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차의 차체 구조

申请号 KR1020130026846 申请日 2013-03-13 公开(公告)号 KR101562698B1 公开(公告)日 2015-10-30
申请人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发明人 후지모토히로오; 야스노베다이스케; 이나바다이스케;
摘要 본발명의과제는, 탑승스텝의이면측에형성한수납공간에대한연료탱크나배터리등의착탈, 및, 그연료탱크나배터리등에대한유지보수를행하기쉽게하는것이다. 탑승스텝(8)의가로외단부에착탈가능한커버부재(27)에, 탑승스텝(8)의이면측의수납공간(18)을가로외측으로부터덮는세로로향한커버면(27A)과, 커버면(27A)의상단부로부터탑승스텝(8)을향하는상단연장부(27B)와, 커버면(27A)의전단부로부터탑승스텝(8)을향하는전단연장부(27C)와, 커버면(27A)의후단부로부터탑승스텝(8)을향하는후단연장부(27D)를구비하고, 상단연장부(27B)의전단부와전단연장부(27C)의상단부를접속하고, 또한, 상단연장부(27B)의후단부와후단연장부(27D)의상단부를접속하여, 상단연장부(27B)와전단연장부(27C)와후단연장부(27D)로부터형성한외연부(27E)를커버부재(27)에구비하였다. 본발명의과제는, 미션케이스의가로폭 방향에서의크기의소형화를도모하면서, 메인필터및 HST 필터의조립을행하기쉽게하는것이다. 미션케이스(2003)의횡측부의일방측에는, 메인필터(2040)를조립하는메인용조립개소(2048)와 HST 필터(2041)를조립하는 HST용조립개소(2049)가인접배치되어있고, 메인용조립개소(2048)에는, 미션케이스(2003)측으로부터메인필터(2040)에오일을공급하는메인용공급구(2043)와메인필터(2040)로부터배출되는오일을미션케이스(2003)측에수용하는메인용수용구(2044)가구비되고, HST용조립개소(2049)에는, 미션케이스(2003)측으로부터HST 필터(2041)에오일을공급하는 HST용공급구(2045)와 HST 필터(2041)로부터배출되는오일을미션케이스(2003) 측에수용하는 HST용수용구(2046)가구비되어있다.
权利要求
  • 탑승 스텝의 이면측에 수납 공간을 형성한 작업차의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에 연료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 탱크를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단부를 상기 연료 탱크의 단부를 따라서 차체의 전후 방향에서 보아 크랭크 형상으로 상향으로 굴곡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료 탱크의 단부의 하부측을 가로 외측으로부터 덮어서 보호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료 탱크를 가로 외측으로부터 덮는 세로로 향한 커버면을 구비한 커버 부재를 상기 탑승 스텝의 가로 외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에, 상기 커버면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탑승 스텝을 향하여 연장하는 상단 연장부와, 상기 커버면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탑승 스텝을 향하여 연장하는 전단 연장부와, 상기 커버면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탑승 스텝을 향하여 연장하는 후단 연장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상단 연장부의 전단부와 상기 전단 연장부의 상단부를 접속하고, 또한, 상기 상단 연장부의 후단부와 상기 후단 연장부의 상단부를 접속하여,
    상기 상단 연장부와 상기 전단 연장부와 상기 후단 연장부로부터 형성한 외연부를 상기 커버 부재에 구비하도록 구성한 작업차의 차체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스텝에, 그 스텝면에 있어서의 좌우 양단측의 전후 양단부로부터 수직 하강하는 보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 연장부와 상기 전단 연장부와 상기 후단 연장부 각각을, 상기 탑승 스텝의 상기 스텝면 및 전후의 상기 보강부 중 대응 개소에 연결하는 연결부에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차체 구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에, 상기 탑승 스텝에 대한 승강용의 보조 스텝을 장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차체 구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커버면에, 상기 보조 스텝의 스텝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아암부의 삽입 관통을 허용하는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에 삽입 관통한 상기 아암부의 연장부를 상기 상단 연장부에 용접하고, 또한, 상기 개구에 삽입 관통한 상기 아암부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의 주연부와의 인접 개소를 상기 주연부에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차체 구조.
  • 삭제
  • 삭제
  • 삭제
  • 说明书全文

    작업차의 차체 구조{BODY STRUCTURE OF WORK VEHICLE}

    본 발명은 탑승 스텝의 이면측에 수납 공간을 형성한 작업차의 차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차에 구비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HST)의 차지 오일 공급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작업차의 일례인 트랙터에 있어서는, 탑승 스텝(스텝)을 답면부와, 이 답면부의 전연부 및 외측연부로부터 절곡함으로써 하방에 연장 설치한 보강부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 지면과 탑승 스텝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운전부에 대한 승강을 용이하게 하는 보조 스텝을, 탑승 스텝(운전부 바닥)의 양쪽 횡단부에 전후 한 쌍의 지지체를 개재하여 연결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에서는, 유압 펌프와 유압 모터를 연결시키는 한 쌍의 유로를 구비한 폐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그 폐회로에 엔진 동력으로 구동되는 차지 펌프로부터의 차지 오일을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그 차지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차지 오일 공급 구조로서, 차지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소정압의 오일을 폐회로에 공급하는 차지 오일 공급로를 구비하고 있고, 그 차지 오일 공급로에는, 차지 오일의 통류 방향의 상류측부터 순서대로 메인 필터, 차지 펌프, HST 필터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차지 오일 공급로에 의해, 메인 필터와 HST 필터의 2개의 필터를 통과한 차지 오일을 폐회로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3 참조.) .

    이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구조에서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수납되는 변속 케이싱과, 그 변속 케이싱의 단부에 연결된 포트 블록 및 미션 케이스가 구비되어 있다. 차지 오일 공급로는 포트 블록, 변속 케이싱 및 미션 케이스의 벽 내에 형성된 내부 유로를 구비하고 있고, 그 내부 유로의 도중 부위가 미션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된 메인 필터 및 HST 필터에 접속되어 있다. 메인 필터는 미션 케이스의 가로 외측부의 일방측에 구비되고, HST 필터는 미션 케이스의 가로 외측부의 타방측에 구비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8-108754호 공보(단락 번호 0013, 도 1 내지 3)

    일본 특허 공개 2007-125931호 공보(단락 번호 0018 내지 0023, 도 1 내지 4)

    일본 특허 공개 2006-329301호 공보

    최근, 트랙터 등의 작업차에 있어서는, 탑승 스텝의 이면측을 연료 탱크나 배터리 등의 수납 공간에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고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의 구성에서는, 답면부의 외측연부로부터 하방에 연장 설치하는 보강부, 또는, 탑승 스텝의 양쪽 횡단부에 연결한 보조 스텝이 방해되어 탑승 스텝의 이면측의 수납 공간에 대한 연료 탱크나 배터리 등의 착탈, 및, 그 수납 공간에 배치한 연료 탱크나 배터리 등에 대한 유지 보수가 행하기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 스텝의 이면측에 형성한 수납 공간에 대한 연료 탱크나 배터리 등의 착탈, 및, 그 수납 공간에 배치한 연료 탱크나 배터리 등에 대한 유지 보수를 행하기 쉽게 하는 데에 있다.

