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어링 조립체 생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생산된 베어링 조립체를 구비한 차량 시트용 피팅

申请号 KR1020147005068 申请日 2012-07-02 公开(公告)号 KR1020140037970A 公开(公告)日 2014-03-27
申请人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发明人 레플라,미하엘;
摘要 본 발명은 차량용, 특히 차량 시트용 베어링 조립체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베어링 조립체는 제1 베어링 요소(12) 및 이동 방향(r)으로 제1 베어링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2 베어링 요소(16)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베어링 요소(12)는 먼저, 이동 방향(r)에 수직인 유극 방향(p)으로 규정되지 않은 큰 유극을 두고 상기 제2 베어링 요소(16)를 수용하고, 이어서 제1 베어링 요소(12) 및/또는 제2 베어링 요소(16)는 제1 베어링 요소(12) 및 제2 베어링 요소(16)가 유극 방향(p)으로 유극 없이 서로 접촉할 때까지, 스탬핑 방향(x)으로 가압됨으로써 소성 변형되며, 제1 베어링 요소(12)에 의해 제2 베어링 요소(16)가 수용된 후 그리고 상기 소성 변형 전에, 상기 제1 베어링 요소(12)가 유극의 감소하에서 탄성 변형하며, 탄성 변형은 제1 베어링 요소(12)와 제2 베어링 요소(16) 사이에 규정된 헐거운 끼워맞춤(clearance fit)이 형성되도록, 상기 소성 변형 후에 반전된다.
权利要求
  • 베어링 조립체는 제1 베어링 요소(12) 및 이동 방향(r)으로 제1 베어링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2 베어링 요소(16)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베어링 요소(12)는 초기에, 이동 방향(r)에 수직인 유극 방향(p)으로 규정되지 않은 큰 유극을 두고 상기 제2 베어링 요소(16)를 수용하고, 이어서 제1 베어링 요소(12) 및/또는 제2 베어링 요소(16)는 제1 베어링 요소(12) 및 제2 베어링 요소(16)가 유극 방향(p)으로 유극 없이 서로 맞닿아 지지될 때까지, 스탬핑 방향(x)으로의 작용을 받음으로써 소성 변형되는, 차량용, 특히 차량 시트용 베어링 조립체를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베어링 요소(12)에 의해 제2 베어링 요소(16)가 수용된 후 그리고 상기 소성 변형 전에, 상기 제1 베어링 요소(12)가 탄성 변형하여 유극이 감소되며, 상기 탄성 변형은 제1 베어링 요소(12)와 제2 베어링 요소(16) 사이에 규정된 헐거운 끼워맞춤(clearance fit)이 형성되도록, 상기 소성 변형 후에 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어링 조립체 생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의 경우에, 제1 베어링 요소(12)는 지지부(H) 상에 배치되고, 이동 방향(r) 및 유극 방향(p)에 특히 수직으로 배향되는 스탬핑 방향(x)으로 스탬프(S)에 의해 작용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어링 조립체 생산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H)는 오목하게 또는 볼록하게 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어링 조립체 생산 방법.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H) 상에 배치되는 제1 베어링 요소(12)는 초기에, 상기 지지부(H)에 대해 간격을 두고 그리고/또는 선형으로 지지되고, 상기 스탬프(S)에 의한 작용에 의해 상기 지지부(H)에 맞닿아 평탄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어링 조립체 생산 방법.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S)는 상기 제1 베어링 요소(12)의 탄성 변형 후에 소성 변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어링 조립체 생산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S)는 변위 지점(14d)에서 제1 베어링 요소(12) 및/또는 제2 베어링 요소(16)의 재료를 변위시키고, 이에 의해 상기 변위 지점(14d) 근처에, 유극 방향(p)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돌출부(14p)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어링 조립체 생산 방법.
  • 적어도 하나의 로킹 바아(16)에 의해 함께 로킹될 수 있고, 축선(A)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제1 피팅부(11) 및 제2 피팅부(12)를 구비하는 차량 시트용, 특히 자동차 시트용 피팅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생산된 베어링 조립체가 2개의 베어링 요소로서의 2개의 피팅부(11, 12) 및/또는 제1 베어링 요소로서의 제2 피팅부(12) 및 제2 베어링 요소로서의 적어도 하나의 로킹 바아(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 제7항에 있어서,
    안내 세그먼트(14)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킹 바아(16)를 이들 사이에서 이동 방향(r)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며, 상기 안내 세그먼트(14)들 사이의 유효 채널 폭(c)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킹 바아(16)의 로킹 바아 폭(b)이 유극 방향(p)으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채널 폭(c)은 유극 방향(p)으로의 규정된 헐거운 끼워맞춤만큼 상기 로킹 바아 폭(b)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세그먼트(14)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킹 바아(16)는 복수의 변위 지점(14d)에 돌출부(14p)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소성 변형으로 인해 상기 변위 지점(14d)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극 방향(p)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 说明书全文

