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블랙박스를 구비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

申请号 KR1020070087056 申请日 2007-08-29 公开(公告)号 KR1020090022038A 公开(公告)日 2009-03-04
申请人 한국교통연구원; 发明人 설재훈; 조영구; 신승현; 이명관;
摘要 A car navigation system including an image black box is provided to capable of transmitting the car driving data, vehicle neighboring video data, audio data and user vehicle management data by a center control system and vehicle system. A car navigation system including an image black box comprises a plurality of vehicle system(100) transmitting the car driving data, vehicle neighboring video data, audio data and user vehicle management data with a center control system; a center control system(200)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a vehicle system and establishes database, and performs black-box; and a plurality of client systems(300) connecting to the center control system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in order to perform the history management about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vehicles.
权利要求
  • 자동차에 설치되며 원격지에 위치한 중앙관제시스템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자동차 운행 상황에 대한 데이터와 자동차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자동차 관리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다가, 자동차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고, 네비게이션 기능과 DMB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차량시스템;
    상기 다수 개의 차량시스템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각 차량시스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하고,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하는 해당 가입자에게 해당 가입자 차량에 대한 이력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중앙관제시스템; 및,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가입자 차량에 대한 이력관리를 수행하는 다수 개의 클라이언트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블랙박스를 구비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은, 상기 차량시스템에서 사고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가 전송되었을 경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고 발생 지점에 위치한 해당 관련기관에 사고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고가 발생한 차량과의 음성 통화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블랙박스를 구 비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시스템은,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수신부;
    DMB 신호를 수신하는 DMB수신부;
    사고발생을 검출하는 충돌검출부;
    차량 내부, 또는 외부 영상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음성을 입력하는 음성입력부;
    차량의 운행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검출하는 운행정보검출부;
    상기 중앙관제시스템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통신부;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자동차 운행 상황에 대한 데이터와 자동차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운행상황데이터베이스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자동차 관리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관리데이터베이스부;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데이터베이스부;
    조작스위치 부; 및,
    상기 GPS수신부와, DMB수신부와, 충돌검출부와, 영상촬영부와, 음성입력부와, 운행정보검출부와, 차량통신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음성출력부와, 운행상황데 이터베이스부와, 관리데이터베이스부와, 지도데이터베이스부 및 조작스위치 사이에 접속하여, 첫째, 상기 GPS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GPS 신호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와 시간을 검출하고, 둘째, 상기 GPS수신부를 통해 검출한 위치에 대한 데이터와 지도데이터베이스부에서 독출한 지도데이터를 통해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고, 셋째, 상기 DMB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텔레비전 신호, 또는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검출한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나타내고, 넷째, 상기 차량통신부를 통해 중앙관제시스템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자동차 운행 상황에 대한 데이터와 자동차 주변 상황에 � ��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자동차 관리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고, 다섯째, 상기 충돌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신호로부터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여섯째, 상기 운행정보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자동차의 운행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일곱째, 자동차에 대한 이력 관리를 수행하고, 여덟째, 상기 운행상황데이터베이스부와, 관리데이터베이부와, 지도데이터베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블랙박스를 구비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검출부는 X축 변위와 Y축 변위 및, Z축 변위를 검출하는 3개의 가속도센서로 구성됨 특징으로 하는 영상 블랙박스를 구비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상황데이터베이스부, 또는 관리데이터베이스부, 또는 지도데이터베이스부는, 착탈 가능한 플래쉬 메모리 카드로 구성됨 특징으로 하는 영상 블랙박스를 구비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은,
    차량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시스템;
    차량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PSTN과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관련 기관에 전송하는 전화접속시스템; 및,
    상기 경보시스템과, 전화접속시스템이 접속되며, 인터넷망을 통해 다수 개의 클라이언트시스템이 접속되어, 첫째, 상기 차량시스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둘째, 사고 차량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이를 나타내는 경보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하고 관련 기관에 알려주며, 셋째, 사고가 발생한 차량시스템과의 무성 통신망을 구성하여 관리자와 차량 탑승자 사이의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넷째,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시스템에 해당 가입자 차량에 대한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블랙박스를 구비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시스템은,
    차량 사고 발생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시각표시부; 차량 사고 발생을 청각 적으로 나타내는 청각표시부; 및, 관리자가 차량 탑승자에게 안내 방송을 수행하는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블랙박스를 구비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접속시스템은, 상기 서버시스템을 PSTN에 접속하는 PSTN접속장치와, 서버시스템을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이동통신망접속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블랙박스를 구비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시스템은,
    상기 클라이언트시스템 및 전화접속시스템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서버;
    가입자에 대한 정보(아이디, 비밀번호, 접속이력, 비상 연락처, 환자 상태 등)를 관리하는 고객관리서버;
    각 가입자 차량에 대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차량 이력 관리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데이터 백업을 수행하는 백업서버;
    입출력장치; 및,
    상기 통신서버와, 고객관리서버와, 데이터베이스서버와, 백업서버 및, 입출력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각 가입자 차량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경보신호를 발생하며, 클라이언트시스템을 통해 가입자 차량에 대한 이력관리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블랙박스를 구 비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
  • 说明书全文

