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国际专利分类库 / 作业;运输 / 铁路 / 铁路系统;不包含在其他类目中的装置 / 动力和无动力两用系统 / .用悬挂式车辆的 / 컨베이어를 위한 가이드 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컨베이어를 위한 가이드 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申请号 KR1020147030107 申请日 2013-03-27 公开(公告)号 KR1020150016221A 公开(公告)日 2015-02-11
申请人 이톤 이노베이션 에이비; 发明人 이레포르스,페르-올로프;
摘要 현수식(hanging manner)으로 물품 캐리어를 운반하기 위해 적용된 컨베이어에 대한 가이드 레일부로서, 여기서 가이드 레일부는 컨베이어의 주 레일의 중심으로 위치되도록 적용되며, 여기서 가이드 레일부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부는 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매달린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여기서 액츄에이터는 제1 상부 위치에서 제2 하부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정지 부재는 액츄에이터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액츄에이터가 제2 하부 위치에 있을 때 정지 부재는 상승 정지 위치(raised stop position)에 있으며, 액츄에이터가 제1 상부 위치에 있을 때 정지 부재는 하강 바이패스 위치(lowered bypass position)에 있도록 한다. 가이드 레일부의 이점은 물품 캐리어의 대기 행렬(queue)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물품 캐리어 사이의 간격은 가이드 레일부와 함께 용이하고 비용 효율이 높은 방식으로 얻어진다는 것이다.
权利要求
  • 가이드 레일부(2)는 컨베이어의 주 레일(30)의 중심으로 위치되도록 적용되며,
    여기서 가이드 레일부(2)는 몸체(4)를 포함하며,
    가이드 레일부(2)는 몸체(4)에 회전 가능하도록 매달린 액츄에이터(7, 19)를 포함하며,
    여기서 액츄에이터(7, 19)는 제1 상부 위치에서 제2 하부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정지 부재(8)는 액츄에이터(7, 19)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액츄에이터(7, 19)가 제2 하부 위치에 있을 때 정지 부재(8)는 상승 정지 위치(raised stop position)에 있으며, 액츄에이터(7, 19)가 제1 상부 위치에 있을 때 정지 부재(8)는 하강 바이패스 위치(lowered bypass position)에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hanging manner)으로 물품 캐리어(31, 35)를 운반하기 위해 적용된 컨베이어에 대한 가이드 레일부(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제1 피벗 암(9) 및 제2 피벗 암(10)에 의해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매달려 상기 액츄에이터(7, 19)의 상부면이 제1 상부 위치와 제2 하부 위치 모두에서 몸체(4)의 상부면과 평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부.
  • 제2항에 있어서,
    정지 부재(8)는 제1 피벗 암(9)와 통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부.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피벗 암(9, 10) 중 하나는 액츄에이터가 제2 하부 위치에 있을 때 광 센서의 라이트 빔을 차단하기 위해 적용된 차단기(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부.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7, 19)는 탄성 부재(14)에 의해 제1 상부 위치로 밀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부.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19)의 상부면(11)은 액츄에이터(7)의 전방부(16)와 후방부(17) 사이에 중간 리세스(reces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부.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는 두 개의 길이 방향의 평행한 측벽(5, 6)을 포함하며, 액츄에이터(7, 19)는 상기 측벽(5, 6)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부.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부는 모듈식이며,
    가이드 레일부의 길이는 하나의 길이 단위이며,
    여기서 가이드 레일부는 상기 길이 단위 또는 복수의 길이 단위에 상응하는 간격을 가지는 주 컨베이어 레일 내에 미리 정해진 설치 위치에 설치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부.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부는 아세탈 플라스틱 및/또는 폴리아마이드와 같이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는 물질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부.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이드 레일부(2)를 포함하며,
    연장 가이드 레일부(3)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연장 가이드 레일부(3)는 몸체(4)와 두 개의 피벗 암(9, 10)에 의해 몸체(4)에 회전 가능하도록 매달린 액츄에이터(7)를 포함하며,
    여기서 가이드 레일부92)의 액츄에이터(7, 19)는 연결 부재(12)에 의해 연장 가이드 레일부(3)의 액츄에이터(7)에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부(2)의 액츄에이터(7, 19)와 연장 가이드 레일부(3)의 액츄에이터(7)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1)
  • 제10항에 있어서,
    연장 가이드 레일부(3)의 몸체는 두 개의 길이 방향의 평행한 측벽(5, 6)을 포함하며, 액츄에이터(7)는 상기 측벽(5, 6)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는 복수의 연장 가이드 레일부(3)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 연장 가이드 레일부(3)의 액츄에이터(7)는 연결 부재(12)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
  •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장 가이드 레일부의 길이는 길이 단위 또는 절반의 길이 단위이며,
    여기서 연장 가이드 레일부의 길이는 상기 길이 단위에 상응하는 간격을 가지는 주 컨베이어 내에 미리 정해진 설치 위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이드 레일부를 복수로 포함하는 컨베이어.
  • 제14항에 있어서,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를 복수로 더 포함하는 컨베이어.
  • 제15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클러스터 내에 배치되며,
    여기서 각 클러스터의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는 길이가 서로 달라 각 클러스터의 정지 부재가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 说明书全文

