콤바인의 스텝 조작 기구

申请号 KR1020110095111 申请日 2011-09-21 公开(公告)号 KR1020120046011A 公开(公告)日 2012-05-09
申请人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发明人 기따노다쯔야; 오꾸야마다까시; 가또오가쯔히데; 시모다요오헤이; 가와노다께시; 이께다마사루; 사끼야마요오스께;
摘要 PURPOSE: A step operating device of a combine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easily change the location of a step. CONSTITUTION: A step operating device of a combine comprises an operation part, a driving part(8), an elevation step(21), a step control rod(60), and a control handle(63). The operation part has an operation tool. The driving part is arranged in the upper part of an engine cover. The elevation step is installed in order to change the location thereof between an operation location and a storage location. To the bottom part of the step control rod, the elevation step is connected. To the top end of the step control rod, a manipulating handle is installed.
权利要求
  • 조향 조작구를 갖는 조종부와 엔진 커버의 상방에 배치된 운전 좌석을 탑승 운전부에 구비하고,
    상기 탑승 운전부에 대한 승강을 위한 승강용 스텝이 차체의 측방으로 전개된 작용 위치와 차체 근처로 퇴피한 저장 위치의 사이에서 위치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엔진 커버의 전방벽을 따라 상하로 연장된 스텝 조작 로드의 하단부에 상기 승강용 스텝이 연결되고, 상기 스텝 조작 로드의 상단부에 조작 핸들이 설치되고,
    상기 조작 핸들을 통한 상기 스텝 조작 로드의 상하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승강용 스텝의 위치 전환 조작이 행해지는, 콤바인의 스텝 조작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이 상기 엔진 커버의 상면을 따라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콤바인의 스텝 조작 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스텝이 상기 스텝 조작 로드의 상향의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작용 위치로부터 상기 저장 위치로 조작되고, 상기 스텝 조작 로드의 하향의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저장 위치로부터 상기 작용 위치로 조작되는, 콤바인의 스텝 조작 기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운전부에 대한 승강시에 파지되어 탑승자의 체중의 일부를 받는 승강 보조 핸들이 상기 조작 핸들보다도 차량의 후방 근처의 위치로부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차내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조작 핸들은 상기 승강 보조 핸들의 연장선과 교차하도록 평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차내측으로 경사져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의 스텝 조작 기구.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운전부를 구비한 캐빈이 엔진을 덮는 작업 위치와 상기 엔진을 노출시키는 비작업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차체에 대하여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용 스텝이 상기 차체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스텝 조작 로드는 적어도 상기 승강용 스텝에 연결된 하부 로드와 상기 조작 핸들을 구비한 상부 로드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의 스텝 조작 기구.
  • 说明书全文

    콤바인의 스텝 조작 기구 {STEP HANDLING MECHANISM OF COMBINE}

    본 발명은 조향 조작구를 갖는 조종부와 엔진 커버의 상방에 배치된 운전 좌석을 탑승 운전부에 구비하고, 탑승 운전부에 대한 승강을 위한 승강용 스텝이 차체의 측방으로 전개된 작용 위치와 차체 근처로 퇴피한 저장 위치의 사이에서 위치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의 스텝 조작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스텝 조작 기구에 관련되는 선행 기술 문헌 정보로서 하기에 나타내는 특허 문헌 1이 있다. 이 특허 문헌 1은 탑승 운전부가 캐빈으로 덮인 콤바인에 관한 것으로, 승강구에 대한 승강을 보조하는 승강용 스텝이 캐빈의 승강구를 폐쇄 가능한 슬라이드식 캐빈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작용 위치와 저장 위치의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전환 조작되는 구성이 기술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승강용 스텝을 차체 근처에 세워 설치한 저장 위치에 절첩함으로써, 작용 위치로 전개된 승강용 스텝이 경작지로부터 서 있는 농작물의 일부와 간섭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서는 슬라이드식 도어의 후단부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지만, 전단부는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원호 형상의 궤적으로 이동하도록 캐빈 내에 설치한 종축심 둘레로 회전되는 요동 아암의 자유단부가 슬라이드식 도어의 전후 방향 중앙보다도 전방 근처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요동 아암은 도어의 상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승강용 스텝의 조작 기구로서 하방의 도어의 요동 아암과 승강용 스텝을 연계시키는 푸시 풀 와이어를 설치하고 있다. 도어를 완전 개방으로부터 완전 폐쇄를 향하여 조작하면 푸시 풀 와이어를 통하여 스텝이 저장 위치를 향하여 끌어올려진다. 또한, 도어의 완전 개방 조작에 의해 승강용 스텝이 작용 위치로 전개되도록 승강용 스텝을 작용 위치를 향하여 가압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38792호 공보(0073 단락, 도 13)

