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제어방법

申请号 KR1020100006153 申请日 2010-01-22 公开(公告)号 KR101019914B1 公开(公告)日 2011-03-08
申请人 팅크웨어(주); 发明人 김흥원; 우승완; 이원근; 이해일;
摘要 PURPOSE: A navigation system and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navigation system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check the travel route information of a vehicle in vehicle accidents, since the travel rout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map. CONSTITUTION: A navigation system(10) comprises a storage unit, a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ler(40). The storage unit stores map data.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image data, which a black box records, in real time. The communication unit obtains the present position information of a vehicle. The controller obtains place information in map data using the present position information. The controller maps the received video data with the place information and saves it in the storage unit.
权利要求
  • 자동차의 주행 또는 정차 중에 상기 자동차의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블랙박스; 및
    내비게이션;
    을 포함하고,
    상기 내비게이션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블랙박스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블랙박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에서 장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장소 정보와 매핑(mapping)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 정보는, 주소 정보, 도로 정보 및 POI(point of interest)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에 획득된 영상 데이터이거나 미리 정해진 크기를 가지는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상기 장소 정보를 별개의 파일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장소 정보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와 동기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된 현재의 상기 장소 정보가 상기 차량의 이전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된 이전 장소 정보와 다른 경우에 상기 현재 장소 정보를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상기 장소 정보를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 제1항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frame)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영상 프레임 타입의 영상 프레임에 대해 상기 장소 정보를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장소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영상 프레임을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장소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소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영상 데이터 타입(type)에 따라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데이터 타입은, 상기 차량에 장착된 센서의 신호에 따라 획득된 영상 데이터,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영상 데이터의 전체 영상 중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지점을 기초로 결정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일부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NSS 신호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위치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에서 장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장소 정보와 매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블랙박스에 위치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에서 장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장소 정보와 매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에서 장소 정보를 획득하고, 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블랙박스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장소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장소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 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 데이터에서 장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장소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제어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 정보는, 주소 정보, 도로 정보 및 POI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제어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상기 장소 정보를 별개의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소 정보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와 동기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제어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 단계는, 미리 정해진 영상 프레임 타입의 영상 프레임에 대해 상기 장소 정보를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입력된 장소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영상 프레임을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제어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입력된 장소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제어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의 전체 영상 중 입력된 지점을 기초로 결정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일부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제어방법.
  • 컴퓨터에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 블랙박스; 및
    내비게이션;
    을 포함하고,
    상기 블랙 박스는
    자동차의 주행 또는 정차 중에 상기 자동차의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1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내비게이션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 1 통신부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에서 장소 정보를 획득하고, 수신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장소 정보와 매핑(mapping)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 블랙박스; 및
    내비게이션;
    을 포함하고,
    상기 블랙 박스는
    자동차의 주행 또는 정차 중에 상기 자동차의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정보가 맵핑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1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내비게이션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 1 통신부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가 맵핑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 및
    수신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맵핑되어 있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에서 장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장소 정보와 매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 블랙박스; 및
    내비게이션;
    을 포함하고,
    상기 블랙 박스는
    자동차의 주행 또는 정차 중에 상기 자동차의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제 1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내비게이션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 1 통신부에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제 2 통신부; 및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 1 통신부는 수신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가 맵핑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의 데이터를 상기 제 2 통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맵핑되어 있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에서 장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장소 정보와 맵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 블랙박스; 및
    내비게이션;
    을 포함하고,
    상기 블랙 박스는
