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틸레버 캐리어들을 지닌 콘베이어 시스템

申请号 KR1019900010327 申请日 1990-07-09 公开(公告)号 KR100182285B1 公开(公告)日 1999-04-15
申请人 저비스 비. 웹 인터내셔날 컴퍼니; 发明人 셀던엠.카비에프; 클라렌스에이.데흔;
摘要 내용없음.
权利要求
  • 콘베이어 트랙(10), 그 트랙상의 한쌍의 종방향으로 간격진 화물수송 트롤리(29), 수직 피보트(52)상의 각각의 화물 수송 트롤리(29)에서 연결부(30)를 지니는 캐리어(12), 및 콘베이어 트랙(10)을 따라 캐리어(12)를 이동시키는데 적합한 추진수단(20,21)을 포함하는 콘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캐리어(12)는 콘베이어 트랙(10)의 하나의 측부(40)에 배치된 제품 지지부(27) 및 콘베이어 트랙(10)의 반대편 측부(42)에 배치된 안정부(28)를 지니는 프레임 구조물(26)을 포함하며, 제품 지지부(27)에 부착된 제품 유지 수단(31)은 콘베이어 트랙(10)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지지부상에 제품을 장착시키는데 적합하며, 하향 트랙표면(54)을 지니는 보조 트랙(34)은 상기 반대 측부(42)상의 콘베이어 트랙(10)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격된 관계로 평행하게 뻗어있으며, 안정부(28 )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안정휠(36)은 보조 트랙(34)의 트랙 표면(54)과 맞물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보조트랙(34)의 하향 트랙 표면(54)은 한쌍의 트롤리(29)들 사이의 종방향 간격에 상응하는 종방향 간격으로 캐리어 프레임 구조물(26)의 안정화부(28)상에 장착된 한쌍의 안정휠(35, 36)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 시스템.
  •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안정휠(35, 36)이 캐스터 휠(caster wheel; 35, 36)의 회전 축(58)보다 앞서 캐리어 이동 방향에 관하여 위치된 회전축(56)을 지니는 캐스터 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 시스템.
  •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캐리어 프레임구조물(26)의 제품 지지부(27)는, 제품 유지수단(31)이 콘베이어 트랙(10)의 한쪽 측부(40)에 대해 횡단 외향 및 수직 하향 관계로 위치되고 유지수단(31)상에 장착된 제품(32)이하로 뻗어 나가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 시스템.
  •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캐리어(12)의 프레임 구조물(26)은 콘베이어 트랙(10)에 대해 종방향으로 간격져있고 횡방향으로 뻗어있는 한쌍의 프레임 부재(37,38)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프레임 부재(37,38)는 하나의 트롤리(29)에서 연결부(30) 및 콘베이어 트랙(10)의 상기 하나의 측부(40)에 대해 측방으로 돌출하는 하나의 제품 지지부(39,44,45)를 지니며, 종방향으로 