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및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申请号 KR1020160060533 申请日 2016-05-18 公开(公告)号 KR1020170130037A 公开(公告)日 2017-11-28
申请人 현대자동차주식회사; 发明人 정재훈;
摘要 개시된실시예는소프트웨어의에러가발생하면서버로부터에러가개선된소프트웨어를다운로드하고, 소프트웨어의종류에따라업데이트버전의설치시점을달리하는차량, 차량소프트웨어업데이트시스템및 차량소프트웨어업데이트방법을제공한다. 일실시예에따른차량은서버와통신을수행하는통신부; 차량의소프트웨어의업데이트와관련된정보를표시하는디스플레이부; 및차량의소프트웨어에에러가발생하면상기에러와관련된정보를상기통신부를통해서버로전송하고, 서버로부터상기소프트웨어의에러가개선된업데이트버전을다운로드하고, 상기다운로드된업데이트버전의설치메시지를상기디스플레이부에표시하는제어부;를포함한다.
权利要求
  •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차량의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차량의 소프트웨어에 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에러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소프트웨어의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차량 주행안전과 관련된 제1소프트웨어인 경우 안정성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지수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 후,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하는 차량
  • 제2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속도, 주행위험과 관련된 경고 횟수, 차량의 위치, 날씨 및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성 지수를 산출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기능과 관련된 제2소프트웨어인 경우,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에 동의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하는 차량.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의하는 명령이 입력되고,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까지 상기 제2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이 설치 가능한 경우,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차량의 주행안전과 관련된 제1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 또는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기능과 관련된 제2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이 아닌 경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차량의 다음 시동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여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에 동의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하고, 설치 결과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때,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동의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1오브젝트,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동의하지 않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2오브젝트, 상기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 다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3오브젝트 및 업데이트 버전이 다운로드되면 항상 바로 업데이트 버전이 설치되도록 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4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차량.
  • 소프트웨어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에러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이 전송되면,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다운로드하는 차량; 및
    차량의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에러 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은 업데이트 버전이 다운로드되면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상기 차량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에러 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이 있으면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 소프트웨어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차량에서 상기 에러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이 전송되면,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차량 주행안전과 관련된 제1소프트웨어인 경우 안정성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지수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1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지수를 산출하는 것은,
    차량의 주행속도, 주행위험과 관련된 경고 횟수, 차량의 위치, 날씨 및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성 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기능과 관련된 제2소프트웨어인 경우,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에 동의하는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하는 것은,
    상기 동의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까지 상기 제2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이 설치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까지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가 가능한 경우,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차량의 주행안전과 관련된 제1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 또는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기능과 관련된 제2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 또는 상기 제2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이 아닌 경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차량의 다음 시동 시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여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에 동의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하고;
    설치 결과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때,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동의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1오브젝트,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동의하지 않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2오브젝트, 상기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 다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3오브젝트 및 업데이트 버전이 다운로드되면 항상 바로 업데이트 버전이 설치되도록 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4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차량으로부터 에러 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이 있으면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 说明书全文

    차량,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및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Vehicle, vehicle software update system and vehicle software update method}

    개시된 실시예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이 장착되고, 이러한 단말에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탑재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새로운 기능 추가와 에러 개선을 위해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다양한 원인으로 업데이트에 번거로움을 느껴, 큰 불편이 느껴지지 않는 한 업데이트를 하지 않거나 미루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업데이트의 번거로움은 낮은 업데이트 실행률로 이어진다.