    상기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구조에서는, 메인 필터는 미션 케이스의 가로 외측부의 일방측에 구비되고, HST 필터는 미션 케이스의 가로 외측부의 타방측에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미션 케이스의 가로 외측부의 일방측 및 타방측의 양측에 있어서, 미션 케이스의 가로 폭 방향의 외측에 돌출하도록 필터가 구비되게 되어 미션 케이스의 가로 폭 방향에서의 크기가 커진다. 또한, 미션 케이스의 가로 외측부의 일방측 및 타방측의 양측에 있어서, 유밀 형상으로 필터를 조립하지 않으면 안되어, 그 조립 작업이 시간이 걸리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미션 케이스의 가로 폭 방향에서의 크기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메인 필터 및 HST 필터의 조립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차지 오일 공급 구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탑승 스텝의 이면측에 수납 공간을 형성한 작업차의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을 가로 외측으로부터 덮는 세로로 향한 커버면을 구비한 커버 부재를 상기 탑승 스텝의 가로 외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에, 상기 커버면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탑승 스텝을 향하여 연장하는 상단 연장부와, 상기 커버면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탑승 스텝을 향하여 연장하는 전단 연장부와, 상기 커버면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탑승 스텝을 향하여 연장하는 후단 연장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상단 연장부의 전단부와 상기 전단 연장부의 상단부를 접속하고, 또한, 상기 상단 연장부의 후단부와 상기 후단 연장부의 상단부를 접속하여,

    상기 상단 연장부와 상기 전단 연장부와 상기 후단 연장부로부터 형성한 외연부를 상기 커버 부재에 구비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의 발명에서는, 탑승 스텝의 이면측의 수납 공간에 배치한 연료 탱크나 배터리 등을 커버 부재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수납 공간에 대한 연료 탱크나 배터리 등의 착탈, 또는, 그 수납 공간에 배치한 연료 탱크나 배터리 등에 대한 유지 보수를 행할 경우에는, 탑승 스텝의 가로 외단부로부터 커버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수납 공간을 차체의 가로 외방으로 개방할 수 있고, 차체의 가로 외방으로부터의 수납 공간에 대한 연료 탱크나 배터리 등의 착탈, 및, 수납 공간에 배치한 연료 탱크나 배터리 등에 대한 유지 보수가 행하기 쉬워진다.

    또, 상단 연장부와 전단 연장부와 후단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외연부를 커버 부재에 구비한 것에 의해, 커버 부재의 보형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이 커버 부재를 탑승 스텝의 가로 외단부에 설치함으로써, 탑승 스텝의 가로 외단부측에서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통상은 보형 강도가 높은 커버 부재를 탑승 스텝의 가로 외단부에 설치하여 둠으로써, 탑승 스텝의 이면측의 수납 공간에 배치한 연료 탱크나 배터리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면서 탑승 스텝으로서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수납 공간에 대한 연료 탱크나 배터리 등의 착탈, 또는, 그 수납 공간에 배치한 연료 탱크나 배터리 등에 대한 유지 보수를 행할 경우에는, 커버 부재를 탑승 스텝의 가로 외단부로부터 제거함으로써, 그 착탈이나 유지 보수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탑승 스텝에, 그 스텝면에 있어서의 좌우 양단측의 전후 양단부로부터 수직 하강하는 보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 연장부와 상기 전단 연장부와 상기 후단 연장부 각각을, 상기 탑승 스텝의 상기 스텝면 및 전후의 상기 보강부 중 대응 개소에 연결하는 연결부에 구성하였다.

    상기의 발명에서는, 상단 연장부와 전단 연장부와 후단 연장부 각각을, 탑승 스텝의 스텝면 및 전후의 보강부 중 대응 개소에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단 연장부와 전단 연장부와 후단 연장부 중 어느 하나를 탑승 스텝에 연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형 강도가 높은 커버 부재를 탑승 스텝의 가로 외단부측에서의 강도를 높이는 보강 부재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에 의한 탑승 스텝의 보강을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에, 상기 탑승 스텝에 대한 승강용의 보조 스텝을 장비하였다.

    상기의 발명에서는, 통상은 보조 스텝을 장비한 커버 부재를 탑승 스텝의 가로 외단부에 설치하여 둠으로써, 탑승 스텝에 대한 승강 시에 보조 스텝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탑승 스텝에 대한 승강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수납 공간에 대한 연료 탱크나 배터리 등의 착탈, 또는, 그 수납 공간에 배치한 연료 탱크나 배터리 등에 대한 유지 보수를 행할 경우에는, 커버 부재를 탑승 스텝의 가로 외단부로부터 제거함으로써, 그와 동시에 보조 스텝도 탑승 스텝의 가로 외단부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수납 공간을 차체의 가로 외방으로 개방할 수 있다.

    즉, 커버 부재와 보조 스텝을 개별적으로 착탈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커버 부재 및 보조 스텝의 착탈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수납 공간에 대한 연료 탱크나 배터리 등의 착탈, 또는, 그 수납 공간에 배치한 연료 탱크나 배터리 등에 대한 유지 보수 시에 커버 부재 및 보조 스텝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 스텝의 이면측의 수납 공간에 대한 연료 탱크나 배터리 등의 착탈성, 및, 그 수납 공간에 배치한 연료 탱크나 배터리 등에 대한 유지 보수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탑승 스텝에 대한 승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커버면에, 상기 보조 스텝의 스텝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아암부의 삽입 관통을 허용하는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에 삽입 관통한 상기 아암부의 연장부를 상기 상단 연장부에 용접하고, 또한, 상기 개구에 삽입 관통한 상기 아암부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의 주연부와의 인접 개소를 상기 주연부에 용접하였다.