    베어링 조립체 생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생산된 베어링 조립체를 구비한 차량 시트용 피팅 {METHOD FOR PRODUCING A BEARING ASSEMBLY AND FITTING FOR A VEHICLE SEAT HAVING A BEARING ASSEMBLY PRODUCED ACCORDING TO SAID METHOD}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의 특징을 갖는 베어링 조립체 생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생산된 베어링 조립체를 구비한 차량 시트용 피팅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베어링 조립체에 있어서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을 생성하는 것은 낮은 제작 공차가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종종 복잡한 제조 방법만이 사용되거나, 공차 그룹으로의 선별 및 분류가 행해져야 하는데, 이는 높은 로지스틱스(logistics) 및 제조 비용과 결부된다. 공차 그룹이 구체적으로 생성될 수 없는 경우에는, 분류가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므로 폐기되어야 할 잉여 부분이 생성된다. 개별 구성요소들이 높은 공차로 생성될 수 있고, 이러한 높은 공차가 모두 보상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어링 조립체 또는 추가적인 서브-조립체를 억지 끼워맞춤으로 생산하기 위한 방법이 바람직하다.

    도입부에서 언급된 유형의 방법에 따라 생산되는 베어링 조립체가 DE 103 29 237 A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제1 베어링 요소에는 복수의 재료 리세스에 의해 둘러싸이는 개구부가 제공된다. 재료 리세스와 개구부 사이에 변형 영역이 위치된다. 제2 베어링 요소가 핀으로서 구성되며, 이의 이동 방향은 주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베어링 요소는 개구부를 통해 제2 베어링 요소를 수용한다. 초기에, 반경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유극 방향으로 고도의 유극이 존재한다. 그 후, 돌출부가 유극이 전혀 없이 제2 베어링 요소에 맞닿아 지지될 때까지, 유극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변형 영역이 소성 변형된다. 그러나, 유극의 부재로 인해, 2개의 베어링 요소가 서로 움직이지 못하게 끼일(jamming) 우려가 있다.

    DE 20 2010 015 171 U1에는 제1 베어링 요소에서, 초기에 돌출부가 개구부 상에 생성되고, 그 후에 돌출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2 베어링 요소가 제1 베어링 요소의 개구부 내로 삽입되는 베어링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탄성 변형의 정도에 따라, 소정의 이동 부자유가 발생할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어링 조립체를 생산하기 위한 도입부에 언급된 유형의 방법을 개선하는 것과, 상기 방법에 따라 생산된 베어링 조립체를 구비한 피팅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방법 및 청구항 제7항의 특징을 갖는 피팅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항의 요지를 형성한다.

    제1 베어링 요소의 탄성 변형은 제2 베어링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제1 베어링 요소의 기하학적 구조를 일시적으로 변경시킨다. 만약, 기하학적 구조가 일시적으로 변경된 상태에서, 이제 소성 변형에 의해 베어링 조립체의 유극이 제거, 즉 베어링 요소들이 유극 없이 서로 맞닿아 지지된다면, 이에 따라 베어링 조립체의 규정된 헐거운 끼워맞춤을 생성하기 위해, 기하학적 구조에 대한 일시적 변경이 반전, 즉 탄성 변형이 반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10 mm인 이러한 헐거운 끼워맞춤의 유극의 크기는 탄성 변형의 정도에 따르며, 최소 (그리고 영이 아닌)가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0.5 mm의 굴곡에 기인한 탄성 변형의 경우에, 예를 들어 0.05 mm의 유극이 생성될 수 있다. 베어링 요소의 상이한 (생산) 공차는 최소 규정 유극이 베어링 요소의 원래 공차와는 (실질적으로) 무관하도록, 소성 변형에 의해 보상된다.

    공차 그룹으로의 선별 및 분류가 생략된다. 비용이 많이 드는 제조 방법들이 생략된다. 결과적으로, 전반적으로 생산은 더욱 비용-효율적이다.

