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특히 상용 차량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申请号 KR1020160078681 申请日 2016-06-23 公开(公告)号 KR1020170000363A 公开(公告)日 2017-01-02
申请人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发明人 닥터.베르너랑; 마이클위즈케; 피터가이센되르퍼; 세바스찬헤거; 시몬데프너; 얍얀스넬;
摘要 본발명은차량(1)의주변환경영역들을위한디스플레이시스템(10)에관한것이다. 본발명의디스플레이시스템(10)은상기차량(1)으로부터외측으로돌출되는하우징(32, 33)에서상기차량(1)에배치되는적어도하나의이미지감지유닛(30), 처리유닛(20), 상기이미지감지유닛(30)에의해감지되는차량주변환경정보를상기차량(1)의운전자에게제공및 출력하는디스플레이유닛(40), 및상기이미지감지유닛(30)의위치를감지함으로써, 운전자로하여금상기차량주변환경과관련하여상기이미지감지유닛(30)의위치를식별할수 있게하는, 상기감지수단(50)을포함한다.
权利要求
  • 차량(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우징(32, 33)에서 상기 차량(1)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감지 유닛(30),
    처리 유닛(20),
    상기 이미지 감지 유닛(30)에 의해 감지되는 차량 주변 환경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 및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40), 및
    운전자로 하여금 상기 차량 주변 환경에 관한 상기 이미지 감지 유닛(3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이미지 감지 유닛(30)의 위치에 대한 감지 수단(50)을 포함하는, 차량(1)의 주변 환경 영역들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감지 유닛(30)은, 차량 측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우징(32, 33)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50)은 상기 차량(1)의 외측 상의 상기 이미지 감지 유닛(30)으로부터 공간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50)은, 상기 차량(1)의 운전자가 볼 수 있는, 상기 이미지 감지 유닛(30) 및 그것의 인근 주변 환경의 이미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간접 뷰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뷰 시스템은 카메라 시스템 및 미러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인, 디스플레이 시스템(10).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용 차량(1)이며, 상기 간접 뷰 시스템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용 차량(1) 주위의 법적으로 규정된 가시 범위(field of view)를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뷰 시스템은 카메라 시스템(50)이며, 처리 및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상기 카메라 시스템(50)에 의해 감지되는 이미지 정보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볼 수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0) 및 상기 처리 유닛(20)으로 전송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50)에 의해 감지되는 이미지를 처리하는 상기 처리 유닛(20)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0) 상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으며 상기 이미지 감지 유닛(30)을 포함하는 이미지 상에 차량 레퍼런스(vehicle reference)를 중첩시키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20)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0) 상의 상기 차량 주변 환경의 이미지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감지 수단(50) 및 상기 처리 유닛(2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상에 상기 이미지 감지 유닛(30)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를 중첩시키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50)은 상기 이미지 감지 유닛(30)과 상기 차량 주변 환경에 위치되는 상기 이미지 감지 유닛(30)에 대한 장애물(60) 간의 거리 정보를 감지하여, 이 정보를 차량 제어 시스템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
  • 제 10 항에 있어서,
    장애물(60)을 나타내는 거리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처리 유닛(20)은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으로 하여금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차량(1)의 주행 변수들을 조정하게 하는 신호를,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이미지 감지 유닛(30)과 상기 차량 주변 환경에 위치되는 상기 이미지 감지 유닛(30)에 대한 장애물(60) 간의 거리 정보를 감지하여, 이 정보를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센서(5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이미지 감지 유닛(30) 및 상기 이미지 감지 유닛(30) 과 관련하여 규정된 기하학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상기 차량(1)의 운전자가 볼 수 있는 표시 컴포넌트(50)인, 디스플레이 시스템(10).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컴포넌트(50)는 윙렛(winglet), 돌기(protrusion), 및 핀(fin) 중 적어도 하나인, 디스플레이 시스템(1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차량 주변 환경에서의 상기 이미지 감지 유닛(30)에 대한 장애물(60) 상에 표시를 투영하여, 상기 차량(1)의 운전자가 상기 장애물(60)과 관련된 상기 이미지 감지 유닛(30)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게 구성되도록, 상기 이미지 감지 유닛(30)에 대하여 위치되는 광원(50)인, 디스플레이 시스템(1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50)은 수동으로 작동되고/되거나 주행 상황에 의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감지 유닛(30)은 카메라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감지 유닛(3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용 차량(1) 주위의 법적으로 규정된 가시 범위를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
  • 说明书全文

    차량, 특히 상용 차량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DISPLAY SYSTEM FOR VEHICLES, IN PARTICULAR COMMERCIAL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상용 차량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상용 차량을 위해 사용되는 이미지 감지 유닛(image capturing unit)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있어서, 소위 가시 범위(fields of view)는 예를 들어 오토바이, 승객을 수송하기 위한 차량, 물품 등을 운송하기 위한 차량 등과 같은 차량의 종류에 따라 법적으로 규정되어있는데, 이 가시 범위는 간접 뷰 시스템에 의해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며, 간접 뷰 시스템을 통해 운전석에 앉아 있는 사람이 항시 계속해서 볼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간접 뷰 시스템은 미러에 의해 형성된다.

