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

申请号 KR1020177028012 申请日 2016-03-01 公开(公告)号 KR1020170130453A 公开(公告)日 2017-11-28
申请人 다이내믹 스트럭쳘스, 엘티디.; 发明人 러프,데이비드로버트; 에머릭-윗슨,신씨아린;
摘要 적어도일 실시예에서, 본발명에의하면, 진입레일섹션, 제1 위치에서진입레일섹션으로부터레일차량을수용하도록형성된차량셔틀, 제1 위치에서횡방향으로떨어진제2 위치로연장하는횡방향트랙섹션, 적어도하나의배출트랙섹션, 차량셔틀이횡방향으로떨어진제2 위치에있을때 적어도하나의배출트랙섹션으로차량셔틀을병진이동시키도록형성된주 추진수단을가지며, 스릴있는방식으로제1 위치로부터횡방향으로떨어진제2 위치로레일차량을전환하기위한횡방향레일전환장치가제공된다.
权利要求
  • 레일 차량을 제1 위치로부터 가로질러 분리된 제2 위치로 전환하기 위한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진입 레일을 가지며, 제1 위치에 위치된 진입 트랙 섹션;
    제1 단부, 제2 단부,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가지며 제1 위치에서 레일 차량을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제1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진입 레일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간 레일, 및 레일 차량이 상기 진입 레일 섹션으로부터 차량 셔틀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간 레일로 이동함에 따라 레일 차량을 감속시키기 위한 제동 수단을 상부면에 가지며, 하부면에는 차량 셔틀 보기를 가지는 차량 셔틀;
    제1 위치로부터 횡방향으로 분리된 제2 위치로 연장하는 횡방향 트랙 섹션으로, 제1 위치로부터 횡방향으로 분리된 제2 위치로 차량 셔틀이 이동함에 따라 차량 셔틀을 감속시키기 위한 제2 제동수단과, 차량 셔틀 보기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 부품을 가지는 횡방향 트랙 섹션;
    차량 셔틀이 횡방향으로 분리된 제2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간 레일에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출 레일을 가지며, 그중의 하나는 횡방향으로 분리된 제2 위치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 트랙 섹션;
    차량 셔틀이 횡방향으로 분리된 제2 위치에 있을 때, 레일 차량을 차량 셔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배출 트랙 섹션으로 병진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주 추진 수단을 포함하며, 및
    상기 레일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진입 레일,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간 레일 및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출 레일에 연통하는 레일 차량의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레일 보기를 가지는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트랙 섹션은, 추가로 일반적으로 수평인 제1 섹션, 중간의 제2 섹션 및 일반적으로 수평인 제3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 셔틀을 일반적으로 수평인 제1 섹션으로부터 적어도 중간의 제2 섹션으로 병진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횡방향 추진 시스템을 가지는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제동 수단은 연속적인 자기 제동 핀들인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셔틀은 추가로 레일 차량이 상기 진입 레일 섹션으로부터 상기 차량 셔틀로 이동할 때 레일 차량의 감속을 지원하도록 형성된 충격 흡수수단을 포함하는 횡방향 레일 전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 셔틀의 상부면은 또한 차량 셔틀에 대해 레일 차량을 고정하도록 형성된 기계적인 핀치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 셔틀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는 추가로 차량 셔틀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입 트랙 섹션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트랙 섹션에 고정하기 위한 트랙 인터록 핀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두 개의 배출 트랙 섹션을 포함하는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제2 섹션은 아래로 경사되어 제1 위치는 횡방향으로 분리된 제2 위치보다 더 높은 수직 고도에 위치되는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레일 보기와 적어도 하나의 차량 셔틀 보기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으로 배향된 휠과 적어도 하나의 수평으로 배향된 휠을 포함하는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추진 수단은 체인 구동 추진 시스템과 선형 동기식 모터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횡방향 트랙 섹션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제3 섹션은 차량 셔틀이 제1 위치로부터 횡방향으로 분리된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차량 셔틀의 감속을 지원하도록 형성된 충격 흡수수단을 포함하는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 수단은 선형 동기식 모터 고정자인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트랙 섹션은 추가로 상기 진입 레일 섹션과 상기 배출 레일 섹션의 적어도 하나에 인접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윈치 수단을 포함하는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 수단은 주 추진 수단인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동 수단과 주 추진 수단은 선형 동기식 모터 고정자인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
  • 说明书全文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

    본 발명은 오락 공원의 놀이기구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릴 있는 방식으로 레일 차량을 제1 위치로부터 횡방향으로 떨어진 제2 위치로 전환시키기 위한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에 대한 것이다.

