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발효유와 그 제조 방법

申请号 KR1020137032705 申请日 2006-12-26 公开(公告)号 KR101598039B1 公开(公告)日 2016-02-26
申请人 가부시키가이샤 메이지; 发明人 가노,히로시; 노마,데루유키; 이케가미,슈지; 이토,히로유키; 이사와,가쿠헤이;
摘要 본원발명은천연물유래로안전성이높고, 또한피부개선효과및/또는치료효과가높으며, 제조특성이좋은유산균을함유하는조성물및 발효유를제공하는것이며, 피부개선및/또는치료에사용되는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의용도,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 및/또는그 배양물을함유하여이루어지는피부개선용및/또는치료용의조성물, 상기조성물을함유하는것을특징으로하는음식품, 불가리아균(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및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를사용하여조제한피부개선용및/또는치료용의발효유, 또한콜라겐펩티드및/또는세라미드를함유하는것을특징으로하는상기피부개선용및/또는치료용의발효유에관한것이다.
权利要求
  • 스트렙토코커스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와 락토바실러스 델브릭키이 변종 불가리쿠스균 OLL1073R-1(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OLL1073R-1)을 스타터로서 사용하여, 콜라겐 펩티드 및 세라미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 효과 및 피부염 개선 효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가 인정되는 발효유.
  •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항에 기재된 발효유에 의해 정장 개선 효과가 인정되는 인간에 대하여, 피부 개선 효과 및 피부염 개선 효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효과가 인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은 피부의 건피·부스럼딱지 형성, 발적·출혈, 조직 탈락·찰상, 부종 및 소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유.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효유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원료유를 조제한 후, 스트렙토코커스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 및 락토바실러스 델브릭키이 변종 불가리쿠스균 OLL1073R-1(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OLL1073R-1)을 스타터로서 첨가하여 용기에 충전하고 발효시켜 커드를 형성시킨 후에 냉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효유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원료유를 조제한 후, 스트렙토코커스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 및 락토바실러스 델브릭키이 변종 불가리쿠스균 OLL1073R-1(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OLL1073R-1)을 스타터로서 첨가하고 발효시켜 커드를 형성시킨 후에, 커드를 파쇄하고 용기에 충전하여 냉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효유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원료유를 조제한 후, 스트렙토코커스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 및 락토바실러스 델브릭키이 변종 불가리쿠스균 OLL1073R-1(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OLL1073R-1)을 스타터로서 첨가하고 발효시켜 커드를 형성시킨 후에, 커드를 파쇄하여 냉각하고 용기에 충전하여 냉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说明书全文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발효유와 그 제조 방법{FERMENTED MILK FOR IMPROVING AND/OR TREATING SKI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은 조성물과 이것을 사용한 음식물 및 발효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 특성이 좋은 유산균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발효유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개선이나 치료 등을 목적으로 한 조성물이나 음식품에 유산균이나 그 배양물을 함유한 것이 있다.

    이들 조성물이나 음식품에 관한 선행 기술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이 있다.

    특정의 유산균을 사용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억제제 및 식품(특허문헌 1).

    특정의 유산균의 배양물을 사용한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보습제 및 살갗이 거칠어지는 것이나 건조한 살갗의 예방·치료에 유효하고, 살갗(피부)에 「윤기」나 「생기」를 주는 화장료 조성물(특허문헌 2).

    특정의 유산균이나 그 배양물을 피부(살갗)의 면역계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 및 유산균이나 그 배양물을 함유한 식품 등(특허문헌 3).

    콜라겐 펩티드나 세라미드와 유산균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살갗(피부)의 개선에 더해 변통 개선, 피로 회복, 어깨 결림의 경감 등도 아울러 기대할 수 있는 미용 식품(특허문헌 4).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유산균이나 그 배양물에 피부 개선 효과나 치료 효과가 있는 것을 알아내어, 그것을 산업상 응용하는 것이 종래부터 기대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몇 가지의 구체적인 연구가 행해지고 있으며, 실제로 제품화된 것도 존재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종래까지의 연구에서는, 유산균과 피부(살갗)와의 관계 또는 유산균에 콜라겐 펩티드나 세라미드 등을 첨가한 조성물과 피부(살갗)와의 관계에 대해 검토가 불충분했다. 그 때문에 유산균이나 발효유에 의한 피부 개선 효과 등에 대해 과학적인 근거가 부족한 상태였다.

    또 피부 개선 효과 등을 가지는 종래까지의 유산균에서는 발효유를 제조할 때에 커드를 형성하지 않거나, 커드를 형성할 때까지의 시간이 큰 폭으로 길어지기도 하고 있었다. 이 경우에는 피부 개선 효과 등을 가지지만, 발효유의 제조 특성이 나쁜 유산균과 커드를 형성하기 위한 제조 특성이 좋은 유산균을 따로 관리하거나, 발효 시간이 길어짐으로써 제조 시간 전체가 길어지기도 하고 있었다. 이 때, 피부 개선 효과 등을 가지는 종래까지의 유산균은 생균이 아니라 사균이거나 내열성이 높은 한정된 균체 등이었다. 즉 피부 개선 효과 등을 가지는 종래까지의 유산균은 발효유의 공업적인 대량 생산(상업적인 생산) 등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피부 개선 효과 등을 가진다고 일컬어지고 있는 종래까지의 유산균을 사용하여 발효유를 제조하고자 하면, 개략 다음과 같은 제조 공정을 필요로 한다. 즉 (1) 피부 개선 효과 등을 가지는 유산균을 단독으로 배양한다. (2) 상황에 따라 원심분리법이나 막분리법에 의해 그 유산균(배양균체)을 소정의 농도까지 농축하거나 또는 유산균의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서 배양액을 가열 살균하거나 건조하거나 한다. (3) 커드를 형성하는 다른 유산균과, 그 농축된 배양균체 또는 가열 살균이나 건조된 것을 발효 전의 조합유에 첨가하여 혼합 배양한다.