    컨베이어를 위한 가이드 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GUIDE RAIL PART FOR A CONVEYOR AND A CONVEYOR COMPRISING SUCH A GUIDE RAIL PART}

    본 발명은 걸려있는 물품을 운반하는 컨베이어에 대하여 정지 기능을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부에 관한 것이다. 물품은 주 컨베이어 레일 상에서 돌아가는 물품 캐리어에 의해 붙들려지며, 여기서 가이드 레일부는 주 레일 상의 중심으로 위치되어 물품 캐리어를 옆으로 가이드한다.

    현수식(hanging manner)으로 물품을 운반하는 컨베이어는 예를 들어 봉제 셔츠에 대한 직물 공장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 옷의 서로 다른 피스들은 레일 상에서 모든 또는 일부의 피스가 서로 봉제되는 작업장으로 이동하는 물품 캐리어에 걸린다. 물품 캐리어는 축에 의해 서로 고정된 두 바퀴로 이루어진다. 바퀴는 주 레일의 지지 표면 상에 굴러가도록 의도되며, 중심으로 위치된 가이드 레일에 의해 측면 방향으로 가이드된다.

    가이드 레일은 주 레일 내에 통합되어 비용-효율적인 직선 레일을 제공한다. 다만, 물품 캐리어가 주 레일에서 벗어나거나 들어올 때, 주 레일에 대해 또는 주 레일로부터 물품 캐리어를 전환하기 위해 적용되는 스위치가 사용되어야 한다. 주 레일 내 통합된 가이드 레일과 함께, 주 레일은 주 레일 내 완전한 스위치 모듈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절단되어야 한다. 이는 재구성 또는 변화하기 어려운 융통성 없는 해결책이다.

    또한 주 레일에 설치되는 직선 보가 되는 직선의 가이드 레일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방식에 있어서, 주 레일은 스위치 유닛을 삽입하기 위해 절단될 필요가 없다. 상기 방식에 있어서, 가이드는 스위치 유닛을 삽입하기 위해 절단된다. 이는 보다 융통성있는 해결책을 제공하지만 여전히 재구성하기 어렵다. 상기 해결책은 WO 9854074로부터 알려져 있다.

    모듈식 디자인으로 가이드 레일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더 융통성있는 해결책이 제공되며, 여기서 하나 또는 몇 개의 가이드 레일 요소가 스위치 요소를 위한 간격을 제공하기 위해 주 레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각 가이드 레일 요소는 가이드 레일의 부착을 위한 설치 홀을 가지는 미리 정해진 설치 위치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스위치 요소 역시 모듈식 디자인이다. 상기 해결책은 본원에 참조로서 병합된 W 2007018462로부터 알려져 있다.