    오락 놀이기구는 전세계적으로 인기있는 기분 전환이고 스릴 있으며 달리 얻을 수 없는 안전하고 제어된 방식으로 오락 경험을 제공한다.

    놀이기구 디자이너들은 안전하게 놀이기구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식들을 지속적으로 찾아내려 하며 이 과정 속에서 안전한 방식으로 스릴 경험을 제공하는 다른 많은 오락기구들 중 다음과 같이, 매달린 롤러코스터, 상하 역전 환상선(loop), 나선형 환상선, 기립 롤러코스터, 거의 수직형 드롭(drops), 뒤로 이동(backward travel)과 같은 특색 있는 다양한 트랙 디자인들과 특징들을 개발하였다.

    또한, 다양한 이유들로서 제1 트랙으로부터 제2 트랙으로 놀이기구 차를 전환하는 것이 때로 바람직하다. 일부 사례들에서, 탑승자가 경험하는 오락에 부가하는 흥미로운 방식으로 놀이기구 차를 제1 트랙에서 제2 트랙으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안전하나 스릴 있으며 새로운 탑승 경험을 제공하면서 제1 트랙에서 횡방향으로 떨어진 제2 트랙으로 레일 차량을 전환할 수 있는 트랙 전환 장치가 필요하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하며 스릴 있는 방식으로 오락용 놀이기구 차량을 제1 트랙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분리된 제2 트랙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횡방향 트랙 전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레일 차량을 제1 위치로부터 횡방향으로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진입 레일을 가지는 진입 트랙 섹션을 가지는 제2 위치로 전환하기 위한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이 장치는, 제1 단부, 제2 단부,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가지며 제1 위치에서 레일 차량을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제1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진입 레일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간 레일 및 레일 차량이 상기 진입 레일 섹션으로부터 차량 셔틀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간 레일로 이동함에 따라 레일 차량을 감속시키기 위한 제동 수단을 상부면에 가지며, 하부면에는 차량 셔틀 보기를 가지는 차량 셔틀; 제1 위치로부터 횡방향으로 분리된 제2 위치로 연장하는 횡방향 트랙 섹션으로, 제1 위치로부터 횡방향으로 분리된 제2 위치로 차량 셔틀이 이동함에 따라 이 차량 셔틀을 감속시키기 위한 제2 제동수단과, 차량 셔틀 보기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 부품을 가지는 횡방향 트랙 섹션; 차량 셔틀이 횡방향으로 분리된 제2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간 레일에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출 레일을 가지며, 그중의 하나는 횡방향으로 분리된 제2 위치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 트랙 섹션; 차량 셔틀이 횡방향으로 분리된 제2 위치에 있을 때, 레일 차량을 차량 셔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배출 트랙 섹션으로 병진시키도록 형성된 주 추진 수단을 포함하며, 및 상기 레일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진입 레일, 및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간 레일과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출 레일에 연통하는 레일 차량의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레일 보기(bogie)를 가진다.