    자동차의 주행 또는 정차 중에 상기 자동차의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제 1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내비게이션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제 2 통신부; 및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에서 장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통신부에 상기 장소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 1 통신부는 상기 장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장송 정보가 맵핑되어 있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 2 통신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 说明书全文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제어방법{NAVIG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 NAVIGATION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및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망이 개방되고 위치정보와 관련된 법률이 정비됨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의 한 분야로서, 디바이스가 장착된 차량 등의 현재위치를 측위하거나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해주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관련산업 또한 급격히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차량의 정차 또는 운행 중 발생한 사고의 책임소재에 따른 과실비율을 판단하기 위하여 객관적인 자료가 필요한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상태에 대한 단순하고 평면적인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을 뿐이어서, 사용자의 요구에 효과적으로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를 장소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에서 장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장소 정보와 매핑(mapping)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위치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에서 장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장소 정보와 매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블랙박스에 위치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에서 장소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장소 정보와 매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에서 장소 정보를 획득하고, 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블랙박스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장소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장소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제어방법은, 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 데이터에서 장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장소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상기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제어방법은, 차량용 블랙박스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장소 정보 등과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장소 정보 등을 이용하여 해당 영상 데이터나 영상 프레임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고, 차량 사고 발생 시 사고의 경위 및 과실의 정도를 판단하는데 참고 자료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장소 정보 등을 이용하여 획득된 차량 이동 경로 정보를 지도 위에 표시함으로써, 차량 사고 발생 시 사고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특정 지점을 기초로 획득된 일정 시간 동안의 영상만을 재생할 수 있으므로, 차량 사고 발생 시 사고의 경위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지점에서 획득된 영상만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블랙박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포함하는 통신망의 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장소 정보와 매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목록 화면의 일례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검색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입력 화면의 일례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 화면의 일례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의 주행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의 주행 화면의 일례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보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보기 화면의 일례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차량용 내비게이션(100)과 차량용 블랙박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차량의 운행, 유지 등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차량의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좁은 의미로는 차량용 내비게이션(100) 그 자체일 수 있으며, 넓은 의미로는 차량용 내비게이션(100)과 유무선으로 연동되어 작동하는 각종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즉,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의 기능을 보완, 증대할 수 있는 각종 전자 디바이스를 연결함으로써 통합된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을 구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차량용 내비게이션(100)과 연동됨으로써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을 구성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는 이동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다른 이동 단말기, 리모컨 등일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에 연결되어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을 구성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로는 차량용 블랙박스(200)가 있을 수 있다. 차량용 블랙박스(20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100)과 일체 혹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는 차량용 내비게이션(100)과 별도로 마련된 차량용 블랙박스(200)가 통신케이블(300)을 통하여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차량용 블랙박스(200)가 차량용 내비게이션(100)과 일체화되는 경우도 가능함을 의미한다.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은 내비게이션 하우징(191)의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145)와, 내비게이션 조작키(193)와, 내비게이션 마이크(195)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하우징(191)은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은, 계절적인 요인 등에 의한 고온 또는 저온에 노출되거나, 직/간접적인 외부 충격을 받는 등 다양한 조건의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하우징(191)은 외부 환경의 변화로부터 차량용 내비게이션(100) 내부의 각종 전자부품을 보호하는 한편,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목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비게이션 하우징(191)은 ABS, PC 또는 강도가 강화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사출성형하는 방법으로 가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5)는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부분이다. 디스플레이부(145)에 표시되는 각종 정보는, 경로 정보 등이 결합된 지도(map) 데이터이거나, DMB 방송을 포함한 각종 방송 화면이거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영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5)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수개로 분할될 수 있다. 물리적으로 분할된 디스플레이부(145)는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45)가 인접하여 마련된 경우를 의미한다. 논리적으로 분할된 디스플레이부(145)는, 물리적으로 1개의 디스플레이부(145)에 복수개의 독립된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DMB 방송을 수신하여 표시하고 있는 도중에 디스플레이부(145)의 일부 영역에 경로정보를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부(145)의 일부 영역과 다른 영역에 각각 DMB 방송과 지도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일 수 있다. 각종 기능이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에 컨버젼스(convergence)되는 경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5)를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나아가, 다양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45)는 점차 대화면화 되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45)의 전면(全面) 또는 일부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5)에 표시된 기능선택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그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45)가 영상의 출력부(도 3의 140)인 동시에 입력부(도 3의 120)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내비게이션 조작키(193)는 차량용 내비이게이션(100)의 각종 기능을 실행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하기 위하며 마련될 수 있다. 빈번하게 사용하는 특정 기능을 내비게이션 조작키(193)에 맵핑(mapping)하여 사용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마이크(195)는 음성과 음향을 포함하는 소리(sound)를 수신하기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마이크(195)로 수신한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의 특정 기능의 실행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마이크(195)로 수신한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사고의 발생 등 차량의 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차량용 블랙박스(20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100)과 신호를 교환하여 차량의 사고 처리 과정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운행 중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차량용 블랙박스(200)에서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사고의 경위 및 과실의 정도를 판단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내비게이션(100)과 연결되어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20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블랙박스(200)에서 획득한 영상을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 매핑시켜 차량용 블랙박스(200)의 효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차량용 블랙박스(200)는 주행 중 및 정차 중에 차량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주행 중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이 정차하여 있는 경우에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차량용 블랙박스(200)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의 화질은, 일정하거나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의 발생을 전후하여서는 영상의 화질을 높게 하고, 통상적인 경우에는 영상의 화질을 낮게 함으로써 요구되는 저장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핵심적인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차량용 블랙박스(200)는 블랙박스 카메라(222)와, 블랙박스 마이크(224)와, 부착부(281)를 포함할 수 있다.

