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이딩에 의해 조립된 두 개의 쉘을 갖는 승강 요소를 구비한 로프의 일 부분의 호이스팅 장치

申请号 KR1020090004473 申请日 2009-01-20 公开(公告)号 KR1020090083855A 公开(公告)日 2009-08-04
申请人 포마; 发明人 브룅폴; 수샬쟝;
摘要 A hoisting device of a rope section having a lifting element with two shells assembled by sliding is provided to prevent damage to the rope due to the lifting element in lifting by forming the lifting element of a sleeve. A hoisting device of a rope section having a lifting element with two shells assembled by sliding comprises a lifting element and a lifting element conveying unit. The lifting element is positioned in order to press a rope(11). The lifting element conveying unit moves the lifting element in a first direction(D1). The lifting element is formed of a sleeve having a main axis line. The main axis line fac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n the conveying unit, an upper shell(142) having a connecting unit is installed. In the conveying unit, a lower shell(141) having a support dish is installed. The fixing unit preventing sliding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hells.
权利要求
  • 한편으로는 로프 (11) 에 대해 가압하게 위치되도록 설계된 승강 요소 (14) 및 다른 한편으로는 제 1 방향 (D1) 으로 승강 요소 (14) 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기계적인 스키 리프트 설비를 위한 로프 (11) 의 일 부분의 호이스팅 장치 (10) 로서,
    상기 승강 요소 (14) 는 제 1 방향 (D1) 과 수직인 제 2 방향 (D2) 으로 향한 주축선을 갖는 슬리브에 의해 형성되고, 이 슬리브는 상기 부분 주위에 위치하도록 설계되며 또한,
    - 이동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수단 (1421) 을 갖는 상부 쉘 (142),
    - 상기 부분 아래를 가압하게 위치되도록 설계된 지지 디쉬 (1411) 를 갖는 하부 쉘 (142) 및,
    - 조립 후 상기 두 개의 쉘 (141, 142) 사이의 슬라이딩을 막는 고정 수단 (20) 을 포함하며,
    상기 두 쉘 (141, 142) 은 제 2 방향 (D2) 으로 슬라이딩하여 조립되도록 상보적인 안내 요소 (1415a, 1415b, 1424a, 1424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인 스키 리프트 설비를 위한 로프 (11) 의 일 부분의 호이스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 디쉬 (1411) 는 상부 쉘 (142) 의 반대측에서 만곡된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인 스키 리프트 설비를 위한 로프 (11) 의 일 부분의 호이스팅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홈은 들어올려지는 로프 일 부분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호에 의해 형성된 생성 라인을 갖는 회전면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인 스키 리프트 설비를 위한 로프 (11) 의 일 부분의 호이스팅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부 쉘 (142) 은 슬리브의 주축선 방향을 향하는 두 개의 평행 고정 슬롯 (1424a 1424b) 을 포함하고, 이에 대응하는 하부 쉘 (141) 의 고정 에지 (1415a, 1415b) 는 슬라이딩에 의한 조립 동안 상기 슬롯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인 스키 리프트 설비를 위한 로프 (11) 의 일 부분의 호이스팅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부 쉘 (142) 은 두 개의 평행한 자유 에지 (1423a 1423b) 를 갖는 로프의 일 부분의 오버랩 디쉬 (1422) 를 포함하고, 각각의 자유 에지는 상부 쉘 (142) 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오버랩 디쉬 (1422) 로 열려 있는 고정 슬롯 (1424a, 1424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인 스키 리프트 설비를 위한 로프 (11) 의 일 부분의 호이스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 수단 (20) 은 쉘 (141, 142) 중 하나 (142) 를 통과하여 다른 쉘 (141) 에 조여지는 나사 몸체 (201) 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 (20)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인 스키 리프트 설비를 위한 로프 (11) 의 일 부분의 호이스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 수단은 제 1 방향 (D1) 으로 전달 요소 (163) 를 직선 이동시키는 피스톤 (162) 을 갖는 잭 (16) 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 요소는 연결 수단 (1421) 에 의해 상부 쉘 (142) 에 고정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인 스키 리프트 설비를 위한 로프 (11) 의 일 부분의 호이스팅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전달 요소 (163) 는 자유 나사 단부를 갖는 로드 (1631) 를 포함하고, 이 자유 나사 단부는 상부 쉘 (142) 에 만들어진 암나사 보어 (1421) 로 형성된 연결 수단 (1421) 에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인 스키 리프트 설비를 위한 로프 (11) 의 일 부분의 호이스팅 장치.
  • 说明书全文

