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의 차량 운전 보조방법

申请号 KR1020150180520 申请日 2015-12-16 公开(公告)号 KR1020170072092A 公开(公告)日 2017-06-26
申请人 엘지전자 주식회사; 发明人 김소영; 유현선; 박지영;
摘要 실시예에따른차량운전보조장치는차량정보를획득하는차량정보획득부; 상기차량정보가획득되면, 상기획득된차량정보에연계된서비스를수신하고, 상기수신된서비스에대응하는정보가표시되도록하는프로세서; 및상기차량정보에연계된서비스에대응하는정보를표시하는표시부를포함한다.
权利要求
  •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정보 획득부;
    상기 차량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에 연계된 서비스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차량 정보에 연계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가 복수 개이면, 상기 획득된 복수 개의 차량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차량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더 표시하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에 연계된 서비스가 복수 개이면, 상기 복수 개의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더 표시하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화면에는,
    상기 차량 정보에 연계된 서비스 중 접근이 허용된 서비스 및 접근이 제한된 서비스가 각각 구분되어 표시되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화면은,
    통화 연결, 문자 전송, 이동 주차 요청, 블랙 박스 요청, 사고 정보 알림 및 공개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서비스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화면에서 상기 통화 연결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에 연동된 통신기기와의 통화 연결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화면 상에서의 상기 통화 연결에 대한 서비스는,
    상기 차량의 소유자가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화면에서 상기 접근이 제한된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접근이 제한된 서비스의 접근 요청을 위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획득부는,
    주변에 주행 또는 정차 중인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차량 번호을 획득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획득부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차량 번호 입력 화면 상에서 차량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번호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된 차량 번호가 정상 차량 번호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 번호가 불법 차량 번호이면, 상기 획득된 차량 번호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차량 번호에는 기설정된 정보가 연동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의 차량 번호에 연동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
  • 주변에 주행 또는 정차 중인 차량의 차량 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차량 번호에 연동된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서비스 목록 상에서 어느 하나의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태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방법.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차량 번호가 복수 개이면, 상기 복수 개의 차량 번호 중 어느 하나의 차량 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방법.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번호에 연계된 서비스 중 접근이 허용된 서비스 및 접근이 제한된 서비스의 목록이 각각 구분된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방법.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목록은,
    통화 연결, 문자 전송, 이동 주차 요청, 블랙 박스 요청, 사고 정보 알림 및 공개 정보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화면에서 상기 통화 연결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획득된 차량 번호에 연동된 통신기기와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화면 상에서의 상기 통화 연결에 대한 서비스는,
    상기 차량 번호에 연동된 통신기기가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화면에서 상기 접근이 제한된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접근이 제한된 서비스의 접근 요청을 위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방법.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주변에 주행 또는 정차 중인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차량 번호을 획득하는 단계; 또는,
    차량 번호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차량 번호 입력 화면 상에서 차량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방법.
  • 说明书全文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의 차량 운전 보조방법{DRIVER ASSISTANCE APP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번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의 차량 운전 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 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한 다양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운전 환경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서 상대방 차량의 운전자와의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화 연결은 상기 연결하고자 하는 상대방 차량에 남겨져 있는 연락처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연락처를 확인하지 못하는 상황(예를 들어, 주행 상황이나, 상기 연락처가 남겨져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상기와 같은 통화 연결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차량 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차량 번호를 활용하여 상기 차량 번호에 연계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의 방법을 제공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는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정보 획득부; 상기 차량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에 연계된 서비스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차량 정보에 연계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방법은 주변에 주행 또는 정차 중인 차량의 차량 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차량 번호에 연동된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서비스 목록 상에서 어느 하나의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태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번호에 연계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줌으로써, 다양한 운전 환경에서 최적의 정보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운전자가 직접 상대방 차량 운전자의 연락처를 확인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운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최소화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내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구비한 차량의 평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영상에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의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LHD(Left Hand Drive) 차량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내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7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13FL, 13FR), 차량(700)의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 조작 수단(721A, 721B, 721C, 721D) 및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차량(700)은 운전 주행 보조기능(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700)이다. 예를 들어, 차량(700)은 사각지대감시기능(BSD, blind spot detection), 차선 이탈 방지 기능(LKAS, Lane Keeping Assist System), 차선 이탈 경고 기능(LDW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및 자동 긴급제동(AEB,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운전 주행 보조기능은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에 의해 실행되거나, 차량(700) 자체 내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구비된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하,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주변에 존재하는 차량을 인식하여 차량 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차량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번호에 연계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연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도 3에 도시한 각 유닛들을 직접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차량(700)의 각 유닛들을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차량(700)의 각 유닛들의 집합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자세히,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모니터링부(150), 카메라(160), 프로세서(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운전 보조장치 기능을 온/오프하거나,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실행 입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사용자 제스쳐를 감지하는 제스쳐 입력부(110),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부(110) 및 음성 입력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부(110)에 포함된 터치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특정 부분을 터치하여, 상기 특정 부분에 대해 할당된 제어 명령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터치 신호에 따라 특정 차량 번호에 연계된 다양한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프로세서(17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차량(700)의 특정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타차량(510), 단말기(600) 및 서버(500) 등과 통신하는 통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통신부(120)를 통해 내비게이션(Navigation) 정보 또는/및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서버(500)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획득된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상기 서버(50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500)로부터 특정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 번호에 대한 차량 정보를 특정 목적지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목적지는 불법 차량을 단속하는 기관(예를 들어, 경찰서)일 수 있으며, 상기 차량 번호에 연계되어 기등록된 특정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자세히,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 또는 특정 관련 기관과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는 차량(700)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Direct WiFi, APiX 또는 NFC 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로부터 위치 정보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 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를 내비게이션으로 이용할 경우,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차량(700) 주행과 관련된 맵(map) 정보, 차량(700)의 위치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및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차량(700)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pairing)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페어링을 통해 운전 보조기능 작동이력을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는 무선테이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무선 인터넷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기술로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차량(700)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17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차량(700) 내부의 제어부(770),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 및 센서부(76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AVN 장치(400) 또는/및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또는 센서부(76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700)의 방향 정보, 위치 정보, 차속 정보,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전진/후진 정보, 연료 정보, 전후방 차량(700)과의 거리 정보, 차량(700)과 차선과의 거리 정보 및 턴 시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정보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700)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700)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700) 내부 온도 센서, 차량(700) 내부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포지션 모듈은, GPS 정보 수신을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700)의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차량(700)의 입력부(720)로부터 수신하거나 제어부(770)를 거쳐 수신할 수 있다. 즉, 입력부(110)가 차량(700) 자체 내에 구성으로 배치된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서버(500)로부터 획득된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서버(500)는 교통을 관제하는 교통 관제소에 위치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700)의 통신부(120)를 통해 서버(500)로부터 교통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교통 정보를 제어부(77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다음,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나, 운전자의 주행 패턴 정보 등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패턴 이력은 평상시에 상기 차량(700)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방향 이력, 위치 이력, 차속 이력, 가속도 이력, 기울기 이력, 전진/후진 이력, 연료 이력, 전후방 차량(700)과의 거리 이력, 차량(700)과 차선과의 거리 이력 및 턴 시그널 이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4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차량(700)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모니터링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모니터링부(150)는 사용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생체 인식 정보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생체 인식 정보는 사용자를 촬영한 영상 정보,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부(150)는 사용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150)는 사용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부(150)는 차량(700) 내부에 배치된 영상 획득 모듈일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15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검출된 시선에 따라서 윈드실드(W)에 투사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차량(700)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6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60)를 통해 촬영된 차량(700) 주변 영상은 운전 보조기능 관련 영상에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차량 주변의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센서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별도의 센서부(150)를 포함하여 주변 오브젝트를 감지할 수 있으며, 차량(700) 자체의 센싱부(770)에서 얻어진 센서 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센서부(150)는 오브젝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19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거리 센서(191)는 본 차량(700)에서 오브젝트가 이격된 방향, 거리 및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 등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거리 센서(191)는 감지된 오브젝트와의 위치관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위치관계에 대한 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센서(191)는 차량(700)의 전후좌우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리 센서(191)는 차량(700)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구비한 차량의 평면을 나타낸 것이다.