    최근에, 이러한 간접 뷰 시스템은, 카메라 및 이미지 감지 유닛에 의해 점차 대체되고/되거나 보충되고 있으며, 이들은 차량의 외측에 부착되는 카메라가 차량 주변 환경 이미지를 감지하고, 이어서 이 이미지는, 이미지 처리를 수행한 이후에 필요할 경우,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운전자가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되도록 설계된다.

    현재, 이러한 각각의 카메라 및 이미지 감지 유닛은 고정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차체에 직접 장착되며, 즉, 이들은 차체로부터 돌출되지 않거나 약간만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카메라가 차량에 장착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큰 광각들을 가진 이미지 감지 유닛들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종래의 사이드 미러에서 볼 때와 유사한 가시 각도들이 운전자에게 제공되므로, 차량에 측면 방향으로 인접하는(옆의) 측면 가시 범위를 감지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특히 상용 차량인 경우에는, 운전자 측 및 조수석 측 상에서, 소정 폭을 가지며 또한 운전자의 아이 포인트(eye point) 뒤편의 소정 거리로부터 최대 지평선까지 연장되는 도로(포장도로)의 각 평면 및 수평 영역을 시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미러를 사용할 경우, 운전자의 아이 포인트 뒤편의 소정 거리, 이러한 에어리어/스트라이프의 폭은 광각 미러의 가시 범위에 대응하며; 운전자의 아이 포인트 뒤편의 보다 짧은 거리에서는, 미리 규정된 가시 폭(visible width), 즉, 차량의 횡방향으로의 확장이, 광각 미러의 것보다 작은 메인 미러의 가시 범위에 대응한다. 차량에 직접 부착되는 카메라 시스템들에 의해서 이러한 가시 범위를 디스플레이한다는 것은 어렵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카메라 시스템들이 차량으로부터 거리를 두고서 장착될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튀어나오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차량 주변의 관련 영역들이 카메라 시스템에 의해서 더욱 용이하게 감지될 수가 있다.

    또한, 차량 주위의 공기 흐름이 미러의 돌출 또는 튀어나옴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상용 차량들의 종래 미러들을 카메라 시스템으로 대체하는 것은 공기 흐름과 관련하여 유익하며 연료 소모와 관련하여서도 유리하다. 그러나, 최근에, 미러들은 연료 소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정 흐름 조건을 야기하도록 특수 설계되고 있다. 미러 대체 시스템의 카메라가 차체에 직접 설치될 경우에는, 목표로 하는 이러한 차량 주위의 공기 흐름에 대한 효과가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카메라, 특히 그것의 이미지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의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을 위한 돌출 마운팅(파스너)을 제공하는 경우, 카메라의 최적 뷰 및 배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운전석에 앉아 있는 사람에게 열악하게 직접(또는 간접) 보여질 수 밖에 없는 차량의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은, 이미지 감지 유닛의 마운팅이 소정의 주행 거동 중, 특히 카메라의 마운팅 위치가 차량으로부터 크게 돌출됨으로써, 종래의 차량 윤곽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운전자에게 직접 보여지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주변 환경이나 다른 도로 상의 차량들과 충돌할 위험이 있다.