    개시된 실시예는 소프트웨어의 에러가 발생하면 서버로부터 에러가 개선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고, 소프트웨어의 종류에 따라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시점을 달리하는 차량,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및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차량의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차량의 소프트웨어에 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에러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소프트웨어의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차량 주행안전과 관련된 제1소프트웨어인 경우 안정성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지수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 후,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속도, 주행위험과 관련된 경고 횟수, 차량의 위치, 날씨 및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성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기능과 관련된 제2소프트웨어인 경우,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에 동의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의하는 명령이 입력되고,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까지 상기 제2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이 설치 가능한 경우,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차량의 주행안전과 관련된 제1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 또는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기능과 관련된 제2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이 아닌 경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차량의 다음 시동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여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에 동의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하고, 설치 결과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때,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동의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1오브젝트,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동의하지 않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2오브젝트, 상기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 다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3오브젝트 및 업데이트 버전이 다운로드되면 항상 바로 업데이트 버전이 설치되도록 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4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스템은 소프트웨어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에러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이 전송되면,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다운로드하는 차량; 및 차량의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에러 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은 업데이트 버전이 다운로드되면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상기 차량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에러 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이 있으면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은 소프트웨어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차량에서 상기 에러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이 전송되면,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차량 주행안전과 관련된 제1소프트웨어인 경우 안정성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지수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1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정성 지수를 산출하는 것은, 차량의 주행속도, 주행위험과 관련된 경고 횟수, 차량의 위치, 날씨 및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성 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기능과 관련된 제2소프트웨어인 경우,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에 동의하는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하는 것은, 상기 동의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까지 상기 제2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이 설치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까지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가 가능한 경우,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차량의 주행안전과 관련된 제1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 또는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기능과 관련된 제2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 또는 상기 제2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이 아닌 경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차량의 다음 시동 시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여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에 동의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하고; 설치 결과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메시지를 표시할 때,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동의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1오브젝트,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동의하지 않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2오브젝트, 상기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 다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3오브젝트 및 업데이트 버전이 다운로드되면 항상 바로 업데이트 버전이 설치되도록 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4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에서 차량으로부터 에러 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이 있으면 상기 업데이트 버전을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소프트웨어에 오류가 발생할 때마다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므로, 업데이트의 수행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의 종류에 따라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시기를 달리하여 업데이트의 수행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업데이트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및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차량(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51, 52), 차륜(51, 52)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80),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71),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30), 운전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81, 82)를 포함한다.

    차륜(51, 52)은 차량(100)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51), 차량(100)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52)을 포함한다.

    구동 장치(80)는 본체(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51) 또는 후륜(5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60)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배터리나 연료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를 포함하는 경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인버터를 포함한다.

