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생설비 유니트

申请号 KR1020097002201 申请日 2007-06-12 公开(公告)号 KR1020090037911A 公开(公告)日 2009-04-16
申请人 에박 오이; 发明人 라팔라이넨베사; 일레이넨테무;
摘要 The invention relates to an installation unit (1) for connecting a toilet bowl of a vacuum toilet unit to a vacuum sewer system, which vacuum toilet unit comprises said toilet bowl (8), a discharge valve (5), a water valve (6) and a control unit (4). The sanitary installation unit (1) comprises a fire-resistant plate (2), which has a first side (24) intended to be installed towards the toilet bowl (8) and a second side (25) opposite the first side. Further, the fire-resistant plate (2) includes a discharge connection (3) with a first end (31) on the first side (24) of the fire-resistant plate (2) and a second end (32) on the second side (25) of the fire-resistant plate (2).
权利要求
  • 진공 화장실 유니트의 화장실 변기를 진공하수 시스템에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위생설비 유니트(1)로서, 상기 진공 화장실 유니트는 상기 화장실 변기(8)와, 배출밸브(5)와, 물 밸브(6) 및 제어유니트(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위생설비 유니트(1)는, 내화판(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내화판은 화장실 변기(8)를 향하여 설치하도록 의도되는 제 1 측부(24) 및, 그 제 1 측부에 대향하는 제 2 측부 (25)를 가지며, 위생실(20)에는 내화벽(38)이 구비되는 위생설비 유니트에 있어서,
    내화판(2)은, 그 내화판(2)의 제 1 측부(24)상에서는 제 1 끝단(31), 또한 그 내화판(2)의 제 2 측부(25)상에서는 제 2 끝단(32)을 가지며 내화판(2)을 관통하는 배출 접속부(3)를 포함하며, 물밸브(6) 및 제어유니트(4)들은 내화판(2)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설비 유니트.
  • 제 1 항에 있어서, 내화벽(30)에는 개구(40)가 마련되며, 내화벽(30) 외부의 서비스 공간과 위생실(20)과의 사이에 내화 밀폐상태를 제공하기 위하여, 내화벽 (30)의 상기 개구(40)에 내화판(2)이 배치되며, 서비스공간으로부터 진공화장실 유니트로의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서 내화판(2)이 상기 개구(4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설비 유니트.
  • 제 1 항에 있어서, 배출밸브(5)는 내화판(2)의 제 1 측부(24)상의 배출 접속 부(3)에 부착되며, 배출 접속부(3)는 강철 또는 기타 내화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내화판(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설비 유니트.
  • 제 1 항에 있어서, 배출밸브(5)는 내화판(2)의 제 2 측부(25)상의 배출 접속부(3)에 부착되며, 배출 접속부(3)는 강철 또는 기타 내화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내화판(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설비 유니트.
  • 제 1 항에 있어서, 물 밸브는 내화판의 제 1 측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설비 유니트.
  • 제 1 항에 있어서, 물 밸브(6)는 내화판(2)의 제 2 측부(25)상에 부착되며, 내화판(2)은 내화판(2)을 관통하는 물 접속부(61)를 포함하며, 물 접속부(61)는 강철 또는 기타 내화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내화판(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설비 유니트.
  •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유니트는 내화판의 제 1 측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설비 유니트.
  •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유니트는 내화판(2)의 제 2 측부(25)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설비 유니트.
  • 제 1 항에 있어서, 내화판은 그 내화판(2)을 관통하는 진공 접속부(71,7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진공 접속부(71,72)는 강철 또는 기타 내화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내화판(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설비 유니트.
  • 제 1 항에 있어서, 내화판(2)은 내화성 절연재(22)가 구비된 단단한 강철판 (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설비 유니트.
  • 제 2 항에 있어서, 진공 화장실 유니트의 화장실 변기(8)는 위생실(20)의 바닥상에서 상기 개구(40)에 대하여 장착되거나, 또는 위생실(20)의 내화벽(30)상에서 상기 개구(40)에 대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설비 유니트.
  • 说明书全文