뻗어가는 프레임 부재(46)들이 한쌍의 프레임부재(37,38)의 제품 지지부와 접속해있으며, 제품 지지부(39,44,45) 및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프레임부재(46)는 프레임 구조물의 제품 지지부(27)를 구성하고 제품 유지 수단(31)상에 장착된 제품(32)이하로부터 지지하도록 지지부에 부착된 제품유지 수단(31)을 지니며, 각각의 횡방향으로 뻗어있는 프레임 부재(37,38)는 콘베이어 트랙(10)의 상기 반대 측부(42)에 � �해 측방으로 돌출하는 안정 연장부(41)를 지니며, 종방향 안정 프레임 부재(50)가 쌍으로된 프레임 부재들(37,38)의 안정연장부들(41)과 연결되어 있으며, 안정 연장부들(41) 및 안정프레임 부재(50)는 프레임 구조물(26)의 상기 안정부(28)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콘베이어 트랙(10)은 주 캐리어 트랙(14), 분기 캐리어 트랙(78) 및 주 캐리어 트랙(14)과 분기 캐리어 트랙(78)사이의 교차부(79)를 포함하며, 보조트랙(34)은 주 캐리어 트랙(14)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있는 주 보조트랙이며, 분기 보조트랙(82)은 교차부(79)에 인접한 주 보조트랙(34)에 접속되있고 분기 캐리어 트랙(78)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있으며, 주 및 분기 보조트랙(34,82)중 하나가 상기 주 및 분기 캐리어 트랙(14,78)중 하나를 횡단하고 캐리어 접속부(30)의 통로를 위한 갭(84)을 형성하는 상기 횡단 이격 단부(85,86)를 지니며, 갭(84)은 캐리어(12)의 쌍으로된 안정휠(35,36)사이의 종방향 간격보다 작은 길이를 지니며, 상기 주 분기보조 트랙(34,82)중 횡단 트랙은 상기 보조 트랙들에 의해 횡단된 상기 주 및 보조 캐리어 트랙(14,78)중 하나에 대해 겹쳐� ��지 않은 수직 관계로 상기 보조트랙의 하향 트랙 표면(54)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 시스템.
  •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제품 처리 스테이션(processing station; 64)은 콘베이어 트랙(10)의 경로를 따라 그것에 대해 횡방향으로 간격진 관계로 그 트랙의 상기 한쪽 측부(40)에 배치되있으며, 캐리어(12)의 프레임 구조물(26)의 제품 지지부(27)는 제품유지수단(31)상에 장착된 제품(32)이 상기 처리 스테이션(64)내에 위치가능하게 되고 추진수단(20, 21)에 의해 캐리어(12)의 이동에 응답하여 트랙을 통해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처리 스테이션(64)에는 상기 처리 스테이션(64)으로부터 콘베이어 트랙(10) 및 추진수단(20,21)을 분리하는 콘베이어 트랙(10)의 상기 한쪽 측부(40)상에 배리어벽(67)이 제공되었으며, 상기 배리어 벽(67)은 콘베이어 트랙(10)에 대해 평행하게 종방향으로 뻗어있으며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슬로트(68)를 지니며, 캐리어(12)의 제품 지지부(27)는 슬로트(68)를 통해 돌출하여 콘베이어 트랙(10)의 맞은편에 있는 배리어(67)의 측부상에 상기 제품유지 수단(31)을 위치시키는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 시스템.
  • 说明书全文