    도어(71)는 본체(1)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 불리는 전면 유리(30)는 본체(10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된다.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는 전면 유리(30)를 통해 차량(100)의 전방을 볼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미러(81, 82)는 본체(1)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81)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82)를 포함한다.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는 사이드 미러(81, 82)를 통해 차량(100)의 측면 및 후방의 상황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차량(100)은 차량(100) 주변의 장애물 등을 감지하여 차량(100) 주변의 상황을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차량의 속도 등과 같은 차량의 주행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차선 등을 포함하는 차량의 주변 환경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기어박스(120), 센터페시아(130), 스티어링 휠(140) 및 계기판(15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dash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박스(120)에는 차량 변속을 위한 기어 레버(12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기어박스에는 사용자가 네비게이션(10)이나 오디오 장치(133)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기능이나 차량(100)의 주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이얼 조작부(111)와 다양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입력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132), 오디오 장치(133) 및 네비게이션(1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는 차량(100)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00)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는 센터페시아(1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사용자는 센터페시아(130)에 배치된 버튼이나 다이얼을 이용하여 차량(100)의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기어박스(120)에 설치된 입력부(110)의 버튼들이나 다이얼 조작부(111)를 통해 공조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센터페시아(130)에는 네비게이션(10)이 설치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10)은 차량(100)의 센터페시아(130)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센터페시아(130)에는 네비게이션(10)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네비게이션(10)의 입력부는 센터페시아(130)가 아닌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10)의 입력부는 네비게이션(10)의 디스플레이(300) 주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네비게이션(10)의 입력부는 기어 박스(120)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스티어링 휠(140)은 차량(10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141) 및 차량(100)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1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포크(142)에는 차량(100)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142a, 142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에는 차량(100)의 주행 속도, 엔진 회전수 또는 연료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각종 계기판(150)이 설치될 수 있다. 계기판(150)은 차량 상태, 차량 주행과 관련된 정보, 멀티미디어 장치의 조작과 관련된 정보 등을 표시하는 계기판 디스플레이(151)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는 대시보드에 마련된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을 조작하여 차량(100)을 운행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외부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의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통신부(520), 예를 들면 텔레매틱스 단말을 포함하여 무선으로 차량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일컬어 FOTA(Firmware Over The Air)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을 제공하는 서버(600), 예를 들면 FOTA서버에서 전술한 텔레매틱스 단말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달하면, 운전자가 다운로드 및 설치를 선택해야 업데이트가 진행된다. 일반적인 주행환경에서 운전자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하므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미루게 된다. 이로 인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적절한 시기에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운전자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에 에러가 발생할 경우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소프트웨어의 종류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시기를 달리하여 차량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럭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업데이트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다수의 단말(500)과, 다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505)와, 서버(6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520)와,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와 관련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0)와, 단말(500)이나 ECU(505)의 소프트웨어에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와 관련된 정보를 통신부(520)를 통해 서버(600)로 전송하고, 서버(600)로부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버전이 다운로드되면 디스플레이부(300)를 제어하여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프로세서(510)를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스템은 전술한 차량과 전술한 FOTA서버와 같은 서버를 포함한다. 서버(600)는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600)는 차량으로부터 에러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에러가 개선된 소프트웨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이 존재하면 차량의 통신부(520)로 업데이트 버전을 전송한다.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스템은 서버(600)로 전술한 FOTA서버만 포함하여, 차량과 FOTA서버가 직접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에러 정보를 수신하고, FOTA서버로 에러정보를 전송하여 에러를 개선하기 위한 원격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중간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차량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가 각각 탑재된 다수의 단말(500)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단말(500)은 경로안내 기능을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단말, 사고와 같은 긴급상황 발생 시 콜센터나 관계기관으로 바로 긴급상황을 전달하는 긴급콜(eCall) 기능이나 SOS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500)은 관련 기능이 필요한 차량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거나 통합된 하나의 단말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에는 다수의 ECU, 예를 들면, 엔진을 제어하는 ECU,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ECU, 변속기를 제어하는 ECU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ECU는 해당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탑재된다.

