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베이어 상으로의 차량 이재 장치

申请号 KR1020107022814 申请日 2009-03-02 公开(公告)号 KR101506363B1 公开(公告)日 2015-03-26
申请人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타다,쇼지; 야스다,요시후미; 미우라,주니치; 타케다,야스히로;
摘要 앞뒤 차륜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각종 차량을 컨베이어 상으로 이재할 수 있는 구조가 간단한 이재 장치를 제공한다.

승강체(5) 상의 앞측 차륜 지지수단(6)에는, 전륜(Wf)을 반송방향에 관하여 정해진 위치에서 지지하는 닫음 자세와 당해 전륜(Wf)의 반송방향으로의 탈출을 허용하는 개방자세 사이에서 수평으로 자유롭게 개폐하는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29a, 29b)이 마련되고; 승강체(5) 상의 후측 차륜 지지수단(7)에는, 반송방향에 관한 위치 결정을 하지 않고 후륜(Wr)을 지지하는 차륜 지지판(38)이, 수평 자세와 반송방향으로 앞으로 숙여 경사지는 경사 자세로 자유롭게 전환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앞측 차륜 지지수단(6)의 닫음 자세로 되어 있는 차륜 지지 아암(29a, 29b)과 후측 차륜 지지수단(7)의 수평 자세로 되어 있는 차륜 지지판(38)으로 차량(C)을 지지한 승강체(5)가 적어도 컨베이어(1) 상으로 차량(C)을 이재하는 하강 한계 위치에 위치할 때, 후측 차륜 지지수단(7)의 차륜 지지판(38)을 경사 자세로 하는 자세전환수단(40)이 마련된; 구성을 갖는다.
权利要求
  • 차륜을 개재하여 차량을 지지/반송하는 컨베이어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체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체에는, 상기 컨베이어 상방향의 특정 높이 위치에서 차량의 반송방향의 앞측 차륜과 반송방향의 후측 차륜을 제각기 지지하는 앞측 차륜 지지수단과 후측 차륜 지지수단이 마련되고,
    앞측 차륜 지지수단과 후측 차륜 지지수단 중의 일 차륜 지지수단에는, 차륜을 반송방향에 관하여 정해진 위치에서 지지하는 닫음 자세와 당해 차륜의 반송방향으로의 탈출을 허용하는 개방자세 사이에서 수평으로 자유롭게 개폐하는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이 마련되고,
    다른 일 차륜 지지수단에는, 반송방향에 관한 위치 결정을 하지 않고 차륜을 지지하는 차륜 지지판이, 수평 자세와 반송방향으로 앞으로 숙여 경사지는 경사 자세로 자유롭게 전환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일 차륜 지지수단의 닫음 자세로 되어 있는 차륜 지지 아암과 다른 일 차륜 지지수단의 수평 자세로 되어 있는 차륜 지지판으로 차량을 지지한 상기 승강체가, 적어도 상기 컨베이어 상으로 차량을 이재하는 하강 한계 위치에 위치할 때, 다른 일 차륜 지지수단의 상기 차륜 지지판을 상기 경사 자세로 하는 자세전환수단이 마련되는 컨베이어 상으로의 차량 이재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차량의 좌우 양측의 차륜을 제각기 지지/반송하는 좌우 한 쌍의 컨베이어 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체는 두 컨베이어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일 차륜 지지수단은 하나의 상기 승강체 상에 마련된 좌우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을 구비하고, 다른 일 차륜 지지수단은 중앙부가 하나의 상기 승강체 상에서 지지되어 좌우 양측의 컨베이어 유닛 위로 돌출되는 하나의 차륜 지지판을 구비하는 컨베이어 상으로의 차량 이재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가 상기 컨베이어의 반송방향과 평행으로 자유롭게 왕복 이동하는 대차 상에 마련되고, 당해 대차의 왕복 이동에 의해, 컨베이어 상방에서 차량을 건네받는 차량 수취위치와 상기 컨베이어 상으로 차량을 이재하는 차량 이재 위치 사이에서 상기 승강체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컨베이어 상으로의 차량 이재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다른 일 차륜 지지수단의 상기 차륜 지지판은 반송방향 전단부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후단부측이 상하 이동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승강체를 지지하는 측에는, 상기 승강체가 상기 하강 한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차륜 지지판이 상기 경사 자세가 되도록, 당해 승강체의 하강에 동반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차륜 지지판의 후단부를 밀어 올리는 푸싱업 디바이스가 세워서 마련되고, 상기 푸싱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자세전환수단이 구성되는 컨베이어 상으로의 차량 이재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가 적어도 상기 컨베이어 상으로 차량을 이재하는 하강 한계 위치에 있고, 다른 일 차륜 지지수단의 경사 자세로 되어 있는 상기 차륜 지지판 상으로부터 차륜이 상기 컨베이어 상으로 이재된 후, 당해 경사 자세로 되어 있는 상기 차륜 지지판 전단부를 상기 컨베이어 상으로부터 특정 높이까지 올리기 위한 리프팅 수단이 병렬로 마련되는 컨베이어 상으로의 차량 이재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다른 일 차륜 지지수단의 상기 차륜 지지판은 반송방향 전단부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후단부측이 상하 이동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승강체를 지지하는 측에는, 상기 승강체가 상기 하강 한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차륜 지지판을 상기 경사 자세가 되도록, 당해 승강체의 하강에 동반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차륜 지지판의 후단부를 밀어 올리는 푸싱업 디바이스가 세워서 마련되고, 상기 푸싱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자세전환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차륜 지지판의 반송방향 전단부에는, 상기 승강체를 지지하는 측에 마련된 지지면 상을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를 수 있도록 상기 지지점이 되는 롤러가 피벗되고, 상기 리프팅 수단은, 상기 차륜 지지판 전단부를 밀어 올리는 푸셔와, 당해 푸셔를 상기 승강체에 대해 승강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는 컨베이어 상으로의 차량 이재 장치.
  • 说明书全文