    캔틸레버 캐리어들을 지닌 콘베이어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콘베이어 시스템 및 캐리어의 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콘베이어 시스템의 측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화살표(3-3)에 의해 취해진 보조 캐리어 안정휠들 중 하나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제4도는 콘베이어 시스템의 수평 커브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평면도.

    제5도는 운반되는 제품들의 처리작업을 위한 처리 스테이션에 대한 콘베이어 시스템의 용도를 예시하는 횡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콘베이어 시스템의 주트랙 및 분기 트랙 사이의 교차부를 횡단하는 캐리어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선(7-7)으로 취해진 부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베이어 트랙 12 : 캐리어

    20, 21 : 추진수단 27 : 제품 지지부

    31 : 제품 유지수단 35, 36 : 안정휠

    64 : 처리 스테이션 68 : 슬로트(slot)

    79 : 교차부

    본 발명은, 콘베이어 트랙(conveyor track), rm 트랙에 의해 지지되는 캐리어 및 트랙을 따라 종방향으로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콘베이어 트랙과 연관된 추진수단을 포함하는 형태의 개선된 콘베이어 시스템(conveyor system)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콘베이어 트랙은 캐리어 트랙 및 그 트랙에 인접 장착된 동력 트랙으로 구성된 동력 및 자유 구동형 트랙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캐리어 트랙은 캐리어가 부착된 트롤리(trolley)를 지지하며, 상기 동력 트랙은 캐리어 상에서 구동 도그(driving dog)와 맞물림가능한 종방향으로 이격된 푸셔(pusher)가 설비된 무한 구동체인에 연결된 트롤리를 지지한다. 동력 트랙은 캐리어 트랙에 대해 수직하부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콘베이어 트랙은 캐리어가 무한 구동체인에 연결된 트롤리에 직접 부착되는 통상적인 고가(高架) 모노레일(overhead monorail)형 트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콘베이어 트랙은 동력 및 자유 구동형 콘베이어 트랙이나 또는 모노레일형 콘베이어 트랙에 적용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콘베이어 트랙과 캐리어 사이의 정상 관계는, 캐리어에 의해 지지된 제품이 콘베이어 트랙에 대해 대체로 횡방향으로 중심을 이루는 관계이다. 따라서, 콘베이어 트랙의 하부에 위치된 캐리어들을 지니는 고가 콘베이어 시스템은, 가동 콘베이어 요소들로부터 떨어지는 윤활제 및 오물들에 의한 오염으로부터 캐리어상에 지지된 제품을 보호하도록 콘베이어 트랙 하부에 폐유받이(drip pan)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와같은 고가 콘베이어 시스템에서, 캐리어 구조물들은 그것에 의해 지지된 제품들에 대한 접근을 방해하며, 제품들에 대한 처리작업 수행을 방해한다. 상기 설명된 정상 콘베이어 트랙-캐리어 관계를 지닌 모든 콘베이어 시스템들에 있어서, 콘베이어 트랙이 어떠한 처리작업을 통해 뻗어나가므로써 작업에 필요한 어느 공정 조건에 가동 콘베이어 요소들을 노출시킨다. 예컨대, 콘베이어 요소들은 포스페이트 처리(phosphate process)로부터의 부식, 스프레이 세척(cleaning)이나 도장(painting)처리로부터의 오염, 건조(drying)오븐으로부터의 고온 또는 단일 콘베이어 시스템내의 모든 이같은 악조건들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캐리어들은 그 캐리어들을 지지하고 추진시키는 가동 콘베이어 요소 및 콘베이어 트랙의 한쪽 측부에 배치된 캔틸레버로 된 제품 지지부를 각각 지님으로써 콘베이어 요소 및 제품의 이동 경로를 두 개의 평행하고 횡방향으로 간격진 경로로 분리시킨다. 그 결과, 운반되는 제품들은 콘베이어 요소들로부터의 오염에 노출되지 않으며 캐리어 구조물에 의해 보다 적게 방해를 받게되는 반면, 또한 콘베이어 요소들은 제품에 처리 작업에 의한 악영향으로부터 보호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콘베이어 트랙, 그 트랙에 의해 지지되는 캐리어 및 콘베이어 트랙을 따라 종방향으로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콘베이어 트랙에 연관된 추진수단을 포함하는 콘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각각의 캐리어는 콘베이어 트랙의 한쪽 측부에 배치된 제품 지지부 및 그 트랙의 반대 측부에 배치된 안정부를 지니는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한다. 제품 지지부에 부착된 제품 유지수단은, 콘베이어 트랙과 추진 수단과의 횡방향으로 간격진 관계로 캐리어 상에 제품을 장착시키는데 적합하다. 하나의 보조 트랙이 콘베이어 트랙의 반대 측부에서 콘베이어 트랙과 횡방향으로 간격진 관계로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프레임 구조물의 안정부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안정휠이 보조 트랙과 맞물릴 수 있다.