    특허 문헌 1에 기술된 탑승 스텝 수납 기구에서는 캐빈 도어의 개폐 조작과 승강용 스텝의 위치 전환을 연동시키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복잡한 구성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예시한 종래 기술이 부여하는 과제를 감안하여, 콤바인의 승강용 스텝의 위치 전환을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간단한 구성의 스텝 조작 기구를 승강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의 스텝 조작 기구의 특징 구성은,

    조향 조작구를 갖는 조종부와 엔진 커버의 상방에 배치된 운전 좌석을 탑승 운전부에 구비하고,

    상기 탑승 운전부에 대한 승강을 위한 승강용 스텝이 차체의 측방으로 전개된 작용 위치와 차체 근처로 퇴피한 저장 위치의 사이에서 위치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엔진 커버의 전방벽을 따라 상하로 연장된 스텝 조작 로드의 하단부에 상기 승강용 스텝이 연결되고, 상기 스텝 조작 로드의 상단부에 조작 핸들이 설치되고, 상기 조작 핸들을 통한 상기 스텝 조작 로드의 상하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승강용 스텝의 위치 전환 조작이 행해지는 점에 있다.

    상기한 특징 구성에 의한 승강용 스텝 조작 기구에서는, 운전 좌석에 앉은 작업자가 스텝 조작 로드의 상단부에 있는 조작 핸들을 손으로 파지하고, 그대로 조작 핸들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조작함으로써 승강용 스텝을 작용 위치와 저장 위치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스텝 조작 로드는 엔진 커버의 전방벽을 따라 상하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탑승 운전부에 대하여 출입하는 작업자의 방해로 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조작 핸들이 상기 엔진 커버의 상면을 따라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이면, 작업자가 운전 좌석에 앉은 채의 자세로 조작 핸들을 파지하여, 상하로 조작하기 쉽다. 또한, 본 구성이면 탑승 운전부에 대하여 작업자가 출입할 때나 작물 등의 예취 작업시에 조작 핸들이 방해로 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승강용 스텝이 상기 스텝 조작 로드의 상향의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작용 위치로부터 상기 저장 위치로 조작되고, 상기 스텝 조작 로드의 하향의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저장 위치로부터 상기 작용 위치로 조작되는 점에 있다.