    블랙박스 카메라(222)는 차량의 외부 또는 실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블랙박스 카메라(222)는 단수개 또는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블랙박스 카메라(222)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1개는 차량용 블랙박스(200)와 일체화 되고 나머지는 차량의 각 부분에 부착된 상태에서 촬영한 영상을 차량용 블랙박스(200)로 송신할 수 있다. 블랙박스 카메라(222)가 단수개인 경우에, 블랙박스 카메라(222)는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블랙박스 카메라(222)에서 촬영된 영상은, 차량용 블랙박스(200) 또는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에 저장될 수 있다.

    블랙박스 마이크(224)는 차량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sound)를 획득할 수 있다. 블랙박스 마이크(224)는, 전술한 내비게이션 마이크(195)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부착부(281)는 차량용 블랙박스(200)를 차량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부착부(281)는, 차량용 블랙박스(200)를 차량의 전면유리에 부착할 수 있는 흡착판이거나, 차량의 룸밀러 등에 결합할 수 있는 고정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차량용 내비게이션(100)과 차량용 블랙박스(200)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차량용 내비게이션(100)과 차량용 블랙박스(200)가 별도의 디바이스이며, 그 사이에 물리적인 연결장치가 없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차량용 내비게이션(100)과 차량용 블랙박스(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은 제 1통신부(110)와, 입력부(120)와, 제 1센싱부(130)와, 출력부(140)와, 제1 저장부(150)와, 전원부(160)와, 제1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통신부(10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이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 1통신부(100)는, 제1 위치 정보 모듈(111)과, 무선 인터넷 모듈(113)과, 방송 송수신 모듈(115)과,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7)과, 제1 유선 통신 모듈(11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 정보 모듈(111)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통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이다. GNSS는 인공위성(도 5의 20)으로부터 수신한 전파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항법 시스템을 의미한다. GNSS의 구체적인 예로는, 그 운영 주체에 따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alileo,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COMPASS, IRNSS(Indian Region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의 제1 위치 정보 모듈(111)은,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이 사용되는 지역에서 서비스하는 GNS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를 획득하거나 송신하는 장치이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은,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ess) 등 일 수 있다.

    방송 송수신 모듈(115)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통하여 방송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방송 송수신 모듈(115)을 통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방송 시스템은,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 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 Terrestrial) 등일 수 있다. 방송 송수신 모듈(115)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방송 신호에는 교통정보, 생활정보, 차량용 블랙박스(도 1의 200)에서 촬영된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장치이다.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전술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제1 유선 통신 모듈(119)은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을 다른 디바이스와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제1 유선 통신 모듈(119)은, USB Port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USB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은, 필요에 따라서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7) 또는 제1 유선 통신 모듈(119)을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경우에, 어느 하나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17)로 통신하고, 다른 하나는 제1 유선 통신 모듈(119)을 통하여 통신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입력부(12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의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입력을 특정한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 모듈(121)과, 제1 마이크 모듈(12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모듈(121)은 사용자가 푸쉬동작 등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 장치이다. 사용자 입력 모듈(121)은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의 하우징(도 1의 191) 외부에 마련된 내비게이션 조작키(도 1의 193)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마이크 모듈(123)은 사용자의 음성 및 차량의 내외부에서 발생한 음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제1 마이크 모듈(123)은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의 하우징(도 1의 191) 외부에 마련된 내비게이션 마이크(195)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센싱부(13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제1 센싱부(130)는 제1 모션 센싱 모듈(131)과, 광 센싱 모듈(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션 센싱 모듈(131)은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의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모션 센싱 모듈(131)은, 3축 지자기 센서 및 3축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션 센싱 모듈(131)을 통하여 획득한 운동정보를 위치 정보 모듈(111)을 통하여 획득한 위치정보와 결합하여,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을 부착한 차량의 보다 정확한 궤적을 산출할 수 있다.