    자세히, 도 4를 참조하면, 거리 센서(191)는 차량(700)의 바디의 전후좌우(191a, 191b, 191c, 191d) 및 천장(191e)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센서(191)는 라이다(lidar) 센서, 레이저(laser) 센서, 초음파(ultrasonic waves) 센서 및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 등 다양한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센서는 레이저 센서로서, 레이저 신호 변조 방법에 따라 시간 지연 방식(time-of-flight, TOF) 또는/및 위상 변조 방식(phase-shift)을 사용하여, 차량(700)과 오브젝트 사이의 위치 관계를 측정할 수 있다. 자세히, 시간 지연 방식은, 펄스 레이저 신호를 방출하고 측정 범위 내에 있는 오브젝트들로부터의 반사 펄스 신호들이 수신기에 도착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오브젝트와의 이격 거리 및 이격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연계 서비스의 대상을 판단하기 위한 오브젝트의 속성은 카메라(160)가 촬영한 영상을 프로세서(170)가 분석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150)는 카메라(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차량 주변 영상은 프로세서(170)가 차량 주변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오브젝트의 속성을 검출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정보는 오브젝트의 종류, 오브젝트가 표시하는 교통 신호 정보, 오브젝트와 차량 사이의 거리 및 오브젝트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서, 센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오브젝트의 종류가 차량인 경우, 상기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포함된 차량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이미지 처리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오브젝트를 트래킹하고,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오브젝트를 확인하는 등의 오브젝트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가 오브젝트 분석을 좀더 수월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카메라(160)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내의 오브젝트와 거리를 측정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일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카메라(160)는 차량 내부에서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획득하는 내부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160)는 차량 외부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복수의 카메라(160)는, 각각 차량(700)의 좌측, 후방, 우측, 전방 및 천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카메라(160b)는,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카메라(160b)는,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카메라(160b)는 좌측 프런트 도어, 좌측 리어 도어 또는 좌측 휀더(fender)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우측 카메라(160c)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우측 카메라(160c)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우측 카메라(160c)는 우측 프런트 도어, 우측 리어 도어 또는 우측 펜터(fendere)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후방 카메라(160d)는, 후방 번호판 또는 트렁크 스위치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 카메라(160a)는, 앰블럼 부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방에서 촬영된 영상을 합성하여 차량(700)을 탑뷰에서 바라본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어라운드 뷰 이미지 생성시, 각 이미지 영역 사이의 경계 부분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계 부분은 이미지 블렌딩(blending) 처리하여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천장 카메라(160e)는 차량(700)의 천장 상에 배치되어 차량(700)의 전후좌우를 모두 촬영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직접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영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 정보를 프로세서(17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센서부(150)는 거리 센서(191)와 카메라(160)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테레오 카메라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오브젝트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160)는 주변에 존재하는 차량 중 연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특정 차량에 대한 정보(명확하게는, 차량 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차량 정보를 프로세서(170)에 전달한다.