    위생설비 유니트{SANITARY INSTALLATION UNIT}

    본 발명은 위생실용 위생설비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이 위생설비 유니트는 진공 화장실 유니트의 화장실 변기를 진공하수 시스템에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이 진공 화장실 유니트는 상기 화장실 변기와, 배출밸브와, 물 밸브 및 제어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위생설비 유니트는, 내화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내화판은 화장실 변기를 향하여 설치하도록 의도되는 제 1 측부 및, 그 제 1 측부에 대향하는 제 2 측부를 가지며, 위생실에는 청구항 1의 서문에 따른 내화벽이 마련된다.

    해양선박, 시추선, 항공기, 기차등과 같은 탑승장치상의 위생실과 관련하여서는, 진공 화장실 유니트의 화장실 변기가 통상 위생실 또는 위생공간의 벽에 대하여 설치된다. 배출밸브, 물밸브 및 제어유니트와 같은 진공 화장실설비의 기본적인 구성부품들은 종종 화장실 변기(위생실의 측부상에 있는)를 둘러싸는 셀 (shell)내에 장착되며, 따라서 이들 구성부품의 메인티넌스를 위하여 접근 또는 접속하기 위하여는 벽내에 개구가 마련되며, 이 벽은 통상 내화벽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부가적인 공간을 요구하며, 그러한 탑승장치에 있어서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또한, 상술한 구성부품들과 관련한 어떠한 종류의 측정장치들을 위 하여는, 겉을 둘러싸고 있는 것들이 제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회피할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하고, 실용적이며, 또한 적절한 내화성이 보장되는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은 청구항 1에 따른 위생설비 유니트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위생실의 벽의 개구에 내화성 외장을 마련하고, 이 외장은 기본적인 구성부품의 적어도 일부 및, 그에 관련된 진공 화장실 설비로의 접속물들에 대한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위하여 위생설비 유니트의 내화판은, 그 내화판의 한측상에 제 1 끝단과, 그 내화판의 다른 측상에 제 2 끝단을 가지는 배출 접속부를 포함한다. 물밸브 및 제어유니트들도 마찬가지로 내화판에 부착된다.

    위생실은, 예를 들면 선실, 분리된 욕실 또는 화장실이나, 기타 해당하는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진공 화장실 유니트와 화장실 변기들은 소변기등도 마찬가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배출밸브, 물밸브 및 제어유니트는 진공 하수 시스템 및 현재의 환경조건에 대하여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 것으로서 내화판의 제 1 측부 또는 제 2 측부에 부착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는, 이것은 거의 모든 기본적인 구성부품, 즉 배출밸브, 물 밸브 및 제어유니트와, 적절한 접속부를 포함해서 전부가 콤팩트한 교환세트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용이하게 설치, 보수 및 교환이 가능하다.

    내화판의 어느 쪽에 상기 구성부품들이 부착되어 있는 가에 따라서, 수도 접속부 및 진공 접속부와 같은 적절한 접속부들이 마련되어야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내화판을 통과하게 된다. 내화판을 관통하는 접속부들은 강철 또는 기타 내화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내화판과 일체로 또는 고정부로서 형성된다.

    상기 구성부품의 하나 이상을 내화판의 제 2 측부상에 배치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구성부품들이 위생실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내화판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는 내화판을 제거하지 않고도 상기 구성부품에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내화판은 단단한 강철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화성 절연재가 구비된다. 이는 단순하고도 저렴한 제조를 가능케 한다. 물론 이 판은, 그 자체로 적당한 강도와 내화성을 제공하는 한, 어떠한 해당하는 물질도 될 수 있다.