    슬라이딩에 의해 조립된 두 개의 쉘을 갖는 승강 요소를 구비한 로프의 일 부분의 호이스팅 장치{HOISTING DEVICE OF A ROPE SECTION HAVING A LIFTING ELEMENT WITH TWO SHELLS ASSEMBLED BY SLIDING}

    본 발명은 기계적인 스키 리프트 설비를 위한 로프의 일 부분의 호이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장치는 한편으로는 로프에 대해 가압하게 위치되도록 설계된 승강 요소와, 다른 한편으로는 제 1 방향으로 승강 요소를 움직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폐루프를 따라 이동하는 차를 통해 사람들을 이동시키는 기계적인 스키 리프트 설비에서, 이동 가능하고 승차 터미널과 하차 터미널 사이의 중간 탑에 의해 지지되는 시브 (sheave) 조립체에 의해 안내되는 홀링 로프 (hauling rope) 또는 캐링-홀링 로프 (carrying-hauling rope) 를 사용하거나 슈우 (shoe) 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에 놓이는 고정된 캐링 로프를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다른 종류의 로프에 대해 유지보수 작업을 하기 위해서, 시브와 지지부 주위의 로프의 일 부분을 들어올리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로프의 일 부분을 들어올리는 알려진 방법은, 실시하기에 현실적이지 않고, 때때로 복잡하고 번거 로우며 쉽고 빠르며 완전히 안전하게 사용하기에 어려운 장비를 사용한다. 들어올리는 동안 로프 승강 요소가 로프를 손상시키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예를 들어 들어올리기는 로프의 일 부분 주위에 폐루프로 배치된 고정 스트랩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하부 턴은 로프의 아래에서 가압하고 상부 턴은 로프 위의 고정된 앵커링 (anchoring) 장치에 닫혀서, 스트랩이 팽팽해져서 턴들이 서로를 향해 움직이면 로프가 들리게 된다. 승강 요소는 스트랩의 하부 턴에 의해 이루어진다. 스트랩의 폭이 작다는 것은, 이러한 승강 요소가 로프에 국소적인 압착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기계적인 스키 리프트 설비를 위한 로프의 일 부분의 호이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승강 요소가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향한 주축선을 갖는 슬리브에 의해 형성되고, 이 슬리브는 상기 부분 주위에 위치하도록 설계되며 또한,

    - 이동 수단에 연결되는 연결 수단을 갖는 상부 쉘,

    - 상기 부분 아래를 가압하게 위치되도록 설계된 지지 디쉬를 갖는 하부 쉘 및,

    - 조립 후 상기 두 개의 쉘 사이의 슬라이딩을 막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두 쉘은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조립되도록 상보적인 안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슬리브 형태의 승강 요소는, 사용중 로프의 방향에 상응하는 제 2 방향으로 기다란 슬리브의 특성 때문에 호이스팅 동안 로프가 손상을 입을 가능성을 줄인다. 승강 요소의 구조적 형태는 사실 들어올려진 로프의 일 부분에 가해지는 국소적인 압력이 감소되도록 해 준다. 두 쉘이 슬라이딩하여 조립된 슬리브는 특히 간단하고, 실용적이며 현장에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안전성을 높히기 위해, 들어올려진 로프의 무게는 안내부의 레벨에서 로프가 놓이는 하부 쉘 료부터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상부 쉘에 전부 전달된다. 고정 수단에 할당된 유일한 기능은 쉘 간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의 가능성을 막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지지 디쉬는 상부 쉘의 반대측에서 만곡된 홈을 갖는다. 이러한 지지 디쉬는 들어올리기 동안 호이스팅된 부분과 지지 디쉬 사이의 접촉압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하게 해 준다. 이로 인해 로프가 손상될 위험을 더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홈은 들어올려지는 로프의 일 부분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호에 의해 형성된 생성 라인을 갖는 회전면의 일부이다.

