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

申请号 KR1020137011198 申请日 2010-12-24 公开(公告)号 KR101578589B1 公开(公告)日 2015-12-17
申请人 시시아 드래곤 인투 스페셜 머티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发明人 주슈청;
摘要 비전기슬래그재용융식청정금속잉곳몰드는잉곳몰드본체(13) 및잉곳몰드본체(13) 상에설치된보온캡(9)을포함한다. 잉곳몰드내에는수직방향으로격리보온기구(8)가설치되며, 격리보온기구(8)는잉곳몰드내의공간을복수개의독립유닛(14)으로구획하며, 독립유닛(14)은두 줄로분포된다. 액상금속의결정과정에대부분의개재물및 편석물은모두액상금속내의격리보온기구와접촉하는부분에밀집되며, 이로인해화염또는기타가공방법을이용하여개재물및 편석물을용이하게제거하여청정강철주괴를얻을수 있다.
权利要求
  • 베드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잉곳몰드 본체 및 잉곳몰드 본체에 설치되는 보온 캡을 포함하고, 잉곳몰드 본체 내의 공간을 복수개의 독립된 몰드 챔버 유닛으로 구획하며, 상기 몰드 챔버 유닛은 잉곳몰드 본체 내에 두 줄로 분포되는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로서,
    상기 잉곳몰드 본체 내에 수직 방향으로 격리 발열 보온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몰드 챔버 유닛을 두 줄로 나누는 격리 발열 보온기구의 하부에 잉곳몰드의 저부 몰드 플레이트와 일체로 된 돌출 리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의 하부에 잉곳몰드의 저면 몰드 플레이트와 일체로 된 돌출 리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잉곳몰드 본체는 수냉 잉곳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잉곳몰드 본체는 통상의 잉곳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곳몰드 본체의 외주방향 몰드 플레이트는 액압기구 또는 리드 스크류-너트를 통하여 잉곳몰드 본체 외부에 설치된 프레임과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는 고온내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는 고온내열판 및 고온내열판 내부에 설치된 강가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잉곳몰드 본체에 주조 시스템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잉곳몰드 본체의 내벽에는 격리 발열 보온기구와 함께 사용되는 그루브가 설치되고,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의 양단은 그루브 내에 설치되며, 상기 보온 캡의 내벽에는 상부 그루브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그루브와 격리 발열 보온기구의 연결부분은 스냅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
  • 说明书全文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NON-ELECTROSLAG RE-MELTING TYPE CLEAN METAL INGOT MOLD}

    본 발명은 야금 주조장치 기술분야에 속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에 관한 것이다.

    공지기술에 있어서, 청정 강철 생산의 실현에 전기 슬래그 재용융 기술을 사용하는데, 구리로 제조된 수냉 결정기 내에 용융된 슬래그를 담고 소모성 전극의 일단을 용융 슬래그 내에 삽입시킨다. 소모성 전극, 슬래그 푸울(pool), 금속 용융 푸울, 강괴, 저부 물탱크는 버스바(busbar) 리드선(lead wire)과 변압기를 통하여 회로를 형성한다. 통전하는 과정에 슬래그 푸울은 주울열(Joule heat)을 방출하여 소모성 전극의 단부 헤드를 점차적으로 용융시키며, 용융된 금속은 액체 방울로 합류되어 슬래그 푸울을 통과함으로써 결정기에 진입하여 금속 용융 푸울을 형성하며, 수냉 작용에 따라 신속히 응고되어 강괴를 형성한다. 전극 단부 헤드 액체 방울의 형성 단계 및 액체 방울의 슬래그 푸울 통과 낙하단계에서 강철-슬래그는 충분히 접촉하며 강철 속의 비금속 개재물은 도가니로의 슬래그에 흡수된다.