    물품 캐리어의 사용, 즉 물품 캐리어에 의해 운반되는 물품, 에 따라 물품 캐리어는 서로 분리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부딪치지 않거나 물품 캐리어에 의해 운반되는 물품이 서로 부딪치지 않는다. 만약 물품이 소프트할 경우, 서로 접촉할 때 서로 얽히거나 붙잡힐 수 있으며, 만약 물품이 크고 단단할 경우, 서로 충돌할 때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에 대한 서로 다른 해결책들이 알려져 있다. 하나의 해결책에서는 물품 캐리어가 통합된 스페이서와 함께 제공되어 각 물품 캐리어 사이의 정해진 간격을 제공할 것이다. 스페이서는 서로 지지될 것이며, 이에 따라 특정 정지 요소의 필요없이 각 물품 캐리어 사이에 정해진 간격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물품 캐리어는 물품을 따로 걸기 위한 보호 커버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컨베이어 내에 서로 다른 정지 요소를 개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정지 요소는 일반적으로 작업장이 새로운 물품 캐리어를 받을 준비가 됐을 때 물품 캐리어를 방출하기 위해 작업장 전에 사용된다. 정지 요소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조절 유닛에 의해 조절된다. 다만 물품 캐리어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떨어진 대기 행렬(queue)로 하기 위해 복수의 활성 정지 요소를 제공하는 것은 비실용적이다. 상기 해결책은 어떤 시스템에서는 괜찮게 작동하나, 개선의 여지가 여전히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통합된 정지 부재를 가지는 개선된 가이드 레일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목적은 두 바퀴를 가지는 물품 캐리어 트롤리에 적용되는 개선된 가이드 레일부와 통합된 정지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모듈식이며 이에 따라 필요한 간격이 얻어질 수 있는 가이드 레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제점의 해결책은 가이드 레일부에 대한 제1항의 특징부와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에 대한 제10항 내에 개시된다. 추가적인 청구항은 컨베이어와 가이드 레일부의 이로운 실시예 및 추가적인 개선에 관한 것이다.

    현수식(hanging manner)으로 물품 캐리어를 운반하기 위해 적용된 컨베이어에 대한 가이드 레일부에 있어서, 여기서 가이드 레일부는 컨베이어의 주 레일의 중심으로 위치되도록 적용되며, 여기서 가이드 레일부는 몸체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매달린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여기서 액츄에이터는 제1 상부 위치에서 제2 하부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정지 부재는 액츄에이터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액츄에이터가 제2 하부 위치에 있을 때 정지 부재는 상승 정지 위치(raised stop position)에 있으며, 액츄에이터가 제1 상부 위치에 있을 때 정지 부재는 하강 바이패스 위치(lowered bypass position)에 있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부의 제1 실시예에 의해, 가이드 레일부는 액츄에이터에 결합된 정지 부재를 포함할 것이다. 액츄에이터는 물품 캐리어에 의해 조절되어 가이드 레일부에서 물품 캐리어가 존재할 때까지 물품 캐리어가 가이드 레일부로 들어가도록 정지 부재가 정지될 것이다. 물품 캐리어가 가이드 레일부를 떠날 때, 정지 부재는 새로운 물품 캐리어가 가이드 레일부로 들어오도록 할 것이다. 새로운 물품 캐리어가 가이드 레일부로 들어오면, 새로운 물품 캐리어는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정지 부재가 다른 물품 캐리어가 가이드 레일부로 들어오는 것을 막도록 할 것이다. 몇몇의 가이드 레일부가 서로 배치됨으로써,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자동 대기 행렬(queue) 기능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이로운 개선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는 두 개의 피벗 암에 의해 몸체에 매달릴 수 있다. 상기 방식에 있어서, 액츄에이터의 상부면은 제1 상부 위치와 제2 하부 위치 모두에서 몸체의 상부면과 평행이다. 이의 이점은 물품 캐리어가 가이드 레일부 상의 어느 위치에 있을 때라도 액츄에이터가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로운 개선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는 탄성 부재에 의해 제1 상부 위치로 밀쳐진다. 탄성 부재가 선택되어 액츄에이터는 물품 캐리어에 의해 아래로 밀쳐진다. 상기 방식에 있어서, 액츄에이터 상에 지지되는 물품 캐리어가 없을 때, 즉 물품 캐리어가 가이드 레일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부가 비어있을 때 정지 부재는 아래에 있다. 물품 캐리어가 가이드 레일부에 들어오자마자, 액츄에이터는 아래로 밀쳐지며 정지 부재는 추가적인 물품 캐리어가 들어오는 것을 정지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이로운 개선에 있어서, 액츄에이터의 상부면은 액츄에이터의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 중간 리세스(recess)를 포함한다. 이의 이점은 두 개의 이격된 바퀴를 포함하는 물품 캐리어 트롤리가 여전히 가이드 레일부로 들어오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는 점이다. 리세스 덕분에, 제2 바퀴가 정지 부재를 통과할 때 제1 바퀴는 액츄에이터를 아래로 밀지 않음으로써 물품 캐리어 트롤리가 가이드 레일부로 들어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트롤리가 정지 부재를 통과할 때, 트롤리의 바퀴는 액츄에이터의 전방부 및/또는 후방부 상에 지지되어 정지 부재가 추가적인 물품 캐리어 트롤리가 가이드 레일부로 들어오는 것을 정지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이로운 개선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부는 모듈식이며, 가이드 레일부의 길이는 하나의 길이 단위로서 정의된다. 바람직하게는, 길이 단위는 컨베이어 시스템 내에 사용되는 모듈식 가이드 레일의 미리 정해진 설치 위치에 상응하며, 여기서 가이드 레일부에 대한 설치 위치의 간격은 길이 단위에 상응한다. 따라서, 모듈식 가이드 레일의 길이는 복수의 길이 단위이다. 서로 다른 길이로 가이드 레일부가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서 하나의 가이드 레일부는 하나의 길이 단위 거리이며 다른 가이드 레일부는 예를 들어 두 개의 길이 단위 거리이다.