    컨베이어 상으로의 차량 이재 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VEHICLES ONTO CONVEY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트롤리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어 온 차량(차륜이 이미 장착된 자동차의 차체 등)을 슬랫 컨베이어에 내리는데 활용할 수 있는, 컨베이어 상으로의 차량 이재(移載)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조립 라인에 있어서, 차륜이 이미 장착된 자동차 차체 등(이하, "차량"이라 함)을 트롤리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하는 경우에는, 당해 차량의 차체를 행거로 지지하여 매달아 반송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그 차량을, 예를 들면 슬랫 컨베이어 상으로 내리는 경우에는, 당해 차량 차체가 아닌 차륜을 지지하여 상기 행거로부터 차량을 건네받는 자유롭게 승강하는 차량 이재 장치가 사용된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컨베이어 상으로의 차량 이재 장치에는, 차량을 정해진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차륜을 반송방향에 관하여 정해진 위치에서 지지하는 닫음 자세와 당해 차륜의 반송방향으로의 탈출을 허용하는 개방자세 사이에서 수평으로 자유롭게 개폐하는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이 차륜 지지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것이지만, 비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이런 종류의 컨베이어 상으로의 차량 이재 장치에서는, 차량의 전륜을 지지하는 앞측 차륜 지지수단과 차량의 후륜을 지지하는 후측 차륜 지지수단 모두를, 자유롭게 개폐하는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으로 구성하는 것이었다.

    비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2007-18647

    상기한 바와 같은 자유롭게 개폐하는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으로 구성된 차륜 지지수단은, 닫음 자세의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이 지지하는 차륜의 위치가 전후 방향에 관하여 일정 위치에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차량의 전륜을 지지하는 앞측 차륜 지지수단과 차량의 후륜을 지지하는 후측 차륜 지지수단 모두를, 자유롭게 개폐하는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으로 구성한 경우, 앞뒤 차륜 사이의 거리가 일정해야만 한다. 한편, 최근의 자동차 조립 라인에 있어서는, 앞뒤 차륜 사이의 거리가 상이한 복수 사이즈의 차량을 취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앞뒤 차륜 사이의 거리가 상이한 복수 사이즈의 차량을 하나의 차량 이재 장치로 취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비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측 차륜 지지수단과 후측 차륜 지지수단 사이의 간격을 변경 가능토록 구성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재 장치 자체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고가로 될 뿐만 아니라, 앞뒤 차륜 지지수단 사이의 간격을 그때 취급하는 차량의 앞뒤 차륜 사이의 거리에 따라 실시간으로, 또한 정확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재의 주기 타임이 길어지는 우려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컨베이어 상으로의 차량 이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청구항 1에 기재의 컨베이어 상으로의 차량 이재 장치는,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참조 부호를 첨부하여 나타내면, 차륜(Wf, Wr)을 개재하여 차량(C)을 지지/반송하는 컨베이어(1)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체(5)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체(5)에는, 상기 컨베이어(1)의 상방 소정의 높이 위치에서 차량(C)의 반송방향의 앞측 차륜(전륜(Wf))과 반송방향의 후측 차륜(후륜(Wr))을 제각기 지지하는 앞측 차륜 지지수단(6)과 후측 차륜 지지수단(7)이 마련되고; 앞측 차륜 지지수단(6)과 후측 차륜 지지수단(7) 중의 일 차륜 지지수단(6)에는, 차륜(전륜(Wf))을 반송방향에 관하여 정해진 위치에서 지지하는 닫음 자세와 당해 차륜(전륜(Wf))의 반송방향으로의 탈출을 허용하는 개방자세 사이에서 수평으로 자유롭게 개폐하는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29a, 29b)이 마련되고; 다른 일 차륜 지지수단(7)에는, 반송방향에 관한 위치 결정을 하지 않고 차륜(후륜(Wr))을 지지하는 차륜 지지판(38)이, 수평 자세와 반송방향으로 앞으로 숙여 경사지는 경사 자세로 자유롭게 전환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일 차륜 지지수단(6)의 닫음 자세로 되어 있는 차륜 지지 아암(29a, 29b)과 다른 일 차륜 지지수단(7)의 수평 자세로 되어 있는 차륜 지지판(38)으로 차량(C)을 지지한 상기 승강체(5)가 적어도 상기 컨베이어(1) 상으로 차량(C)을 이재하는 하강 한계 위치에 위치할 때, 다른 일 차륜 지지수단(7)의 상기 차륜 지지판(38)을 상기 경사 자세로 하는 자세전환수단(40)이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청구항 2의 기재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1)는 차량의 좌우 양측의 차륜을 제각기 지지/반송하는 좌우 한 쌍의 컨베이어 유닛(1A, 1B)으로 구성하고, 상기 승강체(5)는 두 컨베이어 유닛(1A, 1B) 사이에 배치하고, 일 차륜 지지수단(6)은 하나의 상기 승강체(5) 상으로 마련된 좌우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29a, 29b)으로 구성하고, 다른 일 차륜 지지수단(7)에는 중앙부가 하나의 상기 승강체(5) 상에서 지지되어 좌우 양측의 컨베이어 유닛(1A, 1B) 위로 돌출되는 하나의 차륜 지지판(38)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의 기재와 같이, 상기 승강체(5)는 상기 컨베이어(1)의 반송방향과 평행으로 자유롭게 왕복 이동하는 대차(2) 상에 마련하고, 당해 대차(2)의 왕복 이동에 의해, 컨베이어(1)의 상방에서 차량(C)을 건네받는 차량 수취위치(최대 후퇴위치(P1))와 상기 컨베이어(1) 상으로 차량(C)을 이재하는 차량 이재위치(최대 전진위치(P2)) 사이에서 상기 승강체(5)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의 기재와 같이, 다른 일 차륜 지지수단(7)의 상기 차륜 지지판(38)은 반송방향 전단부측을 지지점(fulcrum)(좌우 수평지축(49))으로 하여 후단부측이 상하 이동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승강체(5)를 지지하는 측(대차(2))에는, 상기 승강체(5)가 상기 하강 한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차륜 지지판(38)이 상기 경사 자세가 되도록, 당해 승강체(5)의 하강에 동반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차륜 지지판(38)의 후단부를 밀어 올리는 푸싱업 디바이스(52)를 세워서 마련하고, 상기 푸싱업 디바이스(52)에 의해 상기 자세전환수단(4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의 기재와 같이, 상기 승강체(5)가 적어도 상기 컨베이어(1) 상으로 차량(C)을 이재하는 하강 한계 위치에 있고, 다른 일 차륜 지지수단(7)의 경사 자세로 되어 있는 상기 차륜 지지판(38) 상으로부터 차륜(후륜(Wr))이 상기 컨베이어(1) 상으로 이재된 후, 당해 경사 자세로 되어 있는 차륜 지지판(38) 전단부를 상기 컨베이어(1) 상으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올리기 위한 리프팅 수단(41)을 병렬로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구항 6의 기재와 같이, 다른 일 차륜 지지수단(7)의 상기 차륜 지지판(38)은 반송방향 전단부측을 지지점(좌우 수평지축(49))으로 하여 후단부측이 상하 이동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승강체(5)를 지지하는 측(대차(2))에는, 상기 승강체(5)가 상기 하강 한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차륜 지지판(38)이 상기 경사 자세가 되도록, 당해 승강체(5)의 하강에 동반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차륜 지지판(38)의 후단부를 밀어 올리는 푸싱업 디바이스(52)를 세워서 마련하고, 상기 푸싱업 디바이스(52)에 의해 상기 자세전환수단(40)을 구성하고, 상기 차륜 지지판(38)의 반송방향 전단부에는, 상기 승강체(5)를 지지하는 측(대차(2))에 마련된 지지면(50) 상을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를 수 있도록 상기 지지점이 되는 롤러(51a, 51b)를 피벗(pivot)하고, 상기 리프팅 수단(41)은, 상기 차륜 지지판(38) 전단부를 밀어 올리는 푸셔(57)와, 당해 푸셔(57)를 상기 승강체(5)에 대해 승강 구동하는 액츄에이터(58)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청구항 1에 기재의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상으로의 차량 이재 장치에 의하면, 상승 위치에 있는 승강체 상의 앞측 차륜 지지수단과 후측 차륜 지지수단으로 차량의 앞측 차륜과 후측 차륜을 지지한 상태에서, 당해 앞측 차륜 지지수단과 후측 차륜 지지수단이 컨베이어 상으로 접근하는 하강 한계 위치까지 하강시키고, 이 상태에서, 앞뒤 두 차륜 지지수단 중, 일 차륜 지지수단의 자유롭게 개폐하는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을, 차륜을 지지하는 닫음 자세로부터 개방자세로 개방시키는 것에 의해, 당해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으로 지지하고 있는 차륜을 컨베이어 상으로 이재한다. 이때, 다른 일 차륜 지지수단의 차륜 지지판이 자세전환수단에 의해 앞으로 숙인 경사 자세로 전환되어 있으므로, 먼저 컨베이어 상으로 이재된 차륜이 컨베이어측의 이송 작용을 받아 반송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에 동반하여, 차륜 지지판 상에서 지지되어 있는 차륜이, 당해 차륜 지지판이 앞으로 숙여 경사져 있음으로, 원활하게 반송방향으로 굴러서 컨베이어 상으로 이재될 수 있다.