    본 구성이면, 운전 좌석의 작업자가 승강용 스텝을 저장 위치로 하고 싶은 경우에는 스텝 조작 로드를 상향으로, 승강용 스텝을 저장 위치로 하고 싶은 경우에는 스텝 조작 로드를 하향으로, 라는 식으로 스텝 조작 로드의 상하 조작을 직감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탑승 운전부에 대한 승강시에 파지되어 탑승자의 체중의 일부를 받는 승강 보조 핸들이 상기 조작 핸들보다도 차량의 후방 근처의 위치로부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차내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조작 핸들은 상기 승강 보조 핸들의 연장선과 교차하도록 평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차내측으로 경사져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이면, 작업자는 예를 들면 한쪽 발을 스텝에 놓고, 또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차내측으로 비스듬하게 내측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승강 보조 핸들을 한손으로 파지한 위치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탑승 운전부에 대하여 타고 내릴 수 있다. 또한, 조작 핸들은 승강 보조 핸들의 연장선과 교차하도록 평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차내측으로 경사져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하차시에 체중이 부주의하게 조작 핸들에 실릴 우려가 억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탑승 운전부를 구비한 캐빈이 엔진을 덮는 작업 위치와 상기 엔진을 노출시키는 비작업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차체에 대하여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용 스텝이 상기 차체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스텝 조작 로드는 적어도 상기 승강용 스텝에 연결된 하부 로드와 상기 조작 핸들을 구비한 상부 로드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이면, 스텝 조작 로드의 상부 로드를 하부 로드로부터 분리한다고 하는 간단한 사전 조작에 의해 캐빈을 비작업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져, 비작업 위치에서는 엔진 등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탑승 운전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스텝 조작 기구(작용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스텝 조작 기구(작용 위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스텝 조작 기구(저장 위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스텝 조작 기구(작용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작용 위치에 있어서의 스텝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9는 저장 위치에 있어서의 스텝을 도시하는 정면도.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콤바인의 전체 측면이, 도 2에는 그 전체 평면이 도시되어 있고, 이 콤바인은 파이프재 등으로 형성되는 기체 프레임(1)(차체의 일례)의 하부에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2)(주행부의 일례)를 장비하고, 기체 프레임(1)의 전방부에 예취 반송부(3)를 승강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기체 프레임(1)의 좌반부에 탈곡 장치(4)를 탑재하고, 그 탈곡 장치(4)의 후방부에 배출 볏짚 처리부(5)를 연결하고, 기체 프레임(1)의 우측 후방부에 곡립 탱크(6)를 탑재하고, 그 곡립 탱크(6)에 스크류 반송식 곡립 배출 장치(7)를 장비하고, 기체 프레임(1)의 우측 전방부에 탑승 운전부(8)를 형성함과 함께 그 탑승 운전부(8)를 덮는 캐빈(9)을 장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2)는 그들의 등속 구동으로 직진 상태를 현출하고, 또한 그들의 차동에 의해 선회 상태를 현출한다.

    예취 반송부(3)는 기체의 주행에 수반하여 예취 대상이 되는 소정 조수의 곡물대를 복수의 디바이더(10)나 복수의 기립 장치(11)로 분초하여 일으켜 세움과 함께 그들의 밑동측을 클리퍼형 절단 장치(12)로 절단하고, 절단 후의 예취 곡물대를 곡물대 반송 장치(13)로 기립 자세로부터 옆으로 쓰러진 자세로 자세 변경시키면서 후방의 탈곡 장치(4)를 향하여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탈곡 장치(4)는 예취 반송부(3)로부터의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에 대하여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탈곡부(도시하지 않음), 탈곡부로부터의 처리물에 대하여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선별부(도시하지 않음) 및 선별된 단립화 곡립을 1번물로서 회수하고, 지경이 붙어 있는 곡립 등을 2번물로서 회수하는 회수부(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하고, 회수한 1번물을 리프팅 컨베이어(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곡립 탱크(6)에 공급하고, 2번물을 2번 환원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선별부에 환원하고, 잘린 볏짚 등의 진애를 진애 배출구로부터 기체 외부로 배출하고, 탈곡 처리 후의 배출 볏짚을 배출 볏짚 처리부(5)에 공급한다.

