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

申请号 KR1020040030858 申请日 2004-05-01 公开(公告)号 KR100944405B1 公开(公告)日 2010-02-25
申请人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发明人 니시하라시게요시; 이바토시유키;
摘要 이동체의 본체측의 전후단에 피 안내장치를 연결하였다. 피 안내장치는 본체측으로부터의 종방향 축체의 하부측에 좌우방향 축을 통해서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였다. 종방향 축체에 좌우방향의 롤러 지지체를 연결하고, 롤러 지지체의 좌우방향의 단부에, 일정 경로 중의 소정 개소에 배치한 가이드체에 지지 안내되는 가이드 롤러를 설치하였다. 이동시에 종방향 축체에 연결한 롤러 지지체도 일체로 회동하고, 좌우 1쌍의 가이드 롤러를 지지하는 축의 축심을 일정 경로에 대해서 직교형상의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할 수 있고, 가이드 롤러를, 슬립(마찰저항)을 수반하는 일없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음으로써 커브 경로부에 있어서도 지지부측의 지지 안내를 항상 원활하게 행한다.
权利要求
  • 레일장치와, 이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어 일정 경로 상에서 이동가능한 이동체를 갖고, 이 이동체의 본체측에는 피반송물의 지지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전후단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는 피 안내장치가 연결된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로서,
    각 피 안내장치는 상기 본체측으로부터의 종방향 축체의 하부측에 좌우방향 축을 통해서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종방향 축체에는 좌우방향의 롤러 지지체가 연결되고, 이 롤러 지지체의 좌우방향의 단부에는 일정 경로 중의 소정 개소에 배치된 가이드체에 지지 안내되는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본체는 상기 종방향 축체를 통해서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3개이상의 프레임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본체측에는 각 프레임체의 전후단에 대응하여 피 안내장치가 연결되고, 적어도 중간부의 피 안내장치는 상기 종방향 축체의 하부측에 좌우방향 축을 통해서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
  • 제1항에 있어서, 일정 경로 중의 커브 경로부에 상기 가이드체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 안내장치는 상기 본체측에 연결되는 트롤리 본체를 갖고, 이 트롤리 본체에는 전후로 나누어져 각각, 상기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는 피 지지롤러와, 상기 레일장치에 안내되는 피 가이드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
  • 레일장치와, 이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어 일정 경로 상에서 이동가능한 이동체를 갖고, 이 이동체의 본체측에는 피반송물의 지지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전후단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는 피 안내장치가 연결된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로서,
    각 피 안내장치는 상기 본체측으로부터의 종방향 축체의 하부에 연결된 브래킷의 하위 두갈래부에 그 트롤리 본체가 끼워맞춰짐과 아울러 좌우방향 축을 통해서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트롤리 본체에는 상기 종방향 축체에 대해서 전후로 나누어져 각각 상기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는 좌우 1쌍의 피 지지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본체는 상기 종방향 축체를 통해서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3개이상의 프레임체에 의해 형성되고, 각 프레임체의 전후단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는 상기 피 안내장치가 연결되고, 적어도 중간부의 피 안내장치는 상기 종방향 축체의 하부에, 하위 두갈래부를 갖는 브래킷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축체의 하부에 연결되는 상기 피 안내장치의 트롤리 본체에는 상기 종방향 축체에 대해서 전후로 나누어져 각각 레일장치에 안내되는 피 가이드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
  • 레일장치와, 이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어 일정 경로 상에서 이동가능한 이동체를 갖고, 이 이동체의 본체측에는 피반송물의 지지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전후단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는 피 안내장치가 연결된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로서,
    상기 이동체의 본체는 종방향 축체를 통해서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3개이상의 프레임체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각 프레임체의 전후단에 대응하여 상기 피 안내장치가 연결되고, 이들 피 안내장치 중, 중간부 피 안내장치는 상기 본체측에 연결되는 트롤리 본체를 갖고, 이 트롤리 본체에는 전후로 나누어져 각각, 상기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는 피 지지롤러와, 상기 레일장치에 안내되는 피가이드 롤러가 설치되고, 단부 피 안내장치는 상기 본체측에 연결되는 상기 트롤리 본체를 갖고, 이 트롤리 본체에는 상기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는 상기 피 지지롤러가 전후방향의 1개소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레일장치에 안내되는 상기 피 가이드롤러가 상기 피 지지롤러에 대해서 전후로 나누어져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축체의 하부측에는 상기 중간부 피 안내장치의 트롤리 본체가 좌우방향 축을 통해서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종방향 축체에 대해서 전후로 나누어져, 각각 상기 피 지지롤러와 피 가이드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종방향 축체의 상부 사이에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
  • 제8항에 있어서, 전후부에 위치되는 상기 프레임체는 좌우방향 핀을 통해서 상하방향으로 굴곡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그 유단 부분에는 종방향 핀을 통해서 상기 단부 피 안내장치의 트롤리 본체가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
  • 제10항에 있어서, 일정 경로 중의 승강 경로부에 있어서의 승강 경사각도는 전후의 상기 단부 피 안내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피 지지롤러 간의 거리가 길수록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
  • 제1항, 제5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축체의 상부 사이에 상기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
  • 제1항, 제5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측에는 수동체가 설치되고, 일정 경로 중의 별도의 소정 개소에는 상기 수동체에 전동체를 맞물림 작용하여 상기 이동체에 이동력을 부여하는 무단회동식 이송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
  • 제1항, 제5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측에는 횡방향 수동면이 형성되고, 일정 경로 중의 소정 개소에는 상기 횡방향 수동면에 접촉 회전 작용하여 상기 이동체에 이동력을 부여하는 마찰식 이송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
  • 说明书全文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CONVEYANCE FACILITIES USING MOVABLE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고,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요부의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요부의 평면도이고, (a)는 일부 절결 평면도, (b)는 횡단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무단 회동식 이송장치부분에서의 요부의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무단 회동식 이송장치부분에서의 요부의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요부의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마찰식 이송장치부분에서의 요부의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마찰식 이송장치부분에서의 요부의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일정 경로 부분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좌우의 커브 경로부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승강 경로부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승강 경로부를 도시하고, (a)는 진입 개시시의 요부의 측면도, (b)는 진입 중간 시의 요부의 측면도, (c)는 진입 종료시의 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고,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요부의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요부의 평면도이고, (a)는 일부 절결 평면도, (b)는 횡단 평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무단 회동식 이송장치부분에서의 요부의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무단 회동식 이송장치부분에서의 요부의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요부의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좌우의 커브 경로부에서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루 5 … 일정 경로

