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된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 및 그 용도

申请号 KR1020140092320 申请日 2014-07-22 公开(公告)号 KR1020160011364A 公开(公告)日 2016-02-01
申请人 (주)스마트뉴트리; (주)메디언스; 发明人 박상재; 강병식;
摘要 본발명은식품중의콜레스테롤제거를위한구조체에관한것으로미세결정셀룰로오스에아디픽산을에스테르화반응에의하여결합시키고, 여기에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을결합시켜얻어지는구조체로서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부분에콜레스테롤이흡착되어포집됨에의하여식품중의콜레스테롤을제거하는구조체를제공하는것에관한것이다.
权利要求
  •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에 아디픽산의 1개의 카르복실기가 에스테르 결합으로 결합되고, 아디픽산의 나머지 1개의 카르복실기가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과 에스테르 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 제 1항에서 미세결정셀룰로오스가 가열 팽화시킨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 제 1항의 구조체를 이용한 식품 중의 콜레스테롤의 제거방법
  • 제 1항의 구조체를 컬럼에 충전하고 콜레스테롤 함유 기질을 통과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기질 중의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레스테롤 제거 방법
  • 说明书全文

    링크된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 및 그 용도{Linked beta-cyclodextrin and its uses}

    본 발명은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링크 및 지지체로 구성되는 구조체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은 7개의 포도당이 환형으로 결합되어 있는 다당류로서, 그 구조가 도넛 모양을 하고 있어 내부는 소수성, 외부는 친수성을 띄는 관계로 다양한 소수성 물질을 포집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특히 콜레스테롤의 경우 그 유해성에 대한 우려로 식품을 통하여 과다한 섭취를 경계하고 있는데 이 콜레스테롤은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의 내부에 포집되어 결합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의 소수성 성분에 대한 포접성질을 콜레스테롤의 포접에 응용하여 식품중의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한민국특허 10-0791978

    대한민국특허 10-0791979

    대한민국특허 10-0432319

    대한민국특허출원 10-1997-0037128

    대한민국특허출원 10-1997-0037127

    대한민국특허출원 10-1998-0005801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1996) 85(10), 1017-25

    콜레스테롤은 식품을 통하여 섭취하게 되는데 과다한 섭취는 성인병의 유발로 연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식품 중의 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 및 특허에서는 콜레스테롤을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이 결합된 결합체로 포접시키고 포접된 포접체의 용해특성이 소수성이 증가되어 침전을 형성하면 이를 분리하는 방식이었으나, 이 경우 완전한 분리가 어렵고, 일부의 포접되지 않은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 결합체는 분리되지 않고 그대로 우유 속에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분리가 불완전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통하여 보다 산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과 링크 및 지지체로 구성되는 결합체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콜레스테롤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주요 타켓으로 한 것은 콜레스테롤과의 결합 또는 미결합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분리되는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링크-지지체의 결합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발명에서 용해상태에서 콜레스테롤과 포접하는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을 제시한 것을 개량하여 불용성의 지지체를 사용하는 방식에 의하여 콜레스테롤과 결합하지 않은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의 경우에도 자연적으로 우유 등의 기질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용 구조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식품 중의 콜레스테롤의 제거에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 우유, 난황 등이 함유된 콜레스테롤을 제거하여 저콜레스테롤 또는 무콜레스테롤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이는 과다한 콜레스테롤의 섭취로 인한 성인병, 만성질환의 발병을 줄여 건강유지, 회복 및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1 : 셀룰로오스-아디픽산-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의 결합모식도

    본 발명은 콜레스테롤을 포접하는 방식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흡착하는 것으로 알려진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과 불용성의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지지체 및 이를 연결하는 링크로 구성된다. 셀룰로오스는 식품 및 의약품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미세결정화 하여 제조 된 것을 손쉽게 구할 수 있다. 이를 일반적으로 MCC(MicroCrystalline Celluolse)라고 한다. 이들의 표면은 기본 구성유닛인 셀룰로오스의 포도당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포도당의 수산화기를 이용하여 링크와 손쉽게 결합할 수 있다. 사용하는 MCC의 크기는 본 시스템의 구성의 성립여부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다만 입자의 크기가 클수록 분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을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결합능이 적어 동일한 처리량에 대하여 많은 양이 소요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0.1mm~1.5mm의 크기의 것을 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좋게는 0.5~1.0mm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MCC의 크기가 1.5mm 보다 클 경우 단위 무게에 대한 결합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어 전체 시스템의 효율이 저하되게 되며, 0.1mm 보다 작을 경우 단순한 침강에 의하여 쉽게 분리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나, 단위 면적당의 결합능은 오히려 증가시킬 수 있다.

