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운행 기록 장치 및 방법

申请号 KR1020080013753 申请日 2008-02-15 公开(公告)号 KR100857766B1 公开(公告)日 2008-09-09
申请人 (주)플라토; 发明人 김득수; 홍성훈;
摘要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ording driving history are provided to store the driving history in both normal condition and accident and reduce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recorded in a normal condition. An apparatus for recording driving history comprises an information obtaining part(12), an information compressing part(13), a first storage part(17), a second storage part(18), an accident detecting part(15), and a controller(11). The information obtaining part obtains imag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the inside or outside of a vehicle. The information compressing part compresse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nformation obtaining part in a multimedia information type. The first storage part stores the compressed information and outputs the stored information in an FIFO(First In First Out) scheme. The second storage part stores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first storage part directly or after reducing the number of frames of output information. The accident detecting part provides accident occurrence information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The controller controls to store the information from a recording starting point to a recording completing point out of the information stored on the first storage part on the second storage part if the accident occurrence information is input, and to store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first storage part on the second storage part after reducing the number of the frames if the accident occurrence information is not input.
权利要求
  • 차량의 운행 기록에 관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운행 기록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또는 차량 외부의 상황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한 정보를 각 프레임별로 추가 및 추출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정보 형식으로 압축하되, 상기 각 프레임별로 추가 및 추출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정보 형식은,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구성하는 첫번째 프레임 헤더 정보를 가지는 파일 시작 영역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구성하는 첫번째 프레임의 헤더를 제외한 각 프레임의 헤더, 비디오 및 오디오 압축 데이터 정보를 가지는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 영역과, 최종적으로 저장된 프레임의 헤더를 가지는 종료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정보 압축부;
    상기 압축된 정보를 저장하고 선입선출(FIFO) 방식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출력하는 제 1 저장부;
    상기 제 1 저장부에서 출력된 정보를 그대로 저장하거나, 상기 출력된 정보의 프레임 수를 낮추어 저장하는 제 2 저장부;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사고 발생 정보를 제공하는 사고 검출부; 및
    상기 사고 발생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중 사고기록 시작시점부터 사고기록 종료시점까지 저장된 정보가 그대로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고 발생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저장부에서 출력된 정보의 프레임 수를 낮추어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운행 기록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주행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주행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저장부는 상기 압축된 정보 및 주행정보 제공부에서 입력된 주행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 기록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장부는,
    상기 사고 발생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중 사고기록 시작시점부터 사고기록 종료시점까지 저장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사고 기록 메모리 영역; 및
    상기 사고 발생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저장부에서 출력된 정보의 프레임 수를 낮추어 저장하는 일반운행 기록 메모리 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 기록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주행정보 제공부와 상기 사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출력할 안내 메시지를 저장하는 안내음성 메모리 영역을 더 포함하는 차량 운행 기록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안내 음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차량 운행 기록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현재 시각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각 제공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저장부는 상기 압축된 정보 및 압축된 정보에 상응하는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 기록 장치.
  • 삭제
  • 차량 운행 기록 방법에 있어서,
    차량 외부 또는 내부의 상황에 관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N 프레임으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정보로 가공하여 제 1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N 프레임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M 프레임의 멀티미디어 정보로 용량을 감소시키는 가공을 수행하여 제 2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사고 발생을 감지한 경우, 상기 사고 발생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으로부터 상기 사고 발생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후 까지 상기 N 프레임으로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는 각 프레임별로 추가 및 추출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 기록 방법.
  • 삭제
  • 제 8 항에 있어서,
    음성 안내를 위한 특정 상황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상황에 따른 안내 방송을 출력하되,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 중 선택된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운행 기록 방법.
  • 说明书全文

