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용차용 보조 타이어

申请号 KR2020050033469 申请日 2005-11-24 公开(公告)号 KR200408196Y1 公开(公告)日 2006-02-07
申请人 강대진; 发明人 강대진;
摘要 본 고안은 승용차 타이어 펑크시를 대비한 보조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용차의 타이어 휠에 부착을 위한 부착 장치와 자동 높이 조절용 슬라이딩 장치가 내장된 초 간편 탈부착식 보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승용차의 운행시 뜻하지 않은 타이어 펑크로 인하여 갓길에서 손수 승용차에 탑재되어 있는 예비 타이어로 교체를 하거나, A/S 차량이 올때까지 기다려야 하며, 또한 야간이나 악천후, 여성 자가운전자의 경우는 자키를 이용하여 예비 타이어로 교체하여야 하는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더욱 펑크난 타이어를 교체하지 못하고 펑크난 상태로 주행하여 정비소까지 간다면 타이어의 파손과 심할 경우 휠에도 치명적인 악영향을 주어 새로운 제품으로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간편한 조작으로 펑크난 타이어의 교체 없이 보조 타이어의 부착 운행으로 기존 타이어 및 타이어 휠에 더 이상의 파손없이 가까운 자동차 정비소까지 운행하여 정비를 쉽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며, 기존의 모든 승용차는 트렁크 하부에 운행중 타이어의 펑크를 대비하여 예비 타이어를 탑재하고 운행을 하며, 본 고안의 보조 타이어로 교체하여 트렁크에 싣고 운행을 한다면 타이어의 중량에서 많은 차이로 인하여 자동차 연비에도 도움이 되며 에너지 절약 효과도 가져온다.
타이어, 보조 타이어
权利要求
  • 자동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부착 장치(3)와 이 장치의 부착부(4)를 형성하고, 용이한 탈부착을 위하여 홈(7)이 있는 육각 너트(5)와 부착부 몸통(6)에는 볼(8)과, 부착부 몸통(6)에 볼(8)의 고정을 위한 클립(9), 부착후 용이한 분리를 위하여 클립(9)을 위로 밀어 올려 주는 장력 제거용 핀(10)과, 부착부(4)의 용이한 부착을 위하여 회전을 할 수 있도록하는 연결부(11)를 형성하고, 상기 부착 장치(3) 고정용 핀(12)으로 이루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보조 타이어.
  • 说明书全文

    승용차용 보조 타이어{ Auxiliary tire for passenger car }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 타이어의 설치를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 타이어 부착부의 단면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 타이어의 진행상황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기존 승용차의 펑크난 타이어

    2 : 본 고안의 보조 타이어

    3 : 부착 장치

    4 : 부착부

    5 : 육각 너트

    6 : 부착부 몸통

    7 : 육각 너트(5) 표면의 홈

    8 : 육각 너트와 부착부(4)의 부착을 위한 볼

    9 : 볼(8) 고정용 클립

    10 : 클립(9)의 장력 제거용 핀

    11 : 부착장치(3)와 부착부(4)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연결부

    12 : 부착장치(3) 고정용 핀

    본 고안은 승용차 타이어 펑크시 펑크난 타이어의 교체 없이 누구나 쉽게 짧은 시간에 부착하여 근거리 운행으로 가까운 정비소로 이동하여 펑크난 타이어를 정비 받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승용차의 타이어 휠에 부착을 위한 부착장치와 자동 높이 조절용 슬라이딩 장치가 내장된 초 간편 탈부착식 보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승용차는 운행시 뜻하지 않은 타이어 펑크로 인하여 갓길에서 손수 승용차에 탑재되어 있는 예비 타이어로 교체를 하거나, A/S 차량이 올때까지 기다려야 하며, 또한 야간이나 악천후, 여성 자가운전자의 경우는 자키를 이용하여 예비 타이어로 교체하여야 하는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더욱 펑크난 타이어를 교체하지 못하고 펑크난 상태로 주행하여 정비소까지 간다면 타이어의 파손과 심할 경우 휠에도 치명적인 악영향을 주어 새로운 제품으로 교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기상 조건이나 시간에 구애없이 누구나 쉽게 부착하여 가까운 정비소로 이동하여 펑크난 타이어 및 휠에 더 이상의 파손 없이 정비를 받을 수 있도록 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누구나 야간 혹은 악천후 속에서도 쉽게 부착하여 기존 펑크난 타이어 및 휠에 더 이상의 파손 없이 근거리를 운행하여 정비소에서 펑크난 타이어의 정비를 쉽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보조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승용차의 타이어 휠에 부착을 위한 부착 장치와 자동 높이 조절용 슬라이딩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보조 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기존 승용차는 타이어 휠의 고정용 너트의 개수에 관계없이 규격별로 부착부의 개수를 4구형 또는 5구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자신의 승용차에 맞는 보조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승용차용 보조 타이어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 타이어의 설치를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 타이어 부착부의 단면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 타이어의 진행상황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 승용차의 펑크난 타이어(1)에 손쉽게 부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타이어(2)에는 기존 승용차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부착 장치(3)와 이 장치의 부착부(4)가 형성된다.