    보다 넓은 결합면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MCC를 다공화 시켜서 적용할 수 있다. 즉 MCC를 섭씨 150~450도까지 가열하여 고압을 형성시키고, 이를 순간적으로 제거하는 방식에 의하여 팽화시킨다. 이 과정에서 MCC는 팽창하여 보다 다공성의 구조가 되며 이로 인하여 보다 넓은 표면적을 제공하여 흡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가열하는 온도는 섭씨 450도 이상으로 할 경우 셀룰로오스의 열에 의한 탄화가 발생하여 검게 갈변할 수 있고, 섭씨 150도 보다 낮을 경우 팽화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다만, 팽화에 의하여 셀룰로오스의 표면의 화학적인 특성이 변하지는 않는다.

    링크는 일반적으로 지지체의 표면에 직접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을 결합할 경우 밀집도가 지나치게 높아 단위면적당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을 과량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나, 실제 적용 시 콜레스테롤이 결합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링크를 이용하여 공간을 확보하고자 한다. 사용하는 링크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아디픽산(adipic acid)을 사용한다. 그 이유는 지지체와 링크, 링크와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을 결합하는 결합은 에스테르결합(Ester bond)으로서 지속적인 사용 시 대상물의 pH에 따라 일부 가수분해가 일어 날 수 있으며 가수분해된 물질은 그대로 식품에 잔류하게 되는데 이 경우 안전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그 경우에도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는 링크로서 아디픽산을 사용하였다. 아디픽산은 지지체로부터 분리되어 식품중에 함유된다고 해도 식품첨가물로 지정되어 있어 함유자체가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아디픽산은 C 6 H 10 O 4 의 화학구조를 가지며, 카르복실기가 2개인 식품첨가물이다.