    5a … 직선상 경로 5b … 커브 경로부

    6 … 가이드 레일 7 … 커버체

    9 … 건조로 10 … 기기 프레임

    11 … 레일장치 12 … 레일

    12a … 가이드부 20 … 이동체

    21 … 본체 22,23,24 … 프레임체

    22A,23A,24A … 사각 통형상부재 22B,23B,24B … 앞끝 부재

    22C,23C,24C … 뒤끝 부재 27 … 종방향 축체

    27a … 상위 축부 27b … 대경 축부

    27c … 중간 축부 27d … 하위 축부

    30,50 … 피 안내장치 31 … 트롤리(trolley) 본체

    32 … 횡방향 핀 34 … 종방향 핀

    35 … 가이드 롤러 36 … 수동체(受動體)

    36a … 수동면(受動面) 36b … 수용면

    36c,38c … 스토퍼면 38 … 타력주행(coasting) 방지체

    38a … 타력주행 방지면 38d … 캠면

    40 … 브래킷

    본 발명은 레일장치와, 이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어 일정 경로 상에서 이동가능한 이동체를 갖고, 이 이동체의 본체측에는 피반송물의 지지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전후단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는 피 안내장치가 연결된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반송설비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7-25441호 공보에 보여지는 구성이 제공되고 있다. 즉, 레일에 지지 안내되어 일정 경로 상을 이동가능한 이동체(가동체)의 본체는 연결장치를 통해서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3개의 프레임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체는 일정 경로의 방향으로 긴 사각형상체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 측면이 수동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의 프레임체에는 피반송물 지지부와, 레일에 지지 안내되는 피 안내장치가 설치되고, 또한, 전후단의 양 프레임체에는 레일에 지지 안내되는 피 안내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에 전체(4개의) 피 안내장치는 대응하는 프레임체에 설치한 끝 프레임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상하방향 핀과, 이 상하방향 핀의 하단에 좌우방향 핀을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트롤리 본체와, 이 트롤리 본체의 양측에 각각 전후 1쌍으로 설치된 합계 4개의 피 지지롤러, 및 트롤리 본체의 상하에 각각 전후 1쌍으로 설치된 합계 4개의 피 가이드롤러에 의해 트롤리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피반송물 지지부의 하부에 유전륜(遊轉輪)이 설치됨과 아울러 이들 유 전륜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1쌍의 가이드 레일이 일정 경로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상기 레일은 채널형상이며, 그 개방부를 서로 대향시켜 좌우 1쌍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들 레일의 개방부측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부의 피 가이드롤러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체가 고정되고, 또한, 하부 가장자리에는 하부의 피 가이드롤러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체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형식에 의하면 이동체는 각 피 안내장치의 피 지지롤러군이 레일에 지지 안내되고, 또한, 피 가이드롤러군이 가이드 프레임체에 안내됨으로써 일정 경로 상에서 이동된다. 또한, 유전륜이 가이드 레일에 지지 안내됨으로써 피반송물 지지부측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구성에 의하면 유전륜군은 피반송물 지지부에 대해서 일정한 자세(방향)로서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평면으로 바라봐서 좌우방향으로의 커브경로에 있어서는 좌우의 유전륜을 연결하는 축심이 커브 반경에 대해서 평행한 상태로 향하고 있고, 즉, 유전륜군은 가이드 레일의 커브 궤적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유전륜군은 슬립(마찰저항)을 수반하는 마찰회전이 되고, 이로써 복수 개소에서의 마찰회전에 의해 이동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피반송물 지지부는 가이드 레일에 대해서 걸림상태, 덜컹거리는 상태로 지지 안내되는 경우도 있고, 또한, 커브 경로에 있어서의 이동체의 이동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커브 경로에 있어서의 가이드 레일의 구성, 배치(배열)는 직선상 경로와는 다른 것으로 되므로 커브 경로에 있어서의 가이드 레일의 배치는 복잡하고 고가로 된다.

    또한, 상기 종래 구성에 의하면 피 안내장치는 하중을 받고 있는 상하방향 핀의 하단을 트롤리 본체 중에 삽입하여 연결하고 있는 것이므로 그 연결부분이 덜컹거림이 발생하기 쉬운 구성으로 된다. 따라서, 특히, 피반송물로서 대형(폭이 넓거나 키가 큰)이며 편하중의 것을 반송할 때, 피반송물 지지부, 즉, 피반송물의 경사가 크게 되어 반송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우려도 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큰 부하를 수용할 수 있는 견고하고 또한 고가의 대형 피 안내장치를 채용해야만 하고, 그만큼 피 안내장치가 고가로, 즉, 전체가 고가로 된다.