    광 센싱 모듈(133)은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의 주변 조도(illuminance)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광 센싱 모듈(133)을 통하여 획득한 조도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45)의 밝기를 주변 밝기에 대응되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출력부(14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이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오디오 출력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41)은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모듈(141)은,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의 하우징(도 1의 191) 전면(前面)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도 1의 145)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41)이 터치스크린인 경우라면, 정보의 출력부(140)인 동시에 입력부(120)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오디오 출력 모듈(143)은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이 청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오디오 출력 모듈(143)은,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이 운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에게 알려야 할 정보를 소리를 표현하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저장부(15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및 동작에 의하여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제1 저장부(15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의 내부에 내장된 메모리이거나, 탈착 가능한 메모리일 수 있다.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는, OS, 경로 탐색 어플리케이션, 지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의 동작에 의하여 생성된 정보는, 탐색된 경로 정보, 수신한 영상 등일 수 있다.

    전원부(16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의 동작 또는 차량용 내비게이션(100)과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전원부(16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에 내장된 배터리 또는 차량 등의 외부전원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전원부(160)는, 전원을 공급받는 형태에 따라서 제1 유선 통신 모듈(119)로 구현되거나, 무선으로 공급받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제어부(17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나아가, 제1 제어부(17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에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블랙박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200)는 제2 통신부(210)와, AV 입력부(220)와, 사용자 입력부(230)와, 제2 센싱부(240)와, 제2 저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1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통신부(110)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제2 통신부(210)는 제2 위치 정보 모듈(211)과,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13)과, 제2 유선 통신 모듈(2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위치 정보 모듈(211)은 제1 위치 정보 모듈(도 3의 111)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13)은 제1 근거리 통신 모듈(도 3의 117)과 통신할 수 있으며, 제2 유선 통신 모듈(215)은 제1 유선 통신 모듈(119)와 통신할 수 있다.

    AV 입력부(220)는 사운드 및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장치이다. AV 입력부(220)는 카메라 모듈(221)과 제2 마이크 모듈(223)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21)은 차량용 블랙박스(200)가 장착된 차량의 내, 외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21)이 블랙박스 카메라(도 1의 222)로 구현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2 마이크 모듈(223)은 차량의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마이크 모듈(223)을 통하여 획득한 사운드는, 차량용 블랙박스(200)의 동작의 제어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마이크 모듈(223)을 통하여 평소보다 강한 사운드를 수신한 경우에는, 카메라 모듈(221)이 보다 해상도 높은 화상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마이크 모듈(223)은 블랙박스 마이크(224)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차량용 블랙박스(200)의 동작을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장치이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차량용 블랙박스(200)의 외부에 마련된 푸쉬버튼(미도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차량용 블랙박스(200)가 제어되는 경우라면, 사용자 입력부(230)는 차량용 블랙박스(200)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

    제2 센싱부(240)는 차량용 블랙박스(2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제 2센싱부(240)는 제2 모션 센싱 모듈(24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설치된 위치를 제외한다면 제1 모션 센싱 모듈(도 3의 131)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2 센싱부(240)가 차량용 블랙박스(200)에 마련된 경우라면, 차량용 내비게이션(100)으로부터 3차원 공간의 운동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저장부(250)는 차량용 블랙박스(2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및 동작에 의하여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제2 저장부(250)에 저장되는 정보는, 카메라 모듈(221)을 통하여 획득한 영상일 수 있다. 제2 저장부(250)는 차량용 블랙박스(200)에 내장되거나, 차량용 블랙박스(200)에 착탈 가능한 메모리일 수 있다.