    본 발명의 이로운 개선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연장 가이드 레일부는 가이드 레일부와 결합된다. 연장 가이드 레일부는 몸체 및 몸체 내에 배치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나 정지 부재는 포함하지 않는다. 연장 가이드 레일부의 액츄에이터가 연결 부재로 제1 가이드 레일부에 결합됨으로써, 액츄에이터 표면의 임의의 부분에서 물품 캐리어가 운반할 경우 떨어지는 더 긴 가이드 레일부가 생성된다. 복수의 연장 가이드 레일부가 제1 가이드 레일부에 결합됨으로써 원하는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 레일부가 얻어진다. 얻어진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의 길이는 두 개의 물품 캐리어 또는 두 개의 물품 캐리어 트롤리 사이의 간격을 설정한다. 상기 방식에 있어서, 동일한 물품 캐리어는 서로 다른 모양 및 크기를 가지는 물품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점은 컨베이어 시스템 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작업장 전에 상대적으로 긴 간격 인터벌을 설정하고 물품 캐리어가 비어있는 적재대 전에 짧은 간격 인터벌을 설정함으로써 큰 물품이 서로 충돌함없이 대기 행렬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 레일부는 모듈식으로 디자인되기 때문에, 물품이 바뀔 경우 작업대에서 간격을 변화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하기에 보다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부와 연장 가이드 레일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를 나타내며, 도 2는 도 1의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의 절단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액츄에이터가 물품 캐리어에 의해 아래로 밀쳐졌을 때 도 1의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물품 캐리어 트롤리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부의 개선을 나타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가이드 레일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부분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캐리어 트롤리에 적용된 복수의 가이드 레일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부분을 나타낸다.

    하기에 설명된 추가적인 개선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특허 청구항에 의해 제공된 보호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 내지 3에는 가이드 레일부(2)와 연장 가이드 레일부(3)를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1)가 나타나 있다. 가이드 레일부(2)와 연장 가이드 레일부(3)는 연결 부재(1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는 몇몇의 연장 가이드 레일부(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오직 하나의 가이드 레일부(2)만 포함할 것이다.

    가이드 레일부(2)는 길이 방향의 몸체(4)를 포함한다. 나타낸 예에 있어서, 몸체는 속이 비어 있어 액츄에이터(7)가 몸체 내부의 측벽(5, 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식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측벽(5, 6)은 물품 캐리어 바퀴의 가이드 레일로서 작용하여 바퀴가 컨베이어 레일 상에서 가이드되도록 할 것이다. 액츄에이터는 제1 상부 위치에서 제2 하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 및 2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는 상부 위치에서 나타내어진다. 액츄에이터는 제1 피벗 암(9)과 제2 피벗 암(10)에 의해 몸체에 매달려진다. 피벗 암들이 평행하므로 액츄에이터의 상부면(11)은 위치와 무관하게 하우징에 대하여 항상 평행할 것이다. 가이드 레일부(2)는 액츄에이터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정지 부재(8)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식에 있어서, 액츄에이터가 제2 하부 위치에 있을 때 정지 부재는 상승 정지 위치(raised stop position)에 있으며, 액츄에이터가 제1 상부 위치에 있을 때 정지 부재는 하강 바이패스 위치(lowered bypass position)에 있다. 따라서, 도 1 및 2의 정지 부재는 하강 바이패스 위치(lowered bypass position)에 있다.