    또한, 상기 종래 구성에 의하면 부품의 공통화를 목적으로 하여 모든 피안내장치를 동일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 경우, 큰 부하를 수용할 수 있는 견고하고 또한 고가의 중간 피 안내장치와 동일한 구성의 것을, 부하가 작은 전후단의 피 안내장치에 채용함으로써 전체가 고가로 된다. 또한, 피 안내장치는 전후 1쌍의 피 가이드롤러가 가이드 롤러체에 안내되는 것이므로 평면으로 바라봐서 좌우방향으로의 커브 경로에 있어서는 프레임체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상하방향 핀의 둘레에 상대 회전하고 있다. 이 때에 특히, 단부의 피 안내장치에 있어서의 합계 4개의 피 지지롤러의 전체에서는 상하방향 핀의 부분에 있어서의 커브의 접선에 대해서 평행한 상태로 향하고 있고, 즉, 프레임체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피 지지롤러군은 슬립(마찰저항)을 수반하는 마찰회전이 되고, 이로써, 4개소에서의 마찰회전에 의해서 이동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피 안내장치는 레일에 대해서 걸림 상태, 덜컹대는 상태로 안내되는 경우도 있고, 또한, 커브 경로에 있어서의 이동체의 이동은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는 경우 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브 경로에 있어서도 이동체의 이동을 항상 원활하게 행하는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경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반송물의 지지부의 경사를 감소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커브 경로부에 있어서도 지지부측의 지지 안내를 항상 원활하게 행하고, 또한, 가이드 레일의 배치 등을 포함하여 전체를 간단하고 또한 값싸게 구성할 수 있는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는 레일장치와, 이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어 일정 경로 상에서 이동가능한 이동체를 갖고, 이 이동체의 본체측에는 피반송물의 지지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전후단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는 피 안내장치가 연결된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로서, 각 피 안내장치는 상기 본체측으로부터의 종방향 축체의 하부측에 좌우방향 축을 통해서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종방향 축체에는 좌우방향의 롤러 지지체가 연결되고, 이 롤러 지지체의 좌우방향의 단부에는 일정 경로 중의 소정 개소에 배치된 가이드체에 지지 안내되는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이동체에 이동력을 부여한 이동에 있어서 각 피 안내장치를, 각 피 지지롤러를 통해서 레일장치로 지지 안내할 수 있고, 이 때, 지지부측의 하중(큰 부하)을, 피 지지롤러를 나누어서 설치한 견고한 구성의 피 안내장치에 의해서 항상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의 이동은 좌우방향으로의 커브 경로부에서도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고, 이 때에 피 안내장치가 종방향 축체와 함께 회동함으로써 레일장치의 좌우방향의 커브를 따라 방향을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이로써, 커버 경로부에서의 이동체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일정 경로 중에, 상하방향으로의 커브 경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종방향 축체측에 대해서 피 안내장치가 좌우방향 축의 둘레에 상대 회동하는 것이므로 레일장치의 상하방향의 커브를 따라 방향을 자동적으로 변경하면서 항상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시에, 종방향 축체에 연결한 롤러 지지체도 일체로 회동하게 되어 좌우 1쌍의 가이드 롤러를 지지하는 축의 축심을 일정 경로에 대해서 직교상의 방향을 따른(합치시킨) 방향으로 할 수 있음으로써 가이드 롤러를, 슬립(마찰저항)을 수반하는 일없이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롤러 지지체를 가이드체에 대해서 걸리는 일없고 덜컹거리는 일없이 지지 안내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피반송물을 지지하고 있는 이동체의 이동을 항상 안정하게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일정 경로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의 가이드체의 구성, 배치(배열)를 전체 길이에 걸쳐 마찬가지로 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체를 간단하고 또한 값싸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는 레일장치와, 이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어 일정 경로 상에서 이동가능한 이동체 를 갖고, 이 이동체의 본체측에는 피반송물의 지지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전후단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는 피 안내장치가 연결된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로서, 각 피 안내장치는 상기 본체측으로부터의 종방향 축체의 하부에 연결된 브래킷의 하위 두갈래부에 그 트롤리 본체가 끼워맞춰짐과 아울러 좌우방향 축을 통해서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트롤리 본체에는 상기 종방향 축체에 대해서 전후로 나누어져 각각 상기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는 좌우 1쌍의 피 지지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이동체에 이동력을 부여한 이동은 레일장치의 좌우방향의 커브를 따라 방향을 자동적으로 변경하여 원활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레일장치의 상하방향의 커브를 따라 방향을 자동적으로 변경하면서 항상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시에, 피 안내장치의 트롤리 본체가 종방향 축체에 연결한 브래킷의 하위 두갈래부에, 좌우방향 축을 통해서 상대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 연결부분에 덜컹거림이 발생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가령, 피반송물로서 대형(폭이 넓거나 키가 높은)으로 편하중의 것을 반송할 때에도 지지부, 즉, 피반송물의 경사를 감소(작게)시킬 수 있고, 반송을 안정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지부로 지지한 피반송물에 대한 각종 작업이나, 지지부에 대한 피반송물의 쌓기 및 내리기를 항상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하위 두갈래부에 트롤리 본체를 끼워맞추는 피 안내장치는 소형이고 또한 값싸게 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값싸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 는 레일장치와, 이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어 일정 경로 상에서 이동가능한 이동체를 갖고, 이 이동체의 본체측에는 피반송물의 지지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전후단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는 피 안내장치가 연결된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설비로서, 상기 이동체의 본체는 종방향 축체를 통해서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3개이상의 프레임체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각 프레임체의 전후단에 대응하여 상기 피 안내장치가 연결되고, 이들 피 안내장치 중, 중간부 피 안내장치는 상기 본체측에 연결되는 트롤리 본체를 갖고, 이 트롤리 본체에는 전후로 나누어져 각각, 상기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는 피 지지롤러와, 상기 레일장치에 안내되는 피가이드 롤러가 설치되고, 단부 피 안내장치는 상기 본체측에 연결되는 상기 트롤리 본체를 갖고, 이 트롤리 본체에는 상기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는 상기 피 지지롤러가 전후방향의 1개소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레일장치에 안내되는 상기 피 가이드롤러가 상기 피 지지롤러에 대해서 전후로 나누어져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이동체에 이동력을 부여한 이동시에 각 피 안내장치를, 각 피 지지롤러를 통해서 레일장치에서 지지 안내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각 피 가이드롤러를 통해서 레일장치에서 안내할 수 있음으로써 이동체의 이동은 덜컹거리거나 가로로 기우는 일없이 안정하게 행할 수 있고, 이로써, 지지부로 지지한 피반송물에 대한 각종 작업이나, 지지부에 대한 피반송물의 쌓기 및 내리기를, 항상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측의 하중(큰 부하)을, 피 지지롤러를 나누어서 설치한 견고한 구성의 중간부 피 안내장치에 의해서 항상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피 지지롤러를 1개소에 설치한 간단한 구성의 단부 피 안내장치에 의해서 이동체의 소정의 전체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값싸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의 이동은 좌우방향으로의 커브 경로부에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행할 수 있고, 이 때에 각 프레임체는 종방향 축체를 통해서 좌우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굴절한 자세로 이동할 수 있고, 이로써 프레임체군에 의해 본체를 길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면서 커브 경로부에서의 이동체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브 경로부에서의 이동시에 있어서 단부 피 안내장치의 전후 1쌍의 피 가이드롤러를 레일장치에 의해 안내할 때에 전후의 피 가이드롤러 사이의 1개소에 설치한 피 지지롤러는 프레임체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향하고 있고, 따라서, 슬립(마찰저항)을 수반하는 마찰회전이 된다. 그러나, 마찰회전은 전후의 1개소이므로 그다지 영향이 없는 것으로 할 수 있고, 따라서, 단부 피 안내장치를, 레일장치에 대해서 걸리는 일없이 덜컹거림이 없이 지지 안내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커브 경로부에 있어서의 이동체의 이동을 항상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마루측 주행형식으로 채용한 상태로 하여, 도 1~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도 5, 도 8, 도 9에 있어서 마루(1)측으로부터의 기기 프레임(10)의 상부에 레일장치(11)가 배치되어 있다. 이 레일장치(11)는 채널형상의 레일(12)을, 그 개방부를 서로 대향하여 좌우 1쌍으로 배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들 레일 (12)의 개방부측의 상부 가장자리부에는 그 내부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굽힘 성형함으로써 가이드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장치(11)에 의해 일정 경로 (5)를 형성하는 것이고, 여기서, 일정 경로(5)는 평면으로 바라봐서, 예컨대, 평행한 1쌍의 직선상 경로부(5a)와, 이들 직선상 경로부(5a)의 시종단(始終端) 사이를 접속한 좌우방향으로의 커브 경로부(5b)에 의해 무단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장치(11)에 지지 안내되어 일정 경로(5) 상을 이동가능한 이동체 (20)가 설치된다. 이 이동체(20)의 본체(21)는 종방향 축체(후술한다.)를 통해서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3개(3개이상)의 프레임체(22,23,2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프레임체(22,23,24)는 일정 경로(5)의 방향으로 긴 사각 통형상부재(사각 봉형상부재)(22A,23A,24A)와, 이들 사각 통형상부재(22A,23A,24A)의 앞끝에 연결된 앞끝 부재(22B,23B,24B)와, 뒤끝에 연결된 뒤끝 부재(22C,23C,24C)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적어도 일측면, 즉, 예컨대, 무단상의 일정 경로(5)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한 측면이 전체 길이 또는 대부분에 걸쳐 가로방향의 수동면 (25)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에 전방부 프레임체(22)는 사각 통형상부재(22A)에 대해서 앞끝 부재 (22B)가 일체화됨과 아울러 뒤끝 부재(22C)는 좌우방향 핀(22D)을 통해서 상하방향으로 굴곡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 프레임체(23)는 사각 통형상부재 (23A)에 대해서 앞끝 부재(23B)와 뒤끝 부재(23C)가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후방부 프레임체(24)는 사각 통형상부재(24A)에 대해서 앞끝 부재(24B)가 좌우방향 핀 (24D)을 통해서 상하방향으로 굴곡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뒤끝 부재(24C)가 일체화되어 있다.