    차량 운행 기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Driving History}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 이력을 기록할 수 있는 차량 운행 기록 장치 및 차량 운행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실제 사고 현장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재현하기는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목격자가 있다고 하더라도, 주관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거나, 시간이나 상황에 대한 착각 혹은 편파적으로 사고의 일방 당사자를 두둔하는 경우, 결국 진실을 알 수 없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사고 후 손해 배상 등 사후 처리에 있어서, 실제로 과실이 없는 당사자가 부당하게 손해를 배상해야 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교통사고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운전자가 자신의 평소 운전 습관 등을 체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좋지 않은 운전습관을 가진 운전자라 할지라도 자신의 잘못된 운전 습관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차량에 카메라 등을 부착하고, 이를 녹화하여 녹화된 정보를 통해 운전자의 평소 운전 습관 등을 체크하며, 사고시에 녹화된 화면을 증거로 사용하기 위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 운행 기록장치의 경우에, 평소의 운행 기록을 모두 저장하는 경우, 메모리 용량의 한계로 인해 지나치게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한편, 사고 시점의 운행 기록만을 기록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고 시점 전후의 모습이 모두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사고 발생을 감지하는 순간부터 기록 장치가 동작하게 되어 실제로는 사고 시점 후의 모습만을 기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고 발생 시점 만의 영상을 기록/보전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안전운전 교육자료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일반적인 주행 상황을 기록할 뿐 아니라, 사고 발생시 사고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부터 사고 발생 일정 시간 이후까지 보다 상세한 주행 상황을 기록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운행 기록 장치 및 차량 운행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내부 또는 차량 외부의 상황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와, 상기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한 정보를 각 프레임별로 추가 및 추출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파일 형식으로 압축하되, 상기 각 프레임별로 추가 및 추출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파일 형식은,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구성하는 첫번째 프레임 헤더 정보를 가지는 파일 시작 영역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구성하는 첫번째 프레임의 헤더를 제외한 각 프레임의 헤더, 비디오 및 오디오 압축 데이터 정보를 가지는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 영역과, 최종적으로 저장된 프레임의 헤더를 가지는 파일 종료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정보 압축부와, 상기 압축된 정보를 저장하고 선입선출(FIFO) 방식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출력하는 제 1 저장부와, 상기 제 1 저장부에서 출력된 정보를 그대로 저장하거나, 상기 출력된 정보의 프레임 수를 낮추어 저장하는 제 2 저장부와,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사고 발생 정보를 제공하는 사고 검출부 및 상기 사고 발생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중 사고기록 시작시점부터 사고기록 종료시점까지 저장된 정보가 그대로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고 발생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저장부에서 출력된 정보의 프레임 수를 낮추어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운행 기록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외부 또는 내부의 상황에 관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N 프레임으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파일로 가공하여 제 1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N 프레임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M 프레임의 멀티미디어 파일로 용량을 감소시키는 가공을 수행하여 제 2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사고 발생을 감지한 경우, 상기 사고 발생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으로부터 상기 사고 발생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후 까지 상기 N 프레임으로 제 1 저장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은 각 프레임별로 추가 및 추출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 기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 기록 장치 및 차량 운행 기록 방법에 따르면, 일반적인 상황 및 사고 상황에서 모두 운행 기록을 저장할 수 있으며, 사고 상황에서는 보다 상세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고 상황이 아닌 일반적인 상황에서 저장이 필요한 정보 용량을 줄임으로써, 차량 운행 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 기록 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 기록 장치(10)는 제어부(11)와, 정보 획득부(12)와, 정보 압축부(13)와, 주행 정보 제공부(14)와, 사고 검출부(15)와, 음성 출력부(16)와, 제 1 정보 저장부(17) 및 제 2 정보 저장부(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 기록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정보 획득부(12)는 차량 내부 및/또는 외부에 장착되어 평소의 운전 상황 및 사고시의 운전 상황의 영상 및/또는 소리 정보를 획득한다. 정보 획득부(12)는 카메라나 혹은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외부에 부착되어 평소 운행시나 사고시에 외부의 영상 및/또는 소리를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외부에 부착된 정보 획득부(12)는 차량 운행 도중 주변 모습, 주행 차로, 교통량, 신호 및 기타 교통법규 준수에 관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고시에는 사고 전후의 교통 상황, 충돌 당시의 상황, 충돌 후 차량의 위치, 손상 부위 등에 관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내부에 부착된 정보 획득부(12)는 차량 운행 도중 운전자의 모습, 승객의 모습 등에 관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고시에는 사고 전후의 운전자의 대처 방식, 승객들의 부상이나 안전에 관한 상황, 운전자와 승객간의 대화 내용 등에 관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보 압축부(13)는 정보 획득부(12)로부터 획득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일정한 압축 표준 기술을 이용하여 압축한다. 이때, 영상 신호 압축을 위해 MPEG, H.264 등과 같은 화상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으며, H.264 방식에 따라 압축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성 신호 압축을 위해 MP4, AAC 등과 같은 음성 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주행정보 제공부(14)는 차량의 속도, 운전자의 운전 조작에 관한 사항(브레이크나 깜빡이 등의 조작), 차량의 운행 거리 등 주행 정보에 관한 정보를 차량으 로부터 획득하여 제어부(11)에 제공한다.