    강철 속의 유해원소(황, 납, 안티몬, 비스무트, 주석)는 강철-슬래그 반응 및 고온기화를 통해 비교적 효과적으로 제거되지만 강괴에 대한 재용융은 대량의 전기 에너지를 소모하며 또한 대규모 산업화 생산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슬래그에 대량의 불화칼슘이 함유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므로 반드시 집진 및 불소 제거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효율이 특별히 낮고 특히 생성된 전기 아크의 결정기에 대한 상해가 아주 심각하며, 하나의 결정기 주조 몰드는 전기 슬래그 도가니로 재용융 방법을 이용하여 단지 몇십여개의 도가니로의 강철밖에 제련하지 못하므로 생산 원가가 높아진다. 또한 통상의 주조방법은 청정 효과에 도달하지 못한다.

    종래기술에 존재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를 절약하고 오염물 배출을 감소시키며 생산효율이 높고 사용 수명이 긴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면 회전로, 전기로, LF로, VD로에서 제련해낸 쇳물을 상기 장치 내에 직접 주입 가능하고 청정강 주괴를 얻을 수 있으며, 에너지 소모를 대폭 줄이고 생산효율을 대폭 향상시키며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다.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는 베드 플레이트(bed plate)에 설치되며, 잉곳몰드 본체 및 잉곳몰드 본체에 설치된 보온 캡(cap)을 포함하며, 상기 잉곳몰드 본체 내에는 수직 방향으로 격리 발열 보온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는 잉곳몰드 본체내의 공간을 복수개의 독립된 몰드 챔버 유닛으로 구획하며, 상기 몰드 챔버 유닛은 잉곳몰드 본체 내에 두 줄로 분포된다.

    상기 복수개의 몰드 챔버 유닛을 두 줄로 나누는 격리 발열 보온기구의 하부에는 잉곳몰드의 저부 몰드 플레이트와 일체로 된 돌출 리지(ridge)가 설치된다.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의 하부에는 잉곳몰드의 저면 몰드 플레이트와 일체로 된 돌출 리지가 설치된다.

    상기 잉곳몰드 본체는 수냉 잉곳몰드이다.

    상기 잉곳몰드 본체는 통상의 잉곳몰드이다.

    상기 잉곳몰드 본체의 외주방향 몰드 플레이트는 액압기구 또는 리드 스크류-너트를 통하여 잉곳몰드 본체 외부에 설치된 프레임과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는 고온내열판이다.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는 고온내열판 및 고온내열판 내부에 설치된 강가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잉곳몰드 본체에는 주조 시스템이 설치된다.

    상기 주조 시스템은 프레임의 외부에 설치된 직선 탕도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 탕도는 베드 플레이트 내에 설치된 횡방향 탕도와 연통되며, 상기 횡방향 탕도는 복수개의 내부 탕도를 통하여 잉곳몰드 본체 내부의 복수개의 독립된 몰드 챔버 유닛과 각각 연통된다.

    상기 주조 시스템은 프레임의 외부에 설치된 직선 탕도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 탕도는 저면 몰드 플레이트 내에 설치된 횡방향 탕도와 연통되며, 상기 횡방향 탕도는 복수개의 내부 탕도를 통하여 잉곳몰드 본체 내부의 복수개의 독립된 몰드 챔버 유닛과 각각 연통된다.

    상기 잉곳몰드 본체의 내벽에는 격리 발열 보온기구와 함께 사용되는 그루브(groove)가 설치되고,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의 양단은 그루브 내에 설치되며, 상기 보온 캡의 내벽에는 상부 그루브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그루브와 격리 발열 보온기구의 연결부분은 스냅 연결(snap fit)된다.