    전방부 프레임체(22)와 중간부 프레임체(23) 사이, 및 중간부 프레임체(23)와 후방부 프레임체(24) 사이가 각각 종방향 축체(27)를 통해서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종방향 축체(27)는 상위 축부(27a)와, 이 상위 축부(27a)의 하단에 연이어지는 대경 축부(27b)와, 이 대경 축부(27b)의 하단에 연이어지는 중간 축부(27c)와, 이 중간 축부(27c)의 하단에 연이어지는 소경의 하위 축부(27d)를 갖고서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종방향 축체(27)는 전방부 프레임체(22)의 뒤끝 부재(22C)와 중간부 프레임체(23)의 앞끝 부재(23B) 사이, 및 중간부 프레임체(23)의 뒤끝 부재(23C)와 후방부 프레임체(24)의 앞끝 부재(24B) 사이를 각각 중간 축부(27c)를 통해서 좌우방향으로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체(20)는 복수의 피 안내장치(30,50)를 통해서 레일장치(11)에 지지 안내되는 것이므로 일정 경로(5) 상을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에 각 피 안내장치(30,50)는 트롤리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전후 1쌍의 중간부 피 안내장치(30)에 있어서의 트롤리 본체(31)의 상하 중간위치에는 전후 1쌍의 횡방향 핀(32)이 관통하여 고정되고, 이들 횡방향 핀(32)의 양 돌출부분에, 상기 레일장치(11)에 있어서의 레일(12)에 끼워맞춰서 지지 안내되는 피 지지롤러(33)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트롤리 본체(31)의 상부에는 전후 1쌍의 종방향 핀(34)이 고정되고, 이들 종방향 핀(34)의 상단부분에, 상기 레일(12)의 가이드부(12a)에 대향하여 안내되는 피 가이드롤러 (35)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참조부호 31~35 등에 의해 중간부 피 안내장치(30)의 일예가 구성된다.

    상기 트롤리 본체(31)의 전후방향의 중앙부분에는 브래킷(40)의 하위 두갈래부(40a)가 외부 삽입되고, 또한, 하위 두갈래부(40a)로부터 트롤리 본체(31)를 걸쳐 좌우방향 축(41)이 삽입 통과되는 것이므로 트롤리 본체(31)와 브래킷(40)은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40)의 상위 통형상부(40b)는 상하에서 개방된 관통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40)에 형성된 관통부(42)에 상기 종방향 축체(27)의 하위 축부 (27d)가 끼워맞춰지고, 또한, 브래킷(40)의 상위 통형상부(40b)로부터 하위 축부 (27d)에 걸쳐 좌우방향 핀(43)이 삽입 통과되어 있음으로써 중간부 피 안내장치 (30)의 트롤리 본체(31)는 종방향 축체(27)의 하위 축부(27d)에 연결한 브래킷(40)의 하위 두갈래부(40a)에 좌우방향 축(41)을 통해서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종방향 축체(27)에 대해서 전후로 나누어져 각각 좌우 1쌍의 피 지지롤러(33)와 피 가이드롤러(35)가 설치되게 된다.

    상기 이동체(20)측에는 수동체(3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전위(1개소이상)의 중간부 피 안내장치(30)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본체(31)의 하방 앞부에는 가로 핀 (37)을 통해서 수동체(36)가 상하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수동체(36)에는 하부에서 후방으로 향하는 수동면(36a)과, 중간부에서 상하로 향하는 수용면(36b)과, 상부에서 후방으로 향하는 스토퍼면(36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토퍼면 (36c)이 트롤리 본체(31)측에 접촉되었을 때, 수동면(36a)은 수직상의 수동자세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트롤리 본체(31)의 하부 또한 후부에는 가로 핀(39)을 통해서 타력주행 방지체(38)가 상하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타력주행 방지체(38)에는 하부에서 전방으로 향하는 타력주행 방지면(38a)과, 중간부에서 하방으로 향하는 접촉면(38b)과, 상부에서 전방으로 향하는 스토퍼면(38c)과, 하방 또한 후방으로 향하는 캠면(38d)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토퍼면(38c)이 트롤리 본체(31)측에 접촉되었을 때, 타력주행 방지면(38a)은 수직상의 수동면(36a)에 대향됨과 아울러 접촉면(38b)이 수용면(36b)에 상방으로부터 접촉되는 자세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후 1쌍의 단부 피 안내장치(50)에 있어서의 트롤리 본체(51)의 하부 위치에서 전후방향의 1개소(중앙 개소)에 횡방향 핀(52)이 관통하여 고정되고, 이 횡방향 핀(52)의 양 돌출부분에, 상기 레일장치(11)에 있어서의 레일(12)에 끼워맞춰서 지지 안내되는 피 지지롤러(53)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트롤리 본체(51)의 하부에는 전후 1쌍의 종방향 핀(54)이 고정되고, 이들 종방향 핀(54)의 하단부분에, 상기 레일(12)의 가이드부(12a)에 대향하여 안내되는 피 가이드롤러(55)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참조부호 51~55 등에 의해 단부 피 안내장치(50)의 일예가 구성된다.

    상기 트롤리 본체(51)의 내부 끝부분은 전방부 프레임체(22)의 앞끝 부재[유단(遊端) 부분](22B)나 후방부 프레임체(24)의 뒤끝 부재(유단 부분)(24C)에 대해 서 종방향 핀(58)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단부 피 안내장치(50)는 본체(21)측에 연결되는 트롤리 본체(51)를 갖고, 이 트롤리 본체(51)에는 레일장치(11)에 지지 안내되는 피 지지롤러(53)가 전후방향의 1개소에 설치됨과 아울러 레일장치(11)에 안내되는 피 가이드롤러(55)가 상기 피 지지롤러(53)에 대해서 전후로 나누어져 설치되게 된다. 이 경우에 단부 피 안내장치 (50)에 있어서의 트롤리 본체(51)의 측면에도 본체(21)측에 연속되는 상태로 수동면(25)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체(10)의 본체(21)측에는 피반송물(W)의 지지부(6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전방부 프레임체(22)와 중간부 프레임체(23) 사이, 및 중간부 프레임체 (23)와 후방부 프레임체(24) 사이를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전후 1쌍의 종방향 축체(27)의 상부 사이에 지지부(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60)는 종방향 축체(27)의 상위 축부(27a)에 외부 삽입된 회전체(61)와, 이 회전체(61)에 고정된 브래킷(62)과, 각 브래킷체(62)측에 설치된 피반송물(W)의 지지부재(63)와, 전후의 브래킷체(62) 사이에 설치된 좌우 1쌍의 전후 부재(6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후의 지지부재(63)에 대해서는 폭이 넓은 지지부재(65)가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참조부호 61~65 등에 의해 지지부(60)의 일예가 구성된다.