    사고 검출부(15)는 차량의 충돌 상황과 같이 충격이 가해진 경우, 혹은 차량이 급정거하거나, 차량 내에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사고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1)에 제공한다. 사고 검출부(15)는 충격 센서나 화재 경보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출력부(16)는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 정보가 있는 경우, 주행정보 제공부(14) 및/또는 사고 검출부(15)에서 제공된 정보에 따라, 현재 상황에 따른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차가 후진하는 경우, 주행정보 제공부(14)로부터 입력된 주행 정보가 제어부(11)에 입력되면,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후진 안내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제 1 저장부(17)는 정보 압축부(13)으로부터 제공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 저장부(18)는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제 1 저장부(17)에 일시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 주행정보 제공부(14)에서 제공된 주행정보, 시각 제공부(16)에서 제공된 시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다. 이 때, 제 1 저장부(17)에 일시 저장되었던 멀티미디어 정보 중 영상 정보는 정보 용량을 줄인 후 제 2 저장부(18)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보 용량을 줄이기 위해 제 1 저장부(17)에 일시 저장되는 영상 정보의 프레임 수와 제 2 저장부(18)에 저장되는 프레임 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제 1 저장부(17)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영상 정보의 프레임 수를 낮추어서 제 2 저장부(18)에 저장함으로써, 제 2 저 장부의 메모리 용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사고 검출부(15)로부터 사고에 관한 정보가 제어부(11)로 입력되면, 제어부는 제 1 저장부(17)에 일시 저장되었던 멀티미디어 정보의 프레임 수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제 2 저장부(18)에 저장한다. 즉, 사고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간 이전(이하 '사고기록 시작시점') 부터 사고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간 이후(이하 '사고기록 종료시점') 까지 제 1 저장부(17)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는 프레임 수를 낮추지 않고 그대로 제 2 저장부(18)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프레임 수를 낮추는 경우라도 일반적인 상황(사고가 일어나지 않은 상황) 보다는 높은 프레임 수를 가지고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는 제어부의 제어 변수들을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 1 저장부에 저장되는 프레임 수와 제 2 저장부에 저장되는 프레임 수, 제 1 저장부에 저장되는 프레임 수와 제 2 저장부에 저장되는 프레임 수의 비, 사고기록 시작시점 및 사고기록 종료시점의 지정, 얼마 이상의 충격이나 급정거 등을 사고로 인식하여 검출할 것인지, 음성안내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 등과 같은 사항들을 조작하기 위해, 기타 차량운행 기록장치(10)의 제어 변수들을 조작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를 통해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운행 기록 장치는 운행 기록을 위해 현재 시각(time)을 제공하는 시각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는 일반 운행 상황 기록과 사고 상황 기록시에 차량운행 기록 장치의 영상 저장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정보 압축부(13)로부터 멀티미디어 정보가 입력되면(S21), 제 N 프레임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 1 저장부에 저장한다(S22). 이 때, 주행정보 제공부(14) 및 시각 제공부(16)로부터 입력된 주행정보 및 시각 정보와 함께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 1 저장부(17)에 일시 저장된 차량 운행 정보는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출력되어 제 2 저장부(18)에 저장된다(S23). 이 때, 제 1 저장부(17)로부터 입력되는 차량 운행 정보 중 멀티미디어 정보는 제 M 프레임(N >M)으로 변경하여 제 2 저장부(18)에 저장한다. 즉, N 프레임의 멀티미디어 정보는 프레임 수가 크므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나 이를 모두 제 2 저장부(18)에 저장하게 되면, 메모리의 용량을 고려할 때 비효율적이므로, 적절한 크기의 정보량으로 줄여서 저장한다.

    사고 검출부(15)로부터 사고가 검출 정보가 입력되면(S24), 사고기록 시작시점부터 사고기록 종료시점까지 제 1 저장부(17)에 저장된 N 프레임의 멀티미디어 정보는 M 프레임으로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제 2 저장부(18)에 저장한다(S25). 따라서, 사고 전후의 운행 기록은 일반 운행 기록보다 더 상세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도 3 은 멀티미디어 정보 압축 방식을 나타낸 제 1 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3a 는 제 1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3b 는 제 1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파일에 새로 저장된 비디오 스트림이 있을 경우, 파일이 저장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파일은 헤더 영역(31), 비디오 스트림 영역(32), 오디오 스트림 영역(33), 스트림 포맷 영역(34)으로 이루어진다. 헤더 영역(31)은 파일 및 스트림 포맷의 속성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비디오 스트림 영역(32)은 비디오 압축 데이터 정보를 가지며, 오디오 스트림 영역(33)은 오디오 압축 데이터 정보를 가진다. 한편, 스트림 포맷 영역(34)는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 인덱스에 관한 정보를 가진다.