    제2 제어부(270)는 차량용 블랙박스(2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제2 제어부(27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의 제어신호에 영향 받을 수 있다. 즉, 제2 제어부(270)는 제1 제어부(도 3의 170)에 종속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포함하는 통신망의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다양한 통신망 및 다른 전자 다비이스(61 내지 64)와 접속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인공위성(20)으로부터 수신한 전파신호를 사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각각의 인공위성(20)은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L밴드 주파수를 송신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각각의 인공위성(20)에서 송신된 L밴드 주파수가 내비게이션 시스템(10)에 도달하는데 까지 소요된 시간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제1 통신부(도 3의 110)를 통하여 제어국(40, ACR), 기지국(50, RAS) 등을 통하여 네트워크(30)에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30)에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이 접속하면, 네크워크(30)에 접속한 전자 디바이스(61, 62)와도 간접적으로 접속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통신 기능을 가진 다른 디바이스(63)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네트워크(30)에 접속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3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가 내비게이션 시스템(10)에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 제1 근거리 통신 모듈(도 3의 117) 등을 통하여 통신 기능을 가진 다른 디바이스(63)와 통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면,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장소 정보와 매핑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장소 정보와 매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은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위치 정보, 장소 정보 등과 매핑하여 제1 저장부(도 3의 150)에 저장한다. 여기서 장소 정보는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위치 정보 모듈(도 3의 111) 또는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의 제2 위치 정보 모듈(도 4의 211)을 통해 획득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저장부(도 3의 15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서 획득된 정보로서, 주소 정보, 도로 정보, POI(point of interest) 정보 등을 포함한다. 위치 정보는 경도 정보, 위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지도 데이터에는 지도(map) 정보뿐만 아니라, 장소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도 저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장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주소 정보는 장소를 식별하기 위해 국가기관, 공공기관 등에서 부여한 식별 기호이다. 주소 정보는 "서울시 중구 태평로 1가 31번지"와 같이 전체 주소이거나, "서울시 중구 태평로 1가", "역삼동" 등과 같이 전체 주소 중 일부 주소일 수 있다. 도로 정보는 도로를 식별하기 위해 국가기관, 공공기관 등에서 부여한 식별 기호이다. 예를 들어, "서울외곽순환도로", "4번 국도" 등을 말한다. POI 정보는 "광화문 광장", "시청 광장" 등과 같이 널리 알려진 장소이거나, "강남역", "사당역" 등과 같은 지하철 역명이거나, "서래마을" 등과 같은 지명이거나, "롯데리아", "스타벅스" 등과 같은 상호이거나, "서울시청", "종로구청"등과 같은 국가기관, 공공기관 등을 말한다. 물론, 사용자에 의해 "집", "회사" 등과 같은 특정 장소를 POI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에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분, 5분 등과 같은 미리 정해진 재생 시간을 가지는 영상 데이터를 말한다. 또한, 영상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크기를 가지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MB(megabyte), 5MB 등과 같은 미리 정해진 크기를 가지는 영상 데이터를 말한다.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는 차량의 내외부를 촬영하여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에 주기적으로 송신하거나,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요청에 따라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위치 정보, 장소 정보 등과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차량 사고 발생 시 사고의 경위 및 과실의 정도를 판단하는데 참고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장소 정보와 매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의 제2 통신부(도 4의 210)는 차량의 내외부를 촬영하여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에 송신한다(S411). 이후,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통신부(도 3의 110)는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S413),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저장부(도 3의 15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서 장소 정보를 획득한다(S415).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장소 정보와 매핑하여 제1 저장부(도 3의 150)에 저장한다(S417).

