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블랭크

申请号 KR1019930005111 申请日 1993-03-30 公开(公告)号 KR100226243B1 公开(公告)日 1999-10-15
申请人 아우토쿰푸 파우데엠 게엠베하; 发明人 에곤조이스터; 호르스트링케; 안젤리카콜브-텔리엡스; 울리히호이브너;
摘要 본 발명은 두가지 부재로 이루어지고 제 1 금속 또는 금속합금으로 된 내부 원반과 제 2 금속 또는 금속합금으로 된 외주링으로 아루어지고 내부 원반은 외주 링의 중공부내로 끼워맞춤됨으로써 구성되는 코인, 메달, 토큰, 도박장 칩의 용도로 사용되는 코인 블랭크에 관한 것으로, 원반(1)의 외측 테두리(4)에는 경사진 상태로 연장되는 함몰부(5)가 형성되어 있다.
权利要求
  • 두가지 부재로 이루어지고 제 1 금속 또는 금속합금으로 된 내부원반(1)과 제 2 금속 또는 금속합금으로 된 외주 링(2)로 이루어지고 내부 원반은 외주 링의 중공부내로 끼워맞춤으로써 구성되는 코인, 메달, 토큰, 도박장 칩의 용도로 사용되는 코인 블랭크에 있어서, 내부 원반(1)의 외측 테두리(4)에 형성된 함몰부 (5)가 서로 경사진 상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블랭크.
  •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원반(1)의 외측 테두리(4)에 파상 홈 (5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블랭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부 원반(1) 및 외주 링(2)의 재료의 전도성의 차가 45 μ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블랭크.
  • 제3항에 있어서, 전도성이 떨어지는 부재는 크롬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블랭크.
  • 제3항에 있어서, 전도성이 떨어지는 부재는 크롬/니켈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블랭크.
  • 제3항에 있어서, 전도성이 떨어지는 부재는 오스테나이트강 및 방청 페라이트강으로 된 적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블랭크.
  • 说明书全文

    코인 블랭크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인의 외주 링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원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원반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내부 원반 2. 외주 링

    4. 외측 테두리 5. 함몰부

    본 발명은 두가지 부재로 구성되어 코인, 메달, 토큰, 도박장 칩의 용도로 사용되는 블랭크에 관한 것으로, 제 1 금속 또는 금속합금으로 된 내부 원반과 제 2 금속 또는 금속합금으로 된 외주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원반은 외주 링의 중공부내로 끼워맞춤되어 구성되는 블랭크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주로 단일성분의 금속으로 코인을 제조하였다. 코인은 여러 가지 다른 금속 및 금속합금으로도 또한 제조된다. 이들 재료는 주로 양측부에서 놋쇠층을 갖춘 강으로 된 코어를 압연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적층재료이다.

    최근에는, 코인의 제조시 단일의 금속 또는 금속합금으로 된 외주 링에 의해 둘러싸이는 또다른 단일 금속으로 된 내부 원반으로 구성되는 적층재료를 많이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 동전인 500리라 짜리 코인은 금색의 구리합금으로 된 내부 원반을 갖추고 있다. 푸른 빛의 광택이 나는 은회색 크롬강으로 된 외주 링은 상기 내부 원반 둘레에 동심적으로 압착된다. 그러한 동심형 적층재료로 된 부재를 제조할 경우 타당성 있는 비용으로 이들 적층재료를 대량생산 할 수 있는 현재의 고속 코인 제조기의 기술을 고려하여 특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코인 제조시 내부 원반과 외주 링간에 만족할 수 있는 정도의 접착결합을 얻기 위해서는 특별한 단계를 거쳐야 할 필요가 있다.

    US-A-3 499 739 에 개시된 바에 따르면, 외주 링은 내부 원반보다 다소간 더 두껍게 구성되어 있다. 그와 같이 구성하는 목적은 코인 제조공정시 외주 링을 내부 원반의 테두리에 압착함으로써 원반과 링간에 확실한 결합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JP-A-58- 3743에 개시된 바에 따르면, 내부 원반이나 그렇지 않으면 외주 링에는 원형으로 연장되는 테두리 홈이 형성되어 있다. 조립을 하기 위해 이들 두 요소을 상호 배치한 다음 특수한 공구를 사용하여 내부 원반의 재료를 외주 링내의 홈내에 압착하여 끼워넣거나 그 반대로 끼워맞춤을 한다.

