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객 및/또는 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블카용 캐빈

申请号 KR1020117006913 申请日 2009-08-20 公开(公告)号 KR1020110056301A 公开(公告)日 2011-05-26
申请人 씨더블유에이 컨스트럭션스 에스에이; 发明人 구블러다니엘;
摘要 본 발명은 개구부(2) 및 상기 개구부(2) 내에 글레이징 유닛(3)을 유지하기 위해 캐빈(1)에 고정된 홀더(32)를 구비하는 승객 및/또는 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캐빈(1)으로서, 상기 캐빈(1)은 상기 글레이징 유닛(3)에 연결된 제1 고정 요소(43)와 상기 캐빈(1)에 연결된 제2 고정 요소(42)를 각각 포함하는 둘 이상의 연결 부재(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글레이징 유닛(3)이 홀더(32)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글레이징 유닛(3)은 개구부(2) 부근에 고정된다. 글레이징 유닛(3)은 예를 들면, 캐빈(1)에 탄 사람이 글레이징 유닛(3)의 내면을 격렬하게 밀거나 부딪친 결과 홀더(32) 밖으로 밀릴 수 있다. 그러나, 연결 부재(4)는 이 사람이 캐빈(1)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글레이징 유닛(3)도 낙하로부터 보호된다. 그 결과, 캐빈(1) 내의 승객 및/또는 제품의 안전성이 보장된다.
权利要求
  • 개구부(2) 및 상기 개구부(2) 내에 글레이징 유닛(3)을 유지하기 위해 캐빈(1)에 고정된 홀더(32)를 구비하는 승객 및/또는 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캐빈(1)으로서,
    상기 캐빈(1)은 상기 글레이징 유닛(3)에 연결된 제1 고정 요소(43)와 상기 캐빈(1)에 연결된 제2 고정 요소(42)를 각각 포함하는 둘 이상의 연결 부재(4)를 포함하고, 상기 글레이징 유닛(3)은 저절로 상기 홀더(32)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연결 부재(4)를 의해 상기 개구부(2) 부근에 고정되는, 캐빈(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요소(43)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42)는 굽힘성 및/또는 가요성의 연결 요소(45)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되는, 캐빈(1).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45)는 굽힘성 및/또는 가요성의 케이블 섹션(450)으로 구성되는, 캐빈(1).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섹션(450)의 적어도 일 단부에는 슬리브(451, 452)가 연결되는, 캐빈(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요소(43)는 상기 글레이징 유닛(30)을 죄어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고정부(431) 및 제2 고정부(433)를 가지는, 캐빈(1).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431)와 상기 제2 고정부(433)는 유지 수단(435, 436)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캐빈(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레이징 유닛(3)은 복수의 연결 부재(4)를 사용하여 상기 캐빈(1)에 연결되는, 캐빈(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2)는 복수의 개별 홀더(321)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 홀더(321)를 사용하여 상기 글레이징 유닛(3)을 상기 캐빈(1)에 연결할 수 있는, 캐빈(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2)는 상기 글레이징 유닛(3)을 둘러싸는 프레임 홀더(322)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홀더(322)를 사용하여 상기 글레이징 유닛(3)을 상기 캐빈(1)에 연결할 수 있는, 캐빈(1).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1)의 상기 글레이징 유닛(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음매 없는(jointless)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 홀더(322)에 연결될 수 있는, 캐빈(1).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요소(42)는 유지 수단(425, 426)을 사용하여 상기 캐빈(1)의 상기 프레임 홀더(322)에 연결될 수 있는, 캐빈(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45)의 일 단부는 상기 캐빈(1)의 통합 부분으로서 분리할 수 없는 방식으로 상기 캐빈에 연결되는, 캐빈(1).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42)는 상기 케이블 섹션(450)의 하나의 슬리브(451, 452)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가지고, 상기 케이블 섹션(450)은 에지 리세스 및/또는 구멍(422)을 통해 안내될 수 있는, 캐빈(1).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431)는 상기 케이블 섹션(450)의 하나의 슬리브(451, 452)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4311) 및 상기 케이블 섹션(450)을 수용하기 위한 에지 리세스(4312)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캐빈(1).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31, 433)들은 경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글레이징 유닛(3)과 마주보는 면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탄성층(432, 434)이 형성되는, 캐빈(1).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4311)의 길이(L)는 상기 슬리브(451, 452)의 길이보다 긴, 캐빈(1).
  • 说明书全文