    카메라 및 이미지 감지 유닛을 각기 보호하기 위해, 예를 들면, DE 10 2012 015 395 B3에는 카메라 아암이 제 1 하우징 요소 및 제 2 하우징 요소를 포함하는, 사용 차량의 미러 대체 시스템의 카메라용 카메라 아암이 개시되어 있다. 제 1 하우징 요소는 미러 대체 시스템의 카메라의 이미지 감지 유닛을 수용하며, 제 2 하우징 요소는 차체에 고정 연결된 위치가 되도록 구성된다. 제 1 하우징 요소와 제 2 하우징 요소 사이에는 피봇 메커니즘이 제공되며, 이에 따라 제 1 하우징 요소는 피봇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 2 하우징 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피봇될 수 있다. 만일 장애물과 충돌할 경우에는, 제 1 하우징 요소가 제 2 하우징 요소에 대하여 퇴피(내측으로 피봇)하며, 이에 따라 비교적 고가인 제 1 하우징 요소 내의 카메라 유닛이 손상을 받으며 충격을 흡수하지 않는다.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요구되는 또는 원하는 가시 범위와 관련하여 이미지 감지 유닛의 최적 뷰를 가능하게 하며, 이미지 감지 유닛과 장애물들과의 충돌이 방지되도록 제공되는, 차량, 특히 상용 차량의 주변 환경 영역들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주어진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감지 유닛, 처리 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주변 환경 영역들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사상에 기초한 것이다. 이미지 감지 유닛은 차량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우징에서 차량에 제공된다. 하우징은 상당히 크게, 차량으로부터 각기 돌출되며, 일반적으로는 차량의 측면 방향, 즉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량의 중심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것은, 이미지 감지 유닛이 감지 대상인 영역의 최적 뷰, 즉, 상용 차량에 있어서는 메인 미러(ECE 규칙 R 46에 따른 가시 범위 II) 및/또는 광각 미러(ECE 규칙 R 46에 따른 가시 범위 IV)를 갖도록, 차량과 관련하여 이미지 감지 유닛을 배치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돌출되거나 튀어나온 하우징에 의해 제공되는, 특히 차량의 중심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차량 외부 표면으로부터 명백히 이격된, 차량과 관련된 거리로 인하여 가능하게 된다.

    하우징이나 카메라 아암이 차량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튀어나와 있으며 차량의 마운팅 위치에 의존한다는 사실 때문에, 하우징에 대한 직접 뷰는 불가능하거나 용이하지가 않다. 하우징은, 예를 들어, 차량에 있어서 운전자의 아이 포인트 위의 위치에 및/또는 운전자의 아이 포인트의 뒤편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서, 또는 운전석에 앉아 있는 사람에게 보여질 수 없거나 열악하게만 직접 보여질 수 있는 다른 위치(예를 들어, 위치에 의존), 또한 아이 포인트 아래의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이미지 감지 유닛의 위치를 위한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며, 이것은 운전자가 차량 주변 환경에 대한 이미지 감지 유닛의 위치를 쉽게 인식/식별할 수 있게 하며, 즉 운전자가 정상 좌석 위치에서 벗어날 필요 없이도, 또한 운전자가 도로 상의 직접 또는 간접 뷰로부터 크게 돌리지 않고도 그렇게 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감지 수단은 이미지 감지 유닛의 위치(예를 들면, 이미지 감지 유닛에 대한 장애물에 상대적인)를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애물과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충돌의 위험을 가진 상황에서, 장애물에 대해 상대적인 이미지 감지 유닛의 로케이션 및 위치를 추정 또는 확인할 수가 있으며, 이에 따라 충돌을 방지하도록 주행 거동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필요한 가시 영역이 확실하게 감지될 수 있도록 차량과 관련하여 이미지 감지 유닛을 포지셔닝하는 최적 조건들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특히 이미지 감지 유닛들은 고가이어서 그것들이 손상될 경우에는 교체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이미지 감지 유닛의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감지 유닛이 미러 대체 시스템 내에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을 경우에 교통 안전에 관한 요구사항들을 더 이상 충족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손상 시에 즉시 교체 또는 수리되어야만 하며, 이에 따라 차량의 다운타임이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감지 유닛은 차량 측으로부터, 특히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우징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미지 감지 유닛은 요구되는 법적으로 규정된 가시 범위, 예를 들면, ECE 규칙 R 46에 따른 가시 범위 II 및/또는 IV를 연속적으로 확실하게 감지할 수가 있으며, 예를 들어, 메인 및/또는 광각 미러에 대한 미러 대체 시스템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미지 감지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이 돌출 방식으로 차량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이미지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하우징은 차량의 운전자의 (직접) 가시 범위 내에 있지 않게 된다. 그러나, 대안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이 부분적으로 운전자의 가시 범위 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운전자의 대응 움직임 이후에는 운전자의 가시 범위 내에 나타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감지 수단은 이미지 감지 유닛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어서, 차량 외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즉, 감지 수단은 이미지 감지 유닛이 배치되는 하우징에 또는 그 내부에 위치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로 떨어져서 이격된 2개의 개별 하우징이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감지 수단이 차량에 직접 장착된다. 이것은, 감지 수단이 충돌에 영향받지 않으면서 차량 주변 환경에 대한 이미지 감지 유닛의 위치를 확실하게 감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대안적으로는, 이미지 감지 유닛이 배치되어 있는 하우징에 감지 수단을 제공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이미지 감지 유닛 및 감지 수단은, 예를 들면, 공통 하우징을 공유할 수가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내에서 서로 간에 바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보다 정확한 거리 정보 수집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미지 감지 유닛과 하우징, 각각, 및 장애물 간의 거리 정보를 취득할 시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감지 수단은 차량 운전자에게 보여질 수 있으며, 이미지 감지 유닛과 그것의 인근 주변 환경의 이미지를 감지하는 간접 뷰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미지 감지 유닛의 간접 뷰 시스템에 의하여, 차량의 운전자는 장애물과 관련된 이미지 감지 유닛의 거리 또는 공간을 확실하고 항시적으로 모니터링할 수가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는 이미지 감지 유닛과 장애물의 충돌이 회피될 수 있도록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조종 또는 주차 과정 동안에 유리하다.