    본 발명은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의 방식으로 잉곳몰드 본체 내에 격리 발열 보온기구를 설치하고, 격리 발열 보온기구는 잉곳몰드 본체내의 공간을 복수개의 독립된 몰드 챔버 유닛으로 구획하며, 상기 몰드 챔버 유닛은 잉곳몰드 본체내에 두 줄로 분포되고, 액상 금속의 응고 결정되는 과정 중 각 독립된 몰드 챔버 유닛은 모두 신속히 외부로 열을 전달하는 응고 시작면, 즉 외주방향 몰드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면을 구비하며, 또한 격리 발열 보온기구와 접촉하는 응고 정지면을 구비하고, 수냉 몰드 플레이트 또는 기타 몰드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액상 금속은 신속히 응고되면서 격리 발열 보온기구의 방향으로 천천히 결정화되며, 결정 응고되어 결정체를 형성하는 과정 중 액상 금속내의 개재물 및 편석물을 결정화되지 않은 방향으로 밀어내고, 격� �� 발열 보온기구에 근접한 부분은 저온과 멀리 떨어져 최후에 응고되며, 액상 금속 내 대부분의 개재물 및 편석물은 액상 금속의 정향 응고 후 마지막으로 격리 발열 보온기구와 접촉하는 부분에 밀집되고, 이는 화염 또는 기타 가공방법을 이용하여, 밀집된 합금 편석물, 개재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주괴 내부의 편석물, 개재물의 전이 및 제거를 실현하여 주괴를 정화하는 목적에 도달한다. 종래의 전기 슬래그 재용융 기술에 대비하여 2차 용융 없이 금속 내부의 정화를 실현하기 때문에 대량의 에너지를 절감하고 동시에 전기 슬래그 재용융이 주괴에대해 수소 화이트 스팟(white spot)을 형성하는 위험을 방지하며 생산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키고 원가를 현저히 낮춘다.

    격리 발열 보온기구의 하부에 잉곳몰드의 저부 몰드 플레이트와 일체로 된 돌출 리지를 설치하여, 잉곳몰드 내의 액상 금속의 결정 과정 중 생성되는 “V”형 불순물 구역을 보온 캡 소재 구역까지 위로 전이시킴으로써 불순물이 주괴 중심에서 더 이탈되고 더 집중되도록 하여 후기의 불순물 처리를 편리하게 함으로써 금속에 대한 청정을 실현한다.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 내에 강가열부재를 설치하여 잉곳몰드에 액상 금속을 주입하기 전 미리 승온시킬 수 있어 금속 용융액 열량에 대한 흡수를 방지하며, 또한 액상 금속의 정향 응고 과정 중 격리 발열 보온기구의 존재는 그것과 접촉하는 부분이 항상 고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장하여, 액상 금속 내의 대부분의 개재물과 편석물이 액상 금속의 정향 응고 후 더 집중적으로 격리 발열 보온기구와 접촉하는 구역에 밀집되도록 하므로 더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주조 시스템은 잉곳몰드의 저부와 연통되어 액상 금속의 유속을 더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내부 탕도는 잉곳몰드 본체 내부의 복수개의 독립 부분과 각각 연통되므로, 각 독립 부분의 액상 금속의 상승 높이를 기본적으로 수평이 되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몰드 챔버 내의 액상 금속의 격리 발열 보온기구에 대한 압력 평형을 확보한다. 상기 수냉 몰드 플레이트와 보온 캡의 내벽에 격리 발열 보온기구와 함께 사용하는 그루브를 설치하여 격리 발열 보온기구의 직립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다른 한 편으로 보온 캡의 상부 그루브와 격리 발열 보온기구의 경사진 스냅 연결은 격리 발열 보온기구가 액상 금속의 응고 과정 중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며, 보온 캡의 중력이 격리 발열 보온기구를 눌러 부상(float)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주조 과정 중 격리 발열 보온기구의 안정과 신뢰를 확보하여 주괴의 형상을 보장한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두 줄로 된 복수개의 몰드 챔버 유닛을 설치할 수 있어 한번의 주조에 한번 탕구를 세정함으로써 여러 개 심지어 수십개의 금속괴의 청정 결정 응고를 실현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대폭 향상시키고 생산원가를 낮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2는 도1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잉곳몰드 본체 부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잉곳몰드 본체 부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잉곳몰드 본체 부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잉곳몰드 본체 부분의 액상 금속 정향 결정방향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방식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는 베드 플레이트(1) 상에 설치되고, 통상의 몰드 플레이트로 형성된 잉곳몰드 본체(13) 및 잉곳몰드 본체(13) 상에 설치된 보온 캡(9)을 포함하며, 상기 잉곳몰드 본체(13)에는 주조 시스템이 설치되고, 상기 잉곳몰드 본체(13) 내에는 수직방향으로 격리 발열 보온기구(8)가 설치되며,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8)는 잉곳몰드 본체(13)내의 공간을 두 개의 독립된 몰드 챔버 유닛(14)으로 구획하며, 상기 몰드 챔버 유닛(14)은 잉곳몰드 본체(13) 내에 두 줄로 분포된다. 상기 잉곳몰드 본체(13)는 네 개의 직립형 몰드 플레이트와 하나의 저면 몰드 플레이트(2)로 형성되며, 상기 직립형 몰드 플레이트는 액압 기구(7) 또는 리드 스크류(lead screw)-너트(nut)를 통하여 잉곳몰드 본체(13) 외부에 설치된 프레임(6)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8)는 고온내열판이다.