    2번 환원 장치에는 2번물에 대하여 다시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처리부가 구비되어 있다. 배출 볏짚 처리부(5)는 탈곡부로부터의 배출 볏짚을 그대로 기체 후방으로 반송하여 기체 외부로 방출하는 긴 짚 방출 상태와, 탈곡부로부터의 배출 볏짚을 세단 장치에 공급하여 세단하고 나서 기체 외부로 방출하는 세단 방출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6)는 탑승 운전부(8)의 후방에 위치하는 작업 위치와, 탑승 운전부(8)의 후방을 개방하는 메인터넌스 위치(이점쇄선으로 나타낸다)로, 곡립 탱크(6)의 후방에 설정한 세로 방향의 축심(P1) 주위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작업 위치로 위치 변경한 상태에서는 리프팅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곡립의 저류나, 저류한 곡립의 곡립 배출 장치(7)에 의한 기체 외부로의 배출이 가능해지고, 메인터넌스 위치로 위치 변경한 상태에서는 탈곡 장치(4)와 곡립 탱크(6)의 사이나 곡립 탱크(6)와 탑승 운전부(8)의 사이 등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각종 기기나 전동계 혹은 조작계 등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쉬워진다.

    곡립 배출 장치(7)는 곡립 탱크(6)에 저류한 곡립을 곡립 탱크(6)의 저부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한 바닥 스크류(6A)에 의해 후방을 향하여 반송하고, 그 바닥 스크류(6A)의 반송단부에 세로 방향으로 연속 설치한 스크류식 세로 반송부(6B)에 의해 리프팅 반송하고, 그 세로 반송부(6B)의 반송단부에 상하 요동 가능 또한 선회 가능하게 연속 설치한 스크류식 배출 반송부(7A)에 의해, 트럭의 짐받이 등의 원하는 배출 위치를 향하여 반송하고, 배출 반송부(7A)의 반송단부에 형성한 배출구(7B)로부터 기체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곡립 탱크(6)의 후방에 세워 설치되는 세로 반송부(6B)의 스크류 축심(P1)이 곡립 탱크(6)의 위치 변경용 축심(P1)으로 설정되고, 세로 반송부(6B)가 곡립 탱크(6)의 위치 변경용 지주로 겸용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 운전부(8)는 기체 프레임(1)의 우측 전단부에 세워 설치한 프론트 패널(15)에 기체의 조향과 예취 반송부(3)의 승강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십자 요동식 조종 레버(16)(조향 조작구의 일례)나 주행 속도 등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7) 등을 장비하고, 프론트 패널(15)(조종부의 일례)의 좌측 단부에 연접하는 상태로 기체 프레임(1)의 전방부 좌우 중앙측에 세워 설치한 사이드 패널(18)에 주변속 장치로서 장비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변속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변속 레버(19) 및 예취 반송부(3)에 대한 전동을 단속하는 예취 클러치(도시하지 않음)의 전환 조작과 탈곡 장치(4)에 대한 전동을 단속하는 탈곡 클러치(도시하지 않음)의 전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레버(20) 등을 장비하고, 프론트 패널(15)� �� 사이드 패널(18)로 구획된 기체 프레임(1)의 우측 전방부에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탑승 스텝(21)을 부설하고, 그 탑승 스텝(21)의 후방 