    영상 블랙박스를 구비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CAR NAVIGATION SYSTEM WITH IMAGE BLACK BOX}

    본 발명은 영상 블랙박스(BLACK BOX)를 구비한 자동차 네비게이션(NAVIGATION)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에 설치되는 차량시스템에서 네비게이션 기능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 등을 수행하고, 자동차의 운행 상황에 대한 각종 데이터와 영상/음성 데이터 및 자동차 관리에 대한 정보를 원격지에 위치한 중앙관제시스템으로 무선 전송하면, 중앙관제시스템에서 상기 각 차량시스템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가입자 차량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차량에 대한 이력 관리 및 사고시 사고 규명에 대한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하고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해당 차량에 대한 이력관리를 용이하게 수행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하고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생활에서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 이 점점 높아져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로를 비롯한 사회 기반 시설이 확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차 운행 대수의 증가는 교통 사고와 같은 여러 가지 교통 문제를 가중시키고 있으며, 도로망의 확충은 교통 소통을 원활히 하고 목적지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법을 제공하는 반면에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 선택의 곤란성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목적지에 대한 도로 안내를 수행하는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가 개발됨은 물론, 사고 발생 및 원인 규명을 위한 여러 장치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었다.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통해 위치에 대한 데이터와 시각에 대한 데이터를 검출하여 GIS(GLOBAL INFORMATION SYSTEM)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도로 안내 목적을 달성하는 매우 유용한 장치이며, 자동차 블랙박스는 자동차의 운행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선입선출방식으로 일정시간(예: 10초) 저장하여 사고 발생 시 그 원인 규명을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자동차 블랙박스는 각기 별개의 구성으로 되어 있어 설치비용이 과다하고 설치 공간 역시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개개 구성으로 인한 자원 낭비 및 기능상의 제약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차 블랙박스의 경우에는 차량 운행에 대한 정보를 자동차 내에 둠으로 인해 사고로 인하여 블랙박스 자체가 파괴되어 그 기능을 수행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고, 저장 공간에 대한 비용이 많이 발생하여 장시간의 데이터 저장을 할 수 없음은 물론, 차량 이력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을, 특히, 차량시스템을 통해 검출한 자동차 운행 상황에 대한 데이터, 영상/음성 데이터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자동차 관리에 대한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안전하고, 장시간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에 접속하여 차량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영상 블랙박스를 구비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차량시스템에서 일정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영상 블랙박스를 구비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자동차에 설치되며 원격지에 위치한 중앙관제시스템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자동차 운행 상황에 대한 데이터와 자동차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와 음 성 데이터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자동차 관리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다가, 자동차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고, 네비게이션 기능과 DMB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차량시스템;

    상기 다수 개의 차량시스템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각 차량시스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하고,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하는 해당 가입자에게 해당 가입자 차량에 대한 이력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중앙관제시스템; 및,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가입자 차량에 대한 이력관리를 수행하는 다수 개의 클라이언트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은, 상기 차량시스템에서 사고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가 전송되었을 경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고 발생 지점에 위치한 해당 관련기관(예: 경찰서, 병원, 고속도로 순찰대 등)에 사고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고가 발생한 차량과의 음성 통화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중앙관제시스템은, 사고가 발생한 차량이 존재할 경우 인근 관련기관에 사고 발생을 알려줌으로써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사고 발생 차량에 탑승한 탑승객과 음성 통화를 수행함으로써 적절한 응급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고 발생 지점에 대한 위치 데이터로부터 해당 사고지점과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해당 관련기관을 검색하여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일반 전화 교환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고 발생을 나타내는 안내문구를 전송하고, 차량시스템과의 통화로를 구성하여 적절한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신속하고 적절한 응급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차량시스템은,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수신부;