    콘베이어 시스템이 고가 콘베이어 트랙을 지니고, 캐리어 프레임 구조물이 트랙상의 화물지지 트롤리에 매달린 고가 콘베이어 트랙 하부에 지지되는 곳에서, 캐리어 프레임 구조물의 제품 지지부는, 제품 유지수단이 트랙에 대해 횡단 외향 및 수직 하방으로 콘베이어 트랙의 하나의 제품 유지 측부에 배치되고 제품 유지수단에 장착된 제품 하부로부터의 지지에 적합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콘베이어 시스템에 제공된 제품처리 스테이션은 콘베이어 트랙의 제품 유지 측부에서 콘베이어 트랙을 따라 위치되며, 그 스테이션은 콘베이어 트랙 및 추진 수단을 처리작업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종방향으로 슬로트(slot)화된 배리어 벽을 포함하며, 각 캐리어 프레임 구조물의 제품 지지부가 슬로트화된 배리어 벽을 통해 돌출하는데 적합함으로써, 제품 유지수단에 장착된 제품이 처리 스테이션내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콘베이어 트랙 및 추진수단으로부터의 상대적인 격리로 캐리어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격리는 슬로트화된 배리어 벽을 따른 실링(sealing)수단의 설비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각각의 캐리어에 대해 한쌍의 종방향으로 간격진 캐리어 트롤리를 지닌 캐리어 트랙을 포함하는 동력 및 자유 구동형 트랙 조립체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조립체에 있어서, 캐리어 프레임 구조물이 상응하게 간격진 수직축 상에서 연결하기 위해 상기 트롤리에 연결되며, 상응하게 간격진 한쌍의 안정휠은 캐리어 프레임 구조물을 안정시키기 위해 보조 트랙과 맞물릴 수 있다. 캐리어 트랙이 주트랙, 분기 트랙 및 주 캐리어 트랙과 분기 캐리어 트랙 사이의 교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조 트랙이 주 캐리어 트랙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있는 주 보조 트랙 및 교차부에 인접한 주 보조 트랙에 연결된 분기 보조 트랙을 포함하는데, 분기 보조 트랙은 분기 캐리어 트랙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있다. 주 및 분기 보조 트랙 중 하나가 주 및 분기 캐리어 트랙 중 하나를 횡단하며, 횡단 이격된 단부로 형성되는 갭(gap)을 지니는데, 상기 갭의 길이는 쌍으로된 안정휠 사이의 종방향 간격보다 적다. 이에 의해 횡단 보조 트랙 및 이 트랙에 의해 횡단된 캐리어 트랙은 안정휠과 교차된 캐리어 트랙 사이에 수직 간극을 제공하도록 비교적 수직으로 위치되며, 캐리어 프레임 구조물이 보조 트랙 하부에 수직으로 간격진 관계로 쌍으로된 캐리어 트롤리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캐리어가 교차된 보조 트랙에 대한 간섭없이 주 캐리어 트랙과 분기 캐리어 트랙 사이에서 추진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휠들이 갭을 통해 통과할 때 쌍으로된 안정휠 중 하나에 의해 안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 및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 및 2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콘베이어 시스템은 콘베이어 트랙(10) 및 그 트랙에 의해 지지된 캐리어(12)를 포함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콘베이어 트랙(10)은, 길이로 간격진 트랙 요크(yoke; 19)들에 의해 그 형 단면의 동력 트랙 부재(18)이하에 장착된 한쌍의 횡단으로 간격진 채널형 트랙 부재(16, 17; 제1도)들에 의해 형성된 캐리어 트랙(14)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고가동력(高架動; overhead power) 및 자유형 트랙 조립체이다. 동력트랙(18)상의 트롤리(21)에 부속되었고 푸셔(22)가 장치된 무한 구동 체인(20)이 콘베이어 트랙(10)을 따라 캐리어(12)를 이동시키는데 적합한 추진 수단을 구성하는바, 그 푸셔(22)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구동 트롤리(25)상에서 구동 도그(driving dog; 24)와 맞물릴 수 있다. 이같은 동력 및 자유형 트랙 조립체는 콘베이어 시스템에서 캐리어들이 정지되거나, 주트랙과 분리트랙 사이에서 전철(switch)되는데 유리한 반면 만약 그렇지 않으면 본 발명의 실행에서는 필수적이 아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캐리어(12)는 콘베이어 트랙(10)의 한쪽 측부에 배치된 제품 지지부(27)를 지니고 그 콘베이어 트랙(10)의 반대 측부에 배치된 안정부(28)를 지니는 프레임 구조물(26)을 포함한다. 