    승객 및/또는 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캐빈 {CABIN FOR ACCOMMODATING PASSENGERS AND/OR GOODS}

    본 발명은 독립항인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승객 및/또는 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캐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 케이블카, 특히 케이블 철도(cable railway)용의 박스 또는 캐빈은 공지되어 있으며, 그 지지 요소(supporting element)는 바닥 프레임(bottom frame), 지붕 프레임(roof frame) 및 바닥부 프레임과 지붕 프레임을 연결하는 네 개 이상의 귀기둥(corner pillar)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캐빈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EP 1619099 A1에 기재되어 있다. 지지 요소에, 적어도 하나는 출입문(door opening)을 가지는 두 개의 대향하는 측벽(side wall), 두 개의 대향하는 전벽(front wall), 하나의 바닥과 하나의 지붕이 마련된다. 특히 전벽들 및 출입문과 대향하는 측벽에는 대형 창유리(windowpane)가 설치되어 있다.

    공지된 케이블카에서, 캐빈의 창유리는 캐빈의 창프레임(window frame)을 따라 형성된 홈(groove)에 삽입되어 있다. 또, 창프레임과 창유리 사이에는 창유리를 고정(secure)하거나 죄기(clamp) 위해 고무 스트립(rubber strip)이 홈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홈 내로는 글레이징 유닛(glazing unit)이 접착될 수 있다.

    공지의 케이블카에 있어, 이 구성은 정상 동작 상태에서 유용한 것으로 확실히 입증되있다. 그러나, 특별한 상황 하에서는 창유리가 창프레임에서 분리되어 사람 또는 제품이 피해를 입는 단점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면 장애물 또는 케이블 탈선에 의해 운행하는 캐빈이 수 밀리초 내로 정지하는 경우, 캐빈 내의 고정되어 있지 않은 사람 또는 제품은 창유리의 내면(inner side)에 가압된다. 이때 발생하는 힘은 창프레임의 클램프를 창유리 밖으로 밀어낼 수 있을 정도로 클 수 있다. 주요 단점은, 예를 들면, 사람이 캐빈 밖으로 떨어져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단점은 분리된 창유리가 떨어져 내릴 수 있어 캐빈 아래에 서있는 사람 및 동물이 매우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캐빈이 정지해 있는 동안에도, 글레이징 유닛은 예를 들면 큰 힘의 영향으로 창프레임 또는 홀더 밖으로 밀릴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없애려는 목적에 기초한다. 특히, 사람 및 제품을 캐빈 밖으로 떨어지는 것에서 보호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지는 캐빈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캐빈을 개발함에 따른 이점은 종속항들로부터 유래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개구부(opening) 및 상기 개구부 내에 글레이징 유닛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캐빈에 고정된 홀더(holder)를 구비하고, 상기 캐빈은 상기 글레이징 유닛에 연결된 제1 고정 요소(fastening element)와 상기 캐빈에 연결된 제2 고정 요소를 각각 포함하는 둘 이상의 연결 부재(connect member)를 포함하며, 상기 글레이징 유닛이 저절로 상기 홀더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개구부 부근에 고정되는, 승객 및/또는 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캐빈이다. 본 발명의 이점 중 하나는 승객에 의해 글레이징 유닛의 내면에 심한 충격을 야기하였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글레이징 유닛이 상기 홀더 밖으로 무너지더라도, 연결 부재는 글레이징 유닛을 캐빈에 연결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람 또는 승객 또는 제품이 캐빈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승객의 안전을 보장한다. 다른 이점은, 두 지점에 고정된 케이블과 유사하게, 글레이징 유닛과 연결 부재의 조합이 함께 캐빈을 추가로 유지한다는 것이다. 각각의 경우에 상기 두 개의 고정 부재들 사이의 가상 연결선(imaginary connecting line)의 연장선이 대략 글레이징 유닛의 중심을 뚫고 지나가도록 연결 부재의 제1 고정 요소와 제2 고정 요소를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부재는 서로 등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일 변형예에서, 상기 캐빈의 연결 부재의 상기 제1 고정 요소 및 상기 제2 고정 요소는 구부러질 수 있는 굽힘성(bendable) 및/또는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flexible)의 연결 요소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이점 중 하나는 온도 변동에 의해 유발된, 캐빈의 재료, 특히 글레이징 유닛 및 홀더의 재료의 팽창이 연결 부재에서 보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재료 응력(material stress)은 굽힘성 및/또는 가요성의 연결 요소를 통해 보상될 수 있다. 강성(rigid)의 연결 요소에 대한 다른 이점은, 그 탄성(elastic property) 및 변형성(deformable property)으로 인해, 예를 들면, 압력, 장력 및 비틀림(torsion)에 의해 야기된 상이한 종류의 부하를 견딜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가요성은 상태 변화에 적응할 수 있고, 언제라도 반응할 수 있고, 또는 굽힐 수 있거나 탄성이 있거나 탄력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가요성은 또한 예를 들면, 글레이징 유닛에 대한 승객 중 한 사람의 부하의 방향이 예를 들면 케이블의 탈선과 같은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알려지 않기 때문에, 필요하다.