    이들 제조 공정은 관리가 복잡하고, 제조 비용도 제조 시간도 증대하며, 잡균이 혼입할 가능성도 높다. 또 기호성이 우수한 풍미가 좋은 발효유를 얻는 것도 어렵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0-095697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2003-081808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공표 2004-510740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 특허 공개 2004-254632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천연물 유래로 안전성이 높고,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은 조성물, 피부 개선 및/또는 치료의 용도에 적합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당해 조성물을 사용한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은 음식품 및 발효유, 특히 제조 특성이 좋은 유산균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발효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발효유의 조제에 사용하는 유산균으로부터 피부 개선 효과나 치료 효과가 높은 것을 선발할 목적으로 생체 밖 시험을 행함으로써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에 특별히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다는 지견을 얻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원의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피부 개선 및/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의 용도이다.

    또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 및/또는 그 배양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조성물이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조성물에 있어서, 불가리아균 OLL1073R-1(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OLL1073R-1) 및/또는 그 배양물을 추가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조성물이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청구항 2에 기재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음식품이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불가리아균(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및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를 사용하여 조제한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발효유이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콜라겐 펩티드 및/또는 세라미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발효유이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원료유를 조제한 후, 불가리아균(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및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를 스타터로서 첨가하여 용기에 충전하고 발효시켜 커드를 형성시킨 후에 냉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 또는 6에 기재된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발효유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은, 원료유를 조제한 후, 불가리아균(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및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를 스타터로서 첨가하여 발효시켜 커드를 형성시킨 후에, 커드를 파쇄하고 용기에 충전하여 냉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 또는 6에 기재된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발효유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청구항 9에 따른 발명은, 원료유를 조제한 후에, 불가리아균(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및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를 스타터로서 첨가하여 발효시켜 커드를 형성시킨 후에, 커드를 파쇄하여 냉각하고 용기에 충전하여 냉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 또는 6에 기재된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발효유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는 피부나 살갗의 윤기, 생기, 그을림, 검버섯, 처짐, 모공의 두드러짐, 살결, 주름, 건조 상태, 끈적임, 투명감, 붉은 기, 파운데이션의 발림 정도, 부종, 다크서클의 두드러짐, 피진, 보습, 색소 침착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상태에 대해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을 말한다.

    또 「피부 개선 및/또는 치료」는 피부나 살갗의 윤기, 생기, 그을림, 처짐, 모공의 두드러짐, 살결, 주름, 건조 상태, 끈적임, 투명감, 붉은 기, 파운데이션의 발림 정도, 부종, 다크서클의 두드러짐, 피진, 보습, 색소 침착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상태에 대해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피부 개선 및/치료」에는 아토피성 피부염을 비롯해 각종 알레르기성 피부염에 의한 살갗 증상의 개선이나 발증 억제도 포함된다.

    또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은 상기 서술한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를 발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사용되는 것을 말하고, 특히 상기 서술한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를 발휘시키는 용도에 적합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불가리아균(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은 발효유의 조제에 있어서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와 조합하여 스타터로 사용함으로써 커드를 형성하는 능력을 가지는 유산균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이지뉴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플레인 요구르트, 하드 요구르트, 소프트 요구르트로부터 단리하여 얻어지는 유산균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는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에 수령 번호:FERM P-15487(식별을 위한 표시: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 기탁일(수령일):평성 8년 2월 29일)로 기탁되어 있는 것이다.

    이 원기탁에 의한 부다페스트 조약에 기초하는 기탁에 대한 이관은 2006년 11월 29일자로 행해져 국제 기탁 당국으로부터 수탁 번호 FERM BP-10740이 부여되어 있다.

    이 서모필러스균 OLS3059의 균체 성상은 이하와 같다.

    콜로니 성상:원형·대상·스무스형

    (BL 평판 배지(마혈(馬血) 없음), 배양 온도:37℃, 배양 시간:48h)

    균형태:구균

    그램 염색:양성

    산소 요구성:호기성

    당류의 자화성

    리보스 -

    만니톨 -

    소르비톨 -

    락토스 +

    트레할로스 -

    라피노스 -

    말토스 -

    멜리비오스 -

    멜레지토스 -

    아라비노스 -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불가리아균 OLL1073R-1(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OLL1073R-1)은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에 수령 번호:FERM P-17227(식별을 위한 표시: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OLL1073R-1, 기탁일(수령일):평성 11년 2월 19일)로 기탁되어 있는 것이다.

    이 원기탁에 의한 부다페스트 조약에 기초하는 기탁에 대한 이관은 2006년 11월 29일자로 행해져 국제 기탁 당국으로부터 수탁 번호 FERM BP-10741이 부여되어 있다.

    이 불가리아균 OLL1073R-1의 균체 성상은 이하와 같다.

    콜로니 성상:불투명·러프형

    (BL 한천 배지, 배양 온도:37℃, 배양 시간:48h)