    상기의 발명에서는, 보조 스텝을 커버 부재에 견고하게 용접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보조 스텝을 커버 부재의 보형 강도를 높이는 보강 부재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보형 강도를 높인 커버 부재를 탑승 스텝의 가로 외단부에 설치함으로써, 탑승 스텝의 가로 외단부측에서의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탑승 스텝에 대한 승강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커버 부재 및 탑승 스텝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차지 오일 공급 구조의 특징 구성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수납되는 변속 케이싱과, 그 변속 케이싱에 대하여 미션 케이스가 위치하는 측의 단부에 연결되는 포트 블록과, 상기 변속 케이싱, 상기 포트 블록 및 상기 미션 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에 차지 오일을 공급하는 차지 오일 공급로가 구비되고, 상기 차지 오일 공급로에는, 차지 오일의 통류 방향의 상류측부터 순서대로 메인 필터, 차지 펌프, HST 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미션 케이스의 횡측부의 일방측에는, 상기 메인 필터를 조립하는 메인용 조립 개소와 상기 HST 필터를 조립하는 HST용 조립 개소가 인접 배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용 조립 개소에는, 상기 미션 케이스측으로부터 상기 메인 � �터에 오일을 공급하는 메인용 공급구와 상기 메인 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상기 미션 케이스측에 수용하는 메인용 수용구가 구비되고, 상기 HST용 조립 개소에는, 상기 미션 케이스측으로부터 상기 HST 필터에 오일을 공급하는 HST용 공급구와 상기 HST 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상기 미션 케이스측에 수용하는 HST용 수용구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메인용 조립 개소와 HST용 조립 개소가 미션 케이스의 횡측부의 일방측에 구비되어 있고, 그 미션 케이스의 횡측부의 일방측에 있어서 인접 배치되어 있으므로, 메인 필터와 HST 필터를 미션 케이스의 횡측부의 일방측에 집중하여 조립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메인 필터와 HST 필터의 설치 공간으로서도 최대한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미션 케이스의 가로 폭 방향에서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메인 필터와 HST 필터의 설치 공간으로서도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필터와 HST 필터를 조립할 때에는, 메인용 공급구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흡인하여 메인용 수용구에 배출하도록 메인 필터를 조립하는 것만으로 되며, 메인 필터를 유밀 형상으로 간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HST 필터에 대해서도, 메인 필터와 마찬가지로, HST용 공급구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흡인하여 HST용 수용구에 배출하도록 HST 필터를 조립하는 것만으로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차지 오일 공급 구조의 또 하나의 특징 구성은, 상기 차지 펌프는, 상기 포트 블록의 상기 미션 케이스가 위치하는 측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차지 오일 공급로에 있어서 상기 메인용 수용구부터 상기 차지 펌프에 이르는 차지 펌프 공급용 부위가 오일의 통류 방향을 변경시키도록 절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지 오일 공급로에 있어서 상기 차지 펌프부터 상기 HST용 공급구에 이르는 차지 펌프 배출용 부위가 오일의 통류 방향을 변경시키도록 절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지 펌프 공급용 부위 및 상기 차지 펌프 배출용 부위는, 상기 미션 케이스의 벽 내에 형성된 내부 유로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메인용 수용구로부터 수용되는 오일의 통류 방향과 차지 펌프에 있어서의 오일의 유입 방향이 상이한 경우나, 차지 펌프에 있어서의 오일의 토출 방향과 HST용 공급구를 향하여 통류하는 오일의 통류 방향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차지 오일 공급로를 파이프 등의 관상체로 구성하고 있으면, 그 관상체를 절곡하여 유로를 구성해야 한다. 따라서, 관상체의 절곡 각도에 한계가 있고, 유로의 배치 위치에 대한 자유도가 저하되거나, 또는, 관상체의 손상을 초래하기 쉬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절곡 형상으로 형성하는 차지 펌프 공급용 부위 및 차지 펌프 배출용 부위를, 미션 케이스의 벽 내에 형성된 내부 유로로 구성함으로써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차지 오일 공급 구조의 또 하나의 특징 구성은, 상기 메인 필터는, 상기 메인용 조립 개소에 대하여 그 선단측이 그 기단부측보다도 하방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경사 자세로 조립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HST 필터는, 상기 HST용 조립 개소에 대하여 그 선단측이 그 기단부측보다도 하방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경사 자세로 조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메인 필터 및 HST 필터를 경사 자세로 조립함으로써 미션 케이스의 가로 폭 방향에서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양쪽 필터의 흡인구를 오일면보다도 하방측에 위치시키도록 조립할 수 있고, 양쪽 필터 내에서의 정체 공간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유지 보수 등에 의해 양쪽 필터를 교환하는 경우라도, 그 제거 방향을 그 조립 개소로부터 기울기 하방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할 수 있고, 그 조립 방향을 지면 등으로부터 그 조립 개소를 향하는 비스듬한 상방측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억제하면서 양쪽 필터의 제거 및 조립을 행할 수 있고, 한정된 스페이스에 양쪽 필터를 적절하게 배치시키면서, 그 교환 작업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트랙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트랙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좌측의 커버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사시도(A)와 좌측의 커버 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사시도(B)이다.
    도 4는 우측의 커버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사시도(A)와 우측의 커버 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사시도(B)이다.
    도 5는 커버 부재의 설치 구조 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6은 커버 부재(우측)의 설치 구조 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우측면도이다.
    도 7은 커버 부재(우측)의 설치 구조 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8은 좌측의 커버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트랙터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10은 트랙터의 전동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주행 기체의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트랙터의 전동계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유압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미션 케이스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미션 케이스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트랙터의 주요부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17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유압 회로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일례로서,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의 차체 구조를, 작업차의 일례인 트랙터에 적용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예시하는 트랙터는, 그 전방부에 탑재한 엔진(1)의 후방부에 클러치 하우징(2)을 연결하고, 이 클러치 하우징(2)에, 프레임 겸용의 트랜스미션 케이스(이하, T/M 케이스라고 약칭함)(3)를, 클러치 하우징(2)의 후방부로부터 차체 후방부를 향하여 연장하도록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엔진(1) 등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엔진 본네트(4)의 좌우 양측방 개소에, 좌우 한 쌍의 전륜(5)을 조타 가능 또한 구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또한, T/M 케이스(3)의 후방부 좌우 양측방 개소에, 좌우 한 쌍의 후륜(6)을 구동 가능 또한 제동 가능하게 배치하여 4륜 구동형으로 구성하고 있다.

    T/M 케이스(3)의 상방에는 탑승 운전부(7)를 형성하고 있다. 탑승 운전부(7)에는, T/M 케이스(3)의 전방부측 등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판금제의 탑승 스텝(8)을 부설하고, 또한, 전륜 조타용의 스티어링 휠(9)이나 운전 좌석(10) 등을 배치하고 있다. 운전 좌석(10)의 좌우 양측방 개소에는, 좌우의 후륜(6)의 상부측을 탑승 운전부측으로부터 덮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펜더(11)를 배치하고 있다. 운전 좌석(10)의 후방 개소에는, 전후 방향에서 보다 역U자 형상으로 형성한 보호 프레임(12)을 세워 설치하고 있다.

    T/M 케이스(3)의 후방부에는, 트랙터의 후방부에 연결하는 로터리 경운 장치나 플라우 등의 작업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승강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좌우 한 쌍의 리프트 아암(13), 좌우의 리프트 아암(13)을 상하 방향으로 요동 구동하는 유압식의 리프트 실린더(14), 및, 트랙터의 후방부에 로터리 경운 장치 등의 구동형의 작업 장치를 연결할 경우에 작업 동력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PTO축(15) 등을 배치하고 있다.

    도 1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 스텝(8)은 전방부측의 좌우 양단부가 좌우의 리어 펜더(11)의 전방에 위치하고, 또한, 후방부측이 좌우의 리어 펜더(11)의 사이에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한 스텝면(8A)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T/M 케이스(3)에 대향하는 스텝면(8A)의 좌우 중간부(8Aa)를 상방으로 팽출하는 상태로 굴곡 형성함으로써, 그 좌우 중간부(8Aa)에서의 보형 강도를 높이고 있다. 또, 좌우 중간부(8Aa)로부터 좌우에 소정 간격을 둔 좌우의 가로 외측부 근방의 위치에, 채널 강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보강 부재(16) 등을 용접함으로써, 좌우의 가로 외측부 근방의 위치를 보강하고 있다. 그리고, 보강한 좌우의 가로 외측부 근방의 위치를, T/M 케이스(3)로부터 연장 설치한 좌우의 지지 부재(17) 등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받침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3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 스텝(8)의 전단부에는, 엔진 본네트(12)와의 인접 개소로부터 탑승 스텝(8)의 가로 외측단부에 걸친 영역에서 하향으로 굴곡함으로써, 탑승 스텝(8)에 있어서의 전방부측의 좌우 양단측 개소를 보강하는 좌우 한 쌍의 전방 보강부(8B)를 형성하고 있다. 탑승 스텝(8)의 후방부측에는, 좌우의 리어 펜더(11)와의 대향 개소에 있어서 하향으로 굴곡함으로써, 탑승 스텝(8)에 있어서의 후방부측의 좌우 양단측 개소를 보강하는 복수의 후방 보강부(8C)를 형성하고 있다.