    다른 변형예에서, 상기 캐빈의 연결 요소는 굽힘성 및/또는 가요성의 케이블 섹션(cable section)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점 중 하나는 복수의 와이어(wire) 또는 스트랜드(strand)로 구성되는 케이블이 잠재적인 부하(potential load)를 견디기 위해 필요한 탄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상기 케이블 섹션은 스틸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틸 케이블은 사실상 고의적인 조작에 의해 파괴할 수 없다.

    일 변형예에서, 상기 케이블 섹션의 적어도 일 단부(one end)에는 슬리브(sleeve)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이점 중 하나는 케이블 섹션의 캐빈 및/또는 글레이징 유닛에 대한 기계적인 연결성(mechanical connectivity)이 더 용이해진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연결 요소의 상기 단부의 캐빈 및/또는 글레이징 유닛에 대한 확실한 기계적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케이블 섹션를 사용하여 형성된 루프(loop)와 관련하여, 상기 제안된 슬리브는 더욱 컴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케이블 섹션과 슬리브 사이의 연결은 압착(copressing), 용접(welding) 또는 다른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상기 캐빈의 상기 제1 고정 요소는, 둘 다 글레이징 유닛을 죄어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고정부(fastening part) 및 제2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유지 수단(hoding means)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이점 중 하나는 고정부를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캐빈의 연결 부재를 글레이징 유닛에 대해 영구적인 고정을 보장한다는 것이다. 유지 수단으로는, 예를 들면, 조작에 대해 보호받을 수 있는 스크류를 사용한다. 분리 가능한(detachable ) 연결은 자격있는 사람(qualified personnel)이 언제든지 글레이징 유닛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일 변형예에서, 상기 글레이징 유닛은 복수의 연결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캐빈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이점 중 하나는, 예를 들면, 글레이징 유닛의 면적에 따라, 두 개, 세 개, 네 개, 또는 그 이상의 연결 부재를 글레이징 유닛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글레이징 유닛의 모서리 부근에 십자형(crosswise)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글레이징 유닛의 형태(configuratioN)에 따라서는, 연결 부재의 다른 배치(arrangement)도 가능하다.