    즉, 앞뒤 두 차륜 지지수단 중, 일 차륜 지지수단만이 차륜을 정해진 위치에서 지지하는 수평으로 자유롭게 개폐하는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으로 구성되고, 다른 일 차륜 지지수단은 차륜 지지판에 의해 반송방향에 관하여 위치 결정을 하지 않고 차륜을 지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앞뒤 두 차륜 사이의 거리가 상기 차륜 지지판의 반송방향의 폭(길이) 범위 내에서 변동하는 차량이기만 하면, 닫음 자세의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에 의해 지지되는 측의 차륜을 기준으로 하여, 차량을 확실하게 정해진 위치에 위치 결정한 상태로 안전하게 컨베이어 상으로 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륜 지지판측은, 컨베이어 상방의 소정의 높이에서 차량을 건네받은 상태에서, 컨베이어 상으로 차량을 이재하는 하강 한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수평 자세로 유지시키므로, 처음부터 앞으로 숙여 경사지는 차륜 지지판으로 차륜을 지지시키는 경우와 같이, 지지하고 있는 차량에 반송방향으로의 추진력을 부여할 우려가 없고, 닫음 자세의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에 대한 차륜의 감합 깊이가 얕아도, 안전하게 차량을 강하시켜 컨베이어 상으로 이재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수평 자세로 되어 있는 상기 차륜 지지판 상으로부터 차륜을 반송방향으로 구르게 하여 컨베이어 상으로 이재하는 경우에는, 먼저 컨베이어 상으로 이재된 차륜을 개재하여 비교적 큰 추진력을 차량에 부여할 필요가 있고, 차륜의 접지 부분을 앞뒤에서 저지하도록 컨베이어 상에 돌출 마련한 아주 낮은 차륜 위치 결정용 바(bar)에 의해서는, 수평 자세로 되어 있는 상기 차륜 지지판 상으로부터 차륜을 반송방향으로 인출할 때의 저항 때문에 상기 차륜 위치 결정용 바가 차륜 아래에 깔려버려, 차량을 컨베이어 상의 정해진 위치에서 지지하여 반송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우려할 수도 있지만, 차량을 컨베이어 상으로 이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차륜 지지판을 앞으로 숙이도록 경사시켜, 차륜 지지판 상의 차륜에 컨베이어 상으로 이재되는 방향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컨베이어 상에 돌출 마련한 아주 낮은 차륜 위치 결정용 바라고 해도, 당해 차륜 위치 결정용 바에 의해 컨베이어 상의 차량을 정해진 위치에 위치 결정하면서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컨베이어의 좌우 양측에 동기(同期)하여 승강하는 승강체를 병렬로 마련하는 경우에 비해 장치 전체의 구조가 간단해져, 심플하고 염가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컨베이어 상방의 차량 수취위치의 바로 아래 위치에서 차량을 컨베이어 상으로 이재하는 구성에 비해, 컨베이어 상방의 차량 수취위치에서 대기하는 차량과 컨베이어 상으로 이재될 때의 차량이 서로 간섭될 정도로, 컨베이어 상방의 차량 수취위치와 컨베이어 사이의 상하 방향의 간격이 좁아도, 컨베이어 상방의 차량 수취위치에서 건네받은 차량을 전방 하측으로 반송하는 동안 다음 차량을 컨베이어 상방의 차량 수취위치에 반입할 수 있으므로, 컨베이어 상으로의 차량 이재 주기 타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승강체나 당해 승강체를 지지하는 측에 차륜 지지판을 경사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나 실린더 유닛 등의 액츄에이터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이와 같은 액츄에이터를 마련하는 경우에 비해, 장치 전체의 구조가 간단해져, 심플하고 염가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차륜 지지판 전단측을 승강 구동하여 자세를 변경시키는 경우에는, 수평 자세의 차륜 지지판의 차륜 지지 레벨이 높아져, 차량이 처음부터 경사 상태로 지지되어 컨베이어 상에 내려지게 되지만, 청구항 4에 기재의 구성에서는, 차륜 지지판의 후단측을 밀어 올려 경사 자세로 전환하는 것이기 때문에, 컨베이어 상으로의 이재 직전까지는 지지하는 차량을 거의 수평으로 지지시할 수 있어, 지지한 차량을 컨베이어 상으로 내리기 위한 강하 반송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승강체가 하강 한계 위치에 있고, 앞으로 숙여 경사진 차륜 지지판의 컨베이어 상으로 접근하는 전단부가, 후방에서 이동해 오는 컨베이어 상의 차륜 위치 결정용 바와 간섭하는 것을, 당해 차륜 지지판의 전단부를 리프팅 수단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상으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올리는 것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체를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차륜 지지판의 전단부와 차륜 위치 결정용 바(bar)의 간섭을 방지하는 경우와 같이, 차량의 하측 공간의 높이가 낮은 것으로 인한 차륜 지지수단과 차량의 저부가 접촉될 우려가 없다. 또한, 컨베이어 상에 돌출 마련하는 차륜 위치 결정용 바를, 차량의 반송 간격보다 짧은 작은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청구항 6에 기재의 구성에 의하면, 청구항 4에 기재의 구성을 채용하였을 때의 상기 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도 1은 차량을 건네받은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차량을 슬랫 컨베이어 상으로 이재하기 직전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상태의 정면도.
    도 5에 있어서, 도 A는 마운트의 평면도, 도 B는 대차의 평면도, 도 C는 승강체의 평면도.
    도 6은 승강체의 승강 구동수단과 대차의 주행용 구동수단을 나타내는 일부 종단 정면도.
    도 7은 앞뒤의 차륜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일부 종단 측면도.
    도 9에 있어서, 도 A는 최대 상승위치에 있는 후측 차륜 지지수단의 배면도, 도 B는 하강 한계 위치에 있는 후측 차륜 지지수단의 배면도.
    도 10은 후측 차륜 지지수단의 정면도.
    도 11은 후측 차륜 지지수단의 일부를 생략한 측면도.
    도 12는 차량을 건네받는 제 1 단계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13은 차량을 슬랫 컨베이어 상의 소정의 높이까지 내린 제 2 단계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14는 차량을 슬랫 컨베이어 상에 내린 직후의 제 3 단계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15는 차량이 슬랫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기 시작한 직후의 제 4 단계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16은 이재 장치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 최종단계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4에 있어서, "1"은 차량(C)을 건네받아 반송하는 슬랫 컨베이어로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2열의 슬랫 컨베이어 유닛(1A, 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는 대차로서, 좌우 2열의 슬랫 컨베이어 유닛(1A, 1B) 사이의 하방에서, 바닥면 위에 가설(架設)된 마운트(3) 상의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4)에 의해 슬랫 컨베이어(1)의 반송방향으로 왕복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5"는 승강체로서, 좌우 2열의 슬랫 컨베이어 유닛(1A, 1B) 사이를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대차(2) 상에 승강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승강체(5) 상에는 앞측 차륜 지지수단(6)과 후측 차륜 지지수단(7)이 탑재되어 있다.