    탄성 변형은 바람직하게는, 평탄치 않은 지지부, 특히 오목하거나 볼록한 지지부로서, 제1 베어링 요소가 초기에는, 간격을 두고 그리고/또는 선형으로 지지되고, 이어서, -예를 들어, 스탬프 또는 상이한 유형의 누름에 의해- 즉, 제1 베어링 요소의 대응하는 굴곡에 의해 지지부에 맞닿아 평탄하게 지지되게 되는, 상기 지지부에 의해 달성된다. 누름이 중단되면, 제1 베어링 요소는 -소성 변형을 제외하고는-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온다.

    소성 변형은 예를 들어, 스탬프에 의해 변위 지점에서 변위되어 돌출부를 형성하게 되는 재료에 의해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요소의 지지 표면을 따라 코오킹(caulking)함으로써 발생한다. 그 후, 제2 베어링 요소가 제1 베어링 요소의 돌출부에 맞닿아 지지된다(또는, 그 역).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베어링 조립체는 예를 들어, 시트 등받이를 상이한 경사를 갖는 사용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시트 등받이를 비-사용 위치로 피벗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차량 시트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피팅의 (일체형) 구성요소일 수 있다. 베어링 조립체는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피팅부들 또는 로킹 바아 및 로킹 바아를 안내하는 피팅부와 관련될 수 있다. 시트 등받이에 대한 적용 외에, 이러한 피팅은 또한, 차량 시트의 다른 지점에 사용될 수 있으며, 베어링 조립체는 차량 시트의 또는 심지어 차량의 다른 지점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추가적인 억지 끼워맞춤도 규정된 유극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탄성 변형 전의 베어링 조립체를 관통하여 나타낸 도식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탄성 변형 동안의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소성 변형 동안의 도 1 및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4는 탄성 변형의 반전 후 도 1 내지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5는 피팅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7의 라인 Ⅵ-Ⅵ을 따라 피팅을 관통하여 나타낸 반경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피팅을 관통하여 나타낸 축선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차량 시트의 도식적 도면을 도시한다.

    자동차용 차량 시트(1)는 시트부(3) 및 시트부(3)에 대해 경사 조정될 수 있는 시트 등받이(4)를 구비한다. 시트 등받이(4)의 경사 조정을 위해, 시트부(3)와 시트 등받이(4) 사이의 천이 영역에 수평으로 배열되는 트랜스미션 로드(7)가 예를 들어, 핸드 레버(5)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된다. 차량 시트(1)의 양 쪽에서, 트랜스미션 로드(7)는 회전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또는, 규정된 자유 이동으로 동조(entrainment)하도록 커플링되는) 연결부에 의해 피팅(10)에 맞물린다.

    피팅(10)은 축선(A)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제1 피팅부(11) 및 제2 피팅부(12)를 구비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가상) 축선(A)은 트랜스미션 로드(7)와 정렬되고, 사용된 원통 좌표계의 방향 정보를 규정한다. 2개의 피팅부(11 및 12)는 각각의 경우에, 원판 형상으로 대략 내접될 수 있다. 피팅부(11 및 12) 둘 모두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경화될 수 있는 금속, 특히 강철로 이루어진다. 축선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흡수하기 위해, 즉 피팅부(11 및 12)를 축선방향으로 함께 보유지지하기 위해, 파지 링(13)이 제공된다. 파지 링(13)은 바람직하게는, 비경화 금속, 특히 강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 링(13)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면의 환형 형상을 갖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원통 부분 및 전방면에 평면의 환형 부분을 갖는 L-자 형상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파지 링(13)은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에 의해 또는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는 추가적인 체결 기술에 의해, 2개의 피팅부(11 및 12) 중 하나에, 본 경우에는 외부 환형 부분에서 제2 피팅부(12)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축선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배열되는 내측 환형 부분에 의해, 파지 링(13)은 2개의 피팅부(11 및 12)의 상대적 이동을 저해함이 없이, 반경방향 외부 에지 영역에서, 선택적으로는 활주 링의 개재에 의해, 제1 피팅부(11)를 둘러싼다. 부수적으로, 서로 대면하는 2개의 피팅부(11 및 12)의 내부 표면은 이물질의 침투 및 오염화 그리고 손상이 방지된다.