    탑승 스텝(8)의 이면측에 있어서의 이면의 근방 영역에는, T/M 케이스(3)에 의해 좌우로 분할된 수납 공간(18)을 확보하고 있다. 수납 공간(18)에는, T/M 케이스(3)의 우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2개의 오일 필터(19, 20), 및, 엔진(1)에 공급하는 연료를 저류하는 수지제의 블로우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연료 탱크(21, 22) 등을 배치하고 있다.

    도 3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연료 탱크(21, 22)는, T/M 케이스(3)의 좌우에 분산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의 리어 펜더(11)와의 대향 개소가 리어 펜더(11)를 따라서 만곡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우측의 연료 탱크(22)의 우측 전단부에는, 우측 전방쪽으로부터의 연료의 보급을 가능하게 하는 원통 형상의 급유부(22A)를 일체 형성하고 있다. 좌우의 연료 탱크(21, 22)에는, 우측의 연료 탱크(22)로부터 좌측의 연료 탱크(21)에의 연료의 유동을 허용하고, 또한, 좌측의 연료 탱크(21)로부터 우측의 연료 탱크(22)에의 연료의 유동을 저지하는 역지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 연통관(23)을 좌우의 연료 탱크(21, 22)에 걸치도록 접속하고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연료 탱크(21)는 좌측의 연료 탱크(21)를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지지하는 좌측 지지 프레임(24) 등을 개재하여 T/M 케이스(3)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좌측 지지 프레임(24)은 그 좌측 단부(24A)를 좌측의 연료 탱크(21)의 좌측 단부를 따라서 전후 방향에서 보아 크랭크 형상으로 상향으로 굴곡 형성함으로써, 그 좌측 단부(24A)가, 좌측의 연료 탱크(21)에 있어서의 좌측 단부의 하부측을 가로 외측으로부터 덮어서 보호하는 보호 커버로서 기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연료 탱크(22)는 우측의 연료 탱크(22)를 하방으로부터 덮도록 지지하는 우측 지지 프레임(25) 등을 개재하여 T/M 케이스(3)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우측 지지 프레임(25)은 그 우측 단부(25A)를 우측의 연료 탱크(22)의 우측 단부를 따라서 전후 방향에서 보아 크랭크 형상으로 상향으로 굴곡 형성함으로써, 그 우측 단부(25A)가, 우측의 연료 탱크(22)에 있어서의 우측 단부의 하부측을 가로 외측으로부터 덮어서 보호하는 보호 커버로서 기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3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관(23)은 좌우의 지지 프레임(24, 25)이 걸쳐서 가설한 채널 강재로 이루어지는 보호 부재(26)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덮음으로써 보호하고 있다.

    도 3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 스텝(8)의 좌우의 가로 외단부에는, 수납 공간(18)을 가로 외측으로부터 덮는 세로로 향한 커버면(27A, 28A)을 구비한 커버 부재(27, 28)를 착탈 가능하게 장비하고 있다. 좌우의 각 커버 부재(27, 28)에는, 커버면(27A, 28A)의 상단부로부터 탑승 스텝(8)을 향하여 연장하는 상단 연장부(27B, 28B)와, 커버면(27A, 28A)의 전단부로부터 탑승 스텝(8)을 향하여 연장하는 전단 연장부(27C, 28C)와, 커버면(27A, 28A)의 후단부로부터 탑승 스텝(8)을 향하여 연장하는 후단 연장부(27D, 28D)를 구비하고 있다. 각 상단 연장부(27B, 28B)는, 그 전단부를 인접하는 전단 연장부(27C, 28C)의 상단부에 용접하고, 또, 그 후단부를 인접하는 후단 연장부(27D, 28D)의 상단부에 용접하고 있다. 이에 의해, 좌우의 각 커버 부재(27, 28)는, 상단 연장부(27B, 28B)와 전단 연장부(27C, 28C)와 후단 연장부(27D, 28D)로부터 차체의 측면에서 보아 대략 역U자 형상으로 형성한 외연부(27E, 28E)를 갖도록 구성하고 있다.