    도 2는 도 1의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의 하우징의 절단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1 피벗 암(9)과 제2 피벗 암(10)이 보여질 수 있다. 상기 예에 있어서 정지 부재(8)는 다른 연결이 가능할지라도 바람직하게 제1 피벗 암(9)과 통합된다. 액츄에이터는 하우징과 피벗 암 중 하나, 여기서 제2 피벗 암(10) 사이에서 작동하는 탄성 부재(14)에 의해 상부 위치로 밀쳐진다. 또한 제1 피벗 암은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는 광 스위치의 라이트 빔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차단기(13)와 함께 제공된다. 상기 방식에 있어서, 액츄에이터가 작동하며 이에 따라 정지 기능이 활성화될 때 조절 유닛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 레일부는 컨베이어 레일의 중심에 설치되도록 적용된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부의 몸체는 잠금 수단, 여기서 컨베이어 레일 내 길이 방향의 노치(notch)를 붙잡기 위해 적용되는 탄성 캐치(20)의 형태, 를 포함한다. 모듈식으로 가이드 레일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몸체는 컨베이어 레일 내 설치 홀에 들어맞도록 적용된 설치 돌출부(21)를 더 포함한다. 컨베이어 레일에 있어서, 설치 홀은 모듈식 간격과 함께 제공되여 각 설치 홀이 예를 들어 길이 단위에 상응하도록 한다.

    도 3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는 활성화 상태로 나타내어지며, 여기서 액츄에이터는 제2 하부 위치에 있으며 정지 부재는 상승 정지 위치(raised stop position)에 있다. 액츄에이터는 액츄에이터(7)의 상부면 상에서 운반되는 물품 캐리어(31)에 의해 활성화, 즉 아래로 밀쳐진다. 물품 캐리어가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로 들어가며 액츄에이터의 상부 상에서 운반될 때, 정지 부재는 제1 물품 캐리어가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 상에서 멈춰있는 한 임의의 다음의 물품 캐리어가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로 들어오는 것을 정지시킬 것이다. 물품 캐리어가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를 떠날 때, 액츄에이터는 이의 가용되지 않은 상부 위치로 되돌아갈 것이며, 정지 부재는 새로운 물품 캐리어가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로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도 5는 컨베이어 레일 상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 레일부(2)를 나타낸다. 상기 예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부(2)는 임의의 연장 가이드 레일부 없이 사용된다. 가이드 레일부(2)는 컨베이어 레일(30)의 중심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측면 방향으로 물품 캐리어(31)를 가이드 할 것이며, 물품 캐리어는 컨베이어 레일 상에서 조절된 방식으로 굴러가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외부 제어 멈추개(32)는 예를 들어 작업대 전 물품 캐리어가 대기 행렬(queue)을 이루는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부의 앞에 위치된다.

