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申请号 KR1020150004446 申请日 2015-01-12 公开(公告)号 KR1020160086708A 公开(公告)日 2016-07-20
申请人 삼성전자주식회사; 发明人 심대현; 스타쉭알레타; 키에지나자콥; 키즈폴; 폴티녜비취라팔; 바르바초비스키레미기스; 쿠스미에렉보이치; 샤르진스키크르지스토프; 클로스피오트르; 지에멕매튜; 안토니에비취라도슬라우; 두샤마르친; 프라취크로만;
摘要 본개시는디바이스에관한것으로, 차량의주행상황을감지하는감지부, 및감지된주행상황에따라일정구간동안디바이스에서발생된이벤트에대한알림을제한하고, 주행상황이변경되면일정구간동안제한된알림을제공하는제어부를포함하며, 일정구간은차량의상기주행상황에따라실시간으로결정된다.
权利要求
  • 디바이스로서,
    차량의 주행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된 상기 주행 상황에 따라 일정 구간 동안 상기 디바이스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알림(notification)을 제한하고, 상기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제한된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정 구간은 상기 차량의 상기 주행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결정되는,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대방으로부터의 전화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상기 전화 또는 상기 메시지에 대한 수신 알림을 제한하는, 디바이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위험 레벨, 상기 이벤트의 발생 빈도 또는 상기 상대방에 적응적으로 상기 알림을 제한 또는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상기 전화 또는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주행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상황에 기반한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상황을 기초로 미래 상황을 예측하고, 예측된 상기 미래 상황을 더 포함하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사용자의 상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 마이크로폰 또는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상기 주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차량의 외부 상황, 상기 차량의 내부 상황, 상기 차량의 자체 상황 또는 사용자의 상황을 포함하는 상기 주행 상황을 감지하는,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사용자가 전화 또는 메시지의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주행 상황에 따른 현재 위험 레벨 또는 발신 가능 시간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화 또는 상기 메시지의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주행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발신 가능 상태를 알려주는 알림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이 종료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한 리마인더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과 통신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위험 요소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에 장착된 적어도 두 개의 스피커들 중 상기 위험 요소에 근접한 스피커에서 상기 알림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디바이스.
  •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차량의 주행 상황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상기 주행 상황에 따라 일정 구간 동안 상기 디바이스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제한된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정 구간은 상기 차량의 상기 주행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결정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대방으로부터 전화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림을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상기 전화 또는 상기 메시지에 대한 수신 알림을 제한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을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위험 레벨, 상기 이벤트의 발생 빈도 또는 상기 상대방에 적응적으로 상기 알림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상기 전화 또는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주행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상황에 기반한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상황을 기초로 미래 상황을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예측된 상기 미래 상황을 더 포함하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에게 제공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사용자의 상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사용자가 전화 또는 메시지의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주행 상황에 따른 현재 위험 레벨 또는 발신 가능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화 또는 상기 메시지의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주행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발신 가능 상태를 알려주는 알림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이 종료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한 리마인더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차량의 주행 상황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상기 주행 상황에 따라 일정 구간 동안 상기 디바이스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제한된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정 구간은 상기 차량의 상기 주행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결정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说明书全文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evic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차량에 의한 사고가 빈발하고 있으므로, 안전 운전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특히, 스마트폰의 보급 및 발달로 인해, 운전 중에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운전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운전 중 스마트폰의 사용은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방해할 수 있고, 교통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운행 중 스마트폰을 통한 통신을 전면적으로 제한할 경우 사용자의 자율성 및 편의성이 지나치게 제약 받게 된다. 따라서, 안전과 사용자의 편의성 사이의 균형을 도모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행 상황에 따라 디바이스의 알림을 선택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지원할 수 있는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바이스는, 차량의 주행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된 상기 주행 상황에 따라 일정 구간 동안 상기 디바이스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한하고, 상기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제한된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정 구간은 상기 차량의 상기 주행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전화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상기 전화 또는 상기 메시지에 대한 수신 알림을 제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위험 레벨, 상기 이벤트의 발생 빈도 또는 상기 상대방에 적응적으로 상기 알림을 제한 또는 상기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상기 전화 또는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주행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상황에 기반한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상황을 기초로 미래 상황을 예측하고, 예측된 상기 미래 상황을 더 포함하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사용자의 상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 마이크로폰 또는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상기 주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차량의 외부 상황, 상기 차량의 내부 상황, 상기 차량의 자체 상황 또는 사용자의 상황을 포함하는 상기 주행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사용자가 전화 또는 메시지의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주행 상황에 따른 현재 위험 레벨 또는 발신 가능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화 또는 상기 메시지의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주행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발신 가능 상태를 알려주는 알림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이 종료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한 리마인더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과 통신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위험 요소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에 장착된 적어도 두 개의 스피커들 중 상기 위험 요소에 근접한 스피커에서 상기 알림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차량의 주행 상황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상기 주행 상황에 따라 일정 구간 동안 상기 디바이스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제한된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정 구간은 상기 차량의 상기 주행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대방으로부터 전화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림을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상기 전화 또는 상기 메시지에 대한 수신 알림을 제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알림을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위험 레벨, 상기 이벤트의 발생 빈도 또는 상기 상대방에 적응적으로 상기 알림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상기 전화 또는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주행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주행 상황에 기반한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주행 상황을 기초로 미래 상황을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예측된 상기 미래 상황을 더 포함하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사용자의 상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 메시지를 상기 상대방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사용자가 전화 또는 메시지의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주행 상황에 따른 현재 위험 레벨 또는 발신 가능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화 또는 상기 메시지의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주행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발신 가능 상태를 알려주는 알림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차량의 주행이 종료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한 리마인더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차량의 주행 상황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상기 주행 상황에 따라 일정 구간 동안 상기 디바이스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상기 일정 구간 동안 제한된 상기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정 구간은 상기 차량의 상기 주행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결정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일정 구간에는 디바이스의 알림을 제공하지 않고, 차량의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일괄적으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디바이스의 알림에 의해 운전을 방해받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 중에 디바이스의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면서도 안전 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적어도 고 위험 레벨, 중간 위험 레벨 및 저 위험 레벨로 구분하고, 중간 위험 레벨에는 수신 이벤트의 빈도 및 상대방에 따라 선택적으로 디바이스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요한 전화 또는 메시지에 대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드라이빙 모드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주행 상황의 감지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결정되는 위험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감지되는 제1 시점에서의 가능한 위험 요소들 및 이에 따른 위험 레벨을 나타낸다.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감지되는 제2 시점에서의 가능한 위험 요소들 및 이에 따른 위험 레벨을 나타낸다.
    도 6c는 도 6a 및 도 6b를 기초로 제1 디바이스에서 결정되는 위험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 예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결정되는 외부 환경에 적응적인 임계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감지된 제1 주행 상황을 나타내고, 도 8b는 이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위험 레벨 표시를 나타낸다.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감지된 제2 주행 상황을 나타내고, 도 9b는 이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위험 레벨 표시를 나타낸다.
    도 10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감지된 제3 주행 상황을 나타내고, 도 10b는 이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위험 레벨 표시를 나타낸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고위험 레벨 표시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복수의 위험 레벨들에 적응적인 알림 제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알림 제공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알림 제공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수신 메시지 제공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알림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가이드 제공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리마인더 제공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응답 메시지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응답 메시지의 타입들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응답 메시지 생성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응답 메시지 제공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응답 메시지 제공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2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자동 메시지 제공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발신 가능 시간 제공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3a 내지 도 33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전화 발신 동작의 일 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다.
    도 34a 내지 도 34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문자 메시지 발신 동작의 일 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다.
    도 3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상태 변경 가이드 제공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드라이빙 모드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37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 및 차량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37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 및 차량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0a 및 도 4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차량 및 제1 디바이스의 위험 레벨 알림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드라이빙 모드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4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드라이빙 모드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드라이빙 모드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제1 디바이스(100) 및 제2 디바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 내의 거치대(cradle)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 내의 임의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은 음성 통화 기능, 영상 통화 기능 또는 메시지 송수신 기능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기기들이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은 전자 칠판, 터치 테이블 등과 같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소프트웨어를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애플리케이션, OS, 미들웨어 중 하나에 의해 실행되거나,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드라이빙 모드를 제공하는 기능은 애플리케이션, OS, 미들웨어 중 하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제1 디바이스(100)뿐만 아니라 제1 디바이스(100)와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 예를 들면,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서버, 또는 네비게이션 등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에는 웹 브라우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사전 애플리케이션, 번역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전송 애플리케이션,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전화 애플리케이션,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소셜 커뮤니케이터 애플리케이션,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지도 애플리케이션, 사진 폴더 애플리케이션, 방송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운동 지원 애플리케이션, 결제 애플리케이션, 메모 애플리케이션,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폰 북 애플리케이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들웨어"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미리 구현해 놓은 복수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는 애플리케이션이 디바이스 내부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API를 통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윈도우 매니저, 멀티미디어 매니저, 리소스 매니저, 파워 매니저, 데이터베이스 매니저, 패키지 매니저, 연결 매니저, 통지 매니저, 위치 매니저, 그래픽 매니저 또는 보안 매니저 등의 복수의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3을 참조하여 미들웨어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의 제1 사용자(USER1)는 제1 차량(C1)을 운전하는 운전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전화 또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에게 전화 또는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운전자 디바이스라고 정의할 수 있고, 제2 디바이스(200)는 상대방 디바이스라고 정의할 수 있고, 제1 차량(C1)은 사용자 차량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제1 차량(C1)의 주행 중에 제1 디바이스(100)를 통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제1 차량(C1)의 주행 상황에 따라 제1 사용자(USER1)의 안전 운행이 방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의 주행 상황을 감지하고,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일정 구간 동안 제1 디바이스(100)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한하고,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일정 구간 동안 제한된 알림을 일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운전자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전화 또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도 1의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 차량의 주행 상황을 감지한다. 여기서, 차량의 주행 상황은 차량의 외부 상황, 차량의 내부 상황, 차량의 자체 상황 및 운전자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외부 상황은 예를 들어, 다른 차량들(vehicles), 보행자들(pedestrians), 차선, 교통량, 도로의 포장 상태 등과 같은 도로 상황 또는 날씨 등일 수 있다. 차량의 내부 상황은 차량 내의 소음 등일 수 있다. 차량의 자체 상황은 차량의 속도 등일 수 있다. 운전자의 상황은 제1 사용자(USER1)의 감정 상태, 피로도, 주의력, 운전 경력, 운전 집중도 등일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일정 구간 동안 디바이스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한한다. 여기서, 일정 구간은 주행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벤트는 일정 구간 동안 디바이스에 수신된 전화 또는 메시지 등과 같은 통신 이벤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벤트는 일정 구간 동안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된 알림 이벤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된 주행 상황의 판단 결과, 운전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운전자가 디바이스의 알림으로 인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일정 구간 동안 제한된 알림을 일괄적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주행 상황이 변경'되었음은 운전자가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는 안전한 상태에 진입하였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알림을 일괄적으로 제공'한다는 것은 일정 구간 동안 디바이스에 수신된 통신 이벤트 또는 알림 이벤트를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한된 알림은 알림 패킷(notification packet)으로 일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30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의 주행 상황을 감지한다. 여기서, 차량의 주행 상황은 차량의 외부 상황, 차량의 내부 상황, 차량의 자체 상황 및 운전자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의 카메라 모듈, 마이크로폰(microphone) 모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각종 센서들, 애플리케이션들 등을 이용하여 제1 차량(C1)의 주행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제1 차량(C1)의 카메라 모듈, 마이크로폰 모듈, GPS 모듈, 각종 센서들, 애플리케이션들 등을 이용하여 제1 차량(C1)의 주행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모듈, 마이크로폰 모듈, GPS 모듈, 각종 센서들, 애플리케이션들 등을 이용하여 제1 차량(C1)의 주행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제1 차량(C1)의 주행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의 외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의 후면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차량들, 보행자들, 차선 등과 같은 도로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의 내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USER1)의 홍채 또는 머리 위치를 인식하여 제1 사용자(USER1)의 피로도, 주의력, 운전 집중도 등과 같은 운전자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마이크로폰 모듈을 이용하여 제1 차량(C1)의 주행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 내부의 사운드(sound)를 획득하는 마이크로폰 모듈을 이용하여 제1 차량(C1)의 내부 소음 또는 제1 사용자(USER1)의 음성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제1 차량(C1)의 현재 위치 또는 제1 차량(C1)의 현재 속도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는 도심(downtown), 시골, 고속도로 등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ometer), 자이로센서(gyro sensor) 등과 같은 각종 센서들을 이용하여, 제1 차량(C1)의 현재 속도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현재 실행 중이거나 이전에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참조하여 제1 차량(C1)의 주행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차량(C1)의 현재 위치, 현재 교통량, 사고 다발 지역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날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날씨 또는 미래 날씨와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뉴스 애플리케이션, 메일 애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을 통해 제1 차량(C1)의 주행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전화 또는 메시지를 발신한다. 단계 S32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전화 또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전화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전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또는 VoLTE(Voice over LTE)일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또는 예를 들어, 카카오톡, 라인 등과 같은 채팅 서비스를 통한 메시지일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threat level)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도로 상태를 분석할 수 있고, 분석 결과에 따라 위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먼저, 제1 디바이스(100)에서 도로 상태를 분석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정적(static) 도로 상태 및 동적(dynamic) 도로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카메라의 단일 프레임에서 검출한 위험 요소를 기초로 정적 도로 상태를 분석하고, 카메라의 연속 프레임들에서 검출한 위험 요소를 트랙킹(tracking)함으로써 동적 도로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단일 프레임에서 검출된 위험 요소에서 제1 차량(C1)까지의 거리가 위험한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 위험들을 정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연속 프레임들에서 검출된 위험 요소가 제1 차량(C1)의 충돌 영역에 접근하는 경우 위험들을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디바이스(100)에서 위험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충돌 소요 시간(time to collision, TTC)을 예측하고, 예측된 충돌 소요 시간을 기초로 위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험 레벨은 동시에 발생하는 모든 위험 요소들의 검출, 검출된 모든 위험 요소들에 대한 충돌 소요 시간의 계산, 가장 높은 위험 요소의 선택 등을 기초로 최종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요소는 위험 레벨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로 정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차량(C1)의 속도, 충돌 영역(colliding area) 내의 보행자, 충돌 영역 내의 차량, 차선 이탈, 도로 타입(즉, 도심의 도로 또는 시골의 도로), 도로 악화(즉, 비 또는 눈으로 인한 노면의 미끄러움 또는 노면 결빙 등) 등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특정 대상(object)과 관련된 물리적(physical) 위험 레벨(즉, 객관적인(objective) 위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물리적 위험 레벨은 운전자의 응답 또는 주의의 긴급성(urgency, URG)으로 설명될 수 있고, 긴급성(URG)은 충돌 소요 시간(TTC)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즉, URG = 1/(1+TTC)). 이 경우, 현재의 정적 및 동적 상황으로부터 추론되는 역학 관계(즉, 보행자로부터의 거리, 차량의 속도 등)가 고려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발생되지 않은 사건에 대한 확률적 위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률적 위험 레벨은, 검출된 대상이 제1 차량(C1)의 충돌 영역 상에 현재 위치하지 않지만 상기 대상이 충돌 영역 내에 곧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위험 레벨 결정 동작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34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알림을 제한한다. 여기서, 알림은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전화 또는 메시지의 수신 알림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 위험 레벨의 경우 전화 또는 메시지의 수신 알림을 모두 제한하고, 저 위험 레벨의 경우 전화 또는 메시지의 수신 알림을 모두 허용할 수 있다. 한편, 중간 위험 레벨의 경우 상대방 및 수신 빈도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알림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단계 S35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재결정한다. 단계 S36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재결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제한된 알림을 일괄적으로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한된 알림을 모두 포함하는 알림 패킷(notification packet)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결정된 위험 레벨이 저 위험 레벨인 경우 전화 또는 메시지의 수신 알림을 일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재결정된 위험 레벨이 중간 위험 레벨인 경우 상대방 및 수신 빈도 등에 따라 전화 또는 메시지의 수신 알림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확률적 위험 레벨의 결정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확률적 위험 레벨의 결정 동작은 예를 들어, 도 1의 제1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의 단계 S330에 대응될 수 있다. 본 예에서, 검출된 대상은 제1 보행자(P1)일 수 있다. 제1 보행자(P1)는 제1 및 제2 차선들(LN1, LN2) 사이의 도로 위에, 즉, 충돌 영역(CA) 내에 위치하지 않지만, 제1 차선(LN1) 옆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보행자(P1)의 예상되는 행동(behavior)을 추정함으로써, 확률적 위험 레벨을 충돌 소요 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최악의 행동(worst behavior)은 제1 보행자(P1)가 정지하고 있거나 제1 보행자(P1)의 움직임 벡터를 알 수 없을 때에 사용되며, 이때, 제1 보행자(P1)의 속도는 표준 값, 예를 들어, 1 m/s 또는 0.5 m/s로 예측될 수 있다. 가장 가능성이 큰 행동(most probable behavior)은 제1 보행자(P1)의 움직임 벡터를 아는 경우 사용된다. 제1 시간(T1)은 제1 보행자(P1)가 충돌 영역까지 소요되는 시간이며, 제2 시간(T2)은 제1 차량(C1)의 충돌 소요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만약 제1 보행자(P1)가 충돌 영역(CA) 상에 위치하면, 제1 시간(T1)은 0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에서 결정되는 위험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위험 레벨은 예를 들어, 도 1의 제1 디바이스(100)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의 단계 S33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5에서 X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Y축은 위험 레벨을 나타낸다. 제1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입력 위험 레벨(IN)을 생성하고, 생성된 입력 위험 레벨을 기초로 출력 위험 레벨(OUT)을 생성할 수 있다.