이 프레임 구조물(26)은, 후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적합한 연결부(30)에 의해 화물 수송 트롤리(29)들로부터 고가 콘베이어 트랙(10)하부에 매달리게 되며, 선도하는 화물 수송 트롤리는 두 개의 바아(23)에 의해 구동 트롤리(25)에 연결된다. 캐리어 상에서 수송되는 특수산 제품용으로 적합한 제품 유지 수단(31)이, 제품 지지부(27)에 부착되 있으며 콘베이어 트랙(10)에 대해 횡방향으로 간격진 관계로 그 지지부상에 제품(32)을 장착하는데 적합하다. 보조트랙(34)은, 트랙(10)의 반대측상의 콘베이어 트랙(10)에 대해 횡방향으로 간격진 관계로 평행하게 뻗어있으며, 또한 안정부(28)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안정휠(36)과 맞물릴 수 있다. 설명된 콘베이어 시스템의 고가 형태에 대해서, 프레임 구조물(26)의 제품 지지부(27)가, 제품 유지 수단(31)이 콘베이어 트랙(10)에 대해 횡단 외향 및 수직 하향으로 배치되고 안정휠(36)에 의해 보조 트랙(34)의 맞물림을 통해 적합되도록 유리하게 배치되므로써, 제품 유지 수단(31)상에 장착된 제품(32) 이하로 연장된 캔틸레버로된 지지물을 형성한다. 그 결과, 제품(32)의 어떠한 부분도 콘베이어 트랙(10) 하부에 위치해 있지않아 콘베이어 트랙(10)과 연관된 가동 트롤리 및 체인 구성요소들로부터의 오염에 노출되지 않게 되며; 또한 제품(32)에 어떠한 부분도 캐리어(12)의 하부에 위치해 있지 않으므로써 캐리어(12)의 프레임 구조물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캐리어(12)의 구조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하면 프레임 구조물(26)은 콘베이어 트랙(10)에 대해 종으로 간격져 있으며, 그에 대해 횡방향으로 뻗어있는 한쌍의 프레임 부재(37,38)로 형성된다. 각각의 프레임 부재(37,38)는 콘베이어 트랙(10)의 제품 지지용 한쪽 측부(40)에 대해 측방으로 돌출하는 상부 부재(39)를 지니며, 또한 콘베이어 트랙(10)의 반대편 안정측부(42)에 대해 측방으로 돌출하는 안정 연장부(41)를 지닌다. 수직 부재(44)가 상부 부재(39)로부터 트랙의 제품 지지측부(40)에 대해 측방으로 돌출해있다.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프레임 부재들(46)이 프레임 부재(37,38)들의 상부 부재(45)들에 연결되었어 제품 지지부(27)를 형성하며,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지지부에 제품 유지 수단(31)이 부착되 있는데, 이후에 그 수단(31)은 수반된 특수한 제품의 치수 및 형상에 따라 설계되야 한다. 프레임부재(37,38)들의 종방향으로의 연결은 트랙에 중심이 잡힌 종방향 프레임 부재(48)에 의해, 또한 안정 연장부(41)의 말단을 연결하는 안정부 종방향 프레임 부재(50)에 의해 제공된다. 결과적인 프레임 구조물(26)은 횡방향 및 종방향 모두로 비교적 견고하게 고정되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12)의 쌍으로된 화물 수송 트롤리(29)가 쌍으로된 횡단 프레임 부재(38)사이의 종방향 간격에 상응하는 종방향 간격으로 콘베이어 트랙(10)의 캐리어 트랙(14)에 장착되었다. 현수 연결부(30)는, 제각기 수직 피보트(52) 및 수평 피보트(53)를 포함하는 연결부로서 프레임부재(38)와 트롤리(29) 사이에서 한쌍의 연결부를 형성하므로써, 캐리어(12)가 콘베이어 트랙(10)에서 필요로 하는 수평 및 수직 커브를 선회가능하게 하도록 한쌍의 수직축 및 한쌍의 수평축상의 캐리어 프레임 구조물(26)과 트롤리(29) 사이의 종방향 간격에 상응하는 길이로 종방향으로 간격져 있으며, 각각의 수직 피보트(52)의 축은 연관된 수평 피보트(53)의 축에 의해 교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트랙(34)에는, 쌍으로된 트롤리(29; 제2도)사이의 종방향 간격에 상응하는 종방향 간격으로 캐리어 프레임 구조물(26)의 안정부(28)에 장착된 한쌍의 안정휠(35,36)에 의해 맞물린 하향 트랙 표면(54; 제1도)이 제공되었다. 각각의 안정휠(35,36)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표면(54)과의 맞물림부 및 캐스터 휠의 세로축(58) 위치에서의 화살표(57)로 표시된 캐리어 이동방향에 대하여 미리 위치된 수직 선회축(56)을 지니는 캐스터 휠(caster wheel)이다. 그 맞물림 위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현수 피보트(52)중 하나의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정렬되있다.