    상기 주조 시스템은 잉곳몰드 본체(13)의 저부와 연통되며, 프레임(6)의 외부에 설치된 직선 탕도(3)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 탕도(3)는 베드 플레이트(1) 내에 설치된 횡방향 탕도(4)와 연통되며, 상기 횡방향 탕도(4)는 두 개의 내부 탕도(5)를 통하여 잉곳몰드 본체(13) 내부의 두 개의 독립된 몰드 챔버 유닛(14)과 각각 연통된다. 상기 잉곳몰드 본체(13)의 내벽에는 격리 발열 보온기구(8)와 함께 사용되는 그루브(10)가 설치되고,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8)의 양단은 그루브(10) 내에 설치되며, 상기 보온 캡(9)의 내벽에는 상부 그루브(11)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그루브(11)와 격리 발열 보온기구(8)의 연결부분은 스냅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방식

    실시예 1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는 베드 플레이트(1) 상에 설치되고, 통상의 몰드 플레이트로 형성된 잉곳몰드 본체(13) 및 잉곳몰드 본체(13) 상에 설치된 보온 캡(9)을 포함하며, 상기 잉곳몰드 본체(13)에는 주조 시스템이 설치되고, 상기 잉곳몰드 본체(13) 내에는 수직 방향으로 격리 발열 보온기구(8)가 설치되며,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8)는 잉곳몰드 본체(13) 내의 공간을 두 개의 독립된 몰드 챔버 유닛(14)으로 구획하며, 상기 몰드 챔버 유닛(14)은 잉곳몰드 본체(13) 내에 두 줄로 분포된다. 상기 잉곳몰드 본체(13)는 네 개의 직립형 몰드 플레이트와 하나의 저면 몰드 플레이트(2)로 형성되며, 상기 직립형 몰드 플레이트는 액압기구(7) 또는 리드 스크류-너트를 통하여 잉곳몰드 본체(13) 외부에 설치된 프레임(6)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8)는 고온내열판이다.

    상기 주조 시스템은 잉곳몰드 본체(13)의 저부와 연통되며, 프레임(6)의 외부에 설치된 직선 탕도(3)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 탕도(3)는 베드 플레이트(1) 내에 설치된 횡방향 탕도(4)와 연통되며, 상기 횡방향 탕도(4)는 두 개의 내부 탕도(5)를 통하여 잉곳몰드 본체(13) 내부의 두 개의 독립된 몰드 챔버 유닛(14)과 각각 연통된다. 상기 잉곳몰드 본체(13)의 내벽에는 격리 발열 보온기구(8)와 함께 사용되는 그루브(10)가 설치되고,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8)의 양단은 그루브(10) 내에 설치되며, 상기 보온 캡(9)의 내벽에는 상부 그루브(11)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그루브(11)와 격리 발열 보온기구(8)의 연결부분은 스냅 연결된다.