    다른 기술적인 특징은 단독으로 또는 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 상부 쉘은 슬리브의 주축선 방향을 향하는 두 개의 평행 고정 슬롯을 포함하고, 이에 대응하는 하부 쉘의 고정 에지는 슬라이딩에 의한 조립 동안 상기 슬롯에 결합한다.

    - 상부 쉘은 두 개의 평행한 자유 에지를 갖는 로프의 일 부분의 오버랩 디쉬를 포함하고, 각각의 자유 에지는 상부 쉘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오버랩 디쉬로 열려 있는 고정 슬롯을 포함한다.

    - 고정 수단은 쉘 중 하나를 통과하여 다른 쉘에 조여지는 나사 몸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로 형성된다.

    - 이동 수단은 제 1 방향으로 전달 요소를 직선 이동시키는 피스톤을 갖는 잭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 요소는 연결 수단에 의해 상부 쉘에 고정되게 부착된다.

    - 전달 요소는 자유 나사 단부를 갖는 로드를 포함하고, 이 자유 나사 단부 는 상부 쉘에 만들어진 암나사 보어로 형성된 연결 수단에 조여진다.

    비제한적인 예시 목적으로 주어지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을 통해 다른 이점과 태양을 더 명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기계적인 스키 리프트 설비를 위한 로프의 일 부분의 호이스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기계적인 스키 리프트 설비를 위한 로프의 일 부분의 호이스팅 장치 (10) 의 예를, 상기 설비의 고정 캐링 로프 (11) 를 들어올리는데 적용되는 경우로 나타내었다. 정지 상태에서, 로프 (11) 는 설비의 슈우 (13) 에 제공된 지지부 (12) 에 중력에 의해 놓이게 된다.

    도시된 예에서, 호이스팅 장치 (10) 는 지지부 (12) 에서 로프를 해제하기 위해 로프 (11) 를 가압하면서 위치되도록 설계된 승강 요소 (14) 를 포함한다. 주로 승강 요소 (14) 는 들어올리기가 이루어질 때 로프 (11) 의 길이방향 부분을 지지하도록 설계된 하부 쉘 (141) 및 로프 (11) 의 들어올려진 부분을 덮도록 설계된 상부 쉘 (142) 로 이루어지고, 이는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장치 (10) 는 또한 호이스팅 작업을 위해 슈우 (13) 를 가압하도록 설계된 베어링 구조 (15) 를 포함한다. 이 목적으로, 베어링 구조 (15) 는 주로 각각 슈우 (13) 에 놓이는 두 개의 발부 (151a, 151b) 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발부 (151a, 151b) 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갖고, 다른 발부 (151a, 151b) 와 평행하게 위치한다. 발부 (151a, 151b) 의 바닥 모서리는 슈우 (13) 와 접촉하도록 설계되는 반면, 이 발부의 상부 모서리는 예컨대 발부 (151a, 151b) 의 주평면과 수직으로 배치된 판 (152) 을 지지한다. 판 (152) 은 임의의 고정수단, 예컨대 용접 비드 (welding bead) (153a, 153b) 로 나타난 용접에 의해서 발부 (151a, 151b) 에 확실히 부착된다.