상방에 운전 좌석(22)을 배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 운전부(8)의 후방에는 엔진 보닛(24)의 일부를 이루는 엔진 커버(24A)가 형성되어 있고, 운전 좌석(22)은 이 엔진 커버(24A)의 상방에 전후 위치 조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엔진 보닛(24)은 보닛 본체(25)나, 그 보닛 본체(25)의 우측 후방부에 설치한 힌지(H1)를 통하여 개폐 요동 가능해지도록 보닛 본체(25)에 연결되는 보닛 커버(30)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보닛 커버(30)의 우측벽(30)에 흡기구(31)가 형성됨과 함께 방진망(32)이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엔진 커버(24A)의 우측 코너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 후방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경사 종벽부(24B)(전방벽의 일례)로 되어 있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룸에는 수랭식 엔진(34), 냉각 팬(도시하지 않음), 라디에이터(도시하지 않음), 공조용 콘덴서(도시하지 않음) 및 엔진(34)의 상방에 배치되는 에어 클리너(도시하지 않음) 등이 수용되어 있고, 냉각 팬의 흡인 작용으로 방진망(32)에 의해 제진되는 외기를 흡기구(31)로부터 엔진 룸 내에 유도하여 엔진(34)의 냉각 등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라디에이터나 콘덴서에 부착된 진애의 제거, 공조용 냉매의 보충 및 에어 클리너의 엘리먼트 교환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은 보닛 커버(30)를 개방 조작하여 엔진 룸의 우측방을 개방함으로써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 도 3 및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9)은 승강구(40)를 구비한 캐빈 프레임(42)에 프론트 글래스(43), 좌측 사이드 글래스(44), 우측 사이드 글래스(45), 리어 글래스(도시하지 않음) 및 루프부(47) 등을 장비하여 캐빈 본체(48)를 형성하고, 그 캐빈 본체(48)의 우측부에 세로 방향의 축심을 구비한 힌지(H2)를 통하여 승강구(40)를 폐색하는 완전 폐쇄 위치와 승강구(40)를 개방하는 완전 개방 위치에 걸쳐 요동 가능한 도어(49)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부(41)는 탑승 운전부(8)가 그 후방 하부인 운전 좌석(22)의 하방에 엔진 보닛(24)을 구비하는 점에서, 승강구(40)로서 그 상부측에 대하여 하부측이 전방 근처에 치우친 형상의 것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탑승 운전부(8)의 후방 하부에 엔진 보닛(24)을 구비하는 것이면서, 그 영향으로 좁아질 우려가 있는 승강구(40)의 하부측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그 결과 승강구(40)로부터의 승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 본체(48)는 엔진(34)의 상방에 위치하는 작업 위치와 엔진(34)의 전방부나 상부를 개방하는 메인터넌스 위치(이점쇄선으로 나타낸다)의 사이에서 탈곡 장치(4)의 우측 벽부의 전단부에 설치된 세로 방향의 축심(P2) 주위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캐빈 본체(48)의 메인터넌스 위치로의 전환은 미리 곡립 탱크(6)를 메인터넌스 위치로 전환한 후에 행해진다.