    다음으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연계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부(180)는 획득된 주변 차량에 대한 정보나, 상기 주변 차량 정보에 연계된 서비스 정보나, 상기 연계된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8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700)의 윈드실드(W)(windshield)에 이미지를 투사하여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부(181)는 HUD(Head Up Display)로, 윈드실드(W)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투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투사 모듈이 투사하는 투사 이미지는 일정 투명도를 가져, 사용자는 투사 이미지 뒤 모습과 투사 이미지를 동시에 볼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 디스플레이부(181)에서 표시되는 투사 이미지는 윈드실드(W)에 투영되는 투영 이미지와 겹쳐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차량 정보 획득 결과 등의 투사 이미지는 투명 이미지와 매칭되어 사용자에게 운전 보조기능에 대한 설명을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부(180)는 차선과의 거리, 인접차량(700)과의 거리 등으로 구성되는 운전 보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80)는 사용자의 안전 주행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700) 내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제 2 디스플레이부(183)는 차량(700) 내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나 차량(700) 내부 전면의 클러스터(cluster)일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부(183)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디스플레이부(183)는 제스쳐 입력부(11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오디오 출력부(185) 및 전원 공급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오디오 출력부(185)는 차량 운전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환경에 대한 메시지를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한 시각적인 표시와 더불어 오디오 출력부(185)의 오디오를 통해 상기 연계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170)(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170)(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세서(170)는 제어부의 제어를 받거나, 제어부를 통해 차량(700)을 여러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60)나 입력부(110)를 통해 특정 차량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가 복수 개이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획득된 복수의 차량 정보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차량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 화면에는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가 표시되는데, 이때 상기 차량 정보는 해당 차량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조건이 적용되어 표시된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건은 디스플레이 색상, 크기, 명도, 채도,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의 상태는, 해당 차량에서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여부에 대한 상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해당 차량이 정상 차량인지, 아니면 불법 차량(예를 들어, 도난 차량이나 도로 교통법 위반 차량 등)인지에 대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특정 차량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선택된 차량 정보에 연계된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서비스 정보에 대한 목록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계 서비스는 통화 연결 서비스, 문자 전송 서비스, 이동 주차 요청 서비스, 블랙 박스 요청 서비스, 사고 정보 알림 서비스, 및 공개 정보 요청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는 상기와 같은 서비스 중 타인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할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타인은 상기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접근 허용 서비스만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목록 화면에서 상기 접근이 허용된 서비스와 접근이 제한된 서비스에 대한 목록을 서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접근이 제한된 서비스에 대한 접근 허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접근 허용을 요청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상기 접근이 허용된 서비스 중 특정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5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프로세서(170)가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영상에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스테레오 카메라(160)는 제1 렌즈(163a)를 구비하는 제1 카메라(160a), 제2 렌즈(163b)를 구비하는 제2 카메라(16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테레오 카메라(160)는, 각각, 제1 렌즈(163a)와 제2 렌즈(163b)에 입사되는 광을 차폐하기 위한, 제1 광 차폐부(light shield)(162a), 제2 광 차폐부(162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제1 및 제2 카메라(160a, 160b)로부터, 차량 주변에 대한 스테레오 이미지를 획득하고, 스테레오 이미지에 기초하여, 디스패러티(disparity) 검출을 수행하고, 디스패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테레오 이미지에 대한, 오브젝트 검출을 수행하며, 오브젝트 검출 이후, 계속적으로,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트래킹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로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 내의 프로세서(170)는, 영상 전처리부(410), 디스패러티 연산부(420), 오브젝트 검출부(434), 오브젝트 트래킹부(440), 및 어플리케이션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이하 설명에서는 영상 전처리부(410), 디스패러티 연산부(420), 오브젝트 검출부(434), 오브젝트 트래킹부(440), 및 어플리케이션부(450) 순으로 영상이 처리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영상 전처리부(image preprocessor)(410)는, 카메라(160)로부터의 이미지를 수신하여, 전처리(preprocessing)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전처리부(410)는, 이미지에 대한, 노이즈 리덕션(noise reduction), 렉티피케이션(rectification),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색상 강화(color enhancement), 색상 공간 변환(color space conversion;CSC),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 카메라(160) 게인 컨트롤(camera gain control)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160)에서 촬영된 스테레오 이미지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패러티 연산부(disparity calculator)(420)는, 영상 전처리부(410)에서 신호 처리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들에 대한 스테레오 매칭(stereo matching)을 수행하며, 스테레오 매칭에 따른, 디스패러티 맵(dispartiy map)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차량 전방에 대한, 스테레오 이미지에 대한 디스패러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스테레오 매칭은, 스테레오 이미지들의 픽셀 단위로 또는 소정 블록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디스패러티 맵은, 스테레오 이미지, 즉 좌,우 이미지의 시차(時差) 정보(binocular parallax information)를 수치로 나타낸 맵을 의미할 수 있다.