    입력 위험 레벨(IN)은 주행 상황을 기초로 감지된 위험이 있을 때 증가하고, 감지된 위험이 사라지면 급격하게 감소한다. 출력 위험 레벨(OUT)은 입력 위험 레벨(IN)이 감소하지 않는 구간에서는 항등 함수(identity function)를 이용하여 입력 위험 레벨(IN)을 필터링하고, 입력 위험 레벨(IN)이 감소하는 구간에서는 관성 함수(inertial function)을 이용하여 입력 위험 레벨(IN)을 필터링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는 검출되지는 않았지만,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고려하여 출력 위험 레벨(OUT)을 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디바이스(100)는 출력 위험 레벨(OUT)을 기초로 알림 제한 구간을 실시간으로 결정하고, 알림 제한 구간 동안 제1 디바이스(100)에서 수신된 전화 또는 메시지에 대한 알림을 제한할 수 있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에서 감지되는 제1 시점(t1)에서의 가능한 위험 요소들 및 이에 따른 위험 레벨을 나타낸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위험 레벨은 고 위험 레벨(HL), 중간 위험 레벨(ML) 및 저 위험 레벨(LL)의 적어도 세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예측된 충돌 소요 시간(TTC)이 제1 임계 값(TH1)보다 작은 경우 고 위험 레벨(HL)로 결정할 수 있고, 예측된 충돌 소요 시간(TTC)이 제1 임계 값(TH1)과 제2 임계 값(TH2) 사이인 경우 중간 위험 레벨(ML)로 결정할 수 있으며, 예측된 충돌 소요 시간(TTC)이 제2 임계 값(TH2)보다 큰 경우 저 위험 레벨(LL)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차량(C1)이 주행하는 도로 위에는 제2 차량(C2), 제1 보행자(P1) 및 제2 보행자(P2)가 위치할 수 있다. X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Y축은 충돌 소요 시간(TTC)을 나타낸다. 제1 시점(t1)에서, 제1 보행자(P1)에 대해 예측된 제1 충돌 소요 시간(TTC1a)은 제1 임계 값(TH1)보다 작으므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보행자(P1)에 대해서 고 위험 레벨(HL)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시점(t1)에서, 제2 보행자(P2)에 대해 예측된 제2 충돌 소요 시간(TTC1b)은 제1 임계 값(TH1)보다는 크고 제2 임계 값(TH2)보다는 작으므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보행자(P2)에 대해서 중간 위험 레벨(ML)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시점(t1)에서, 제2 차량(C2)에 대해 예측된 제3 충돌 소요 시간(TTC1c)은 제2 임계 값(TH2)보다 크므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차량(C2)에 대해서 저 위험 레벨(LL)로 결정할 수 있다. 엔벨로프(ENV1)는 제1 시점(t1)에서의 모든 위험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에서 감지되는 제2 시점(t2)에서의 가능한 위험 요소들 및 이에 따른 위험 레벨을 나타낸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1 차량(C1)이 주행하는 도로 위에는 제2 차량(C2) 및 제2 보행자(P2)가 위치할 수 있다. X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Y축은 충돌 소요 시간(TTC)을 나타낸다. 제2 시점(t2)에서, 제2 보행자(P2)에 대해 예측된 제1 충돌 소요 시간(TTC2a)은 제1 임계 값(TH1)보다 크고 제2 임계 값(TH2)보다는 작으므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보행자(P2)에 대해서 중간 위험 레벨(ML)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시점(t2)에서, 제2 차량(C2)에 대해 예측된 제2 충돌 소요 시간(TTC2b)은 제2 임계 값(TH2)보다 크므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차량(C2)에 대해서 저 위험 레벨(LL)로 결정할 수 있다. 엔벨로프(ENV2)는 제2 시점(t2)에서의 모든 위험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6c는 도 6a 및 도 6b를 기초로 제1 디바이스(100)에서 감지되는 결정되는 위험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 예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시점(t1)에서의 위험 레벨 엔벨로프(ENV1)와 제2 시점(t1)에서의 위험 레벨 엔벨로프(ENV2)를 기초로 하여, 가장 위험 레벨이 높은 위험 요소들에 따른 출력 위험 레벨(OUT)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시점(t1)에서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전화 또는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제1 시점(t1)에서의 출력 위험 레벨(OUT)이 고 위험 레벨(HL)이므로,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의 전화 또는 메시지의 수신 알림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실시간으로 출력 위험 레벨(OUT)을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위험 레벨(OUT)에 따라 제한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시점(t2)에서 출력 위험 레벨(OUT)이 중간 위험 레벨(ML)로 변경되므로, 제1 시점(t1)에서 수신된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의 전화 또는 메시지의 수신 알림을 제2 시점(t2)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에서 결정되는 외부 환경에 적응적인 임계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X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Y축은 충돌 소요 시간(TTC)을 나타낸다. 제1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날씨 애플리케이션, 뉴스 애플리케이션 또는 SNS 애플리케이션 등으로부터 현재 날씨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날씨 정보를 기초로 하여, 위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임계 값들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임계 값들은 임의의 충돌 소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측된 충돌 소요 시간이 제1 임계 값(TH1) 미만인 경우는 고 위험 레벨(HL)에 해당하고, 예측된 충돌 소요 시간이 제1 임계 값(TH1) 이상이고, 제2 임계 값(TH2) 미만인 경우는 중간 위험 레벨(ML)에 해당하며, 예측된 충돌 소요 시간이 제2 임계 값(TH3) 이상인 경우는 저 위험 레벨(LL)에 해당할 수 있다.