    간접 뷰 시스템은 예를 들어, 카메라 시스템 및/또는 미러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차량 주변 환경에 대한 이미지 감지 유닛의 위치가 인식/식별 및 모니터링될 수 있다. 간접 뷰 시스템은 이미지 감지 유닛 및/또는 그 이미지 감지 유닛이 차량으로부터 공간 거리를 두고서 배치되어 있는 하우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간접 뷰 시스템이 카메라 시스템인 경우에는, 평가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이미지 데이터 및 그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대한 출력 수단으로서 운전자의 감지 영역 내에 더 제공된다. 이미지 데이터는 미처리된 채로 및/또는 미평가된 채로 디스플레이되거나 이미지 분석에 의해 분석될 수도 있으며, 또한 획득되어진 정보만이 출력될 수도 있다(예를 들면, 장애물에 너무 가까이 접근할 경우, 경고음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간접 뷰 시스템은, 또한 상용 차량 주위의 법적으로 규정된 가시 범위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지되도록 차량, 특히 상용 차량에 장착된다. 따라서, 간접 뷰 시스템은, 한편으로는, 차량 주변 환경에 관한 이미지 감지 유닛의 위치를 식별 가능하게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용 차량의 운전자가 법적으로 규정된 가시 범위, 예를 들면, 램프 미러의 가시 범위(ECE 규칙 R 46에 따른 가시 범위 V) 및/또는 프런트 미러의 가시 범위(ECE 규칙 R 46에 따른 가시 범위 VI)를 또한 관측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간접 뷰 시스템은 카메라 시스템이며, 그것의 감지되는 이미지 정보는, 각각의 처리 및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여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처리 유닛으로 전송된다. 대안적으로, 감지 수단의 이미지 정보는 이미지 감지 유닛의 이미지 데이터를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과 분리되어 있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출력될 수도 있다. 카메라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는 이미지 정보는, 모니터링 대상인 이미지 감지 유닛이 카메라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는 이미지들 상에 그래픽적으로 하이라이팅된다(예를 들면, 그래픽 표시 및/또는 심볼에 의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카메라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는 이미지들 내에 포함된 이미지 감지 유닛은 이미지 처리에 의해, 예를 들어, 컬러링, 콘트라스트 수정, 이미지 선명도 수정, 휘도 수정 및/또는 투명도 수정에 의해 하이라이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특히 간접 뷰 시스템이 카메라 시스템인 경우에는, 그것의 감지되는 이미지 정보는, 처리를 위해, 상기 제안된 디스플레이 시스템과는 별도의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별도의 시스템은, 예를 들어, 차량에 이미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카메라 시스템에 의해 감지 및 처리된 이미지 데이터가 운전자에게 출력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 정보는 차량 제어부로 전송되어 그 차량 제어부에 입력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디스플레이 시스템과는 별도의 시스템이 별도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은 필요에 따라, 즉 예를 들면, 위태로운 주행 상황에서 감지 수단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며, 자신의 처리 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간접 뷰 시스템은 감지된 이미지 정보를 차량의 운전자에게 즉각적으로/직접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간접 뷰 시스템은, 예를 들어, 차량의 운전자가 이 미러에 의해 이미지 감지 유닛을 관측할 수 있도록, 차량에 장착되는 미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시스템의 이미지들을 처리하는 처리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이미지 상에 차량 관계를 중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첩된 차량 관계로 인하여, 차량의 운전자는 재빨리 자신의 방향을 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차량 주변 환경 및 차량에 관한 이미지 감지 유닛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카메라 유닛은, 차량의 적어도 일부가 감지되도록 정렬될 수 있으며, 처리 유닛은 감지된 차량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이미지 상에 차량 레퍼런스로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감지 수단은 또한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 감지 유닛과 차량 주변 환경 내의 그 이미지 감지 유닛에 대한 장애물 간의 거리 정보를 감지 및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거리 정보의 결정은, 예를 들어 별도의 거리 센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이미지 데이터의 평가에 의해, 즉, 별도의 센서 없이도 이루어질 수 있다. 거리 센서가 제공되는 경우, 이 거리 센서는 감지 수단을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감지 수단에 더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거리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의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 상에 그래픽적으로 중첩될 수 있으며, 소정 거리 미만이 될 경우에는 경고 신호, 예를 들면 경고음이 운전자에게 출력될 수도 있고/있거나, 추가의 처리를 위해 거리 정보가 차량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 거리 정보에 따라, 차량 제어 시스템은 차량 제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동 브레이킹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거리 정보는 차량 제어 시스템에 의해 더 처리될 수 있으며, 이 거리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의 주차 시스템에 사용될 수도 있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감지 수단은 거리 정보가 임계값 미만의 값을 나타내는 이후에만, 차량 제어 시스템으로 거리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거리 정보를 전송할 경우, 감지 수단은 거리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여 차량 제어부로 하여금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 의해 차량의 주행 변수들을 조정하게 한다. 주행 변수들은 예를 들어, 차량 속도, 브레이크의 작동 정도, 및 차량의 조향각을 포함한다. 주행 변수들의 조정은 차량의 주행 상황 및 다른 주행 변수들 각각에 더 의존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주행 상황은 예를 들어 조향각 센서, 속도 센서, 브레이킹 센서 등과 같은 다른 차량 센서들에 의해 감지/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지 수단은 이미지 감지 유닛과 차량 주변 환경 내의 그 이미지 감지 유닛에 대한 장애물 간의 거리 정보를 감지하여, 필요할 경우 이 정보를 차량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는 거리 정보를 감지/결정하는 레이더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센서는 이미지 감지 유닛으로부터 공간 거리를 두고서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센서는, 거리 정보를 확실하고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차량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이미지 감지 유닛이 배치되는 하우징의 가장 바깥쪽 단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감지 수단에 의해 전송되는 거리 정보에 따라, 차량 제어 시스템은 운전자에게,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상에의 그래픽 삽입/오버레이 형태로 광학 신호를 출력하거나, 예를 들어 운전자의 캐빈에서의 경고음 형태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거나, 및/또는 조향 휠의 진동 형태로 햅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차량의 운전자에게 출력되는 신호로 인하여, 초기 단계에서 운전자의 주의가 이미지 감지 유닛에 대한 장애물로 집중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이미지 감지 유닛 및 돌출 하우징의 장애물에 대한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감지 수단에는 이미지 감지 유닛에 대한 규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및/또는 이미지 감지 유닛 상에 장착되는 정보/표시 컴포넌트가 제공되며, 이 정보/표시 컴포넌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량의 운전자에게 가시적이게 된다. 