    상기 종방향 축체(27)의 부분에는 유전륜(가이드롤러)(66)이 설치되어 있다. 즉, 회전체(61)의 하면에 접촉되어 상위 축부(27a)에는 통형상 부재(67)가 승강만 가능하게(일체 회동가능하게) 외부 삽입되고, 이 통형상 부재(67)에는 좌우방향의 롤러 지지체(68)가 연결되어 있다. 이들 롤러 지지체(68)는 테두리체 형상이고, 그 좌우방향의 단부에서 또한 전후방향 중간으로부터는 좌우 외방으로 축(69)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이들 축(69)에 상기 유전륜(6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전륜 (66)을 하방으로부터 지지 안내하는 1쌍의 가이드 레일(가이드체의 일예)(6)이, 상기 일정 경로(5) 중의 소정 개소, 즉, 직선상 경로부(5a)나 커브 경로부(5b)의 소정 개소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6)은 일정 경로(5)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하여도 좋고, 또한, 주로 피반송물(W)을 지지하여 작업을 행하는 원하는 개소에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6)의 부분에는 커버체(7)가 설치되어 있고, 여기서, 커버체(가이드체의 별예)(7)에 의해 유전륜(66)을 하방으로부터 지지 안내하는 형식이어도 좋다. 또한, 유전륜(66)은 도 3에 도시되는 4륜형식 외에 1륜형식, 캔틸레버형상의 2륜형식, 3륜형식, 4륜이상의 복수륜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 일정 경로(5)에 있어서, 예컨대, 한쪽의 직선상 경로부(5a)는 피반송물 (W)의 건조로(처리부의 일예)(9)에 관통되어 있다. 또한, 이 건조로(9)에 대응하여 상기 수동체(36)에 전동체를 맞물림 작용하여 상기 이동체(20)에 이동력을 부여하는 무단 회동식 이송장치(70)가 설치되어 있다.

    즉, 무단 회동식 이송장치(70)는 건조로(9)의 출구부분에 설치된 구동 톱니바퀴(71)와, 건조로(9)의 입구부분 등에 설치된 종동 톱니바퀴(72)군과, 구동 톱니바퀴(71)에 연동된 구동장치(73)와, 양 톱니바퀴(71,72) 사이에 감겨진 체인(74) 등에 의해 그 일예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체인(74)은 1쌍의 상하 링크체(75)군과 1쌍의 좌우 링크체(76)군을, 체인 핀체(77)에 의해 교대로 연결함으로써 무단상 으로 구성되고, 또한, 체인 핀체(77)에 의한 연결은 상하 및 좌우로 상대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1쌍의 상하 링크체(75) 사이에는 세로 핀(78)을 통해서 가로 가이드 롤러(79)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1쌍의 좌우 링크체(76)의 외측에는 가로 핀(80)을 통해서 상하 가이드 롤러(81)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적소의 좌우 링크체(76) 사이에는 상기 수동체(36)에 맞물림 가능한 전동체(82)가 설치되고, 여기서 전동체(82)는 상위의 경로부분에 있어서의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위의 경로부분에서 이동되는 체인(74)을 지지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레일장치(11)의 하방에는 체인 가이드장치(14)가 설치되어 있다. 즉, 체인 가이드장치(14)는 기기 프레임(10)의 하부에 채널형상의 레일(15)을, 그 개방부를 서로 대향하여 좌우 1쌍으로 배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14, 15, 71~82 등에 의해 무단 회동식 이송장치(70)의 일예가 구성된다.

    상기 일정 경로(5) 중의 소정 경로부분에는 상기 수동면(25)에 접촉 회전 작용하여 이동체(20)에 이동력을 부여하는 마찰식 이송장치(9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마찰식 이송장치(90)는 회전 구동부의 일예인 감속기가 부착된 유도모터(91)와, 이 유도모터(91)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취출한 출력축에 설치된 이송 롤러(92)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송 롤러(92)는, 예컨대, 외주 부분이 우레탄제로 되어 있다. 이상의 참조부호 91, 92 등에 의해 마찰식 이송장치(90)의 일예가 구성된다.

    상기 마찰식 이송장치(90)는 구동 회전되는 이송 롤러(92)를 수동면(25)에 접촉 작용시킴으로써 이동체(20)에 이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때에 마찰식 이송장치(90)는 정치식(定置式)이어도 좋고, 보다 충분한 접촉력을 얻기 위해, 예컨대, 압축스프링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이송 롤러(92)를 수동면(25)에 대해서 접촉 가압할 수 있는 형식이어도 좋다. 또한, 마찰식 이송장치(90)는 일정 경로(5) 중의 소정 경로부분에 소정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고, 이 때에 배치 피치(P)는 이동체(20)의 전체 길이(L)에 대해서 짧게, 즉, P〈L로 설정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일정 경로(5) 중에는 승강 경로부(상승 경로부나 하강 경로부)(5c)가 필요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승강 경로부 (5c)에 있어서의 승강 경사각도(θ)는 전후의 단부 피 안내장치(50)에 있어서의 피 지지롤러(53) 사이의 거리(Lα)가 길수록 작게 설정되어 있다.

    즉,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피 지지롤러(53) 사이의 거리(Lα)가 「4200」일 때에 승강 경사각도(θ)는 「30°」의 전후까지 설정가능하고, 또한, 피 지지롤러(53) 사이의 거리(Lα)가 「5200」일 때에 승강 경사각도(θ)는 「15°」에서 「20°」의 부근까지 설정가능하다.