    도 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현재 날씨가 맑은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및 제2 임계 값들(TH1a, TH2a)을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현재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오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및 제2 임계 값들(TH1b, TH2b)을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오는 경우에는 제1 사용자(USER1)의 반응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있고, 제동 거리(braking distance)가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디바이스(100)는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오는 경우의 제1 및 제2 임계 값들(TH1b, TH2b)을 날씨가 맑은 경우의 제1 및 제2 임계 값들(TH1a, TH2a)보다 충분히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도 8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에서 감지된 제1 주행 상황을 나타내고, 도 8b는 이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위험 레벨 표시를 나타낸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 내의 카메라를 통해 제1 영상(IMAGE1)을 획득할 수 있고, 제1 영상(IMAGE1)은 제1 디바이스(100)가 장착된 제1 차량(C1)의 주행 방향의 영상, 즉, 제1 사용자(USER1)가 바라보는 영상을 나타낸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영상(IMAGE1)으로부터 제2 차량(C2)과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거리 정보를 기초로 제2 차량(C2)에 대한 충돌 소요 시간을 예측할 수 있고, 예측된 충돌 소요 시간을 제1 및 제2 임계 값들(TH1, TH2)과 비교함으로써 출력 위험 레벨(OUT)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영상(IMAGE1)으로부터 감지된 주행 상황을 저 위험 레벨(LL)로 결정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이 저 위험 레벨(LL)이므로,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전화에 대한 알림을 제공한다. 이때, 저 위험 레벨(LL)을 나타내는 UI(user interface) 요소, 즉, 저 위험 레벨 표시(11)는 예를 들어, 녹색의 작은 사이즈를 갖는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사용자(USER1)는 제2 디바이스(200)와 통화 연결을 원할 때에는 응답(12)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제1 사용자(USER1)는 제2 디바이스(200)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때에는 메시지 전송(13)을 선택할 수 있다.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에서 감지된 제2 주행 상황을 나타내고, 도 9b는 이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위험 레벨 표시를 나타낸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 내의 카메라를 통해 제2 영상(IMAGE2)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영상(IMAGE2)으로부터 제2 차량(C2)과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거리 정보를 기초로 제2 차량(C2)에 대한 충돌 소요 시간을 예측할 수 있고, 예측된 충돌 소요 시간을 제1 및 제2 임계 값들(TH1, TH2)과 비교함으로써 출력 위험 레벨(OUT)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영상(IMAGE2)으로부터 감지된 주행 상황을 중간 위험 레벨(ML)로 결정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이 중간 위험 레벨(ML)이므로,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전화에 대한 알림을 제한한다. 이때, 중간 위험 레벨(ML)임을 나타내는 UI 요소, 즉, 중간 위험 레벨 표시(14)는 예를 들어, 노란색의 중간 사이즈를 갖는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도 8b에 도시된 저 위험 레벨 표시(11)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중간 위험 레벨(ML)에서 알림이 제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무음 표시(15)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에서 감지된 제3 주행 상황을 나타내고, 도 10b는 이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위험 레벨 표시를 나타낸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 내의 카메라를 통해 제3 영상(IMAGE3)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3 영상(IMAGE3)으로부터 제2 차량(C2)과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거리 정보를 기초로 제2 차량(C2)에 대한 충돌 소요 시간을 예측할 수 있고, 예측된 충돌 소요 시간을 제1 및 제2 임계 값들(TH1, TH2)과 비교함으로써 출력 위험 레벨(OUT)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3 영상(IMAGE3)으로부터 감지된 주행 상황을 고 위험 레벨(HL)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이 고 위험 레벨(HL)이므로,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전화에 대한 알림을 제한한다. 이때, 고 위험 레벨(HL)임을 나타내는 UI 요소, 즉, 고 위험 레벨 표시(16)는 예를 들어, 빨간색의 큰 사이즈를 갖는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도 9b에 도시된 중간 위험 레벨 표시(14)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고 위험 레벨(HL)에서 알림이 제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무음 표시(15)를 제공할 수 있다. 고 위험 레벨(HL)임을 나타내는 UI 요소들의 예들은 도 11a 및 도 11b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고 위험 레벨(HL) 표시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고 위험 레벨(HL)의 경우, 감지된 위험 요소를 포함하는 UI 요소를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된 위험 요소는 차량이고, 결정된 위험 레벨은 고 위험 레벨(HL)이므로, 제1 디바이스(100)는 고 위험 레벨 표시(16a)를 예를 들어, 빨간색의 큰 사이즈를 갖는 원형 내에 차량 형상을 포함하는 픽토그램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가 제2 디바이스(200)와 통화 중인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고 위험 레벨(HL)에서 통화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는 무음 모드(15)로 진입하고, 제1 사용자(USER1)는 통화 종료(17)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고 위험 레벨(HL)의 경우, 감지된 위험 요소를 포함하는 UI 요소를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싱에서, 감지된 위험 요소는 보행자이고, 결정된 위험 레벨은 고 위험 레벨(HL)이므로, 제1 디바이스(100)는 고 위험 표시(16b)를 예를 들어, 빨간색의 큰 사이즈를 갖는 원형 내에 보행자 형상을 포함하는 픽토그램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복수의 위험 레벨들에 적응적인 알림 제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한 방법은 예를 들어, 도 1의 제1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될 수 있고, 도 3의 단계 S350의 일 실시예에 해당할 수 있다.