    이하, 각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차(2)에는, 마운트(3) 상에 부설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4) 위를 구르는 좌우 한 쌍/앞뒤 2세트로 구성되는 주행용 차륜(8)과; 두 가이드 레일(4) 중의 한 가이드 레일(4)을 사이에 끼우는 좌우 한 쌍/앞뒤 2세트로 구성되는 진동 방지용 수직축 롤러(9)와; 두 가이드 레일(4)의 내측에 있어서 마운트(3) 상에서 내측으로 수평으로 돌출되어 부설된 좌우 한 쌍의 패널형태 레일(10)의 하측에 근접되는 좌우 한 쌍/앞뒤 2세트로 구성되는 떠오름 방지용 수평축 롤러(11); 를 구비한다. 대차(2)는 상기의 차륜(8) 및 롤러(9, 11)에 의해, 마운트(3)의 앞뒤 양단부에 마련된 스토퍼(12a, 12b) 사이에서 슬랫 컨베이어(1)의 반송방향과 평행인 수평직선경로 위를 자유롭게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또한, 대차(2)의 주행용 구동수단(13)으로서, 두 가이드 레일(4) 중의 한 가이드 레일(4)의 외측에 있어서 당해 가이드 레일(4)과 평행으로 마운트(3) 상에 횡방향으로 부설된 랙 기어(14)와; 당해 랙 기어(14)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5)와; 대차(2)의 측변에 장착되고, 그 수직출력축에 상기 피니언 기어(15)가 장착되고, 감속기를 구비하는 모터(16); 가 마련되고, 당해 모터(16)에 의해 피니언 기어(15)를 정방향/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대차(2)를 가이드 레일(4)에 따라 왕복 주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체(5)는 앞뒤 한 쌍의 승강 구동수단(17A, 17B)을 개재하여 대차(2) 상에서 지지되어 있다. 두 승강 구동수단(17A, 17B)은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고, 상단이 승강체(5)에 고정되어 당해 승강체(5)로부터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됨과 함께, 대차(2) 상에 마련된 케이싱(18) 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승강 가이드 로드(19)와; 상기 승강 가이드 로드(19)를 축방향의 승강만 가능토록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18)에 장착된 상하 한 쌍의 승강 가이드(20)와; 대차(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승강 가이드 로드(19)를 커버하는 원통형 커버(21)와; 상기 승강 가이드 로드(19)에 형성된 랙 기어부(22)에 맞물리도록 상기 케이싱(18) 내에 수평회전축(23)을 개재하여 피벗된 피니언 기어(24)와; 상기 수평회전축(23)을 개재하여 두 승강 구동수단(17A, 17B)의 피니언 기어(24)를 서로 연동 연결하는 연동축(25)과; 및 대차(2) 상에 탑재되어 일 승강 구동수단(17A)의 피니언 기어(24)를 그 수평회전축(23)을 개재하여 정방향/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감속기를 구비하는 모터(26)와; 로 구성되어 있다. 또, 각 승강 구동수단(17A, 17B)의 케이싱(18) 상에는, 승강체(5)의 하강 한계 위치를 정하는 스토퍼(27)가 상향으로 돌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26)에 의해 수평회전축(23) 및 연동축(25)을 개재하여 두 승강 구동수단(17A, 17B)의 피니언 기어(24)를 정방향/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두 승강 구동수단(17A, 17B)의 승강 가이드 로드(19)를 연동 승강시켜, 승강체(5)를 평행으로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앞측 차륜 지지수단(6)은, 승강체(5)의 전단부 상에 마련되고, 도 7 및 도 8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차륜 지지수단(6A, 6B)과 그 구동수단(28)을 구비한다. 좌우 한 쌍의 차륜 지지수단(6A, 6B)은 좌우 대칭형으로 구성되고, 각각 수평으로 자유롭게 개폐하는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29a, 29b)을 구비한다. 상기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29a, 29b)은, 승강체(5)의 좌우 양측변 근방 위치에서 지지된 앞뒤 한 쌍의 수직회전축(30a, 30b)의 상단에 일 단부가 고정되고, 두 수직회전축(30a, 30b)은, 그 하단측에 장착되어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기어(31a, 31b)에 의해 서로 역회전하도록 연동으로 연결되고, 일 수직회전축(30a)로부터 내향으로 연장 마련된 피조작 레버(32)의 선단부 상에는 캠(cam) 종동롤러(33)가 수직지축에 의해 피벗되어 있다. 구동수단(28)은, 좌우 한 쌍의 차륜 지지수단(6A, 6B)의 중간위치에서 승강체(5) 상에 부설된 슬라이드 레일(34)과; 상기 슬라이드 레일(34) 상에서 수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지지된 전후 이동체(35)와; 및 상기 전후 이동체(35)와 승강체(5) 사이에 개재하도록 마련되고, 전후 이동체(35)를 앞뒤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유닛(36)과; 로 구성되어 있다.