    탑승 스텝(21)을 지지하는 기체 프레임(1)의 스텝 지지부(23)에는 승강구(40)로부터의 승강을 돕는 수단으로서, 크롤러식 주행 장치(2)의 크롤러 벨트의 상단부와 동등한 높이에 제1 보조 스텝(51)(승강용 스텝의 일례)이 배치되고, 제1 보조 스텝(51)과 탑승 스텝(21)의 중간 높이에 제2 보조 스텝(52)이 배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폭 방향으로의 돌출량이 적은 제2 보조 스텝(52)은 접을 수 없는 고정식이지만, 제1 보조 스텝(51)은 탑승 운전부(8)의 측방으로 전개된 작용 위치와 탑승 운전부 근처에 세워 설치한 저장 위치의 사이에서 전후 방향의 축심(P3) 주위의 요동 전환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보조 스텝(52)은 보닛 커버(30)의 면으로부터 거의 돌출하고 있지 않다. 제1 보조 스텝(51)은 저장 위치에서 보닛 커버(30)의 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있지만, 작용 위치에서는 보닛 커버(30)로부터 우측으로 충분히 돌출하여 승강을 돕고 있다.

    제1 보조 스텝(51)의 요동 전환은 캐빈(9)의 내부까지 연장된 스텝 조작 로드(6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실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스텝 조작 로드(60)는 제1 보조 스텝(51)에 연결된 하부 로드(61)와, 하부 로드(61)의 상단부로부터 캐빈(9)의 내부까지 연장된 상부 로드(62)로 이루어진다. 하부 로드(61)와 상부 로드(62)는 제1 보조 스텝(51)과 제2 보조 스텝(52)의 중간 높이에 배치된 조인트부(64)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부 로드(62)는 조인트부(64)에 연결된 하단부로부터 탑승 스텝(21)의 상방까지 대략 바로 위에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 길이가 긴 제1 연장부(62A)와, 제1 연장부(62A)로부터 엔진 커버(24A)의 경사 종벽부(24B)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연장된 짧은 제2 연장부(62B)와, 제2 연장부(62B)의 상단부로부터 다시 대략 바로 위에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 길이가 긴 제3 연장부(62C)와, 제3 연장부(62C)의 상단부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제4 연장부(62D)를 갖는다.

    제2 보조 스텝(52)의 후단부 부근에 상당하는 캐빈 본체(48)의 개소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역 L자 형상의 안내 브래킷(65)이 지지되어 있다. 상부 로드(62)의 제2 연장부(62B)가 안내 브래킷(65)에 형성된 안내 관통 구멍(65H)과, 탑승 스텝(21)을 구성하는 강판에 형성된 안내 관통 구멍(21H)에 삽입 관통되고, 이들 안내 관통 구멍(65H, 21H)에 의해 미끄럼 이동 안내됨으로써 스텝 조작 로드(60)의 상하 이동 경로가 정해져 있다.

    상부 로드(62)의 제3 연장부(62C)는 엔진 커버(24A)의 경사 종벽부(24B)를 따라 엔진 커버(24A)의 상면(24T)을 초과하는 높이까지 연장되고, 거기에서 엔진 커버(24A)의 상면(24T)을 따라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제4 연장부(62D)에는 고무제 또는 수지제의 커버가 외부 삽입되어 조작 핸들(63)을 구성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핸들(63)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조작하기 쉽고, 또한 비조작시에는 방해로 되지 않도록 제4 연장부(62D)로부터 후방 또한 내측 근처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다. 작업자는 운전 좌석(22)에 걸터앉은 채의 자세로 조작 핸들(63)을 파지하여 스텝 조작 로드(60)를 상하 이동시켜, 제1 보조 스텝(51)을 요동 조작할 수 있다.

    스텝 조작 로드(60)의 하단부 위치는 제1 보조 스텝(51)의 작용 위치와 대응하고, 스텝 조작 로드(60)의 상단부 위치는 제1 보조 스텝(51)의 저장 위치와 대응하고 있다. 스텝 조작 로드(60)의 길이는 제1 보조 스텝(51)이 작용 위치가 되는 스텝 조작 로드(60)의 하단부 위치에 있어서, 조작 핸들(63)이 표준 높이에 설정된 운전 좌석(22)의 시트의 하면(22B)과 엔진 커버(24A)의 상면(24T)의 중간 높이에 오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스텝 조작 로드(60)의 상단부 위치에서는 조작 핸들(63)이 운전 좌석(22)의 시트의 하면(22B)의 높이에 오도록 설정하면 된다.

    제1 보조 스텝(51)의 차량 전후 방향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보조 지지판(54A, 54B)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보조 지지판(54A, 54B)은 제1 보조 스텝(51)의 작용 위치에 있어서 차량 폭 방향에 관하여 제1 보조 스텝(51)의 중앙부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텝 지지부(23)의 프레임(23A)으로부터는 한 쌍의 지지 브래킷(70)이 차량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각 지지 브래킷(70)은 프레임(23A)에 용접된 기단부(70A)와, 기단부(70A)의 차량 전후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차량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한 쌍의 지지 아암부(70B)를 일체적으로 구비한다. 전후의 보조 지지판(54A, 54B)은 이들 한 쌍의 지지 아암부(70B)의 사이에 내장된 상태에서 보조 지지판(54A, 54B)에 형성된 제1 관통 구멍과 지지 아암부(70B)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동시에 삽입 관통되는 한 쌍의 연결 핀(71)에 의해 피봇지지되어 있다.