이것은, 차량으로부터 돌출되고 이미지 감지 유닛이 배치되는 하우징 및/또는 이미지 감지 유닛이 가시적이지 않거나 또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열악하게만 보임으로써, 차량 운전자의 가시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정보/표시 컴포넌트에 의해, 운전자는 차량 주변 환경에 관한 이미지 감지 유닛의 위치를 식별할 수가 있다. 정보/표시 컴포넌트는 윙렛, 돌기, 핀 및/또는 이미지 감지 유닛을 나타낼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일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정보/표시 컴포넌트 상의 직접 뷰에 의해, 소정의 위태로운 주행 상황에서 이미지 감지 유닛의 로케이션 및 위치를 식별 및 확인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 수단은 차량 주변 환경 내의 이미지 감지 유닛에 대한 장애물 상에 표시를 투영할 수 있도록, 이미지 감지 유닛과 관련하여 위치되는 광원, 예를 들면 LED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애물 상의 표시로 인하여, 차량 운전자는 장애물에 관한 이미지 감지 유닛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게 된다.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차량으로부터 돌출되는 하우징에 장착되며, 차량의 전진 주행 방향으로 광 원뿔이 방사되도록 배향된다. 바람직하게는, 광원은 돌출 하우징의 가장 바깥쪽 단부에 배치되고, 광 원뿔의 외측 경계가 차량의 중심 평면과 평행하게 되어서 돌출 하우징의 가장 바깥쪽 단부와 정렬되도록 배향되며, 이에 따라 광 원뿔의 외측 경계는 이미지 감지 유닛이 배치되는 돌출 하우징의 가장 바깥쪽 단부를 또한 나타나게 된다. 대안적으로, 광원은, 이미지 감지 유닛에 관하여, 이미지 감지 유닛의, 또는 그것의 하우징의, 또는 그것의 하우징의 성형(형성)의 그림자가 장애물에 투영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감지 수단은 수동으로 작동되거나 또는 주행 상황에 따라, 예를 들어 차량의 주차 또는 조종 과정 동안에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위태로운 주행 상황에서만 운전자의 주의가 이미지 감지 유닛에 집중되게 되며, 이에 따라 이미지 감지 유닛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지 않은 주행 상황에서는 운전자가 감지 수단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이미지 감지 유닛은 카메라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에 의해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차량, 특히 상용 차량에 부착되며,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차량, 특히 상용 차량에 부착되며, 대안의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차량, 특히 상용 차량에 부착되며, 감지 수단이 대안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도 3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이미지가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되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되는, 차량 주변 환경의 이미지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이미지가 이미지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되어,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되는, 차량 주변 환경의 이미지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차량, 특히 상용 차량에 부착되며, 대안의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차량, 특히 상용 차량에 부착되며, 대안의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차량, 특히 상용 차량에 부착되며, 대안의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트럭과 같은 상용 차량에 사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은, 적어도 이미지 감지 유닛(30), 처리 유닛(20), 디스플레이 유닛(40), 및 감지 수단(50)을 포함한다. 감지 유닛(30)에 의해 감지되는 이미지들은, 예를 들어 처리 유닛(30)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들의 디지털 전송을 위한 적절한 데이터 케이블 등의 제 1 연결부(21)를 통해 처리 유닛(20)으로 제공된다. 처리 유닛(20)은 원하는 방식으로 감지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 이미지들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유닛(20)은, 예를 들면, 이미지에서 특정한 도로 상의 객체가 인식/식별되어 표시되도록, 이미지 감지 유닛(30)으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처리한다. 처리 유닛(20)에 의해 수정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는, 그 후에 예를 들어, 이미지의 디지털 전송을 위한 적절한 데이터 케이블 등의 제 2 연결부(31)를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40)에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유닛(40)은, 상용 차량(50)의 운전자를 위한 가시적 및 사실적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20)은 이미지 감지 유닛(30)에 의해 감지되는 이미지를 반드시 처리할 필요는 없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처리 유닛(20)은 이미지 감지 유닛(30)에 의해 감지되는 이미지를 미수정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 유닛(40)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은, 예를 들어 디지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적절한 데이터 케이블 등의 제 3 연결부(51)를 통해 처리 유닛(20)에 연결될 수 있는 감지 수단(50)을 포함한다. 감지 수단(50)은,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 주변 환경과 관련하여 이미지 감지 유닛(30)의 위치를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차량(1)에 부착되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예를 들어 카메라 등의 이미지 감지 유닛(20)이, 차량(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하우징(32)에서 차량(1)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시된 예에서, 하우징(32)은 차량(1)의 운전자의 측으로부터 거리(34)만큼 연장된다. 이미지 감지 유닛(30)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32)의 가장 바깥쪽 부분에 장착되어, 가시 범위(36)(이것은 실질적으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인 차량(1)의 전진 주행 방향(2)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확장됨)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며, 실질적으로 차량(1) 운전자의 아이 포인트(4)의 뒤편에 장착된다. 또한, 도 2는 이미지 감지 유닛(30)에 대한 장애물(60), 예를 들어 나무 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이 장애물은 하우징(32)의 가장 바깥쪽 단부로부터 거리(64)를 두고서 위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감지 수단은, 이미지 감지 유닛(30)으로부터 공간 거리를 두고서 차량(1)에 장착되는 카메라 시스템(50)이다. 전진 주행 방향(2)에 있어서, 카메라 시스템(50)은 이미지 감지 유닛(30)의 뒤편에서 차량(1)에 장착되며, 실질적으로 전진 주행 방향(2)으로 확장되는 가시 범위(56)를 감지하여, 이미지 감지 유닛(3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지하도록 배향된다. 카메라 유닛(50)에 의해 감지되는 이미지 정보는, 처리 유닛(20) 및 차량(1)의 운전자가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40)으로 전송되어서, 각각, 처리 및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카메라 시스템(50)을 대신하여, 감지 수단은 미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미러 시스템에 의해 차량(1)의 운전자는 이미지 감지 유닛(30)을 관측 및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3은 상이하게 배향된 감지 수단(50)을 가진 도 2의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시스템 형태의 감지 수단(50)이 차량에 장착됨으로써, 실질적으로 감지 수단(50)에 의해 감지되는 가시 범위(56)가 전진 주행 방향(2)에 대해 수직으로 확장되며, 여기서 가시 범위(56)는 각각의 이미지 감지 유닛(30) 및 연관된 돌출 하우징(3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포함)한다.