    세그멘테이션부(segmentation unit)(432)는, 디스패러티 연산부(420)로부터의 디스페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세그먼트(segment) 및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그멘테이션부(432)는, 디스페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배경(background)과 전경(foreground)을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패리티 맵 내에서 디스페러티 정보가 소정치 이하인 영역을, 배경으로 연산하고, 해당 부분을 제외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전경이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패리티 맵 내에서 디스페러티 정보가 소정치 이상인 영역을, 전경으로 연산하고, 해당 부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경이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테레오 이미지에 기반하여 추출된 디스페러티 정보 정보에 기초하여, 전경과 배경을 분리함으로써, 이후의, 오브젝트 검출시, 신호 처리 속도, 신호 처리 양 등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오브젝트 검출부(object detector)(434)는, 세그멘테이션부(432)로부터의 이미지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 검출부(434)는, 디스페러티 정보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브젝트 검출부(434)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세그먼트에 의해 분리된 전경으로부터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 오브젝트 확인부(object verification unit)(436)는, 분리된 오브젝트를 분류하고(classify), 확인할 수 있다(verify).

    이를 위해, 오브젝트 확인부(436)는,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이용한 식별법,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법, Haar-like 특징을 이용한 AdaBoost에 의해 식별하는 기법, 또는 HOG(Histograms of Oriented Gradients) 기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 확인부(436)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오브젝트들과, 검출된 오브젝트를 비교하여, 오브젝트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 확인부(436)는,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차량, 차선, 도로면, 표지판, 위험 지역, 터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오브젝트 트래킹부(object tracking unit)(440)는, 확인된 오브젝트에 대한 트래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순차적으로, 획득되는 스테레오 이미지들에 내의,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확인된 오브젝트의 움직임 또는 움직임 벡터를 연산하며, 연산된 움직임 또는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해당 오브젝트의 이동 등을 트래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차량, 차선, 도로면, 표지판, 위험 지역, 터널 등을 트래킹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어플리케이션부(450)는,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다양한 오브젝트들, 예를 들면, 다른 차량, 차선, 도로면, 표지판 등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험도 등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앞차와의 추돌 가능성, 차량의 슬립 여부 등을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부(450)는, 연산된 위험도, 추돌 가능성, 또는 슬립 여부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 등을, 차량 운전 보조 정보로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차량의 자세 제어 또는 주행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차량 제어 정보로서,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 전처리부(410), 디스페러티 연산부(420), 세그먼테이션부(432), 오브젝트 검출부(434), 오브젝트 확인부(436), 오브젝트 트래킹부(440) 및 어플리케이션부(450)는 프로세서(170)내의 영상 처리부의 내부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영상 전처리부(410), 디스페러티 연산부(420), 세그먼테이션부(432), 오브젝트 검출부(434), 오브젝트 확인부(436), 오브젝트 트래킹부(440) 및 어플리케이션부(450)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카메라(160)가 모노 카메라(160) 또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160)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패러티 연산부(420)는 제외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세그먼테이션부(432)는 제외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카메라(160)는, 스테레오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 내의 디스패러티 연산부(420)는, 영상 전처리부(410)에서 신호 처리된, 스테레오 이미지(FR1a, FR1b)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테레오 이미지(FR1a, FR1b)에 대한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디스패러티 맵(dispartiy map)(520)을 획득한다.