    연결 핀(71)을 삽입 관통하는 제1 관통 구멍은 제1 보조 스텝(51)이 작용 위치일 때에 보조 지지판(54A, 54B)의 차량 폭 방향의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스텝 조작 로드(60)의 하부 로드(61)의 하단부는 제1 보조 스텝(51)이 작용 위치일 때에 후방측의 보조 지지판(54B)의 제1 관통 구멍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제2 관통 구멍에 피봇지지되어 있다.

    제1 보조 스텝(51)에는 제1 보조 스텝(51)을 작용 위치와 저장 위치의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위치 결정하는 토글 스프링식 위치 규제 기구로서 1개의 코일 스프링(80)이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80)의 일단부는 전방측의 보조 지지판(54A)의 차량 전후 방향에 관하여 제2 관통 구멍과 일치하는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지지축(73)에 걸리고, 코일 스프링(80)의 타단부는 프레임(23A)의 외면으로부터 대체로 수평한 자세로 연장된 걸림판(23B)에 걸려 있다.

    전방측의 한 쌍의 지지 아암부(70B) 사이의 하방 위치에는 제1 보조 스텝(51)의 작용 위치에 있어서 제1 보조 스텝(51)의 차량 폭 방향에 관한 내측 단부의 상단부가 코일 스프링(80)의 가압력에 의해 압박되는 작용 위치 규제판(75)이 배치되어 있다.

    전방측의 한 쌍의 지지 아암부(70B)의 상단부에는 제1 보조 스텝(51)의 저장 위치에 있어서 전방측의 보조 지지판(54A)의 상단부에 설치된 피규제판(55)의 상단부가 코일 스프링(80)의 가압력에 의해 압박되는 저장 위치 규제판(76)이 배치되어 있다.

    차량 밖에서 보았을 때 운전 좌석(22)의 후방에는 탑승 운전부(8)에 대한 승하차시에 주로 탑승자의 왼쪽 손에 의해 파지되어 탑승자의 체중의 일부를 받기 위한 승강 보조 핸들(85)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 보조 핸들(85)은 엔진 커버(24A)의 상면(24T)으로부터 상향으로 세워 설치된 보조 로드(84)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보조 핸들(85)은 표준 높이에 설정되어 있는 운전 좌석(22)의 시트의 상면(22A)과 하면(22B)의 중간 높이에 있고, 스텝 조작 로드(60)의 조작 핸들(63)보다도 차량의 후방 근처의 위치로부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차내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조작 핸들(63)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차내측으로 경사져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핸들(63)은 승강 보조 핸들(85)의 연장선과 대략 수직으로 교차하고 있지만, 평면에서 보았을 때 승강 보조 핸들(85)의 선단과 조작 핸들(63)의 사이에는 조작 핸들(63)의 직경을 상회하는 간극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보조 스텝(51)이 작용 위치에 있을 때, 조작 핸들(63)은 승강 보조 핸들(85)보다도 충분히 낮은 위치에 있고, 또한 승강 보조 핸들(85)보다도 캐빈(9)의 내측 근처에 있기 때문에, 탑승자가 제1 보조 스텝(51)과 제2 보조 스텝(52)에 발을 두면서 탑승 스텝(21)을 향할 때, 조작 핸들(63)보다도 승강 보조 핸들(85)이 먼저 탑승자의 시야에 들어온다. 또한, 탑승자로부터 보았을 때 좌측에 보이는 승강 보조 핸들(85)은 탑승자가 연장 방향을 확인하기 쉽고 또한 왼쪽 손으로 파지하기 쉬운 각도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조작 핸들(63)은 탑승자가 연장 방향을 확인하기 어렵고 또한 좌우 어느 쪽 손으로도 파지하기 어려운 각도로 연장되어 있다.