    내화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생설비 유니트는 위생실의 내화성벽의 개구내에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배치를 제공하는데, 이는 위생실의 내화성벽의 바깥쪽의 서비스 공간과 그 위생실 사이의 내화성 밀폐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개구를 내화판이 폐쇄해준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진공 호장실 유니트의 화장실 변기는 위생실의 바닥상에서 상기 개구에 대하여, 또는 위생실의 내화벽상에서 상기 개구에 대하여 장착되도록 배치되며, 그에 의하여 상기 개구는 서비스공간으로부터 진공 화장실 유니트로의 접근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타의 장점적인 특징은 청구항 2 내지 11에 개시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목적으로서만 사용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 여,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위생실의 벽에 설치된 도 1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화장실 변기(8)(도 2), 배출밸브(5), 물 밸브(6) 및 제어유니트 (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화장실 유니트에 관하여 사용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진공화장실 유니트는 해양 선박상에서 사용되도록 의도된 것이며, 상기 선박상의 위생실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이 기처, 건물등과 같이 육상에 기초를 둔 설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며, 동일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진공 화장실 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하수 시스템의 기능 및 작용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으로 고려되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1 실시예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위생설비 유니트는 참조부호 1로 나타내었다. 위생설비 유니트(1)는 내화판(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내화성 절연재(22)가 구비된 금속판(21)으로서 예를 들었다. 이 판은 둘레의 플랜지(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것에 의하여 도 2에서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은 내화성 벽 또는 기타 지지물에 고정될 수 있다. 내화판(2)은 화장실 변기(8)(도 2)를 향하여 설치되도록 의도되는 제 1 측부(24)와, 그 제 1 측부(24)에 대향하는 제 2 측부(25)를 가진다. 또한 내화판(2)은, 그 내화판 을 관통하고 내화판(2)의 제 1 측부(24)상에는 제 1 끝단(31)을, 그리고 내화판(2)의 제 2 측부(25)상에는 제 2 끝단(32)을 가지는 배출 접속부(3)를 포함한다. 배출접속부(3)는 강철 또는 기타 내화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내화판(2)과 일체 또는 고정된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밸브(5)가 내화판(2)의 제 1 측부(24)상의 배출접속부 (3)에 부착된다. 물 밸브(6) 및 제어유니트(4)들은 그의 제 2 측부(25)상의 내화판(2)에 부착된다.

    진공설비 유니트(1)에는 하수가 흐르는 방향(화살표로 도시됨)으로 배출밸브 (5)의 위쪽에서 배출 접속물(3)을 제어유니트(4)와 연결하는 제 1 진공접속부(71) 및, 제어유니트(4)를 배출밸브(5)와 접속하는 제 2 진공접속부(72)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제어유니트(4) 및 배출밸브(5)는 내화판(2)의 대향측상에 있으므로, 제 1 진공접속부(71) 및 제 2 진공접속부(72)는 내화판(2)을 관통하게 된다. 내화판을 관통하는 진공접속부들은 강철 기타 내화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내화판과 일체 또는 고정된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배출밸브(5)는 진공으로 작동되는 배출밸브이며, 그에 의하여 필요한 진공이 하수의 흐르는 방향(화살표로 나타냄)으로 배출밸브의 바로 뒤쪽으로부터 제어유니트(4)로 도입되고, 이 제어유니트는 그 진공을, 물을 내릴때 배출밸브(5)를 개방하기 위하여 그 진공밸브(5)로 도입하게 된다. 제어유니트(4)에는 작동수단(도시않됨)이 마련된다.