    DMB 신호를 수신하는 DMB수신부;

    사고발생을 검출하는 충돌검출부;

    차량 내부, 또는 외부 영상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음성을 입력하는 음성입력부;

    차량의 운행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검출하는 운행정보검출부;

    상기 중앙관제시스템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통신부;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자동차 운행 상황에 대한 데이터와 자동차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운행상황데이터베이스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자동차 관리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관리데이터베이스부;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데이터베이스부;

    조작스위치 부; 및,

    상기 GPS수신부와, DMB수신부와, 충돌검출부와, 영상촬영부와, 음성입력부와, 운행정보검출부와, 차량통신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음성출력부와, 운행상황데이터베이스부와, 관리데이터베이스부와, 지도데이터베이스부 및 조작스위치 사이에 접속하여, 첫째, 상기 GPS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GPS 신호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와 시간을 검출하고, 둘째, 상기 GPS수신부를 통해 검출한 위치에 대한 데이터와 지도데이터베이스부에서 독출한 지도데이터를 통해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고, 셋째, 상기 DMB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텔레비전 신호, 또는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검출한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나타내고, 넷째, 상기 차량통신부를 통해 중앙관제시스템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자동차 운행 상황에 대한 데이터와 자동차 주변 상황에 � �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자동차 관리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고, 다섯째, 상기 충돌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신호로부터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여섯째, 상기 운행정보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자동차의 운행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일곱째, 자동차에 대한 이력 관리를 수행하고, 여덟째, 상기 운행상황데이터베이스부와, 관리데이터베이부와, 지도데이터베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GPS수신부와 DMB수신부는 공지의 GPS수신기 및 DMB수신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돌검출부는 X축과 Y축 및, Z축의 변위를 검출할 수 있도록 3개의 가속도센서(G-SENSOR)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검출부는 CCD 카메라, 또는 CMOS 카메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성입력부는 마이크와 공지의 음성 증폭회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음성출력부는 증폭회로와 스피커를 조합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행정보검출부는, 자동차 ECU에서 출력되는 엔진 회전수, 속도, 브레이크 작동 여부 등의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마이컴에 인가하는 인터페이스 회로로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어떠한 신호를 특정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회로는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차량통신부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CDMA 모듈, 또는 GSM 모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지하다시피, 이동통신시스템은, 가입자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장치인 무선통신단말기(MOBILE STATION)와,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와 함께 무선구간에서 표준으로 정의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BASE TRANSCEIVER SUBSYSTEM)과, 무선링크 및 유선링크를 제어하며, 가입자(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 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핸드오프(HAND OFF)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국(BASE STATION CONTROLLER)과, 가입자의 통화로를 구성하고 타 통신망과의 접속을 수행하는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및, 가입자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교환국과 신호를 주고받는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지국과 제어국 및 교환국을 통해 무선통신단말기의 통화를 실현하는 장치이며, 상기 무선통신단말기 는 전송 방식의 차이로 인하여 크게 CDMA 방식과 GMS 방식으로 대별되는 바,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의 주 통신 제어모듈인 CDMA 모듈, 또는 GSM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차량통신부를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종래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차량시스템과 중앙관제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 LCD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마이컴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행상황데이터베이스부나 관리데이터베이스부 및 지도데이터부는 상기 마이컴의 내부메모리, 또는 상기 마이컴의 제어를 받는 외부메모리(예: 플래쉬 메모리 카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은,

    차량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시스템;

    차량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PSTN과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관련 기관에 전송하는 전화접속시스템; 및,