    컨베이어 레일 상에서, 물품 캐리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무한 컨베이어 체인(34)이 배치된다. 컨베이어 체인은 물품 캐리어의 바퀴 축을 붙잡기 위해 적용된 복수의 컨베이어 후크(33)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후크는 컨베이어 체인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매달려 지며, 후크는 물품 캐리어가 붙잡힐 수 있는 곳보다 낮은 위치 내 또는 상부로 물품 캐리어가 통과하는 곳보다 상승 위치 내에 있을 수 있다. 나타낸 예에 있어서, 외부 제어 멈추개(32)는 컨베이어 후크가 제1 물품 캐리어를 붙잡을 수 있도록 비활성화된다. 멈추개(32)가 활성화될 때, 정지 부재는 물품 캐리어를 정지시키고 물품 캐리어가 통과할 때 상승 위치 내의 컨베이어 후크를 붙잡는 상승 위치 내에 있다. 제1 물품 캐리어가 제1 가이드 레일부로부터 당겨질 때, 물품 캐리어는 제1 가이드 레일부의 액츄에이터를 떠나게 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는 이의 가용되지 않는 위치로 밀쳐지며, 이어서 가이드 레일부의 정지 부재를 누른다. 정지 부재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다음 컨베이어 후크는 물품 캐리어를 붙잡는 것이 가능하며, 제2 가이드 레일부로부터 제1 가이드 레일부로 이를 당겨 제1 가이드 레일부의 정지 부재를 상승시킬 것이다. 물품 캐리어가 제2 가이드 레일부를 떠날 때, 제2 가이드 레일부의 정지 부재는 다음 물품 캐리어를 제2 가이드 레일부 상으로 당기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동일한 방식으로, 대기 행렬(queue) 내에서 대기하는 모든 물품 캐리어는 차례대로 한 단계씩 전방으로 동시에 이동할 것이다. 물품 캐리어를 당기는 컨베이어 후크가 상승 정지 위치(raised stop position) 내에 있는 이전의 가이드 레일부의 정지 부재에 도달할 때, 컨베이어 후크는 정지 부재를 타고 통과할 것이며, 이에 따라 상부로 밀쳐져 후크는 물품 캐리어의 축과의 결합을 느슨하게 한다. 이에 따라 물품 캐리어는 정지 부재의 정지로 도달할 것이다.

    물품 캐리어들 사이의 간격은 각 정지 부재 사이의 거리에 의해 설정된다. 작은 아이템에 대해서는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짧은 간격으로 충분하다. 보다 긴 간격에 대하여, 가이드 레일부는 요구되는 복수의 연장 가이드 레일부와 연결되어 원하는 간격을 얻는다. 상기 방식으로 동일한 컨베이어 시스템 내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물품을 운반하기 위해 동일한 물품 캐리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품 캐리어가 물품을 운반할 때 작업대에서 하나의 간격을 가지는 하나의 클러스터와 적재대에서 물품 캐리어가 비어있을 때 보다 짧은 간격을 가지는 가이드 레일부 클러스터 내에서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를 그룹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각 작업대에 대한 요구 사항을 위해 각 작업대에서의 간격을 개별적으로 적용하여 공간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운반되는 물품을 분리하기 위한 보호 장치의 다른 형태와 함께 물품 캐리어 또는 특정 물품에 대해 적용된 고정된 길이를 가지는 물품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형태의 물품 캐리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가이드 레일부는 바람직하게는 모듈식으로 디자인되어 가이드 레일부의 길이가 하나의 길이 단위로서 정의된다. 길이 단위는 예를 들어 10 cm 또는 20 cm일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는 바람직하게 길이 단위 또는 복수의 길이 단위에 상응하는 간격을 가지는 주 컨베이어 내에 미리 정해진 설치 위치에서 설치되도록 적용된다. 일 예에 있어서, 컨베이어는 모듈식 가이드 레일 시스템과 함께 제공되며, 여기서 가이드 레일은 직선의 모듈식 가이드 레일부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각 가이드 레일부는 길이 단위이다. 모듈식 가이드 레일의 길이는 복수의 길이 단위이다. 이는 서로 다른 길이로 가이드 레일부를 제공하는 것이 간으하도록 하며, 여기서 하나의 가이드 레일부는 하나의 길이 단위 거리이며 다른 가이드 레일부는 예를 들어 두 개의 길이 단위 거리이다.