    대안적으로, 감지 수단(50)은 대응 배치된 센서, 예를 들어 레이더 또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으며, 이것은 차량(1)과 장애물(60) 간의 거리 정보를 감지하여, 처리 유닛(2)에게 이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 전진 주행 방향(2)에 있어서, 감지 수단(40)은 이미지 감지 유닛(30) 뒤편에서 차량(1)에 장착되는 반면에,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전진 주행 방향(2)에 있어서, 감지 수단(50), 예를 들어 레이더 또는 적외선 센서는 이미지 감지 유닛(30)의 앞편에서 차량(1)에 장착된다. 감지 수단(50)은 이미지 감지 유닛(30)으로부터 공간 거리를 두고서 차량(1)에 각각 장착됨으로써, 차량(1)에 인접하는(옆의) 영역(56)이 보이도록 한다.

    기지(旣知)의 거리(34) 및 센서(50)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 유닛(20)은 하우징(32)의 가장 바깥쪽 단부와 장애물(60) 간의 거리(64)를 결정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예를 들어, 광학, 음향 및/또는 햅틱(haptic) 신호의 형태로, 대응하는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디스플레이 유닛(40)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이 이미지는 감지 수단(50), 예를 들어, 도 2의 카메라 유닛에 의해 감지되었다. 도 5의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따르면, 카메라 시스템(50)은 실질적으로 도로(포장도로)(8)의 플랜 뷰(plan view)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차량에 부착된다. 처리 유닛(20)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차량 관계(6)를 중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처리 유닛(20)은,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차량(1)으로부터 돌출된 하우징(32)을 개략적으로 중첩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는, 카메라 시스템(50)이 차량(1) 및/또는 하우징(32)의 적어도 일부를 감지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며(그러므로 이것이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포함됨), 이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가 스스로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따라 방향을 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40)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이미지는 이미지 감지 유닛(30)에 의해 감지되었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후방에 대한 뷰를 나타내고; 도 6은, 예를 들면, 지평선(7)을 나타낸다. 처리 유닛(20)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라인(9), 예를 들면, 파선, 점선 또는 실선을 중첩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라인은, 처리 유닛(20)에 의해 또한 중첩되는 차량 관계(6)로부터 거리(66)를 두고서 배치된다. 거리(66)는 운전자에게 하우징(32)의 가장 바깥쪽 단부와 차량(1) 간의 거리(34)를 정성적으로 나타냄으로써, 운전자가 조종 과정 동안에 라인(9)에 의해 스스로 방향을 정할 수 있고, 이미지 감지 유닛(30)이 배치되는 하우징(32)을 실수로 간과하지 않으며, 장애물(60)과 충돌하지 않도록 의도된다.