    각 상단 연장부(27B, 28B)는, 탑승 스텝(8)에 있어서 전후의 보강부(8B, 8C)보다도 가로 외측으로 연장하는 스텝면(8A)의 좌우의 횡단부(8Ab) 중 대응하는 횡단부(8Ab)의 표면에 접합하는 상태로, 대응하는 횡단부(8Ab)와의 3군데에서의 볼트 연결이 가능한 연결부A로 구성하고 있다. 각 전단 연장부(27C, 28C)는, 그들의 상단 연장부(27B, 28B)보다도 탑승 스텝측으로 연장하는 연장단 부분(27Ca, 28Ca)이, 탑승 스텝(8)의 좌우가 대응하는 전방 보강부(8B)의 이면에 접합하는 상태로, 대응하는 전방 보강부(8B)와의 1군데에서의 볼트 연결이 가능한 연결부B로서 기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각 후단 연장부(27D, 28D)는, 그들의 상단 연장부(27B, 28B)보다도 탑승 스텝측으로 연장하는 연장단 부분(27Da, 28Da)이, 좌우가 대응하는 리어 펜더(11)의 표면에 접합하는 상태로, 대응하는 리어 펜더(11)와의 1군데에서의 볼트 연결이 가능한 연결부C로서 기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좌우의 리어 펜더(11)는, 탑승 스텝(8)의 좌우가 대응하는 후방 보강부(8C)와의 볼트 연결이 가능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각 커버 부재(27, 28)의 상단 연장부(27B, 28B)를, 탑승 스텝(8)의 스텝면(8A)이 대응하는 횡단부(8Ab)에 바로 볼트 연결할 수 있고, 또, 각 커버 부재(27, 28)의 전단 연장부(27C, 28C)를, 탑승 스텝(8)이 대응하는 전방 보강부(8B)에 바로 볼트 연결할 수 있고, 또한, 각 커버 부재(27, 28)의 후단 연장부(27D, 28D)를, 탑승 스텝(8)이 대응하는 후방 보강부(8C)에 리어 펜더(11)를 개재하여 볼트 연결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부터, 탑승 스텝(8)의 이면측의 수납 공간(18)에 배치한 연료 탱크(21, 22) 등을 좌우의 커버 부재(27, 28)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수납 공간(18)에 대한 연료 탱크(21, 22) 등의 착탈, 또는, 그 수납 공간(18)에 배치한 연료 탱크(21, 22) 등에 대한 유지 보수를 행할 경우에는, 탑승 스텝(8)의 가로 외단부로부터 커버 부재(27, 28)를 제거함으로써, 수납 공간(18)을 차체의 가로 외측으로 개방할 수 있고, 차체의 가로 외측으로부터의 수납 공간(18)에 대한 연료 탱크(21, 22) 등의 착탈, 및, 수납 공간(18)에 배치한 연료 탱크(21, 22) 등에 대한 유지 보수를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연료 탱크(21, 22)의 착탈이 행하기 쉬워지는 것에 의해, 연료 탱크(21, 22)를 제거하여 행하는 T/M 케이스(3) 등에 대한 유지 보수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각 커버 부재(27, 28)에, 상단 연장부(27B, 28B)와 전단 연장부(27C, 28C)와 후단 연장부(27D, 28D)로 이루어지는 대략 역U자 형상의 외연부(27E, 28E)를 구비한 것에 의해, 각 커버 부재(27, 28)의 보형 강도를 높일 수 있고, 그리고, 보형 강도를 높인 각 커버 부재(27, 28)의 상단 연장부(27B, 28B)와 전단 연장부(27C, 28C)와 후단 연장부(27D, 28D)의 각각을, 탑승 스텝(8)의 스텝면(8A) 및 전후의 보강부(8B, 8C) 중 대응 개소에 볼트 연결함으로써, 탑승 스텝(8)의 가로 외단부측에서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2, 도 3,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커버 부재(27)에는 탑승 스텝(8)에 대한 승강용의 보조 스텝(29)을 장비하고 있다. 보조 스텝(29)에는, 미끄럼 방지 가공을 실시한 스텝부(29A)와, 이 스텝부(29A)의 전후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 쌍의 아암부(29B)를 구비하는 U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한 판금제의 것을 채용하고 있다. 좌측의 커버 부재(27)의 커버면(27A)에는, 보조 스텝(29)의 각 아암부(29B)의 삽입 관통을 허용하는 전후 한 쌍의 개구(27F)로서의 슬릿(27F)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의 슬릿(27F)에 삽입 관통한 각 아암부(29B)의 연장단(29Ba)을 커버 부재(27)의 상단 연장부(27B)에 용접하고, 또한, 각 슬릿(27F)에 삽입 관통한 각 아암부(29B)에 있어서의 슬릿(27F)의 주연부(27Fa)와의 인접 개소(29Bb)를 슬릿(27F)의 주연부(27Fa)에 용접함으로써, 좌측의 커버 부재(27)에 보조 스텝(29)을 일체 장비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부터, 통상은 보조 스텝(29)을 구비한 좌측의 커버 부재(27)를 탑승 스텝(8)의 좌측의 가로 외단부에 설치하여 둠으로써, 탑승 스텝(8)에 대한 승강 시에 보조 스텝(29)을 이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탑승 스텝(8)에 대한 승강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수납 공간(18)에 대한 연료 탱크(21, 22) 등의 착탈, 또는, 그 수납 공간(18)에 배치한 연료 탱크(21, 22) 등에 대한 유지 보수를 행할 경우에는, 좌측의 커버 부재(27)를 탑승 스텝(8)의 좌측의 가로 외단부로부터 제거함으로써, 그와 동시에 보조 스텝(29)도 탑승 스텝(8)의 좌측의 가로 외단부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좌측의 커버 부재(27)와 보조 스텝(29)을 개별적으로 착탈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좌측의 커버 부재(27) 및 보조 스텝(29)의 착탈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수납 공간(18)에 대한 연료 탱크(21, 22) 등의 착탈, 또는, 수납 공간(18)에 배치한 연료 탱크(21, 22) 등에 대한 유지 보수 시에 좌측의 커버 부재(27) 및 보조 스텝(29)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보조 스텝(29)을 좌측의 커버 부재(27)의 보형 강도를 높이는 보강 부재로서 기능시킬 수 있고, 또한, 보조 스텝(29)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이와 같이 보형 강도를 높인 좌측의 커버 부재(27)를 탑승 스텝(8)의 좌측의 가로 외단부에 설치함으로써, 탑승 스텝(8)의 좌측의 가로 외단부측에서의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커버 부재(28)에는, 우측의 연료 탱크(22)에 구비한 급유부(22A)를 노출시키기 위한 절결부(28F)를, 그 전단 연장부(28C)로부터 커버면(28A)에 걸쳐서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급유부(22A)를, 탑승 스텝(8)의 가까운 곳에서 탑승 스텝 상에서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우측의 커버 부재(28)의 전방 개소에 노출 배치할 수 있고, 운반 가능한 연료 보급용의 보조 탱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이 보조 탱크로부터 급유부(22A)를 개재하여 연료 탱크(21, 22)에 급유할 경우에는, 탑승 스텝(8)을 보조 탱크의 적재대로서 이용할 수 있어 급유 작업의 경노화(輕勞化)를 도모할 수 있다.

    도 3,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커버 부재(27)는, 그 커버면(27A)과 전단 연장부(27C)와 후단 연장부(27D) 각각에 있어서의 상단 연장부(27B)로부터 하방으로의 연장 길이(상하 길이)를, 상단 연장부(27B)의 커버면(27A)으로부터 탑승 스텝(8)에의 연장 길이(좌우 폭)보다도 길게 함으로써, 좌측의 커버 부재(27)의 하단부가 좌측 지지 프레임(24)의 좌측 단부(24A)에 근접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가로 외측에 면하는 좌측의 연료 탱크(21)의 좌측 단부를, 좌측의 커버 부재(27) 및 좌측 지지 프레임(24)의 좌측 단부(24A)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가로 외측으로부터 덮어서 보호할 수 있다.

    도 4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커버 부재(28)는, 그 커버면(28A)과 전단 연장부(28C)와 후단 연장부(28D) 각각에 있어서의 상단 연장부(28B)로부터 하방으로의 연장 길이(상하 길이)를, 상단 연장부(28B)의 커버면(28A)으로부터 탑승 스텝(8)에의 연장 길이(좌우 폭)보다도 길게 함으로써, 우측의 커버 부재(28)의 하단부가 우측 지지 프레임(25)의 우측 단부(25A)에 근접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가로 외측에 면하는 우측의 연료 탱크(22)의 우측 단부를, 우측의 커버 부재(28) 및 우측 지지 프레임(25)의 우측 단부(25A)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가로 외측으로부터 덮어서 보호할 수 있다.

    도 3 내지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 스텝(8)의 스텝면(8A)은, 그 좌우의 가로 단부(8Ab)가 다른 부분보다도 각 커버 부재(27, 28)의 판 두께분만큼 낮아지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탑승 스텝(8)의 좌우의 가로 외단부에 대응하는 커버 부재(27, 28)를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는, 탑승 스텝(8)의 스텝면(8A)과 각 커버 부재(27, 28)의 상단 연장부(27B, 28B)의 표면 높이를 정렬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작업차로서는, 엔진(1)과 모터 제너레이터를 탑재한 하이브리드 사양의 것 등이어도 된다.

    〔2〕탑승 스텝(8)으로서는, 전후의 보강부(8B, 8C)를 구비하지 않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 커버 부재(27, 28)와의 연결 전용의 연결부(A 내지 C)를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3〕탑승 스텝(8)으로서는, 그 한쪽의 가로 외단부가 차 밖에 면하도록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커버 부재(27, 28)로서, 그 한쪽의 가로 외단부에 착탈 가능한 단일의 것을 장비하면 된다.

    〔4〕탑승 스텝(8)으로서 수지제의 블로우 성형품 등을 채용해도 된다. 이 경우, 탑승 스텝(8)에 볼트 연결용의 인서트 너트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5〕수납 공간(18)으로서는, T/M 케이스(3)에 의해 좌우로 분할되어 있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또, 수납 공간(18)에 수납하는 것으로서는, 배터리, 전기계의 와이어 하니스, 머플러(DPF 머플러), 옵션 장비의 작업 장치(예를 들어 프론트 로더) 등에 대한 구동용으로서 추가 장비한 보조 컨트롤 밸브 등의 유압 기기, 유압 배관, 연료 배관 및 하이브리드 작업차용의 모터 제너레이터 등이어도 된다.