    파지 링(13) 및 2개의 피팅부(11 또는 12) 중 상기 파지 링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피팅부는 2개의 피팅부(11 및 12) 중 상기 파지 링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다른 하나의 피팅부를 파지한다. 따라서, 구성면에서, (파지 링(13)과 함께) 2개의 피팅부(11 및 12)는 함께 디스크-형상의 유닛을 형성한다.

    피팅(10) 장착 시, 제1 피팅부(11)는 예를 들어, 시트 등받이(4)의 구조체에 고정적으로 연결, 즉 시트 등받이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2 피팅부(12)는 시트부(3)의 구조체에 고정적으로 연결, 즉 시트부에 고정된다. 그러나, 피팅부(11 및 12)의 배치는 교환될 수도 있는데, 즉, 이때 제1 피팅부(11)가 시트부에 고정되고, 제2 피팅부(12)가 시트 등받이에 고정될 것이다. 피팅(10)은 시트 등받이(4)와 시트부(3) 사이의 역속(flux of force)에 위치된다.

    피팅(10)은 예를 들어, 그 관련 개시내용이 명확히 본 발명에 포함되는 DE 20 2009 016 989 U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1 피팅부(11) 및 제2 피팅부(12)가 함께 로킹될 수 있는 래칭 피팅으로서 구성된다.

    제2 피팅부(12)는 -본 경우에는 4개인- 안내 세그먼트(14)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 세그먼트는 각각의 경우에 곧은 안내 표면으로 둘씩 짝을 지어 반경방향 측방으로 로킹 바아(16)를 안내한다. -본 경우에는 4개인- 로킹 바아(16)는 2개의 피팅부(11 및 12) 사이에 형성된 설치 공간에서 서로에 대해 -본 경우에는 각각 90°만큼-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로킹 바아(16)는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 링 기어로서 구성된 제1 피팅부(11)의 치형 링(17)과 맞물릴 수 있는 치형부가 제공된다. 치형 링(17) 및 로킹 바아(16)가 협력하는 경우, 피팅(10)이 로킹된다.

    제1 피팅부(11)는 제2 피팅부(12)의 리세스에 배열되고, 그에 따라 반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이며, 이에 의해 2개의 피팅부(11 및 12)가 서로 맞닿아 지지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1 피팅부(11)의 반경방향 외부 에지 영역에는 제2 피팅부(12)의 (제1 피팅부(11)에 맞닿아 지지를 제공하는) 반경방향 외부 에지 영역과 안내 세그먼트(14)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치형 링(17)이 배열된다. 고부하의 경우, 예를 들어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 제1 피팅부(11) -변형 후-는 부하 방향으로 더 가까이에 위치되는 안내 세그먼트(14)에 맞닿아 치형 휠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 세그먼트는 치형 링(17)을 향하는 방향으로 대응하여 (동심적으로) 휘어진 표면을 갖는다. 이는 피팅(10)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제1 피팅부(11)가 제2 피팅부(12)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는 정확하게 반전될 수 있는데, 즉, 제2 피팅부(12)가 제1 피팅부(11) 상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두 배열 모두 동등하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구동 요소(21)가 피팅(10)의 중심에 배열되고, 상기 구동 요소는 2개의 피팅부(11 및 12) 중 적어도 하나에, 본 경우에는 제1 피팅부(11)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피팅부의 중앙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차량 시트의 양쪽에서, 구동 요소(21)는 회전에 대해 고정적으로 연결되거나, 적어도 중공형 구동 요소(21)의 보어(23) 내로 삽입되는 트랜스미션 로드(7)와 동조하도록 커플링된다. 구동 요소(21)의 일 단부, 본 경우에는 제2 피팅부(12) 상의 단부에, 체결 링(24)이 제공되며, 본 경우에 상기 체결 링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구동 요소(21)에 체결된다. 핸드 레버(5)가 회전에 대해 고정적으로 체결 링(24)에 확실하게 클립(clip)될 수 있다.