    전후 이동체(35)의 좌우 양측변에는, 좌우 한 쌍의 차륜 지지수단(6A, 6B)의 피조작 레버(32)의 캠 종동롤러(33)가 출입 가능토록 슬라이딩 감합되는 캠 홈(37a, 37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후 이동체(35)를 앞뒤로 이동시키면, 캠 홈(37a, 37b)과 이에 감합되는 캠 종동롤러(33)를 개재하여 조작 레버(32)가 일 수직회전축(31a)을 정방향/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이에 동반하여 두 수직회전축(30a, 30b)이 기어(31a, 31b)를 개재하여 상호 역방향으로 연동하여 회전하고,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29a, 29b)이 수직회전축(30a, 30b)의 둘레에서 수평으로 회동하여 개폐 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유닛(36)에 의해 전후 이동체(35)가 최대 후퇴위치로 복귀되 있을 때,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29a, 29b)이 수직회전축(30a, 30b)으로부터 앞뒤 정반대 방향으로 수평으로 회동하여, 평면에서 볼 때 슬랫 컨베이어 유닛(1A, 1B) 상에서 내측으로 떨어진 개방자세를 취하고, 도 7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유닛(36)에 의해 전후 이동체(35)를 최대 전진위치까지 이동시켰을 때, 캠 종동롤러(33)가 캠 홈(37a, 37b) 내로부터 밀려나와 전후 이동체(35)의 좌우 양측변에 당접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이에 동반하여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29a, 29b)이 수직회전축(30a, 30b)으로부터 거의 정 횡방향으로 수평으로 회동하여, 평면에서 볼 때 슬랫 컨베이어 유닛(1A, 1B) 상에서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29a, 29b)이 서로 평행으로 돌출되는 닫음 자세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전후 이동체(35)에는, 상기 전후 이동체(35)가 최대 전진위치에서 후퇴 이동할 때, 캠 종동롤러(33)를 캠 홈(37a, 37b) 내로 도입시키기 위한 돌출부(35a, 35b)가 형성되어 있다.

    후측 차륜 지지수단(7)은, 승강체(5)의 후단부 상에 마련되고, 도 7 및 도 8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부가 평면에서 볼 때 슬랫 컨베이어 유닛(1A, 1B) 상으로 겹치도록 좌우 횡방향으로 배치된 장방형 패널형상의 차륜 지지판(38)과; 상기 차륜 지지판(38)을, 측면에서 볼 때 수평 자세와 앞으로 숙여 경사지는 경사 자세 사이에서 경사 작동 가능토록 지지하는 지지수단(39)과; 차륜 지지판(38)의 자세전환수단(40)과; 및 차륜 지지판(38)의 전단부를 소정의 높이까지 밀어 올리는 리프팅 수단(41)과; 로 구성된다.