    〔6〕좌우의 커버 부재(27, 28)로서는, 좌측의 커버 부재(27)에 급유부 노출용의 절결부를 형성하고, 우측의 커버 부재(28)에 승강용의 보조 스텝(29)을 장비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 좌우의 각 커버 부재(27, 28)에 승강용의 보조 스텝(29)을 장비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되고, 좌우의 각 커버 부재(27, 28)에 급유부 노출용의 절결부를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7〕커버 부재(27, 28)로서는, 탑승 스텝(8)의 가로 외단부에 외부 끼움 또는 내부 끼움한 상태로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8〕커버 부재(27, 28)로서는, 상단 연장부(27B, 28B)와 전단 연장부(27C, 28C)와 후단 연장부(27D, 28D) 각각을, 탑승 스텝(8)의 스텝면(8A) 및 전후의 보강부(8B, 8C) 중 대응 개소에 걸림 결합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 걸림 결합 연결과 볼트 연결의 조합으로 탑승 스텝(8)의 가로 외단부에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9〕커버 부재(27, 28)로서는, 그 후단 연장부(27D, 28D)(연결부C)와 탑승 스텝(8)의 후방 보강부(8C)와 리어 펜더(11)를, 그 후단 연장부(27D, 28D)(연결부C)와 리어 펜더(11)의 사이에 탑승 스텝(8)의 후방 보강부(8C)를 끼운 상태, 또는, 그 후단 연장부(27D, 28D)(연결부C)를 탑승 스텝(8)의 후방 보강부(8C)와 리어 펜더(11)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볼트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10〕보조 스텝(29)으로서는, 스텝부(29A)의 전후 중간 개소로부터 강관재로 이루어지는 단일의 아암부(29B)를 상방으로 연장함으로써 역T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 등이어도 된다.

    〔11〕커버 부재(27)의 커버면(27A)에 형성하는 개구(27F)의 형상으로서는, 보조 스텝(29)의 아암부(29B)의 단면 형상에 따라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2〕보조 스텝(29)의 아암부(29B)를, 커버 부재(27)에 있어서의 커버면(27A)의 이면을 따르게 한 상태로, 그 연장단을 커버 부재(27)의 상단 연장부(27B)에 용접하고, 또한, 그 커버면(27A)의 이면과의 인접 개소를 커버면(27A)의 이면에 용접함으로써, 커버 부재(27)에 보조 스텝(29)을 일체 장비하도록 해도 된다.

    〔13〕커버 부재(27)에 보조 스텝(29)을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14〕커버 부재(27, 28)로서는, 옵션 장비한 프론트 로더에 대한 구동용의 보조 컨트롤 밸브 등의 지지 부재로서 이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차지 오일 공급 구조를 작업차의 일례인 작업차에 적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트랙터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 전방측부터 순서대로 엔진(2001), 클러치 하우징(2002), 미션 케이스(2003)를 연결하여 주행 기체가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하우징(2002)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2001)에 연결되는 프론트 하우징(2004)과 이 프론트 하우징(2004)의 후단부에 연결된 변속 케이싱(2005)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2003)는 클러치 하우징(2002)에 연결되는 미드 케이스(2006)와 이 미드 케이스(2006)의 후단부에 연결된 리어 케이스(2007)로 구성되어 있다. 도 9는 트랙터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전동계의 개략도이며, 도 11은 주행 기체의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이 트랙터의 전동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하우징(2002)의 프론트 하우징(2004)에는 건식의 주 클러치(2008)가 구비되어 있고, 클러치 하우징(2002)의 변속 케이싱(2005)에는 주 변속 장치로서의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009)가 구비되어 있다. 엔진(2001)의 출력이 주 클러치(2008) 및 기어 전동부(2010)를 거쳐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입력축(펌프축)(2020a)에 입력되고 있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출력축(모터축)(2021b)으로부터 취출된 변속 동력은, 미션 케이스(2003)에 전달되어 부 변속 장치(2011)에서 3단으로 기어 변속되고, 최종 변속된 동력이 후방부 차동 장치(2012)를 개재하여 좌우의 후륜(2013)에 전달되고 있다. 또한, 최종 변속된 동력의 일부가 취출되어 전동축(2014)을 개재하여 전방 차축 케이스(2015)의 전방부 차동 장치(2016)에 전달되고, 전방 차축 케이스(2015)의 좌우로 조향 가능하게 장비된 전륜(2017)이 구동되는 4륜 구동형의 주행 전동계가 구성되어 있다. 입력축(2009a)에 전달된 동력의 일부가 분지되고, 미션 케이스(2003)의 후단부에 구비된 PTO축(2018)에 다판식의 PTO 클러치(2019)를 개재하여 전달되고 있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009)는 축방향 플런저형의 가변 용량 펌프(2020)와 가변 용량 모터(2021)를 구비하고 있고, 엔진(2001)의 출력이 가변 용량 펌프(2020)의 입력축(2020a)에 입력되면, 가변 용량 펌프(2020)의 출력축(2020b)으로부터 작업용의 동력을 출력하고, 가변 용량 모터(2021)의 출력축(2021b)으로부터 주행용의 동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2는 전동계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변속 케이싱(2005)의 후방 단면에는, 미션 케이스(2003)와의 접합 연결부보다 내측에 위치시켜서 포트 블록(2022)이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변속 케이싱(2005) 내에 유밀 형상의 변속실(2023)을 형성하고 있고, 그 변속실(2023)에 가변 용량 펌프(2020)와 가변 용량 모터(2021)가 수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009)는 변속 케이싱(2005)에 수납되어 있다.

    이하, 도 13에 기초하여,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유압 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변 용량 펌프(2020)와 가변 용량 모터(2021)는 제1 유로(2024)와 제2 유로(2025)를 개재하여 폐회로(200P)를 형성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이 폐회로(200P)에는, 제1 유로(2024)와 제2 유로(2025) 중, 고압측의 유로압이 설정압 이상이 되면 저압측의 유로에 놓아주는 안전 밸브(2036)가 구비되어 있고, 그 안전 밸브(2036)가 구비되는 부위에 체크 밸브(2037)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유로(2024)와 제2 유로(2025) 중, 저압측이 되는 유로에 차지 릴리프 밸브(2038)로 설정된 압력의 오일이 보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변 용량 펌프(2020)는 변속 실린더(2028)의 작동에 의해, 펌프 경사판(2020c)의 조작각을 무단계로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변속 실린더(2028)는 펌프 경사판(2020c)의 조작각이 0이 되는 중립 상태로 변속 실린더(2028)를 복귀 가압하는 한 쌍의 압축 스프링(2029)이 구비된 복동형의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변속 실린더(2028)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기 조작식의 전진용의 변속 밸브(2030)와 후진용의 변속 밸브(2031)가 구비되고, 그들 변속 밸브(2030, 2031)의 작동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가변 용량 모터(2021)는 저속 실린더(2032)와 고속 실린더(2033)의 작동에 의해, 모터 경사판(2021c)의 조작각을 저속용의 설정 각도로 설정하는 저속단과 고속용의 설정 각도로 설정하는 고속단의 고저 2단으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저속 실린더(2032)와 고속 실린더(2033)는 단동형의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고, 저속 실린더(2032) 및 고속 실린더(2033)의 작동을 제어하는 파일럿 조작식의 변속 밸브(2034)가 구비되어 있다. 이 변속 밸브(203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기 조작식의 변속 조작 밸브(2035)가 구비되고, 이 변속 조작 밸브(2035)의 작동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제1 유로(2024)와 제2 유로(2025)의 폐회로(200P)에 대하여 차지 오일을 공급하기 위해서, 차지 펌프(2026)와, 그 차지 펌프(2026)로부터 토출되는 차지 오일을 공급하는 차지 오일 공급로(2027)가 구비되어 있다. 차지 펌프(2026)는 엔진(2001)으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차지 오일 공급로(2027)에는, 차지 펌프(2026) 이외에 메인 필터(2040)와 HST 필터(2041)가 구비되어 있고, 이들 2개의 필터를 통과한 차지 오일을 폐회로(200P)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차지 오일 공급로(2027)에는, 차지 오일의 통류 방향의 상류측부터 순서대로 메인 필터(2040), 차지 펌프(2026), HST 필터(2041)가 구비되어 있다.