    상기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직선 가이드 레일부는 복수의 길이 단위의 길이를 가지는 모듈식 전환기 또는 스위치와 같은 부재의 다른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진보한 가이드 레일부와 함께, 선택 가능한 간격과 함께 대기 행렬 기능은 직선 가이드 레일부를 정지 기능을 가지는 가이드 레일부로 대체함에 따라 컨베이어 시스템 내의 작업대에서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다. 작업대가 제거될 때, 모듈식 디자인은 정지 기능을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부를 보통의 직선 가이드 레일부로 대체함에 따라 대기 행렬 기능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작업대가 수정 또는 대체될 때, 모듈식 디자인은 하나 이상의 연장 가이드 레일부를 삽입 또는 제거함으로써 새로운 작업대로 적용되기 위한 대기 행렬 기능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4에 나타낸 진보한 가이드 레일부의 추가적인 개선에 있어서, 제1 가이드 레일부는 무거운 물품에 적용되기 위한 트롤리를 운반하는 두 개의 이격된 바퀴(36, 37)를 포함하는 물품 캐리어 트롤리(35)에 적용된다. 연장 가이드 레일부의 하우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액츄에이터(19)는 액츄에이터(19)의 중간부 내에 리세스(15)와 함께 제공된다. 전방부(16)과 후방부(17)는 액츄에이터(7)와 유사하며, 즉 상부 위치에서 액츄에이터(7)와 같이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액츄에이터(19)가 상부 위치에 있을 때, 리세스(15)는 하우징(4)의 상부와 같이 거의 동일한 수준이 될 것이다. 물품 캐리어의 바퀴가 리세스에 있을 때, 액츄에이터는 작동되지 않을 것이며, 즉 액츄에이터는 상부 위치에 있을 것이다. 도 6에는 도 4에 나타낸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의 예가 나타나 있다. 각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는 가이드 레일부(2)와 액츄에이터(19) 및 연장 가이드 레일부(3)를 포함한다. 상기 물품 캐리어 트롤리(35)가 가이드 레일부로 들어갈 때, 액츄에이터(19)는 먼저 전방 트롤리 바퀴(36)가 후방부(17) 상에서 운반할 때 아래로 눌려질 것이며, 트롤리가 이동 방향(18)으로 계속 갈 때, 전방 바퀴는 리세스(15)로 들어갈 것이며, 하강 위치에서 정지 부재(8)와 함께 액츄에이터(19)가 가동하지 않는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방식으로 트롤리의 후방 바퀴(37)는 정지 부재를 통과하여 트롤리가 가이드 레일부로 들어갈 수 있다. 트롤리의 후방 바퀴가 액츄에이터의 후방부 상에서 운반되고/되거나 트롤리의 전방 바퀴가 액츄에이터의 전방부 상에서 운반될 때, 액츄에이터는 아래로 밀쳐져 정지 부재가 이후의 물품 캐리어 트롤리가 가이드 레일부로 들어가는 것이 정지시킬 것이다. 트롤리의 바퀴는 액츄에이터(19), 연결 부재(12) 또는 연장 가이드 레일부(3)의 상부면 상에서 운반되기 때문에, 정지 부재는 트롤리가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 상에 있는 한 추가적인 트롤리가 가이드 레일부로 들어가는 것을 정지시킬 것이다. 트롤리가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로부터 배출될 때, 정지 부재는 하강될 것이며 이후의 물품 캐리어 트롤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가이드 레일부로 들어갈 것이다. 제1 가이드 레일부에 원하는 수의 연장 가이드 레일부를 연결함으로써 임의의 원하는 간격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레일이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하여 정지 부재가 배출할 때 물품 캐리어가 하나의 가이드 레일부로부터 다음으로 스스로 굴러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것은 분리된 컨베이어 체인이 필요로 하지 않는 곳에서 단순한 서브-컨베이어를 제공하는 데 이로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어서는 아니되며, 복수의 추가적인 변형 및 수정은 이후의 특허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1 : 가이드 레일부 어셈블리
    2 : 가이드 레일부
    3 : 연장 가이드 레일부
    4 : 몸체
    5 : 측벽
    6 : 측벽
    7 : 액츄에이터
    8 : 정지 부재
    9 : 제1 피벗 암
    10 : 제2 피벗 암
    11 : 상부면
    12 : 연결 부재
    13 : 차단기
    14 : 탄성 부재
    15 : 리세스
    16 : 전방부
    17 : 후방부
    18 : 이동 방향
    19 : 액츄에이터
    20 : 캐치
    21 : 돌출부
    30 : 컨베이어 레일
    31 : 물품 캐리어
    32 : 멈추개
    33 : 컨베이어 후크
    34 : 컨베이어 체인
    35 : 물품 캐리어 트롤리
    36 : 전방 바퀴
    37 : 후방 바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