    통신부(520)는 전술한 것처럼 텔레매틱스 단말로 구현되어 별도의 단말로 차량에 장착되거나,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520)는 단말(500) 또는 ECU(505)와 CAN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520)는 단말(500)에 오동작이 발생하면 즉, 단말(500)에 탑재된 소프트웨어에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와 관련된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단말(500)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프로세서(510)는 에러가 발생한 단말(500)의 명칭, 에러코드, 소프트웨어 버전 등을 포함한 에러 정보를 결정하여 통신부(520)로 전달하고, 통신부(520)는 이렇게 전달된 에러정보를 서버(600)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로, 각 단말(500)에서 전술한 에러 정보를 바로 통신부(5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520)는 서버(600)로부터 에러가 개선된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이 전송되면 이를 다운로드하고, 프로세서(510)는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설치되기 전에 메모리(515)에 저장한다. 메모리(515)는 프로세서(510)와 별도로 마련되거나 프로세서(510)에 포함되어 마련될 수 있고, 단말(500)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업데이트 버전은 설치되기 전에 메모리(515)나 프로세서(510)가 아닌 단말(500)에서 저장될 수도 있다.

    메모리(515)는 S램(S-RAM), D랩(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20)와 서버(600) 간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통신 네트워크로는 기존의 상용화된 3g, 4g 통신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실시간에 가까운 보다 빠른 정보의 송수신을 위해 5g 통신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통신부(520)는 통신 네트워크가 채용하고 있는 3g, 4g 및 5g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520)는 전술한 것처럼 3G(3Generation), 4G(4Generation) 등과 같은 통신방식을 통해 기지국을 거쳐 서버(600) 등의 장치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서버(600) 등의 장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20)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통신방식을 통해 소정 거리 이내의 단말(500)로 데이터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소정 거리 이내의 단말(500)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20)는 전술한 것처럼, 5G(5Generation) 통신방식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4G 통신방식은 2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만, 5G 통신방식은 약 28GHz 대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5G 통신방식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대시 보드의 중앙 영역인 센터페시아(130)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300)는 자체 발광이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또는 별도의 발광원을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을 채용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동작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한 좌표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touch panel), 터치 패널이 검출한 접촉 좌표를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을 판단하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는 터치 패널을 통하여 검출하는 사용자의 터치 좌표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하는 제어 명령의 좌표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단말(500)의 소프트웨어에 에러가 발생하면 이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고, 서버(600)로부터 소프트웨어의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이 다운로드되면, 업데이트 버전의 다운로드를 알리고 업데이트 버전에 의해 개선된 사항 등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에러 발생 및 에러를 개선한 업데이트 버전의 다운로드 등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여, 운전자가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필요성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단말(500)의 소프트웨어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전술한 것처럼 에러가 발생한 단말(500)의 명칭, 에러코드, 소프트웨어 버전 등을 포함하는 에러정보를 통신부(520)를 통해 서버(600)로 전송한다. 또한, 프로세서(510)는 단말(500)에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할 수 있고, 서버(600)로부터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이 다운로드되면, 업데이트 버전의 다운로드와 업데이트 버전에 의해 개선된 사항 등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10)는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이 다운로드되면,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한다. 프로세서(510)는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의 종류에 따라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달리 표시하고, 설치 시점을 달리 적용할 수 있다.

    우선 프로세서(510)는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이 다운로드되면, 업데이트 버전의 용량과 프로세서(510)의 처리속도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시간을 산출한다. 프로세서(510)에서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고, 서버(600)로부터 업데이트 버전의 예상설치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510)는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차량의 주행안전과 관련된 소프트웨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주행안전과 관련된 소프트웨어인 경우, 예를 들면 전술한 eCall 또는 SOS 기능 등과 관련된 소프트웨어인 경우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한다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하고,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한다. 즉, 차량의 주행안전과 관련된 소프트웨어(이하 제1소프트웨어라 함)인 경우,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을 바로 적용하는 것이 주행안전에 필요하므로 운전자의 동의를 거치지 않고 바로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제1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 설치 시, 차량이 주행 중일 때, 사고 위험성을 고려하여 안정성 지수(Psa)를 산출하고, 안정성 지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할 수 있다. 기준값은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10)는 차량의 주행속도와 관련된 파라미터(Ps), 경고횟수와 관련된 파라미터(Pw), 차량위치와 관련된 파라미터(Pp), 날씨와 관련된 파라미터(Pw), 설치시간과 관련된 파라미터(Pt) 등에 기초하여 안정성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안정성 지수 산출의 기초가 되는 파라미터들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10)는 전술한 파라미터에 각각 가중치(W1, W2, W3, W4, W5)를 적용한 하기의 수학식1을 이용하여 안정성 지수를 산출한다.