    편심부(27)가 회전에 대해 고정적으로 위치되거나, 적어도 구동 요소(21) 상에서 동조하도록 커플링되며, 상기 편심부는 피팅부(11 및 12)들 사이에 형성되는 설치 공간에 배열된다. 스프링 배열체(35), 예를 들어 함께 수용되어 있는 1개 또는 2개의 나선형 스프링이 2개의 피팅부(11 및 12) 중 하나의, 본 경우에는 제2 피팅부(12)의 중앙 수용부에 배열되며, 본 경우에는 외측에서 지지된다. 스프링 배열체(35)는 본 경우에서는 내측에서 구동 요소(21)에 회전에 대해 고정적으로 위치됨으로써 편심부(27)에 작용한다. 이러한 스프링 배열체(35)는 예를 들어, 이미 앞서 인용된 DE 20 2009 016 989 U1에 개시되거나, 그 관련 개시내용이 명확히 본 발명에 포함되는 DE 10 2005 046 807 B3에 개시되어 있다. 스프링 배열체(35)에 의한 작용을 받는 편심부(27)가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로킹 바아(16) 상에 작용하여 상기 로킹 바아에 맞닿음으로써, 이들 로킹 바아가 치형 링(17)에 맞물리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강제되어 피팅(10)이 로킹된다.

    제어 디스크(36)는 로킹 바아(16)와 제1 피팅부(11) 사이의 설치 공간에 축선방향으로 배열되고, 본 경우에는 회전에 대해 고정적으로 편심부(27) 상에 위치된다. 제어 디스크(36)는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로킹 바아(16)의 러그(38)와 협력하는 -본 경우에는 4개인- 제어 트랙을 구비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러그(38)는 상기 러그에 배정되는 로킹 바아(16)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돌출한다. 스프링 배열체(35)의 힘을 거슬러, 구동 요소(21) -및 이에 의해 구동되는 편심부(27) 및 제어 디스크(36)-가 (몇 도) 회전하는 경우, 제어 디스크(36)는 로킹 바아(16)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즉 치형 링(17)으로부터 당기게 되며, 이로써 피팅(10)이 로킹해제되고, 2개의 피팅부(11 및 12)가 축선(A)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제, 시트 등받이의 경사를 조정하기 위해, 즉 상이한 사용 위치를 채택하기 위해, 시트 등받이(4)가 축선(A)을 중심으로 피벗될 수 있다.

    투-도어 자동차에 있어서, 시트 등받이(4)를 자유롭게 피벗시킴으로써 후위 시트 열에의 접근이 용이하게 될 것이며, 이를 위해, 로킹해제된 시트 등받이(4)가 사용 위치들 중 하나로부터 착석 용도로 적합하지 않은 자유 피봇 위치를 향해 전방으로 피벗된다. 완전 자유-피벗 이동 동안 핸드 레버(5) -또는 추가적인 작동 요소-를 파지할 필요가 없고, 어떠한 경우에도 피팅은 자유 피벗 위치에서만 로킹된다면, 사용자 편의가 증대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그 관련 개시내용이 명확히 본 발명에 포함되는 DE 10 2006 015 560 B3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환형 자유-피벗 제어 요소(45)가 선택적으로, 제어 디스크(36)와 제1 피팅부(11) 사이에서 축선(A)을 중심으로 하여 피팅(10)에 제공된다.

    제2 피팅부(12) 및 로킹 바아(16)는 각각의 이동 방향(r)으로의 제2 피팅부(12)에 대한 로킹 바아(16)의 바람직한 이동을 허용하는 차량 시트(1)의 베어링 조립체를 형성한다. 제2 피팅부(12)는 안내 세그먼트(14)와 함께 제1 베어링 요소를 형성하고, 각각의 경우에 로킹 바아(16)는 제1 베어링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2 베어링 요소를 형성한다.

    로킹 바아(16)가 바람직한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고, 안내 세그먼트(14)들 사이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걸리는 일이 없도록, 규정된 헐거움 끼워맞춤, 즉 유극 방향(p)으로의 로킹 바아(16)의 이동 방향(r)에 수직한 최소 유극이 요구된다. 로킹 바아 폭(b)은 로킹 바아의 이동 방향(r)에 수직한 즉, 유극 방향(p)으로의 하나의 (또는, 임의의) 로킹 바아(16)의 치수이다. 2개의 안내 세그먼트(14)들 사이에서 로킹 바아(16)를 수용하는 채널은 로킹 바아(16)를 안내하는 상기 안내 세그먼트(14)의 서로에 대면하는 에지에 의해 규정되고, 유극 방향(p)으로 상기 에지들 사이의 공간으로서 규정되는 원래의 채널 폭(c 1 )을 갖는다. 바람직한 규정된 유극을 달성하기 위해, 원래의 채널 폭(c 1 )은 로킹 바아 폭(b)보다 즉, 모든 공차에 대해 약간 크다. 종래 기술에서, 이는 매우 정밀한 구성요소 공차 또는 공차 그룹으로의 식별 및 분류를 요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부품은 큰 공차로 생산되고, 피팅(10)의 조립 시 바람직한 헐거운 끼워맞춤이 조정된다. 본 경우에, 제2 피팅부(12)는 안내 세그먼트(14)가 공차를 갖는 원래의 채널 폭(c 1 )이 공차를 갖는 로킹 바아 폭(b)보다 현저하게 크도록 형성되게끔 생산된다.

