公告)日 2009-07-01
申请人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发明人 박원우; 차주엽; 방정현;
摘要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ording accident information of a vehicle are provided to allow accurate and private analysis by recording not only a black box but also a surrounding condition. A sensing information receiver(120) receives the signal of occurring accident and accident information in the event occurrence. A triggering executor(180) performs triggering when a sens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receives the accident information. Vehicle information receiving unit(13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cars positioned in response to the triggering execution within the communications region of the road side unit. An information processor(170) processes the acciden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f cars.
权利要求
  • 노변기지국과 연결되어 사고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신그호 및 사고 정보를 수신하는 센싱 정보 수신부;
    상기 센싱 정보 수신부에서 사고 발생신호를 수신하면 트리거링을 실행하는 트리거링 실행부;
    상기 트리거링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차량정보 수신부; 및
    상기 사고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실행부에서 트리거링이 실행되면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들에게 차량정보를 요청하는 정보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는,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고차량의 정보 및 목격차량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는,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영역 내에 위치하는 각 차량의 식별 정보, 사고차량의 정보 및 목격차량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실행부는, 상기 사고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설정시간 동안 상기 센싱 정보 수신부와 연결된 센서들을 작동시키고, 상기 정보요청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사고 현장을 기록할 수 있는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 및 사고음을 기록할 수 있는 음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의 정보를 상기 노변기지국에 이웃하는 노변기지국 및 교통관제선터에 전송하는 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
  • 노변기지국과 연결되어 사고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a) 사고 발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사고 발생신호에 응답하여 트리거링을 실행하는 단계;
    (c)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정보의 수집 및 사고 정보의 수집을 요청하는 단계; 및
    (d) 상기 차량정보 및 사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설정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후에, (e) 상기 수신한 차량정보 및 사고 정보를 상기 노변기지국 외의 노변기지국 및 교통관제센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후에, (f) 상기 차량정보 및 사고 정보를 수신한 노변기지국에서 통신영역 내의 차량에 상기 차량정보 및 사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는,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영역 내에 위치하는 각 차량의 식별 정보, 사고차량의 정보 및 목격차량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정보는, 상기 사고발생시 센서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 및 음향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사고현장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
  • 说明书全文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ccident information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고 발생시에 차량 내부의 정보뿐 아니라 교통사고가 발생한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도 기록하고,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교통상황 등을 차량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거리전용통신(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DSRC)은 교통정보 및 제어 시스템(Transport Information and Control System, TICS)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5.8GHz 대역의 지능형교통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TS) 전용의 단거리(100m이내) 통신을 말한다.

    단거리전용통신은 자동요금징수, 도로교통 안전정보 제공 등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첨단 도로교통환경의 구축, 교통 효율화 및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현재는 고속도로 통행료를 징수할 때 사용되는 하이패스 등에 서 도입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단거리전용통신의 활용이 점차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단거리전용통신의 통신영역은 광대역 무선통신망의 기지국에 비해 작은 편이며, 스팟(Spot) 타입의 통신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핸드오버를 지원하지 않는다.