    따라서, 도 3b 와 같이 새로 저장된 비디오 스트림(35)이 있는 경우에는, 헤더 영역(31)에 비디오 프레임 추가에 따른 데이터 갱신을 수행하고, 비디오 스트림 영역(32)에 새로 저장되는 비디오 프레임을 추가하며, 스트림 포맷 영역(34)에는 비디오 프레임 추가에 따른 데이터 갱신을 수행해야 한다.

    즉, 상기 제 1 방식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방식에 따르면, 새로운 비디오 프레임(35)이 저장되는 경우, 비디오 스트림 영역 뿐 아니라, 헤더 영역(31)과 스트림 포맷 영역(34)도 이와 상응하여 갱신되어야 한다. 또한, 압축된 멀티미디어 파일로부터 특정 프레임만을 선별적으로 추출하기 위해서는, 추출할 프레임에 상응하는 데이터 시작 위치와 길이 등 제어 정보를 파일 내 헤더 영역(31) 및 스트림 포맷 영역(34)에서 함께 추출해야 한다. 따라서, 제 1 방식에 의하면, 프레임의 추가 및 추출 과정이 복잡해진다.

    도 4 는 멀티미디어 정보 압축 방식을 나타낸 제 2 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4a 는 제 2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4b 는 제 2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파일에 새로 저장된 비디오 스트림이 있을 경우, 파일이 저장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c 는 제 2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파일 저장이 완료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식에 의한 멀티미디어 파일은 파일 시작영역(41)과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 영역(42)으로 이루어진다. 파일 시작 영역(41)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구성하는 첫번째 프레임의 헤더 정보를 가지고,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 영역(43)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구성하는 첫번째 프레임의 헤더를 제외한 각 프레임의 헤더, 비디오 및 오디오 압축 데이터 정보를 가진다.

    따라서, 도 4b 와 같이 새로 저장된 비디오 스트림(43)이 있는 경우, 파일의 다른 부분의 변경이 필요 없이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 영역(42)에 새로 저장되는 비디오 스트림(43)을 추가하면 된다.

    즉, 상기 제 2 방식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생성 방식에 따르면, 새로운 비디오 프레임이 저장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특정 프레임만을 저장하면 되고, 멀티미디어 파일의 다른 부분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또한, 압축된 멀티미디어 파일로부터 특정 프레임을 선별적으로 추출하는 경우에도 멀티미디어 파일의 다른 부분을 변경할 필요 없이 필요한 프레임만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도 4c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프레임의 저장이 완료 되면, 최종적으로 저장된 프레임의 헤더를 파일 종료 영역(44)으로 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이 완성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 기록 장치의 제 2 저장부를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제 2 저장부(18)는 사고 기록 메모리 영 역(181)과, 일반 운행 기록 메모리 영역(182) 및 안내음성 메모리 영역(18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고 기록 메모리 영역(181)에는 사고 검출부(15)로부터 사고 검출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 제 1 저장부(17)에 사고기록 시작시점으로부터 사고기록 종료시점까지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가 저장된다. 한편, 일반 운행 기록 메모리 영역(182)에는 사고기록 시작시점으로부터 사고기록 종료시점까지를 제외한 나머지 상시 운행 시간 구간 동안 저장된 멀티미디어 정보가 저장된다. 사고 기록 메모리 영역(181)에 저장되는 멀티미디어 정보가 일반 운행 기록 메모리 영역(182)에 저장되는 멀티미디어 정보보다 상세히 기록됨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제 2 저장부(18)는 안내음성 메모리 영역(18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음성 메모리 영역(183)에는 주행정보 제공부(14)에서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필요한 음성 안내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후진 기어로 변속한 경우 또는 지정 속도를 초과한 경우 등 미리 지정된 경우에 상황에 상응하는 음성 안내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저장된 음성 정보는 음성 출력부(16)를 통해 출력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 기록 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 는 일반 운행 상황 기록과 사고 상황 기록시에 차량운행 기록 장치의 영상 저장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 은 멀티미디어 정보 압축 방식을 나타낸 제 1 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4 는 멀티미디어 정보 압축 방식을 나타낸 제 2 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 기록 장치의 제 2 저장부를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