    한편, 단계(S413, S415)가 단계(S411) 수행 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단계(S413, S415)가 단계(S411) 전에 수행되거나, 단계(S411)와 동시에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장소 정보와 매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의 제2 통신부(도 4의 210)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S421), 제2 통신부(도 4의 210)는 위치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에 송신한다(S423). 이후,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통신부(도 3의 110)는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저장부(도 3의 15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서 장소 정보를 획득한다(S425).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장소 정보와 매핑하여 제1 저장부(도 3의 150)에 저장한다(S427).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장소 정보와 매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통신부(도 3의 110)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S431), 제1 통신부(도 3의 110)는 위치 정보를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에 송신한다(S433). 이후,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의 제2 통신부(도 4의 21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에 송신한다(S435). 이후,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통신부(도 3의 110)는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저장부(도 3의 15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서 장소 정보를 획득한다(S437).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장소 정보와 매핑하여 제1 저장부(도 3의 150)에 저장한다.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장소 정보와 매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통신부(도 3의 110)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S441),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저장부(도 3의 15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서 장소 정보를 획득한다(S443). 이후,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장소 정보를 제1 통신부(도 3의 110)를 통해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에 송신한다(S445). 이후,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의 제2 통신부(도 4의 21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으로부터 장소 정보를 수신하고, 장소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에 송신한다(S447). 이후,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통신부(도 3의 110)는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영상 데이터를 제1 저장부(도 3의 150)에 저장한다(S449).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장소 정보와 매핑하는 동작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170)는 영상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장소 정보를 별개의 파일로 제1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장소 정보의 파일명을 영상 데이터의 파일명과 동일하게 하고, 장소 정보를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폴더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장소 정보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와 동기화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의 총 재생 시간이 10분이고, 5분 전에는 A 장소에, 5분 이후에는 B 장소에 매핑되어 있다고 하면, 장소 정보는 "A 장소" 및 "B 장소"의 장소 정보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장소 정보에는 "0분 ~ 5분" 및 "5분 ~ 10분"의 시간 정보가 대응되어 있다.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170)는 영상 데이터 내의 영상 프레임(frame) 중 미리 정해진 영상 프레임 타입(type)의 영상 프레임에 대해 장소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프레임 타입은 I(infra) 프레임, P(predicted) 프레임, B(bidirectional) 프레임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의 영상 프레임 중 I 프레임에 대해 장소 정보를 매핑한다.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170)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장소 정보를 영상 데이터에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분, 5분 등과 같이 미리 정해진 주기로 영상 데이터에 장소 정보를 매핑한다.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170)는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된 현재의 장소 정보가 차량의 이전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된 이전 장소 정보와 다른 경우에 현재 장소 정보를 영상 데이터에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위치 정보에 따라 획득된 장소 정보가 제1 장소(강남역), 제2 장소(강남역), 제3 장소(역삼역)의 순서라고 하면, 제2 장소(강남역)는 이전 장소인 제1 장소(강남역)과 동일하기 때문에 영상 데이터에 매핑되지 않고, 제3 장소(역삼역)는 이전 장소인 제2 장소(강남역)와 다르기 때문에 영상 데이터에 매핑된다.

    한편,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이 영상 데이터에 장소 정보를 매핑하는 동작에 대해서만 앞서 설명하였지만,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가 영상 데이터에 위치 정보, 장소 정보 등을 매핑하는 동작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영상 데이터 타입(type)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영상 데이터 타입에 따라 폴더를 구분하고 영상 데이터를 해당 폴더에 저장하거나, 영상 데이터 타입을 파일명에 포함시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데이터 타입은 차량에 장착된 센서의 신호에 따라 획득된 영상 데이터(이하, "제1 영상 데이터 타입"이라 함),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이하, "제2 영상 데이터 타입"이라 함), 센서의 신호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가 작동함에 따라 획득된 영상 데이터(이하, "제3 영상 데이터 타입"이라 함) 등을 포함한다. 즉, 제1 영상 데이터 타입(도 10에 도시된 "이벤트", 도 13에 도시된 "E")은 차량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거나, 차량의 과속, 급감속, 급가속 등을 감지하거나, 외부 소음을 감지하는 센서의 신호에 따라 차량의 내외부를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말한다. 제2 영상 데이터 타입(도 10에 도시된 "수동", 도 13에 도시된 "M")은 사용자의 촬영 요청에 따라 차량의 내외부를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말한다. 제3 영상 데이터 타입(도 10에 도시된 "상시", 도 13에 도시된 "A")은 센서의 신호나 사용자의 촬영 요청에 의하지 않고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가 정상적으로 작동 중인 상태에서 차량의 내외부를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말한다.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장소 정보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장소 정보에 따라 폴더를 구분하고 영상 데이터를 해당 폴더에 저장하거나, 장소 정보를 파일명에 포함시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영상 데이터에 복수의 장소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경우, 해당 영상 데이터를 장소 정보를 기준으로 복수의 영상 데이터로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이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에 대해서만 앞서 설명하였지만,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러면,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목록 화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목록 화면의 일례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사용자로부터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입력부(도 3의 120)를 통해 영상 재생하기 등의 메뉴가 선택되면,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영상 데이터 목록 화면을 디스플레이부(도 1의 145)에 출력한다.