    <수학식 1>

    Psa = W1* Ps + W2* Pw + W3* Pp + W4* Pw + W5* Pt

    상기 수학식 1에서 각 가중치들의 합은 1이 되도록 설정된다. 프로세서(510)는 각 파라미터를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는 주행속도와 관련된 파라미터(Ps)를 산출할 때, 차량이 정차 상태일 때는 Ps를 1, 미리 정해진 속도 이상의 고속주행 시에는 Ps를 0으로 결정하고, 정차상태에서 속도가 10km/h 상승할 때마다 0.1씩 감소된 값을 Ps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는 경고횟수와 관련된 파라미터(Pw)를 산출할 때, 미리 정해진 시간, 예를 들면 최근 5분 간 차량의 경고기능, 예를 들면 LDWS(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BSD(Blind Spot Detection),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등으로부터의 경고가 없었으면 Pw를 1, 경고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이면 Pw를 0으로 결정하고, 경고횟수가 1회씩 누적될 때마다 0.1씩 감소된 값을 Pw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경고기능은 일 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세는 차량위치와 관련된 파라미터(Pp)를 산출할 때, 네비게이션 등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차량이 사고다발지역, 교차로, 터널 또는 고속도로 등을 주행하고 있을 때 Pp를 0, 전술한 위치에서 주행 중이 아니면 Pp를 1로 결정하고, 사고다발지역, 교차로, 터널 또는 고속도로 등과 같은 위치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시간 이하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만큼 줄어들 때마다 0.1씩 감소된 값을 Pp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사고다발지역, 교차로, 터널 또는 고속도로는 사고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의 일 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세는 날씨와 관련된 파라미터(Pw)를 산출할 때, 통신부(520)를 통해 획득한 날씨정보에 눈, 비 등의 예보가 없고, 영하의 온도가 아니며, 주간 주행인 경우 등 사고위험 가능성이 적은 날씨인 경우 Pw를 1로, 날씨정보에 눈, 비 등의 예보가 있거나, 영하의 기온이거나, 야간 주행인 경우 등과 같이 미리 정해진 조건들이 하나씩 만족될 때마다 0.2씩 감소된 값을 Pw값으로 산??할 수 있다. 전술한 눈, 비, 영하의 기온, 야간주행 등은 일 예일 뿐 Pw를 산출하는 데 기초가 되는 조건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세는 설치시간과 관련된 파라미터(Pt)를 산출할 때,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시간이 1분 이내이면 Pt를 1로, 설치시간이 1분씩 증가할 때마다 0.1씩 감소된 값을 Pt값으로 산??할 수 있다. 전술한 1분은 예시적인 것일 뿐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세서(510)는 전술한 방법으로 각각의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파라미터를 상기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안정성 지수를 산출한다. 프로세서(510)는 산출된 안정성 기준값보다 크면 제1소프트웨어를 바로 설치해도 사고 위험성이 낮다고 판단하고, 제1소프트웨어를 바로 설치한다. 프로세서(510)는 산출된 안정성 지수가 기준값보다 작으면 제1소프트웨어를 바로 설치하지 않고, 다음 시동 시에 설치하거나, 실시간으로 안정성 지수를 갱신하여 안정성 지수가 기준값보다 커지게 되면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510)는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제1소프트웨어가 아닌 경우,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기능과 관련된 소프트웨어(이하 제2소프트웨어라 함),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맵을 통한 경로안내기능과 관련된 소프트웨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2소프트웨인 경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업데이트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으로, 디스플레이부(30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설치 메시지를 표시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설치 메시지는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여부를 묻는 텍스트와 함께, "YES"처럼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동의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1오브젝트(400), "No"처럼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동의하지 않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2오브젝트(410), "Remind Later"처럼 상기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 다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3오브젝트(420) 및 "Always Yes"처럼 업데이트 버전이 다운로드되면 항상 바로 업데이트 버전이 설치되도록 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4오브젝트(430)를 표시할 수 있다. 오브젝트들은 전술한 것처럼 텍스트로 표시되거나 각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특징을 캐릭터화한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고, 텍스트와 아이콘이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운전자가 미리 정해진 터치제스처를 통해 제1오브젝트(400)를 선택하여,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에 동의하면, 프로세서(510)는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차량이 목적지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으면,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수행한다.

    차량이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완료할 수 없으면, 프로세서(510)는 다음 시동 시에 설치를 수행하거나, 다음 시동 시에 다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시지를 표시하여 운전자의 명령을 입력받거나, 실시간으로 목적지 도달에 소요되는 시간을 갱신하여,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에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가 가능해지면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할 수도 있다. 차량이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에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완료할 수 없는 경우, 프로세서(510)가 수행하는 전술한 절차들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능과 관련된 설정에서 운전가 원하는 절차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운전자가 제4오브젝트(430)를 선택하면, 프로세서(510)는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을 항상 설치하고, 에러가 발생할 때마다 서버(600)와의 통신을 통해 능동적으로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제4오브젝트(430)를 선택한 경우에 이어지는 절차 또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능과 관련된 설정에서 운전자가 수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510)는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전술한 제1소프트웨어와 제2소프트웨어가 아닌 경우, 차량의 다음 시동 시에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할 수 있다. 차량의 주행안전이나 실시간으로 기능하는 소프트웨어가 아닌 경우에는 소프트웨어를 바로 업데이트하지 않아도 차량 운행에 큰 지장이 없으므로, 다음 시동 시에 다시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물론, 이 또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능과 관련된 설정에서 운전자가 수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업데이트 버전이 제1소프트웨어나 제2소프트웨어가 아닌 경우, 업데이트 버전이 다음 시동 시 자동적으로 설치되도록 수정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자동적으로 설치되도록 수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프로세서(510)는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설치 결과를 통신부(520)를 통해 서버(600)로 전송한다. 차량으로부터 에러가 다시 전송될 경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결과에 따라, 서버(600)에서 다음 버전을 전송하거나 전송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510)는 업데이트 결과를 서버(600)로 전송한다. 전술한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방법은 차량의 각종 단말(500)뿐만 아니라, ECU(505)의 업데이트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은 단말(500)의 소프트웨어에서 에러가 발생하면(700), 에러가 발생한 단말(500)의 명칭, 에러코드, 소프트웨어 버전 등을 포함하는 에러정보를 서버(600)로 전송한다. 서버(600)에서 에러정보를 수신하면(710), 서버(600)는 상기 에러가 개선된 소프트웨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고(720),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이 존재하면 차량으로 업데이트 버전을 전송한다(730).