    균형태:간균

    그램 염색:양성

    산소 요구성:통성혐기성

    당류의 자화성

    리보스 -

    만니톨 -

    소르비톨 -

    락토스 +

    트레할로스 -

    라피노스 -

    말토스 -

    멜리비오스 -

    멜레지토스 -

    아라비노스 -

    본 발명은 피부 개선 및/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의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물 유래로 안전성이 높고,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은 조성물, 피부 개선 및/또는 치료의 용도에 적합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당해 조성물을 사용한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은 음식품 및 발효유, 특히 제조 특성이 좋은 유산균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발효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장(변통)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았던 사람에 대해서,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은 발효유와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증류수 투여군, Lactobacillus rhamnosus ATCC 53103 투여군, 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 투여군 및 피부염 비야기군에 있어서의 시험 기간 중의 피부염 발증 스코어의 추이(평균±표준편차로 표기함. **P<0.01, *P<0.05, Dunnett의 다중 비교)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증류수 투여군, Lactobacillus rhamnosus ATCC 53103 투여군, 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 투여군 및 피부염 비야기군에 있어서의 15일 후(day 15)의 혈청 중의 총 IgE 농도(평균±표준편차로 표기함. **P<0.01, Dunnett의 다중 비교)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증류수 투여군, Lactobacillus bulgaricus OLL1073R-1 투여군 및 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 투여군에 있어서의 시험 기간 중의 피부염 발증 스코어의 추이(평균±표준편차로 표기함. **P<0.01, *P<0.05, Dunnett의 다중 비교)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증류수 투여군, Lactobacillus bulgaricus OLL1073R-1 투여군 및 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 투여군에 있어서의 15일 후(day 15)의 혈청 중의 총 IgE 농도(평균±표준편차로 표기함. **P<0.01, Dunnett의 다중 비교)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Lactobacillus bulgaricus OLL1073R-1과 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로 조제한 발효물의 투여군,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MEP1705601과 Streptococcus thermophilus MEP1705601로 조제한 발효물의 투여군, 미발효물의 투여군 및 피부염 비야기 또한 미발효물의 투여군에 있어서의 시험 기간 중의 피부염 발증 스코어의 추이(평균±표준편차로 표기함. **P<0.01, *P<0.05, Dunnett의 다중 비교)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로 조제한 발효유를 시험식으로 한 피험자의 피부(살갗)의 탄력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로 조제한 발효유를 시험식으로 한 피험자의 피부(살갗)의 살결 밀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로 조제한 발효유를 시험식으로 한 피험자의 총 피진수의 관찰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로 조제한 발효유를 시험식으로 한 피험자 및 의사에 의한 유용성의 평가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로 조제한 발효유를 시험식으로 한 「정장이 「1 이상」 개선된」 피험자의 피부(살갗)의 탄력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로 조제한 발효유를 시험식으로 한 「정장이 「2 이상」 개선된」 피험자의 피부(살갗)의 탄력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로 조제한 발효유를 시험식으로 한 「정장이 「3 이상」 개선된」 피험자의 피부(살갗)의 탄력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로 조제한 발효유를 시험식으로 한 「정장이 「1 이상」 개선된」 피험자의 피부(살갗)의 살결 밀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로 조제한 발효유를 시험식으로 한 「정장이 「2 이상」 개선된」 피험자의 피부(살갗)의 살결 밀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로 조제한 발효유를 시험식으로 한 「정장이 「3 이상」 개선된」 피험자의 피부(살갗)의 살결 밀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원 발명은 피부 개선 및/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의 용도를 제안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발효유의 조제에 사용하는 유산균으로부터 피부 개선 효과나 치료 효과가 높은 것을 선발할 목적으로 생체 밖 시험을 행함으로써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에 특별히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다는 지견을 얻어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조성물이며,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 및/또는 그 배양물을 함유하는 것이다. 이 본 발명의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조성물은 천연물 유래이므로 안전성이 높고, 또한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아, 이들 용도에 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이 발효유의 조제에 사용하는 커드를 형성하는 능력을 가진 제조 특성이 좋은 유산균으로부터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은 것을 선발하기 위해 생체 밖 시험을 행했는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에 특별히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다는 지견을 얻었다.

    상기 본 발명의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 및/또는 그 배양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조성물은 불가리아균 OLL1073R-1(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OLL1073R-1) 및/또는 그 배양물을 추가로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면,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 및/또는 그 배양물과, 균체 외에 점성 다당류를 생산하는 불가리아균 OLL1073R-1(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OLL1073R-1)을 조합한 경우에도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아 이들 용도에 적합한 것인 것이 인정되었다.

    또한 서모필러스균 OLS3059는 예를 들어, 불가리아 요구르트 LB81((등록상표) 메이지뉴교 가부시키가이샤제)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서술한 서모필러스균 OLS3059 및/또는 그 배양물, 불가리아균 OLL1073R-1(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OLL1073R-1) 및/또는 그 배양물은 모두 유산균을 단리·정제한 균체 외에 균체를 포함하는 배양물, 균체의 추출물, 배양물 상청, 이들의 농축액, 농축물, 건조물, 또한 필요에 따라서 희석액, 희석물 등이며, 배양액, 배양물을 처리하여 얻어지는 모든 상태의 것이 포함된다.