    차지 펌프(2026)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2003) 내에서, 포트 블록(2022)의 미션 케이스(2003)가 위치하는 측의 단부(후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메인 필터(2040)와 HST 필터(2041)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2003)의 횡측부의 일방측(우측면)에 있어서 기체 전후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차지 오일 공급로(2027)는 변속 케이싱(2005), 포트 블록(2022) 및 미션 케이스(2003) 내에 형성된 내부 유로와, 미션 케이스(2003)의 외측에 부착되는 메인 필터(2040) 및 HST 필터(2041)를 접속함으로써, 오일 공급원(2039)부터 폐회로(200P)에 이르는 유로를 구성하고 있다.

    차지 오일 공급로(2027)는 오일 공급원(2039)과 메인 필터(2040)를 접속하는 제1 유로 부위(200R1)와, 메인 필터(2040)와 차지 펌프(2026)를 접속하는 제2 유로 부위(200R2)와, 차지 펌프(2026)와 HST 필터(2041)를 접속하는 제3 유로 부위(200R3)와, HST 필터(2041)와 폐회로(200P)를 접속하는 제4 유로 부위(200R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2 유로 부위(200R2)의 도중 부위로부터 분지되고, 메인 필터(2040)를 통과한 오일을 도시하지 않은 메인 펌프에 공급하는 분지 공급로(2042)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메인 필터(2040)를 통과한 오일을 그 밖의 유압 장치(예를 들어, 파워 스티어링 장치나 작업 장치를 승강시키는 유압 승강 장치 등)에도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유로 부위(200R1)는, 미션 케이스(2003) 내에 캐스팅에 의해 형성된 내부 유로로 구성되어 있고, 도 13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차지 오일의 통류 방향에서 하류측 단부가 미션 케이스(2003)의 횡측부의 일방측(우측면)에 형성된 메인용 공급구(2043)에 연통되어 있다. 이 메인용 공급구(2043)는 미션 케이스(2003)측으로부터 메인 필터(2040)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유로 부위(200R2)는, 미션 케이스(2003) 내에 캐스팅에 의해 형성된 내부 유로로 구성되어 있고, 그 차지 오일의 통류 방향에서 상류측 단부가 미션 케이스(2003)의 횡측부의 일방측(우측면)에 형성된 메인용 수용구(2044)에 연통되어 있다. 이 메인용 수용구(2044)는 메인 필터(2040)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미션 케이스(2003)측에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차지 오일의 통류 방향에서 제2 유로 부위(200R2)의 하류측 단부는, 접속 슬리브(2047)에 의해 차지 펌프(2026)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메인용 수용구(2044)로부터 수용되는 오일의 통류 방향과 차지 펌프(2026)에 있어서의 오일의 통류 방향이 직교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유로 부위(200R2)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용 수용구(2044)로부터 수용된 오일의 통류 방향을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경시키도록 절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곡 형상의 유로 부위이어도 파이프 등의 관상체를 절곡하는 것이 아니라 캐스팅에 의해 형성하고 있으므로, 간이하게 유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제2 유로 부위가 차지 펌프 공급용 부위에 상당한다.

    제3 유로 부위(200R3)는, 미션 케이스(2003) 내에 캐스팅에 의해 형성된 내부 유로로 구성되어 있고, 그 차지 오일의 통류 방향에서 상류측 단부가 접속 슬리브(2047)에 의해 차지 펌프(2026)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접속 슬리브(2047)는 유로끼리를 접속하는 것이며, O링 등을 사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차지 오일의 통류 방향에서 제3 유로 부위(200R3)의 하류측 단부는, 미션 케이스(2003)의 횡측부의 일방측(우측면)에 형성된 HST용 공급구(2045)에 연통되어 있다. 이 HST용 공급구(2045)는 미션 케이스(2003)측으로부터 HST 필터(2041)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3 유로 부위(200R3)에 대해서도, 제2 유로 부위(200R2)와 마찬가지로, 차지 펌프(2026)로부터 토출된 오일의 통류 방향을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경시키도록 절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3 유로 부위(200R3)가 차지 펌프 배출용 부위에 상당한다.

    제4 유로 부위(200R4)는, 미션 케이스(2003) 내에 캐스팅에 의해 형성된 내부 유로와, 변속 케이싱(2005) 내에 형성된 내부 유로와, 포트 블록(2022) 내에 형성된 내부 유로를 접속 슬리브(2047) 등을 사용하여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차지 오일의 통류 방향에서 제4 유로 부위(200R4)의 상류측 단부는, 미션 케이스(2003)의 횡측부의 일방측(우측면)에 형성된 HST용 수용구(2046)에 연통되어 있다. 이 HST용 수용구(2046)는 HST 필터(2041)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미션 케이스(2003)측에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7에 기초하여, 메인 필터(2040)와 HST 필터(2041)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미션 케이스(2003)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5는 미션 케이스(2003)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평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메인 필터(2040) 및 HST 필터(2041)의 조립 개소의 주변을 도시하는 종단 배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에 있어서 메인 필터(2040) 및 HST 필터(2041)의 조립 개소의 주변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미션 케이스(2003)의 횡측부의 일방측(우측면)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방측에는 메인 필터(2040)를 조립하는 메인용 조립 개소(48)와 HST 필터(2041)를 조립하는 HST용 조립 개소(2049)가 기체 전후 방향에 인접 배치되어 있다. 메인용 조립 개소(2048)와 HST용 조립 개소(2049)에 걸치도록 설치 자리부(2050)가 구비되어 있고, 이 설치 자리부(2050)를 개재하여 메인 필터(2040)와 HST 필터(2041)가 나사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메인용 조립 개소(2048)에는, 메인용 공급구(2043)와 메인용 수용구(2044)가 기체 전후 방향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있다. HST용 조립 개소(2049)에는, HST용 공급구(2045)와 HST용 수용구(2046)가 기체 전후 방향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있다. 양쪽 필터(2040, 2041)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 배출구(2040b, 2041b)가 구비되고, 그 배출구(2040b, 2041b)의 주위에 흡인구(2040a, 2041a)가 구비되어 있다.