    제4도에는, 캐리어(12)들이 콘베이어 트랙(10)의 수평커브를 따라 이동할 때 나타나는 안정휠(35,36)상에서의 코딩(chording) 효과가 개략적으로 기술되 있으며, 보조 트랙(34)의 표면(54)에는 보상 목적으로 넓혀진 부분(60)이 제공되야할 필요가 있다.

    제5도는 하나의 처리 스테이션(processing station)에서의 콘베이어 시스템에 대한 본 발명의 용도를 설명하는데, 캐리어(12)상에서 운송되는 제품들은, 특수한 처리조건들에 제품들을 종속시키기에 적절하게된 일부형태의 탱크(tank), 부츠(booth), 오븐(oven)이나 다른 설비를 모두 필요로 하는 청소(cleaning), 포스페이팅(phosphating), 도장(painting), 건조(drying)등과 같은 하나이상의 처리 과정을 겪게 된다. 이같은 처리조건들의 공통 사항은 그 처리조건들에 대해 제품들을 최대로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그 같은 처리 조건들에 대한 공통 사항은, 그러한 처리조건이 예컨대 고온, 부식성 분위기 또는 입자 형성에 노출된 콘베이어의 가동 트롤리 및 체인 요소들상에 어떤 형태의 악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제5도에 있어서, 처리 스테이션(64)이 횡방향으로 간격된 경로를 따라 배치되있으며, 그 스테이션에는 처리작업으로부터 콘베이어 요소들 및 그것을 분리하기 위한 트랙의 측부(40)를 따라 뻗어나가는 배리어 수단(66)이 제공되었다.

    배리어 수단은, 일반적으로 콘베이어 트랙(10)에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어있으며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슬로트(68)를 지니는 벽(67)을 포함하며, 횡단 캐리어 프레임 부재(37,38)의 상부 부재(39)가 그 슬로트(68)를 통해 뻗어나가 콘베이어 트랙(10)과 대면하는 벽(67)의 측부상의 처리 스테이션내의 제품유지 수단(31)에 의해 지지된 제품(32)을 위치시킨다. 가요성 플랩이나 플랩들(70)과 같은 시일(sealing) 수단이 슬로트(68)를 따라 제공될 수 있거나 그 부분들이 요구될 수 있어, 처리 조건으로부터 콘베이어 요소들을 격리시킨다.

    제5도에 도시된 처리 스테이션(64)은, 제품(32)이 담겨지는 액체(75)를 포함한 탱크 형태의 담을 형성하는 기부벽(74) 및 측벽(72,73)에 의해 한정된다. 캥크의 측벽(72)들 중 하나가 콘베이어 트랙 수준이하로 평행하게 연장되있고, 캐리어 횡단 프레임 부재(37, 38)의 상부부재(39)는 측벽(72)의 상향 연장부로서 형성된 배리어벽(67)내의 슬로트(68)를 통해 측벽(72)상의 콘베이어 트랙(10)에 대해 측방으로 뻗어있다. 그 결과로서, 하향 및 외향으로 배치된 제품유지 수단(31)에 의해 지지된 제품(32)은, 캐리어 프레임 구조물의 제품지지부(27)로부터의 최소한의 간섭 그리고 콘베이어 체인 및 트롤리 구성 요소들로부터의 이탈로써 처리용 스테이션(64)에 위치된다.