    승강 요소 (14) 는 주로 원통형 몸체 (161), 장치 (10) 의 제 1 방향 (D1) 으로 몸체 (161) 안에 병진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 (162) 및 피스톤 (162) 에 확실하게 부착된 전달 요소 (163) 를 포함하는 예컨대 유압식 또는 공압식 잭 (16) 에 의해 베어링 구조 (15) 에 연결된다. 방향 (D1) 이 판 (152) 의 주평면과 수직이 되도록 원통형 몸체 (161) 는 하단부를 통해 발부 (151a, 151b) 의 반대측에서 판 (152) 에 고정된다. 전달 요소 (163) 는 D1 방향으로 배치된 시스 (sheath) (1632) 를 포함하고, 이 시스의 외측면은 피스톤 (162) 에 확실하게 부착되며, 시스 안에는 시스 (1532) 의 두 단부를 통과하여 그 밖으로 빠져나가 있는 확실하게 부착된 로드 (1631) 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로드 (1631) 는 자유 하단부와 자유 상단부를 갖고, 이 둘은 시스 (1632) 의 밖에 배치된다. 로드 (1631) 는 몸체 (161) 의 하단부에서 돌출되고, 판 (152) 의 중앙 개구 (1521) 을 통과한다. 로드 (1631) 의 자유 하단부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승강 요소 (14) 의 상부 쉘 (142) 에 만들어진 암나사 보어 (1421) 에 나사결합되어 조여져서, 판 (152) 아래에서 승강 요소 (14) 를 발부 (151a, 151b) 사이에 고정시킨다. 로드 (1631) 의 자유 상단부 또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시스 (1632) 에 대해 병진 운동하는 로드 (1631) 에 대한 축선방향 스탑 (stop) 으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 (1633) 를 수용한다. 로프 (11), 승강 요소 (14) 및 로드 (1631) 에 가해지는 중력으로 인해 너트 (1633) 가 시스 (1632) 의 상단부를 가압하도록 유지되고, 로드 (1631) 는 이러한 방식으로 시스 (1632) 에 확실히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스 (1632) 및 로드 (1631) 의 상단부는 몸체 (161) 의 상단부에서 돌출되어 있어서, 수동 접근이 가능하도록 몸체 (161) 의 외측에 너트 (1633) 를 위치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로크 너트 (locknut) 를 형성하기 위해 제 1 너트에 제 2 너트 (1633) 가 추가될 수 있다.

    외부 공급 유닛 (미도시) 을 통해 피스톤 (16) 에 대한 공급을 적절하게 관리하여, 피스톤 (162) 은 전달 요소 (163) 와 승강 요소 (14) 를 같이 방향 (D1) 으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외부 유닛은 몸체 (161) 내의 피스톤 (162) 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두 개의 챔버 중 적어도 하나의 챔버에 대한 유체 (잭 (16) 의 유형에 따라 공기나 오일) 공급을 제한한다. 잭 (16) 이 단동형으로 나타난 경우, 두 챔버 중 오직 하나만이 압축 챔버 (17) 로 사용되고, 반면에 피스톤 (162) 에 대해 반대쪽 챔버에 배치된 복귀 스프링 (18) 에 의해 잭 (16) 은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가압된 상태로 외부 유닛에서 압축 챔버 (17) 의 내부, 그리고 챔버의 출구로 유체를 전달하는 것은 공급 수단 (19) 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해서 외부 유닛과 연관된 잭 (16) 은 승강 요소 (14) 를 D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암나사 보어 (1421) 는 특히 로드 (1631) 의 하단부에서 이동 수단에 연결되는 수단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 요소 (14) 는 제 1 방향 (D1) 과 수직인 제 2 방향 (D2) 의 주 회전축선을 갖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인 슬리브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리브는 하부 쉘 (141) 과 상부 쉘 (142) 을 포함한다. 제 2 방향 (D2) 이 로프 (11) 의 길이 방향과 상응하고 제 1 방향 (D1) 이 적어도 하나의 수직 성분을 갖는 로프 (11) 의 반경 방향과 상응하도록, 슬리브는 호이스팅 장치 (10) 가 들어올릴 로프 (11) 의 일 부분 주위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호이스팅 장치 (10) 의 이러한 위치에서, 이동 수단을 통해 승강 요소 (14) 가 하부 위치 (도 1) 와 상부 위치 (도 2)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고, 여기서 하부 위치에서는 슬리브가 로프 (11) 의 일 부분을 감싸고 있고 여전히 지지부 (12) 상에 놓여 있으며, 상부 위치에서는 로프 (11) 의 일 부분이 지지부 (12) 에서 떨어져 있다.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승강 요소 (14) 의 이동은 D1 방향으로 직선으로 발생한다.