    디스패러티 맵(dispartiy map)(520)은, 스테레오 이미지(FR1a, FR1b) 사이의 시차를 레벨화한 것으로서, 디스패러티 레벨이 클수록, 차량과의 거리가 가깝고, 디스패러티 레벨이 작을수록, 차량과의 거리가 먼 것으로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디스패러티 맵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디스패러티 레벨이 클수록, 높은 휘도를 가지고, 디스패러티 레벨이 작을수록 낮은 휘도를 가지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패러티 맵(520) 내에, 제1 차선 내지 제4 차선(528a, 528b, 528c, 528d) 등이 각각 해당하는 디스패러티 레벨을 가지며, 공사 지역(522), 제1 전방 차량(524), 제2 전방 차량(526)이 각각 해당하는 디스패러티 레벨을 가지는 것을 예시한다.

    세그멘테이션부(432)와, 오브젝트 검출부(434), 오브젝트 확인부(436)는, 디스패러티 맵(520)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이미지(FR1a, FR1b)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세그먼트, 오브젝트 검출, 및 오브젝트 확인을 수행한다.

    도면에서는, 디스패러티 맵(520)을 사용하여, 제2 스테레오 이미지(FR1b)에 대한, 오브젝트 검출, 및 확인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이미지(530) 내에, 제1 차선 내지 제4 차선(538a, 538b, 538c, 538d), 공사 지역(532), 제1 전방 차량(534), 제2 전방 차량(536)이, 오브젝트 검출 및 확인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 처리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센서부(150)를 이용하여 주변 오브젝트가 무엇인지, 어디에 위치하는지 등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상기 주변 오브젝트가 차량인 경우, 상기 오브젝트 내에서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영역을 분석하여 차량 번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획득한 차량 번호에 연계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번호에 연계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줌으로써, 다양한 운전 환경에서 최적의 정보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운전자가 직접 상대방 차량 운전자의 연락처를 확인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운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최소화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의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연계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연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대상이 되는 오브젝트의 차량 정보를 획득한다(100단계). 여기에서,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오브젝트가 차량인 경우,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 정보 획득 방법은 자동으로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자동 획득 방법과, 수동으로 상기 차량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획득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자동 획득 방법은 상기 카메라(16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160)는 상기 차량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주변 영상을 촬영한다. 그리고, 카메라(160)는 상기 촬영된 영상 내에서 오브젝트를 감지한다. 여기에서, 상기 감지되는 오브젝트는 차량, 보행자, 오토바이, 자전거, 유모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160)는 상기 감지한 오브젝트의 종류를 판단하여, 상기 종류가 차량인 오브젝트만을 별도로 검출한다.

    그리고, 카메라(160)는 상기 검출한 오브젝트에 대해서, 특정 영역에 포함된 차량 번호를 분석하여, 상기 검출한 오브젝트의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카메라(160)는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오브젝트(O)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된 오브젝트(O)가 차량이면, 상기 오브젝트의 특정 영역 내에 포함된 차량 번호에 대한 차량 정보(I)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160)는 상기 오브젝트(O)의 차량 번호에 대한 차량 정보만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 번호로 구성되는 차량 정보(I)는 제 1 정보(I1), 제 2 정보(I2) 및 제 3 정보(I3)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정보(I1)는 해당 차량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그리고, 제 2 정보(I2)는 해당 차량의 용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그리고, 제 3 정보(I3)는 해당 차량의 등록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따라서, 카메라(160)는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I)를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차량 번호뿐 아니라, 이에 따른 차량 종류, 차량 용도 등을 추가로 더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160)는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전방, 측방 및 후방에서 주행중인 오브젝트(O)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 정보(I)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60)는 상기 차량의 정차 또는 주차 중에, 전방, 측방 및 후방에서 주행 또는 정차/주차 중인 오브젝트(O)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 정보(I)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차량 정보(I)에는 한계가 있으며, 상기 카메라(160)의 촬영 범위를 벗어난 오브젝트(O)에 대해서는 상기 차량 정보(I)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메라(160)를 이용한 자동 획득 방법뿐 아니라, 수동 획득 방법을 추가로 더 제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 정보(I)의 수동 획득을 위해,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 정보 입력 화면(1000)을 제공한다.