    상기 경보시스템과, 전화접속시스템이 접속되며, 인터넷망을 통해 다수 개의 클라이언트시스템이 접속되어, 첫째, 상기 차량시스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둘째, 사고 차량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이를 나타내는 경보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하고 관련 기관에 알려주며, 셋째, 사고가 발생한 차량 시스템과의 무성 통신망을 구성하여 관리자와 차량 탑승자 사이의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넷째,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시스템에 해당 가입자 차량에 대한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보시스템은,

    차량 사고 발생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시각표시부; 차량 사고 발생을 청각적으로 나타내는 청각표시부; 및, 관리자가 차량 탑승자에게 안내 방송을 수행하는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각표시부는 경광등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청각표시부는 경보음(예: 싸이렌)을 발생하는 경보음발생장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광등과 경보음발생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화접속시스템은, 상기 서버시스템을 PSTN에 접속하는 PSTN접속장치와, 서버시스템을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이동통신망접속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서버시스템을 전화국에 접속하는 PSTN접속장치나 서버시스템을 이동통신시스템 교환국의 게이트웨이에 접속하는 이동통신망접속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서버시스템은,

    상기 클라이언트시스템 및 전화접속시스템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서버;

    가입자에 대한 정보(아이디, 비밀번호, 접속이력, 비상 연락처, 환자 상태 등)를 관리하는 고객관리서버;

    각 가입자 차량에 대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차량 이력 관리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데이터 백업을 수행하는 백업서버;

    입출력장치; 및,

    상기 통신서버와, 고객관리서버와, 데이터베이스서버와, 백업서버 및, 입출력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각 가입자 차량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경보신호를 발생하며, 클라이언트시스템을 통해 가입자 차량에 대한 이력관리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영상 블랙박스를 구비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특히, 상기 차량시스템을 통해 차량 운행 상황에 대한 데이터 및 차량 주변 영상(예: 전방 영상, 후방 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검출하여 운행상황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중앙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여 각 차량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은 물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나타내주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네비게이션 기능, DMB 기능 및 차량 이력 관리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안전하고, 저렴하며, 장시간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가능하며, 네비게이션 기능과 DMB 수신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중앙관제시스템에 접속하여 차량 이력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영상 블랙박스를 구비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고 차량이 발생하였을 경우 중앙관제시스템에서 해당 관련기관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시스템의 제어부는 마이컴으로 구성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충돌검출부는 X축과 Y축 및 Z축으로 장착된 3개의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사고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통신부는 CDMA 모듈로 구성하여 종래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운행정보검출부는 자동차의 ECU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 속도에 대한 신호만을 검출하여 제어부에 인가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개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자동차 전방에 대한 영상과 후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표시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갖는 TFT LCD 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를 구성한 이유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는 본 실시예의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 내지 도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동차 전방 영상과 후방 영상을 잘 획득할 수 있는 위치에 2대의 CCD 카메라(도시 생략)를 설치하여 영상촬영부(130)를 구성하고, 자동차 ECU(도시 생략)와 제어부(150) 사이에 운행정보검출부(140)를 장착하고, 3개의 가속도센서(도시 생략)를 자동차의 X축 변위와 Y축 변위 및 Z축 변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장착하고, 자동차의 적당한 위치에 GPS수신부(110)와, DMB수신부(120)와, 차량통신부(145)와 음성출력부(160)를 접속하여 상기 제어부(150)에 접속한 후, 디스플레이부(155)와, 운행상황데이터베이스부(165)와, 관리데이터베이스부(170)와, 지도데이터베이스부(175)와, 조작스위치부(180)를 상기 제어부(150)에 접속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시스템(100)을 구성한다.

    또한, 서버시스템(210)에 전화접속시스템(220)과 경보시스템(230)을 접속하여 중앙관제시스템(200)을 구성한다.

    상기 서버시스템(210)은 메인서버(212)에 입출력장치(211)와 통신서버(213)와 고객관리서버(214)와 데이터베이스서버(215)와 백업서버(216)를 접속하여 구성하고, 전화접속시스템은(220) 상기 서버시스템(210)에 PSTN접속장치(221)와 이동통신망접속장치(222)를 접속하여 구성하고, 경보시스템(230)은 상기 서버시스템(210)에 시각표시부(231)와 청각표시부(232)와 음성입력부(233)를 접속하여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각표시부(231)는 경광등으로 구성하고, 청각표시부(232)는 스피커로 구성하며, 음성입력부(233)는 마이크로 구성한다.