    상기 서술한 서모필러스균 OLS3059는 생균 및 사균의 어느쪽에서도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아 피부 개선 및/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또 불가리아균 OLL1073R-1도 생균 및 사균의 어느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서모필러스균 OLS3059도 불가리아균 OLL1073R-1도 균체의 배양법, 추출법, 분리법, 농축법, 건조법, 희석법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균체를 배양하기 위한 배지로는 통상적으로 탈지유, 훼이, 카세인 등의 우유 단백질, 당류, 효모 엑기스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배양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각종 호기적 또는 혐기적인 방법을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배양 온도로는 예를 들어 35~45℃를 설정하고, 배양 중에는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를 사용하여 배지의 pH를 중성으로부터 산성, 예를 들어 pH가 5~6정도가 되도록 유지하는 중화배양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중화배양법 외에 회분배양법 등의 임의의 배양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배양한 후에는 필요에 따라서 배양물이나 그 상청을 농축, 건조, 희석 등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원심분리법이나 막분리법을 사용하여 배양물의 상청과 균체를 분리하여 균체를 농축한 상태로 회수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균체에 초음파 처리나 효소 처리 등을 행하여 균체 내의 성분을 추출하거나, 배양물이나 그 상청, 균체나 그 추출물 등을 건조할 수도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의 성분을 첨가하여 상법에 따라 피부 외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의 화장료, 의약품부외, 의약품 등에 사용되는 각종 성분, 유제, 증점제, 방부제, 유화제, 안료, pH 조정제, 항산화제, 향료 등을 적당히 배합하여 크림, 유액, 화장료, 파운데이션, 로션, 샴푸 등 그 목적에 따라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식품은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음식품은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아 이들 용도에 적합한 것이다.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용으로서 실적이 있는 유산균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성에 대해서는 전혀 문제가 없어 음식품, 의약품으로서 경구적 및/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의 균체를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또는 통상의 식이 성분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서모필러스균 OLS3059와 불가리아균 OLL1073R-1의 균체를 각각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을 통상의 식이 성분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서모필러스균 OLS3059, 또는 서모필러스균 OLS3059와 불가리아균 OLL1073R-1을 조합한 것을 경구 투여제 및/또는 비경구 투여제의 제조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각종 보조제 등과 혼합하여 제재화할 수도 있다.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 또는 서모필러스균 OLS3059와 불가리아균 OLL1073R-1을 조합한 것을 통상의 식이 성분이나, 경구 투여제 및/또는 비경구 투여제의 제조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각종 보조제 등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서모필러스균 OLS3059의 첨가량(배합량)은 본 발명의 음식품을 섭취하는 사람의 연령, 체중, 투여 방법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 9 (10의 9승)cfu/일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10 (10의 10승)cfu/일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음식품으로서는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음료(드링크), 정제(타블렛) 등 외에 비스킷, 빵, 스폰지 케이크, 발효유, 요구르트, 치즈, 버터, 마가린, 크림, 젤리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음식품의 사용 형태, 사용 방법으로서는 상기 서술한 음식품에 직접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하는 형태, 방법이 있다. 또 이것에 의해 얻어진 본 발명의 음식품인 요구르트, 치즈, 버터 등을 추가로 음식품에 첨가하는 형태, 방법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음식품은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를 발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통상의 음식품 외에 특정 보건용 식품, 영양 기능 식품, 건강 식품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품은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피부 개선 및/또는 치료를 위해서 사용되는 취지의 표시를 한 음식품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 방법으로서는 음식품의 패키지에 대한 표시 외에 팜플렛에 대한 게재나 선전 등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음식품을 의약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시럽제 등의 사용 형태, 사용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제의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교미제, 교취제, 용해 보조제, 현탁제, 코팅제 등에 통상의 보조제를 사용하여 상법에 따라 제재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유는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발효유이며, 불가리아균(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및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를 사용하여 조제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발효유는 발효유의 조제에 사용하는 커드를 형성하는 능력을 가진 제조 특성이 좋은 유산균 중에서 선발된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은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를 사용하여 조정되어 있으므로,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다. 즉 상기 본 발명의 발효유는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아 이들 용도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서모필러스균 OLS3059를 불가리아균과 조합하여 유산균을 조정하는데, 예를 들어 이들을 조합하여 스타터로서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단시간에 커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발효유에 있어서, 불가리아균(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에는 예를 들어 메이지뉴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플레인 요구르트, 하드 요구르트, 소프트 요구르트로부터 단리하여 얻어지는 유산균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불가리아균과 서모필러스균과의 조합에 의해 조제되는 본 발명의 발효유는 기호성이 우수하며 풍미가 좋고 혀에 닿는 감촉이 매끄러우며 제품의 수송시에 커드가 부서지기 어려워 커드가 탄탄하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 서술한 불가리아균(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및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를 사용하여 조제한 본 발명의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발효유는 콜라겐 펩티드 및/또는 세라미드를 함유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후기하는 바와 같이, 콜라겐 펩티드나 세라미드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상기 서술한 발효유와, 함유하고 있지 않는 본 발명의 상기 서술한 발효유를 비교했는데, 콜라겐 펩티드나 세라미드를 함유하는 발효유에 있어서,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은 경향이 얻어졌다. 즉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불가리아균 및 서모필러스균 OLS3059를 사용하여 조제했을 뿐인 본 발명의 발효유에 비해, 콜라겐 펩티드 및/또는 세라미드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아졌다. 이것은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은 유산균(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과 콜라겐 펩티드 및/또는 세라미드를 혼합한 것에 의한 상승 효과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와 같은 효과를 발휘시키는 관점으로부터, 발효유에 포함되는 콜라겐 펩티드는 500mg% 이상이 바람직하고, 700m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900mg%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발효유에 포함되는 세라미드는 상기 서술한 효과를 발휘시키는 관점으로부터, 100μg% 이상이 바람직하고, 200μ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250μg%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의 상승 효과라는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발효유에는 콜라겐 펩티드 및/또는 세라미드 외에 스핀고미엘린, 이소플라본, 콘드로이틴, 히알론산 등, 음식품, 의약품에 사용하는 각종 신진대사의 개선 효과를 가지는 유용 성분을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의 본 발명의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발효유에 대해,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찾아내기 위해, 사람 시험에 의해 더욱 상세한 검토를 진행시켰는데, 이상의 본 발명의 발효유는 발효유의 대표적인 작용으로 여겨지는 정장 개선 효과가 높았던 사람에 대해서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도 높다는 지견을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콜라겐 펩티드나 세라미드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상기 서술한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발효유와, 함유하고 있지 않는 본 발명의 상기 서술한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발효유를 사용하여, 정장 개선 효과의 정도와 피부 개선 효과의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지견을 얻었다.

    즉 본 발명의 상기 서술한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발효유는 정장(변통)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았던 사람에 대해서, 상기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발효유를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발효유 제조 방법으로서는 이하의 것이 있다.

    원료유를 조제한 후, 불가리아균(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및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를 스타터로서 첨가하여 용기에 충전하고 발효시켜 커드를 형성시킨 후에 냉장하는 것이다.

    또는 원료유를 조제한 후, 불가리아균(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및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를 스타터로서 첨가하고 발효시켜 커드를 형성시킨 후에 커드를 파쇄하고 용기에 충전하여 냉장하는 것이다.

    또는 원료유를 조제한 후에, 불가리아균(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및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를 스타터로서 첨가하고 발효시켜 커드를 형성시킨 후에 커드를 파쇄하여 냉각하고 용기에 충전하여 냉장하는 것이다.