    기재 없음

    본 발명은 이하의 도면들과 연관되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셔틀이 복수의 위치들에 있는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셔틀이 복수의 위치들에 있는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셔틀의 상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셔틀 상부면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셔틀의 하부 사시도이며;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 차량이 두 개의 임의 위치들에 있는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의 배출 레일 섹션의 상부 사시도이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오락 놀이기구 차를 제1 트랙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분리된 제2 트랙으로 안전하며 스릴 있는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횡방향 전환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 설명된 모든 부품들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여러 구조강 합금을 포함하는 적절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여기 설명된 모든 부품들은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해되는 적절한 공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 설명된 각각의 부품은 적절하게 같이 결합된 복수의 보조-부품들로 형성되거나 또는 대신해서 각각 단일 유닛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1 트랙은 제1 위치에 있는 진입 트랙 섹션이며 제2 트랙은 횡방향으로 분리된 제2 위치에 위치된 배출 트랙 섹션이다. 구체적으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2 위치는,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제1 위치를 직접 가로지르거나, 대각선 전방이거나, 및 대각선 후방과 같은 소정의 횡방향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은 다른 장치 중에서, 제1 위치는 제2 위치보다 더 높은 고도에 위치되거나 또는 제2 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에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진입 레일 트랙 섹션과 배출 트랙 섹션은 레일 차량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소정의 레일 트랙 섹션 디자인은 본 발명과 관련해서 사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으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진입 트랙 섹션과 배출 트랙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레일 부품을 가지는 상부면을 가진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진입 레일 섹션과 배출 레일 섹션은 서로 평행으로 배향되고 각각의 배출/진입 레일 섹션의 상부면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하는 한 쌍의 레일 부품들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레일 차량은 진입 레일 섹션과 배출 레일 섹션의 레일 부품들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 보기(rail bogie)를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레일 보기는 적어도 하나의 보기 휠(bogie wheel)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되고,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보기는 한 쌍의 대향된, 수직으로 향하는 휠(또는 대신해서, 두 쌍의 대향하는 수직으로 향하는 휠들)들과 적어도 하나의 수평으로 향해진 휠을 가질 수 있으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다른 보기 장치들이 또한 생각된다.

    여기 설명된 레일 부품은 본 발명의 일시적인 적용에 의해서 필요한 소정 수의 레일 프로파일들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레일 부품의 헤드는 원형 프로파일을 가지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서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정사각형, 모서리가 가공된 것 같은 다른 프로파일들을 가진다.

    진입 레일 섹션(제1 위치의)과 배출 레일 섹션(제2 위치)은 제1 위치를 제2 위치에 연결시키는 횡방향 트랙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레일 부품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차량 셔틀에 결합하여 연통한다. 그러므로 레일 차량은 진입 레일 섹션과 차량 셔틀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차량 셔틀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병진 운동할 수 있으며, 후속적으로 레일 차량은 차량 셔틀과 적어도 하나의 배출 레일 섹션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일 차량은 진입 트랙 섹션과 배출 트랙 섹션 사이에서 “전환(switched)”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차량 셔틀은 제1 단부, 제2 단부,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부면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차량 셔틀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레일 부품을 가진다. 또한 중간 레일 부품은 진입 레일 섹션(제1 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레일 부품 및 배출레일 섹션(제2 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레일 부품과 연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추가로, 차량 셔틀의 하부면은 횡방향 트랙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레일 부품에 결합하는 차량 셔틀 부기를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차량 셔틀 부기는 횡방향 트랙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레일 부품에 연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차량 셔틀 보기는 적어도 하나의 휠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보기는 한 쌍의 대향되는 수직으로 향하는 휠(또는 대신해서, 두 쌍의 대향되는 수직으로 향해진 휠)들 및 적어도 하나의 수평으로 향해진 휠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러나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은 다른 보기 장치가 생각된다.

    더욱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레일 차량이 진입 레일 섹션으로부터 차량 셔틀로 이동함에 따라, 레일 차량을 감속시키기 위한 제동 수단을 차량 셔틀의 상부면에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동 수단은 선형 동기식 모터 고정자이며,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은 다른 장치들이 생각된다.