    다른 변형예에서, 상기 캐빈의 홀더는 복수의 개별 홀더를 포함하고, 이를 사용하여 상기 글레이징 유닛을 상기 캐빈에 연결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상기 홀더는 상기 글레이징 유닛을 둘러싸는 프레임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홀더를 사용하여, 상기 글레이징 유닛을 상기 캐빈에 연결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상기 글레이징 유닛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음매가 없는(jointless)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 홀더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중 하나는, 글레이징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 부재를 글레이징 유닛의 홀더의 디자인과 무관하게 캐빈 및 글레이징 유닛에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 변형예에서, 상기 제2 고정 요소는 유지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캐빈의 상기 프레임 홀더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중 하나는 연결 부재의 제2 고정 요소가 기존의 캐빈에 소급적으로(retroactively)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결 부재는 물론 제1 고정 요소및 제2 고정 요소를 사용한 글레이징 유닛의 확실한 고정은 따라서 다른 타입 및 디자인에 상관 없이 가능하다. 유지 수단으로는 스크류, 볼트, 리벳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접된 연결부(welded connection)도 또한 유지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연결 요소는 상기 캐빈의 통합 부분(integral part)일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상기 연결 요소의 일 단부는 상기 캐빈의 통합 부분으로서 분리할 수 없는 방식으로 상기 캐빈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중 하나는, 연결 요소가 캐빈에 예를 들면, 스크류 고정, 용접, 압착, 리벳 고정되거나 핀을 사용하여 캐빈에 연결된다는 것이다. 스크류 연결은 공지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어 분리할 수 없는 연결부가 존재한다. 상기 연결 요소는, 예를 들면 나사산(thread)를 구비한 케이블 섹션의 하나의 슬리브 또는 소켓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캐빈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상기 고정 요소는 상기 케이블 섹션의 하나의 슬리브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recess)를 가지고, 상기 케이블 섹션은 에지 리세스(edge recess) 및/또는 구멍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중 하나는, 본 실시예로 인해, 고정 부재를 만곡되거나 평평하지 않은 표면은 물론 평평한 표면 상에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리세스는 고정 부재를 설치한 후에 케이블 섹션이 제공된 표면 상에 연구히 고정되도록 보장한다.

    일 변형예에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케이블 섹션의 하나의 슬리브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 및 상기 케이블 섹션을 수용하기 위한 에지 리세스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점 중 하나는, 제1 고정부의 설치 높이가 슬리브의 직경에 따라 실질적으로 달라지므로, 평평한 구성의 제1 고정부가 가능하다. 다른 변형예에서, 상기 리세스의 길이는 상기 슬리브의 길이보다 길다. 이것의 이점은 슬리브가 리세스 내에서 길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글레이징 유닛 및/또는 캐빈의 열팽창이 보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열팽창은 본체의 온도 변화에 의해 유발된 본체의 기하학적 치수(길이, 면적, 체적)의 변화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변형예에서, 상기 고정부들은 경금속(light maetal)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글레이징 유닛과 마주보는 면 상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탄성층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중 하나는, 고정부들이 스테인리스(stainless) 경금속,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므로, 캐빈의 페이로드(payload)가 그저 미미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상기 탄성층으로는 플라스틱, 및/또는 고무가 사용된다. 한편 상기 탄성층은 상기 글레이징 유닛 내의 구멍을 밀봉에 사용된다. 탄성층의 다른 이점은, 유지 수단에서 부하가 줄어들고 제1 고정 수단에 작용하는 힘이 탄성층을 통해 글레이징 유닛과 고정 부재 사이의 접촉면 위에 분산된다는 것이다.