    상기 차량 정보 입력 화면(1000)은 입력 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문자 선택 영역(1010)과, 상기 문자 선택 영역(1010)을 통해 선택된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 입력 영역(102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상기 문자 선택 영역(1010)에 표시된 문자 중 자신이 원하는 차량 정보(I)에 대응하는 문자를 선택하여, 상기 차량 정보(I)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문자 선택 영역(1010)을 통해 선택된 문자에 대한 차량 정보(I)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상기 카메라(160) 또는 상기 차량 정보 입력 화면(1000)을 통해 획득된 차량 정보(I)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정보(I)에 대응되어 연계된 서비스에 대한 연계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110단계).

    여기에서, 상기 연계 서비스는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I)에 대응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가입한 서비스일 수 있으며, 상기 가입한 서비스 중에서 상기 운전자가 접근을 허용한 서비스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전자가 가입할 수 있는 서비스는 통화 연결 서비스, 문자 전송 서비스, 이동 주차 요청 서비스, 블랙 박스 요청 서비스, 사고 정보 알림 서비스 및 공개 정보 요청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는 상기 가입한 서비스 중에서 타인의 접근을 허용할 서비스와, 접근을 제한할 서비스를 각각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I)에 대응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가입한 서비스 또는 상기 가입한 서비스 중에서 접근이 허용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수신한 연계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120단계).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상기 수신한 연계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화면(1100)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화면(1100) 내에는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I)에 연계된 서비스에 대한 목록이 표시되는 서비스 목록 표시 영역(1110)이 포함된다.

    상기 서비스 목록 표시 영역(1110)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연결 서비스, 문자 전송 서비스, 이동 주차 요청 서비스, 블랙 박스 요청 서비스, 사고 정보 알림 서비스 및 공개 정보 요청 서비스에 대한 목록들이 각각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자는 상기 서비스 목록 표시 영역(1110)에 포함된 서비스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 목록을 선택하여,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I)에 연계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상기 서비스 목록 표시 영역(1110)에 표시된 각각의 서비스 목록이 모두 선택 가능하도록 활성화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서비스 목록 중 접근이 제한된 서비스 목록은 비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서비스 화면(1200) 내에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통화 연결 서비스, 문자 전송 서비스, 이동 주차 요청 서비스, 블랙 박스 요청 서비스, 사고 정보 알림 서비스 및 공개 정보 요청 서비스에 대한 목록들이 각각 표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목록은 접근이 허용된 제 1 목록(1210)과, 접근이 제한된 제 2 목록(12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목록(1210)은 이동 주차 요청 서비스, 사고 정보 알림 서비스 및 공개 정보 요청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목록(1220)은 통화 연결 서비스, 문자 전송 서비스 및 블랙 박스 요청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목록(1210)에 대응하는 서비스 목록은 운전자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되고, 상기 제 2 목록(1220)에 대응하는 서비스 목록은 운전자의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비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된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상기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된 차량 정보(I)가 복수 개인 경우, 다시 말해서 차량에 대응하는 오브젝트(O)가 복수 개 감지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오브젝트(O) 중 연계 서비스 대상이 될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O)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추가로 더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1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상기 카메라(160)를 통해 복수 개의 오브젝트(O)가 감지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오브젝트(O) 중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O)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1300)을 제공한다.

    상기 선택 화면(1300)에는, 상기 감지된 오브젝트(O)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오브젝트 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즉, 상기 감지된 오브젝트가 제 1 오브젝트와 제 2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 정보 표시 영역에는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제 1 오브젝트 정보 표시 영역(1310)과,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제 2 오브젝트 정보 표시 영역(13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 화면(1300)에는 상기 제 1 오브젝트 정보 표시 영역(1310)에 표시된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제 2 오브젝트 중 연계 서비스 대상이될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메시지(1330)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오브젝트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정보를 이용하여, 연계 서비스 이용 대상이될 어느 하나의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 화면(1300)에는 상기 각각의 오브젝트에서 제공하는 특정 연계 서비스의 이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가 더 표시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선택 화면(1300)에는, 상기 감지된 오브젝트(O)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오브젝트 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즉, 상기 감지된 오브젝트가 제 1 오브젝트와 제 2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 정보 표시 영역에는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제 1 오브젝트 정보 표시 영역(1310)과,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제 2 오브젝트 정보 표시 영역(13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선택 화면에 표시할 특정 연계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설정된 정보는 통화 연결 서비스임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설정된 정보가 문자 전송 서비스, 이동 주차 요청 서비스, 블랙 박스 요청 서비스 등일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오브젝트 정보 표시 영역(1310)에는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한 통화 연결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1 정보(1315)와,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한 통화 연결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2 정보(13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정보(1315)는 통화 연결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정보(1325)는 통화 연결 서비스의 이용이 불가능함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통화 연결 서비스의 이용 가능 여부는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차량의 운전자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한 차량의 운전자가 현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있으면, 상기 통화 연결 서비스의 이용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제 1 정보(1315)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한 차량의 운전자가 현 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를 벗어난 위치에 존재하면, 상기 통화 연결 서비스의 이용은 불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제 2 정보(1325)가 표시된다.