    여기서 불가리아균(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및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를 스타터로서 첨가할 때까지 행하는 원료유의 조제는 종래 일반의 발효유 제조 공정과 동일하게 원료유를 조제하고, 균질화나 살균·냉각 등의 처리를 행하여 원료유를 조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발효유를 제조하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발효유의 조제에 사용하는 커드를 형성하는 능력을 가진 제조 특성이 좋은 유산균 중에서 선발된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은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와 불가리아균을 조합하여 스타터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피부 개선 효과 등을 가지는 종래까지의 유산균에서의 문제점(과제점)이 해결되고 있다. 종래는 피부 개선 효과 등을 가지지만, 발효유의 제조 특성이 나쁜 유산균과 커드를 형성하기 위한 제조 특성이 좋은 유산균을 따로 관리하거나, 발효 시간이 길어짐으로써 제조 시간 전체가 길어지거나 하는 문제가 일어나고 있었다. 즉 피부 개선 효과 등을 가지는 종래까지의 유산균은 발효유의 공업적인 대량 생산(상업적인 생산) 등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효유의 제조 방법은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기 때문에 상업적인 생산에 적용할 수 있다. 공정수가 복잡하지 않은 것이 상업적인 생산에는 중요하다.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발효유의 제조 방법에서, 원료유를 조제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균질화는 살균 전과 살균 후의 어느 하나 또는 쌍방에 있어서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발효시키고 나서의 냉각은 커드를 형성시킨 후, 커드를 파쇄한 후, 용기에 충전한 후의 어느 쪽이어도 된다.

    또한 커드를 파쇄한 후에, 과육, 야채, 각종 소스 및/또는 각종 첨가제를 첨가·혼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발효유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발효 시간은 통상의 발효유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정도인 8시간 이내, 바람직하게는 6 또는 5시간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4시간 이내이다.

    또 본 발명의 피부 개선용 및/또는 치료용의 발효유는 풍미가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상용할 수 있어 무리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피부 개선 효과나 치료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 효과의 생체 내 시험에 의한 검증)

    마우스 암컷 NC/Nga의 4주령(니혼에스엘시(주)제)을 훈화 사육한 후에 이하의 4군으로 나누었다.

    증류수 투여군(n=10)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이하, OLS3059라고도 함. 불가리아 요구르트 LB81((등록상표) 메이지뉴교 가부시키가이샤제)로부터 단리함.) 투여군(n=10)

    피부염 비야기군(n=7)

    Lactobacillus rhamnosus ATCC 53103(이하, ATCC 53103라고도 함.) 투여군(OLS3059 투여군과의 비교 대조)(n=10).

    이들에 사료(상품명:CRF-1, 오리엔탈코보코교(주)제) 및 증류수를 자유 섭취시켰다.

    여기서 ATCC 53103은 아토피성 피부염에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는 유산균이다.

    피부염 비야기군을 제외한 3군은 시험 기간 중, 증류수 또는 각종 유산균을 존데에 의해 경구 투여했다. 그리고 후기하는 방법에 따라 피부염의 야기를 시험 개시의 7일 후(day 0)로부터 연일 행했다. 즉 증류수 투여군은 시험 기간(1일째(day -7)~21일 후(day 14))에 걸쳐 연일 증류수를 위 내에 경구 투여(1mg/일/마우스)하고, 각종 유산균의 투여군도 마찬가지로 연일 유산균의 수현탁액을 위 내에 경구 투여(1mg/일/마우스)했다. 각종 유산균의 현탁액은 가열 처리(온도 75℃, 60분간)한 균체의 동결 건조물을 증류수에 현탁하여 작성했다. 각종 유산균의 현탁액에 대해 균체 농도는 ATCC 53103이 7.13×10 8 (10의 8승)cfu/g, OLS3059가 8.56×10 7 (10의 7승)cfu/g였다.

    시험 개시의 7일 후(day 0)부터 피부염을 야기시키고, 발증 추이를 스코어화했다. 또 피부염 야기 개시의 15일 후(day 15)에 혈청을 채취하여 IgE 농도를 ELISA법에 의해 측정했다. IgE 농도는 Pharmingen사제의 항체를 사용하여 Pharmingen사가 추천하는 프로토콜의 일부를 개변하여 측정했다.

    진드기 파쇄물액의 조제는 이하의 방법으로 행했다. 즉 세로무늬먼지진드기의 전충체(Mite-Dp, 엘·에스·엘사제)를 무수 에테르로 탈지한 후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초음파 파쇄 처리했다. 그 다음에 수용성화분을 원심분리 처리하여 동결 건조한 후에, 단백질 농도로 4.5mg/ml(BSA 환산, BioRAD사의 DC protein assay로 측정함.)로 증류수로 조제했다.

    피부염 야기 시험은 운노등의 방법(운노 테츠시 외, 알레르기 50:1152-1162, 2001)을 개변하여 행했다. 피부염 야기 부위(두부, 귓바퀴부 및 경부)의 털을 바리캉으로 민 후에, SDS 수용액(4%)을 전체 마우스의 피부염 야기 부위에 브러시로 20회 도포했다. 도포량은 20회에 약 60μl에 상당한다. SDS 수용액이 건조한 후에, 피부염 야기군에는 진드기 파쇄물액을, 피부염 비야기군에는 증류수를 마찬가지로 하여 각각 20회 도포했다. 상기 서술한 조작을 1일에 1세트 매일 반복함으로써 피부염을 야기시켜, 시험 개시의 7일 후(day 0)로부터 시험 종료일까지 연일 반복했다.

    IgE의 측정은 이하의 방법으로 행했다. 즉 96 웰 플레이트에 1차 항체용의 항IgE 항체(Pharmingen사제)를 2μg/ml로 첨가하고 온도 37℃에서 1시간 정치했다. Tween 20/PBS(PBS-Tween, 0.05%)로 세정한 후에, BSA/PBS(1%)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정치했다. PBS-Tween으로 세정한 후에, 혈청 시료 및 표준 곡선 작성용의 IgE(Pharmingen사제)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정치했다. PBS-Tween으로 세정한 후에, 2차 항체용의 비오틴-항IgE 항체(Pharmingen사제)를 0.5μg/ml로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정치했다. PBS-Tween으로 세정한 후에, 스트렙트아비딘 HRP(Pharmingen사제)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정치했다. PBS-Tween으로 세정한 후에, TMB+Substrate Chromogen(DAKO사제)를 첨가하여 발색 반응을 개시했다. 발색 반응 후에, 황산(1N)을 첨가하여 흡광도(450nm)를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로 측정하고, 혈청 중의 IgE 농도를 산출했다.