    단계 S120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이 고 위험 레벨(HL)인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고 위험 레벨(HL)인 경우 단계 S1210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1240을 수행한다. 단계 S121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전화 또는 메시지에 대한 알림을 제한한다.

    단계 S122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이 중간 위험 레벨(ML)인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중간 위험 레벨(ML)인 경우 단계 S1230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1240을 수행한다. 단계 S123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사용자(USER2)에 따라 선택적으로 알림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미리 특정 발신자에 대한 수신 알림을 허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수신 알림이 허용된 발신자로부터 전화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1 디바이스(100)는 중간 위험 레벨(ML)에서는 알림을 허용할 수 있다.

    단계 S124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이 저 위험 레벨(LL)인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저 위험 레벨(LL)인 경우 단계 S1250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알림 제한 동작을 종료한다. 단계 S125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전화 또는 메시지에 대한 알림을 허용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알림 제공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화면은 예를 들어, 도 3의 단계 S360의 일 실시예에 해당할 수 있다. 재결정된 위험 레벨이 저 위험 레벨(LL)인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알림(18)을 일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재결정된 위험 레벨이 저 위험 레벨(LL)인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전화 발신(19) 및 메시지 발신(13)이 허용됨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알림 제공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도 13에서 제1 사용자(USER1)가 알림(18)을 선택하는 경우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일정 구간 동안 제한된 알림들을 일괄적으로 포함하는 알림 패킷(NOTI)을 제공할 수 있다. 알림 패킷(NOTI)은 제1 알림(18a), 제2 알림(18b) 및 제3 알림(18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알림(18a)은 JAMES로부터 수신된 전화 및 메시지에 대한 알림일 수 있고, 제2 알림(18b)은 MARTIN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알림일 수 있으며, 제3 알림(18c)는 ADAM으로부터 수신된 전화에 대한 알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부를 통해 알림 패킷(NOTI)을 소리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10)의 스피커부를 통해 알림 패킷(NOTI)을 소리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3명으로부터 연락이 왔습니다. JAMES로부터 2통의 전화 및 2통의 메시지, MARTIN으로부터 1통의 메시지, ADAM으로부터 1통의 전화"를 음성으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디바이스(100)는 알림 패킷(NOTI)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요청("다시 읽기, 메시지 읽기, 전화하기, 리마인더, 무시하기 중에 선택하세요.(You can: read agin, read messages, call, remind me later, ignore.)")을 음성으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수신 메시지 제공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신 메시지 제공 동작은 예를 들어, 도 14의 알림 제공에 대해 사용자가 "메시지 읽기"를 선택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사용자(USER2)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예를 들어, MARTIN에게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예를 들어, "아이스크림 사오는 걸 잊었어. 올 때 아이스크림 사와.")을 제1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선택 요청("다음 메시지 읽기, 다시 읽기, 회신하기 중에 선택하세요.(Do you want to Read next message, Reply or Call back?)")을 음성으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알림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미리 설정한 주기 또는 미리 설정한 시간에 알림 패킷들(NOTI1, NOTI2)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구체적으로, 위험 레벨이 저 위험 레벨(LL)로 변경되면, 미리 설정한 주기 또는 미리 설정한 시간에 알림 패킷들(NOTI1, NOTI2)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이 변경되지 않더라도, 구체적으로, 위험 레벨이 고 위험 레벨(HL) 또는 중간 위험 레벨(ML)이더라도 미리 설정한 주기 또는 미리 설정한 시간에 알림 패킷들(NOTI1, NOTI2)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는 30분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처음 30분 동안 제1 디바이스(100)에 수신된 통신 이벤트들, 즉, 제1 전화(CALL1) 및 제1 및 제2 메시지들(MES1, MES2)에 대한 알림을 제한하고, 30분 후에 제1 전화(CALL1) 및 제1 및 제2 메시지들(MES1, MES2)을 모두 포함하는 제1 알림 패킷(NOTI1)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디바이스(100)는 다음 30분 동안 제1 디바이스(100)에서 수신된 통신 이벤트들, 즉, 제2 전화(CALL2) 및 제3 메시지(MES3)에 대한 알림을 제한하고, 30분 후에 제2 전화(CALL2) 및 제3 메시지(MES3)를 모두 포함하는 제2 알림 패킷(NOTI2)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USER1)는 알림 주기 또는 알림 시간을 미리 설정할 수 있고, 해당 알림 주기 또는 해당 알림 시간에만 알림 패킷(NOTI1, NOTI2)을 제공받고, 그 외에는 알림을 제한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디바이스(100)의 알림으로 인해 제1 사용자(USER1)의 운전이 방해되는 횟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도 3의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변형 실시예로서,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170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차량의 주행 상황을 감지한다. 단계 S171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전화 또는 메시지를 발신한다. 단계 S172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전화 또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S173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결정한다.

    단계 S174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 및 상대방에 따라 알림을 제한다. 여기서, 결정된 위험 레벨은 적어도 고 위험 레벨(HL), 중간 위험 레벨(ML) 및 저 위험 레벨(LL)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정된 위험 레벨이 고 위험 레벨(HL)인 경우 상대방, 즉, 제2 사용자(USER2)에 관계 없이 알림을 제한하고, 저 위험 레벨(LL)인 경우 제2 사용자(USER2)에 관계 없이 알림을 허용할 수 있으며, 중간 위험 레벨(ML)인 경우 제2 사용자(USER2)에 따라 선택적으로 알림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전화번호부, 통화 내역, 메시지 송수신 리스트 또는 사용자 설정을 기초로 하여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위험 레벨이 중간 위험 레벨(ML)인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사용자(USER2)이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되면 알림을 허용하고, 제2 사용자(USER2)이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으면 알림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전화번호부의 즐겨찾기 목록에 저장된 제2 사용자(USER2)으로부터 전화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제2 사용자(USER2)가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중간 위험 레벨(ML)에서 알림을 허용할 수 있다.

    단계 S175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재결정한다. 단계 S176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재결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제한된 알림을 일괄적으로 제공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도 3의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변형 실시예로서,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180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차량의 주행 상황을 감지한다. 단계 S181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전화 또는 메시지를 발신한다. 단계 S182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전화 또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S183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결정한다. 단계 S184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알림을 제한다.

    단계 S185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전화 또는 메시지를 다시 발신한다. 단계 S186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전화 또는 메시지를 다시 수신한다. 단계 S187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결정한다. 단계 S188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 알림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100)는 이벤트의 발생 빈도, 즉,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의 수신 빈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알림을 제한 또는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제2 사용자(USER2)으로부터의 수신 횟수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1 디바이스(100)는 수신되는 전화 또는 메시지가 중요 전화 또는 메시지인 것으로 판단하고, 수신되는 전화 또는 메시지에 대한 알림을 제한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의 수신 횟수가 2회 이상인 경우에는 중간 위험 레벨(ML)에서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의 수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도 3의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변형 실시예로서,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190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차량의 주행 상황을 감지한다. 단계 S191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전화 또는 메시지를 발신한다. 단계 S192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전화 또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S193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결정한다. 단계 S194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알림을 제한한다.