    이하 도면에 나타낸 예시적인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다른 기본적인 특징 및 이점은 도면 및 그 설명에 기인한다.
    도 1은 네 개의 연결 부재에 의해 캐빈에 고정된 글레이징 유닛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캐빈의 개략적인 내부 사시도이다.
    도 2는 연결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하나의 고정 요소는 글레이징 유닛 상에 설치되고 다른 고정 요소는 캐빈 상에 설치되며 양자는 연결 요소에 의해 연결된다.
    도 3은 도 2의 상세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5의 IV-IV 선을 따른 연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6의 VV 선을 따른 연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연결 부재의 다른 도면이다.
    도 7은 연결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8은 연결 부재의 다른 도면이다.
    도 9는 개별 홀더에 의해 캐빈의 개구부 내에 유지된 글레이징 유닛을 구비한 캐빈을 나타낸 것으로, 글레이징 유닛의 면적은 개구부 하나보다 작고, 두 개의 연결 부재가 글레이징 유닛을 캐빈 상에 고정한다.
    도 10은 프레임 홀더에 의해 캐빈의 개구부 내에 유지된 글레이징 유닛을 구비한 캐빈을 나타낸 것으로, 세 개의 연결 부재가 글레이징 유닛을 캐빈 상에 고정한다.
    도 11은 개구부를 구비한 캐빈을 나타낸 것으로, 글레이징 유닛은 상기 개구부의 앞에 장착되고, 네 개의 연결 부재가 글레이징 유닛을 캐빈 상에 고정한다.

    도 1은 도면부호로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캐빈을 나타낸다. 바깥쪽으로부터 나타낸 캐빈(1)은 특히 케이블카(cable cars), 케이블 철도(cable railway) 및/또는 곤돌라 리프트(gondola lift)에 사용된다. 캐빈(1)은 또한 퍼니큘라(funicular), 롤러 코스터(roller coaster) 또는 페리스휠(회전식 관람차)(Ferris wheels)에 사용될 수 있다. 캐빈(1)은 개구부(2)를 가진다. 상기 개구부(opening)(2)에는, 글레이징 유닛(3)이 고정된다. 이 도면에는 캐빈(1)의 외면(outside) 상에 연결 부재(4)의 네 개의 고정부(433)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캐빈(1)의 내면 상의 연결 부재(4)의 다른 구성요소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캐빈(1)은 그 안에 고정된 글레이징 유닛(3)과 함께 상이한 더 작은 개구부들이 가진다. 글레이징 유닛(3)에는, 예를 들면, 투명한 창유리 또는 플레이트(plate)로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글레이징 유닛(3)은 평평하거나, 약간 만곡되어나, 또는 구형으로 구부려져 있다. 사용해서는 안될 다른 이유가 없다면, 다른 재료도 역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캐빈(1)의 내부도로서 도면부호 4로 표시된 연결 부재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연결 부재(4)는 제1 고정 요소(43), 제2 고정 요소(42) 및 이 고정 요소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요소(45)를 포함한다. 제1 고정 요소(43)는 두 개의 고정부(431, 433)를 포함한다. 하나의 고정부는 캐빈(1)의 내면 상에 장착되고 다른 고정부는 글레이징 유닛(3) 상의 캐빈(1)의 외면 상에 장착되며, 양자는 유지 수단(435, 43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유지 수단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스크류와 너트를 사용하며, 너트는 하나의 고정부의 일부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유지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스크류 대신에, 긴 핀들을 사용할 수 있는데, 각각의 핀은 연결부가 분리 불가능하도록 그 단부들에서 압착된다. 글레이징 유닛(3)과 고정부(431, 433) 각각의 사이에는, 탄성층(432, 433)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층(432, 433)은, 고정부(431, 433)가 글레이징 유닛(3)와 직접 마찰하지 않도록 하는 목적을 가진다. 마찰은 글레이징 유닛(3) 상의 재료의 마모를 초래할 것이고 이는 고정부(431, 433) 사이의 연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1 고정 요소(43)의 두 개의 고정부(431, 433)의 각 쌍은 스크류 연결을 사용하여 글레이징 유닛(3)을 죈다. 이렇게 하여 생긴 압력은 글레이징 유닛(3)의 양쪽의 탄성층에 마찰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케이블의 탈선과 같은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하면, 그 결과 발생하는 부하는 고정부(431, 433)의 접촉면을 넘어 또한 유지 수단(435, 436 또는 437, 438)을 넘어 각각의 고정 요소(43)에 분산된다. 탄성층(432, 433)은 고무 또는 탄성, 신축성(stretchable)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글레이징 유닛(3)의 내면에 장착된 고정부(431)는 또한 탄성층으로 완전히 덮일수 있다. 고정 요소(43)는 또한 연결 요소(45)가 고정되는 단일의 고정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U자형 로드(rod)를 유지 수단(435, 436)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로드는 이 용도로 형성된 글레이징 유닛(3) 내의 구멍을 통해, 또한 글레이징 유닛(3)의 내면에 장착된 고정부(431)를 통해 글레이징 유닛(3)의 외면에 삽입된다. U자형 로드의 단부들은, 예를 들면 핀을 사용하여 압착에 의해 또는 나사산이 있는 너트 연결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글레이징 유닛(3)의 홀더는 도면부호 32로 표시되어 있다. 도 2에서, 글레이징 유닛(3)은 고무 스트립을 사용하여 틈(gap) 또는 홈(groove) 내에 고정된 것으로 나타난다. 글레이징 유닛(3)은 이음새 없이 홀더(32) 내에 위치한다(rest). 도 2에서는 글레이징 유닛(3)을 잘라내고 도시한다. 고정 요소(42)는 캐빈(1)의 내변에 유지 수단(425, 426)에 의해 고정된다. 연결 요소(45)는 제1 고정 요소(430와 제2 고정 요소(42)를 각각 연결한다.