    또한, 레일 차량이 진입 레일 섹션으로부터 차량 셔틀로 이동함에 따라 레일 차량의 감속을 지원하도록 형성된 충격 흡수수단을 차량 셔틀의 상부면이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레일 차량이 차량 셔틀 위에 위치된 때, 레일 차량을 고정하도록 형성된 기계적인 핀치 브레이크를 차량 셔틀이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셔틀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있는 여부에 따라, 차량 셔틀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의 적어도 하나가 진입 트랙 섹션 또는 배출 트랙 섹션에 차량 셔틀을 고정하기 위한 트랙 인터록 핀 메카니즘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횡방향 트랙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레일 부품을 가지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로 연장한다. 횡방향 트랙 섹션은, 제한적이 아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은 다른 형상들 중에서, 굽어진, 사행의, 아래로 경사진, 위로 경사진, 직선인 형상을 포함하는 소정의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하 설명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트랙 섹션은 직선이며 아래로 경사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다른 장치들이 생각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횡방향 트랙 섹션은 일반적으로 수평의 제1 섹션, 중간의 제2 섹션, 및 일반적으로 수평인 제3 섹션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횡방향 트랙 섹션은 차량 셔틀에 결합하여 제1 수평 섹션을 따라 적어도 제2 중간 섹션으로 병진시키는 횡방향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횡방향 구동 수단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다른 실시예들 중에서 차량 셔틀에 작동하도록 결합되는 구동 체인을 회전시키는 스포로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가지는 체인 구동수단인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횡방향 구동수단은 선형 동기 모터인 것으로 생각된다.

    추가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횡방향 트랙 섹션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차량 셔틀이 이동함에 따라 차량 셔틀을 감속시키기 위한 제2 제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제2 제동수단은 연속적인 자기 제동핀들인 것으로 생각된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비록 다른 장치들도 생각되지만, 제2 제동수단은 중간의 제2 섹션과 일반적으로 수평인 제3 섹션에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셔틀 차량의 감속을 지원하기 위한 충격 흡수수단,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하나에 인접해서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윈치수단과 케이블 트레이를 포함하는 추가적인 시스템들이 횡방향 트랙 섹션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 1과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하나 스릴 있는 방식으로 레일 차량을 전환하기 위한 트랙 전환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예시된다. 트랙 전환장치(10)는 진입 트랙 섹션(도시 없음), 적어도 하나의 배출 트랙 섹션(도시 없음), 차량 셔틀(20) 및 횡방향 트랙 섹션(30)으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진입 트랙 섹션은 진입 스태이션에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배출 트랙 섹션은 제1 배출 및 유지 스태이션과 제2 배출 및 유지 스태이션에 위치된다.

    도 1과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횡방향 트랙 섹션(30)은 제1의 일반적으로 수평의 섹션(32), 제2의 아래로 경사되는 섹션(34), 및 제3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섹션(36)을 가지며,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횡방향 트랙 섹션의 다른 장치를 또한 포함한다.

    추가로, 이 실시예에서, 횡방향 트랙 섹션(30)은 적어도 하나의 비상 윈치(40)(횡방향 트랙 섹션의 어느 일 단부에 위치될 수 있는), 이동하는 충격 흡수수단 위의 케이블 트레이(42), 횡방향 추진 수단(38) 및 제2 제동 수단(39)과 같은 추가적인 임의의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횡방향 추진 수단(38)은 체인 텐셔너를 가지는 구동 모터(43), 서비스 패널 및 체인 수용부(44)를 포함한다.