    단계 S195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단계 S1930에서 결정된 위험 레벨이 고 위험 레벨(HL) 또는 중간 위험 레벨(ML)인 경우, 위험 레벨이 저 위험 레벨(LL)로 변경될 수 있도록 주행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을 결정하고, 결정된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통해 상태 변경 가이드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의 스피커를 통해 상태 변경 가이드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0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196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재결정한다. 단계 S197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재결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제한된 알림을 일괄적으로 제공한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상태 변경 가이드 제공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고 위험 레벨(HL)에서 알림을 제한하고, 주행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상황은 차량의 외부 상황, 차량의 내부 상황, 차량의 자체 상황 및 운전자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차량의 외부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통해 정차 가능한 구역 등을 판단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휴게소의 위치 또는 교통량이 원활해지는 구역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디바이스(100)는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앞 차와의 간격을 10 미터 이상 유지하세요.", "10분(1분) 후에 정차할 수 있는 곳이 나옵니다.", "주행 속도를 60km/h 이하로 줄이세요.", "5km(30분) 후 교통 상황이 원활합니다." 등과 같은 상태 변경 가이드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차량의 내부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스피커를 통해 차량 내의 소음 또는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는 음향의 레벨을 검출하고, 제2 사용자(USER2)과의 전화 통화가 가능한 음향의 볼륨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차량 내 음악의 볼륨을 3 레벨로 줄이세요."와 같은 상태 변경 가이드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운전자의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카메라를 통해 제1 사용자(USER1)의 홍채 또는 머리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기초로 제1 사용자(USER1)의 피로도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스피커를 통해 제1 사용자(USER1)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기초로 제1 사용자(USER1)의 감정 상태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10 m 후에 휴게소가 나옵니다. 잠시 쉬어가세요." 등과 같은 상태 변경 가이드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도 3의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변형 실시예로서,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210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차량의 주행 상황을 감지한다. 단계 S211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전화 또는 메시지를 발신한다. 단계 S212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전화 또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S213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결정한다. 단계 S214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알림을 제한한다. 단계 S215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재결정한다. 단계 S216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재결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제한된 알림을 일괄적으로 제공한다.

    단계 S217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리마인더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에 대해, 도 22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리마인더 제공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위험 레벨이 저 위험 레벨(LL)로 변경되면, 사용자에게 제한된 알림을 일괄적으로 제공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사용자에게 리마인더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JAMES로부터 전화가 왔습니다."라는 리마인더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JAMES로부터 전화가 왔습니다."라는 리마인더를 텍스트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USER1)는 리마인더를 수신한 이후, 전화 발신 버튼(19) 또는 메시지 전송 버튼(13)을 누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USER1)는 리마인더를 수신한 이후, "JAMES에게 전화해." 또는 "JAMES에게 문자를 보내줘."라는 사용자 명령을 제1 디바이스(100)에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의 운행이 종료되면, 제1 사용자(USER1)에게 리마인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의 운행이 종료되면, 제1 사용자(USER1)에게 일정 시간 간격으로 리마인더를 반복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도 3의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변형 실시예로서,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230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차량의 주행 상황을 감지한다. 단계 S231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전화 또는 메시지를 발신한다. 단계 S232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전화 또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S233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결정한다. 단계 S234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알림을 제한한다.

    단계 S235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 또는 미래 상황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상황"은 감지된 주행 상황 및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참조하여 판단된, 전화 또는 메시지의 수신 시점에서 제1 사용자(USER1)가 응답하지 못하는 이유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의 구체적인 활동, 위치, 경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지금은 운전 중입니다."라는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미래 상황"은 감지된 주행 상황 및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참조하여 예측된, 제1 사용자(USER1)의 상황 변경을 나타내며, 전화 또는 메시지에 응답 가능한 예상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에서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가 설정한 목적지 정보, 현재 교통 상황 등)를 참조하여 제1 사용자(USER1)의 미래 상황을 '몇 분 후에 목적지에 도착함'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단계 S236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통해 제2 디바이스(200)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통신 매체들은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페이스북, 트위터 등), 채팅 서비스(카카오톡, 라인 등)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디바이스(200)의 전화 번호가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와 제2 사용자(USER2) 사이의 통신 매체들에 대한 사용 빈도 등을 기초로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237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재결정한다. 단계 S238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재결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제한된 알림을 일괄적으로 제공한다.

    도 2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응답 메시지 생성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응답 메시지의 생성 동작은 도 23의 단계 S2350의 일 예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의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단계 S2400에서, 발신 번호에 따라 응답 메시지의 타입을 결정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연락처 정보, 최근 통화 내역, 최근 문자 메시지 송수신 내역 및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제2 사용자(USER2)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즉, 전화번호부, 최근 통화 내역 또는 최근 메시지 송수신 내역을 기초로 하여, 제2 사용자(USER2)에게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는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 또는 미래 상황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사용자(USER2)이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제2 사용자(USER2)은 제1 사용자(USER1)와 가까운 사이가 아닐 가능성이 크다. 또한, 제2 사용자(USER2)이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에 포함되더라도, 제1 사용자(USER1)와 제2 사용자(USER2) 사이의 통화 빈도 또는 문자 메시지 송수신 빈도가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제2 사용자(USER2)은 제1 사용자(USER1)와 가까운 사이가 아닐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제1 사용자(USER1)의 구체적인 현재 상황 또는 미래 상황을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2 사용자(USER2)이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에 포함되고, 제1 사용자(USER1)와 제2 사용자(USER2) 사이의 통화 빈도 또는 문자 메시지 송수신 빈도가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제2 사용자(USER2)은 제1 사용자(USER1)와 상당히 가까운 사이일 가능성이 크다. 또한, 제2 사용자(USER2)이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에서 즐겨찾기 또는 VIP 등으로 설정된 경우, 제2 사용자(USER2)은 제1 사용자(USER1)와 상당히 가까운 사이일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제1 사용자(USER1)의 구체적인 현재 상황 또는 미래 상황을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USER1) 의해 미리 입력된 설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2 사용자(USER2)에게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는 응답 메시지를 통해 현재 상태 또는 미래 상태를 전달하고 싶은 특정 제2 사용자(USER2)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2410에서, 결정된 타입에 따라, 감지된 주행 상황을 기초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단계 S2400에서 결정된 정보만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답 메시지는 다양한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도 2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에서 생성되는 응답 메시지의 타입들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제1 타입의 응답 메시지(TYPE1)는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통화 가능 시간을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 제1 타입의 응답 메시지(TYPE1)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타입의 응답 메시지(TYPE1)는 "지금은 운전 중입니다." 등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제2 타입의 응답 메시지(TYPE2)는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USER2)가 제1 사용자(USER1)의 가족인 경우, 제1 사용자(USER1)의 제2 타입의 응답 메시지(TYPE2)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의 위치, 경로 또는 상황 등과 같은 현재 상황 및 제1 사용자(USER1)의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 등과 같은 미래 상황이 포함된 제2 타입의 응답 메시지(TYPE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타입의 응답 메시지(TYPE2)는 "지금은 운전 중이오니, 1시간 후에 연락 드리겠습니다." 등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제3 타입의 응답 메시지(TYPE3)는 제1 사용자(USER1)의 미래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USER2)가 직장 동료인 경우, 제1 사용자(USER1)의 사생활과 관련된 현재 상황은 전달하고 싶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 제3 타입의 응답 메시지(TYPE3)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의 회신 가능 시간 또는 응답 가능 시간 등과 같은 미래 상황이 포함된 제3 타입의 응답 메시지(TYPE3)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타입의 응답 메시지(TYPE3)는 "1시간 후에 연락 드리겠습니다.", 등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제4 타입의 응답 메시지(TYPE4)는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USER2)가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또는 제1 사용자(USER1)와 제2 사용자(USER2) 사이의 연락 빈도가 낮은 경우 제4 타입의 응답 메시지(TYPE4)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타입의 응답 메시지(TYPE4)는 "지금은 통화할 수 없습니다." 등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응답 메시지 생성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응답 메시지의 생성 동작은 도 23의 단계 S2350의 일 예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의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단계 S2600에서,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을 모두 포함하지 않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2 사용자(USER2)에게 최초로 전송하는 제1 응답 메시지는 전화를 받을 수 없다는 내용만이 포함되도록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응답 메시지는 도 25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4 타입의 응답 메시지(TYPE4)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응답 메시지는 "지금은 통화할 수 없습니다."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USER1)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별도의 선택 동작 등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다른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지 않아도 된다.

    단계 S2610에서, 상대방으로부터의 회신 메시지에 응답하여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지금 어디에 계세요?"라는 회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이때, 제1 디바이스(100)는 현재 위치에 대한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제2 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지금은 시청 근처입니다.")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610은 상대방으로부터의 회신 메시지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사용자(USER2)로부터 "언제쯤 통화 가능하세요?"라는 회신 메시지를 더 수신할 수 있고, 이때, 제1 디바이스(100)는 통화 가능 시간에 대한 미래 상황을 포함하는 제2 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1시간 후에 연락 드리겠습니다.")를 더 생성할 수 있다.