    지지수단(39)은, 도 7∼도 11에서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체(5)의 후단부 상에 세워서 마련된 좌우 한 쌍의 승강 가이드(42a, 42b)에 의해 승강 자유롭게 지지되어 상향으로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승강 로드(43a, 43b)와; 좌우 한 쌍의 승강 가이드(42a, 42b)의 전방위치에서 승강체(5) 상에 세워서 마련된 좌우 한 쌍의 지지 기둥체(44a, 44b)와; 상기 좌우 한 쌍의 승강 로드(43a, 43b)의 상단부에서 상호 동심형태인 좌우 수평지축(45)에 의해 피벗된 좌우 한 쌍의 베어링(46a, 46b)을 하측면의 후측변 근방 위치에 장착한 기판(47)과; 및 상기 기판(47)의 하측면 앞측변 근방 위치에 장착된 좌우 한 쌍의 베어링(48a, 48b)에 상호 동심형태인 좌우 수평지축(49)에 의해 피벗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 기둥체(44a, 44b) 상단의 수평지지면(50) 상에서 자유롭게 구를 수 있도록 당접하는 좌우 한 쌍의 수평축 롤러(51a, 51b)와; 로 구성되고, 상기 기판(47)이 차륜 지지판(38)의 중앙부 하측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고, 좌우 한 쌍의 승강 가이드(42a, 42b)가 하강하여 베어링(46a, 46b)이 승강 가이드(42a, 42b)의 상단에서 지지됨과 함께, 좌우 한 쌍의 수평축 롤러(51a, 51b)가 지지 기둥체(44a, 44b) 상단의 수평지지면(50) 상에 당접되어 있을 때, 차륜 지지판(38)이 수평 자세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세전환수단(40)은, 승강체(5)가 대차(2)에 대해, 도 1 및 도 9A에 나타내는 최대 상승위치로부터 도 2 및 도 9B에 나타내는 하강 한계 위치까지 강하할 때, 그 강하 행정의 최종단계에서 수평 자세로 되어 있는 차륜 지지판(38)의 후단부 즉, 기판(47) 하측면의 후측변 근방 위치에 당접하도록 대차(2)측, 구체적으로는 후측 승강 구동수단(17B)의 케이싱(18) 상에 장착된 푸싱업 디바이스(5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푸싱업 디바이스(52)는, 상기 케이싱(18) 상에 세워서 마련된 지지부재(53)의 상단에 장착된 좌우 한 쌍의 자유롭게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토퍼 볼트(54a, 54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체(5)가 대차(2)에 대해 하강한계 위치까지 강하할 때, 그 강하 행정의 최종단계에서 수평 자세로 되어 있는 차륜 지지판(38)의 후단부(기판(47)의 후단부) 하측에 푸싱업 디바이스(52)의 좌우 한 쌍의 스토퍼 볼트(54a, 54b)가 당접하여, 그 후의 하강 한계 위치까지의 승강체(5)의 하강에 동반하여 수평 자세로 되어 있는 차륜 지지판(38)의 후단부가 상대적으로 푸싱업 디바이스(52)의 좌우 한 쌍의 스토퍼 볼트(54a, 54b)로 밀어 올려져서, 전단측의 수평축 롤러(51a, 51b)의 좌우 수평지축(49)을 지지점으로 하여 차륜 지지판(38)이 상방으로 경사 작동하고, 승강체(5)가 대차(2)에 대해 하강 한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도 2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륜 지지판(38)이 앞으로 숙인 경사 자세로 전환된다.

    또한, 리프팅 수단(41)은, 차륜 지지판(38)의 직전 위치에서 승강체(5) 상에 탑재되고, 앞뒤 한 쌍의 승강 가이드 로드(55)에 의해 승강 자유롭게 지지된 승강판(56)의 후단부 상에 푸셔(57)를 상향으로 돌출 마련하고, 상기 승강판(56)을 승강 구동하는 실린더 유닛 등의 액츄에이터(58)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56)이 하강 한계 위치에 위치할 때, 푸셔(57)는, 수평 자세의 차륜 지지판(38) 전단부(기판(47) 전단부)의 하측면의 하방에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자세전환수단(40)의 푸싱업 디바이스(52)에 의해 차륜 지지판(38)이 수평 자세에서 경사 자세로 전환되었을 때, 조금 하강하게 되는 차륜 지지판(38) 전단부(기판(47) 전단부)의 하측면과는 간섭하지 않지만, 이 상태에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58)를 작동시켜 승강판(56)을 상승시키고, 푸셔(57)를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차륜 지지판(38) 전단부(기판(47) 전단부)가 당해 푸셔(57)에 의해 밀어 올려져, 승강 로드(43a, 43b)와 기판(47) 사이의 연결지축인 좌우 수평지축(45)을 지지점으로 하여 차륜 지지판(38)이 경사 작동하고, 당해 차륜 지지판(38)의 전단부가 소정의 높이까지 올려진다. 이때, 차륜 지지판(38) 전단부측의 수평축 롤러(51a, 51b)는, 지지 기둥체(44a, 44b) 상단의 수평지지면(50)으로부터 떠올라, 차륜 지지판(38)의 경사각도가 완만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컨베이어 상으로의 차량 이재 장치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차(2)가 최대 후퇴위치(P1)(도 12 참조)에 위치함과 함께 승강체(5)가 최대 상승위치에 위치할 때, 앞측 차륜 지지수단(6)과 후측 차륜 지지수단(7)은, 슬랫 컨베이어(1) 상방의 소정 레벨의 차량 수취위치에 위치해 있게 된다. 이때, 앞측 차륜 지지수단(6)의 좌우 한 쌍의 차륜 지지수단(6A, 6B)에 있어서의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29a, 29b)은, 도 7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랫 컨베이어 유닛(1A, 1B)의 상방으로 좌우 횡향으로 돌출하는 닫음 자세로 되어 있고, 후측 차륜 지지수단(7)의 차륜 지지판(38)은, 지지수단(39)의 승강 로드(43a, 43b)가 하강 한계 위치에 위치하고, 수평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롤리 컨베이어의 행거(H)에 의해 차체(B)가 지지된 차량(C)을, 당해 행거(H)의 강하에 의해 승강체(5)에 대해 강하시키고, 슬랫 컨베이어(1)에 있어서의 반송방향 앞측에 위치하는 차륜, 도시의 예에서는 좌우 한 쌍의 전륜(Wf)을, 앞측 차륜 지지수단(6)의 좌우 한 쌍의 차륜 지지수단(6A, 6B)에 있어서의 앞뒤 한 쌍의 닫음 자세로 되어 있는 차륜 지지 아암(29a, 29b) 사이에 감합 재치함과 함께, 슬랫 컨베이어(1)에 있어서의 반송방향의 후측에 위치하는 차륜, 도시의 예에서는 좌우 한 쌍의 후륜(Wr)을 후측 차륜 지지수단(7)의 차륜 지지판(38) 상으로 재치한다. 이때의 차량(C)은 거의 수평 자세로 되어 있다.

    차량(C)이, 전륜(Wf)과 앞측 차륜 지지수단(6) 및 후륜(Wr)과 후측 차륜 지지수단(7)을 개재하여 승강체(5) 상에서 지지되면, 행거(H)를 조금 더 강하시킨 후 개방시키고 원래의 레벨까지 상승시킴과 함께 퇴출시켜, 다음 차량(C)의 반입에 대비할 수 있다. 물론, 차량 수취위치에 있는 앞측 차륜 지지수단(6)과 후측 차륜 지지수단(7)에 대한 차량(C)의 이재 방법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트롤리 컨베이어의 행거(H)를 차량(C)과 함께 강하시키지 않고, 행거(H)로부터 차량(C)을 건네받아 강하시키는 별도의 승강 반송 장치를 이용하여, 별도의 승강 반송 장치에 의해 강하되는 차량(C)을,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 수취위치에 있는 앞측 차륜 지지수단(6)과 후측 차륜 지지수단(7)에 이재하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