    피부염 발증 스코어의 추이를 도 1에 도시한다. 스코어화는 [1] 건피·부스럼딱지 형성, [2] 발적·출혈, [3] 조직 탈락·찰상, [4] 부종, [5] 소양 행동의 5항목에 대해, 「0. 무증상」, 「1. 경도」, 「2. 중간 정도」, 「3. 중도」의 4 단계로 행하고, 각 마우스에 있어서의 각 스코어의 합계를 산출하여 평가했다. 피부염 야기 개시의 13일 후(day 13)의 발증 스코어에 대해, OLS3059 투여군은 증류수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한편, ATCC 53103 투여군은 증류수 투여군과 비교하여 큰 차가 없었다.

    총 IgE 농도를 도 2에 도시했다. 피부염 야기 개시의 15일 후(day 15)의 혈청 중의 총 IgE에 대해, OLS3059 투여군은 증류수 투여군과 비교하여 IgE 농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한편, ATCC 53103 투여군은 증류수 투여군과 비교하여 IgE 농도가 다소 낮았지만,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ATCC 53103은 아토피성 피부염에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는 유산균이지만, OLS3059는 그 ATCC 53103보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발증에 대해서 억제 효과가 높았다.

    (실시예 2)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 효과의 생체 내 시험에 의한 검증)

    마우스 암컷 NC/Nga의 4주령(니혼에스엘시(주)제)을 훈화 사육한 후에 이하의 3군으로 나누었다.

    증류수 투여군(n=4)

    불가리아균 OLL1073R-1(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OLL1073R-1, 이하, OLL1073R-1라고도 함.) 투여군(n=6)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 불가리아 요구르트 LB81(메이지뉴교(주)제)로부터 단리함.) 투여군(n=5).

    이들에 사료(상품명:CRF-1, 오리엔탈코보코교(주)제) 및 증류수를 자유 섭취시켰다. 피부염의 야기 기간을 30일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실험 조건으로 했다.

    피부염 발증 스코어의 추이를 도 3에 도시했다. 피부염 야기 개시의 13일 후(day 13)의 발증 스코어에 대해, OLL1073R-1 투여군과 OLS3059 투여군은 증류수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총 IgE 농도를 도 4에 도시했다. 혈청 중의 총 IgE에 대해, OLL1073R-1 투여군과 OLS3059 투여군은 증류수 투여군과 비교하여 IgE 농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본 발명의 OLS3059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발증에 대해서 억제 효과가 있는 것이 인정되었다. 또 OLL1073R-1에 대해서도 아토피성 피부염의 발증에 대해서 억제 효과가 있는 것이 인정되었지만, IgE 농도는 본 발명의 OLS3059 쪽이 낮았다.

    (실시예 3)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 효과의 생체 내 시험에 의한 검증)

    아토피성 피부염의 발증에 대해서 본 발명의 OLS3059와 손색이 없는 억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실시예 2에서 확인된 OLL1073R-1과, 본 발명의 OLS3059를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아토피성 피부염의 발증에 대한 억제 효과를 검토했다.

    본 발명의 OLS3059와 OLL1073R-1과의 조합과 비교하는 대상으로서, 양쪽 모두 불가리아 요구르트(메이지뉴교(주)제)로부터 단리되는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MEP1705601과 Streptococcus thermophilus MEP1705601의 조합을 채용했다.

    마우스 암컷 NC/Nga의 4주령(니혼에스엘시(주)제)를 훈화 사육한 후에 이하의 4군으로 나누었다.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OLL1073R-1과 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로 조제한 발효물의 투여군(이하, OLL1073R-1+OLS3059 투여군이라고도 함.)(n=8)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bulgaricus MEP1705601과 Streptococcus thermophilus MEP1705601로 조제한 발효물의 투여군(이하, LB MEP1705601+ST MEP1705601 투여군이라고도 함.)(n=9)

    미발효물의 투여군(n=9) 및 피부염 비야기 또한 미발효물의 투여군(이하, 비야기군이라고도 함.)(n=4)

    발효물, 미발효물의 섭취량은 모두 100mg/mouse/day로 하고, 시험 종료일까지 연일 경구 투여했다.

    발효물의 균수는 OLL1073R-1에서 1×10 9 cfu/g, OLS3059에서 3×10 9 cfu/g, LB MEP1705601에서 8.6×10 8 cfu/g, ST MEP1705601에서 2.1×10 9 cfu/g이다.

    발효물과 미발효물은 동결 건조한 후에, 투여할 때에 증류수로 현탁하여 조제했다. 피부염의 야기 기간을 29일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실험 조건으로 했다.

    피부염 발증 스코어의 추이를 도 5에 도시했다. 피부염 야기 개시의 14일 후(day 14)의 발증 스코어에 대해, OLL1073R-1+OLS3059 투여군은 LB MEP1705601+ST MEP1705601 투여군이나 미발효물의 투여군과 비교하여 낮았다.

    또 피부염 야기 개시의 14일 후(day 14) 이후에서는, OLL1073R-1+OLS3059 투여군은 LB MEP1705601+ST MEP1705601 투여군이나 미발효물의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발증에 대해서 본 발명의 OLS3059와 손색이 없는 억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실시예 2에서 확인된 OLL1073R-1과, 본 발명의 OLS3059를 조합하여 사용하면 아토피성 피부염의 발증에 대해서 억제 효과가 있는 것이 인정되었다.