    도 2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응답 메시지 제공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에는 제2 디바이스(200)의 번호(21)가 표시될 수 있으며, 제2 디바이스(200)의 번호는 착신 번호 또는 발신 번호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 즉, 전화번호부에 제2 디바이스(200)의 번호가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연락처 정보에 저장된 제2 사용자(USER2)의 이름(22)이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200)의 화면에는 제1 디바이스(100)의 번호(23)가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디바이스(100)의 번호는 수신 번호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바이스(200)의 저장된 연락처 정보, 즉, 전화번호부에 제1 디바이스(100)의 번호가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연락처 정보에 저장된 제1 사용자(USER1)의 이름(24)이 제2 디바이스(2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의 제1 사용자(USER1)는 제1 차량(C1)을 운전하는 운전자이고,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고 위험 레벨(HL) 또는 중간 위험 레벨(ML)로 결정된 경우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의 전화에 대한 알림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전화가 수신되면, 제1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주행 상황을 참조하여 자동으로 응답 메시지(RM)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답 메시지(RM)를 자동으로 제2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응답 메시지(RM)가 전송되었음을 제1 사용자(USER1)가 알 수 있도록, 제1 디바이스(100)는 응답 메시지(RM) 전송 완료를 나타내는 알림을 예를 들어, 메시지의 형태로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 메시지(RM)는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 미래 상황, 또는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을 포함하거나 단순 부재중 메시지일 수 있다.

    도 2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응답 메시지 제공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의 제1 사용자(USER1)는 제1 차량(C1)을 운전하는 운전자이고,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고 위험 레벨(HL)로 결정된 경우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의 전화에 대한 알림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1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주행 상황을 참조하여 자동으로 응답 메시지(RM')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답 메시지(RM')를 자동으로 제2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응답 메시지(RM')가 전송되었음을 제1 사용자(USER1)가 알 수 있도록, 제1 디바이스(100)는 응답 메시지(RM') 전송 완료를 나타내는 알림을 예를 들어, 메시지의 형태로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 메시지(RM')는 제1 사용자(USER1)의 현재 상황, 미래 상황, 또는 현재 상황 및 미래 상황을 포함하거나 단순 부재중 메시지일 수 있다.

    도 2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도 3의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변형 실시예로서,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290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차량의 주행 상황을 감지한다. 단계 S291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전화 또는 메시지를 발신한다. 단계 S292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전화 또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S293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결정한다. 단계 S294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알림을 제한한다.

    단계 S295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단계 S296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S2950 및 단계 S2960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S297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재결정한다. 단계 S298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재결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제한된 알림을 일괄적으로 제공한다.

    단계 S299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상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 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고 위험 레벨(HL) 또는 중간 위험 레벨(ML)에서 저 위험 레벨(LL)로 변경되면, 제1 사용자(USER1)의 상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30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2995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에게 자동 메시지를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통신 매체들 중 하나를 통해 제2 디바이스(200)에게 자동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통신 매체들은 문자 메시지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페이스북, 트위터 등), 채팅 서비스(카카오톡, 라인 등) 및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자동 메시지 제공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0을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위험 레벨이 저 위험 레벨(LL)로 변경되면, 제2 사용자(USER2)에게 상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자동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현재 통화 가능합니다. 통화를 원하시면 전화를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자동 메시지(AM)를 제2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의 운행이 종료되면, 제2 사용자(USER2)에게 자동 메시지(AM)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도 3의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변형 실시예로서,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310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차량의 주행 상황을 감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S3100은 단계 S3110 이후에 실행될 수도 있다.

    단계 S311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에 전화 또는 메시지의 발신을 시도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는 제1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전화 버튼 또는 메시지 버튼을 터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사용자(USER1)는 제1 디바이스(100)의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해 "JAMES에게 전화해." 또는 "JAMES에게 문자를 보내줘."라는 음성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단계 S312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적어도 고 위험 레벨(HL), 중간 위험 레벨(ML) 및 저 위험 레벨(LL)로 구분할 수 있다.

    단계 S313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발신을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이 고 위험 레벨(HL)인 경우, 제2 사용자(USER2)에 관계 없이 발신을 모두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이 중간 위험 레벨(ML)인 경우, 제2 사용자(USER2)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신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이 저 위험 레벨(LL)인 경우, 제2 사용자(USER2)에 관계 없이 발신을 모두 허용할 수 있다.

    단계 S314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발신 가능 시간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주행 상황을 기초로 발신 가능 시간을 예측할 수 있고, 예측된 발신 가능 시간을 제1 사용자(USER1)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32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315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재결정한다. 단계 S316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재결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발신 가능 상태 알림을 제공한다. 단계 S317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에 전화 또는 메시지를 발신한다. 이에 대해, 도 33a 내지 도 33c 및 도 34a 내지 도 34d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발신 가능 시간 제공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신 가능 시간 제공 동작은 예를 들어, 도 31의 단계 S3140 및 단계 S3160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및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된 교통량 정보 등을 기초로 하여 발신 가능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10분 후에 전화 발신이 가능합니다."라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이 변경되어 위험 레벨이 저 위험 레벨(LL)로 변경되면, "현재 전화 발신이 가능합니다."라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33a 내지 도 33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전화 발신 동작의 일 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다.

    도 33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화 발신 동작은 도 31의 단계 S3170의 일 예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사용자(USER1)가 제2 디바이스(200)에게 전화하고자 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이 저 위험 레벨(11)인 경우 전화 발신을 허용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누구와 통화하시겠습니다?"라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1 사용자(USER1)는 전화 발신을 취소하고자 하는 경우 종료 버튼(31)을 누를 수 있다.

    도 33b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USER1)가 제2 사용자(USER2)의 이름(예를 들어, MARTIN)을 말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사용자(USER2)에게 전화를 발신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제1 사용자(USER1)의 음성을 인식하고, 제1 사용자(USER1)의 음성 데이터에 따라 전화 번호부를 검색하여 제2 사용자(USER2)의 제2 디바이스(200)에 전화를 발신할 수 있다.

    도 33c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USER2)가 전화를 수락한 경우, 제1 사용자(USER1)는 제2 사용자(USER2)와 통화를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USER1)는 통화를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종료 버튼(31)을 누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USER1)는 통화를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끊어"라는 사용자 명령을 음성을 통해 제1 디바이스(100)에 입력할 수도 있다.

    도 34a 내지 도 34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메시지 발신 동작의 일 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다.

    도 34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발신 동작은 도 31의 단계 S3170의 일 예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사용자(USER1)가 제2 사용자(USER2)에게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이 저 위험 레벨(11)인 경우 메시지 발신을 허용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사용자(USER2)의 이름(예를 들어, MARTIN)을 음성으로 제1 디바이스(100)에 입력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에 의해 제2 사용자(USER2)가 선택되면, "삐 소리 후에 말씀하세요."라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34b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USER1)는 제1 디바이스(100)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제2 사용자(USER2)에게 발신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내용을 음성으로 제1 디바이스(100)에 입력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USER1)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도 34c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메시지의 내용을 제1 사용자(USER1)에게 확인(confirm)받기 위하여,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제1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문자 메시지의 내용은 "아이스크림을 사갈게."입니다."라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USER1)는 전송 버튼(32)을 누르거나, 다시 읽기 버튼(33)를 누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USER1)는 "전송해." 또는 "다시 읽어줘."라는 사용자 명령을 음성을 통해 제1 디바이스(100)에 입력할 수도 있다.

    도 34d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USER1)가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면, 즉, 제1 사용자(USER1)가 전송 버튼(32)을 누르거나 음성 명령을 제1 디바이스(100)에 입력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고, 메시지 전송 완료에 대한 알림을 제1 사용자(USER1)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MARTIN에게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였습니다."라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3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도 31의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한 변형 실시예로서,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350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차량의 주행 상황을 감지한다. 단계 S351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에 전화 또는 메시지의 발신을 시도한다. 단계 S352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적어도 고 위험 레벨(HL), 중간 위험 레벨(ML) 및 저 위험 레벨(LL)로 구분할 수 있다. 단계 S353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발신을 제한한다.

    단계 S354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단계 S3520에서 결정된 위험 레벨이 고 위험 레벨(HL) 또는 중간 위험 레벨(ML)인 경우, 위험 레벨이 저 위험 레벨(LL)로 변경될 수 있도록 주행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을 결정하고, 결정된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의 스피커를 통해 상태 변경 가이드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의 스피커를 통해 상태 변경 가이드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36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355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재결정한다. 단계 S356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재결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발신 가능 상태 알림을 제공한다. 단계 S357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에 전화 또는 메시지를 발신한다.

    도 3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상태 변경 가이드 제공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6을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고 위험 레벨(HL)에서 전화 또는 메시지의 발신을 제한하고, 주행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상황은 차량의 외부 상황, 차량의 내부 상황, 차량의 자체 상황 및 운전자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여 상술된 상태 변경 가이드 제공 동작에 대한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차량의 외부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통해 정차 가능한 구역 등을 판단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휴게소의 위치 또는 교통량이 원활해지는 구역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디바이스(100)는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는 "앞 차와의 간격을 10 미터 이상 유지하세요." 등과 같은 상태 변경 가이드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드라이빙 모드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7을 참조하면, 스마트 드라이빙 모드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 및 제1 차량(C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 내의 거치대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 내의 임의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도 1의 시스템에 대한 변형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상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은 음성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기기들이다. 여기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은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 대해 상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제1 차량(C1)을 운전하는 제1 사용자(USER1)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전화 또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에게 전화 또는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과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의 카메라, 마이크로폰, 네비게이션 등으로부터 제1 차량(C1)의 주행 상황을 감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전화 또는 메시지에 대한 알림을 제1 차량(C1)의 스피커, 네비게이션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과 연결되어 스마트 드라이빙 모드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37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 및 제1 차량(C1)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단계 S380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의 주행 상황을 감지한다. 단계 S3805에서, 제1 차량(10)은 제1 차량(C1)의 주행 상황을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S3800 및 단계 S3805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S3800 및 단계 S3805 중 하나만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S3810에서, 제1 차량(C1)은 감지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감지 정보는 제1 차량(C1)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제1 차량(C1)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된 소리, 또는 제1 차량(C1)에 장착된 네비게이션을 통해 획득된 교통 정보 등일 수 있다.