    클라이언트시스템(300)은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시스템(200)에 접속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있어서, DMB수신부(120)를 통해 DMB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및 음성(예: 텔레비전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 및, GPS수신부(120)를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여 지도데이터베이스부(175)를 통해 도로 안내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기능은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차량의 주변 상황 및 운행 상황을 나타내는 모니터링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검출한 자동차 전방 영상(155a)과 후방 영상(155b)을 디스플레이부(155)의 좌측에 나타내고, 충돌검출부(125)를 통해 검출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5) 우측 상단 화면(155d)에 나타내며,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 및 주행 속도 등에 대한 검출 사항을 우측 하단(155e)에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5)의 하단(155c)은 터치스크린의 영역을 분할하여 나타낸 조작스위치부(180)의 스위치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55)에 표출되는 데이터 및 상기 GPS수신부(115)를 통해 검출한 위치 및 시간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음성입력부(135)를 통해 검출한 음성데이터 및 상기 운행정보검출부(140)를 통해 검출한 데이터는 선입선출 방법에 의해 상기 운행상황데이터베이스(165)에 저장함과 동시에 차량통신부(145)를 통해 중앙관제시스템(200)으로 전송되어 가입자 각 차량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통신부(145)는 CDMA 모듈(미도시)로 구성하였으므로 상기 차량통신부(145)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상기 중앙관제시스템(200)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중앙관제시스템(200)에서는 데이터베이스서버(215)에[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사고 발생 시 블랙박스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차량시스템(100)에는 최근의 데이터가, 중앙관제시스템(200)에는 축적된 데이터가 저장되게 된다.

    한편, 상기 과정 수행 중에 차량에 충돌이 발생하여 상기 충돌검출부(125)를 통해 입력되는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는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차량시스템(100)의 제어부(150)는 사고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중앙관제시스템(200)으로 전송하여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게 된다.

    그러면, 상기 중앙관제시스템(200)은 해당 차량이 위치한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사고 발생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관련기관(예: 경찰서, 병원 등)에 전화접속시스템(220)을 통해 유선 전화, 또는 이동통신전화로 사고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여 알려줌과 동시에 경보시스템(230)을 통해 사고 발생을 나타내는 경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후, 중앙관제시스템(200)의 관리자는 상기 전화접속시스템(220)의 이동통신망접속장치(220)를 통해 해당 사고 차량과 호 접속을 하여 음성입력부(233)를 통한 음성 통화를 실시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승객을 유도하게 된다.

    이하, 자동차의 이력을 관리하는 관리 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55)의 터치스크린을 조작하여 관리화면으로 전환되면 해당 운전자는 처리하고자 하는 사항을 선택하여 터치스크린을 통해 차량 상황을 파악 및 관리 할 수 있게 된다.

    도5는 상위 관리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6은 상기 도5의 화면 중 주유 관리화면의 하위 화면을 나타낸 일례이다.

    한편, 상기 관리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자가 차량 관리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차량통신부(145)를 통해 관리 데이터를 중앙관제시스템(200)으로 전송하여 각 차량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이후, 상기 가입자는 인터넷망을 통해 클라이언트시스템(300)을 상기 중앙관제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차량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해당 차량에 대한 이력 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관리 기능이나 네비게이션 기능 및 DMB 수신 기능을 수행할 경우에도 차량 상황에 대한 각종 데이터 및 영상/음성 데이터를 중앙관제시스템(200)으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함은 물론이다.

    즉, 모니터링 기능은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 이부(155)에 표출되는 화면을 바꾸어 관리 기능이나 네비게이션 기능 또는, DMB 수신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 "영상 블랙박스를 구비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 중 차량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 중 중앙관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 중 모니터링 기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발명 중 관리 기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6 은 도5의 하위 화면의 일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차량시스템 115: GPS수신부

    120: DMB수신부 125: 충돌검출부

    130: 영상촬영부 135: 음성입력부

    140: 운행정보검출부 145: 차량통신부

    150: 제어부 155: 디스플레이부

    160: 음성출력부 165: 운행상황데이터베이스부

    170: 관리데이터베이스부 175: 지도데이터베이스부

    180: 조작스위치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