    도 7은 차량(1), 특히 상용 차량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차량의 운전자의 측에, 차량(1)으로부터 거리(34)만큼 돌출되는 하우징(32)이 위치하고, 여기에 이미지 감지 유닛(30)(도 7에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음)이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차량(1)으로부터 거리(35)만큼 돌출되는 하우징(33)이 또한 조수석 측에 위치하며, 이 하우징에 다른 이미지 감지 유닛(도 7에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음)이 배치된다.

    또한, 도 7은 차량(1)의 운전자의 가시 범위(3)를 도시한 것이며, 이 운전자의 가시 범위는 아이 포인트(4)로부터 시작하여, 차량(1)에 측면 방향으로 인접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 포인트(4)의 위치는 차량의 중심에 대하여 변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가시 범위(3 및 5)는 차량의 중심에 대하여 비대칭이 된다. 이것은, 운전자가 조수석 측(가시 범위(5))보다도 운전자 측에서 더 큰 가시 범위(3)를 감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차량의 두 하우징(32, 33)의 높은 장착 위치로 인해, 차량(1)의 운전자는 자신의 가시 범위(3, 5)에서 이 두 하우징(32, 33)을 직접 감지할 수가 없다. 따라서, 표시 컴포넌트 형태의 감지 수단(50), 예를 들어, 하향으로 연장되는 핀(fin)이 하우징들(32, 33) 각각에 장착되며, 이 표시 컴포넌트들은, 각 가시 범위(3, 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 주변 환경에 대하여 이미지 감지 유닛(30)의 위치를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표시 컴포넌트들(50)은 각 하우징(3, 5)의 가장 바깥쪽 단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대안적인 감지 수단(50)을 포함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감지 수단(50)은 하우징(32)에 장착되는 광원이며, 이 광원은 실질적으로 전진 주행 방향(2)으로 광 원뿔(light cone)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광 원뿔(56)은, 그것의 바깥 경계(57)가 실질적으로 전진 주행 방향(2)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하우징(32)의 가장 바깥의 단부와 정렬되도록 배향된다. 따라서, 광 원뿔(56)의 바깥 경계는 하우징(32)의 바깥 경계를 나타낸다.