    영상 데이터 목록 화면은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영상 재생 화면(VS), 영상 목록 화면(LS), 삭제 버튼(DB), 백업 버튼(BB), 지도 버튼(MB), 검색 버튼(SB)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 목록 화면(LS)에는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저장부(도 3의 15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의 목록이 표시된다. 물론,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의 제2 저장부(도 4의 25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의 목록을 영상 목록 화면(LS)에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영상 재생하기 등의 메뉴가 선택된 경우,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로부터 영상 데이터 목록을 수신하여 영상 목록 화면(LS)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연결 중, 연결 완료, 연결 실패 등과 같은 상태를 디스플레이부(도 1의 145)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이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와 연결이 되었는지, 연결이 실패하였는지, 연결 중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영상 목록 화면(LS)에 표시된 영상 데이터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은 사용자가 현재 선택된 영상을 인지할 수 있도록 색상을 다르게 하거나 음영 등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목록은 탭 등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 타입에 따라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영상 목록 화면(LS)에 표시된 각 항목에 영상 데이터 타입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영상 목록 화면(LS)에 표시된 영상 데이터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에 대응되는 화면을 영상 재생 화면(VS)에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영상 재생 화면(VS)을 터치하는 경우 영상 재생 화면(VS)은 전체 화면으로 전환되고, 사용자가 영상 재생 화면(VS)을 다시 터치하는 경우 원래 크기의 영상 재생 화면(VS)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때, 영상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위치 정보, 장소 정보 등을 영상 재생 화면(VS)에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에 속도 정보 등이 포함된 경우, 속도 정보 등도 영상 재생 화면(VS)에 출력할 수 있다.

    삭제 버튼(DB)은 현재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메뉴이다. 사용자가 삭제 버튼(DB)을 선택하면,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현재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때, 사용자의 잘못된 조작에 의해 영상 데이터가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팝업(popup) 창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삭제 여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목록 화면(LS)에 표시된 영상 데이터 목록이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로부터 수신된 경우,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에 현재 선택된 영상 데이터의 삭제를 요청한다. 이후,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의 제2 제어부(도 4의 270)는 해당 영상 데이터를 삭제한다.

    백업 버튼(BB)은 현재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백업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메뉴이다. 사용자가 백업 버튼(BB)을 선택하면,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현재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백업한다. 이때, 사용자의 잘못된 조작에 의해 백업된 영상 데이터가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스템 영역에 영상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다. 물론, 영상 데이터 목록 내의 전체 영상 데이터를 백업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 목록 화면(LS)에 표시된 영상 데이터 목록이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로부터 수신된 경우,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에 현재 선택된 영상 데이터의 백업을 요청한다. 이후,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의 제2 제어부(도 4의 270)는 해당 영상 데이터를 백업한다.

    지도 버튼(MB)은 모의 주행이나 위치 보기 기능을 위해 제공되는 메뉴이다. 사용자에 의해 지도 버튼(MB)이 선택되면, 모의 주행 메뉴와 위치 보기 메뉴가 팝업 창 등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부(도 1의 145)에 출력된다. 이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모의 주행 메뉴나 위치 보기 메뉴가 선택되면 해당 기능이 수행된다. 한편, 현재 선택된 영상 데이터에 위치 정보, 장소 정보 등이 매핑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지도 버튼(MB)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검색 버튼(SB)은 영상을 검색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메뉴이다.

    그러면,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검색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어 입력 화면의 일례를 도식화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 화면의 일례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사용자로부터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입력부(도 3의 120)를 통해 장소 정보를 입력받는다(S5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색어 입력 화면은 검색어 입력 부분(SW), 키보드 부분(KI) 등으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키보드 부분(KI)을 통해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어(장소 정보)를 검색어 입력 부분(SW)에 입력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가 현재 재생 중이면(S513-Y),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재생 중인 영상 데이터 내의 영상 프레임 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장소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영상 프레임을 검색한다(S515).