    한편, 상기 선택 화면(1300)에는 상기 감지된 오브젝트에 대한 추가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정보는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차량이 불법차량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상기 카메라(160)를 통해 감지된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1500)을 표시한다.

    상기 감지된 오브젝트가 제 1 오브젝트와 제 2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선택 화면(1500)에는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제 1 오브젝트 정보 표시 영역(1510)과,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제 2 오브젝트 정보 표시 영역(1520)을 포함한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서버에서 상기 각각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감지된 오브젝트에 대한 차량이 불법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감지된 오브젝트의 추적을 통해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차량이 도로교통법을 위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감지된 복수의 오브젝트에 대한 각각의 차량의 불법 차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불법 차량은 도난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불법 차량 여부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 정보가 서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 1 오브젝트는 정상 차량이며, 이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제 1 오브젝트 정보 표시 영역(1510)은 오브젝트 정보가 실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오브젝트는 도난 차량이나, 도로교통법을 위반한 불법 차량이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제 2 오브젝트 정보 표시 영역(1520)은 오브젝트 정보가 점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택 화면(1500)에는 상기 불법 차량으로 감지된 제 2 오브젝트에 대해 신고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1530)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 2 오브젝트의 신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신고 여부에 따라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한 차량 정보, 현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신고 정보를 관련 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상기 감지된 오브젝트에 대한 연계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상기 감지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감지된 오브젝트에 연계된 서비스 중 대표 서비스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 서비스 정보 화면(1600)에는 상기 감지된 제 1 오브젝트에 대한 차량 정보(I)가 표시되는 제 1 영역(1610)과, 제 2 오브젝트에 대한 차량 정보(I)가 표시되는 제 2 영역(16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계 서비스 정보 화면(1600)에는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연계된 대표 서비스 정보가 표시되는 제 3 영역(1630)과,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연계된 대표 서비스 정보가 표시되는 제 4 영역(164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불법 차량인 경우, 상기 제 3 영역(1630)에 표시되는 대표 서비스는 신고 서비스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오브젝트가 정상 차량이고, 통화 연결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 4 영역에 표시되는 대표 서비스는 통화 연결 서비스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통화 연결 서비스는 각각의 운전자가 해당 차량 번호에 대응하여 통화 연결 서비스에 가입하고, 상기 가입에 따라 상기 차량 번호에 연계된 이동 단말기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등록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화 연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타인은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차량 번호에 연계된 전화번호는 알 수 없음에 따라 개인 정보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통화 연결 서비스가 실행되면, 상기 통화 연결 대상의 이동 단말기에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정보가 표시된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화 연결 서비스가 실행되면, 수신자의 이동 단말기에는 발신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화면(1700)이 표시된다.

    상기 수신 화면(1700)에는 상기 발신자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영역(171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발신자 정보 표시 영역(1710)에 표시되는 발신자 정보는, 상기 발신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가 아니라, 상기 발신자가 소유한 차량의 차량 번호이다.