    (실시예 4)

    (발효유의 제조예 1)

    생유 50.0kg, 탈지분유 5.0kg, 설탕 8.0kg, 콜라겐 펩티드(상품명:닛피펩타이드, 닛피콜라겐케쇼힌사제) 1.0kg, 세라미드 함유 곤약 감자 엑기스 0.1kg(상품명:곤약 세라미드, 유니티카(주)제), 향료 0.1kg, 물 33.8kg을 온도 65℃에서 혼합 용해시켜 조합유을 작성했다. 이 조합유를 온도 65℃에서 균질화 처리(압력 100kg/cm 2 )한 후에, 온도 95℃에서 2분간 살균 처리하고, 즉시 온도 43~45℃로 냉각했다. 이 살균한 조합유에 유산균 스타터 2.0kg을 첨가하여 용기에 충전한 후에, 온도 43℃에서 4시간 발효시켜 발효유(세트 타입의 요구르트)를 얻었다. 여기서 유산균 스타터로는 불가리아균(Lactobacillus bulgaricus 2038, 불가리아 요구르트 LB81((등록상표) 메이지뉴교(주)제)로부터 단리함.)과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이하, OLS3059라고도 함. 불가리아 요구르트 LB81((등록상표) 메이지뉴교 가부시키가이샤제)로부터 단리함.)의 등량 배양액을 사용했다.

    (실시예 5)

    (발효유 음료의 제조예 1)

    생유 23.0kg, 탈지분유 12.1kg, 물 62.9kg을 온도 70℃에서 혼합 용해하여 조합유를 작성했다. 이 조합유를 온도 65℃에서 균질화 처리(압력 150kg/cm 2 )한 후에, 온도 95℃에서 10분간 살균 처리하고, 즉시 온도 40~45℃로 냉각했다. 이 살균한 조합유에 유산균 스타터 2.0kg을 첨가하여 온도 40~45℃에서 5시간 발효시켜 발효유를 얻었다.

    여기서 유산균 스타터로는 불가리아균(Lactobacillus bulgaricus 2038, 불가리아 요구르트 LB81((등록상표) 메이지뉴교(주)제)로부터 단리함.)과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이하, OLS3059라고도 함. 불가리아 요구르트 LB81((등록상표) 메이지뉴교 가부시키가이샤제)로부터 단리함.)의 등량 배양액을 사용했다.

    이 발효유의 커드를 기계적으로 파괴하기 위해, 균질화 처리(압력 150kg/cm 2 )한 후에, 온도 5℃로 냉각하여 조합 발효유를 얻었다. 한편, 펙틴 3.0kg, 설탕 2.0kg, 감미료 0.02kg, 향료 0.1kg, 물 34.0kg을 온도 65℃에서 혼합 용해하고, 온도 130℃에서 2초간 살균 처리한 후에, 즉시 온도 5℃로 냉각하여 당액을 작성했다.

    조합 발효유와 당액을 소정의 농도로 혼합하여 발효유 음료(드링크 타입의 요구르트)를 얻었다.

    (실시예 6)

    (발효유 음료의 제조예 2)

    생유 23.0kg, 탈지분유 12.1kg, 물 62.9kg을 온도 70℃에서 혼합 용해하여 조합유를 작성했다. 이 조합유를 온도 65℃에서 균질화 처리(압력 150kg/cm 2 )한 후에, 온도 95℃에서 10분간 살균 처리하고, 즉시 온도 40~45℃로 냉각했다. 이 살균한 조합유에 유산균 스타터 2.0kg을 첨가하고 온도 40~45℃에서 5시간 발효시켜 발효유를 얻었다.

    여기서 유산균 스타터로는 불가리아균(Lactobacillus bulgaricus 2038, 불가리아 요구르트 LB81((등록상표) 메이지뉴교(주)제)로부터 단리함.)과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이하, OLS3059라고도 함. 불가리아 요구르트 LB81((등록상표) 메이지뉴교 가부시키가이샤제)로부터 단리함.)의 등량 배양액을 사용했다.

    이 발효유의 커드를 기계적으로 파괴하기 위해, 균질화 처리(압력 150kg/cm 2 )한 후에, 온도 5℃로 냉각하여 조합 발효유를 얻었다. 한편, 펙틴 3.0kg, 설탕 2.0kg, 감미료 0.02kg, 콜라겐 펩티드(상품명:콜라겐 펩티드 5200, 닛타젤라틴사제) 1.0kg, 세라미드 함유 콘 엑기스(상품명:콘 세라미드 ME1-R, 츠지세이유(주)제) 0.03kg, 향료 0.1kg, 물 34.0kg을 온도 65℃에서 혼합 용해하고, 온도 130℃에서 2초간 살균 처리한 후에, 즉시 온도 5℃로 냉각하여 당액을 작성했다.

    조합 발효유와 당액을 소정의 농도로 혼합하여 발효유 음료(드링크 타입의 요구르트)를 얻었다.

    (실시예 7)

    (유음료의 제조예)

    생유 1000mL에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이하, OLS3059라고도 함. 불가리아 요구르트 LB81((등록상표) 메이지뉴교 가부시키가이샤제)로부터 단리함.)의 동결 건조 분말 1g을 첨가하여 조합유를 작성했다. 이 조합유를 균질화 처리한 후에, 온도 130℃에서 3초간 살균 처리하고, 즉시 온도 10℃ 이하로 냉각했다. 이 살균한 조합유를 용기에 충전하여 유음료를 얻었다.

    (실시예 8)

    (피부(살갗) 개선 효과의 사람 시험에 의한 검증)

    상기 서술한 실시예 4의 발효유(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 균체 농도 85×10 7 (10의 7승)cfu/g, 콜라겐 펩티드 1000mg/90g, 세라미드 300μg/90g)를 시험식으로 하고, 섭취량 90g/회, 섭취 빈도 2회/일(아침과 밤의 1회씩)로 하여 28일간 사람 시험을 행했다. 여성 31명(평균 연령 31.8세)을 피험자로 했다.

    개시일(시험식 섭취 전)과 종료일(28일째)에 피험자의 피부(살갗)의 탄력성과 살결 밀도의 평가·관찰을 행하고, 그것에 더해 의사에 의한 피진의 관찰을 행했다. 또한 살갗의 탄력성은 뺨의 좌우로부터 일방을 선택하여 1개소를 2회 측정했다(상품명:CUTOMETER SEM575, Courage+Khazaka제). 살갗의 살결 밀도는 살갗이 거칠어진 부위를 선택하여 1개소를 측정했다(상품명:Visual Imager VI-20 가부시키가이샤 인포워드제). 총 피진수는 피진을 세어 평가했다.