    제2 피팅부(12)는 -정면이 축선방향 외측으로 대면하도록 하여- 오목 지지부(H) 상에 배치된다. 지지부(H)는 로킹 바아(16)가 4개인 경우 구형으로, 로킹 바아(16)가 2개인 경우 원통형으로 만곡될 수 있다. 지지부(H)의 곡률의 중심점은, 본 경우에 제2 피팅부(12)에 대해 고정되고 이동 방향(r) 및 유극 방향(p)에 수직하게 배향되는 축선방향과 일치하는 스탬핑 방향(x)으로 위치된다. 제2 피팅부(12)가 평면형 정면을 갖기 때문에, 제2 피팅부는 간격을 두고 그리고/또는 선형으로만 지지부(H)에 대해 지지되는데, 즉, 중심에서는 지지부(H)로부터 이격되면서 에지에서만 지지된다. 로킹 바아(16)는 제2 피팅부(12)의 위치설정 이전 또는 이후에, 안내 세그먼트(14)들 사이에서 (채널 내에서) 지지부(H) 상에 배치되며, 제2 피팅부(12)의 안내 세그먼트(14)와 로킹 바아(16) 사이에 규정되지 않은 큰 유극(cb)이 존재한다.

    그 후, 스탬핑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스탬프(S)가 축선방향 내측을 향해 피팅부(12)의 정면, 보다 구체적으로 안내 세그먼트(14) 상에 적용된다. 스탬핑 방향(x)으로 적용된 스탬프(S)는 규정된 힘 분포로 제2 피팅부(12)에 작용한다. 스탬프(S)에 의한 작용으로 인해, 제2 피팅부(12)는 탄성 변형하고, 지지부(H)에 맞닿아 평탄하게, 다시 말해 면접촉하여 지지되는데, 즉, 제2 피팅부(12)는 탄성적으로 굴곡된다. 안내 세그먼트(14)의 에지가 서로 접근함에 따라, 원래의 채널 폭(c 1 )은 감소된다. 대응적으로, 제2 피팅부(12)의 안내 세그먼트(14)와 로킹 바아(16) 사이의 유극이 감소된다.

    동일한 스탬프(S)(또는 대안적으로 추가적인 스탬프)의 힘이 증가된 경우, 이제, 안내 세그먼트(14)는 로킹 바아(16) 및 제2 피팅부(12)의 안내 세그먼트(14)가 유극 없이 서로 맞닿아 지지(압입 끼워맞춤)될 때까지, 국부적으로 즉 에지에서 소성 변형된다. 이를 위해, 스탬핑 방향(x)으로 제2 피팅부(12)에 작용하는 스탬프(S)는 적어도 대략 유극 방향(p)으로, 그리고 이에 따라 각각의 로킹 바아(16)의 이동 방향(r)에 수직하게, 즉 본 경우에는 반경방향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안내 세그먼트(14)의 재료를 변위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국부적 눌림 및 국부적 소성 변형은 각각의 안내 세그먼트(14)의 로킹 바아(16)에 대면하는 각각의 에지를 따라 2개의 변위 지점(14d)에서, 즉 본 경우에는 제2 피팅부(12)의 총 16개의 변위 지점(14d)에서 발생한다. 유극 방향(p)(또는 반대 방향)으로 대면하는 돌출부(14p)가 각각의 변위 지점(14d)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로킹 바아(16)에 맞닿아 지지된다. 형성된 돌출부(14p)는 채널의 형상을 변경시키고, 이제 유효 채널 폭(c 2 )을 규정한다. 유효 채널 폭(c 2 )은 소성 변형으로 인해 로킹 바아 폭(b)까지 감소된다. 국부적 소성 변형의 크기는 원래 형성되는 공차에 따른다.