    메인 필터(2040)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용 공급구(2043)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흡인구(2040a)로부터 흡인하여 배출구(2040b)로부터 메인용 수용구(2044)에 배출하도록 메인 필터(2040)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메인 필터(2040)를 조립함에 있어서, 메인용 공급구(2043)와 흡인구(2040a)를 대향시켜서 직접 연통 접속시키고, 또한, 메인용 수용구(2044)와 출구(2040b)를 대향시켜서 직접 연통 접속시키는 것만으로 되며, 미션 케이스(2003)의 횡측부에 대하여 간이하게 메인 필터(2040)를 유밀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지 공급로(2042)는 설치 자리부(2050)와 메인 필터(2040)의 접속 개소로부터 분지 접속되어 있고, 메인 필터(2040)를 통과한 오일을 도시하지 않은 메인 펌프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분지 공급로(2042)는 그 분지 개소로부터 메인 필터(2040)의 상방측에 연장하고, 그 후, 기체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연장하고 있다.

    HST 필터(2041)에 대해서도, HST용 공급구(2045)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흡인구(2041a)로부터 흡인하여 배출구(2040b)로부터 HST용 수용구(2046)에 배출하도록 HST 필터(2041)가 부착되어 있다. 이 HST 필터(2041)에 대해서도, 메인 필터(2040)와 마찬가지로, HST용 공급구(2045)와 흡인구(2041a)를 대향시켜서 직접 연통 접속시키고, 또한, HST용 수용구(2046)와 배출구(2040b)를 대향시켜서 직접 연통 접속시키는 것만으로 되며, 간이하게 유밀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하우징(2002)이나 미션 케이스(2003)의 상부를 덮는 탑승 스텝(2052)이 구비되어 있고, 그 탑승 스텝(2052)의 상부에 탑승 운전부(2051)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필터(2040) 및 HST 필터(2041)는 그 탑승 스텝(2052)의 이면측(하방측)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2053)에 수납되어 있다. 탑승 스텝(2052)의 이면측(하방측)에는, 미션 케이스(2003)에 의해 좌우로 분할된 수납 공간(2053)이 형성되어 있다. 그 우측의 수납 공간(2053)에는, 미션 케이스(2003)의 우측면에 메인 필터(2040) 및 HST 필터(2041)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우측의 수납 공간(2053)에는, 메인 필터(2040) 및 HST 필터(2041)뿐만 아니라, 연료 탱크(2054)도 수납되어 있고, 좌측의 수납 공간(2053)에도 연료 탱크(2054)가 수납되어 있다. 우측의 수납 공간(2053)에서는, 연료 탱크(2054)가 기체 가로 폭 방향에서 메인 필터(2040) 및 HST 필터(2041)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측면에서 보아 메인 필터(2040) 및 HST 필터(2041)와 연료 탱크(2054)가 중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탑승 스텝(2052)의 이면측(하방측)의 우측의 수납 공간(2053)에는, 메인 필터(2040) 및 HST 필터(2041)와 연료 탱크(2054)가 기체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수납 공간(2053)에 수납하는 부재로서, 메인 필터(2040) 및 HST 필터(2041)의 이외에, 연료 탱크(2054)를 수납한 예를 예시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배터리 등의 다른 부재를 수납할 수도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필터(2040)는 메인용 조립 개소(2048)에 대하여 그 선단측이 그 기단부측보다도 하방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경사 자세로 조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HST 필터(2041)도, HST용 조립 개소(2049)에 대하여 그 선단측이 그 기단부측보다도 하방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경사 자세로 조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지면 등에 대하여 설정 각도(45도)만큼 경사진 경사 자세로 양쪽 필터(2040, 2041)를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필터(2040) 및 HST 필터(2041)를 경사 자세로 조립함으로써, 기체 가로 폭 방향에서의 설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양쪽 필터(2040, 2041)의 흡인구(2040a, 2041a)를 오일면보다도 하방측에 위치시킬 수 있고, 양쪽 필터(2040, 2041) 내에서의 정체 공간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유지 보수 등에 의해 양쪽 필터(2040, 2041)를 교환하는 경우라도, 그 제거 방향을 그 조립 개소(2048, 2049)로부터 기울어진 하방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할 수 있고, 그 조립 방향을 지면 등으로부터 그 조립 개소(2048, 2049)를 향하는 비스듬한 상방측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메인 필터(2040) 및 HST 필터(2041)가 경사지는 방향으로, 나사 장착할 때의 나사가 들어가는 깊이만큼의 공간을 확보하면, 그 조립 개소(2048, 2049)의 하방측의 개방 공간을 이용하여, 미션 케이스(2003)에 대한 양쪽 필터(2040, 2041)의 조립 및 제거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 공간(2053)에 메인 필터(2040) 및 HST 필터(2041)와 연료 탱크(2054)를 기체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하는 상태로 구비해도, 연료 탱크(2054) 등의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으면서, 양쪽 필터(2040, 2041)의 제거 및 조립을 행할 수 있고, 한정된 공간에 양쪽 필터(2040, 2041)를 적절하게 배치시키면서, 그 교환 작업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차지 오일 공급로(2027)을 미션 케이스(2003), 변속 케이싱(2005), 포트 블록(2022)의 벽 내에 형성한 내부 유로로 구성하고 있다. 이것 대신에, 예를 들어, 미션 케이스(2003), 변속 케이싱(2005), 포트 블록(2022) 내에 배치하는 파이프 등의 관상체로 차지 오일 공급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2)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차로서, 트랙터에 적응한 예를 나타냈지만, 그 외, 각종 작업차에 적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 차체 구조는, 탑승 스텝의 이면측에 수납 공간을 형성한 트랙터나 승용 전식기 또는 콤바인 등의 작업차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션 케이스의 가로 폭 방향에서의 크기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메인 필터 및 HST 필터의 조립이 행하기 쉬운 것으로 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각종 차지 오일 공급 구조에 적응 가능하다.

    8 : 탑승 스텝
    8A : 스텝면
    8B : 보강부
    8C : 보강부
    18 : 수납 공간
    27 : 커버 부재
    27A : 커버면
    27B : 상단 연장부
    27C : 전단 연장부
    27D : 후단 연장부
    27E : 외연부
    27F : 개구
    27Fa : 주연부
    28 : 커버 부재
    28A : 커버면
    28B : 상단 연장부
    28C : 전단 연장부
    28D : 후단 연장부
    28E : 외연부
    29 : 보조 스텝
    29A : 스텝부
    29B : 아암부
    29Ba : 연장단
    29Bb : 인접 개소
    A : 연결부
    B : 연결부
    C : 연결부
    2003 : 미션 케이스
    2005 : 변속 케이싱
    2009 :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
    2022 : 포트 블록
    2026 : 차지 펌프
    2027 : 차지 오일 공급로
    2040 : 메인 필터
    2041 : HST 필터
    2043 : 메인용 공급구
    2044 : 메인용 수용구
    2045 : HST용 공급구
    2046 : HST용 수용구
    2048 : 메인용 조립 개소
    2049 : HST용 조립 개소
    200R2 : 제2 유로 부위(차지 펌프 공급용 부위)
    200R3 : 제3 유로 부위(차지 펌프 배출용 부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