    개시일(시험식 섭취 전)과 종료일(28일째)에 피험자 본인에 대한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했다. 앙케이트의 내용을 표 1에 나타냈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윤기, [2] 생기, [3] 그을림, [4] 검버섯, [5] 처짐, [6] 모공, [7] 살결, [8] 주름(이마), [9] 주름(입가), [10] 주름(눈가), [11] 건조 상태, [12] 끈적임, [13] 투명감, [14] 붉은 기, [15] 파운데이션의 발림 정도, [16] 부종, [17] 변비, [18] 다크서클의 18항목에 대해 5단계로 평가했다. 그리고 종료일에 피험자 본인과 의사가 시험식의 유용성을 평가했다.

    [표 1]

    실시예 5의 시험식을 섭취했을 때의 피부(살갗)의 탄력성을 평가한 결과를 도 6에 도시했다. 실시예 5의 시험식을 섭취함으로써 살갗의 탄력성은 유의하게 증가하여 살갗의 생기가 개선되었다. 실시예 5의 시험식을 섭취했을 때의 살갗의 살결 밀도를 평가한 결과를 도 7에 도시했다. 실시예 5의 시험식을 섭취함으로써 살갗의 살결 밀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여 살갗의 살결이 개선되었다. 실시예 5의 시험식을 섭취했을 때의 총 피진수를 평가한 결과를 도 8에 도시했다. 실시예 5의 시험식을 섭취함으로써 총 피진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여 살갗이 거칠어지는 것이 개선되었다.

    피험자 본인에 대한 앙케이트 조사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시험식을 섭취함으로써 피험자의 살갗 상태, 변비가 개선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피험자 본인과 의사가 시험식의 유용성을 평가한 결과를 도 9에 도시했다. 시험식을 섭취하는 것이 살갗에 유용하다는 것이 피험자 본인 또는 의사에 의해 인정되었다.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의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실증되어, 서모필러스균 OLS3059(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가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를 발휘시키는 용도에 적합한 것이 확인되었다.

    [표 2]

    (실시예 9)

    (정장 개선 효과와 피부 개선 효과와의 관계의 사람 시험에 의한 검증)

    상기 서술한 실시예 5의 발효유(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 균체 농도 50×10 7 (10의 7승)cfu/g) 및 실시예 6의 발효유(Streptococcus thermophilus OLS3059, 균체 농도 50×10 7 (10의 7승)cfu/g, 콜라겐 펩티드 1000mg/120ml, 세라미드 300μg/120ml)를 시험식으로 하고, 섭취량 120ml/회, 섭취 빈도 2회/일(아침과 밤의 1회씩)로 하여 28일간 사람 시험을 행했다. 실시예 5의 발효유 음료에서는 여성 28명(평균 연령 31.1세)을, 실시예 6의 발효유 음료에서는 여성 28명(평균 연령 30.3세)을 피험자로 했다.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피험자 본인에 대한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했다. 앙케이트의 내용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피험자 본인에 대한 앙케이트 조사의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냈다. 시험식을 섭취함으로써 피험자의 살갗 상태, 변비가 개선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표 1의 [1] 윤기, [2] 생기, [7] 살결, [11] 건조 상태, [15] 파운데이션의 발림 정도, [17] 변비의 6항목에 대해, 실시예 6의 시험식(콜라겐 펩티드와 세라미드를 포함함.)에서, 실시예 5의 시험식보다 특히 우수한 효과가 있었다.

    [표 3]

    정장(변통) 스코어의 추이를 표 4에 나타냈다. 스코어화는 「1. 변비가 아님」, 「2. 그다지 변비는 아님」, 「3. 어느쪽이라고도 할 수 없음」, 「4. 약간 변비임」, 「5. 변비임」의 5 단계로 행하고, 각 피험자에 있어서의 시험식의 섭취 전과 섭취 후의 차를 산출하여 평가했다. 예를 들어, 시험식의 섭취 전에 「5. 변비임」이었던 피험자가 섭취 후에 「3. 어느쪽이라고도 할 수 없음」이 된 경우에는 「정장이 「2 이상」개선됨」이라고 해석했다.

    [표 4]

    실시예 5 및 6의 시험식을 섭취했을 때의 피부(살갗)의 탄력성을 평가한 결과를 도 10~12에 도시했다. 도 10은 「정장이 「1 이상」 개선된」 피험자, 도 11은 「정장이 「2 이상」 개선된」 피험자, 도 12는 「정장이 「3 이상」 개선된」피험자의 살갗의 탄력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정장(변통) 개선 효과가 높았던 사람에 대해서, 피부 개선 효과가 높은 것이 실증되었다. 이 경향은 실시예 6의 시험식(콜라겐 펩티드와 세라미드를 포함함.)에서, 실시예 5의 시험식보다 특히 우수한 효과가 있었다. 실시예 5 및 6의 시험식을 섭취함으로써 살갗의 탄력성은 증가하여 살갗의 생기가 개선되었다.

    실시예 5 및 6의 시험식을 섭취했을 때의 살갗의 살결 밀도를 평가한 결과를 도 13~15에 도시했다. 도 13은 「정장이 「1 이상」 개선된」 피험자, 도 14는 「정장이 「2 이상」 개선된」 피험자, 도 15는 「정장이 「3 이상」 개선된」 피험자의 살갗의 살결 밀도를 평가한 결과이다. 정장(변통) 개선 효과가 높았던 사람에 대해서, 피부 개선 효과가 높은 것이 실증되었다. 이 경향은 실시예 4의 시험식(콜라겐 펩티드와 세라미드를 포함함.)에서, 실시예 5의 시험식보다 특히 우수한 효과가 있었다. 실시예 5 및 6의 시험식을 섭취함으로써 살갗의 살결 밀도는 증가하여 살갗의 살결이 개선되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물 유래로 안전성이 높고, 또한 피부(살갗)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으며, 제조 특성이 좋은 유산균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발효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장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았던 사람에 대해서, 피부 개선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유를 제공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