    광 원뿔(56)이, 하우징(32)에 배치되는 이미지 감지 유닛(30)에 대한 장애물(60)에 부딪히는 경우, 폭(54)을 가진 투영 표면(52)이 장애물(60) 상에 발생한다. 폭(54)은, 하우징(32)이 여전히 장애물(60)과 대응하는 중첩 폭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계속 주행될 경우 하우징(32)이 장애물(60)과 충돌할 것임을 운전자에게 나타낸다. 광 원뿔(56)이 임의의 장애물(60)에 부딪히지 않는 경우, 운전자는, 하우징(32)과 장애물(60) 간에 어떠한 충돌 위험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한다.

    도 9는 차량(1), 특히 상용 차량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에서는, 이미지 감지 유닛(30)(도 7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되는 하우징(32)이 운전자 측에 위치하고, 차량(1)으로부터 거리(34)만큼 돌출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이미지 감지 유닛이(도 7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음) 배치되는 하우징(35)이 조수석 측에 위치하고, 차량으로부터 거리(35)만큼 돌출된다. 도 7과는 달리,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의 하우징들(32, 33)은 아이 포인트(4) 아래에서 차량(1)에 장착된다.

    도 9는 차량(1)의 운전자의 가시 범위(3 및 5)를 또한 도시하고 있으며, 이 운전자의 가시 범위는, 자신의 아이 포인트로부터 시작하여 차량(1)에 측면 방향으로 인접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 포인트(4)의 위치는 차량 중심에 대하여 변위되어 있으며, 따라서, 가시 범위3 및 5)는 차량 중심에 관하여 비대칭이 된다. 이것은, 운전자가 조수석 측(가시 범위(5))에서보다 운전자 측에서 더 큰 가시 범위(3)를 감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차량(1)의 두 하우징(32, 33)의 낮은 장착 위치로 인해, 그리고 차량 중심에 대한 차량(1)의 운전자의 비대칭적 좌석 위치로 인해, 차량(1)의 운전자는 자신의 가시 범위(3)에서 운전자 측의 하우징(32)을 감지할 수 있으나, 차량(1)의 운전자는, 가시 범위(5)에서는, 조수석 측에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34)을 직접 감지할 수가 없다. 따라서, 도 9의 실시예에서는, 감지 수단(50)이 차량(1)의 하우징(70)에 제공되며, 이 하우징은 차량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하우징(70)은, 예를 들면, 차량(1)의 조수석 측의 하우징(33) 및 아이 포인트(4) 위에 장착된다. 도 9의 실시예에서, 감지 수단(50)은, 예를 들면, 카메라 시스템이며, 이것은 가시 범위(56)를 감지하도록 하우징(70)에 배향된다. 가시 범위(56)는 실질적으로 수직 하향으로 확장되며, 이미지 감지 유닛(30)이 배치되는 하우징(33)을 포함한다. 감지 수단(70)의 도움으로, 차량(1)의 운전자는 하우징(33) 및 하우징에 배치되는 이미지 감지 유닛(30)을 확실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조종 및 선회 과정 중에 이를 감안할 수가 있다.

    조수석 측에 배치되는 하우징(33)을 모니터링하는 것과는 별도로, 감지 수단(50)(도 9에서는 카메라 시스템)은 법적으로 규정된 가시 범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지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시스템(50)은, 예를 들면, 램프 미러의 가시 범위(ECE 규칙 R 46에 따른 가시 범위 V) 및/또는 프런트 미러의 가시 범위(ECE 규칙 R 46에 따른 가시 범위 VI) 중의 적어도 일부를 더 감지할 수 있다.

    1: 차량 2: 전진 주행 방향
    3: 차량 운전자의 가시 범위 4: 아이 포인트
    5: 차량 운전자의 가시 범위 6: 차량 레퍼런스
    7: 지평선 8: 도로(포장도로)
    9: 라인 10: 디스플레이 시스템
    20: 처리 유닛 21: 제 1 연결부
    30: 이미지 감지 유닛 31: 제 2 연결부
    32: 하우징 33, 70: 하우징
    34, 35, 54: 거리 36: 이미지 감지 유닛의 가시 범위
    40: 디스플레이 유닛 50: 감지 수단
    51: 제 3 연결부 52: 투영 영역
    56: 가시 범위/감지 수단의 광 원뿔 60: 장애물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