    스탬프(S)가 다시 스탬핑 방향(x)과는 반대로 이동하자마자, 즉 제2 피팅부(12)에 대한 작용이 중단되자마자, 피팅부(12)의 탄성 변형이 반전되는데, 즉, 제2 피팅부(12)는 정면이 다시 평탄하게 되도록, 지지부(H)에 맞닿아 평탄하게 지지된 상태로부터 해제된다(release). 변위 지점(14d) 및 돌출부(14p)에서 안내 세그먼트(14)의 소성 변형은 유지되지만, 유효 채널 폭(c 2 )은 탄성 변형의 반전에 대응하여 로킹 바아 폭(b)에 대해 증가되는데, 즉, 돌출부(14p)는 다시 로킹 바아(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바람직하게는 c 2 -b의 유극을 갖는 규정된 헐거운 끼워맞춤이 생성된다. 최종 값으로의 유효 채널 폭(c 2 )에 있어서의 증가의 크기는 지지부(H)의 기하학적 구조에 따르며, 원래의 생산 공차와는 실질적으로 무관하다.

    제2 피팅부(12)의 안내 세그먼트(14)의 소성 변형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부수적으로), 로킹 바아(16)도 소성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각각의 로킹 바아(16)에 대해 개별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또는 모든 로킹 바아(16)에 대해 동시에, 또는 쌍을 이뤄 서로 대향하는 로킹 바아(16)에 대해 동시에 그리고 상기 쌍에 대해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규정된 헐거운 끼워맞춤이 2개의 대향하는 로킹 바아(16) 상에서만 형성되며, 다른 로킹 바아(16)들은 보다 헐겁게 끼워맞춤되어 예를 들어, DE 102 53 054 A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선별적으로 경사지게 될 수 있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2개의 돌출부(14p)만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또는 서로 비스듬하게 대향하여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생산된 베어링 조립체는 베어링 요소로서의 2개의 피팅부(11 및 12)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러한 경우 이동 방향(r)은 원주 방향이다. 이러한 베어링 조립체를 생산하기 위해, 제1 피팅부(11)가 볼록한 지지부 상에 위치되거나, 제2 피팅부(12)가 오목한 지지부(H) 상에 위치되고, 탄성 변형되어 제1 피팅부(11)의 외측 치수가 증가되거나, 제1 피팅부(11)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제2 피팅부(12)의 리세스의 내측 치수가 감소된다. 각각의 다른 피팅부(12 또는 11)는 탄성 변형 이전 또는 이후에 위치된다. 탄성 변형 이후에, 소성 변형이 복수의 변위 지점에서 발생하며, 이로써 돌출부가 유극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어서, 탄성 변형이 반전되어, 규정된 유극이 생성된다.

    개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변형예에서, 고도의 오목한 표면이 안내 세그먼트(14)를 스탬핑하기 위해 사용된다. 안내 세그먼트(14)의 제한된 탄성에 의해, 상기 안내 세그먼트는 성형 후 초기 상태, 특히 편평함에 도달하지만, 이는 재료의 스프링-백 거동(spring back behavior)에 의한 것이 아니다. 바람직한 편평함, 특히 성형 공정 전과 같은 편평함을 달성하기 위해, 성형 공정 후에 추가적인 교정 공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공정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스탬핑 공구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변형예에서, 안내 세그먼트(14)를 스탬핑하기 위해, 다른 피팅부(12 또는 11)가 사용되는 대신 필링 피스(filling piece)가 사용된다. 각각의 성형에 따라, 유효 채널 폭(c 2 )의 크기는 스탬핑 공정 후에 필링 피스에 의해 가변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1: 차량 시트
    3: 시트부
    4: 시트 등받이
    5: 핸드 레버
    7: 트랜스미션 로드
    10: 피팅
    11: 제1 피팅부
    12: 제2 피팅부, 제1 베어링 요소
    13: 파지 링
    14: 안내 세그먼트
    14d: 변위 지점
    14p: 돌출부
    16: 로킹 바아, 제2 베어링 요소
    17: 치형 링
    21: 구동 요소
    23: 보어
    24: 체결 링
    27: 편심부
    35: 스프링 배열체
    36: 제어 디스크
    38: 러그
    45: 자유 피벗 제어 요소
    A: 축선
    b: 로킹 바아 폭
    c 1 : 원래의 채널 폭
    c 2 : 유효 채널 폭
    H: 지지부
    p: 유극 방향
    r: 이동 방향
    S: 스탬프
    x: 스탬핑 방향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