    반면, 영상 데이터가 현재 재생 중이 아니면(S513-N),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장소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제1 저장부(도 3의 150)에서 검색한다(S519). 한편, 영상 데이터가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2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에 검색 요청을 하고,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부(도 1의 145)에 출력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색 결과 화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장소 정보가 매핑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의 목록이 표시된다. 각 항목은 영상 데이터 파일명 부분(FN), 부가 정보 부분(AI), 영상 데이터 타입 부분(VT) 등으로 구성된다. 부가 정보 부분(AI)에는 주소 정보(도 13의 (a))가 표시되거나, POI 정보(도 13의 (b))가 표시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타입 부분(VT)에는 영상 데이터의 타입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영상 데이터가 차량에 장착된 센서의 신호에 따라 획득된 것인지, 사용자의 촬영 요청에 따라 획득된 것인지,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가 작동 중인 상태에서 획득된 것인지를 알 수 있다.

    한편, 영상 데이터 재생 중에 검색된 경우,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검색 결과 화면(145)에 영상 데이터의 목록이 아니라 영상 프레임(일부 영상)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데이터 파일명 부분(FN)에는 영상 프레임의 시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분 10초 ~ 3분 20초" 등과 같은 시간 정보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영상 데이터에 장소 정보 등이 매핑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장소 정보 등을 이용하여 해당 영상 데이터나 해당 영상 프레임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의 주행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의 주행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의 주행 화면의 일례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사용자로부터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입력부(도 3의 120)를 통해 지도 버튼(도 10의 MB)이 선택되고 모의 주행 메뉴가 선택되면(S611),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현재 선택된 영상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를 획득한다(S613). 차량 이동 경로 정보는 복수의 장소 정보를 포함하며, 장소 정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후,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영상 데이터와 차량 이동 경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도 1의 145)에 출력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도 위에 차량 이동 경로(ML)를 표시한다. 그리고 영상 재생 화면(VS)에는 현재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영상 데이터 재생 시 차량 위치(VP)도 업데이트 한다. 영상 재생 화면(VS)은 PIP(picture in picture), NIP(navigation in picture)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장소 정보 등을 이용하여 획득된 차량 이동 경로 정보를 지도 위에 표시함으로써, 차량 사고 발생 시 사고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고 경위 등을 판단하는데 참고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보기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보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보기 화면의 일례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사용자로부터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입력부(도 3의 120)를 통해 지도 버튼(도 10의 MB)이 선택되고 위치 보기 메뉴가 선택되면,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현재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도 1의 145)에 출력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입력부(도 3의 120)를 통해 특정 지점이 입력되면(S711),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영상 데이터의 전체 영상 중 특정 지점을 기초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일부 영상을 획득한다(S713).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의 제1 제어부(도 3의 170)는 획득된 일부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도 1의 145)에 출력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도 위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특정 지점(IP)을 표시한다. 그리고 특정 지점(IP)을 기준으로 전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영상을 영상 재생 화면(VS)에 반복적으로 재생한다.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 재생 중 사용자에 의해 특정 지점이 입력되면,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 1분, 5분 등과 같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일부 영상을 반복적으로 재생한다.

    이와 같이, 특정 지점을 기초로 획득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일부 영상만을 재생할 수 있으므로, 차량 사고 발생 시 사고의 경위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지점에서 획득된 영상만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고 경위 등을 판단하는데 참고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영상 데이터 목록 화면, 도 12에 도시한 검색어 입력 화면, 도 13에 도시한 검색 결과 화면, 도 15에 도시한 모의 주행 화면, 및 도 17에 도시한 위치 보기 화면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이와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위치 정보, 장소 정보 등이 매핑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이나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에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이나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는 위치 정보, 장소 정보 등이 매핑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도 5의 30)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도 5의 61, 62)에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전자 디바이스(도 5의 61, 62)는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이나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도 5의 61, 62)는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이나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영상 데이터를 차량용 내비게이션(도 3의 100)이나 차량용 블랙박스(도 4의 200)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지금까지 설명한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hard disk),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recording media),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내비게이션 시스템 20 : 인공위성
    30 : 네트워크 40 : 제어국
    50 : 기지국 100 : 차량용 내비게이션
    120 : 입력부 130 : 제1 센싱부
    140 : 출력부 150 : 제1 저장부
    160 : 전원부 170 : 제1 제어부
    200 : 차량용 블랙박스 210 : 제2 통신부
    220 : AV 입력부 230 : 사용자 입력부
    240 : 제2 센싱부 260 : 제2 저장부
    300 : 통신케이블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