    피 지지롤러(53) 사이의 거리(Lα) 각도(θ)
    15° 20° 30°
    4200
    4450
    4700 × ×
    4950 × ×
    5200 × ×

    이하에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의 가상선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정 경로(5) 중에서 건조로 (9)의 부분을 제외한 소정 경로부분에서는 수동면(25)에 접촉하고 있는 이송 롤러 (92)를 유도모터(91)에 의해 구동 회전시킴으로써 마찰식 이송장치(90)에 의해 이동체(20)에 이동력(주행력)을 부여하게 되어 이 이동체(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마찰식 이송장치(90)에 의한 이동체(20)의 이동은 상기 이송 롤러(92)를 단부 피 안내장치(50)의 수동면(25), 전방부 프레임체(22)의 수동면(25), 중간부 프레임체(23)의 수동면(25), 후방부 프레임체(24)의 수동면(25), 및 단부 피 안내장치 (50)의 수동면(25)으로 순차 작용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 때에 이송 롤러(92)가 전방부 프레임체(22)측에 작용하고 있을 때, 중간부 프레임체(23)나 후방부 프레임체(24) 등은 종방향 축체(27)를 통해 끌어들여져 이동되고, 또한, 중간부 프레임체(23)에 작용하고 있을 때, 전방부 프레임체(22)측은 종방향 축체(27)를 통해서 눌려 이동됨과 아울러 후방부 프레임체(24)측은 종방향 축체(27)를 통해 끌어들여져 이동되고, 또한, 후방부 프레임체(24)측에 작용하고 있을 때, 중간부 프레임체(23)와 전방부 프레임체(22)측은 종방향 축체(27)를 통해 눌려 이동되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주행)시에 각 피 안내장치(30,50)는 각 피 지지롤러(33,53)를 통해서 레일장치(11)의 양 레일(12)에 지지 안내되고, 또한, 각 피 가이드롤러 (35,55)가 가이드부(12a)에 접촉하여 안내된다. 이 때에 중간부 피 안내장치(30)의 트롤리 본체(31)가, 종방향 축체(27)의 하위 축부(27d)에 연결한 브래킷(40)의 하위 두갈래부(40a)에 좌우방향 축(41)을 통해서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그 연결부분에 덜컹거림이 발생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된다.

    따라서, 가령 피반송물(W)로서 대형(폭이 넓거나 키가 높은)이고 편하중의 것을 반송할 때에도 지지부(60), 즉 피반송물(W)의 경사를 감소(작게)시킬 수 있고, 반송을 안정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피반송물(W)에 대한 각종 작업이나 피반송물(W)의 쌓기 및 내리기는 항상 정확하게 행해진다. 또한, 하위 두갈래부(40a)에 트롤리 본체(31)를 끼워맞추는 중간부 피 안내장치(30)는 소형이고 또한 값싸게 되므로 전체를 값싸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20)의 이동은 마찰식 이송장치(90)의 배치 피치(P)를 두고 간헐적으로 행해지고, 이 때에 아래쪽의 마찰식 이송장치(90)의 부분이 빈 상태일 때에 간헐적으로 이송이 행해지도록 적절한 검출수단 등에 의한 검출에 기초하여 자동제어되고 있다. 또한, 마찰식 이송장치(90)의 위치에 있어서 이송 롤러(92)의 비회전에 의해 이동체(20)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적절한 위치결정수단에 의해서 위치결정을 행한 상태에서 마루(1) 상의 작업자나 본체(21) 상에 이동한 작업자가 지지부 (60)에 지지되어 있는 피반송물(W)에 대해서 각종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체(20)의 이동은 좌우방향에서의 커브 경로부(5b)에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행해진다. 이 때에 커브 경로부(5b)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프레임체(22,23,24)는 종방향 축체(27)를 통해서 좌우방향에서 상대적으로 굴절한 자세로 이동된다. 또한, 단부 피 안내장치(50)는 종방향 핀(58)을 통해서 전후의 프레임체(22,24)에 대해서 좌우방향에서 상대적으로 굴절한 자세로 이동되게 된다.

    이와 같은 커브 경로부(5b)에서의 이동시에 있어서 중간부 피 안내장치(30) 는,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피 지지롤러(33)를 통해서 레일장치(11)의 양 레일(12)에 지지 안내되고, 또한, 각 피 가이드롤러(35)가 가이드부(12a)에 접촉하여 안내됨으로써 본체(21)측에 대해서 종방향 축체(27)와 함께 회동한다. 이로써, 중간부 피 안내장치(30)는 레일(12)에 대해서 걸리는 일이 없고 덜컹거림이 없이 지지 안내되게 되고, 이로써 커브 경로부(5b)에 있어서의 이동체(20)의 이동을 항상 원활하게 행하게 된다.

    이 때, 도 10에 가상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방향 축체(27)에 연결된 롤러 지지체(68)도 일체로 회동하게 되어 유전륜(66)을 지지하는 축(69)의 축심을 커브 반경방향을 따른(합치시킨) 방향으로 할 수 있고, 이로써 유전륜(66)을, 슬립 (마찰저항)을 수반하는 일없이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롤러 지지체 (68)는 가이드 레일(6)에 대해서 걸리는 일이 없고 덜컹거리는 일없이 지지 안내되게 되고, 이로써, 피반송물(W)을 지지하고 있는 이동체(20)의 커브 경로부(5b)에 있어서의 이동을 항상 안정하고 원활하게 행하게 된다.

    또한, 커브 경로부(5b)에 있어서의 가이드 레일(6)의 구성, 배치(배열)를 직선상 경로부(5a)와 마찬가지로 할 수 있고, 이로써 커브 경로부(5b)에 있어서의 가이드 레일(6)을 간단하고 또한 값싸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6)의 설치 정밀도 등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레일(6)과 레일장치(11)의 상하 간격에 변화가 생겼을 때, 상위 축부(27a)에 대해서 통형상 부재(67)가 승강하는 것이므로 그 차를 흡수할 수 있고, 이로써 항상 안정된 지지 안내를 행한다.

    또한, 커브 경로부(5b)에서의 이동시에 있어서 단부 피 안내장치(50)는 전후 1쌍의 피가이드 롤러(55)가 가이드부(12a)에 안내되는 것이므로 전후의 프레임체 (22,24)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종방향 핀(58)의 둘레에 상대 회전하고 있다. 이 때에 전후의 피 가이드롤러(55) 사이의 1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 1쌍의 피 지지롤러(53)는 전후의 피 가이드롤러(55)를 설치한 종방향 핀(54)의 축심 사이를 연결하는 선에 대해서 평행한 상태로 향하고 있고, 즉, 프레임체(22,24)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향하고 있고, 따라서, 피 지지롤러(53)는 슬립(마찰저항)을 수반하는 마찰회전이 된다.

    그러나, 마찰회전은 전후의 1개소에서 또한 좌우 1쌍의 합계 2개소이므로 그다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되고, 따라서, 단부 피 안내장치(50)는 레일(12)에 대해서 걸리는 일이 없고 덜컹거림이 없이 지지 안내되게 되고, 이로써, 커브 경로부 (5b)에 있어서의 이동체(20)의 이동을 항상 원활하게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브 경로부(5b)를 이동한 이동체(20)는 건조로(9)의 입구부에 도달하고, 상기 수동체(36)를 무단 회동식 이송장치(70)의 작용 경로에 돌입시켜 정지시킨다. 여기서, 건조로(9)의 부분에서는 무단 회동식 이송장치(70)가 작동되고 있다.