    또한, 단거리전용통신은 빠른 속력으로 이동하는 차량도 서비스가 가능하며, 때문에 차량과의 통신은 빠른 시간내에 이루어져야 한다. 즉, 단거리전용통신은 특정 지역에 설치되고 통신영역이 단거리로 제한되며 빠른 처리속도를 갖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인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속도, 시간 및 브레이크 상태 등을 주기적으로 기록하는 디지털 주행 기록장치, 브레이크 상태, 엔진 회전수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드라이브 레코더 장치, 차량 충돌시 차량 내/외부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장치, GPS 시스템을 통해 차량 이동경로, 속도, 시간 등을 검출해 저장하는 운행 경로 추적 장치 또는 차량도난, 화재, 교통정보, 비상 응급신호송출 등을 수행하는 텔레매틱스 장치 등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용 블랙박스는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차량의 속도, 이동경로, 사고 발생시각, 브레이크 상태 또는 충돌시의 내/외부 영상 및 음성 등의 사고차량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고 정보를 경찰이나 119 구조센터로 통보할 수 있으며, 교통사고를 분석하는 자는 교통사고 현장 및 블랙박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 터를 분석하여 교통사고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차량용 블랙박스는 사고차량에서 촬영한 영상과 상기와 같이 사고차량의 내부적인 데이터만이 기록되므로, 주변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교통사고를 객관적으로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고, 상대차량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뺑소니 사고 발생시에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고차량에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사고차량 외부의 객관적인 상황도 기록함으로써 교통사고 발생시에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분석이 가능한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노변기지국과 연결되어 사고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신호 및 사고 정보를 수신하는 센싱 정보 수신부; 상기 센싱 정보 수신부에서 사고 발생신호를 수신하면 트리거링을 실행하는 트리거링 실행부; 상기 트리거링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차량정보 수신부; 및 상기 사고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는, 상기 트리거링 실행부에서 트리거링이 실행되면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들에게 차량정보를 요청하는 정보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정보는,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고차량의 정보 및 목격차량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노변기지국과 연결되어 사고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a) 사고 발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사고 발생신호에 응답하여 트리거링을 실행하는 단계; (c) 상기 노변기지국의 통신영역 내에 위치하는 차량정보의 수집 및 사고 정보의 수집을 요청하는 단계; 및 (d) 상기 차량정보 및 사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사고 발생시에 차량의 블랙박스에 저장된 정보뿐만 아니라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주변 차량의 정보를 기록하여 교통사고 목격자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차량용 블랙박스에 차량단말기만을 추가하여 본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본 시스템을 경제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를 포함한 사고 정보 기록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의 정보를 탐지하여 저장할 수 있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100), 고속으로 달리는 차량과도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노변기지국(Road Side Equipment, RSE)(200), 상기 노변기지국(200)과 무선으로 통신하고 차량 내부의 상태 및 차량 내외부의 영상 등을 저장할 수 있는 블랙박스 시스템(30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인 USN(100)은 사물의 인식정보와 주변의 환경정보를 탐지하며, 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관리한다. 따라서, USN(100)은 사고 현장, 기상 상황, 노면 상황 등을 기록할 수 있는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 사고음 및 기타 현장음 등을 수신하여 기록할 수 있는 음향 센서 또는 다른 기타 센서를 이용하여 교통상황 정보, 차량 식별 정보, 온도 또는 습도 등을 포함한 교통사고의 객관적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또한, USN(100)은 수집된 정보를 취합하여 노변기지국(200) 또는 교통관제 센터로 전송하며, USN(100)과 노변기지국(200) 사이의 통신수단은 RS-232 또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P 등이 이용된다.

    한편, USN(100)은 교통관제센터와 통신망이 구축되어 있는 경우에 데이터베이스(140)의 수집된 정보를 교통관제센터로 전송할 수도 있고, 사고다발지역에 단독으로 설치되어 단일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단일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사고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조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나, 단독으로 시스템이 운용되므로 전체 통신망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USN(10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CCD 센서(112), 음향 센서(114), 기타 센서(116, 118), 상기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센싱(Sensing)정보 수신부(120), 노변기지국(200)으로 통신영역 내의 차량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요청부(150), 노변기지국(200)이 전송하는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영역 내의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정보 수신부(130), 센싱 정보 수신부(120) 및 차량정보 수신부(130)가 수집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40),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정보를 노변기지국(200)이나 교통관제센터로 전송하는 정보제공부(160),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정보를 취합하여 다시 저장하는 정보처리부(170), 사고발생 신호가 전송되면 트리거링(Triggering)을 실행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뒤에 트리거링을 종료하는 트리거링 실행부(180) 등을 포함한다.

    센싱 정보 수신부(120)는 CCD 센서(112), 음향 센서(114), 기타 센서(116, 118)가 수집한 광범위한 사고영상 정보, 사고음을 포함한 음성 정보, 기상 정보, 노면 상태, 교통상황 정보, 온도, 습도 등을 포함한 교통사고의 객관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 전송한다.

    정보요청부(150)는 노변기지국(200)으로 노변기지국(200)의 단거리전용통신 영역 내의 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또는 차량의 블랙박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요청한다.

    차량정보 수신부(130)는 노변기지국(200)으로부터 차량의 식별 정보 또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40)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센싱 정보 수신부(120) 및 차량정보 수신부(130)가 전송한 정보 또는 교통관제센터가 전송한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140)가 반드시 내부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USN(100)과 연동하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수집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정보제공부(160)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교통관제센터가 전송하는 교통상황 등의 정보를 노변기지국(200)으로 전송하여 단거리전용통신 영역내의 차량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교통사고에 관한 정보를 노변기지국(200)으로 전송하여 단거리전용통신 영역내의 차량에게 제공한다.