    더 자세하게는, 하부 위치에서 상부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로프에 호이스팅 힘을 전달하기 위해, 하부 쉘 (141) 은 호이스팅 장치가 들어올리고자 하는 로프 (11) 의 일 부분 아래에서 가압하면서 위치되도록 설계된 지지 디쉬 (1411) 를 포함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팅 동안 호이스팅된 부분과 지지 디쉬 (1411) 사이의 접촉 압력을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배시키기 위해, 지지 디쉬 (1411) 는 상부 쉘 (142) 의 반대측에서 만곡된 홈을 갖는다. 비제한적인 특정 실시 형태에서, 이 홈은 들어올려지는 일 부분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직경이 동일한 원호에 의해 형성되는 생성 라인을 갖는 회전면의 일부분이다. 회전면의 축선과 생성 라인 사이의 반경은 도 4 에서 "R" 로 나타나 있고, 이 값은 실질적으로 400 mm 이다. D2 방향에서 바라볼 때 홈의 단부는 상부 쉘 (142) 의 반대측에서 경사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하부 쉘 (141) 은 외측면이 반원통형이고 일반적으로 튜브 형상을 나타내며, 내부에는 전술한 지지 디쉬 (1411)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 쉘 (141) 의 외측면은 D2 방향을 향하고 있고 상부 쉘 (142) 과의 결합을 가능하게 설계된 두 개의 평행한 자유 에지 (1412a, 1412b) 를 포함한다. 각각의 에지 (1412a, 1412b) 는 이 목적으로 D2 방향으로 하부 쉘 (141)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슬롯 (1413a, 1413b) 을 포함한다. 각각의 슬롯 (1413a, 1413b) 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하부 쉘 (141) 의 외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열려 있다. 각각의 슬롯 (1413a, 1413b) 은 대응하는 에지 (1412a, 1412b) 의 단부 (1414a, 1414b) 가 있는 고정 에지 (1415a, 1415b) 를 한정한다. 각각의 고정 에지 (1415a, 1415b) 는 하부 쉘 (141) 의 D2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돌출부를 형성한다.

    상부 쉘 (142) 은 들어올려지는 로프 (11) 의 일 부분의 오버랩 디쉬 (1422) 를 포함하고,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승강 요소 (14) 가 이동하는 동안 로프의 상기 부분을 지지 디쉬 (411) 안에 고정시킨다. 상부 쉘 (142) 은 반원통형 외측면의 일반적인 튜브 형태를 갖고, 내부에는 또한 반원통형인 오버랩 디쉬 (1422)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쉘 (142) 의 오버랩 디쉬 (1422) 는 D2 방향을 향하고 있고 하부 쉘 (142) 과의 결합을 가능하게 설계된 두 개의 평행한 자유 에지 (1423a, 1423b) 를 갖는다. 각각의 자유 에지 (1423a, 1423b) 는 D2 방향으로 상부 쉘 (142) 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오버랩 디쉬 (1422) 로 열려 있는 고정 슬롯 (1424a, 1424b) 을 포함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상부 쉘 (142) 은 제 2 방향 (D2) 과 일치하는 슬리브의 주축선 방향을 향하는 두 개의 평행한 고정 슬롯 (1424a, 1424b) 를 포함하게 되고, 이 슬롯에는 대응하는 하부 쉘 (141) 의 고정 에지 (1415a, 1415b) 가 결합하여 제 2 방향 (D2) 으로 슬라이딩하여 두 쉘 (141, 142) 이 조립되게 된다. 두 개의 쉘 (141, 142) 은 따라서 슬라이딩에 의한 이러한 조립을 위한 상보적인 안내 요소를 포함하고, 이 안내 요소는 고정 슬롯 (1424a, 1424b) 과 고정 에지 (1415a, 1415b) 로 형성된다.