    도 3, 4,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과 연관해서 사용하기 위한 차량 셔틀의 적어도 일 실시예가 예시된다. 차량 셔틀(20)은 차량 셔틀(20)의 상부면에 인접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202)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차량 셔틀은 두 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 부품(202)을 가진다. 차량 셔틀 보기(210)는 차량 셔틀(20)의 하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더욱이, 레일 차량 제동용 제동 수단(204), 차량 셔틀에 대해 레일 차량을 고정하기 위한 기계적인 핀치 브레이크(206), 감속됨에 따라 레일 차량의 감속을 완충시키기 위한 충격흡수수단(207) 및 진입 트랙섹션과 배출트랙섹션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 차량 셔틀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트랙 인터록 핀 메카니즘(208)을 포함하는 다양한 시스템들이 차량 셔틀(20)의 상부면에 인접해서 장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셔틀(20)의 하부면이 된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두 개의 차량 셔틀 보기(210)들이 횡방향 트랙 섹션(30)의 적어도 하나의 레일 부품에 결합하도록 제공된다. 추가로, 트랙 인터록 핀 메카니즘(208) 또는 기계적인 핀치 브레이크(206)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공압 작동 시스템(예컨대, 5- 및 10-갤론 리시버 및 전용 공압 패널로 구성될 수 있는)과 같은 임의적인 시스템들이 포함될 수 있다(도 4 참조). 다른 임의적인 시스템들은 체인 부착판(횡방향 추진 수단(38)과 결합하기 위한) 및 자석 뱅크(제2 제동 수단(39)과 결합하기 위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과 관련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 전환 장치(10)의 횡방향 트랙 섹션(30)의 제3 섹션(36)에 근접한 도면이 예시된다. 제3 섹션(36)은 이 실시예에서 연속 자기 제동핀들(continuous magnetic brake fins)인 제2 제동 수단(39)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차량 셔틀(20)은 배출 트랙 섹션(도시 없음)에 결합할 수 있는 두 개의 제2 위치들의 하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비상 윈치수단(40)과 케이블 트레이(42) 및 체인 수용부(44)와 같은 임의적인 장치가 횡방향 트랙 섹션(30) 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셔틀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레일 차량이 진입 레일 섹션으로부터 차량 셔틀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차량 셔틀은 트랙 인터록 핀 메카니즘에 의하여 진입 레일 섹션에 고정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동 수단은 레일 차량을 감속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기계적인 핀치 브레이크가 차량 셔틀에 대해 레일 차량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트랙 인터록 핀 메카니즘은 분리되고 차량 셔틀은 횡방향 추진 수단에 의하여 제1의 일반적으로 수평 섹션으로부터 제2의 경사된 섹션으로 횡방향 트랙 섹션을 따라 병진될 수 있다. 차량 셔틀이 횡방향 트랙 섹션의 제2 경사된 섹션에 도달하면, 차량 셔틀이 중력으로 인해 계속해서 횡방향 트랙 섹션의 제2의 경사된 섹션을 지나 제3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섹션으로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차량 셔틀이 횡방향 트랙 섹션의 제2의, 경사된 섹션으로부터 제3의 일반적으로 수평의 섹션으로 이동함에 따라, 배출 트랙 섹션과 결합될 수 있는 제2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2 제동 수단이 차량 셔틀을 감속시키기 위하여 결합될 수 있다. 차량 셔틀은 트랙 인터록 핀 메카니즘에 의하여 배출 트랙 섹션에 대해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최종적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무동력 상태 또는 다른 비상/보수 상태들에서 차량 트랙 셔틀을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또는 역으로) 조종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횡방향 트랙 섹션의 어느 일 단부에 윈치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차량 셔틀과 배출 트랙 섹션의 하나 위에 주(primary) 추진 수단이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차량 셔틀이 횡방향으로 분리된 제2 위치에 있을 때, 차량 셔틀은 배출 트랙섹션에 대해 고정될 수 있으며, 기계적인 핀치 브레이크는 이완될 수 있으며 레일 차량은 주 추진 수단에 의해 차량 셔틀로부터 배출 트랙섹션으로 가속될 수 있다.

    주 추진수단은 보통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공지 레일 추진수단일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그러나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주 추진 수단은, 보통의 기술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다른 장치들 중에서, 차량 셔틀에 위치된 제동 수단(보다 구체적으로, 선형 동기식 모터 고정자)이며, 레일 차량이 차량 셔틀로부터 횡방향으로 분리된 제2 위치의 배출 레일 섹션으로 이동할 때 차량을 가속시키며 진입 트랙섹션으로부터 제1 위치의 차량 셔틀로 이동함에 따라 레일 차량을 감속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들은 예들이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 명백하다. 그러한 존재하거나 장래의 변경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생각되지 않고, 모든 그러한 변경은 이 기술 분야의 보통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10: 트랙전환장치 20: 차량 셔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