    차량 수취위치에 있는 앞측 차륜 지지수단(6)과 후측 차륜 지지수단(7)에 대한 차량(C)의 이재가 완료하면, 도 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차(2)를 승강체(5)와 함께 최대 전진위치(P2)까지 주행용 구동수단(13)에 의해 전진 이동시킴과 함께, 승강체(5)를 대차(2)에 대해 최대 상승위치에서 하강 한계 위치까지, 앞뒤 한 쌍의 승강 구동수단(17A, 17B)을 감속기를 구비하는 모터(26)로 가동시켜 강하시킨다. 상기 승강체(5)가 하강 한계 위치에 도달할 때에는, 자세전환수단(40)의 푸싱업 디바이스(52)에 의해 후측 차륜 지지수단(7)의 차륜 지지판(38)이 앞으로 숙이는 경사 자세로 자동으로 전환된다. 이때 차륜 지지판(38)은, 그 전단부가 강하하여 앞으로 숙여 경사지는 것이 아니고, 그 후단부가 밀어 올려져서 앞으로 숙여 경사지는 것이기 때문에, 차량(C)은 조금 후방이 상승하여 경사지고, 앞으로 숙여 경사지는 차륜 지지판(38) 상에서 지지되는 후륜(Wr)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차량(C)에는 전진 방향의 이동력이 작용하게 되지만, 그 힘은, 전륜(Wf)을 앞측 차륜 지지수단(6)의 좌우 한 쌍의 차륜 지지수단(6A, 6B)에 있어서의 닫음 자세의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29a, 29b)으로부터 전방으로 탈락시킬 정도로 크지 않고, 차량(C)은 안정적으로 앞측 차륜 지지수단(6)과 후측 차륜 지지수단(7)에 의해 지지된다.

    대차(2)가 최대 전진위치(P2)에 있음과 함께 승강체(5)가 하강 한계 위치까지 강하하였을 때, 앞측 차륜 지지수단(6)과 후측 차륜 지지수단(7)은, 슬랫 컨베이어(1)의 약간 상방의 소정 레벨의 차량 이재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즉, 앞측 차륜 지지수단(6)의 좌우 한 쌍의 차륜 지지수단(6A, 6B)에 있어서의 닫음 자세의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29a, 29b)은, 당해 닫음 자세의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29a, 29b) 사이에 감합되어 있는 전륜(Wf)이 슬랫 컨베이어(1)의 차륜 지지면에서 약간 떠오른 상태로 되어 있고, 그리고 앞으로 숙여 경사져 있는 후측 차륜 지지수단(7)의 차륜 지지판(38)은, 그 전단 변두리가 슬랫 컨베이어(1)의 차륜 지지면에서 약간 떠오른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슬랫 컨베이어(1)(슬랫 컨베이어 유닛(1A, 1B))의 차륜 지지면 상에는, 도 1∼도 4, 도 7, 및 도 12∼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방향의 적절히 간격을 둔 위치에서, 지지하는 차륜(전륜(Wf))이 전후 방향으로 구르지 않도록, 앞뒤 한 쌍의 차륜 위치 결정용 바(59a, 59b)가 돌출 마련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한군데의 차륜 위치 결정용 바(59a, 59b)가 후측 차륜 지지수단(7)의 차륜 지지판(38)의 하측을 전방으로 통과하여, 앞측 차륜 지지수단(6)으로 지지되어 있는 전륜(Wf)에 접근해 있을 때에, 앞측 차륜 지지수단(6)과 후측 차륜 지지수단(7)이 상기 차량 이재 위치에 도달하도록 제어하면 된다.

    그리고, 앞측 차륜 지지수단(6)으로 지지되어 있는 전륜(Wf)의 바로 아래에 슬랫 컨베이어(1) 상의 한군데의 차륜 위치 결정용 바(59a, 59b)가 도달하였을 때, 앞측 차륜 지지수단(6)의 좌우 한 쌍의 차륜 지지수단(6A, 6B)에 있어서의 닫음 자세의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29a, 29b)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수단(28)을 가동시켜, 도 7의 실선과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자세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당해 닫음 자세의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29a, 29b) 사이에 감합 지지되어 있었던 전륜(Wf)이 조금 낙하하여 슬랫 컨베이어(1)의 차륜 지지면 상에서, 앞뒤 한 쌍의 차륜 위치 결정용 바(59a, 59b) 사이의 위치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차량(C)은, 전륜(Wf)을 개재하여 슬랫 컨베이어(1)로부터 반송방향의 추진력을 받고, 슬랫 컨베이어(1)와 일체로 반송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지만, 이때 후륜(Wr)은, 후측 차륜 지지수단(7)의 앞으로 숙여 경사져 있는 차륜 지지판(38) 상을 경사 하방으로 구르므로, 차량(C)이 슬랫 컨베이어(1)와 일체로 반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C)이 완전히 슬랫 컨베이어(1) 상으로 이재되고, 당해 슬랫 컨베이어(1)에 의해 반송되기 시작하면, 후측 차륜 지지수단(7)의 앞으로 숙여 경사져 있는 차륜 지지판(38) 전단부를, 리프팅 수단(41)의 푸셔(57)에 의해 소정 레벨 즉, 슬랫 컨베이어(1) 상의 차륜 위치 결정용 바(59a, 59b)와 간섭하지 않는 높이까지 밀어 올린다. 이 상태에서 대차(2)를 전진 현위치(P2)로부터 원래의 최대 후퇴위치(P1)까지 후퇴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슬랫 컨베이어(1)에 의해 반송되기 시작한 차량(C)의 하측 영역으로부터, 앞측 차륜 지지수단(6)의 좌우 한 쌍의 차륜 지지수단(6A, 6B)에 있어서의 개방자세의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29a, 29b)이 후방으로 완전히 빠지지 않았기 때문에, 승강체(5)를 하강 한계 위치에 위치한 채로 대차(2)를 후퇴 이동시켜야만 하는 상황에 있어서, 후속 차륜 위치 결정용 바(59a, 59b)가 앞으로 숙여 경사져 있는 차륜 지지판(38)의 하측을 통과하게 되어도, 당해 차륜 위치 결정용 바(59a, 59b)와 차륜 지지판(38)이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승강체(5)가 하강 한계 위치에 위치할 때의 후측 차륜 지지수단(7)의 앞으로 숙여 경사져 있는 차륜 지지판(38) 전단부를 슬랫 컨베이어(1)의 차륜 지지면에 충분히 접근시켜, 당해 차륜 지지판(38) 상으로부터 후륜(Wr)을 슬랫 컨베이어(1) 상으로 이재하는 것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차(2)를 최대 후퇴위치(P1)까지 후퇴 이동시켰으면, 도 16의 가상선과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대차(2)에 대해 승강체(5)를 최대 상승위치까지 상승시킴과 함께, 앞측 차륜 지지수단(6)의 좌우 한 쌍의 차륜 지지수단(6A, 6B)에 있어서의 개방자세의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29a, 29b)을 다시 닫음 자세로 전환하고, 후측 차륜 지지수단(7)의 차륜 지지판(38)의 전단부를 밀어 올리고 있던 리프팅 수단(41)의 푸셔(57)를 대기 위치까지 하강시킨다. 대차(2)에 대한 승강체(5)의 상승에 의해, 자세전환수단(40)의 푸싱업 디바이스(52)로부터 차륜 지지판(38)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이격되는 것에 의해, 당해 차륜 지지판(38)은 자동으로 앞으로 숙인 경사 자세로부터 수평 자세로 복귀하게 되고, 다음 차량(C)의 수용 준비가 완료된다.