    단계 S3820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에 전화 또는 메시지를 발신한다. 단계 S383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전화 또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S384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결정한다. 단계 S385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알림을 제한한다. 단계 S386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재결정한다.

    단계 S387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에 알림 정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재결정된 위험 레벨이 저 위험 레벨(LL)인 경우, 제한된 알림들을 모두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제1 차량(C1)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88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재결정된 위험 레벨에 따라 제한된 알림을 일괄적으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는 재결정된 위험 레벨이 저 위험 레벨(LL)인 경우, 제한된 알림들을 모두 포함하는 알림 패킷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890에서, 제1 차량(C1)은 제한된 알림을 일괄적으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S3880 및 단계 S3890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S3880 및 단계 S3890 중 하나만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따른 도 37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 및 제1 차량(C1)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단계 S390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의 주행 상황을 감지한다. 단계 S3905에서, 제1 차량(10)은 제1 차량(C1)의 주행 상황을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S3900 및 단계 S3905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S3900 및 단계 S3905 중 하나만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S3910에서, 제1 차량(C1)은 감지 정보를 제1 디바이스(10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감지 정보는 제1 차량(C1)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제1 차량(C1)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된 소리, 또는 제1 차량(C1)에 장착된 네비게이션을 통해 획득된 교통 정보 등일 수 있다.

    단계 S392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위험 레벨을 고 위험 레벨(HL), 중간 위험 레벨(ML) 및 저 위험 레벨(LL)로 구분할 수 있다.

    단계 S393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에 위험 레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940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위험 레벨 알림을 제공한다. 단계 S3945에서, 제1 차량(C1)은 위험 레벨 알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S3900 및 단계 S3905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S3900 및 단계 S3905 중 하나만 수행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40a 및 도 40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0a 및 도 4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차량(C1) 및 제1 디바이스(100)의 위험 레벨 알림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0a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 또는 제1 차량(C1)을 통해 획득한 영상에서 제1 보행자(P1)가 감지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제1 보행자(P1)는 제1 차량(C1)의 왼쪽에서 감지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보행자(P1)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위험 레벨 알림이 제1 차량(C1)의 왼쪽 스피커(41)를 통해 출력되도록 위험 레벨 정보를 제1 차량(C1)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차량(C1)은 왼쪽 스피커(41)를 통해 경적 소리 또는 "왼쪽에서 충돌 위험이 있습니다." 등과 같은 위험 레벨 알림을 제공할 수 있고, 오른쪽 스피커(42)를 통해서는 위험 레벨 알림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0b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이 중간 위험 레벨(ML)이고, 감지된 위험 요소는 보행자임을 나타내는 픽토그램(14a)을 표시하고, 감지된 위험 요소의 방향(34)이 왼쪽임을 나타낸다.

    도 4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드라이빙 모드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드라이빙 모드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 내의 거치대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차량(C1) 내의 임의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도 1 또는 도 38의 시스템에 대한 변형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40b을 참조하여 상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은 음성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기기들이다. 여기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은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 대해 상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제1 차량(C1)을 운전하는 제1 사용자(USER1)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전화 또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에게 전화 또는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0)가 제1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0b를 참조하여 상술된 실시예들에 포함된 제1 디바이스(100)의 제어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서버(3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에 전화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버(300)는 활성화되어 주행 상황에 따라 알림을 제한하고,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알림을 일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의 카메라, 마이크로폰 또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은 감지 정보를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고,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감지 정보를 기초로 제1 디바이스(100)의 알림을 제한하거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에 전화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버(300)는 활성화되어 주행 상황에 따라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제2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의 카메라, 마이크로폰 또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은 감지 정보를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고, 서버(3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감지 정보를 기초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제2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0)에 전화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버(300)는 활성화되어 주행 상황에 따라 주행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제1 디바이스(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의 구성은 도 1의 제1 및 제2 디바이스들(100, 200)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0)의 구성은,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키오스크, 전자 액자, 네비게이션 장치, 디지털 TV, 손목 시계(Wrist watch) 또는 HMD(Head-Mounted Display)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2에 따르면,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제어부(170), 메모리(120), GPS 칩(125), 통신부(130), 비디오 프로세서(135), 오디오 프로세서(140), 사용자 입력부(145), 마이크부(150), 촬상부(155), 스피커부(160), 움직임 감지부(16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표시패널(111) 및 표시 패널(111)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1)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111)은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45)의 터치 패널(147)과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미도시)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미도시)은 표시 패널(111)과 터치 패널(147)이 적층 구조로 결합된 일체형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내장 메모리(Internal Memory)(미도시) 및 외장 메모리(External Memory)(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등),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보존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디바이스(1000)의 동작에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콘텐트 암호화를 위한 키 생성 프로그램 및 암호화 프로그램, 그리고, 콘텐트 복호화를 위한 키 복원 프로그램 및 복호화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를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암호화된 콘텐트 및 복호화된 콘텐트 중 적어도 일부를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컨텐츠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어부(17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컨텐츠의 일부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에서 사용자 제스처가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RAM(171), ROM(172), CPU(173), GPU(Graphic Processing Unit)(174) 및 버스(17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RAM(171), ROM(172), CPU(173) 및 GPU(174) 등은 버스(17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173)는 메모리(12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1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7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예로, 휴대 단말기(100B)는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73)가 ROM(17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120)에 저장된 O/S를 RAM(17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킬 수 있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73)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71)에 복사하고, RAM(171)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174)는 디바이스(1000)의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부(110)의 영역에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GPU(174)는 컨텐츠, 아이콘, 메뉴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문서가 표시된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174)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 값을 연산한다. 그리고, GPU(174)는 연산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174)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부(110)의 각 영역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GPS 칩(125)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디바이스(10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나 그 밖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필요할 경우에, GPS 칩(125)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30)는 와이파이칩(131), 블루투스 칩(132), 무선 통신 칩(133), NFC 칩(1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3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131), 블루투스 칩(13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131)이나 블루투스 칩(13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3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13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비디오 프로세서(135)는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135)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14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비디오 프로세서(135) 및 오디오 프로세서(140)를 구동시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스피커부(160)는 오디오 프로세서(140)에서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5)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부(145)는 스마트 드라이빙 모드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부(145)는 키(146), 터치 패널(147) 및 펜 인식 패널(14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키(146)는 디바이스(10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다양한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47)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147)이 표시 패널(111)과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미도시)을 구성한 경우, 터치 스크린은 정전식이나, 감압식, 압전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터치 스크린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터치 스크린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야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스크린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터치 스크린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는 주로 사람의 손가락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으나, 정전 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물체에 의해서도 생성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148)은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펜의 근접 입력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펜 근접 이벤트 또는 펜 터치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148)은, 예로, EM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펜 인식 패널(148)은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 인식 패널(148)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펜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펜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펜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펜 인식 패널(148)은 이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펜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148)은 표시 패널(111)의 하부에 일정 면적, 예를 들어, 표시 패널(111)의 표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마이크부(150)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 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마이크 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 동작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

    촬상부(155)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촬상부(155)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촬상부(155) 및 마이크부(150)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70)는 마이크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촬상부(155)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0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촬상부(155)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마이크부(15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165)는 디바이스(1000)의 본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이 때, 움직임 감지부(165)는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회전 방향 및 각도, 기울기 등과 같은 움직임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

    그 밖에, 도 42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는, 디바이스(1000)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디바이스(1000)의 구성 요소들의 명칭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디바이스(100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도 42의 메모리(120)는 디바이스(1000)의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체제 및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운영체제는 커널, 미들웨어, AP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체제로는,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Android), iOS, 윈도우즈(Windows), 심비안(Symbian), 타이젠(Tizen) 또는 바다(Bada) 운영 체제 등이 있을 수 있다.