    정보처리부(17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센싱 정보 수신부(120)가 전송한 정보 및 차량정보 수신부(130)가 전송한 정보를 취합하여 비교하고, 정리하 여 다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트리거링 실행부(180)는 CCD 센서(112), 음향 센서(114) 또는 설정된 기타 센서가 교통 사고가 발생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신호를 감지하면 장착된 센서들을 작동시켜 정보를 수집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뒤에 센서들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또한, 트리거링 실행부(180)는 센서가 신호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도 사고차량이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면, 장착된 센서들을 작동시켜 정보를 수집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뒤에 센서들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한편, 센싱 정보 수신부(120)에 연결된 CCD 센서(112) 또는 음향센서(114)는 트리거링 실행부(180)의 명령에 상관없이 계속적으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CCD 센서(112) 또는 음향센서(114)가 사고발생 전 일정 시간 전부터 사고발생 후 트리거링이 종료될 때까지의 센싱한 정보를 센싱 정보 수신부(120)로 전송한다.

    노변기지국(20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USN(100)이 전송하는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하는 RF(Radio Frequency) 모듈(250)을 포함한다.

    노변기지국(200)은 무선 데이터 정보를 송출하고 있다가 통신영역 내에 차량이 진입하면,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 또는 TDMA/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의 다중접속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정보 교환을 수행한다. 즉, 노변기지국(200)은 RF 모듈(250)의 단거리전용통신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교통상황이나 USN(100)이 전송하는 정보를 전송하며, 변 조방식이 간단하기 때문에 비용상으로 저렴한 RF-ASK(Amplitude Sequence Keying) 전송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TDMA 방식은 하나의 주파수를 여러 개의 타임 슬롯으로 분할하여 타임 슬롯당 하나의 채널을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중 접속기법이고, TDD 방식은 하나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시간축상에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며, FDD 방식은 노변기지국과 차량이 양방향 통신을 할 때,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송신 채널 및 수신 채널을 정해놓고 지정된 타임슬롯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이다.

    한편, 노변기지국(200)과 차량단말기(310) 사이의 통신은 WiFi(Wireless Fidelity),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국지적으로 위치한 노변기지국(200)과 빠르게 이동하는 차량들 간에 무선 통신이 이루어져야 하는 본 발명의 특성상, 정확도가 높고 순간적인 통신속도가 빠른 단거리전용통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변기지국(200)은 차량 사고가 발생하고 상기 정보요청부가 단거리전용통신의 통신영역 내의 차량의 식별 정보 또는 블랙박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통신영역 내의 차량의 식별 정보 또는 차량의 블랙박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차량정보 수신부(130)로 전송한다.

    또한, 노변기지국(200)은 정보제공부(160)가 전송하는 정보를 통신영역 내의 차량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사고차량은 자신의 블랙박스에 목격차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대 사고차량 및 목격차량의 블랙박스에서 수집한 정보도 저장하여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정보가 여러 차량의 블랙박스에 저장되므로 교통사고 정보의 분실 우려도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노변기지국(200)이 목격차량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때, 목격차량의 사생활 보호 차원에서 목격차량의 식별 정보 등과 같이 최소한의 정보만을 수집하고, 상기 최소한의 정보만을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노변기지국(200)은 차량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USN(100)이 전송하는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영역 내의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블랙박스 시스템(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탑재되어 교통정보를 제공받고 차량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차량단말기(On Board Unit, OBU)(310), 상기 차량단말기(310)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보여주거나 음성으로 들려줄 수 있는 전자통신기기(330), 차량 내부의 상태 및 차량 내외부의 영상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350) 등을 포함한다.

    차량단말기(310)는 노변기지국(200)이 요청하면, 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또는 차량의 블랙박스에 저장된 차량의 속도, 시간, 브레이크 상태, 엔진 회전수, 차량 내/외부 영상 및 음성 데이터 등의 정보를 노변기지국(200)으로 전송한 다.

    또한, 차량단말기(310)는 노변기지국(200)이 전송하는 통신영역 내의 차량의 식별 정보 또는 차량의 블랙박스에 저장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는 차량용 블랙박스(350)에 저장된다.