    실시예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는 수냉 몰드 플레이트로 형성된 잉곳몰드 본체(13) 및 잉곳몰드 본체(13) 상에 설치된 보온 캡(9)을 포함하며, 상기 잉곳몰드 본체(13)에는 주조 시스템이 설치되고, 상기 잉곳몰드 본체(13) 내에는 수직방향으로 격리 발열 보온기구(8)가 설치되며,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8)는 고온내열판 및 고온내열판 내부에 설치된 강가열부재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면 전압 가열부재 또는 가스 가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8)는 잉곳몰드 본체(13) 내의 공간을 두 개의 독립된 몰드 챔버 유닛(14)으로 구획하고, 상기 몰드 챔버 유닛(14)은 잉곳몰드 본체(13) 내에 두 줄로 분포된다. 상기 잉곳몰드 본체(13)는 네 개의 직립형 수냉 몰드 플레이트와 하나의 수냉 저면 몰드 플레이트(2)로 형성되며, 상기 직립형 수냉 몰드 플레이트는 액압기구(7) 또는 리드 스크류-너트를 통하여 잉곳몰드 본체(13) 외부에 설치된 프레임(6)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복수개의 몰드 챔버 유닛을 두 줄로 나누는 격리 발열 보온기구(8)의 하부에는 잉곳몰드의 저면 몰드 플레이트와 일체로 된 돌출 리지(18)가 설치된다.

    상기 주조 시스템은 잉곳몰드 본체(13)의 저부와 연통되며, 프레임의 외부에 설치된 직선 탕도(3)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 탕도(3)는 저면 몰드 플레이트(2) 내에 설치된 횡방향 탕도(4)와 연통되며, 상기 횡방향 탕도(4)는 두 개의 내부 탕도(5)를 통하여 잉곳몰드 본체(13) 내부의 두 개의 독립된 몰드 챔버 유닛(14)과 각각 연통된다. 상기 잉곳몰드 본체(13)의 내벽에는 격리 발열 보온기구(8)와 함께 사용되는 그루브(10)가 설치되고,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8)의 양단은 그루브(10) 내에 설치되며, 상기 보온 캡(9)의 내벽에는 상부 그루브(11)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그루브(11)와 격리 발열 보온기구(8)의 연결부분은 스냅 연결된다.

    실시예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는 베드 플레이트(1) 상에 설치되고, 수냉 몰드 플레이트로 형성된 잉곳몰드 본체(13) 및 잉곳몰드 본체(13) 상에 설치된 보온 캡(9)을 포함하며, 상기 잉곳몰드 본체(13)에는 주조 시스템이 설치되고, 상기 잉곳몰드 본체(13) 내에는 수직방향으로 격리 발열 보온기구(8)가 설치되며,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8)는 고온내열판 및 고온내열판 내부에 설치된 강가열부재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면 전압 가열부재 또는 가스 가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가로세로 교차하는 격리 발열 보온기구(8)는 잉곳몰드 본체(13) 내의 공간을 네 개의 독립된 몰드 챔버 유닛(14)으로 구획하며, 상기 몰드 챔버 유닛(14)은 잉곳몰드 본체(13)내에 두 줄로 분포된다. 상기 잉곳몰드 본체(13)는 네 개의 직립형 수냉 몰드 플레이트와 하나의 수냉 저면 몰드 플레이트(2)로 형성되며, 상기 직립형 수냉 몰드 플레이트는 액압 기구(7) 또는 리드 스크류-너트를 통하여 잉곳몰드 본체(13) 외부에 설치된 프레임(6)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8)의 하부에는 잉곳몰드의 저면 몰드 플레이트와 일체로 된 돌출 리지(18)가 설치된다.