    커널(121)은 자원을 관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 드라이버(121-1) 또는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12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121-1)는 디바이스(1000)의 하드웨어들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접근하여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디바이스 드라이버(121-1)는, 인터페이스와 각 하드웨어 업체가 제공하는 개별 드라이버 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121-1)는, 예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121-2)는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 시스템 관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메니저(121-2)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미들웨어(122)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미리 구현해 놓은 복수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122)는 어플리케이션(124)이 디바이스 내부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API(123)를 통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22)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매니저(122-1), 윈도우 매니저(122-2), 멀티미디어 매니저(122-3), 리소스 매니저(122-4), 파워 매니저(122-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122-6), 패키지 매니저(122-7), 연결 매니저(122-8), 통지 매니저(122-9), 위치 매니저(122-10), 그래픽 매니저(122-11) 또는 보안 매니저(122-12) 등의 복수의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122-1)는 어플리케이션(12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생명 주기(life cycle)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22-2)는 화면에서 사용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122-3)는 다양한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codec)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encoding) 또는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122-4)는 어플리케이션(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 메모리 또는 저장 공간 등의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122-5)는 바이오스(BIOS) 등과 함께 동작하여 배터리(battery)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동작에 전력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122-6)는 어플리케이션(12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122-7)은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업데이트를 관리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122-8)는, 예로,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통지 매니저(122-9)는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사건(event)을 사용자에게 방해되지 않는 방식으로 표시 또는 통지할 수 있다. 위치 매니저(122-10)는 디바이스(1000)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122-11)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및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매니저(122-12)는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 등에 요구되는 제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가 전화 기능을 구비한 경우에는, 미들웨어(122)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 매니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122)는 런타임 라이브러리(122-13) 또는 다른 라이브러리 모듈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122-13)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이다. 예컨대, 런타임 라이브러리(122-13)는 입출력,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에 대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미들웨어(122)는 전술한 내부 구성요소 모듈들의 다양한 기능 조합을 통해 새로운 미들웨어 모듈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미들웨어(122)는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운영체제의 종류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22)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기재된 구성요소를 일부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하거나,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명칭을 갖는 구성요소로 대체할 수 있다.

    API(123)는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써 운영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예를 들면,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Tizen)의 경우, 예를 들면,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24)은,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는 프리로드 어플리케이션(preloaded Application) 또는 사용자가 사용 과정에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 3자 어플리케이션(thi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24)은, 예를 들어, 홈 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한 홈 어플리케이션(124-1), 제2 사용자(USER2)과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는 다이얼러(dialer) 어플리케이션(124-2), 전화번호로 식별되는 제2 사용자(USER2)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124-3), IM(Instant Message) 어플리케이션(124-4), 브라우저(Browser) 어플리케이션(124-5), 카메라 어플리케이션(124-6), 알람 어플리케이션(124-7), 제2 사용자(USER2)의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관리하는 폰 북(Phone-Book) 어플리케이션(124-8), 사용자의 통화 로그, 문자 메시지의 수/발신 로그 또는 부재 중 전화 로그 등을 관리하는 콜 로그 어플리케이션(124-9), 이메일(E-mail)로 식별되는 제2 사용자(USER2)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이메일 어플리케이션(124-10), 달력 어플리케이션(124-11),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어플리케이션(124-12), 앨범 어플리케이션(124-13) 또는 시계 어플리케이션(124-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운영체제의 종류에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소프트웨어는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4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의 구성은 도 1의 디바이스(100)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는 감지부(1100), 제어부(1200), 통신부(1300), 디스플레이부(1400) 및 스피커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100)는 차량의 주행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주행 상황은 차량의 외부 상황, 차량의 내부 상황, 차량의 자체 상황 및 운전자의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1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5를 참조하면, 감지부(1100)는 차량의 주행 상황을 감지할 수 있고, 촬상부(1110), 마이크부(1120), GPS(1130), 센서들(1140) 및 외부 데이터 획득부(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촬상부(1110)는 차량의 외부 영상 또는 차량의 내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상부(1110)는 차량들, 보행자들, 차선 등과 같은 도로 상황을 감지하는 후면 촬상부 또는 사용자의 홍채 또는 머리 위치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피로도, 주의력, 운전 집중도 등과 같은 운전자 상황을 감지하는 전면 촬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부(1120)는 차량의 내부 사운드를 획득하고, 이로써, 차량의 내부 소음 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할 수 있다. GPS(1130)는 차량의 현재 위치 또는 차량의 현재 속도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센서들(1140)은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들을 포함하고, 차량의 현재 속도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외부 데이터 획득부(1150)는 현재 실행 중이거나 이전에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외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데이터 획득부(1150)는 지도 애플리케이션 또는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참조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 현재 교통량, 사고 다발 지역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외부 데이터 획득부(1150)는 날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날씨 또는 미래 날씨와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외부 데이터 획득부(1150)는 뉴스 애플리케이션, 메일 애플리케이션, SNS 등을 통해 차량의 주행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도 44를 참조하면, 제어부(1200)는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0)는 감지된 주행 상황을 기초로 차량 외부 상태, 차량 내부 상태, 차량 자체 상태 또는 운전자 상태를 분석할 수 있고, 분석 결과에 따라 위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0)는 위험 레벨을 적어도 고 위험 레벨(HL), 중간 위험 레벨(ML) 및 저 위험 레벨(LL)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0)는 결정된 위험 레벨을 기초로 실시간으로 일정 구간을 결정할 수 있고, 일정 구간 동안 제1 디바이스(100)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0)는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즉, 위험 레벨이 변경되면, 일정 구간 동안 제한된 알림들을 일괄적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알림들은 알림 패킷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0)는 결정된 위험 레벨, 이벤트의 발생 빈도 또는 상대방에 적응적으로 알림을 제한 또는 알림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0)는 주행 상태가 변경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0)는 감지된 주행 상황 및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주행 상태가 변경될 수 있는 조건을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조건을 포함하는 상태 변경 가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0)는 감지된 주행 상황 및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상황 또는 미래 상황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200)는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사용자의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자동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자동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0)는 고 위험 레벨 또는 중간 위험 레벨에서 사용자가 전화 또는 메시지의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른 현재 위험 레벨 또는 발신 가능 시간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200)는 고 위험 레벨 또는 중간 위험 레벨에서 사용자가 전화 또는 메시지의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주행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200)는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발신 가능 상태를 알려주는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0)는 차량의 주행이 종료되면 제한된 알림에 포함된 이벤트에 대한 리마인더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0)는 위험 요소의 위치에 따라 차량에 장착된 복수의 스피커들 중 위험 요소에 근접한 스피커에 알림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30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 제어 신호, 상태 신호 등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0)는 복수의 통신 방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300)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식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300)는 제2 디바이스(200)로부터 전화 또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300)는 제2 디바이스(200)에 응답 메시지 또는 자동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300)는 제1 차량(C1)과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차량(C1)으로부터 주행 상황에 대한 감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제1 차량(C1)에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400)는 디바이스(100)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00)는 디바이스(100)에서 수신된 통신 이벤트 또는 디바이스(100)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알림 이벤트 등에 대한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스피커부(1500)는 디바이스(100)의 알림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볼 수 없는 상황에서도 사용자와 디바이스(100) 사이의 정보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운전 중에도 디바이스(100)를 보지 않고 차량의 주행 방향을 볼 수 있으므로,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4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6을 참조하면, 서버(300)는 제어부(310), 메모리(320) 및 송/수신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서버(3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서버(300)는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제어부(310)는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2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또는 모듈들)을 실행함으로써, 디바이스에 알림을 제한 또는 알림을 제공하고,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응답 메시지, 자동 메시지, 상태 변경 메시지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10)는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위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10)는 감지된 주행 상황을 기초로 차량 외부 상태, 차량 내부 상태, 차량 자체 상태 또는 운전자 상태를 분석할 수 있고, 분석 결과에 따라 위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10)는 위험 레벨을 적어도 고 위험 레벨(HL), 중간 위험 레벨(ML) 및 저 위험 레벨(LL)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결정된 위험 레벨을 기초로 실시간으로 일정 구간을 결정할 수 있고, 일정 구간 동안 디바이스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즉, 위험 레벨이 변경되면, 일정 구간 동안 제한된 알림들을 일괄적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알림들은 알림 패킷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10)는 결정된 위험 레벨, 이벤트의 발생 빈도 또는 상대방에 적응적으로 알림을 제한 또는 알림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10)는 주행 상태가 변경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10)는 감지된 주행 상황 및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주행 상태가 변경될 수 있는 조건을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조건을 포함하는 상태 변경 가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10)는 감지된 주행 상황 및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상황 또는 미래 상황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310)는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사용자의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자동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자동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고 위험 레벨 또는 중간 위험 레벨에서 사용자가 전화 또는 메시지의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른 현재 위험 레벨 또는 발신 가능 시간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310)는 고 위험 레벨 또는 중간 위험 레벨에서 사용자가 전화 또는 메시지의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주행 상황이 변경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상태 변경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310)는 주행 상황이 변경되면 발신 가능 상태를 알려주는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차량의 주행이 종료되면 제한된 알림에 포함된 이벤트에 대한 리마인더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위험 요소의 위치에 따라 차량에 장착된 복수의 스피커들 중 위험 요소에 근접한 스피커에 알림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제어부(3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감지 정보, 주행 상황 정보, 위험 레벨 정보, 사용자의 설정 내역, 통화 내역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32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다.

    송/수신부(330)는 서버(300)와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부(330)는 디바이스로부터 감지 정보, 주행 상황 정보, 위험 레벨 정보, 사용자의 설정 내역, 통화 내역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마그네틱 기록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연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 예 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