    차량은 업데이트 버전이 서버(600)로부터 전송되면, 전송된 업데이트 버전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한다(740). 차량은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결과를 서버(600)로 전송하고(750), 서버(600)는 전송결과를 수신하여(760), 추후 에러정보 수신 시 다른 업데이트 버전을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6의 상기 740번 단계를 도 7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업데이트 버전이 다운로드되면(800), 프로세서(510)는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시간을 산출하고(810),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제1소프트웨어인지 여부를 결정한다(820). 업데이트 버전이 제1소프트웨어인 경우 프로세서(510)는 안정성 지수를 산출한다(830). 프로세서(510)는 산출된 안정성 지수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840)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한다(850).

    프로세서(510)는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이 다운로드되면, 업데이트 버전의 용량과 프로세서(510)의 처리속도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시간을 산출한다. 프로세서(510)에서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고, 서버(600)로부터 업데이트 버전의 예상설치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510)는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차량의 주행안전과 관련된 제1소프트웨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1소프트웨어인 경우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한다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하고,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한다. 즉, 제1소프트웨어인 경우, 에러가 개선된 업데이트 버전을 바로 적용하는 것이 주행안전에 필요하므로 운전자의 동의를 거치지 않고 바로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제1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버전 설치 시, 차량이 주행 중일 때, 사고 위험성을 고려하여 안정성 지수(Psa)를 산출하고, 안정성 지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할 수 있다. 안정성 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프로세서(510)는 업데이트 버전이 제1소프트웨어가 아닌 경우, 제2소프트웨어인지를 결정하고(860), 제2소프트웨어인 경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표시하고(870), 설치동의 명령이 입력되면(880),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에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가 가능한 경우(890), 업데이트 버전을 설치한다.

    한편, 프로세서(510)는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제1소프트웨어가 아닌 경우,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기능과 관련된 제2소프트웨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2소프트웨인 경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30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설치 메시지를 표시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설치 메시지는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여부를 묻는 텍스트와 함께, "YES"처럼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동의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1오브젝트(400), "No"처럼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동의하지 않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2오브젝트(410), "Remind Later"처럼 상기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 다시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3오브젝트(420) 및 "Always Yes"처럼 업데이트 버전이 다운로드되면 항상 바로 업데이트 버전이 설치되도록 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제4오브젝트(430)를 표시할 수 있다.

    운전자가 미리 정해진 터치제스처를 통해 제1오브젝트(400)를 선택하여,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에 동의하면, 프로세서(510)는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차량이 목적지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으면, 상기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를 수행한다.

    프로세서(510)는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제2소프트웨어가 아닌 경우, 다음 시동 시에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표시한다(900).

    한편, 프로세서(510)는 다운로드된 업데이트 버전이 전술한 제1소프트웨어와 제2소프트웨어가 아닌 경우, 차량의 다음 시동 시에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할 수 있다. 차량의 주행안전이나 실시간으로 기능하는 소프트웨어가 아닌 경우에는 소프트웨어를 바로 업데이트하지 않아도 차량 운행에 큰 지장이 없으므로, 다음 시동 시에 다시 업데이트 버전의 설치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500: 단말
    505: ECU
    510: 프로세서
    515: 메모리
    520: 통신부
    300: 디스플레이부
    600: 서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