    캐리어 구조물이나 콘베이어 구조물 중 어느 것도 제품(32)위에 위치되있지 않기 때문에, 청소나 도장 작업과 같은 처리를 위한 스프레이 노즐들의 배치, 건조 처리용 오븐 덕트의 배치나 정전기 처리용 전국들의 더 효과적인 장착에 의해 자체적으로 처리 작업의 개선이 가능하게 된다.

    제6도 및 7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콘베이어 시스템 부분에 있어서, 돌격 및 자유형 콘베이어 트랙(10)은 주 캐리어 트랙(14), 분기 캐리어 트랙(78), 주 캐리어 트랙과 분기 캐리어 트랙사이의 교차부(79)를 포함하며, 트랙 스위치(80)가 그 교차부(79)에 제공되있다. 이 시스템내의 보조 트랙(34)은 주 캐리어 트랙(14)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있는 주 보조 트랙이 된다. 분기 보조 트랙(82)이, 교차부(79)에 인접한 주 보조 트랙(34)에 연결되있으며 주 캐리어 트랙(14)을 교차하는 분기 캐리어 트랙(78)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있다. 교차에 있어서, 분기 보조 트랙(82)에는 교차 보조 트랙(82)의 간격진 분기 단부(85,86)로 형성된 갭(84)의 길이가 캐리어(12)의 안정 캐스터휠들(35,36)사이의 종방향 간격보다 적음으로써 그 휠(35,36)들 중 하나가 갭(84)을 통과할 때 다른 휠은 보조 트랙(34 또는 82)과 맞물린다. 캐리어 프레임 구조물(26)이 충분한 견고성을 가지고 구성되있어 휠(35,36)들 중 하나에 의해 충분한 안정화를 허용한다. 만일 분기 캐리어 트랙(78)이 반대 방향으로 즉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보다는 좌측 방향으로 주 캐리어 트랙(14)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도록 캐리어 트랙 교차부(79)가 배치됐다면, 주 보조트랙(34)은 분기 캐리어 트랙을 교차할 것이며 그 트랙(34)에는 갭(84)이 제공될 것이다. 그러므로, 어느 형태의 교차부이건 간에, 주 및 분기 보조 트랙(34,82)중 하나가 주 및 분기 캐리어 트랙(14,78)중 하나를 교차할 것이며 갭(84)이 제공될 것이다.

    제7도에는 주 캐리어 트랙(14)과 교차 분기 보조 트랙(82)이 수직관계의 겹쳐지지 않은 관계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캐리어(12)의 안정휠(35,36)과 주 캐리어 트랙(14)사이에 수직 간극을 제공하며, 그 안정휠(35,36)이 주 및 분기 캐리어 트랙 수준이하에 위치된 하향 트랙표면(54)을 지니는 주 및 분기 보조 트랙(34,82)을 횡단하는 것이 도시되있다. 또한, 캐리어 프레임 구조물(26)이 주 및 분기 보조 트랙(34,82)의 수준 이하의 현수 수단(30)에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그 현수 수단이 갭(84)을 통과하는바 그 갭의 길이는 단지 현수 수단(30)의 통과를 허용하기에 충분하면 된다.

    갭(84)의 분기 보조트랙(82)의 이격된 단부(85,96)에 수직으로 플레어화된(flared)부분(88,89)이 제공되있어 캐스터 휠(35, 36)이 갭(84)을 횡단하여 이동하는 중에 나타날 수 있는 어떠한 사향 이동을 보상하며, 특히 트랙 단부(89)에 의해 형성된 갭의 출구측에서 캐리어가 제6도의 화살표(57)방향으로 이동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