    상기 부착 장치(3)에는 육각 너트(5)와의 용이한 탈부착을 위하여 부착부 몸통(6)에는 볼(8)과, 부착부 몸통(6)에 볼(8)의 고정을 위한 클립(9), 부착후 용이한 분리를 위하여 클립(9)을 위로 밀어 올려 주는 장력 제거용 핀(10)과 부착부(4) 의 용이한 부착을 위하여 회전을 할 수 있도록하는 연결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육각 너트(5)에는 부착부(4)와의 부착을 위하여 120도 각도로 정삼각형을 이루며 3개가 있는 볼(8)이 고정 될 수 있도록 홈(7)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1)는 육각 너트(5)와 부착부(4)의 원활한 부착을 위하여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부착 장치(3) 고정용 핀(12)은 기존 승용차의 펑크로 인하여 펑크가 나지않은 정상적인 타이어 쪽에 비하여 기울어지게 되며, 이러한 경우 보조 타이어(2)의 중심과 펑크난 타이어(1)와의 중심이 같다면 보조 타이어(2)의 부착이 지면과의 간섭으로 용이한 부착이 이뤄질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의 진행 1부터 진행 4까지의 진행 방향을 보면 부착 장치(3)가 보조 타이어(2)의 중심에서 하부로 편심이 되어 있으며, 용이한 부착 후 펑크난 타이어(1)와 보조 타이어(2)의 중심을 맞추기 위하여 진행 4때의 부착 장치(4)가 차체의 중량으로 중심 위치로 이동하면 역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핀(12)이 스프링에의해 튀어나와 부착장치(4)가 중심 위치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가까운 정비소까지의 원활한 운행을 하게 하며 정비소에서 펑크난 타이어(1)의 정비를 위하여 부착장치(3)의 간단한 조작으로 클립(9)의 장력 제거용 핀(10)을 밀어 줌으로써 보조 타이어(2)의 제거를 쉽게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승용차의 보조 타이어의 효과를 살펴보면, 승용차의 운행시 뜻하지 않은 타이어 펑크로 인하여 갓길에서 손수 승용차에 탑재되어 있는 예 비 타이어로 교체를 하거나, A/S 차량이 올때까지 기다려야 하며, 또한 야간이나 악천후, 여성 자가운전자의 경우는 자키를 이용하여 예비 타이어로 교체하여야 하는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더욱 펑크난 타이어를 교체하지 못하고 펑크난 상태로 주행하여 정비소까지 간다면 타이어의 파손과 심할 경우 휠에도 치명적인 악영향을 주어 새로운 제품으로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간편한 조작으로 펑크난 타이어의 교체 없이 보조 타이어의 부착 운행으로 기존 타이어 및 타이어 휠에 더 이상의 파손없이 가까운 자동차 정비소까지 운행하여 정비를 쉽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며, 기존의 모든 승용차는 트렁크 하부에 운행중 타이어의 펑크를 대비하여 예비 타이어를 탑재하고 운행을 하며, 본 고안의 보조 타이어로 교체하여 트렁크에 싣고 운행을 한다면 타이어의 중량에서 많은 차이로 인하여 자동차 연비에도 도움이 되며 에너지 절약 효과도 가져온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