    상기 주조 시스템은 잉곳몰드 본체(13)의 저부와 연통되며, 프레임의 외부에 설치된 직선 탕도(3)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 탕도(3)는 저면 몰드 플레이트(2) 내에 설치된 횡방향 탕도(4)와 연통되며, 상기 횡방향 탕도(4)는 네 개의 내부 탕도(5)를 통하여 잉곳몰드 본체(13) 내부의 네 개의 독립된 몰드 챔버 유닛(14)과 각각 연통된다. 상기 잉곳몰드 본체(13)의 내벽에는 격리 발열 보온기구(8)와 함께 사용되는 그루브(10)가 설치되고,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8)의 양단은 그루브(10)내에 설치되며, 상기 보온 캡(9)의 내벽에는 상부 그루브(11)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그루브(11)와 격리 발열 보온기구(8)의 연결부분은 스냅 연결된다.

    실시예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는 베드 플레이트(1) 상에 설치되고, 수냉 몰드 플레이트로 형성된 잉곳몰드 본체(13) 및 잉곳몰드 본체(13) 상에 설치된 보온 캡(9)을 포함하며, 상기 잉곳몰드 본체(13)에는 주조 시스템이 설치되고, 상기 잉곳몰드 본체(13) 내에는 수직방향으로 격리 발열 보온기구(8)가 설치되며,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8)는 고온내열판 및 고온내열판 내부에 설치된 강가열부재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면 전압 가열부재 또는 가스 가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횡방향 일렬 종방향 사열로 교차 설치된 격리 발열 보온기구(8)는 잉곳몰드 본체(13) 내의 공간을 열 개의 독립된 몰드 챔버 유닛(14)으로 구획하며, 상기 몰드 챔버 유닛(14)은 잉곳몰드 본체(13) 내에 두 줄로 분포된다. 상기 잉곳몰드 본체(13)는 네 개의 직립형 수냉 몰드 플레이트와 하나의 수냉 저면 몰드 플레이트(2)로 형성되며, 상기 직립형 수냉 몰드 플레이트는 액압 기구(7) 또는 리드 스크류-너트를 통하여 잉곳몰드 본체(13) 외부에 설치된 프레임(6)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복수개의 몰드 챔버 유닛을 두 줄로 나누는 격리 발열 보온기구(8)의 하부에는 잉곳몰드의 저면 몰드 플레이트와 일체로 된 돌출 리지(18)가 설치된다.

    상기 주조 시스템은 잉곳몰드 본체(13)의 저부와 연통하고, 프레임의 외부에 설치된 직선 탕도(3)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 탕도(3)는 저면 몰드 플레이트(2) 내에 설치된 횡방향 탕도(4)와 연통되고, 상기 횡방향 탕도(4)는 열 개의 내부 탕도(5)를 통하여 잉곳몰드 본체(13) 내부의 열 개의 독립된 몰드 챔버 유닛(14)과 각각 연통된다. 상기 잉곳몰드 본체(13)의 내벽에는 격리 발열 보온기구(8)와 함께 사용되는 그루브(10)가 설치되고,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8)의 양단은 그루브(10) 내에 설치되며, 상기 보온 캡(9)의 내벽에는 상부 그루브(11)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그루브(11)와 격리 발열 보온기구(8)의 연결부분은 스냅 연결된다.