    또한, 상기 수신 화면(1700)에는 상기 통화 연결을 수락할 것인지, 아니면 거절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연결 선택 영역(172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연계 서비스는 공개 정보 요청 서비스를 포함하여, 이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한 차량 번호에 대응하게 특정 데이터를 연계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이용에 따라 상기 연계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는 광고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상기 공개 정보 요청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I)에 대응하는 사용자에게 공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공개 정보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획득된 오브젝트가 영어 학원의 통근 버스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연계된 데이터는 상기 영어 학원을 광고하는 광고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상기 이용 대상의 사용자가 접근을 허용한 서비스만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상기 이용 대상의 사용자에게 상기 접근이 제한된 서비스의 이용을 원하는 정보 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된 오브젝트의 주변에서 상기 차량의 사고가 발생했고, 상기 차량에 블랙박스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감지된 오브젝트(O)에 대응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블랙박스 정보의 공유를 원하는 블랙박스 요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랙박스 요청 서비스가 접근 제한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접근 제한에 따라 공개된 정보가 없음을 알리는 알림 화면(1900)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알림 화면(1900)에는 상기 접근이 제한된 특정 서비스의 접근 허용을 요청하는 정보 공유 요청 메뉴(1910)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정보 공유 요청 메뉴(1910)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O)에 대응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접근 제한된 서비스의 접근 허용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번호에 연계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줌으로써, 다양한 운전 환경에서 최적의 정보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운전자가 직접 상대방 차량 운전자의 연락처를 확인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운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최소화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0은 전술한 차량 운전 보조장치를 포함하는 도 1 차량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20를 참조하면, 전술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차량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자세히, 차량(700)은 통신부(710), 입력부(720), 센싱부(760), 출력부(740), 차량 구동부(750), 메모리(730), 인터페이스부(780), 제어부(770), 전원부(790),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 및 AVN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의 유닛과 차량(700)의 유닛 중 중복되는 유닛은 차량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신부(710)는, 차량과 이동 단말기(600) 사이, 차량과 외부 서버(510) 사이 또는 차량과 타차량(520)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차량을 하나 이상의 망(network)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무선 인터넷 모듈(712), 근거리 통신 모듈(713), 위치 정보 모듈(714) 및 광통신 모듈(71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7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은 라디오 방송 또는 TV 방송을 포함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차량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1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1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6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차량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714)은,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은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광통신 모듈(715)은,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light)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을 수신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수신부는 전방 차량에 포함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통해, 전방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한다. 예를 들면, 광 발신부는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점멸을 통해, 광신호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에 구비된 램프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발신부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 지시등 및 차폭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통신 모듈(715)은 광 통신을 통해 타차량(520)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입력부(720)는, 운전 조작 수단(721), 카메라(195), 마이크로 폰(723) 및 사용자 입력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수단(721)은, 차량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이하 설명 도 2참조) 운전 조작 수단(721)은 조향 입력 수단(721A), 쉬프트 입력 수단(721D), 가속 입력 수단(721C),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한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주차(P), 전진(D), 중립(N), 후진(R)의 입력을 수신한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수단(721C)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가속 입력 수단(721C) 및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수단(721C) 또는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카메라(722)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722)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제어부(77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은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722) 및 차량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모니터링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50)는 탑승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50)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20에서는 모니터링부(150)와 카메라(722)가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카메라(7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운전 보조장치에 포함된 구성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 폰(72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데이터는 차량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723)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인 데이터는 제어부(77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722) 또는 마이크로폰(723)는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센싱부(76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72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7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터치식 입력수단 또는 기계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724)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사용자 입력부(724)를 조작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차량의 주행 등과 관련한 신호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760)는,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라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싱부(760)는,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76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한다. 생체 인식 정보는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부(150) 및 마이크로 폰(723)이 센서로 동작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모니터링부(150)를 통해, 손모양 정보, 안면 인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740)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741), 음향 출력부(742) 및 햅틱 출력부(74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741)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련 정보는,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724)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77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741)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과 동시에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대시보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시선을 차량 전방에 유지한채로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74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윈드 쉴드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74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제어부(7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742)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사용자 입력부(724)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햅틱 출력부(74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74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동력원 구동부(751), 조향 구동부(752), 브레이크 구동부(753), 램프 구동부(754), 공조 구동부(755), 윈도우 구동부(756), 에어백 구동부(757), 썬루프 구동부(758) 및 서스펜션 구동부(759)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는, 차량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미도시)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가 엔진인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제한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기 기반의 모터(미도시)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752)는, 차량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753)는, 차량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754)는, 차량 내, 외부에 배치되는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 지시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의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755)는, 차량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756)는, 차량 내의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측면의 좌,우 윈도우들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757)는, 차량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시, 에어백이 터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썬루프 구동부(758)는, 차량 내의 썬루프 장치(sunroof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759)는, 차량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77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9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80)는, 차량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78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6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가 인터페이스부(7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780)는 전원부(7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600)에 제공한다.

    제어부(770)는, 차량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70)은 차량 운전 보조장치의 실행 신호 전달에 따라서, 전달된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전술한 프로세서(170)의 역할을 위임할 수 있다. 즉, 차량 운전 보조장치의 프로세서(170)는 차량의 제어부(770)에 직접 셋팅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는 차량의 일부 구성들을 합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770)는 프로세서(170)에서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해주도록 구성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전원부(790)는,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부(77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는 제어부(77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AVN 장치(400)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차량 주행과 관련한, 맵(map) 정보 또는 차량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정하는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