    슬라이딩에 의한 이러한 조립이 이루어지는 동안 및 그에 이어서, 상부 쉘 (142) 의 오버랩 디쉬 (1422) 의 자유 에지 (1423a, 1423b) 는 각각 하부 쉘 (141) 의 외측면의 대응하는 자유 에지 (1412a, 1412b) 를 덮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정 슬롯이 상부 쉘 (142) 의 외측면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 에지가 지지 디쉬에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반대의 상황도 가능하다. 이러한 대안 실시 형태에서, 하부 쉘의 지지 디쉬의 자유 에지는 각각 상부 쉘 (141) 의 외측면의 대응하는 자유 에지와 겹치게 된다. 더 일반적으로, D2 방향으로 쉘 (141, 142) 을 서로 슬라이딩시켜 조립하는 어떠한 유형의 상보적인 안내 요소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안내 요소의 대안 실시 형태가 어떠하던, 각각의 고정 에지 (1415a, 1415b) 는 연관된 고정 슬롯 (1424a, 1424b) 의 벽에 의해 형성된 지지면과 접촉하는 베어링 면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들어올려지는 로프 (11) 의 전체 무게는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상부 쉘 (142) 에 안내 요소만을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보적인 안내 요소는, 베어링 면과 지지면이 도브테일 (dovetail) 형 조립체를 구성하도록 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하부 쉘 (141) 에서 상부 셀 (142) 로의 힘전달에 의해 두 쉘이 자동적으로 조여져서, 쉘들이 성가시게 분리되는 위험이 없어진다.

    마지막으로, 호이스팅 장치 (10) 는 두 쉘이 슬라이딩하여 조립된 후, 두 쉘 (상부 쉘 (142) 과 하부 쉘 (141)) 사이의 슬라이딩을 막기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나타난 대안 실시 형태에서, 고정 수단은 각각 나사 몸체 (201) 를 갖는 네 개의 볼트 (20) 에 의해 형성되고, 조립 후 이 나사 몸체는 D1 방향으로 배치된 통로 (1425) 를 통해 상부 쉘 (142) 을 통과하여 통로 (1425) 와 정렬되어 하부 쉘 (141) 에 제공된 암나사 보어 (1416) 내로 조여진다. 각각의 볼트 (20) 의 베어링 헤드 (202) 는 상부 쉘 (142) 의 외측면에 제공된 카운터보어 (1426) 에 수용되어, 카운터보어 (1426) 의 바닥을 가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통로는 하부 쉘 (141) 에 만들어질 수 있고 암나사 보어는 상부 쉘 (142) 에 만들어질 수 있음이 명확하다. 더불어, 통로의 방향 (따라서 볼트 (20) 의 방향) 은 어떠한 방향도 될 수 있다. 볼트 (20) 의 수는 다양하게,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어떠한 적절한 고정 수단, 예컨대 래칫 (ratchet) 시스 템도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호이스팅 장치 (10) 의 실시예에서 이동 수단이 잭 (16) 을 포함하더라도, 다른 유형의 이동 수단도 잭 (16) 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팅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각각 승강 요소의 하부 위치와 상부 위치를 나타낸다.

    도 3 은 도 2 의 A 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제 2 방향에서 본 하부 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이스팅 장치 11 : 로프

    14 : 승강 요소 20 : 고정 수단

    141, 142 : 쉘 1411 : 지지 디쉬

    1421 : 연결 수단

    1415a, 1415b, 1424a, 1424b : 안내 요소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