    제 3 진공 접속부(73)는 제어유니트(4)와 물밸브(6)의 사이에 마련된다. 또 한, 진공설비 유니트(2)에는, 물 밸브(6)와 화상질 변기(8)의 사이에 물 접속부 (61)가 마련되며, 이 물 접속부(61)는 내화판(2)을 관통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물 밸브(6)와 화장실 변기가 내화판(2)의 대향측상에 있기 때문이다. 내화판을 관통하는 물 접속부는 강철 기타 내화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내화판과 일체 또는 고정된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제어밸브(4)(상술함)내의 진공은 또한 물 밸브(6)를 작동하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위생설비 유니트(1)가 위생실(20)의 내화벽(30)의 개구(40)내로 설치된 상태인 도 1 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위생실(20)의 내화벽(30)의 바깥 또는 다른 측상에는, 참조부호 50으로 나타낸 서비스 공간이 있다. 또한 동일한 참조부호가 도 1에서도 대응하는 요소에 대하여 사용되었으나,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부가적으로, 물 밸브(6)로부터의 물 접속부(61)는 내화판(2)을 관통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기본적인 물과 흘러내리는 물을 화장실 변기(8)로 공급하기 위하여 화장실 변기(8)와 접속하도록 배치되는 물 분배수단(62)에 접속된다. 또한, 화장실 변기(8)는 셀(9:shell)에 의하여 둘러싸이며, 뚜껑(10)이 마련된다. 배출 접속부(3)의 제 1 끝단(31)에는 화장실 변기(8)의 배수구(81)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33)이 마련된다. 배출 접속부(3)의 제 2 끝단(32)은 진공 하수시스템의 진공 하수파이프와 접속되도록 배치된다. 그 자체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진공하수 시스템용의 진공은 진공발생수단에 의하여 발생된다. 하수의 흐름방향은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내화판(2)과 내화성 절연재(22)는, 위생설비 유니트(1)가 내화벽(30)의 개구 (40)내에 설치될 때, 그 위생설비 유니트(1)가 내화벽(30)의 다른 측상의 서비스 공간(50) 위생실(20)과의 사이에 밀폐된 내화벽을 제공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내화판(2)은 예를 들면 둘레의 플랜지(23)내에 마련된 볼트 또는 나사(도시않됨)에 의하여 내화벽(3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설비에 있어서는, 제어유니트(4) 및 물 밸브(6)에 대하여 메인티넌스, 수리 또는 교환과 같은 어떠한 필요한 수단이, 위생설비 유니트(1)를 제거하지 않고서도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예를 들어 배출밸브(5)가 서비스에 처해지거나 교활될 때에는, 내화판(2)을 풀어내어 내화벽(30)으로부터 제거하면, 물 접속부(61)를 물 분배수단(62)으로부터 떼어내고 접속수단(33)을 화장실 변기(8)의 배수구(81)로붙 떼어냄으로써, 내화판(2)을 포함하는 전체 셋업 또는 모듈, 배출 접속부(3), 제어유니트(4), 배출 밸브(5), 물 밸브(6) 및 관련 접속부들이 들어내어질 수 있다. 새로운 모듈 또는 서비스를 받거나 수리 또는 교환된 모듈들이 그에 따라 다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도 1 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주된 차이점은, 배출밸브(5)가 배출 접속부(3)의 제 2 끝단에 부착되었다는 점, 즉 내화판(2)의 제 2 측부(25)상에 위치된다는 점이다. 이는, 배출 접속부(3)와 제어유니트(4) 사이의 제 1 진공 접속부(71) 및, 제어유니트(4)와 배출 밸브(5) 사이의 제 2 진공 접속부(72)가 내화판(2)을 관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제 1 진공 접속부(71)는, 도 1 과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의 흐르는 방향(화살표로 도시됨)으로 배출밸브(5)의 뒤쪽의 배출 접속부(3)에도 연결된다.

    본 실시예는 내화판(2)을 제거하지 않고서 배출밸브(5) 및 그의 접속부들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면에서는, 설비원리가 도 2에서 기술된 것에 대응한다. 이는 구성부의 배치 및 그들의 각 접속부에 대한 어떠한 다른 변경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진공 설비유니트(1)의 기본 목적은: 진공 화장실 유니트(또는 그의 개구)의 위치에서, 외부 서비스 공간과 위생실 사이에 내화 절연기능을 제공하는 것과; 진공 화장실 유니트의 구성부에 대한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것; 및 진공 화장실 유니트 설비에 필요한 적절한 접속부용의 지지부 및 빼내는 곳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이상의 기술내용 및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만을 의도한다. 내화판과 관련된 각 접속부 및 상이한 구성부의 배치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배출밸브는, 예를 들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디스크 밸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