    한편, 차량단말기(310)는 고속도로 자동 요금징수 시스템인 하이패스 수신장치와 구조 및 통신방식이 동일한 장비일 수 있다. 이 경우, 하이패스 수신장치를 차량단말기 대신 사용할 수 있으며, 하이패스가 일반화되는 현재의 추세를 감안하면 사용자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상기 하이패스 수신장치를 연결하여 추가비용 없이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식별 정보는 차량을 구분할 수 있는 것이면 되므로 차량단말기(310)의 고유번호, 전자통신기기(330)의 고유번호, 장착된 블랙박스(350)의 고유번호 등이 차량 식별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전자통신기기(330)는 차량단말기(310)가 수신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화면을 통해서 보여주거나 음성으로 들려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하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휴대용 전화기 등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가진 것은 사용이 가능하다.

    차량용 블랙박스(350)는 차량 사고 발생시 차량의 속도, 시간, 브레이크 상 태, 엔진 회전수, 차량 내/외부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정보들을 차량단말기(310)를 통해 노변기지국(200)으로 전송하며, 노변기지국(200)이 차량단말기(310)로 전송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차량 사고 정보를 경찰이나 119 구조센터로 통보할 수 있으며, 차량의 도난이나 화재 발생시 비상 응급신호를 경찰이나 119 구조센터로 통보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정보를 수집하여 노변기지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는 USN(100)으로 전송되어 교통흐름이나 도로 상태를 체크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단거리전용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를 포함한 사고 정보 기록 시스템의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변의 정보를 탐지하여 저장할 수 있는 USN(100), 고속으로 달리는 차량과도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노변기지국(200), 상기 노변기지국과 통신하는 차량단말기(310), 전자통신기기(330) 또는 차량용 블랙박스(350) 등을 탑재한 사고차량 또는 목격차량 등을 포함한다.

    차량사고가 발생하면 사고차량 1,2의 블랙박스(350)에는 차량의 속도, 시간, 브레이크 상태, 엔진 회전수, 차량 내/외부 영상 및 음성 데이터 등과 같은 차량 내부의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정보는 차량단말기(310)을 통해 노변기지국(200)으로 전송되며, 노변기지국(200)은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USN(100)으로 전송한다.

    USN(100)은 사고차량으로부터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전송되거나 센서가 교통 사고가 발생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사고발생 신호를 전송하면 트리거링을 시작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트리거링을 종료하며 트리거링을 통해서 수집한 정보 및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영역 내의 차량에서 수집한 정보를 취합하여 저장한다.

    그 후, USN(100)은 정리된 정보를 노변기지국(200)을 통해서 사고차량 1,2 또는 목격차량 1,2,3,4로 전송하여 교통사고에 대한 정보를 사고차량 또는 목격차량에게 제공하고, 상기 정보를 교통관제센터로 전송하여 교통사고에 대한 정보를 교통사고 담당자 및 경찰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USN(100)은 교통관제센터에서 전송하는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노변기지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노변기지국(200)은 단거리전용통신 영역내의 차량단말기(310)로 상기 교통상황 정보를 전송하여 전자통신기기(330)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교통상황 정보를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사고 발생시 사고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USN(100)이 교통사고 발생 신호를 센싱(Sensing)하여 사고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4의 흐름도 및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USN(100)에 연결된 센서가 실시간으로 교통사고 발생 신호를 센싱하고, 교 통사고 발생 신호가 센싱되면 사고발생 신호를 트리거링 실행부(180)로 전송한다. 예컨대, CCD 센서(112)가 교통사고로 판단되는 영상을 촬영하거나 음향 센서(114)에서 사고음으로 설정된 정보를 센싱하는 경우에 사고발생 신호를 트리거링 실행부(180)로 전송한다(S420).

    트리거링 실행부(180)는 사고발생 신호를 수신한 후, CCD 센서(112), 음향 센서(114), 기타 센서(116, 118) 등 센싱 정보 수신부(120)와 연결된 센서들을 작동시키고, 상기 센서들은 광범위한 사고영상 정보, 사고음을 포함한 음성 정보, 기상 정보, 노면 상태, 교통상황 정보, 온도, 습도 등을 포함한 교통사고의 객관적 정보를 수집한다(S430).