    도 3은 고정 요소(43) 및 연결 요소(45)를 전개도로 나타낸다. 도 3에는 도면부호 3의 글레이징 유닛을 잘라냈다. 나타낸 것은 캐빈(1)의 내면 상의 글레이징 유닛(3)이다. 두 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유지 수단(435, 436)이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크 또는 멤브레인으로 디자인되고 바람직하게는 고무로 만들어지는 탄성층(343)은 글레이징 유닛(3)과 고정부(433) 사이에 유지된다. 고정부(433)는 두 개의 유지 수단(437, 438)을 구비한다. 유지 수단(437, 438)들은 보통 내부 나사산을 구비한 나사산형 부시(threaded bush)로 구현되고 분리 불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부(433)에 연결된다. 캐빈(1)의 내면에도 글레이징 유닛(3) 상에 탄성층을 배치한다. 도 3에서 이 탄성층은 도면부호 432로 표시되어 있다. 탄성층은 바람직하게는 고무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다른 재료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고정부(431)는 상기 탄성층에 의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탄성층은 글레이징 유닛(3)과 마주하는 표면 상에 적어도 형성된다. 캐빈(1) 내면 상의 글레이징 유닛(3)과 고정부(431) 사이에는, 케이블 섹션(450)으로 구성된 연결 요소(45)의 하나의 슬리브(452)가 고정된다. 케이블 섹션(450)은 고정부(431)의 에지 리세스(4312)를 통해 안내된다.

    도 4는 제1 고정 요소(43), 제2 고정 요소(42) 및 연결 요소(45)를 구비한 연결 부재(4)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연결 요소(45)는 보통 가요성 및/또는 굽힘성이 있는 것이다. 연결 요소(45)는 케이블 섹션(450)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섹션(450)의 적어도 일 단부에는 슬리브(451, 452)가 연결된다. 이 연결은 또한 압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452, 452)와 케이블 섹션(450) 사이의 연결은 영구적이다. 연결 요소(45)의 하나의 슬리브는 고정 수단(431) 내의 도면부호 4311로 나타낸 리세스 내에 고정된다. 여기서, 케이블 섹션(450)은 에지 리세스(4312)를 통해 안내된다. 연결 요소(45)의 다른 단부는 제2 고정 요소(42)에 의해 유지된다.