    즉, 구동장치(73)에 의해 각 톱니바퀴(71,72)를 통해서 체인(74)이 이동되고 있다. 또한, 체인(74)과 일체 이동되는 전동체(82)는 작용 경로의 시단부분으로부터 수동체(36)를 향하여 이동하고, 우선 타력주행 방지체(38)의 캠면(38d)에 접촉하여 상기 타력주행 방지체(38)를,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로 핀(39)의 둘 레에 상방으로 요동시키고, 이로써 전동체(82)는 타력주행 방지체(38)의 부분을 통과한다. 또한, 전동체(82)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동체(36)의 수동면 (36a)에 접촉하고, 이로써 이동체(20)를 일체의 상태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이동체(20)를 건조로(9) 내에서 이동시키면서 지지부(60)로 지지하고 있는 피반송물(W)에 대해서 건조수단(도시안함)에 의해 건조작업을 수행한다. 이 때에 무단 회동식 이송장치(70)는 건조로(9) 내에서 체인(74)만이 이동하는 것이므로 열 등에 강한 이송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이로써 장기에 걸친 안정된 동작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전동체(82)를 수동체(36)의 수동면(36a)에 접촉시킨 이동체(20)의 이동중에 이 이동체(20)가 타력주행(폭주)하고자 하였을 때, 타력주행 방지체(38)의 타력주행 방지면(38a)이 전동체(82)에 접촉하여 그 타력주행를 방지할 수 있다.

    이동체(20)가 건조로(9)의 출구부분에 도달하면, 예컨대, 체인 가이드장치 (14)의 레일(15)을 하강하는 경사진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수동체(36)에 대해서 전동체(82)가 하강 이동하고, 이로써 수동체(36)에 대한 전동체(82)의 맞물림이 빠진다. 이로써, 무단 회동식 이송장치(70)에 의한 이송력이 개방되고, 그 이후에는 상기 마찰식 이송장치(90)에 의해 이동력이 부여된다.

    또한, 건조로(9)의 부분으로부터 나온 후, 적절한 개소에 있어서 작업이 끝난 피반송물(W)이 지지부(60)로부터 내려짐과 아울러 지지부(60)에 새로운 피반송물(W)이 짐싣기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동체(20)는 일정 경로(5) 상에 있어서 순환 이동된다.

    이와 같은 순환 이동에 있어서 피반송물(W)이나 지지부(60)의 하중의 전체는 전후의 종방향 축체(27)를 통해서 양 중간부 피 안내장치(3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고, 또한, 트롤리 본체(31)에 전후로 나누어져 설치된 피 지지롤러(33)를 통해서 레일장치(11)측에 지지되게 되고, 이로써 이동체(20)의 이동은 하중의 유무, 하중의 대소에 관계없이 항상 안정되게 행한다.

    또한, 일정 경로(5) 중에 측면으로 바라봐서 상하방향으로의 승강 경로부 (5c)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우선, 앞의 단부 피 안내장치(50)가 원호부로부터 경사부로 이동할 때에는, 도 1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방부 프레임체(22)가 좌우방향 핀(22D)을 통해서 상방향으로 굴곡 이동된다. 이어서, 앞의 중간부 피 안내장치(30)가 원호부로부터 경사부로 이동할 때에는, 도 1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방향 축체(27)측의 브래킷(40)에 대해서 전후의 중간부 피 안내장치(30)가 각각 좌우방향 축(41)의 둘레에 상대 회동된다. 또한, 뒤의 단부 피 안내장치(50)가 원호부로부터 경사부로 이동할 때에는, 도 12(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후방부 프레임체(24)가 좌우방향 핀(24D)을 통해서 상방향으로 굴곡 이동된다.

    이로써, 이동체(20)는 승강 경로부(5c)에 있어서의 레일(12)의 경사에 따라서 단부 피 안내장치(50)나 중간부 피 안내장치(30)의 방향(상하 각도)를 자동적으로 변경하면서 승강 경로부(5c)에 들어가고, 또한,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승강 경로부(5c)에 있어서 원활하게 상승 이동된다. 또한, 승강 경로부(5c)로부터 나올 때에는 굴곡이동의 방향을 반대로 하여 마찬가지로 이동된다. 또한, 승강 경로부(5c)가 아래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이동시에 승강 경로부(5c)에 있어서의 승강 경사각도(θ)를 전후의 단부 피 안내장치(50)에 있어서의 피 지지롤러(53) 사이의 거리(Lα)가 길수록 작게 설정한 것이므로 위나 아래의 승강 경로부(5c)에 있어서의 이동체(20)의 출입을, 좌우방향 핀(24D)이나 좌우방향 축(41)의 둘레에 무리없이 굴곡 이동시켜서 항상 원활하게 행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 13~도 1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좌우방향 축(41)은 키 플레이트(44)나 볼트(45) 등에 의해서 빠짐방지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40)의 상부에는 상방에서 개방된 오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46)에 상기 종방향 축체(27)의 하부가 끼워맞춰지고, 이들 브래킷(40)으로부터 종방향 축체(27)를 걸쳐 좌우방향 핀(43)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로써, 종방향 축체(27)의 하부측, 즉, 본체(21)측에는 중간부 피 안내장치(30)의 트롤리 본체(31)가 좌우방향 축(41)을 통해서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종방향 축체(27)에 대해서 전후로 나누어져 각각 좌우 1쌍의 피 지지롤러(33)와 피 가이드롤러(35)가 설치되게 된다.

    전후 1쌍의 종방향 축체(27)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부(100)는 종방향 축체(27)의 상부에 고정된 브래킷체(101)와, 각 브래킷체(101) 상에 설치된 피반송물(W)의 지지부재(102)와, 전후의 지지부재(102) 사이에 설치된 좌우 1쌍의 전후 부재(103)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후의 지지부재(102)에 대해서는 폭이 넓은 지지부재(104)가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101~104 등에 의해 지지부(100)의 일예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00)의 부분에는 유전륜(가이드 롤러)(105)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전후 부재(103)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태에서 전후의 지지부재(102) 사이에는 좌우 1쌍의 플레이트형상체(10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플레이트형상체(106)의 전후단으로부터 좌우 외방으로 축(107)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이들 축(107)에 상기 유전륜(10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전륜(105)을 하방으로부터 지지 안내하는 1쌍의 가이드 레일(6)이 상기 일정 경로(5)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어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체(20)의 좌우방향의 커브 경로부(5b)에서의 이동은,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프레임체(22,23,24)는 종방향 축체(27)를 통해서 좌우방향에서 상대적으로 굴절한 자세로 이동된다. 또한, 단부 피 안내장치(50)는 종방향 핀(58)을 통해서 전후의 프레임체(22,24)에 대해서 좌우방향에서 상대적으로 굴절한 자세로 이동되게 된다.