    트리거링 실행부(180)가 상기 센서들을 작동시키면, 정보요청부(150)는 노변기지국(200)으로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영역 내의 차량의 정보를 요청하고, 노변기지국(200)은 통신영역내의 차량단말기(310)로 차량의 식별 정보 및 블랙박스(350)에 저장되어 있는 주관적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한다.

    한편, 차량용 블랙박스(350)에는 차량 사고 발생시 차량의 속도, 시간, 브레이크 상태, 엔진 회전수, 차량 내/외부 영상 및 음성 데이터 등을 포함한 운행정보, 운전 조작정보, 충돌정보 등과 같은 교통사고의 주관적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차량단말기(310)는 노변기지국(200)으로 상기 주관적 정보를 전송하고, 노변기지국(200)은 상기 주관적 정보를 USN(100)의 차량정보 수신부(130)로 전송한다(S440).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트리거링 실행부(180)가 작동시켰던 센서들의 동작은 정지되고, 수집한 정보들을 센싱 정보 수신부(120)로 전송한다. 이 때, CCD 센서(112) 또는 음향센서(114)는 실시간으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트리거링이 실행되면 트리거링 실행 시각의 설정된 시간 전부터 트리거링이 종료되는 시각까지의 영상 또는 음성 센싱 정보를 저장하여 센싱 정보 수신부(120)로 전송한다(S450).

    한편, 센싱 정보 수신부(120)가 수집한 교통사고의 객관적 정보 또는 차량정보 수신부(130)가 수집한 교통사고의 주관적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140)는 USN(100)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USN(100)과 연동하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S460).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교통사고의 주관적 정보 또는 객관적 정보는 정보처리부(170)가 취합하여 다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며, 데이터베이스(140)는 상기 정보처리부(170)가 취합한 교통사고 정보를 정보제공부(16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교통사고의 주관적 정보 또는 객관적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지 않는 경우에는 정보처리부(170)가 센싱 정보 수신부(120) 및 상기 차량정보 수신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을 취합하여 정보제공부(160)로 전송한다.

    정보제공부(160)는 정보처리부(170)가 취합한 교통사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 또는 정보처리부(170)로부터 수신하고 노변기지국(200)으로 전송하며, 노변기지국(200)의 RF 모듈(250)은 단거리전용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영역내의 차량으 로 상기 교통사고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정보제공부(160)는 교통관제센터로 상기 정보들을 전송할 수도 있다(S470).

    따라서, 통신영역 내의 사고차량 또는 목격차량의 차량단말기(310)는 상기 교통사고 정보를 수신하여 내부의 차량용 블랙박스(350) 등에 저장할 수 있으며, 차량용 블랙박스(350)에는 자기 차량의 차량 사고 발생시 차량의 속도, 시간, 브레이크 상태, 엔진 회전수, 차량 내/외부 영상 및 음성 데이터 등을 포함한 교통사고의 주관적 정보, 광범위한 사고영상 정보, 사고음을 포함한 음성 정보, 기상 정보, 노면 상태, 교통상황 정보, 온도, 습도 등을 포함한 교통사고의 객관적 정보, 및 상대 사고차량 또는 목격차량의 차량용 블랙박스에 저장되어 있던 차량 사고 발생시 차량의 속도, 시간, 브레이크 상태, 엔진 회전수, 차량 내/외부 영상 및 음성 데이터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이하에서는 사고차량이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의 사고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5의 흐름도 및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고차량의 블랙박스(350)가 차량의 속도 변화, 브레이크 작동 상태, 차량이 받은 충격량 등을 측정하여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감지하면, 차량단말기(310)는 사고발생 신호를 노변기지국(200)으로 전송하고 노변기지국(200)은 상기 사고발생 신호를 USN(100)의 트리거링 실행부(180)로 전송한다(S510, S520).

    트리거링 실행부(180)가 사고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센싱 정보 수신부(120)에 연결된 센서들을 작동시키고, 센싱 정보 수신부(120)가 수집한 교통사고의 객관적 정보 및 차량정보 수신부(130)가 수집한 주관적 정보를 취합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 뒤, 상기 교통사고 정보를 노변기지국(200)의 통신영역 내의 차량 또는 교통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USN(100)이 교통사고 발생 신호를 센싱하여 사고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량용 사고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 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보다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를 포함한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N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를 포함한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시스템의 실시예이다.

    도 4는 USN이 교통사고 발생 신호를 센싱하여 사고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사고차량이 사고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사고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