    EP-A-0 080 437 에 개시된 바에 따르면, 외주 링의 내부 테두리가 쐐기형상을 취하고 내부 원반에는 테두리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취한다. 코인 제조공정시, 재료는 상기 비드로부터 외주 링의 테이퍼 경사진 내부 테두리위로 유동할 수 있다. 동시에, 외주 링의 내부 테두리에는 코인 제조중에 내부 원반쪽으로 힘을 받는 다수의 치상돌기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게 되면, 코인의 제조후에 외주링 및 내부 원반이 상호 회전할 수 없게 된다.

    EP-A-0 160 343 은 이러한 개념에 착안한 것으로 매우 유사한 형상의 외주 링을 사용하고 있다. EP-A-0 280 615 로부터 공지된 코인의 경우, 볼은 외주 링내로 도입된 다음 가소상태로 다시 다른 형상을 취함으로써 내부 원반을 형성한다. EP-A-0415 892 에 따르면, 외주 링의 내부 테두리에는 코인의 제조시 내부 원반의 재료가 흘러 들어가는 중단 외주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US-A-3 499 739 에 개시된 구성은 실제로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고, 상기한 JP-A-58-3743 에 있어서는 조립을 위해 특수한 공구를 사용해야 하며, EP-A-0080 437, 0160 343 및 0415 892 의 경우 외주 링의 내측부는 기하학적으로 복잡한 형상을 취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들어, 코인으로 제작된 후에 두 부재가 회전하거나 외부 링의 밖으로 내부 원반이 떨어지는 것을, 내부 원반의 외측 테두리의 형상을 적절히 구성함으로써, 신뢰할 수 있을 정도로 방지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내부 원반의 외측 테두리에 상호 경사진 상태로 배열되는 함몰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함몰부는 파상 홈의 형태를 또한 취할 수 있다. 그 결과, 외주 부재의 재료는 내부 주재의 함몰부내로 유입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동심상태로 배치되어 코인을 형성하는 합성재료인 외주 링과 내부 원반은 매우 다른 전도성을 가진다. 이는 전도성이 양호한 부재로서 많아야 25 μΩ.㎝ 의 전기저항을 갖는 구리 코인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적어도 70 μΩ.㎝ 의 전기저항을 갖는 크롬 강 또는 크롬 자기강을 전도성이 좋지 않은 부재로서 선택하여야 한다. 전도성이 더욱 떨어지는 부재는 또한 페라이트 및 오스테나이트 강으로 이루어진 적층체일 수 있다. 그 결과 다음의 사항이 달성된다.

    현재의 전자코인 시험장치는 여러 가지 다른 주파수의 자계간의 전자계 상호작용의 원리 및 코인용 금속을 달리 사용하여 시험을 행한다. 코인이 코인시험장치의 코일 시스템을 통과함에 따라, 적층재료로 된 외주 링이 매우 양호한 전도성을 갖는 부재인 경우 특성 배가 신호를 전달 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고 전도성이 현저히 양호한 부재가 내부 원반을 형성하는 경우 단일의 특성 곡선 형상이 전달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코인은 중앙 개구가 형성된 외주 링(2)(제 1 도)을 포함하며, 그 외형은 내부 원반(1)(제 2 도 또는 제 3 도)의 외형에 대응하여 중앙 개구내로 압착됨에 따라 외주링(2)에 내부 원반(1)이 확고하지 않은 상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두 부재(1,2)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부 원반(1)(제 2도)의 외측 테두리(4)에는 경사진 함몰부(5)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제 3 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파상 홈(5a)이 내부 원반(1)의 외측 테두리(4)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두 부재(1,2)가 압착되면, 재료가 함몰부(5) 또는 홈(5a)내로 유입됨으로써 확고하지 않게 연결된 부재(1,2)는 확고히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함몰부(5) 또는 홈 (5a)의 경사진 위치로 인해, 함몰부(5) 또는 홈(5a)은 함몰부 또는 홈이 없는 다른 부재의 재료로 점진적으로 채워지기 때문에 두 부재(1,2)가 압착되는 동안 재료의 유입은 적절히 촉진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