    이와 같은 커브 경로부(5b)에서의 이동시에 있어서 단부 피 안내장치(50)는 전후 1쌍의 피 가이드롤러(55)가 가이드부(12a)에 안내되는 것이므로 전후의 프레임체(22,24)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종방향 핀(58)의 둘레에 상대 회전하고 있다. 이 때에, 전후의 피 가이드롤러(55) 사이의 1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 1쌍의 피 지지롤러(53)는 전후의 피 가이드롤러(55)를 설치한 종방향 핀(54)의 축심 사이를 연결하는 선에 대해서 평행한 상태로 향하고 있고, 즉, 프레임체(22,24)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향하고 있고, 따라서, 피 지지롤러(53)는 슬립(마찰저항)을 수반하는 마찰회전이 된다.

    그러나, 마찰회전은 전후의 1개소이고 또한 좌우 1쌍의 합계 2개소이므로 그다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되고, 따라서, 단부 피 안내장치(50)는 레일(12)에 대해서 걸리는 일이 없고 덜컹거림이 없이 지지 안내되게 되고, 이로써 커브 경로부 (5b)에 있어서의 이동체(20)의 이동을 항상 원활하게 행하게 된다.

    또한, 건조로(9)의 부분으로부터 나온 후, 적절한 개소에 있어서 작업이 끝난 피반송물(W)이 지지부(100)로부터 내려짐과 아울러 지지부(100)에 새로운 피반송물(W)이 짐싣기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동체(20)는 일정 경로(5) 상에 있어서 순환 이동된다. 이와 같은 순환 이동에 있어서 피반송물(W)이나 지지부(100)의 하중의 전체에서는 전후의 종방향 축체(27)를 통해서 양 중간부 피 안내장치(3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고, 또한, 트롤리 본체(31)에 전후로 나누어져 설치된 피 지지롤러 (33)를 통해서 레일장치(11)측에 지지되게 되고, 이로써, 이동체(20)의 이동은 하중의 유무, 하중의 대소에 관계없이 항상 안정되게 행한다.

    상기 양 실시예에 있어서 각 피 안내장치(30,50)를 지지 안내하는 레일장치 (11)의 레일(12)은 그 상방 가장자리부에 피 가이드롤러(35,55)의 안내를 행하는 가이드부(12a)가 상방으로 굽힘 성형되어 있는 것이므로 가이드부를 갖는 레일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양 실시예에서는 마찰식 이송장치(90)를 배치 피치(P)를 이동체(20)의 전체 길이(L)에 대해서 짧게, 즉, P〈L로 설정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있지만 이것은 P≒L로 설정하거나 또는 P〉L로 설정하여 배치하여도 좋다.

    상기 양 실시예에서는 직선상 경로부(5a)에 있어서 전후단 사이에 간극이 생 기는 상태에서 이동체(20)를 이동시키는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직선상 경로부(5a)의 위쪽측에 상기 마찰식 이송장치(90)를 설치함과 아울러 아래측에 상기 수동면(25)에 작용하여 이동체(20)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장치를 설치한 형식으로 하였을 때에는 마찰식 이송장치(90)로부터 제동장치의 사이에서 복수대의 이동체(20)를, 상기 트롤리 본체(51)의 앞끝을 트롤리 본체(51)의 뒤끝에 서로 접촉시키면서 전후단 사이에 간극을 생기게 하는 일없이 빽빽한 후방 가압상태로 정렬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양 실시예에서는 무단 회동식 이송장치(70)와 마찰식 이송장치(90)에 의해 이동체(20)를 이동시키는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어느 한쪽만에 의해 이동체(20)를 이동시키는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 양 실시예에서는 본체(21)의 일측면에 수동면(25)을 형성하고, 이 수동면(25)에 작용하는 마찰식 이송장치(90)를 설치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본체(21)의 타측면에 작용되는 수용 롤러를 설치하여 본체(21)를 양측으로부터 끼워붙여서 강한 마찰력을 얻고, 이로써 충분한 이동력을 줄 수 있는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 양 실시예에서는 이동체(20)의 본체(21)로서, 3개의 프레임체 (22,23,24)로 이루어지는 형식을 나타내었지만 이것은 전방부 프레임체(22)의 전방이나 후방, 후방부 프레임체(24)의 전방이나 후방에 단수 또는 복수의 프레임체를 연결한 3개이상의 형식이나, 중간부 프레임체(23)를 복수개로 한 3개이상의 형식 등이어도 좋다. 또한, 1개의 프레임체 형식으로 하고, 그 전후단에 피 안내장치 (30)를 배치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 양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체(22,23,24)의 연결을 행하는 종방향 축체(27) 사이에 지지부(60,100)를 설치한 형식을 나타내었지만 이것은 중간부 프레임체(23)에 지지부(60,100)를 설치한 형식이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커브 경로 등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중간부 프레임체(23)로서 신축 구조가 채용된다.

    상기 양 실시예에서는 마루(1)측으로부터의 기기 프레임(10)에 레일장치(11)나 체인 가이드장치(14) 등을 배치하고 있지만 이것은 마루면 아래의 피트 내에 레일장치(11)나 체인 가이드장치(14) 등을 배치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이동체(20)를 포함한 전체의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양 실시예에서는 마루(1)측을 이동할 수 있는 이동체(20)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은 천정측에 배치한 레일장치에 지지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는 이동체이어도 좋다.

    상기 양 실시예에서는 레일(12)에 가이드부(12a)가 굽힘 성형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채널형상의 레일로 하고, 또한, 개방부측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피 가이드롤러(35,55)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체가 고정된 형식이어도 좋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단부 피 안내장치(50)로서 전후방향의 1개소에 피 지지롤러(53)를 설치한 형식을 나타내었지만 이것은 중간부 피 안내장치(30)와 마찬가지로 전후방향의 2개소에 피 지지롤러를 설치하고, 또한, 하위 두갈래부를 갖는 브래킷이나 종방향 축체 등을 통해서 본체측에 연결시킨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 제 2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체(22,23,24)의 연결을 행하는 종방향 축체 (27)를 통해서 중간부 피 안내장치(30)를 배치하고 있지만 이것은 중간부 피 안내장치(30)를 프레임체(22,23,24)에 직접적으로 연결한 형식이어도 좋다. 또한, 중간부 프레임체(23)에 지지부(100)를 설치한 형식이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커브 경로 등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중간부 프레임체(23)로서 신축구조가 채용된다.

    본 발명의 이동체를 사용하는 반송경로에 의하면 커브 경로에 있어서도 이동체의 이동을 항상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피반송물의 지지부의 경사를 감소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커브 경로부에 있어서도 지지부측의 지지 안내를 항상 원활하게 행하고, 또한, 가이드 레일의 배치 등을 포함하여 전체를 간단하고 또한 값싸게 구성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