    또, 차량(C)을 건네받아 반송하는 컨베이어로서, 슬랫 컨베이어(1)를 예시하였지만, 차륜(Wf, Wr)을 개재하여 차량(C)을 지지하여 반송하는 형식의 것이면, 롤러 컨베이어 등, 다른 형식의 컨베이어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승강체(5)는, 상기 컨베이어의 좌우 양측에서 서로 동기하여 승강하는 좌우 한 쌍의 승강체로 구성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컨베이어의 한쪽 측에만 배치된 하나의 승강체이어도 좋다. 전자(前者)의 경우에는, 앞측 차륜 지지수단(6)을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차륜 지지수단(6A, 6B)을 좌우 한 쌍의 승강체로 나누어 배치하면 되고, 후측 차륜 지지수단(7)의 차륜 지지판(38)은, 좌우 한 쌍의 승강체에 걸쳐 가설(架設)된 하나의 차륜 지지판(38)으로 할 수도 있고, 좌우 한 쌍의 승강체로 나누어 배치한 좌우 한 쌍의 차륜 지지판(38)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대차(2)를 함께 사용하였지만, 이 대차(2)를 없애고 승강체(5)만으로 차량(C)을 수직으로 강하시켜 컨베이어(1) 상으로 이재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측 차륜 지지수단(7)의 차륜 지지판(38)의 전단부를 밀어 올리는 리프팅 수단(41)은, 컨베이어의 차륜 지지면 상에 차륜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차륜 위치 결정용 바(59a, 59b)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강하를 발휘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차륜 위치 결정용 바(59a, 59b)가 마련되어있지 않은 컨베이어와 조합하여 실시할 때에는, 리프팅 수단(41)은 생략할 수 있다. 물론, 차륜 위치 결정용 바(59a, 59b)가 마련되어 있는 컨베이어와 조합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도, 차륜 지지판(38) 전단부의 밀어올림 양은 얼마 되지 않기 때문에, 취급하는 차량(C)의 하측 공간의 높이(지상 높이)에도 따르지만, 차륜 위치 결정용 바(59a, 59b)와 앞으로 숙여 경사지는 차륜 지지판(38) 전단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높이까지, 승강체(5)를 상승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리프팅 수단(41)을 없애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차륜 지지판(38)의 후단부를 상승시켜 당해 차륜 지지판(38)을 앞으로 숙여 경사시키도록 구성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차륜 지지판(38)의 전단부를 하강시켜 당해 차륜 지지판(38)을 앞으로 숙여 경사시키도록 구성해도 좋고, 차륜 지지판(38)의 전단부를 하강시킴과 함께 후단부를 상승시켜 당해 차륜 지지판(38)을 앞으로 숙여 경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것이든, 차륜 지지판(38)을 앞으로 숙여 경사시키기 위하여, 당해 차륜 지지판(38)과 승강체(5) 사이에 개재하도록 마련한 실린더 유닛 등의 승강 구동용 액츄에이터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컨베이어(1) 상에서 반송하는 차량(C)의 방향이 앞뒤 반대로 될 때에는, 차량(C)의 후륜(Wr)을 앞측 차륜 지지수단(6)으로 지지하고, 차량(C)의 전륜(Wf)을 후측 차륜 지지수단(7)으로 지지하여 당해 컨베이어(1) 상으로 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승강체(5) 상의 전단(컨베이어(1)의 반송방향측의 단부)측에, 차륜 지지판(38)을 구비하는 차륜 지지수단(7)을 마련함과 함께, 승강체(5) 상의 후단측에,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29a, 29b)을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차륜 지지수단(6A, 6B)을 마련할 수 있다.

    1: 슬랫 컨베이어(Slat Conveyor)
    1A, 1B: 슬랫 컨베이어 유닛
    2: 대차(Dolly)
    3: 마운트
    4: 대차용 가이드 레일
    5: 승강체
    6: 앞측 차륜 지지수단
    6A, 6B: 차륜 지지수단
    7: 후측 차륜 지지수단
    13: 대차의 주행용 구동수단
    16, 26: 감속기를 구비하는 모터
    17A, 17B: 승강체의 승강 구동수단
    19: 승강 가이드 로드
    22: 랙 기어부
    24: 피니언 기어
    25: 연동축
    28: 구동수단
    29a, 29b: 앞뒤 한 쌍의 차륜 지지 아암(Arm)
    30a, 30b: 앞뒤 한 쌍의 수직회전축
    31a, 31b: 한 쌍의 기어
    32: 피조작 레버
    33: 캠 종동롤러
    34: 슬라이드 레일
    35: 전후 이동체
    36: 실린더 유닛
    37a, 37b: 캠 홈
    38: 차륜 지지판
    39: 지지수단
    40: 자세전환수단
    41: 리프팅 수단
    43a, 43b: 승강 로드
    44a, 44b: 지지 기둥체
    47: 기판
    50: 수평지지면
    51a, 51b: 수평축 롤러
    52: 푸싱업 디바이스
    54a, 54b: 스토퍼 볼트
    56: 승강판
    57: 푸셔
    58: 액츄에이터
    59a, 59b: 차륜 위치 결정용 바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