    일반적으로 에스테르결합은 알칼리 하에서 쉽게 진행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체를 효율적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아디픽산과 MCC간의 비율을 MCC 무게 1에 대하여 아디픽산 1~10의 무게로 첨가하고, 알칼리하에서 반응하는 것에 의하여 1차 적인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지지체에 결합하는 아디픽산은 단일 결합 또는 아디픽산이 중합된 형태인 중합상의 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구성체를 이용하여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공정에 있어 Setric hindrance를 줄여 줄 수 있어 콜레스테롤과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의 결합효율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분해될 경우 다시 아디픽산으로 되므로 안전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MCC-adipic acid의 결합이 형성된 후 여기에 다시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을을 첨가하여 MCC-adipic-beta-CD의 결합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MCC의 무게를 기준으로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을 3~20의 무게비로 첨가하고, 동일하게 알칼리 조건에서 반응을 진행하게 된다. 반응 종료 후 구성체인 MCC-adipate-beta-CD를 분리하는 것은 불용성인 관계로 손쉽게 수행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조체인 MCC-adipate-beta-CD는 물에 불용성인 관계로 콜레스테롤을 제거하여야 하는 대부분의 식품들이 우유, 난황, 기타 동물의 기름 등과 같이 액상의 형태를 띄고 있어 콜레스테롤과 결합한 본 발명의 구조체가 고체인 경우 손쉽게 분리하여 콜레스테롤을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거한 구조체-콜레스테롤의 결합체에서 다시 콜레스테롤을 분리하여 본 발명의 구조체를 재생하고 이를 재사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구성체는 컬럼에 충전한 형태로 또는 액상에 부유시킨 형태로 처리하는 방식에 의하여 콜레스테롤과의 결합을 유도할 수 있으며, 여과 또는 원심분리 등 일반적인 방법에 의하여 손쉽게 구성체와 분리할 수 있다. 처리된 우유의 경우 콜레스테롤이 제거된 우유로서 건강의 증진과 유지에 도움을 주는 식품 또는 원료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로서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미세결정셀룰로오스 0.5~1.0mm의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서 100g을 준비하고, 여기에 물 1L를 가하여 수화시킨 다음 여기에 1M NaOH를 가하고, 저어주면서 pH를 알칼리로 한다음, 동시에 아디픽산을 5%(w/v)의 수용액으로 만들어 1L를 천천히 30분에 걸쳐 투입하였다. 이 과정에서 셀룰로오스의 수산화기와 아디픽산의 카복실기가 에스테르화반응이 진행되게 되며, 그 결과 셀룰로오스에 아디픽산이 결합된 형태의 1차 중간체가 만들어 진다. 여기에 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을 물에 녹여 고형분의 농도가 10%(w/v) 가 되도록 한 다음, 이를 섭씨 70도로 한 다음 셀룰로오스와 아디픽산이 반응하여 생성된 중간체가 있는 용기에 서서히 투입하면서 저어 준다. 이 과정에 의하여 셀룰로오스-아디픽산-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의 결합체가 만들어 지게 된다. 만들어진 결합체는 불용성이므로 이를 정제된 물로 세척하여 회수하면 순수한 셀룰로오스-adipate-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 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미반응성의 잔류물은 수용성이므로 세척과정에 의하여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셀룰로오스-adipate-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의 구조체를 컬럼에 충전하고, 여기에 콜레스테롤 20mg/100g을 함유한 우유를 준비하고, 컬럼의 하부에서 상부로 컬럼의 온도를 섭씨 10도로 하여 체적유속으로 1vvh(vloume/volume/hr) 의 유속으로 통과시키고 상부에서 얻어진 처리우유 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였다. 콜레스테롤의 측정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ELS Detector하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투입시 20mg/100g의 콜레스테롤이 컬럼을 통과한 후 0.7mg/100g 으로 약 96.5%가 제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속적으로 재사용한 경우 10회 재사용 후 약 90%의 제거효율을 유지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에서 미세결정셀룰로오스를 섭씨 350도에서 10분간 가열한 후 이를 순간 압력제거하는 방식에 의하여 팽화시켰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가교화반응을 진행하여 팽화셀룰로오스-아디픽산-베타싸이클로덱스트린의 구조체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 3의 구조체를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우유를 처리한 결과 콜레스테롤 제거 효율 98.4%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컬럼에 충전된 구조체는 손쉽게 재사용이 가능하여, 처리한 우유를 제거한 다음 재생하여 즉시 재사용할 수 있으며, 5회까지 사용하여도 처리효율이 저하되지 않았으며, 평균 제거효율은 98±0.9% 였다. 6~10회까지 재사용 할 경우 평균 처리효율은 96±0.6% 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체는 콜레스테롤의 제거효율 요구도에 따라 최소 10회 이상 재사용이 가능하였다. 또한 실시예 2와 비교하여 팽화시킨 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경우가 보다 높은 콜레스테롤 제거 효율과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였다.

    상기 실시예 3의 구조체를 20mg/100g의 콜레스테롤을 함유한 우유 1L에 30g 첨가하고 섭씨 8도에서 15분 동안 200rpm으로 혼합하여 준 다음 이를 여과하여 구조체를 회수하고 남은 우유 중의 콜레스테롤을 측정한 결과 97.3%의 제거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체는 우유에 부유시켜 처리하여도 콜레스테롤 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3의 구조체 50g을 분리난황 500g에 물 500g을 가하여 희석한 다음 투입하고 섭씨 10도에서 20분간, 150rpm으로 혼합하여 준 다음 여과하여 구조체를 회수하고 남은 처리난황을 분무건조하여 난황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난황분말 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1.1mg/100g으로 제거효율 98%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식품 중의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식품 중에 함유된 콜레스테롤을 제거하여 콜레스테롤 저하 식품을 제조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vvh : volume of liquid pass / volume of column / hr, 체적유량
    시간 당 컬럼 부피의 몇배에 해당하는 액체를 통과시켰나를 의미함.

    QQ群二维码
    意见反馈