    하부 로드(61)와 상부 로드(62)를 연결하는 조인트부(64)는 하부 로드(61)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슬리브체(61A)를 구비하고 있다. 슬리브체(61A)에는 상부 로드(62)의 하단부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슬리브체(61A)의 상단부에는 서로 직경 방향에서 대향한 한 쌍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로드(62)의 하단부에도 서로 직경 방향에서 대향한 한 쌍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체(61A)의 상단부와 상부 로드(62)의 하단부는 이들 관통 구멍에 동시에 횡방향으로 삽입 관통된 연결 핀(90)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 핀(90)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는 연결 핀(64P)의 빠짐 방지 수단으로서 분할핀(91)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캐빈 본체(48)를 세로 방향의 축심(P2) 주위로 메인터넌스 위치로 전환할 때에는 제2 보조 스텝(52)은 캐빈 본체(48)와 함께 회전하지만, 제1 보조 스텝(51)은 캐빈 본체(48)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기체 프레임(1)측에 남는다. 따라서, 안내 브래킷(65)의 관통 구멍(65H)과 탑승 스텝(21)의 안내 관통 구멍(21H)에 동시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상부 로드(62)가 메인터넌스 위치에의 전환의 장해가 되기 때문에, 미리 상부 로드(62)를 제거한 상태에서 전환이 실시된다. 이 경우에는 분할핀(91)을 제거하고, 연결 핀(64P)을 빼내면, 상부 로드(62)를 안내 브래킷(65)의 관통 구멍(65H)과 탑승 스텝(21)의 안내 관통 구멍(21H)으로부터 상향으로 빼낼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스텝 조작 로드(60)의 상하 이동 조작에 의해 제1 보조 스텝(51)과 제2 보조 스텝(52)의 양쪽을 위치 전환할 수 있는 형태로 실시하여도 된다.

    <2> 제1 보조 스텝(51)의 작용 위치와 저장 위치의 위치 전환을 세로 방향의 축심 주위의 요동 또는 좌우 방향의 미끄럼 이동으로 행하는 형태로 실시하여도 된다.

    <3> 캐빈 본체(48)에 대한 엔진(34)의 상방에 위치하는 작업 위치와 엔진(34)의 전방부나 상부를 개방하는 메인터넌스 위치의 사이에서의 위치 변경이, 세로 방향의 축심(P2) 주위가 아니라 캐빈 본체(48)의 하부 전단부 부근 등에 차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로 축심 주위에서 행해지는 형태로 실시하여도 된다.

    조향 조작구를 갖는 조종부와 엔진 커버의 상방에 배치된 운전 좌석을 탑승 운전부에 구비한 콤바인(보통형 콤바인이나 캐빈이 없는 콤바인을 포함한다)에 대하여, 탑승 운전부에 대한 승강을 위한 승강용 스텝을 차체의 측방으로 전개된 작용 위치와 차체 근처로 퇴피한 저장 위치의 사이에서 위치 전환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1 : 기체 프레임(차체)
    2 : 크롤러식 주행 장치(주행부)
    8 : 탑승 운전부
    9 : 캐빈
    15 : 조종부
    16 : 조향 조작구
    21 : 탑승 스텝
    21H : 안내 관통 구멍
    22 : 운전 좌석
    24 : 엔진 보닛
    24A : 엔진 커버
    24B : 경사 종벽부(전방벽, 엔진 커버)
    24T : 상면(엔진 커버)
    34 : 엔진
    40 : 승강구
    48 : 캐빈 본체
    51 : 제1 보조 스텝(승강용 스텝)
    52 : 제2 보조 스텝
    60 : 스텝 조작 로드
    61 : 하부 로드
    62 : 상부 로드
    63 : 조작 핸들
    64 : 조인트부
    65 : 안내 브래킷
    65H : 안내 관통 구멍
    70 : 지지 브래킷
    70A : 기단부
    70B : 지지 아암부
    71 : 연결 핀
    73 : 지지축
    80 : 코일 스프링
    84 : 보조 로드
    85 : 승강 보조 핸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