    도 5는 연결 부재(4)의 측면도로 고정 요소(42)의 단면도를 보여주단다. 단면 IV-IV는 도 4에 나타나 있다. 제2 고정 요소(42)는 연결 요소(45)의 슬리브(451)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421)를 가진다. 케이블 섹션(450)은 고정 요소(42) 내의 구멍 또는 개구부(422)를 통해 안내되어,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은 케이블 섹션의 제2 단부를 제1 고정 요소(43)에 고정될 수 있다. 유지 수단(425, 426)은 고정 요소(42)를 캐빈(1)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유지 수단으로, 발막직하게는 스크류가 사용된다. 리세스(421)는 그 길이가 슬리브(45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캐빈(1) 및/또는 글레이징 유닛(3)의 기계적인 허용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 변동의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 글레이징 유닛(3) 및/또는 캐빈(1)의 치수 변화도 보상될 수 있다. 이 보상은 리세스 내에 수용된 슬리브(451)의 앞 측(front side)에 생성된 틈 또는 간격(clearance)(4211, 4212)에 의해 가능해므로, 슬리브(451)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어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8은 제1 고정 요소(43), 제2 고정 요소(42) 및 연결 요소(45)를 구비한 연결 부재(4)의 다른 도면을 나타낸다. 도 6에서의 절단선 VV는 도 5에서 단면으로 나타나 있다.

    도 9는 개구부(2)와, 캐빈(1) 및 글레이징 유닛(3)에 장착된 개별 홀더(321)에 의해 개구부(2) 내에 조덩되는 글레이징 유닛(3)을 구비한 캐빈(1)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각각이 제1 고정 요소(43), 제2 고정 요소(42) 및 연결 요소(45)를 구비한 두 개의 연결 부재(4)를 나타낸다. 각 연결 부재(4)는 캐빈(1) 및 글레이징 유닛(3)에 연결된다. 글레이징 유닛(3)의 면적은 개구부(2)의 면적보다 작다.

    도 10은 프레임 홀더(322)에 의해 개구부(2) 내에 고정된 글레이징 유닛(3)을 구비한 캐빈(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연결 부재(4)의 고정 요소(42)는 프레임 홀더(322) 및/또는 캐빈(1) 및/또는 글레이징 유닛(3)에 고정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연결 요소(45)는 프레임 홀더(322) 주위에 루프(loop)를 형성하여 고정 요소(43)에 고정된다. 이것은 고정 요소(42, 43)들이 캐빈(1)의 외면 영역뿐 아니라 내면 영역에도 고정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11은 개구부(2)를 구비한 캐빈(1)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글레이징 유닛(3)이 개구부(2)를 덮고 있다. 글레이징 유닛(3)은 예를 들면 캐빈(1)에 접착될 수 있다. 도 11에는 네 개의 연결 부재(4)가 도시되어 있다. 글레이징 유닛(3)의 중심은 십자선(reticle) 사용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4)는 각각의 고정 요소가 중심과 일렬로 놓이도록 설치된다.

    1 캐빈
    2 개구부
    3 글레이징 유닛
    32 홀더
    321 개별 홀더
    322 프레임 홀더
    4 연결 부재
    42 고정 요소
    421 리세스
    4211 간격/틈
    4212 Clearance/gap
    422 구멍
    425 유지 수단
    426 유지 수단
    43 고정 요소
    431 고정부
    4311 리세스
    4312 에지 리세스
    432 멤브레인
    433 고정부
    434 멤브레인
    435 유지수단
    437 유지수단
    438 유지수단
    426 유지수단
    45 연결 요소
    450 스틸 케이블 섹션
    451 슬리브/소켓
    452 슬리브 소켓
    L 길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