    실시예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전기 슬래그 재용융식 청정 금속 잉곳몰드는 베드 플레이트(1) 상에 설치되고, 수냉 몰드 플레이트로 형성된 잉곳몰드 본체(13) 및 잉곳몰드 본체(13) 상에 설치된 보온 캡(9)을 포함하며, 상기 잉곳몰드 본체(13)에는 주조 시스템이 설치되고, 상기 잉곳몰드 본체(13) 내에는 수직방향으로 격리 발열 보온기구(8)가 설치되며, 상기 횡방향 일렬 종방향 이열로 교차 설치된 격리 발열 보온기구(8)는 잉곳몰드 본체(13) 내의 공간을 여섯 개의 독립된 몰드 챔버 유닛(14)으로 구획하며, 상기 몰드 챔버 유닛(14)은 잉곳몰드 본체(13) 내에 두 줄로 분포된다. 상기 잉곳몰드 본체(13)는 직립형 수냉 몰드 플레이트와 하나의 수냉 저면 몰드 플레이트(2)로 형성되며, 상기 직립형 수냉 몰드 플레이트는 액압 기구(7) 또는 리드 스크류-너트를 통하여 잉곳몰드 본체(13) 외부에 설치된 프레임(6)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복수개의 몰드 챔버 유닛을 두 줄로 나누는 격리 발열 보온기구(8)의 하부에는 잉곳몰드의 저면 몰드 플레이트와 일체로 된 돌출 리지(18)가 설치된다. 상기 주조 시스템은 잉곳몰드 본체(13)의 저부와 연통되며, 프레임의 외부에 설치된 직선 탕도(3)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 탕도(3)는 저면 몰드 플레이트(2) 내에 설치된 횡방향 탕도(4)와 연통되며, 상기 횡방향 탕도(4)는 여섯 개의 내부 탕도(5)를 통하여 잉곳몰드 본체(13) 내부의 여섯 개의 독립된 몰드 챔버 유닛(14)과 각각 연통된다. 상기 잉곳몰드 본체(13)의 내벽에는 격리 발열 보온기구(8)와 함께 사용되는 그루브(10)가 설치되고, 상기 격리 발열 보온기구(8)의 양단은 그루브(10) 내에 설치되며, 상기 보온 캡(9)의 내벽에는 상부 그루브(11)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그루브(11)와 격리 발열 보온기구(8)의 연결부분은 스냅 연결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곳몰드 본체(13) 상의 수냉 몰드 플레이트가 대량의 열을 가져가므로 액상 금속이 잉곳몰드 내에서 신속히 냉각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고, 각 독립된 몰드 챔버 유닛(14)은 모두 신속히 외부로 열을 전달하는 응고 시작면(16)을 구비하며, 또한 격리 발열 보온기구(8)와 접촉하는 응고 정지면(17)을 구비하며, 수냉 몰드 플레이트와 열접촉되는 액상 금속은 신속히 응고되고, 응고 시작면(16)으로부터 도면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격리 발열 보온기구(8)의 방향으로 천천히 결정화되며, 결정 응고되어 결정체를 형성하는 과정 중 액상 금속 내의 개재물 및 편석물을 결정화되지 않은 방향으로 밀어내며, 격리 발열 보온기구(8)에 근접한 부분인 응고 정지면(17)은 저온과 멀리 떨어져 있기에 최후에 응고되고, 액상 금속 내 대부분의 개재� � 및 편석물은 액상 금속의 정향 응고 후 마지막으로 격리 발열 보온기구와 접촉되는 응고 정지면(17)의 근처에 밀집되어 불순물 밀집구역(15)을 형성하며, 화염 또는 기타 가공방법을 이용하여 불순물 밀집구역(15) 내에 밀집된 합금 편석물, 개재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따라서 주괴 내부의 편석물, 개재물의 전이 및 제거를 실현하여 주괴를 정화하는 목적에 도달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잉곳몰드 내에 격리 발열 보온기구가 설치되고 격리 발열 보온기구가 잉곳몰드 본체 내의 공간을 복수개의 독립된 몰드 챔버 유닛으로 구획하며 상기 몰드 챔버 유닛이 잉곳몰드 본체 내에서 두 줄로 배치되는 구조라면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의 잉곳몰드, 수냉 잉곳몰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결정기 잉곳몰드에도 적용된다.

    산업 실용성

    본 발명의 기술방안은 산업상 제조 또는 사용 가능하며, 산업 실용성을 구비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